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햄스터 담관암 발생과정에서 AP-1 구성 단백질의 발현양상

        이정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Jun과 Fos단백질로 구성된 전사인자 activator protein-1(AP-1)은 세포의 증식, 분화, 세포자멸사와 관련된 유전자들을 조절하여 세포의 기본 생리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유방암, 대장암, 전립샘암 등의 종양에서 세포의 생·사와 종양성 변이를 조절함으로써, 종양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담관암에서 이상발현이 보고된 여러 유전자들이 AP-1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는 유전자들로서 AP-1이 다른 종양에서처럼 담관암 발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관암 발생의 단계별 AP-1의 발현양상을 살펴보았다. 햄스터 담관암 모델 및 담관결찰모델을 이용하여 정상담관 및 증식성담관, 비종양성병변인 이형성담관, 담관암조직을 얻었으며, ABC 방법을 이용하여 c-Jun, JunB, JunD, c- Fos, Fra-1, Fra-2에 대한 면역염색을 실시하였다. 면역염색 결과, c-Jun, JunB, JunD와 c-Fos, Fra-2는 담관상피세포의 핵에서 발현되었다. c-Fos는 정상 담관과 비교하여 증식성 담관, 이형성 담관과 종양에서 각각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다(P<0.01). c-Jun은 정상 담관에서 다소 높이 발현되었으나, 증식성 담관부터는 이보다 더 증가되었으며, 이형성 담관특히 종양에서는 정상담관과 비교하여 유의차있게(p<0.01) 과발현되어 c-Fos와 상관계수 0.92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었다. JunD는 정상담관상피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증식성 담관부터 발현이 증가되어 담관암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보여, c-Fos와는 상관계수 0.88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Fra-2와 JunB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며(r=0.93)비슷한 발현 양상을 보였는데, 정상담관과 이형성 담관에서는 극 소수의 담관상피세포에서 발현되었고, 이형성이 심한 비종양성 이형성 담관에서 강력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종양에서는 이형성 담관에서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Fra-1은 정상부터 종양에 이르기까지 모든 담관상피세포의 세포질과 막에서 동일하게 강력하게 발현되었다. 따라서 담관암 발생 단계에서 AP-1단백질들이 다양하게, 유의하게 발현되는 것을 토대로, 담관암 발생 단계에 있어서 AP-1 단백질이 중요하게, 그리고 다양하게 관계될 것으로 사료된다. Transcription factor AP-1 consisting of Fos and Jun proteins plays a critical role in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by regulating related genes. Furthermore, AP-1 has been strongly suggested to be implicated in carcinogenesis of breast cancer, colorectal cancer, prostate cancer and etc. by specifically regulating cell life, death and oncogenic transformatio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hich showed alterations of various genes modulated by AP-1 in cholangiocarcinoma, we could hypothesize that AP-1 plays important roles in cholangiocarcinogenesi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explored the expression pattern of each component of AP-1 at the serial cellular stages in cholangiocarcinogenesis. We obtained hyperplastic bile ducts(HBD) from hamster bile duct ligation model and dysplastic bile ducts(DBD) and primary cancers from hamster cholangiocarcinoma(ChC)model. And then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c-Jun, JunB, JunD, c-Fos, Fra-1 and Fra-2 using ABC method. As results, c-Jun, JunB, JunD, c-Fos and Fra-2 were expressed in the nucleus of billiary epithelium. The immunoreactivity of c-Fos was increased gradually during cholangiocarcinogenesis from normal bile duct(NBD) to ChC. Although the expression of c-Jun was also a little high in NBD, it was gradually more increased in HBD, DBD and especially in ChCs having high correlation with c-Fos(r=0.92). JunD was highly expressed in ChCs, which contrasted with DBD and HBD indicating low frequency of positivity and negative NBD. The immunoreactivity of Fra-2, JunB was shown positive in severe DBD with maintenance in ChC and rarely expressed in NBD and HBD with high correlation(r=0.93). In case of Fra-1 was strongly expressed in cytoplasm and cell membrane of all biliary cell populations including normal and ChC. Our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AP-1 proteins are significantly and differentially implicated at any cellular stage during biliary carcinogenesis.

