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 여성의 건강 증진을 위한 트램폴린 운동에 관한 고찰

        이자연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itive aspects by considering the preceding papers in which the trampoline exercises influenced the health promotion of middle-aged women, and to present a future research plan based on the cases that the researchers experienced in guiding the trampoline exercises directly at the site. Middle-aged women experience many changes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as they experience menopause, when female hormones are reduced and ovaries are aging and ovaries stop ovulation. Middle-aged women need to prevent it as an exercise, and they have suggested trampoline exercises that can generate fun and interest and can exercise a lot with a variety of mov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se topic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mpoline exercises can help reduce blood stress by improving the body change and lifestyle related factors in obese middle-aged women and by performing exercises in tune with cheerful music due to the nature of the trampoline movement. Second, in order to prevent osteoporosis and osteoporosis and reduction of metabolic disease factors, the trampoline exercise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ird, the trampoline exercises can help prevent fall that can occur as muscle mass, muscle strength, and range of joint movement decreases as aging progresses, and balance capability slows, and thus prevent fall that can occur as walking problems occur, and improve balance ability through various stimuli by improving sensory ability, increasing equilibrium, and developing cognitive ability for joint motion. There are studies that have greatly affected the health of middle-aged women by the trampoline exercises, but it cannot be done in every way. Also, since the bending movement of the hip is the main result of the movement of the hip over the trampoline, the resulting back pain or hip joint pain may follow, and additional relaxation and reinforcement exercises are needed to prevent this.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present a plan for further study on these topics.

      •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의 완벽주의와 부모애착에 따른 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에 대한 집단간 차이

        이자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Frost의 완벽주의와 Bowlby의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완벽주의 하위변인과 부모애착의 하위변인을 조합하였을 때 어떤 하위 집단들이 존재하는지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하위집단들이 군집별로 다양한 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정서적 반응, 정서적 단절, 또래 애착, 반추적 사고, 학업 소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외국어고등학교 남녀 2, 3학년 학생 533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군집분석을 통해 세 개의 집단이 도출되었는데 동질성 가정은 충족되지 않았으나 군집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적응적 완벽-안정 애착 집단, 부적응적 완벽-불안정 애착 집단, 비완벽-보통 애착 집단으로 군집이 나타났는데 학업우수집단인 외국어고 학생들에게 부모와 관련된 변인이 군집변별의 차이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간 심리적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적응적 완벽-안정 애착 집단은 집단 중 자아존중감이 제일 높았고, 부적응적 완벽-불안정 애착 집단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정서적 반응과 정서적 단절에 의한 상황대처를 많이 하지 않았고, 또래애착이 높았고, 반추적 사고를 적게 하며, 학업소진이 적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부적응적 완벽- 불안정 애착 집단은 집단 중에서 자아존중감이 제일 낮고, 정서적 반응과 정서적 단절에 의한 상황대처를 제일 많이 하며, 또래애착도 제일 낮고, 반추적 사고를 제일 많이 하며, 학업소진도 제일 높아 이 집단이 심리적으로 제일 취약한 집단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비완벽-보통 애착 집단은 자아존중감이 적응적 완벽-안정 애착 집단 다음으로 높고, 집단 중에서 정서적 반응과, 정서적 단절에 의한 상황대처를 제일 하지 않으며 또래애착은 부적응적 완벽 - 불안정 애착집단보다 높으며, 집단 중에서 반추적 사고를 제일 하지 않으며, 학업소진도 집단 중 제일 낮아 집단 중 스트레스가 제일 적은 집단일 것으로 판단된다.

