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이정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발전 과정을 조사하며, 한국 스포츠 에어로빅스 활성화의 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연구문제는 1) 세계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기원과 확산에 대한 탐색, 2) 한국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도입 배경 및 발달과정 과정 탐색, 3)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성장과 그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를 분석하는 것 등으로 설정되었으며 상기 분석을 근거로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활성화 방안이 제시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참여관찰, 심층면접 등 질적 연구방법이 주제별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발전과정에는 여러 가지 단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단계로는 태동기, 도입 ·성장기, 전환기로 분류되었다. 첫 단계는 스포츠 에어로택스의 발생과 함께 국제경기단체들이 구축되기 시작한 태동기(1968 - 1989)로 이때 만들어진 대표적인 단체로 IAF, ANAC(NAC) 등을 꼽을 수 있다. 둘째 단계는 한국에 스포츠 에어로빅스가 도입되고 뿌리를 내리게 되는 시기를 도입 ·성장기(1990 - 1994)로 볼 수 있으며 경기종목으로 발달되는 과정까지가 포함된다. 셋째 단계로는 스포츠 에어로빅스가 FIG에 체조종목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부터 한국 스포츠 에어로빅스 연맹이 발족한 현재까지 국내외 현안이 발생되고 있는 전환기(1995 - 현재)로서 단체간의 이익이 첨예하게 대립되고 갈등이 심화되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이상의 단계적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현안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스포츠 에어로빅스 활성화방안은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특성화, 스포츠 에어로빅스 조직의 재편성, 그리고 생활체육으로서 스포츠 에어로빅스의 활성화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o purpose the ideas of the growth of Sports Aerobics. Therefore th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 1) searching for the origin of Sports Aerobics, 2) tracing of Korean Sports Aerobics, 3) problem analysis and so 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some strategics. Research methodologies were qualitative in general, literature review, participant-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in specific.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velopmental proces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beginning stage, growing stage, and transforming stage. In the beginning stage(1968-1989), IAF, ANAC(NAC)were established. In the growing stage(1990-1994), Korean Sports Aerobics were activated and became an official athletic event. In the transforming stages(1995-present),Sports Aerobics were included in FIG.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al strategics this suggested were 1) the specialization of sports aerobics in FIG, 2) the re-establishment of the organization of Sports Aerobics, and 3) the activation of Sports Aerobics as life-long physical education.

      • 지구단위계획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현황 분석 연구 : 전라남도 남악 신도시 지구단위계획을 대상으로

        이정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초록> 우리나라의 지구단위계획은 일정규모 이상의 개발 사업이나 특정 지역의 용도지역 상향 또는 지역․지구를 해제(그린벨트 해제 등)하는 경우 반드시 수립 공공부분이나 민간부분의 건축물 디자인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디자인 지침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구단위계획 제도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운용과정에서, 설계자의 창의적 사고 결과물로서 마땅히 존중되어야 함에도 디자인 행위에 일정 부분 제약을 갖게 한다는 점과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통해 과연 매력적인 도시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 라는 점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 지역의 문헌, 현황조사를 통하여 각 대상지의 배치디자인, 형태디자인, 높이디자인 등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지구단위계획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으며, 실제 배치 공간과 건축물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 남악신도시 지구단위계획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유형은 건축선 지정과 통경축 확보 등의 배치디자인, 건축물의 최고높이 및 층수 등의 높이디자인, 입면 지붕 발코니 벽면률 출입구 옥외광고물 등의 형태디자인, 지구별 건축물 색채 등의 색채디자인 요소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각 용지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내용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지구단위계획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유형이 다양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지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치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형태디자인(특히 옥외광고물), 색채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경우 사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해내지 못하고 있으며, 설계자들에게 있어 명확한 디자인 지침으로서의 기능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의 지구단위계획 수립시에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이며 명확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조사대상을 ‘남악신도시’로 한정하여 이루어 졌다는 점과 현재에도 ‘남악신도시’ 지구단위계획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의한 건축물 신축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가 일반화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고 있으므로, 앞으로 조사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 관련 연구 내지는 남악신도시 조성 완료 이후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 