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프랑스, 독일 연가곡과 20세기 러시아 예술가곡에 관한 연구 : Maurice Ravel, Hugo Wolf, Maurice Ravel, Hugo Wolf, Maurice Ravel, Hugo Wolf,

        이재화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Modern revival of songs from the 20th century this perspective was prepared graduate began performing recitals. Individual vocal song cycle called fractionally more interested in the why it is more academic, theater and literary art, but is consistent. Meanwhile, in the course of studying extensively've dealt with Italian and German in addition to the vocal music, French and Latin, even not been exposed to Russian songs was lucky. The language itself is not well known in the language of the songs while studying was awakened to a new world of Diction, was steeped in subtile nuances of the language. This was taken as the first in the Proceedings of Maurice Ravel (Maurice Ravel; 1875-1937) of the 'five most popular Greek folk songs (Cinq Melodies Populaires Grecques)' cycle is very unique rhythm and Melodies, the rhythm is a little difficult, but beyond the limitations of oral folk distinctive Maurice Ravel 'musical form aesthetics can feel the works. By highlighting the ravel's music does not show everything, through him,"the climax of the elegant moderation 'to open a new pattern shows. Hugo Wolf (Hugo Wolf, 1866-1903) in three of the cycle the 'old man playing a harp, Harfenspieler' profound study and contemplation of life, admiring the great proposition carefully and maybe work depicts very complete lyrics and melody can harmony that brings elasticity. Finally, dealing with Russian composer 'Sergei Rachmaninoff (Sergei Rachaninoff 1873-1943)', all the three of the songs are early work. He wrote later than that of the early work and play the melody clear and suitable for elegant and flowing accompaniment is in progress, especially beautiful. Song of the type shown in the cycle of aesthetics, music, literature, consisting of a combined system of high-level arising from the combination of beauty will be. Contemporary musicians who live in the 21st century, just before the era of music, vocal music that was built in the 20th century, they, such as jewelry, art is nourishing. 성악예술의 장구한 역사 속에서 우리가 가까이 만나기에 용이할 수 있는 근현대의 예술 가곡을 접하여 그것을 분석하고 공부함으로, 이번 졸업독창회의 프로그램을 구성하게 되었다. 단편적으로 불리는 개별적인 성악곡보다도 연가곡에 관심을 둔 연유는 그것이 가지는 학문적 측면과 더불어, 무대에서 상연되는 연극과는 다르지만, 하나의 결로 이어지는 연가곡 특유의 예술적 문학성 때문 이었다. 그간 공부해왔던 과정 중에 널리 다루어지는 이탈리아어와 독일어로 된 성악곡 외에 프랑스어나 라틴어 심지어 러시아어 곡들까지 접하게 된 것은 행운이었다. 언어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은 이러한 말로 된 노래들을 공부하면서 새로운 언어의 세계에 눈뜨게 되었으며, 섬세한 언어의 뉘앙스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이 논문집에 첫 번째로 다루어진 라벨(Maurice Ravel , 1875-1937) 의 ‘Cinq Melodies Populaires Grecques,(다섯 개의 대중적인 그리스 민요)’집은 독특한 가락과 화성 , 정교한 리듬으로 되어 있으나, 구전 민요의 한계성을 뛰어넘어 표현된 라벨 특유의 음악세계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라벨의 음악은 모두 다 강조해서 보여 주지 않는, 그로 말미암아 ‘클라이막스의 우아한 절제’ 라는 새로운 패턴을 보여 준다. 볼프(Hugo Wolf, 1866-1903))의 세 곡으로 된 연가곡인 ‘Harfenspieler(하프를 연주하는 노인)’는 인생의 고찰과 관조라는 문제를 그려낸 작품이며 가사와 선율이 조화를 이루는 특징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다루는 러시아의 작곡가 라흐마니노프(Rachmaninoff 1873-1943) 의 3곡으로 구성된 가곡은 초기작품이다. 후기 작품들과 비교하면 초기의 작품들은 선율이 분명하고 유려하여 성악가가 연주하기에 편안하며 반복적인 아르페지오로 진행되는 반주부가 곡을 아름답게 이끈다. 연가곡에 나타나 있는 특징은 음악과 문학이 결합한 가운데 이루어진 수준 높은 조합의 체계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인 것이다. 21세기 현시대를 살아가는 음악도 들에게 바로 전시대의 음악, 즉 20세기에 조성된 성악곡들은, 보석과도 같은 예술의 자양분이다.