      • 페르난도 보테로(Fernando Botero, 1932-)의 <아부 그라이브 Abu Ghraib> 연작(2004-2006) 연구

        이자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on Fernando Botero's Abu Ghraib Series. This series were a artistic reaction to Abu Ghraib affair which is revealed in 2004. Between 2004 and 2005, Botero made 86 works of this series. And he add three works in 2006. The total number of the series is 89. Critics has regarded Botero as a painter who is far from social consciousness. Throughout his career, however, he had made works recording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ies of his country, Colombia. He was shocked by the fact the perpetrator of Abu Ghraib affair is The US presenting itself as the guardian of democracy. Therefore, he got to paint realities of the world out of his nation. Botero hoped Abu Ghraib series would perform a role as a historical testimony. Abu Ghraib affair is not a deviation by some soldiers who have sadistic and violent nature. It is a violence at the national level caused by Bush administration's urge to carry out the inhumane interrogations to the prisoners. Nonetheless, all the criticism and attention centered on the soldiers who are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abuse. But the victims' testimonies had not gotten a lot of attention. Botero minimized the image of the perpetrators and focused on the image of the victims. It is different from the real photographies of Abu Ghriab that emphasize perpetrators. Botero represented the fact that the perpetrators was just tool of the state power behind them by the image of perpetrators fragmented as hands, feet, and a stream of urine or symbolized by dogs. Botero sees innocent martyrs and Christ who was suffered in prisoners of Abu Ghraib who was also suffered. Borrowing christian iconography, Botero depicted the victims as martyrs or Christ to give dignity to them. And through baroque expressive elements and triptych style, he use the power of universal emotions drawn by christian iconography. Doing so, he conveys victims' pain to the viewers more efficiently. Boteromorph is Botero's own style maximizing the volume. In Abu Ghraib Series, Boteromorph extends the victims' wounded bodies and emphasize materiality of the bodies. This materiality of the bodies stimulates viewers' senses. It helps the viewers have empathy with the prisoners. Through Botermorph which has a fattening effects, the perpetrators and victims' images are deindividuated. This deinviduation of the perpetrators and victims show us anyone can be the victims or assailant of cruel violence as well as the perpetrators of the Abu Ghraib.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ctims remain as generalized image of a victim who lost own individuality and identity in the series likewise in the real photographies. Botero shows us the beautiful and refined scenes by using aesthetic elements as opposed to disgusting and violent realities in the real photographies. It is a fact that Botero's Abu Ghraib ease the disgusting realities. That weakens the power as a testimony. But aesthetic elements in the series help viewers see the works for a long time and reflect on them. It strengthens the power of a testimony paradoxically. Botero's Abu Ghraib series represents the event. But they don't copy the real photographies from Abu Ghraib. Botero wanted the series could have power as a testimony. And he also wanted they could have the aesthetic power as the artworks. Therefore, we can learn that Abu Ghraib series is a work which represents Botero's social consciousness and artistic beliefs. 본 논문은 페르난도 보테로(Fernando Botero)의 아부 그라이브 연작에 대한 연구이다. 보테로는 2004년에 폭로된 아부 그라이브 사건에 반응해 2004년부터 2005년까지 14개월 동안 86점, 2006년에 3점, 총 89점의 아부 그라이브 연작을 제작했다. 사회의식과는 거리가 먼 화가라는 비평가들의 평과는 달리, 보테로는 화가로서의 경력 내내 고국 콜롬비아의 정치적, 사회적 현실을 담은 작품들을 제작해 왔다. 민주주의의 수호자로 자처하던 미국이 아부 그라이브 사건의 가해자였다는 점에 충격을 받은 보테로는 아부 그라이브 연작을 통해 고국 밖의 세계의 현실을 그리게 되었다. 보테로는 아부 그라이브 연작이 역사적 증언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를 바랐다. 아부 그라이브 사건은 가학적이고 폭력적인 성향을 지닌 일부 병사들의 비행이 아니라, 부시 행정부가 테러와의 전쟁을 위해 죄수들에 대한 비인간적인 심문을 종용해서 일어난 국가 차원의 폭력이었다. 그럼에도 모든 비난과 관심은 직접적인 가해자인 병사들에게만 집중되었다. 정작 피해자들의 증언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보테로는 가해자들이 부각되고 있는 실제 사진과 달리, 가해자들의 이미지를 최소화하고 피해자들의 모습에 집중했다. 보테로는 손, 발, 오줌줄기로 파편화되거나 개의 모습으로 상징되는 가해자들의 모습을 통해, 그들 뒤에 더 큰 국가 권력이 있고 그들은 국가 권력의 도구일 뿐이라는 것을 고발했다. 보테로는 고통 받는 아부 그라이브의 죄수들에게서 무고하게 고통당한 순교자들과 그리스도의 모습을 보았다. 보테로는 기독교 도상을 차용해 피해자들을 순교자나 그리스도와 같은 모습으로 표현하고, 바로크적 표현 요소들과 삼면화라는 종교화 양식을 사용한다. 