변화 등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는 후속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Abstract> It is prescribed that district unit plan in Korea should be established for a large-scaled development project or upward of a special area and removal of region․district (like removal of greenbelt) and be a design guideline by involving in building design of public or private sectors directly. But, although designer's creative thinking product should be respected in the process of operating design guideline of district unit plan, it is problematic that there are some restrictions in designing or whether an attractive urban space can be created by applying design guideline or no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conditions of applying design guideline including block plan design, form design and height design through related literatures and current status of the regions in order to reveal their application to actual space and building. Design guideline types of district unit plan at Namak New Town where is the subject of the study showed block plan design such as building line designation and security of axis of view corridor, height design such as the highest height and number of story of building, form design including roof balcony, wall gate, and outdoor advertisements, and color design factors like building colors by districts, and also it was found that contents of design guideline were differently applied at each site. But, types of district unit plan design guidelines were not diverse in general and they remained in the range of general guidelines. Form design (especially outdoor advertisements) and color design guideline except block plan design had not follow-up service, could not achieve the purposes of design guidelines and express the functions as clear design guidelines. Therefore, more concrete and clear institutional or systematic complement is needed for enhancing the application of design guidelines in establishing district unit plan. This study, however, has limitations not to be generalized in that it confined its subject of research to 'Namak New Town' and construction of new building is continued on the basis of district unit plan design guideline for Namak New Town's and then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studies using time series analysis of changes in application of design guidelines after completing construction of Namak New Town is required.

      • 기독 유아교사와 비기독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이정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유아교사들이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를 대처하는 행동에는 차이가 있으리라 보아 기독교 유아교사와 비기독교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안을 조사하여 종교와 개인적 요인에 따른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안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실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1.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연령, 학력, 경력, 소속기관, 근무시간, 종교에 따라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안은 연령, 학력, 경력, 소속기관, 근무시간, 종교에 따라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유아교육기관을 기독교 유치원-기독교 유아교사, 기독교 어린이집-기독교 유아교사, 일반 유치원-일반 유아교사, 일반 어린이집-일반 유아교사 모두 4그룹으로 나누었다. 크게 기독교 유치원 30부, 기독교 어린이집 36부, 비기독교 유치원 44부, 비기독교 어린이집 40부 총 150부 중 활용 가능한 125부가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125부에는 각각 기독교 유치원 30부, 기독교 어린이집 36부, 비기독교 유치원 33부, 비기독교 어린이집 26부가 포함된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Clack(1980)이 개발하고, D'Arienzo(1981)가 수정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질문지(Modifiel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 : MTOSFQ)를 권기태(1990)가 번안하고 정지현(2004)가 우리 실정에 맞게 하위요인을 재구성한 것을 사용한 도구이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직무환경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박미옥(2013)이 개발 한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사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먼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구한 후 평균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의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기독교 유아교사와 비기독교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대처행동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독교 유아교사와 비기독교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점수를 바탕으로 종교별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요인별로 보았을 때 업무관련요인이 가장 많았고 원아관련요인, 학부모관련요인, 경제적요인, 행정지원요인, 동료교사요인, 개인관련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인 연령, 학력, 경력, 소속기관, 근무시간, 종교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연령, 학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서는 5-10년 미만의 교사들이 5년 미만의 교사들보다 스트레스를 더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기관 별로는 일반어린이집, 기독어린이집, 일반유치원, 기독유치원의 교사 순으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시간에 따라서는 9시간 초과 근무교사들이 9시간 이하 근무교사들에 비해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종교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보았을 때 비기독교 교사들이 기독교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지지추구중심 대처, 문제해결중심, 회피중심대처 순이며, 종교를 가진 교사들은 종교활동 대처를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인 연령, 학력, 경력, 소속기관, 근무시간, 종교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유아교사의 연령, 학력, 교사경력, 근무시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소속기관과 종교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함께 살펴보면 문제해결중심 대처방안과 지지추구중심 대처방안을 기독유치원과 기독교 유아교사가 많이 사용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드러났다. 