      • 분리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배기열회수 환기장치의 성능에 관한 연구

        이재화 부경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use a separate-type heat pipe that can provide exhaust heat again recovered from a ventilator which exhausts contaminant generated in a room and brings in external fresh air. The separate-type heat pipe is the one that two heat exchangers where a fin is attached are installed in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y are connected with a gas-liquid connection pipe. It is a device recovering heat energy by repeating a cycle of that operation liquid in the lower evaporation part absorbs high heat and evaporates and moves to the upper condensation part and then, the evaporated steam condensates again by loosing heat in the upper condensation part and moves down due to gravity and then, repeat the whole process again, i.e., it is a device recovering energy exhausted in a room by using evaporation latent heat of operation liquid (R-22). After charging an amount of operation liquid corresponding to 40 %, 50% of the whole internal volume of the separate-type heat pipe heat exchanger in the heat exchanger, we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separate-type heat pipe heat exchanger by changing air velocity (0.4 - 1.5m/s) as a temperature condition at times of cooling and heating. As increasing air velocity, friction loss of the heat exchanger increased, and winter heat recovery rates are about 64% and 55% at air velocity 0.4m/s, charging rates 50% and 40%, respectively. 분리형 히트파이프 내부체적의 40%와 50%에 해당하는 작동유체(R-22)를 충전하여 겨울철의 온도조건에 따라 풍속(0.4-1.5m/s)을 변화시켜 성능을 측정한 결과 충전율 40%와 50%에서 풍속 0.4m/s일 때 각각 55%와 64%의 열회수율을 나타내었으며, 풍속의 증가에 따라 열교환효율은 감소되었고, 압력강하 특성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 창작국악 공연유형에 따른 관람만족 및 관람가치에 대한 분석 연구

        이재화 추계예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21st century, often called 'the culture era', has formed knowledge-based society controlling the future of one nation. Performing arts world have made efforts to accept the desire of the general public positively by attracting more participa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world has tried and made continuous efforts to be more closer to the public. However, there is still small audience because of the negative perception and prejudice on Korean classical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value by types of creative performance, and to give suggestions for expanding its preference and audience. Here are research hypotheses for the study. First, there was a analysis in development stage by the types of Korean creative traditional music. The study analyzed the creating process of Sanjo, Changuk(Korean Traditional Opera), New Folk song, before Korean liberation,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orchestral music, Samulnori, after Korean liberation.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types of performance. It studied the performances and performing groups by the types of instrumental, vocal, string performance, and analyzed the activities of performing groups. Third, in order to analyze the customer satisfaction b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udiences, based on Marketing Mix 4 P theory, the study classified and studied the difference of customer's satisfaction into a work piece, admission fee, venue, promotion. Fourth, in order to analyze the performance viewing value, based on Sheth(1991)'s consumption value, this study classified the factors of viewing value into functional value,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cognitive value, situational value,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customer's characteristics. For the practical analysis of the study, I carried out a survey on the audience of 'The 林’, 'Park In Hye', 'Julnori' by the performance types of '2010 All Sort of Concerts'. Valid 279 questionaries were analyzed by crosstabs tables: x2, SPSS 17.0. one-way ANOVA, and F-test by mean analysis. Here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hypothesis 1 was about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performanc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piece' factor;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mission fee', 'venue', and 'promotion' factors, which were partially adopted. Second, hypothesis 2 was about analyzing the viewing value by the performing types of Korean creative traditional performance audi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value', 'social value', 'situational