그는 기독교 도상이 사람들에게서 끌어내는 보편적인 감정의 힘을 이용해, 피해자들의 고통을 관람자들에게 더욱 더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보테로 특유의 볼륨감을 극대화하는 양식 보테로몰프는 피해자의 상처 입은 몸을 확대해, 상처 입은 몸의 물질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몸의 물질성은 관람자들의 감각을 자극해 죄수들의 고통에 감정이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고 모든 인물을 뚱뚱하게 표현하는 보테로몰프를 통해 가해자와 피해자는 각자의 개성과 정체성을 잃는다. 이러한 가해자와 피해자의 몰개성화는 아부 그라이브뿐 아니라 어느 곳의 누구라도 잔혹한 폭력의 피해자 또는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실제 사진과 마찬가지로 보테로의 연작 속에서도 피해자들은 각자의 개성과 정체성을 잃은 피해자의 이미지로만 남는다는 문제점이 남는다. 또한 아부 그라이브 사건만의 특수하고 구체적인 맥락과 의미를 놓칠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추악하고 폭력적인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는 실제 사진과 달리, 보테로는 미학적인 요소들을 사용해 미학적인 회화 공간을 보여준다. 보테로의 연작이 실제의 추악한 현실을 완화된 모습으로 그려 증언으로서의 힘이 약화되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보테로 그림의 미학적인 요소는 관람자들이 작품을 오래 보고 숙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힘을 지니고 있어, 역설적으로 증언으로서의 힘을 강화시키고 있다. 보테로의 아부 그라이브 연작은 사건 당시의 모습을 재현하지만 실제 사진 속 현실을 회화로 복제하지 않았다. 보테로는 아부 그라이브 연작이 증언으로서의 힘과 예술 작품으로서의 미학적인 힘 모두를 갖출 수 있기를 바랐다. 따라서 아부 그라이브 연작은 보테로의 사회의식과 예술적인 신념 모두를 드러내는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참조습지 특성을 활용한 수질관리용 인공습지의 모니터링 인자 평가 : 습지토양과 미생물활성 중심으로

        이자연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참조습지 특성을 활용하여 조성한 인공습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모니터링 인자를 선정한 후, 선정된 모니터링 인자에 따라 참조습지토양과 인공습지토양을 서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조성된 인공습지의 현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 선행연구를 통해 습지토양특성의 경우 토성, 함수율, 유기물함량, pH, CEC, 총질소, 유효인산이 인자로 선정되고 미생물활성의 경우 DHA와 DEA가 선정되었다. 2. 참조습지와 인공습지의 습지토양특성을 비교한 결과 토성의 경우 참조습지는 주로 silt(37%)와 clay(63%)성분으로 이루어진 미사질양토(silty clay loam)로 습지토양특성을 나타내었고 인공습지는 sand(40∼45%)함량이 많은 점질양토(loamy sand)로 일반육상토양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pH를 제외한 함수율, 유기물함량, CEC, 총질소, 유효인산의 경우 참조습지가 인공습지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는 참조습지가 인공습지에 비해 silt와 clay함량이 많고, 혐기상태에서 분해가 느려져 유기물 집적으로 인해 유기물함량이 많아진 것으로 질소공급원으로도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pH의 경우 참조습지는 높은 유기물함량에 따른 유기산 증가로 인해 산성을 띄고 인공습지는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인공습지 조성 후 시간경과에 따른 습지토양특성 변화를 본 결과 인공습지 1의 경우 토성은 조성 후 식생 도입을 위해 주변 서낙동강의 Seedbank를 뿌려줌에 따라 silt와 clay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pH를 제외한 함수율, 유기물함량, CEC, 총질소, 유효인산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조성 후 Seedbank를 뿌려줌에 따라 silt와 clay증가와 유기물질 여과에 따른 함수율 및 유기물 함량 증가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인공습지 2의 경우 토성은 silt함량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clay함량은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나 sand함량은 변함없어 다른 인자들은 인공습지 1에 비해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조성 이 후 토양이 안정화되는 시간이 충분히 경과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pH의 경우 인공습지 1, 2 모두 원골재인 육상토양이 물과 접하면서 중성으로 변했다가 유기물함량 증가에 따른 유기산 증가로 인해 산성으로 변해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참조습지와 인공습지의 미생물활성을 비교한 결과 참조습지의 경우 DHA와 DEA의 값이 인공습지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참조습지가 인공습지 보다 silt 및 clay 함량이 높고 습지로 유입되는 유기물에 대한 흡착능력이 높아 유기물함량이 충분한 것으로 미생물에 필요한 탄소원이 충분히 존재함을 나타낸다. 5. 인공습지 조성 후 시간경과에 따른 미생물활성 변화를 본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DHA와 DEA값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토양특성과 마찬가지로 토양 내 유기물 함량과 함수율 증가로 토양 내 미생물 활성도가 큰 폭으로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공습지 내 탄소원과 같은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된다면 보다 더 좋은 탈질율을 예상할 수 있다. 6. 통계분석 결과 DEA와 토양특성 인자간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습지 모니터링 시 토양특성과 미생물활성도를 같이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인공습지 2(연구습지)에 비해 인공습지 1(시범습지)이 참조습지의 특성으로 유사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습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토양특성과 미생물 활성이 변화되며 조성 초기의 인공습지의 경우 생지화학적 반응보다 물리적 기작에 의해 오염물질이 저감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공습지의 토양이 안정화되어 제 기능을 하기까지는 일정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기초적 연구가 확립되면 국내 인공습지의 연구 및 관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추 후 수질정화용 인공습지의 모니터링 평가에도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constructed wetlands has been active recently, the study on the constructed wetland is still in the initial stage and a little work on the interaction of microorganisms, plants and soil, which is considered as an water purification mechanism, has been don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ference wetland, two constructed wetlands were constructed. After construction of the wetlands, the change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ed wetlands such as the soil properties and microbial activity were monitored. To evaluate the change of soil properties, soil texture, water