      • ‘탈-주변부적 주체’에서 ‘비-주변부적 주체’로 : 오르한 파묵과 최인훈 비교 연구

        이정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create a substantial cornerstone of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urkish and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first and foremost, scrutinizes similar after-effects from obsessive westernization and modernization which infiltrated both societie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both are regarded as “the periphery.” Based on Alfred Schuetz’s “the stranger” discourse, in this process, intellectual subjects become “strangers” by being habituated and inclined to the new way of thinking, which is disseminated from the “approaching group,” or “the core.” These subjects suffer mental anguish, self-disruption, sense of belatedness, and feelings of inferiority. These symptoms subconsciously appear in the two authors’ texts. Secondly, this study indicates that such alienated subjects tend to reveal their orientation toward the core or to crave, in vain, for the acceptance into the core. All the efforts of the subjects for - 177 becoming a member of the core, which stems from “subordinated peripherality,” turn out to be nothing but recurrent failures. This could be named the trials of “becoming a de-peripheral subject.” Lastly, the study demonstrates the two authors’ significant transitions from de-periphery to “non-periphery,” which is from subjects’ “liberated peripherality.” For Orhan Pamuk, this change was possible when he wo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and when he was accused of “insulting Turkishness.” For Choi In-hun, it is followed by the author’s visiting the US and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Both authors realized the delusion of the core. Now, they are eager to build their own place—transcending the core-periphery dichotomy and becoming real subjects. Bu araştırma, Türk ve Kore Edebiyatı arasında karşılaştırmalı çalışma için önemli bir temel yaratmayı amaçlamaktadır. Bu çalışma, her şeyden önce, her iki toplumun da “Çevre” olarak kabul edildiği 20’nci yy.’ın ikinci yarısında her iki toplumun içine sızan obsesif batılılaşma ve modernleşmenin benzer artçıl etkilerini mercek altına almaktadır. Alfred Schuetz’in “yabancı” söylemine göre, bu süreçte, düşünsel özneler “yaklaşan grup” ya da “merkez”den yayılan yeni bir düşünme yöntemine alıştırılarak ve meğilli hale getirilerek “yabancılar” haline gelirler. Bu özneler manevi ıstırap, benlik karmaşası, aydınlanmamışlık hissi, ve aşağılık duygusundan muzdariptirler. Bu semptomlar her iki yazarın metinlerinde içgüdüsel olarak ortaya çıkar. İkinci olarak, bu çalışma böyle yabancılaştırılmış öznelerin, merkeze doğru yönelimlerini ya da merkeze kabul edilmek için beyhude bir özlem duyduklarını açığa vurmaya eğilimli olduklarını göstermektedir. Öznelerin, “bağlı çevrecilik”ten kaynaklı, merkezin bir üyesi olmak - 179 için tüm çabaları, tekerrür eden başarısızlıklardan başka bir şey olarak ortaya çıkmaz. Bu, “çevre dışı özne olma” denemeleri olarak adlandırılabilir. Son olarak, bu çalışma iki yazarın çevre dışından, öznelerin “özgürleştirilmiş çevreciliğinden gelen” “merkez ya da çevre olmayan”(non-periphery)’a anlamlı geçişini göstermektedir. Orhan Pamuk için bu geçiş Nobel Edebiyat Ödülünü kazandığında ve “Türklüğe hakaret” ile suçlandığında mümkün olmuştur. Choi In-hun için ise, yazarın ABD’yi ziyaret etmesinin ve Sovyetler Birliği’nin dağılmasından sonra olmuştur. Her iki yazar da merkezin delüzyonunun farkına varmıştır. Artık, her ikisi de, merkez-çevre ikileminin ötesine geçen kendi yerlerini oluşturmaya ve gerçek özneler haline gelmeye heveslidir. 본 연구는 터키 작가 오르한 파묵과 한국 작가 최인훈의 비교 연 구를 통해 터키와 한국문학의 비교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두 작가를 새롭게 해석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터키와 한 국사회가 급격한 서구화와 근대화로 인한 유사한 후유증을 드러낸 다고 이해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두 국가의 역사적 맥락을 살피고 두 국가가 ‘주변부’로 여겨지던 20세기 중후반을 배경으로 하는 텍 스트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는 1장에서 설명된 이매뉴얼 월 러스틴의 ‘세계체제론’과 사회학자 알프레드 슈츠가 제시한 ‘이방인 론’을 함께 방법론으로 삼아, 주변부의 주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고향 집단에서 접근 집단인 중심부로의 편입을 시도하는 지를 2장에서 분석하였다. 두 작가의 텍스트에 등장하는 주체들은 자신들이 인식하는 ‘주변부성’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한다. 본고는 이 를 ‘탈-주변부적 주체되기’로 정의한다. 