valu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value' and 'cognitive value', which was partially adopted. Here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customers' service on light, sound, stage setting, in Korean creative traditional performances, was low in satisfaction. There should be positive supports in light, sound, and stage setting in order to raise the customer's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ing musical instruments and tone; the audience was the most satisfied in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s. Vocal and string musical performances should use various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so that they can raise the customers'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highly-educated people and those who have lots of art education experienced was low in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social value. Performances should be more advanced in qualities so that they can meet the changes of audience's satisfaction and viewing level. Fourth, the results showed that vocal performance was high in functional value; instrumental and string performances were high in social value and situational value. Vocal performances should offer conveniences to customers' self-development desire. Instrumental and string performances should offer conveniences on social belonging, relationship, the appetite for leisure to the audience so that they should attract more customers effectively. Fifth, ther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functional value, social value, situational value by the customers' preferences, classified by their age. Korean traditional music would should be more careful in choosing their targets and subdividing classes and give more differentiated convenience to the audience.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here are suggestions on establishing further audiences of Korean creative traditional performances. First, in compo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here should be effective use of light, sound, and stage setting. We should create various performances by using high media. Second, there should be differentiated conveniences by the customers' preferences and performances genres. Various performance types should cultivated their strengths, There also should be various kinds of performance piece for giving more viewing conveniences by composing integrated art pieces. Third, by developing performance pieces which can raise leisure time and self-improvement will, there should be qualitative improvement through more advanced spectators' level. Fourth, Korean traditional art performers should be better qualified by putting more variety in educational curriculu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 therefore they are able to develop the performances which can attract audience's participation more. Fifth, by using various factors in order to attract more viewers on TV traditional music program, there should be the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문화의 세기로 불려지는 21세기는 문화산업이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지식기반 사회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일반 대중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향수 및 참여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음악, 미술, 무용, 연극 등의 모든 분야에서 일반 대중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악공연도 일반대중들의 욕구에 부흥하고자 하는 의식이 형성되었고 이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국악의 유형에 따른 공연관람객의 관람만족 및 관람가치에 대해 분석하여 창작국악의 수용층 확대와 창작국악공연의 관객기반 확충을 위한 제언을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과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창작국악의 의의를 알아보고 창작국악의 유형별 발전과정을 분석한다. 해방 전, 후에 나타난 창작국악형태인 산조, 창극, 신민요, 국악관현악, 사물놀이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창작국악의 유형별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창작국악의 기악, 성악, 현악공연의 유형에 따른 연주단체와 공연활동의 현황에 대하여 분석한다. 셋째, 창작국악 공연관람객 특성에 따른 공연관람만족 분석을 위해 마케팅 믹스 4P이론을 토대로 관람만족요인을 작품, 관람료, 공연장, 홍보로 분류하여 관람객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한다. 넷째, 창작국악 공연관람객 특성에 따른 공연관람가치 분석을 위해 Sheth(1991)의 소비가치이론을 토대로 관람가치 요인을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정서적 가치, 인지적 가치, 상황적 가치로 분류하여 관람객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선정된 ‘2010 천차만별 콘서트’의 공연유형에 따라 ‘The 林’, ‘박인혜’, ‘줄노리’의 공연관람객을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효 설문지 279개를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차분석(crosstabs tables: x2),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평균분석에 의한 F검정으로 분석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가설의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은 창작국악 공연관람객의 공연유형별 관람만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것으로 4가지 요인 중 1가지 요인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부분채택 되었다. 