content, organic matter(IL, COD), pH, CEC, TN, and available P₂O_(5) were monitored. To evaluate the microbial properties of the constructed wetlands, dehydrogenase activity(DHA) and denitirfication enzyme activity(DEA) were measured. The soil properties and microbial activity of the reference wetland were also monitored to compare those of constructed wetla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e water content, organic matter and CEC increased with time while pH. It indicates the soil properties of the constructed wetlands have been gradually(progressively) similar with those of the reference wetland. The results showed that DHA of the constructed wetlands increased with time, which indicated the microbial degradation on the organic matter became active because of the increased organic matter. According the results of DEA measurement, the denitrifiaction rate of the constructed wetland,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for nitrogen removal in the wetland, can be similar to that of the reference wetland if the organic matter is provided sufficiently to the constructed wetlands. Statistic analysis such as multiple compari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dimensional prefere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on the monitoring results in this study shows that the soil properties and microbial activity of the constructed wetlands have been similar to those of the reference wetland.(shows that the constructed wetlands tend to shift into the reference wetland)

      • (The) Concept of Co-teaching by Korean and Native Teachers of English :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of Refining Co-teaching in South Jeolla Province

        이자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on how to refine co-teaching practices based on the voices of four English co-teachers of two Korean English teachers (KETs) and two native English teachers (NETs) in South Jeolla Province. The four participants had been working at junior-high schools in agricultural and island areas, and co-teaching as partners at least for more than one semester. Semi-structured Zoom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with regard to KETs and NETs’ definitions of co-teaching from personal experiences in Korea,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current attitudes towards co-teaching, and future needs for better co-teaching. Each interview was analyzed through weekly peer debriefing sessions. Findings showed that all four English co-teachers had lacked opportunities to learn practicable ways to reach an explicit consensus on the concepts of co-teaching, its goals, how to co-teach, and how to share feedback. Consequently, the unbalanced sense of ownership and implicit disagreement over co-teaching class were occurred between KETs and NETs. In contrast to the NETs, the KETs also had had difficulties in having discussions with a native co-teacher on co-teaching lessons, feeling bad about saying what should be told: they were presuming that attempts for sharing any serious ideas about co-teaching might be interpreted as “interference” by their native English co-teachers.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all the participants were barely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voice their opinions in the process of improving co-teaching policies, or to join a public forum out of school.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offers four suggestions such as an example template and checklists, and theme-specified training and contest, with the purpose of enhancing constructive dialogues among English co-teachers, and establishing a distinctive co-teaching version of South Jeolla Province. 본 연구는 전남지역 한국인 영어교사(KETs) 2명과 원어민 영어보조교사(NETs) 2명의 의견을 바탕으로, 현재 코티칭 수업에 대한 그들의 시각과, 실제적으로 코티칭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한다. 네 명의 참가자들 모두 농어촌과 섬지역의 중학교에서 근무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코티칭 파트너와 최소한 한 학기 이상 영어 코티칭 수업을 진행 한 바 있었다. 한국에서의 개인적 교수경험을 기초로 한 코칭에 대한 정의, 코티칭에 대한 현재의 태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끼친 요소들, 더 나은 코티칭 수업을 위해 필요한 점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반 구조화된 줌(Zoom)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동료검토과정(Peer debriefing s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네 명의 영어교사 모두가 코티칭의 개념, 코티칭 수업의 목표, 어떻게 코티칭 수업을 하고 피드백을 공유할 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그 실천 가능한 방법을 배울 기회가 부족했다. 그로 인해, 한국인 영어교사와 원어민 영어교사 사이 수업에 대한 주인의식(Sense of ownership)이 불균형하고, 코티칭에 대한 서로의 의견이 암묵적으로 불일치하는 상황이 야기되었다. 또한, 원어민 영어교사와는 달리, 한국인 영어교사들은 하고 싶은 말을 하는 것에 대한 미안함 등을 느끼며, 원어민 교사와의 코티칭 관련 협의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바 있었다. 