이러한 시도의 결과 주체들 은 자신의 고향 집단에서 이방인으로 전락하였고, 그들이 ‘접근 집 단,’ 또는 ‘중심부’인 서양의 사고체계에 경도되면서 겪는 불안과 자 기분열, 뒤처짐의 감정, 열등감에 고통받게 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무의식적으로 두 작가의 텍스트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난다. 3장에서 는 오르한 파묵의 주체들이 탈-주변부적 주체되기를 시도하는 방식 을 탐구하였다. 그의 첫 작품 제브데트 씨와 아들들을 중심으로 - ii 하여 주체들이 중심부에 편입하고자 하는 욕망을 분석하였으며, 이 러한 양상이 파묵의 후기 작품에서 변화한다고 보았다. 오르한 파묵 은 “터키 명예 훼손죄” 사건과 노벨 문학상 수상이 계기로 중심-주 변의 이분법에서 해방된 ‘비-주변부적 주체’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이는 파묵의 후기 텍스트에서 정치성의 배제와 이스탄불이라는 장 소에 대한 집중 등의 특징으로 드러나고 있다. 4장에서는 최인훈의 주체들이 보이는 탈-주변부적 주체되기를 분석하였다. 「가면고」의 민은 자신의 얼굴이 가면으로 덮여 있으며 ‘탈벗기’를 시도하여 자 신의 민낯을 드러내고자 하지만, 이러한 사고방식은 현재의 자기 모 습은 진정한 자기 자신이 아니라는 ‘자기부정’과 이상적인 자기 모 습에 대한 욕망을 수반하고 있다. 「가면고」와 「구운몽」에서 보여주 는 남성주체들의 사랑은 최인훈의 주체들이 시도하는 탈-주변부적 주체되기의 방법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순환고리는 화두의 ‘나’를 통해 비로소 비-주변부적 주체되기의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끊어지 게 된다. ‘나’가 미국 체류를 통해 경험한 것과 소련 붕괴 이후의 경 험은 ‘나’에게 ‘기억하기’를 통한 글쓰기가 현실세계의 고유한 장소 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데에 확신을 심어 준다.

      • Bollnow의 실존주의 교육사상을 통한 학교무용에의 접근

        이정연 경성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Among the existentialism philosophers, especially, O.F. Bollnow has been interested in Pedagogies, his educational purpose has been concerned with recovering the human reason an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existentialism meaning. In here he has emphasized the subjectivity of individual, concentrated the experience of individual, and the behavior has been also accepted the existentialism position in expectation of the responsibility behavior of individual. His educational method model - crisis, awakening, advice, counsel, encounter, adventure and discouragement - seems likely to that meaning, in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 challenge to each dance, to a dance display, to a dance work and add of an appreciational ability, of an artic sensibility. Among his educational methods, especially the meaning of "encounter" is talking opportunity toward the perfect education which is enticed a perfect human ability and a harmonic development. And also what he deals with the most important is the creative development, that is to say, the matter of the creative education and the perfect education. Bollnow talked of the importance of the dance education the characterstic of individual, that is to say, which is treated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which is developing the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As that material and the contents is very poor, so the dance education is demended a positive practical use of the creative dance, it is developed and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in the view of a studying will inspiration it will be very desirable method. Although the teachers in the field who has the trouble to do a teaching method step by step have been recognized the creative dance being insufficient by the reference materials and the leading methods they have had the common opinion. I think it adequate for teachers to make the most of the research materals in order to teach the creative dance. And creativness is worth while to respect against recovering mannerism which is the limit of school education. At last as what is the following only the dance technic, so dance education must be changed to be developed the personality and ability. This theory suggested matters about an able special student and an able special class. An able special student or an able special class have of no value, only it is responsible for teachers. At last class for dance following only dance technic in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must be soon changed and that is brought into unbalance to perfect education, personal quality and characteristic development. According to mention the former. Bollnow has made the most of the matter of the "encounter" toward a perfect education. This induces the growth of a non - educationist through surroundings and experience, it has been brought into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In this here, teacher's themselves position must have more a positive consciousness. I demand that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get beyond the difference of an age and a positive, as they treat equally a human relation.