공연관람 만족요인 중 ‘공연작품’ 요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람료’, ‘공연장’, ‘공연홍보’ 요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는 창작국악 공연관람객의 공연유형별 관람가치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것으로 5가지 요인 중 3가지 요인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부분채택 되었다. 공연관람 가치요인 중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상황적 가치’ 요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가치’, ‘인지적 가치’ 요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국악 공연작품구성에 있어 조명, 음향 및 무대장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명, 음향 및 무대장치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으로 관람만족을 높일 수 있는 작품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공연유형에 따른 악기구성 및 음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악공연의 작품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악 및 현악공연에서도 다양한 악기구성으로 다채로운 음색의 활용으로 관람만족을 높일 수 있는 작품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고학력자와 예술학습경험이 많은 자는 공연작품 만족도와 사회적 가치 및 상황적 가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관람객의 변화하는 관람욕구와 관람수준의 향상에 대응할 수 있는 공연작품의 질적 성장이 요구된다. 넷째, 성악공연은 기능적 가치가 높게 나타났고, 기악과 현악공연은 사회적 가치와 상황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유형에 따른 관람가치에 대한 편익의 제공으로 공연관람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연령에 따른 공연유형의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상황적 가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깃선정과 관람객세분화를 통한 차별성 있는 편익의 제공으로 공연관람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창작국악공연의 관객기반 확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국악 공연작품 구성에 있어서 조명, 음향 및 무대장치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고 첨단 미디어의 접목을 통한 공연작품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관람객성향과 공연유형에 따른 관람객세분화를 통해 차별화된 편익을 제공하고, 공연유형에 따른 장점을 살려 통합적인 공연형태의 작품구성으로 다양한 공연관람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공연형태의 작품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여가선용에 효용과 자기개발욕구에 대한 효용을 높일 수 있는 공연작품으로 감상재와 기능재의 역활을 통한 수준 높은 관람객의 관람유도를 통해 공연관람수준과 공연작품수준의 질적 향상이 수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전공 교과과정에서 연주뿐만 아니라 공연예술분야의 다양한 기능을 학습하여 공연의 질적 향상과 관람객의 체험형식의 공연작품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다양한 요소들의 활용으로 국악방송프로그램의 시청을 유도하여 TV매체를 활용한 국악의 사회적 인식을 전환시켜야 한다.

      • 혼자 노는 만 5세 여아의 또래관계 탐색

        이재화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의 생활이 대부분 놀이 중에 이루어진다고 볼 때 놀이를 통해 또래와 사회적 집단을 형성하여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풍부한 사회 경험을 하게 된다. 유아기는 특히 사회적 관계를 맺기 시작하는 시기로 또래는 유아발달에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며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유치원 시기의 또래관계는 유아의 사회성, 가치관, 태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앞으로의 사회적 성공을 위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또래관계는 사회적 발달 측면에서 유아에게 사회적 지식을 넓혀 주고, 집단 속에서 필요한 행동을 습득하게 하여 보다 넓은 사회에서 살 수 있는 자질을 길러주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유아의 사회적 발달 과업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바람직한 또래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면 유아로 하여금 더욱 위축되고 자신감을 잃게 하여 정서적으로 불안을 느끼거나 정신건강에 문제를 지닐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관찰을 통하여 혼자 노는 만 5세 여아의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 어려움을 극복시키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혼자 놀이하는 만 5세 여아의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2. 혼자 놀이하는 만 5세 여아의 또래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는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는 K유치원 만 5세 반에서 2007년 3월부터 4월까지 예비 관찰을 하였으며 5월부터 10월까지 총 70회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벌어지는 연구참여자 유아의 자유로운 놀이 장면을 관찰하였다. 연구방법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유아관찰기록과 교사면담기록, 학부모면담기록, 유아에 대한 기초정보 등의 자료를 얻었으며 이를 분석하여 또래놀이에 겪는 어려움과 교사의 역할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자 놀이하는 만 5세 여아의 또래관계형성에서 나타나는 어려움은 인지적인 측면에서 ‘읽기의 어려움’, ‘쓰기의 어려움’, ‘교구놀이에 대한 어려움’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인 측면에서 ‘함께 어울리기의 어려움’, ‘사회적 기술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자신을 표현하지 못하는 어려움’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둘째, 혼자 놀이하는 만 5세 여아의 또래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 교사는 ‘학습준비도 갖추기’, ‘또래와 함께 놀이하기’, ‘소영이의 존재인식을 통해 사회적 지위 향상시키기’, ‘교사의 시범 보이기’, ‘또래관계 기술의 수행 증진’의 역할을 하였다. 이는 유아가 놀이에 참여하여 또래관계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또래관계에서 나타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비사회적인 놀이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에게 효과적인 놀이지도를 할 수 있도록 실천 모델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사물놀이에 나타난 풍물장단 변화에 관한 연구 : 삼도풍물굿가락을 중심으로