한국인 영어교사들은 코티칭 수업에 대한 진지한 의견을 공유하려는 시도 자체가, 그들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에 의해 "방해 (혹은 간섭)”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더불어, 네 명의 참여자들 모두 코티칭 정책 개선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거나, 학교 밖에서 공개 토론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 적이 거의 없다는 점도 인터뷰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어 코티칭 교사들 사이에 건설적인 협의를 이끌어내고, 전라남도만의 특색 있는 코티칭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코티칭 협의 시 활용할 수 있는 협의록과 체크리스트 예시안, 교원 연수와 대회 등의 구체적인 주제 등의 네 가지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중학생의 당질 섭취수준 파악을 위한 반정량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

        이자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당질 섭취수준 평가를 할 수 있는 반정량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며,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3곳을 선정하여 재학생 58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1, 2차 식품섭취빈도조사와 3일 식사일기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품섭취빈도조사는 한 달 간의 간격을 두고 2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58명의 조사대상자 중 정확한 당질 섭취수준 파악이 어려운 대상자 12명을 제외한 나머지 총 36명(남학생 4명, 여학생 32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 결과 분석에는 CAN-Pro 4.0, 통계량산출과 검정에는 SPSS(ver. 21)를 이용하였다. 모든 비교 대상에 대해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p<0.05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신뢰도는 1, 2차의 당질 섭취수준(당질 총 섭취빈도와 하루 당질섭취량)에 따라 4분위로 나누어 일치비율, 근접비율, 불일치비율을 이용하여 분류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당질 섭취수준을 정량화한 값에 대해 상관분석(피어슨 및 스피어만 상관계수)을 실시하였다. 타당도는 1차 식품섭취빈도조사지와 식사일기의 3일간의 당질섭취량에 따라 4분위로 나누어 분류일치도를 분석하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식품섭취빈도조사 설문항목은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사용된 반정량식품섭취빈도조사지와 2014년 국민건강통계의 탄수화물 섭취량의 주요 급원 식품을 이용하여 44개로 구성했으며, 밥류(5개), 면·서류(3), 고기류(4), 가공음식류(4), 떡류(2), 만두류(1), 가공음료류(1), 우유류(3), 커피류(1), 과일류(9), 가공과자류(4), 빵류(3), 가공당류(4)의 순서로 나열하였다.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분류일치도 결과 중 1, 2차의 식품섭취빈도조사에서 근접비율의 범위는 72.22-83.33%(하루 당질섭취량-당질 총 섭취빈도)이었다. 이는 다른 연구들(67.6-93.7%)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피어슨과 스피어만 상관계수 범위는 0.377(p<0.05)-0.932(p<0.01)이었다. 이는 다른 연구들의 상관계수 결과(0.27-0.67)보다 높은 수준의 결과였다. 이를 통해 1, 2차 재검사 결과가 당질 섭취수준 추정에 있어 합리적인 신뢰도 수준을 확보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식품 설문항목을 보완하기 위해서 1, 2차의 44개 식품 설문항목 별 상관분석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계수가 공통으로 유의적이지 않은 식품 설문항목은 44개 중 5개(닭꼬치, 배, 복숭아, 그 외 과일, 시리얼)였고, 이들은 당질 섭취실태 파악을 위한 활용도가 낮았다. 반대로 상관계수가 공통으로 유의성을 보인 식품 설문항목은 44개 중 12개(흰쌀밥, 잡곡밥, 볶음밥, 찐고구마/군고구마, 쇠고기불고기, 햄버거/샌드위치, 핫바, 떠먹는요구르트, 감/곶감, 수박, 쿠키/크래커, 식빵/바게트)로 이들의 활용도는 매우 높았다(p<0.05). 그리고 다음의 15개(김밥/삼각김밥, 국수/냉면/(컵)라면/우동/짜장면/짬뽕, 잡채, 탕수육/돈까스, 피자, 만두, 포도, 사과, 귤, 참외, 아이스크림/빙과류, 스낵과자류, 단팥빵/찐빵/호빵/크림빵/호떡/붕어빵, 꿀/시럽/조청, 사탕/젤리/카라멜)는 두 번째로 활용도가 높았다(p<0.05).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분류일치도 결과에서 1차 식품섭취빈도조사와 식사일기의 3일 치 당질섭취량의 근접비율은 94.44%로, 다른 연구들(70.1-80.0%)보다 높았다. 또한 피어슨과 스피어만 상관계수 범위는 0.624-0.877(p<0.01)이었고, 이는 다른 연구들의 상관계수 결과(0.25-0.716)보다 높은 수준의 결과이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타당도를 판정함에 있어 1차 식품섭취빈도조사와 식사일기 간에 합리적인 상관성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당질 섭취수준 파악을 위한 반정량식품섭취빈도조사지는 합리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식품섭취빈도조사지 44개 식품 설문항목은 신뢰도가 낮은 5개(닭꼬치, 배, 복숭아, 그 외 과일, 시리얼)를 제외하고 39개의 식품 설문항목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식품섭취빈도조사지는 당질로 인한 에너지 과잉 및 미만 섭취자를 선별하거나 청소년의 당류 섭취수준 파악을 위한 반정량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청소년의 장기간의 당류 및 당질 식품 섭취실태에 관련된 역학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for assessing the carbohydrate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QFFQ was administered twice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of 2015 to a sample size of 58 participa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In addition, 3-day dietary records(DR) were collected during this period on non-consecutive days. Data from 36 subjects(4 males, 32 femal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Data analysis and statistical inspection were performed by CAN-Pro 4.0 and SPSS 21.0. All comparisons of this study were examined with a paired t-test conduct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the p<0.05. To evaluate reliability of SQFFQs, the cross-classification consistencies for carbohydrate intake frequency and amou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QFFQ were observed for consistency ratio, approximate ratio, and inconsistency ratio. In addition, correlative analysis of the quantified data of