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궁탈출증 환자에서 질 전후벽 봉합술 및 엉치가시인대 질 고정술의 효과

        이임순 순천향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Objectives: Women who felt inconvenience in everyday life because of pelvic organ prolapse were increased because of the increase number of the aging population. Methods of the operation for the pelvic organ prolapse needed to be paid att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the women. Various methods of operation were tried for the uterine or vaginal vault prolapse. However,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the best method of operation for the uterine or vaginal vault prolapse because of the technical difficulties of the operation, complications and recurrences. Besides, there were limited data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icacy of anterior and posterior colporrhaphy with sacrospinous colpopexy (or posterior intravaginal sling operation) in uterine or vaginal vault prolapse pati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101 patients who had anterior and posterior colporrhaphy with sacrospinous colpopexy (or posterior intravaginal sling operation) because of the uterine or vaginal vault prolapse from April 2005 to April 2015. 29 patients from April 2005 to Feburary 2008 had posterior intravaginal sling operation (posterior IVS) and 72 patients from October 2008 to April 2015 had sacrospinous colpopexy using MiyaⓇ Hook. All patients except one had anterior and posterior colporrhaphy to correct the cystocele and rectocele. The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was between 46 to 83 and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67. The average parity was 3.3 (0∼8) and BMI was 24.5 (10.2∼39.6) kg/m2. 93 patients (92.1%) were postmenopausal women and 26 patients (25.7%) had the previous histories of gynecological operation. Among them, 16 patients who had hysterectomy had vaginal vault prolapse. According to POP-Q staging system, 11 patients (12.8%) were graded as Stage I, 14 patients (16.3%) were Stage II, 60 patients (70.9%) were more than Stage III among 85 uterine prolapse patient. 6 patients (37.5%) were Stage II and 10 patients (62.5%) were more than Stage III among 16 vaginal vault prolapse patient. 95 patients( 94.1%) also had cystocele and 92 patients (91.1%) also had rectocele. Result: There were no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heavy bleeding and perforation of bladder or rectum. Voiding difficulty as a short-term complication occurred to 3 patients. Cystitis wa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as a long-term complication and occurred to 17 patients (16.8%). All of them were treated by antibiotics. The recurrence of the prolapse occurred to 8 patients (7.9%). All of them occurred for patients who had posterior sling operation. There were no recurrence for the patients who had sacrospinous colpopexy. 4 patients among 8 patients experienced recurrence within a year. 5 patients had a re-operation and 2 patients had conservative treatment with insertion of the pessary. 28 patients had urological symptoms before the surgery but those symptoms got better without recurrences or complications after the suspension operation together with the cystocele and rectocele repair. There were no problems to have sexual relationship after the surgery. Only one patient felt uncomfortable during sex and dilatation of the vaginal outlet was done. The satisfaction after operation indicated 'Very Satisfied' in all cases. Conclusion: Anterior and posterior colporrhaphy with sacrospinous colpopexy was an effective method of the operation for uterine prolapse or vaginal vault prolapse because the operation had high satisfaction rate without any serious complications or recurrences. Therefore, Anterior and posterior colporrhaphy with sacrospinous colpopexy could be considered as a primary operation method for pelvic organ prolapse. 목적: 노령 여성인구의 증가로 골반장기탈출증으로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빈도가 증가되고 있으므로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이 더욱 부각됨에 따라 골반장기탈출증에 대한 수술법이 한층 더 조명을 받고 있다. 자궁 또는 질원개탈출증을 교정하는 데는 여러 수술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해부학적 구조의 복잡함으로 술기의 어려움과 합병증 및 재발의 가능성 때문에 어떤 방법이 좋은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으며 국내보고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자들이 경험한 자궁 또는 질원개 탈출증 환자에서 질 전후벽 봉합술 및 엉치가시인대 질 고정술(또는 후방 슬링 교정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5년 4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자궁 또는 질원개탈출증으로 질 전후벽 봉합술 및 엉치가시인대 질 고정술(또는 후방 슬링 교정술)을 시행받은 1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탈출증을 교정하는 수술방법으로 2005년 4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초기의 29명의 환자군에서는 후방 슬링 교정술(posterior IVS)을 시행하였고, 2008년 10월부터 2015년 4월까지 후기의 72명의 환자군에서는 미야훅(MiyaⓇ Hook)을 이용한 엉치가시인대 질 고정술(sacrospinous colpopexy)을 하였다. 1건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방광루 및 직장루를 교정하기 위하여 질 전후벽 봉합술을 함께 시행하였다. 연령 분포는 46∼83세로 평균 67세였고, 평균 분만력은 3.3(0∼8)명, BMI는 24.5(10.2∼39.6)kg/m2 이었다. 93명(92.1%)은 폐경이 된 상태였으며, 26명(25.7%)은 이전에 부인과적 수술을 시행한 기왕력이 있었다. 그 중 이전에 자궁적출술을 받은 경우는 16건으로 질원개탈출증이 있었다. POP-Q 기결정에 따른 탈출 정도는 자궁탈출증이 있는 85명의 경우 Stage I이 11명(12.8%), Stage II가 14명(16.3%), Stage III 이상이 60명(70.9%)이었다. 질원개탈출증이 있는 16명의 경우 Stage II가 6명(37.5%), Stage III 이상이 10명(62.5%)이었다. 방광류가 95명(94.1%), 직장류가 92명(91.1%)에서 동반되어 있었다. 결과: 수술 중 과다 출혈이나 방광 혹은 직장 천공 등의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수술 후 단기 합병증으로 배뇨곤란이 3명 있었으며, 수술 후 장기 합병증으로는 방광염이 가장 많아 17명(16.8%)에서 발생하였고 모두 항생제로 치료되었다. 수술 후 탈출증의 재발은 8건(7.9%)으로 모두 초기에 후방 슬링 교정술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발생하였고 후기에 엉치가시인대 질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군에서는 재발이 없었다. 재발을 한 경우 수술 후 1년 내에 재발한 경우가 4건으로 가장 많았다. 재발을 한 경우 5건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며, 2건은 페사리를 통한 보존적 치료로 교정하였다. 수술전 28명의 환자에서 호소하던 비뇨기계 증상은 질 전후벽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해줌으로써 모두 호전되었으며 재발이나 합병증은 없었다. 수술 후 성관계를 재개함에 있어 문제가 없었으나 한 건에서 불편감을 호소하여 수술 부위를 확장시켰다. 주관적 평점을 이용한 수술 후 전반적 만족도 평가시 전례에서 '매우 만족'을 선택하였다. 결론: 질 전후벽 봉합술 및 엉치가시인대 질 고정술은 심각한 합병증이나 재발이 이 없이 수술 후 만족도가 높아 자궁탈출증 또는 질원개 탈출증에서 효과적인 수술방법으로 고려해 볼 수 있겠다.