        이재화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고 대중들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 사물놀이는 급속한 확산으로 인하여 많은 이들에 의해 연행되어지고 있다. 사물놀이는 예부터 각 마을에서 지역 단위로 연행되고 있는 풍물굿을 현 시대에 맞게 재조명되어 생겨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물놀이에서 사용되는 장단들의 근원이 되는 풍물굿의 장단에 대한 인식과, 가락구조의 진정한 연행방식을 이해하지 못한 채 많은 이들에 의해 연행되어지고,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다른 이들에게까지 유포, 확산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전공하는 이들까지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사물놀이에서 쓰이고 있는 장단이 어떠한 특성을 지닌 어느 지역에서 연행되는 장단인지를 인지하지 못한 채 그 장단의 박자와 가락의 형태만을 알고 연주에 임한다면 그 장단의 특성, 그리고 악기의 역할과 가락 변화의 의미 등, 올바른 연주를 할 수 없다. 사물놀이에서 연행되고 있는 장단들은 풍물굿의 그것과 매우 밀접하고 같은 장단이라는 명칭 아래 연행되고 있는데, 실제로 풍물굿에서 연행되는 상황을 살펴보면 사물놀이의 그것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풍물굿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호남풍물, 영남풍물, 그리고 경기·충청지역의 웃다리풍물로 나눌 수 있는데, 사물놀이에서는 장단의 특성에 따라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연주하기도 하고 각 지역의 주요 부분을 한데 모아 재구성한 '삼도풍물굿'을 연주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대상인 '삼도 풍물굿'은 오채질굿, 우질굿, 좌질굿, 풍년굿, 굿거리, 양산도, 자진모리, 별달거리, 휘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호남 우도 지역에서 연행되었던 오채질굿과 우질굿, 좌질굿은 연주자에 따라 김제, 이리, 영광 등의 그것과 징 점만이 조금 다를 뿐 거의 비슷한 가락형태를 찾을 수 있었다. 풍년굿과 양산도의 경우에는 사물놀이에서도 지역 풍물굿에서 보여지는 장단의 원형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고, 가장 다양한 변주로 연주자의 기량과 예술성을 나타내는 굿거리와 자진모리의 경우에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쳐 연행되어 왔었고, 이 또한 지역의 특성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진주·삼천포 풍물에서 별거리, 달거리로도 불렸던 영남 지역의 별달거리와, 이채라는 명칭으로 많이 연행되고 있는 휘모리 장단으로 사물놀이의 대미를 장식하는데, 짝쇠 놀음이 사물놀이에 와서 더욱 더 다양한 가락과 흥미로운 진행으로 발전된 모습을 갖게 되었다. Samulnori (The four instruments play), which has renewed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and also evoked much attention as well as interests from the public, is being presented by many players as it makes a rapid dissemination throughout the country. Samulnori can be defined as a newly emerged musical format, re-created from traditional Pungmulgut (Farmers folk music) that has been enacted in every town and village since old times. Many players, however, present Samulnori performances, even having any real comprehension neither of the beats in Pungmulgut, which constitute the archetypal beats used in Samulnori, nor of the sequential structure of tune progress, which situation is being diffused among increasingly more players, not to mention even among those who major in Samulnori. Players cannot be expected to play Samulnori properly, nor understand correctly the trait of beats, role of instruments, and meaning of tune changes if they have only a mere knowledge of the rhythm of beats and form of tunes, not aware of what kind of feature the tunes in Samulnori have or where they are actually played. Tunes played in Samulnori are very closely associated with those of Pungmulgut and both Samulnori and Pungmulgut are performed in the same name of Jangdan (tune), but when it comes to the situation it is conducted, it is different from Samulnoli. Pungmulgut can be classified into Honam Pungmul, Yeongnam Pungmul and Wutdari Pungmul of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 by the local feature. Samulnoli can be played in sections divided by the local feature and in the manner of Samdo Pungmulgut re-created by synthesis of the main parts of the Pungmuls as well, 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beat . Samdo Pungmulgut (Farmers folk music in three provinces), the main theme of this research, comprises Ochaejilgut, Ujilgut, Jwajilgut, Pungnyeongut, Gutgeori, Yangsando, Jajinmori, Byeoldalgeori, and Hwimori. The tune structure of Ochaejilgut, Ujilgut, and Jwajilgut that were played in the western part of Honam region does not differ much from those of Gimje, Iri, or Yeonggwang except for gong play of performers in different regions. Samulnori has kept the original structure of tune of local Pungnyeongut and Yangsando. Gutgeori and Jajinmori, with the most variations of which the players can show off their capability and artistic insight, have been used all around the country, and they also have some differences by the locality Byeoldalgeori of the Yeongnam region, which was called Byeolgeory or Dalgeory in the Pungmul of Jinju and Samcheonpo, too, and Hwimori beat, which is used often, called Yichae are conducted to make a grand end of Samulnoli, and Jjaksoinoleum has been developed to have more various melody and exiting process, since it was used in Samulnoli.