      • COVID-19 유행 전후 만 40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수검자의 우울감 관련 요인

        이정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및 목적 2007년 4월부터 국민 건강을 증진을 목적으로 전국의 모든 만40세를 대상으로 신체검사뿐만 아니라 생활습관 진단이 포함된 생애 전환기 건강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건강검진을 통해서 본인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지속적으로 관리를 하는 것을 통해 본인의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하면서부터 외부 활동을 자제함에 따라 건강검진마저 자제하게 되었다. 또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발생한 ‘코로나 블루’ 현상이 확산되어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증가했다. 생애전환기 검진인 만 40세의 코로나 발생 전과 후의 수검자의 건강특성을 비교해 보고, 우울감 관련 요인을 파악하려고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코로나 발생 이전인 2019년 7월부터 12월까지와 코로나 발생 이후 인 2020년 7월부터 12월까지 한국건강관리협회 강남지부에서 진행한 국민 건강검진을 진행한 수검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는 이차분석 연구로서, 연세의료원 세브란스 병원 연구심의위원회로부터 심의를 받아 진행하였다. 만 40세 건강검진 수검자는 2019년에는 1,005명, 2020년에는 2,074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팬더믹 선언 전과 후의 우울감 정도를 비교하고, 우울감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PHQ-9의 평균값과 표준편차 확인을 위해 T-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만 40세 대상자는 코로나 19 유행 전 2019년 남성은 439명, 여성 566명이었고, 유행 시점 2020년에는 남성 897명, 여성 1,177명이었다. 우울감은 여성에서 코로나 19 유행 전 77.9%, 유행 시점 80.6%였고, 고혈압에서 유행 전 79.4%, 유행 시점 83.6%, 식전혈당 126mg/dL 이상에서 유행 전 78.1%, 유행 시점 91.3%, 중성지방 200mg/dL 이상에서 유행 전 80.0%, 유행 시점 82.7%였다. 수검자의 우울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보정한 다변수 분석에서 우울감 관련요인을 성별, 음주, 흡연, 운동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비흡연 대비 현재흡연은 2019년, 2020년 모두 OR(95% CI) 1.76 (1.09-2.85), 1.54 (1.07-2.21)로 높았으며, 고강도 신체활동 주 2-4일도 전후 모두 OR(95% CI) 0.56 (0.40-0.78), 0.70 (0.54-0.91)로 높았다. 음주 월 1-4회 [OR(95% CI) 1.36 (1.01-1.85)]는 2020년에만 유의하게 높았으며, LDL- 콜레스테롤 130 mg/dL 이상 160 mg/dL 미만은 2019년에만 우울감에 대한 오즈비가 유의하게 높았다[OR(95% CI) 1.48 (1.00-2.18)]. PHQ-9의 총점은 코로나 유행 전 12.215, 유행시점 12.446이었으며,‘피곤함, 기력이 저하됨’인 경우 유행 전과 유행 시점 평균값이 2.203, 2.214로 PHQ-9 설문 중에서 가장 높았다. 결론 코로나 19 발생으로 인한 만 40세 생애 전환기 수검자의 우울 정도에는 큰 변화는 없었으며, 우울감은 여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우울감 관련 요인으로는 음주, 체지량지수, 혈중 지질 수치, 음주 빈도, 흡연과 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신종 감염병 발생 시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책 마련에 기초자료로서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이정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등학교는 모든 학생들이 체계적인 진로지도를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관문으로 가장 중요한 진로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이다.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학교교육은 자신의 미래를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진로 학습의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가정의 경제적 지원과 자녀에 대한 무관심 즉, 교육적 지원이 낮은 중소도시의 학교는 누적된 학습결손과 학습된 무력감으로 교실의 자발적인 낙오자를 방임하는 곳이 아니다. 부모의 소득과 학력이 하위이고 그 하위계층이 밀집된 중소도시 지역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이 학교를 배움과 소통의 공간으로 여기고 자존감과 진로성숙도를 성숙시켜서 상위권 학생들 뿐 아니라 중․하위권 학생들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배려와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근본적으로 교육격차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격려하는 곳이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학교현장에 맞게 구안하고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앞으로 하고자 하는 직업을 중심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직업에 도움이 되는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자신의 진로문제를 직업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둔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이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동두천시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 1개교의 1학년 2개 학급(학급당 남 18명, 여 15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파악을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에 있어서 동질집단으로 확인되었다(p > .05). 이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한 정철영 외(2005)의 고등학생을 위한 직업지도 프로그램(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CDP-H): 진로모의주행을 기초하여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과정을 거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CDP-H는 총34차시의 프로그램으로 학교현장에서 34차시는 현실적으로 연구의 어려움이 있고, 2004년에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2012년 학교 현장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의 조언을 최대한 반영하여 압축․수정․변경하여 프로그램을 8차시 50분 수업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자신의 강점을 찾아내고 그에 맞는 희망직업을 선택한 후 그에 따른 정보를 찾는 것을 전제로 시작하였으며, 장래진로와 대학의 전공 선택을 고려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관련된 계열 및 학과 선택과 희망대학교 선택, 그에 따른 학습계획 설정에 중점을 두었다. 학생들이 앞으로 하고자 하는 직업을 중심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직업에 도움이 되는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자신의 진로문제를 직업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실험집단에는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의 수준에 알맞게 구안된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주 1회씩 8주간에 걸쳐 총 8차시(1회기 50분 기준)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피험자들에겐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이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와 김용래(2000)가 제작한 ‘학교학습동기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 = 8.360, p < .01). 