carbohydrate consumption levels (carbohydrate intake frequency and amount) between the two SQFFQs were examined using Pearson,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SQFFQ, cross-classification was used to examine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classified in the same and adjacent quartiles between the first SQFFQ and the DR. Also, correlations of the quantified data of carbohydrate consumption levels between the first SQFFQ and DR were examined through Pearson,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SQFFQ’used in the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and ‘Major food sources of carbohydrate intake in the diet of the Korean adolescents population’ from the 2014 KNHANES were used to extract 44 items that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he following 44 items were included in the SQFFQ and grouped as follows: rice (5 items), noodles and sweet potatoes (3), meats (4), processed foods (4), rice cakes (2), dumpling (1), processed drink (1), milk and dietary products (3), coffee (1), fruits (9), snacks (4), breads (3), processed sugars (4). In the evaluation of reliability, the cross-classification consistencies ranged from 72.22%(1-day carbohydrate intake amount) to 83.33%(total carbohydrate intake frequency) for adjacent classification between two SQFFQs. These results concurred with previous studies(67.6-93.7%) of test-retest reproducibility of a SQFFQ. Also the results comparing carbohydrate intake levels from the two SQFFQs showed that the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0.377(p<0.05) to 0.932(P<0.01). These results showed stronger correlations of test-retest reproducibility of the SQFFQ than those of previous studies(0.27-0.67). Therefore, the results showed a reasonable level of reliability. In order to examine the 44 items in the SQFFQ,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sets was analyzed through the Pearson,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5 items(chicken skewer, pear, peach, the other fruits, cereal) were not useful because of no significance in all statistical indicators(Pearson,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On the contrary, 12 items(white rice, multigrain rice, fried rice, steamed and roasted sweet potatoes, bulgogi/marinated beef, burger/sandwich, fish cake bar, yogurt, persimmon/dried persimmon, water melon, cookie/cracker, bread/baguette) were very useful because of the significance in all statistical indicators. Additionally, 15 items(gimbap/rice rolls, noddles, japchae/glass noddle dish, sweet and sour porks/pork cutlet, pizza, dumplings, grape, apple, mandarin, oriental melon, ice cream/frozen desserts, snacks, cream breads, honey/syrup/grain syrup, candy/jelly/caramel) were followed in the degree of usefulness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the p<0.05. In the evaluation of the valid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consistencies between the first SQFFQ and DR, the adjacent ratio was 94.44%(3-day carbohydrate intake amount). These results showed higher validity than those of previous studies(70.1-80.0%), which evaluate the validity of SQFFQ. Also the results comparing carbohydrate intake levels from the first SQFFQ and DR showed that the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0.624(p<0.01) to 0.877(P<0.01). These results coincid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0.25-0.716). Thu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QFFQ had significant validity in evaluating carbohydrate intake. Conclusion: The SQFFQ developed for estimating carbohydrate intake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reliability and validity. Furthermo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commend that 5 items(chicken skewer, pear, peach, the other fruits, cereal) should be omitted from the 44 items in SQFFQ due to low reliability. The SQFFQ evaluated in this study can be develop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in selecting adolescents with excess or insufficient calorie intake. In addition, this SQFFQ c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more extensive SQFFQs to be used in long term studies that assess sugar intake and carbohydrate intake of Korean adolescents.

      •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중학생 대상 영어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연구 : 듣기와 쓰기 역량을 중심으로