      • 영화리뷰 감성분류성과향상에 대한 변수선택법 성능비교연구

        이재화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을 일상적으로 활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PC 및 스마트폰 보급이 비약적으로 늘어나면서, 사용자들은 정보를 소비할 뿐만 아니라 생산자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사용자들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에 대한 사용 후기나 문화생활과 관련된 정보 교환 등은 잠재 사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영화와 같은 경험재의 경우, 소비자들은 다른 정보들보다 자신과 같은 일반 사용자들의 의견을 더욱 신뢰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특정 영화에 대한 온라인 리뷰는 영화의 흥행 여부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영화 제작자 및 배급업체들도 이를 주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화리뷰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텍스트마이닝 분야 중 하나인 감성분류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다. 감성분석이란, 문서 작성자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갖는 긍정 또는 부정적 느낌이나 의견을 파악하는 기법이다. 이는 연구 목적뿐만 아니라 마케팅을 비롯한 비즈니스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감성분석은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동적인 분류를 수행한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분류의 정확성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문서(리뷰)의 감성정보를 자동 분류하고 예측성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변수선택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변수선택법으로는 모형 적합도 기반 변수선택법인 전진선택법, 후진제거법, 그리고 가중치 기반의 변수선택법인 SVM(Support Vector Machine), Information gain, Gain ratio, PCA, Chi-Square 가중치 선택법을 각각 적용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가중치 기반 선택법에서의 가중치 기준을 0부터 1까지 0.1의 간격으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적용하여 성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변수선택을 하지 않은 기본 모형에 비해 변수선택 모형들이 대부분 성과가 개선되었으며, 모형 적합도 기반의 변수선택법보다는 가중치 기반의 변수선택법들이 문서 감성분류 성과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머신러닝을 활용한 사상체질 분류 모델 선정 및 시스템 구조 디자인

        이재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machine learning algorithms demonstrate great performance. Many areas are actively researching A.I.(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based on these algorithms. The medical industry is also trying to create a variety of services through A.I.. Especially Watson, which is developed by IBM, is one of the leading services in this ev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oriental medical domain lacks such research on A.I.. While modern medicine is actively creating services to enhance patient’s convenience and accuracy of diagnosis, oriental medicine is causing a decline in competitiveness due to the lack of such research. In this paper, to find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 designed service flow by testing sever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developing application, web page, and database. The paper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e first part is about pre-treatment of data and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classification algorithms. To classify Sasang-Constitution using classification algorithm, The questionnaire data were pre-treated and verify the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through various algorithms. As a result, Deep Neural Network algorithm showed best classification performance with an accuracy of 80%. The second part of paper is about the flow of services, which applies the classification algorithms to the application and database. Also this system verified in the real hospital environment. With this application, patients can conveniently answer questionnaire anytime, anywhere. After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application will launch at the app store and patient can receive health consulting services. In addition, when doctors make medical decisions, a web page offer an expected Sasang-Constitution using classification algorithm so it can be of help. Also, database is designed using both MySQL and NoSQL. As data accumulates over the time, more samples can be used to train without any pre-treatment process and algorithm’s accuracy can be improved quickly. In the future, this concept could be expanded to more topics such as acupuncture and physical therapy. Until now, patient’s clinical data have been used for individual patient care simply. However, as I mentioned in introduction, it is time to analyze and utilize the vast amount of medical data accumulated to provide meaningful medical services, beyond simple care. We will also need to use systems such as the design proposed in this paper as well as work to transform existing data under global standards to create and utilize health data. 