각 하위영역별로는 진로태도(F = 24.940, p < .001)와 진로능력(F = 10.045, p < .005), 그리고 진로행동(F = 16.354, p < .001) 영역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에 비해 학습동기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 = 11.808, p < .005).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 적용이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했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줌으로써 졸업 후 대학에 진학할 것인지 취업할 것인지 결정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이른 고등학생에게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맞는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구안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개발된 지 오래된 진로지도 프로그램(CDP-H)을 적용하여 학교현장에서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연구의 어려움이 있었다. 그런데 이 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함으로써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의 질적 수준제고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적용은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 향상을 돕는 프로그램으로 활용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진로지도를 더욱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향후 인문계 고등학교뿐만 아니라 특성화된 고등학교에 학교 급 단위에 맞게 수정․보완해서 사용한다면 학급단위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효용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High school students usually need systematical career guidance and explore their own career. So, school education in the stage of high school should giv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repare self initiated career exploration to make their career suitable to their own aptitude. Recently, Korean education labors for systematical career guid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focuses on the effectiveness of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e by applying career guidance program transformed to the school system for each class to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Some hypotheses go like this for this study; First, How does the career guidance program influence the career maturity of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Second, How does the career guidance program influence a learning motive of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two classes(18 boys and 15 girls in a class) of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located in Dongducheon were chosen; one class for control group and the other class for experimental group. To check homogeneity of two classes, t-test was applied to two classes after preliminary test. The result was that two classes were homogeneous groups in all variables by t-test(p > .05). In this study,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CDP-H) developed by KEIS is used. CDP-H is composed of 34 periods, but 8 periods(50 minutes per period) was performed. Because 34 periods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school system and by the expert's advice that the program made in 2004 is not suitable to the school in 2012, the program was designed to fit on total 8 periods(50 minutes per period). This program starts to find the information of students' strengths and careers for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To make students study concerning their careers and majors they want to study in a university, this study places emphasis on the choice of the university and department they want to enter and their design for studying. Students was stirred up and got a motivation to study for the job they want to get. So students was made to connect their careers and vocations. Career guidance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CDP-H)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by modified program for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This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e time per week for 8 weeks(50 minutes for one time) and nothing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Preliminary and post test were performed to all subjects. The measuring devices are career maturity inventory(CMI) developed by Krivet(2001) and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 made by Kim, Yongrae(2000). The data process is used by SPSS 12.0. Homogeneity test was used by t-test and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like this; First,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career guidance program w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F = 8.360, p < .05). Also, career attitude(F = 24.940, p < .05), career competency(F = 10.045, p < .05) and career behavior(F = 16.354, p < .05) were improved much more. Second, The learning motiv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career guidance program w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control group(F = 11.808, p < .05). In conclusion, the career guidance program influences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e of high school students positively. So, it will be effective to apply the career guidance program to high school students to help improvement of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e in school. Also, if this program modified for each class is used not only high schools but also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effectiveness of this career guidance program for each class will be increased.