        이자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노틀담의 꼽추’와 ‘인사이드 아웃’을 활용하여 듣기와 쓰기수업이 어떻게 계획되고 실행될 수 있으며 이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관한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생활 영어 자료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듣기 영역만을 다루거나, 쓰기 영역만을 다룬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학습자들의 수용적 기량인 듣기 영역에서 시작하여, 생산적 기량인 쓰기 영역으로 발전해 나가는, 듣기와 쓰기 영역을 체계적으로 통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2개월 간 총 14차시에 걸쳐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기존 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연구 주제를 설정했다. 둘째, 사전 인터뷰와 사전평가를 진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두 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했다. 셋째, 학습자들이 듣기와 쓰기 영역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수업 활동을 계획하고 학습지를 만들었다. 넷째,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습자들의 반응을 교수일지에 기록했고, 지속적으로 학습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였다. 다섯째, 사후 인터뷰와 사후 평가를 진행하며, 학습자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연구 자료를 다각적으로 분석한 후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듣기와 쓰기 영역의 학습은 학습자들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다음과 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첫째, 인지적 영역에서 학습자들은 문법에 대한 이해도와 새로운 표현에 대한 인지, 추론 능력이 향상했다. 또한 학습자들이 작성한 쓰기 영역에서 문장 구조와 내용 구성이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있어서 실제성은 학습자가 지속적으로 학습이 가능하도록 동기를 부여했고, 역할극 활동을 통해 자기 표현에 대한 욕구를 충족했다. 또한 영어 역량의 한계를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학습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애니메이션의 등장인물에 대한 외모, 젠더, 계급에 대한 고정관념을 인지하고, 비판하면서, 주체적인 사고를 발전시켰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을 통합한 학습을 진행하기 위해서, 교사의 적절한 비계 설정과 구체적인 학습 활동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중상위권 학습자들에게도 영어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동기 부여가 필요하며, 언어 학습에서 더 나아가 비판적이고 주체적으로 사고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실생활 영어 자료를 학습 자료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listening and writing classes can be planned and implemented using Disney animations such as ‚The Hunchback of Notre Dame‛ and ‚Inside out,‛ and how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change through this activity. Most existing studies based on concrete English materials only addressed the listening or writing areas.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a study integrating listening, a receptive skill, and writing, a productive skill. The researcher conducted research classes for 10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or a total of 14 sessions over 2 months. The researcher performed the following tasks. First, the problems of existing classes were identified and research topics were established. Second, preinterviews and pre-evaluations were conducted, based on which animations were selected. Third, the researcher constructed activities and workbooks to enable learners to effectively learn the listening and writing areas. Fourth, the learners’ feedback was continuously reflected, and the class was supplemented and revised as it progressed. The researcher used the workbook, observation data containing the responses and learners’ records, and the professor’s diary. Fifth, post-interviews and post evaluations were conducted, a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how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had changed. Various analyses of the research data showed the following conclusions. Learning in the listening and writing domains using Disney animation positively affected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First, in improving the cognitive domain, learners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grammar and their cognitive and reasoning skills for new expressions. Additionally, sentence structure and content composition were developed in the writing area. Second, the practicality of the learners in the affective domain motivated them to continuously learn, and the desire for self-expression was satisfied through role-playing activities. Further, learners showed their abil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nglish. Third, learners developed independent thinking by recognizing and criticizing stereotypes about the appearance, gender, and class of characters in anim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wish to suggest the following. First, to proceed with learning that integrate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reas, the teacher must implement an appropriate scaffold and present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Second, even middle and upperlevel learners need to be motivated to learn English as well as critical and independent thinking skills through the English language. Third, we should actively use concrete English materials.

