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원간호사의 조직문화,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점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조직문화,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의 정도를 파악하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이다. 병원의 조직문화를 업무지향, 위계지향의 조직문화가 아닌 의료진간의 관계지향문화, 미래의 병원 발전을 위한 혁신지향 조직문화를 추구하고,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인 공감능력을 높이며, 직무만족인 행정만족, 보수만족, 정서적 만족, 전문성발휘 만족을 증가시켜 결국에는 재직의도를 높이고자 본 연구가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천안시 150병상 이상의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1년 경력의 간호사이고, 편의표집방법에 의하여 모집하였다. 2020.06.01.부터 2020.07.05.까지 천안시에 소재한 150병상 이상의 5개의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1년 이상의 경력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164장을 배포하였고 미비된 17장을 제외한 147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version 26)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인구 통계 특성의 평균과 표준편차,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문화,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재직의도 차이는 ANOVA, 집단 간 차이는 사후검정, 조직문화,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조사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직의도에 조직문화,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과, 결혼상태, 병상규모는 25% 정도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 재직의도에 미치는 요인 중 결혼상태와 병상규모로 나타나서 회귀분석에 추가하였다. 대상자의 결혼상태와 병상규모는 재직의도에 7%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문화는 재직의도에 6%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능력은 재직의도에 1%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재직의도에 11%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가장 큰 변인은 직무만족이었으며, 다음으로 결혼상태와 병상규모, 조직문화, 의사소통 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의료진들 간의 협력이 중요하며 병원의 간호 인력 관리와 복지와 처우 개선, 상담 확대, 질 관리 프로그램 활성화, 인재 개발 프로그램 활성화, 간호사들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아낌없는 투자가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조직문화,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이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규명되었다. 따라서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문화를 개선하고 의사소통능력 향상, 직무만족의 향상과 질적인 간호 관리가 필요하다. 주요 용어 : 조직문화,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재직의도

      • 노인병원 간호사의 소진경험

        이점순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노인병원 간호사의 소진경험을 파악하여 노인병원 간호사의 소진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노인병원에서 질 높은 간호중재의 기틀 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먼저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비 구조화된 면담기법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iorgi(2004)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4단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병원에 대한 주변의 인식이 낮음, 끝없이 요구되는 일상의 돌봄 활동, 보호자의 지나친 간섭, 비전문 인력의 관리부담,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상황도 혼자 처리해야함, 노인에 대한 처치나 검사를 제한함, 간호 외의 영역이 많이 요구됨, 노인의 특성상 불안요소가 너무 많음 등으로 나타났다. 이 구성요소들이 상징하는 핵심의 의미구조는 간호직에 대한 정체성 혼란으로 하였다. 결론: 노인병원 간호사의 위상정립과 원활한 간호업무를 위한 직무기술서와 업무 메뉴얼을 비치하고 당직의사 상주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Purpose: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prevention of the geriatric hospital nurse's burnout experience and the high quality nursing intervention in geriatric hospital. Method: In a geriatric hospital, 7 nurses who have career more than 4 years were interviewed. The data was analyzed b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 As a result, 8 themes have been found out; negligence toward geriatric hospital, endless requirements for care of ADL(activing of daily living), excessive interferences of a patient's family, difficulties of managing nonprofessional workers, self managements for situation that needed specialized workforce, restrictions on treatment and test for geriatric patients, needs for the scope beyond nursing, many anxiety factors of geriatric patient coming from distinctive features. Conclusion: Equipment of job description and manuals for nurses in geriatric hospital is required and systemic support for residence of a charge doctor is needed.