      • SLIM-PCV법을 이용한 TiO2 나노입자 사이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특성 비교

        이정연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echnique of stepped light-induced transient measurements of photocurrent and voltage (SLIM-PCV)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electron diffusion coefficients (D_(e)) and electron lifetimes (τ) for the dye- sensitized solar cells (DSSC) fabricated from several TiO₂ nanoparticles indifferent sizes. TiO₂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hydrothermal reaction, and their sizes were 7nm, 15nm and 25nm, respectively. These three TiO₂ nanopaticles were applied as nanoporous electrode of DSSC,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cell as a function of particle size was studied in this work. Determined De and τ were measured by SLIM-PCV to investigate the particle size effect.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 increases and τ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particle size. This increase was related to the decrease of grain boundaries that was efficient transport of electr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ptimized TiO₂ particle size is required for the efficient transport of electrons in DSSC. TiO₂ 나노입자 크기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전자확산계수(D_(e))와 머무름 시간 (τ)을 측정하기 위해 SLIM-PCV(stepped light-induced transient measurements of photocurrent and voltage)법을 도입하였다. 수열합성법에 의해 7nm, 15nm, 25nm의 TiO₂나노입자를 준비하였다. 이 세가지 TiO₂나노입자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으로써 적용하였고, 입자크기에 따른 태양전지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SLIM-PCV 법에 의해 TiO₂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전자의 확산계수와 머무름 시간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grain boundary가 적어지고, 이에 따라 전자의 전달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효과적으로 전자를 전달하기 위한 최적의 TiO₂ 나노입자 크기를 제안하였다.

      • 동시대 미국미술비평을 통한 아쉴 고르키의 작업 고찰

        이정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ill examine the art world of Arshile Gorky (1904-1948) based on the historical, soci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at the time period in which Gorky was alive, and connect it with the artist’s life, while reconsidering the artist’s view art. Furthermore, in order to reveal a critical context I will investigate Gorky’s evaluation by Clement Greenberg (1909-1994), critic with formalism and Harold Rosenberg (1906-1978), and Meyer Schapiro (1904-1996), an art historian who lived in the same period as Gorky.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se three critics enables us to reconsider the discussion on criticism that used to dominate the time period in which Gorky was alive. In order to reconsider the artistic criticism of Gorky, I will return to the periodical and philosophical situation of the US after the Great Depression. During this period, European artists were exiled to the US, and surrealism officially became an important form. At the same time. the US was more focused on existentialism which emphasized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work. This served a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Surrealism that used to be the main art form at the time. Gorky, also influenced by existentialism, worked in an alliance of left-wing intellectuals and participated in the murals conducted as part of the New Deal of Franklin D. Roosevelt (1882-1945). Gorky made a public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by making an abstract form in public places. Through this way and also during the process of finding his identity as an artist, Gorky developed his world of art by realizing his individual work while performing the social role as an artist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established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Gorky’s world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berg, Rosenberg and