      • 대전지역 자살유가족의 경험과 자살관련 의사소통에 관한 사례연구

        이자연 침례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Special interventions that can help a bereaved family lament healthily will be prepared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and the pattern of communication of Suicide Survivor  For this, I suggest the subject of study like the next. The first, The first, what did they experience after the death of a member of family? The second, what did they the pattern of communication of Suicide Survivor? The third, How does suicide-related suicide-related communication affect mourning and adjustment of Suicide Survivo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bove, research methods were defined as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analysis of the data i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oding, area analysis, and subject analysis of all collected data. In the first phase of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read out and read out repeatedly. Through this process, the general meaning of the data was grasped. Second, at the stage of coding to extract sentences or paragraphs of texts and categorize them, we chose the method of 'topic bundle coding'. It is a task to divide the meanings revealed by the mutual comparison of the meanings found earlier, to categorize and classify the concepts and patterns of experience. At this stage, the data are testified, and the texts are classified into related texts. Those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opic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Finally, the subjec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mes, we first classify the coding subjects, set the sub - major areas, and tie the sub - sub - subjects together again. Based on the content context, we organized the major top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suicide survivors and communication patterns related to suicide were analyzed and it was classified into communication change through self - help group and growth and change of suicide family.   First, suicide bereaved families succumbed to a suicide accident or drink, and they seem to miss the deceased.   Second, in the process of mourning, experiences of explosion of anger, finding the cause of death, questioning of the deceased 's regards, and emotions expressed are not understoo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comes desperate Third, the social prejudice of the suicide form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the death of the deceased was silent, or avoided or concealed.  Fourth, as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elf - help group, embrace and emotional relief appeared, which led to the re - recognition of death and the expansion and rebalanc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fth, participation in self - help groups showed that Suicide Survivor have an opportunity to predict the process of mourning through other Suicide Survivor. These opportunities also serve to overcome the risk of suicide experienced by suicide Survivor.   Sixth, the self-help group had the opportunity to confront the suicide incident, which became an occasion to understand the suicide parties and to accept the process of their death. Based on the experience of suicide-related communication with these bereaved families,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suicide bereaved family support project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tection system for suicide families. Most of the suffering experienced by the bereaved family is accepted as normal, but the sudden death of the beloved should come as a shock and a wound to the bereaved family, so a protec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and intervene the suicide bereaved family.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cial support network for suicide families. Suicide families should help them form a social support system that will help them to suffer the serious pain they experience through family, social workers, and self-help groups in order to get rid of their wounds by talking and organizing their experiences. Third, policies and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re needed to ensure that suicide survivors escape from social prejudice and that professional bereaved family support projects are delivered correctly.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a manual for the general public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rrect mourning of the suicide family. Fif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dividualized family support service considering the age, relationship, and dynamics within the remaining family. Sixth, publicity and campaign activities are needed to resolve prejudice against suicide families. Seventh, we should support the story of suicide in the self - help group.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pattern of asking the deceased person who does not want to talk and being forced to mourning should not be avoided. In the self - help group, unconditional sympathy, recognition of mourning, freedom to speak, etc.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ot enough to understand and generalize the suicide experience and suicide - related communication patterns in five cases. In the future, various cases should be studied considering mourning period and age. Seco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specific interven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suicide - related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family. It is necessary to prove the actual effects of the suicide bereaved when the program is structured in a helpful way of communicating within the self-help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