      •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이점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라 학생의 학교 적응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의사소통의 개념 및 기능, 구성요소, 과정 모형 그리고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교적응의 개념, 하위요인,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변인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부산시내 초등학교의 급지를 기준으로 11개 학교를 선정 한 후, 담임교사의 성별, 결혼 유무, 직위, 연령 등을 고려하여 5, 6학년 1개 반을 선정하여 22학급 671명을 무선 표집 하였다. 본 조사 연구에 사용되어진 측정도구는 첫째, 강재원(1994)에 의해 제작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 측정 질문지인데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 .84였다. 둘째로는 김용래(2000)에 의해 제작된 학교적응 측정 질문지를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한 것인데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 .93이었다. 자료의 처리는 SPSS 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 for WINDOW) 프로그램을(Ver 10.0)을 이용하였고, 의사소통의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각 영역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변인별 차이검정을 위하여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χ^(2) 검정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학교적응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배경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F-검정 통계처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 유형이 학생의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수용촉구형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수용명령형, 비수용 명령형, 비수용 촉구형 순으로 인식하였다. 배경변인 별로는 학생의 성별과 선생님의 결혼유무에 따른 의사소통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잘 적응하고 있었다. 적응순서는 교사적응, 환경적응, 친구적응, 생활적응, 수업적응의 순으로 나타나 그 중에서 교사 적응과 환경적응이 상당히 높은 적응을 나타내었고 반면에 수업적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배경변인별 학교적응정도는 교사의 직급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을 제외한 모든 배경변인(학생의 성별, 학년, 생활수준, 학교급지, 선생님의 성별, 결혼 유무, 선생님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학교적응에 대한 의사소통 유형별로 차이를 알아보면, 수용 촉구형이 가장 잘 적응이 되며, 그 다음이 수용명령형, 비수용촉구형, 비수용 명령형 순으로 나타나 담임선생님의 의사소통유형이 학생의 학교생활 전반에 걸친 학교적응에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학교적응 차이를 분석해보면 경청태도와 의사전달태도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었다. 경청태도를 보면, 수용적 경청태도가 비수용적 경청태도보다 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의사전달 태도는 촉구적 의사전달이 명령적 의사전달보다 더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에 있어서 학생들이 교사적응은 높은 반면, 수업적응은 낮게 나타났다. 여기에서 우리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모델링이 되므로 항상 긍정적으로 모델링이 되게 해야 할 것이며, 수업에 적응을 잘 못하는 것에 대하여는 부단한 연수와 노력으로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적응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영역별 학교적응에서 학교적응이 낮게 나타난 남학생, 6학년, 생활정도의 하, 학교 급지에 있어서 나, 다, 남선생님의 경우, 기혼인 선생님, 연령 30, 40대의 담임교사의 경우에도 학생들이 학교적응을 잘 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중 수용촉구형일때 학교적응의 전 영역(환경, 교사, 친구, 수업, 생활)에 걸쳐 학교적응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초등학생들의 학교적응에는 교사들의 의사소통유형이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수용적으로 경청하고, 명령적보다는 촉구적인 의사전달을 하여 의사소통을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 of students' school adjustment by the communication types of a classroom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perceived by th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are the communication types of a classroom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Second, how different i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ird, how different i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by the communication types of their classroom teach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literature review and a research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e literature review aimed at considering the concept, functions, components, and process models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ypes of a classroom teacher, the concept and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and characteristic variable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after selecting 11 elementary schools in Busan, 671 fifth- and sixth-graders were randomly sampled from 22 classes in consideration of gender, marital status, title, and age of a classroom teacher. The measuring tools were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a Homeroom Teacher's Communication Type manufactured by Ghang (1994), whose reliability was .84 of Cronbach αefficient, and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School Adjustment manufactured by Kim (2000) and then revised and complemented by the researcher with the help of the supervisor, whose reliability was .93 of Cronbach αefficient. The SPSS WIN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 for WINDOW) program (Ver 10.0)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stimated for each area to examine communication types; and χ2-test for statistical processing was carried out using a cross-tabulation analysis to examine differences by variables.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estimated to examine students' school adjustment, along with t-test and F-test for statistical processing to determine differences by background variables. Finally,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how the communication types affected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communication type of a classroom teacher perceived by students was the reception encouraging type, followed by the reception commanding type, the non-reception commanding type, and non-reception encouraging type. In terms of background variab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munication types by students' gender and teachers' marital statu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by students' gender: girls were adjusting themselves to a school better than boys were. They made the best performance in teacher adjustment, followed by environment adjustment, colleague adjustment, living adjustment, and instruction adjustment; thus, they made so high performance in teacher and environment adjustment but relatively low performance in instruction adjustm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by all background variables (students' gender, school year, and living standard, school level, teachers' gender, marital status, and age) but teachers' title. Third, the communication types of a classroom teacher were so significant for students' general school adjustment: the reception encouraging type produced the best adjustment, followed by the reception commanding type, non-reception encouraging type, and non-reception commanding type. After analyzing differences in students' school adjustment by the communication types of a classroom teacher, it was found that the main effects of listening and communicative attitud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receptive listening attitude produced better adjustment than non-receptive one did; encouraging communication produced better adjustment than commanding one did. The results mentioned above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school adjustment, students made good teacher adjustment but poor instruction adjustment.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teachers to provide positive modeling for students all the time and to make efforts through continuous training to enable students to adapt themselves well to instruction with interest.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help students adapt themselves well to a school even in case of male students, sixth-graders, living standard, Na or Da - levels of schoo, male teachers, married teachers, and a classroom teacher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Third, the communication types of teachers are so importa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that among the communication types of teachers, the reception encouraging type generates high school adjustment in all areas: environment, teacher, colleague, instruction, and liv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teachers to listen receptively to students and to perform encouraging communication rather than commanding one.