Schapiro, the major contemporary critics at the time. Greenberg evaluated Gorky’s art world in terms of the media used in his work and the purity of painting. Relying on the stylistic part only when making an explanation may mean a formative contribution to modernist art. Thus, I will reconsider the life of Gorky based on Rosenberg’s behavioral theory, which focused on an individual artist rather than his work. Rosenberg’s concept of ‘behavior’ focuses on the behavior of establishing an artist’s identity, beyond the visual image of an artist performing one’s artwork. In addition, Schapiro, as an art historian, analyzed Gorky’s work from an existential point of view and focused on Gorky’s way of expressing the emotions in his work. He also recognized Gorky’s ‘originality’ that distinguished him from other painter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ociety and Gorky’s position in it. This study focuses on individual life of an artist, rather than restricting Gorky’s world of art based on a stylistic analysis, which was used to mainly discuss the abstractness of the artwork. Gorky’s process of constantly seeking his identity as an artist is similar to that of abstract expressionist painters who also were trying to find their identity as artists. That is to say, They found themselves struggling between the roles imposed by society, and the self of the individual. Gorky’s individual life was obscured by an analysis on the abstraction of his work. However, Reconsidering the entirety of his life based on the periodical, social and philosophical context, while looking at it from the views of critics, provides a extended view of his world of art. Keywords: Arshile Gorky, Surrealism, Existentialism, Abstract Expressionism, Clement Greenberg, Harold Rosenberg, Meyer Schapiro. 본 연구는 아쉴 고르키(Arshile Gorky, 1904-1948)의 예술세계에 대해서 시대적·사회적·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화가 개인의 삶과 연결짓고 예술에 대한 작가 개인의 입장을 재고한다. 이와 더불어 그가 살았던 동시대 형식주의 비평 이론가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 1909-1994)와 해롤드 로젠버그(Harold Rosenberg, 1906-1978), 그리고 미술사학자인 마이어 샤피로(Meyer Schapiro, 1904-1996)의 고르키에 대한 평가를 고찰하여 비평적인 맥락을 드러낸다. 이렇게 세 비평가들의 평가를 통해 고찰해보는 것은 당시를 지배하던 비평 담론에 대한 재고이기도 하다. 고르키에 대한 예술 비평을 돌아보기 위해서 대공황 이후 미국의 시대적·철학적 상황을 돌아본다. 이 시기에는 유럽의 예술가들이 미국으로 망명을 한때였고 초현실주의가 형식적으로 중요한 양식이 되었다. 이때 미국에서는 작품보다는 예술가 개인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실존주의가 대두되었는데 당시 주요 예술 양식이었던 초현실주의의 철학적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고르키도 실존주의에 영향을 받아 좌파 지식인들의 연합에서 활동하며 루즈벨트 대통령(Franklin D. Roosevelt, 1882-1945)의 뉴딜정책 일환으로 실시된 벽화작업에 참여하였다. 벽화작업에서 고르키는 공공의 장소에서 추상 형식을 구현하여 외부와 공적인 소통을 하였다. 이렇게 고르키는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개인의 작업을 구현하고 동시에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방식으로 작품 세계를 전개해 나갔다. 이를 바탕으로 고르키의 예술 세계를 그가 활동했던 동시대의 주요 비평가인 그린버그, 로젠버그 그리고 샤피로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린버그는 그의 예술세계를 작품에 사용된 매체와 회화의 순수성의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형식적인 부분에만 기대어 설명하는 것은 모더니스트 미술을 위한 양식적인 기여에만 머무를 수 있다. 이에 작품보다는 예술가 개인에 주목한 로젠버그의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고르키의 삶을 재고한다. 로젠버그의 ‘행동’ 개념은 단순히 시각적으로 비춰지는 작가의 작업을 하는 모습을 넘어서 작가가 정체성을 수립해가는 행위에 주목한다. 또한, 미술사학자로서 샤피로도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고르키의 작업을 분석하며 고르키가 작품에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그리고 다른 화가들과 구분되는 고르키의 ‘독창성(originality)’을 인정하며 이를 통해 예술과 사회의 관계와 그 안에서 예술가의 위치에 대해서 고찰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로 작품의 추상성에 대해 논의되었던 고르키의 작품세계를 양식적 분석에 제한하지 않고 예술가 개인의 삶에 주목하여 살펴본다. 그가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며 부단히 노력하는 과정은 사회에서 부과된 역할과 개인의 자아 사이에서 고민하며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모색해 나가던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의 모습과 유사하다. 이렇게 시대적·사회적·철학적 맥락을 바탕으로 고르키 개인의 삶을 돌아보며 이를 비평가들의 관점으로 재고함으로써 작업의 추상성에 대한 분석에 의해 가려졌던 그의 예술세계를 비평적으로 확장하려고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