종교활동 대처방안에 있어서 종교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과 기회가 많은 기독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비기독 유아교육기관에서 종사하는 교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기독교 유아교사와 비기독교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종합해보면 문제해결중심 대처방안과 지지추구중심 대처방안은 기독교 교사 집단들이 비기독교 교사 집단들에 비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종교활동 대처 역시 종교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신앙생활을 통해서 직무스트레스를 치유되는 경험들로 인해 직무스트레스를 받는 기독교 교사들은 직무스트레스를 받는 비기독교사 보다 종교활동 대처방안을 높게 사용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문제해결을 위한 방식을 살펴보고자 교사들

      • 디자인 프로세스와 전통미술교육 연구

        이정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Traditional art has a great value because it signifies the national artistry and the spirit. Especially it reflects people's wisdom and a view of life which has restored natural disaster and historical suffering. Therefore the traditional art is effective for an education to establish the national pride and the identity. In this era, a high tech industy makes it possible to move directly or indirectly as well as get in contact with multi culture. From this point of view it seems that intensification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is exclusive. On the contrary, it could supply well balanced point of view as well as a proper attitude for an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identity. Nevertheless schools have provided a typical, a formal, and an uniform education. The traditional art should connect with the current life and the farther future life by positive and creative methods. The aim of this study has an effect on an traditional art education highly. Also students would be closed to it through this positive approach. This study applied the design process to elementary students' traditional art education. It made students searched for the traditional art and focused on the process and the result with modern skills. The Design process is a creative thought process to solve the problem. It has some steps such as understanding of problem, making new ideas, choosing the best idea and deciding on final. Through these procedures students could present the traditional beauty with modern skills. In accordance with these steps, this study set up contents below. The first, it was searched for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to learn the traditional art effectively. The second, it was extracted representing subjects which have the traditional beauty and developed the traditional art systematically with modern skills. The third, it was indicated the result from this study. It progressed to the creative process of thinking, the result, the direction for the traditional beauty with self active learning from introduction. It became operative five times with the design process and each lesson had different subjects. It were called like ' Making package from the traditional structure ' , 'Making a character using Kim Hong Do's genre painting ' , 'Adornment T-shirts using a pattern of the patchwork quilt ', 'Making a poster utilizing coloring from DanChung', 'Decoration of the village applying traditional culture '. It was showed the results as follows. The first of all, the traditional art lesson was filled with the feeling of movement and intimacy using modern formative arts. Secondly, the students' attitude and participation were promoted when they activated with the design process. Especially the students tried to using a creative thought process when they got into a complex situation. The third, it was showed that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expression activities which related with their life directly. Also it could get an advanced result. It means that students could be more positive relating their life or their interests. Nonetheless it was insufficient to various approaches considering an individuality and teaching for using the traditional materials. It was felt lack of the work study program with other educational centers. It should be studied on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have the national pride and identity developing practical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한 민족의 문화에는 자연과 함께 살아 온 삶의 지혜와 철학이 담겨있다. 