최근 머신러닝, 딥러닝 알고리즘의 뛰어난 성능이 증명되면서, 많은 도메인에서 이러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의료업계 또한 인공지능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하려 하고 있다. 특히, IBM이 개발하고 있는 왓슨(Watson)은 이러한 변혁을 선도하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이다. 이에 반해서, 한의학 도메인에서는 이렇다 할 인공지능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현대의학에서는 적극적으로 많은 주제에 걸쳐 환자들의 편의성과 진단의 정확성 고취를 위한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지만,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부실하여 경쟁력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부터 저장, 그리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알고리즘 도출과 서비스 플로우를 디자인한다. 논문은 크게 두 파트로 나누어지며 첫 번째 파트는 데이터 전처리 및 적절한 분류 알고리즘 선택에 대한 내용이다. 분류 알고리즘을 통한 사상체질의 판별을 위해 설문지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분류 정확도를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 가장 분류 성능이 좋은 분류 알고리즘은 80%의 정확도를 보인 심층 신경망 알고리즘이었다. 두 번째 파트는 선별한 분류 알고리즘을 어플리케이션에 적용시키고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는 서비스 플로우를 디자인한 후 실제로 병원에서 활용하는 것에 관한 내용이다. 환자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환자들은 편리하게 언제 어디서든 문진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의 경우 디자인 한 웹페이지를 통해 분류 알고리즘이 예측한 예상 체질을 보고 자신의 판단을 한 번 더 되돌아볼 수 있게끔 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MySQL, NoSQL를 모두 사용하여 디자인했기 때문에, 데이터가 누적되면 바로 정확도 개선을 위해 더 많은 샘플로 전처리 과정이 없이 훈련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추후에는 이러한 컨셉을 침술이나 물리치료 등 더욱 많은 주제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는 환자들의 의료 데이터를 단순히 환자 개개인의 진료를 위해서 활용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누적된 방대한 양의 의료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활용하여 단순 진료를 넘는 유의미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시대이다. 우리나라도 글로벌 표준에 의거하여 기존의 데이터들을 전환하는 작업과 동시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디자인과 같은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의료데이터의 누적과 활용을 꾀해야 할 것이다.

      • 그림책비디오가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디오의 대사 유무에 따른 비교

        이재화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사가 있는 그림책비디오와 대사가 없는 그림책비디오를 시청하게 한 후 유아의 말하기 능력을 비교하였다. 그림책비디오의 대사의 유무가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말하기 능력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B어린이집 2개 학급의 만 5세 아동 중에서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에 맞는 유아 28명(남자 14명, 여자 1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 선정 기준은 1998년 3월생부터 1998년 12월생까지의 아동으로 부모나 교사에 의해 발달장애, 언어장애, 감각장애, 정서장애, 행동장애가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영상자료 대사가 없는 그림책비디오 ‘핑구’와 대사가 있는 그림책비디오 ‘까이유’를 본 경험이 없는 아동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독립된 방에서 일 대 일 면담 식으로 이루어졌다. 평가는 김순자(2000)의 말하기 능력 검사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말하기 능력의 하위영역 중 내용 조직을 보완하였는데, Stein & Glenn(1979)의 이야기 문법과 Merritt & Liles(1987)의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의 준거를 적용하여 분석 채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각 부호화 작업을 거쳐 SPSS10.1(Statistical Package for Science)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림책비디오의 대사유무에 따른 유아의 말하기 능력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말하기 능력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평가자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절차에 따라 실시된 본 연구의 결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비디오의 대사가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말하기 능력의 하위영역 중 내용조직과 표현 및 전달에서 그림책비디오의 대사가 이야기의 사건을 시간적, 논리적으로 배열하여 조직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사가 있는 그림책비디오를 시청한 후 유아의 말하기의 성별을 비교하였을 때 남아와 여아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말하기 능력의 하위 영역 중 표현 및 전달에서 유의한 차이로 여아가 남아보다 더 잘 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사가 없는 그림책비디오를 시청한 후 말하기를 하였을 때는 남아와 여아 간에 말하기 능력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ildren's speaking abilities after watching between videos based on picture-books with