      • 獨居老人의 죽음에 대한 態度와 認識에 관한 質的 硏究

        이점순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how living-alone elderly people perceive and accept death.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with the textbooks, papers, statistical materials and other related publications. Then, For the qualitative study, I interviewed 13 living-alone old people to investigate their attitudes towards death, using the 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s, and classified them. I subdivided each group and summarized each subdivision into detailed statemen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living-alone elderly people to have stabilized and integrated attitude towards life and to relieve fear and anxiety towards death so that they can prepare to have peaceful death. It was noticeable that their lives have been changed since they participated this study. A depth interview with 13 live-alone elderly people ranging in ages from sixty-something to ninety-something were done, and the way they see death could be summarized into 3 different groups. 1. Negative attitude 2. Passive acceptance 3. Affirmative acceptanc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death can be categorized into 3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Lee Ji Young and Lee Ga Ok's Classification, 1. Termination of despairing life 2. Liberation from life 3. Extension of current life The summarized statements of the 1st group's subdivision: 1) "Death means vanity." 2) "Death is the end." 3) "Death is a natural phenomenon." The summarized statements of the 2nd group's subdivision: 1) "Rest from toilful life." 2) "Deliverance from embarrassing life." 3) "Disengagement from futile life." The summarized statements of the 3rd group's subdivision: 1) "Everlasting life." 2) "Reviving lif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life also have been made as they have recognized death during this study. Following changes have been made.: 1) Growing interest in their own health. 2) A wrapping up of things on their mind. 3) Increase in affection. 4) Mental preparation of death. Through this study, I concluded that an affirmative view of death is the most desirable attitude towards life. I also concluded that death-preparation programs must be activated to encourage live-alone elderly people to have an affirmative concept both in life and death. Since live-alone elderly people don't have any links, social support network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to help them. We need to consider various ways to upgrade live-alone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and apply them into real life.

      • Studies on Electronic Properties of Zinc-blende GaN/AlGaN Quantum Well Laser

        李點順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Electronic properies of Zinc-blende (ZB) GaN/AlGaN quantum well (QW) structures a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structural parameters such as well thickness and Al composition. These results also are compared with those of ZB InGaAs/InGaAsP QW and wurtzite (WZ) GaN/AsGaN QW structures. ZB InGaAs/InGaAsP QW structure shows that the valence band structures obtained from 4x4 Hamiltonian. ON the other band, in the case of GaN/AlGaN QW structure, two 4x4 and 6x6 models show very different results to each other. Thus, in the case of GaN-based QW structue, we know that the inclusion of spin-orbit split-off (SO) band is necessary in the calculation of the valence band structrue. The envelope function at k_∥≠0is symmetric about well center and the symmetry is broken at k_∥≠0. On the other band, in the case of WZ GaN/AlGaN QW structure, the symmetry of the envelope function is broken even at k_∥≠0 due to the interal field. The effective masses and matrix elements are nearly independent of the well width or Al composition. The energy difference between upper two subbands increase with increasing Al composition or with decreasing well width. This mean that Fermi energy will increase rapidly with the carrier density.

      • LOGO프로그램밍 언어가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점순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LOGO프로그래밍 언어가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LOGO는 1960년대 후반에 미국MIT대학의 인공지능 실험실에서 Seymour Papert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인지 심리학자인 Piaget의 영향을 많이 받은 Papert는 현재의 학교 교육은 아동이 알고자 하는 자연스러운 지적 호기심을 채워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지적 호기심을 꺾어 버리는 문화라고 지적하고, 아동들의 자연스런 욕구를 채워 줄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자 구성주의(Costructivism)적 관점에서 LOGO를 개발하였다. LOGO와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로고와 사고력, 계획성과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의 인지적 효과, 로고학습이 인지적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등 연구들이 외국에서 많이 실시되고 있으나 국내 초등학교에서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우리나라의 초기의 컴퓨터 교육 중 프로그래밍 학습으로 BASIC을 주로 실시하고 LOGO에 대한 학습은 교육과정에서 찾아 볼 수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LOGO프로그램언어는 MSWLogo를 전주시내 초등학교 5학년 두 반(시험반 30명(남 15명, 여 15명), 통제반 30명(남 15명, 여 15명))을 대상으로 주 2회 20차시 학습을 하고였다. 그리고 창의성 검사는 TORRANCE TTCT(도형)(저작: E. Paul Torrance , 한국판 제작 : 김영채(계명대)) A형(사전 검사), B형(사후검사)을 활용하여 실시했으며, 창의성 전체요인과 세부항목인 유창성, 독창성, 추상성, 정교성, 저항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OGO프로그래밍 언어 학습 활동이 창의성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LOGO프로그래밍 언어가 세부항목인 유창성, 독창성, 추상성, 정교성, 저항요인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 내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창의성 발달에 기여하는 정도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LOGO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동의 두뇌 활동을 자극하여 창의성 발달에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LOGO프로그래밍 언어가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며, 연구 결과를 고려해 볼 때 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점은 첫째, ICT교육과정에 LOGO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 내용으로 삽입하여 컴퓨터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LOGO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 하기위해서는 교사의 연수가 필요하다. 셋째, LOGO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 하기위한 다양한 지도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3학년 수학익힘책에 한 쪽에 안내정도만 나오는데 이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방법에 대한 자세한 안내가 필요하다. 넷째, 한 학년에서 지도가 끝나는 것이 아니고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계속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에 한정하였고, 주 2회 20차시 분만의 LOGO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LOGO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된 상태에서 사후검사를 하였다고 단정할 수 없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기간에 걸쳐 LOGO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시키고 결과를 충족하는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