이러한 민족의 예술성, 정신성은 보편적인 특징을 갖고 오랜 시간을 이어져 내려와 민족의 전통문화로 자리 잡는다. 전통문화에 나타난 민족의 미의식은 전통미술을 통해 알 수 있으며 그 범위는 생활문화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전통미술 교육은 전통문화에 나타난 미의식을 이해하고 체험하여 민족주체성과 긍지를 심어주고 다양한 문화를 바라보는 균형적 시각과 올바른 태도를 갖추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학교에서의 전통미술교육은 도안화된 장식적 표현, 형식적인 감상수업 등으로 획일화 되어 그 효과가 미비한 생태이다. 이제는 전통미술이 현재, 미래의 삶과도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고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전통미술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높이고, 적극적 접근을 통해 학생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전통미술을 탐색하고 현대적인 방법으로 표현하여 전통미술을 올바로 이해하고 자긍심을 갖도록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수업방법으로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였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해결해야 할 문제를 파악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내어 최선의 안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사고 과정이다. 학생들은 이러한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통해 한국의 전통미를 활용한 현대적인 표현활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의 전통미술을 탐색하여 전통미와 조형성을 고찰한 후 전통미를 요약하였다. 둘째, 전통미를 대표하는 제재를 선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통미술의 현대적 표현이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디자인 프로세스를 수업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셋째,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전통미술에 대하여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전통미술과 우리의 현재, 미래의 생활과의 관계를 생각해보도록 하였다.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수업은 총 5회를 실시하였으며 각 수업의 학습활동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전통 건축물을 활용하여 포장 용기 만들기’, ‘김홍도의 풍속화를 활용한 캐릭터 만들기’, ‘조각보의 패턴을 이용한 티셔츠 꾸미기’, ‘단청에 나타난 배색을 이용한 포스터 만들기’, 전통문화가 숨쉬는 우리 마을 꾸미기‘이다. 수업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미를 바탕으로 한 현대적 조형 활동을 함으로써 전통미술 수업이 생동감과 친밀감 있는 학습이 되어 학생들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학생들은 실생활이나 관심분야와 연관된 표현활동에 더 많은 흥미를 보이며 적극적인 활동을 하였다. 둘째,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학습의 참여도와 태도가 향상되었다. 학생들은 문제 상황에서 창의적 사고기법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셋째,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전통미술 감상과 표현활동 모두에 매우 효과적인 수업이었다. 전통미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전통미를 바탕으로 표현활동을 보였다. 하지만 학생의 개인별 특성을 살린 다양한 접근방법과 전통미술용구의 사용능력을 위한 노력이 부족했음을 느낀다. 다른 교육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체험학습활동의 활성화 또한 아쉬운 부분이다. 학생들을 위한 실제적이고 다양한 지도방안이 개발되어 민족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길러줄 수 있는 전통미술 교육이 자리 잡아야할 것이다.

      • 백두산 난초과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이정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855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the species diversity, habitat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biology of the Orchidaceae on Mt. Baekdu. The orchidaceous taxa of one variety, thirty-seven species and twenty-four genera, including one new species and one unrecorded species, were found out on Mt. Baekdu. The new species, Liparis baekdusanensis,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related species by the following characters: non-beaked anther cap, lightly convexed lip petal, and 7-8 mm lip length. The unrecorded species, Hammarbya paludasa (L.) Kuntze, was also found in moss-covered swamp habitats on the mountain. The taxon previously known as Liparis makinoana Schltr. was reidentified as Liparis japonica (Miq.) Maxim. by the presence of a beaked anther cap and 6-8 mm lip length. In addition, the species misidentified as Neottia pinetorum (Lindl.) Szlach. was changed to Neottia puberula (Maxim.) Szlach., presenting a pubescent pedicel and ovary, 1-2 mm lip width, and lip petal without a tooth between lobes. The orchidaceous plants on Mt. Baekdu were classified into six endangered species (EN: Cypripedium calceolus, Cypripedium guttatum, Ponerorchis joo-iokiana, Hammarbya paludosa, Liparis baekdusanensis, and Androcorys pusillus), nine vulnerable species (VU), and twenty-two least concern species (LC), including two species endemic to Mt. Baekdu, based on the criteria of the IUCN Red List category. In view of the altitude, high species diversity of orchids was found on Mt. Baekdu, with 35 taxa at 600 to 1,500 meters. In addition, 31 taxa of orchids have a flowering period in July. Twenty-eight taxa were classified into the terrestrial habit type. The present study provides data such as species and genus descriptions, distribution patterns, keys to allied taxa, photographs in the wilderness, habitat environment, conservation biology, taxonomic notes, and voucher specimens for all 38 taxa of Orchidaceae on Mt. Baekd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