words and ones without words. It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ether videos based on picture-books have words or not on the children's speaking abilities an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m. The subjects were chosen to be 28 children among 5 year-old children of two classes in a B kindergarten in Seoul who suit for the standard of the subjects. The standard of the subjects is to those children who were born from in March to in December in 1998 and who do not have any development defect, speech defect, sense defect and behavior defect by their parents or teachers. And they are those who have never seen 'Pingu', videos based picture-books without words and 'Caillou', ones with words before. The survey is conducted by one to one interview in a separate room. And the assessment is to use modified and supplemented Kim Soon-Ja's speaking abilities test. And also there are supplemented content among speaking sub-abilities and analysis scoring by applying the criterion of Stein & Glenn's and Merritt & Liles's story grammar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encoded and used in SPSS10.1 program. The children's speaking abilities according to videos based on picture-books with words or without words is tested by Independent t-test. In addition scorer reliability is tested by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following this. Firstly, videos based on picture-books with words have an effect on children's speaking abilities especially for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transmission of speaking subprovince ,that is, on the sequence and organization of the story logically and orderly. Secondly,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at all in children's speaking abilities. Although, girls are superior to boys in terms of expression and transmission of speaking subprovince, none of them differ in speaking abilities after watching the videos based on picture-books without words.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의 판소리영역 분석 연구

        이재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판소리 관련내용들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2014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 총 6종이며, 연구내용과 방법은 우선, 판소리의 이론적배경과 판소리의 교육적 특성을 살펴보고, 두 번째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개정시기별 5, 6학년 음악교과서의 판소리내용을 점검하며, 세 번째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 음악교과서에서 판소리 내용을 세부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개정시기별 판소리 관련 내용은 제1차에서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5, 6학년 음악교과서 가운데 판소리 관련된 내용은 대부분 6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으로 나눈다. 초등학교 5~6학년군별 성취기준으로 살펴보면 전 영역에서 판소리를 부합시킬 수 있는 학습활동이 많은 것에 비해 아직까지도 판소리는 감상 영역과 생활화 영역에만 편중 되어 있음으로 나타났다. 셋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총 6종의 5~6학년 통합본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판소리를 수록한 출판사는 6종 모두이며, 출판사 마다 다루어진 영역과 수록방식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판소리의 영역별 지도내용은 감상 영역에서 대부분 극음악으로서의 판소리를 제시하였는데, 제재곡은 대부분 ‘심청가’를 많이 다루고 있었다. 천재교육 교과서에는 판소리 ‘수궁가’ 중 <토끼화상 그리는 대목>의 단원으로 판소리를 비교적 자세히 다루었다. 표현 영역으로 중중모리장단을 연주하며 추임새를 넣어보는 활동은 있었지만, 직접 판소리를 부르는 활동이 없어 실질적인 수업에서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축제 음악으로서의 판소리는 전주 세계 소리 축제를 통해 판소리뿐만 아니라 세계의 다양한 음악이 소개되는 활동으로 제시하였는데, 판소리의 단어만 나와 실질적인 수업을 위해서는 생활화 영역으로 확장하여 전주 세계 소리 축제와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학생이 직접 조사하여야 할 것 같다. 또한 문화유산으로서의 판소리는 생활화 영역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된 문화유산 중 판소리를 소개하는 내용이 간단하게 제시되었다. 감상태도로서의 판소리는 서양음악과 달리 추임새를 통해 관객과 호흡하며 즐길 수 있는 공연이라는 사실을 알게 해주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교육에서 얻게 되는 모든 학습내용이나 생활 경험의 전체 내용을 의미한다. 현재 우리나라 음악교과서는 검정교과서체제로서 출판사마다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제재곡을 다르게 선정할 수 있고, 성취기준에 맞는 학습활동을 재구성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이러한 재구성을 통해 다양하게 수업준비를 하였으면 한다. 둘째, 판소리를 전문가가 부르는 것처럼 완벽하게 표현할 수는 없지만, 감상에만 치우치지 않고, 직접 자연스러운 발성으로 노래 불러 보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생활 속에서 경험한 우리 음악으로 느끼게 되었으면 한다. 특히 판소리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통음악을 다양하게 접하여 우리 음악의 가치를 올바르게 인식하게 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