      • 女高生의 職業觀 硏究 : 學校類型別 差異를 中心으로

        이임순 淑明女子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and analyzing highschool girl students' views on careets and presenting basic information for methods of efficient job training which contribute to setting up desirable views on careers. The problems discussed in the study are how a school system affects to: (1) prefessionalism (2) environment (3) methods to seek a job and attitudes in the workplac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360 sophomores sellected from three public highschools (120 each from a commercial department and liberal arts in a conprehensive highschool and 120 from a commercial department in a commercial highschool). The instrument used in the research is a questionnaire with 30 questions. The data are computer-processed through statistics package SAS program of KAIST. Frequency and percentage are produced. χ²-test are also used to verity the questions. (significance is: P< 0.05, P< 0.01, P< 0.001). The respondents live in small cities. Most of their parents are engaged in agriculture (56.10%) and have relatively low level of education. The students in liberal arts have higher economic status. The students in the commercial department of the comprehensive highschool and the commercial highschool respond that they entered the schools not on their own will, and feel unsatisfied with discrimination against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of the comprehensive highschools start thinking their future careers relatively early. Earned credentials in skills and achievement in school work have deep relations with choice of careers. The students in the commercial department of the commercial highschool are self-expression oriented more than the others while those in the liberal arts of the comprehensive highschool are extrinsic reward oriented more. The most popular careers of the students in the commercial departments are office worker and teller in which they can utilize skills and knowledge earned in the highschool. The phenomena shows that the school is the well-organized institution providing the students in their early stage with the grounds tone on which they can build their own views on careers. Major sources of influences vary according to students' department: For the.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parental influence; for the students in the commercial department of the comprehensive high school; for the students in the commercial highschool, teachers' influence. Teachers and parents are expected to serve as important counsellors for the students. Family and school education greatly affects the students in establishing their own views on careers. It is considered desirable that the students have the sound mentality that successful career can be achieved only by an able and sincere person. In conclusion, views on care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school systems and departments, affected a great deal by education in family and school, students' own values, and surrounding sociocultural factors.

      • 매체 문식성의 개념과 그 교육적 필요성에 관한 조사 연구

        이임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Research about the Concepts of Media Literacy and the Needs for its Education by Imsoon Lee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Advisory Professor: Prof. Myung-Wan No In this modern society, people experience various kinds of media due to the advance in science and also development in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evolution of various kinds of media had the number of data and information over-flown rapidly, and, therefore, they have become more individualized and personalized, especially with Post-Modernism influence. As a result, human life has been improved with conveniences and expedited in great deal. Consequently, human beings living in this modern society now require the abilities to communicate through a variety of mess media, which hadn't been demanded in the past. In collusion with this demand, schools need to educate students about Media Literacy, so that they can deal with this modern society in leadership and have an active life. This research is an endeavored effort to answer the question, How can this demand of our modern age can be attain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f the purpo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foster an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through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t perfectly makes sens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to deal with the Media Education because this subject is also about making use of media in order to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and to enhanc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mess media. The interests in Media Literacy have been revolved since early 1980s, and the movement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d to be involved in this media education have been initiated in theoretical inquiries by research organization, such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Organization. In the 2000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establish concrete education curriculums in order to carry out the Medi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despite those efforts, there haven't been any researches that concretely looked into the measure of application in the Media Education in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the rationale of needs for the Media Literacy, and the intensive measurement of its education taken pla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that can expedite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eriorly and effectively. For the efficient presentation, this research will learn from the examples of other countries which has been successfully carrying out the Media Education in schools, then analyze our current curriculum on Media Education to grasp the realities of the Media Literacy in our education realities, and finally will research and evaluate the demands and views of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on Media Education. First of all, Chapter II will show that, as science and information develop, our society and also media literacy, influenced by Post-Modernism, become personalized and also diversified, which lead to more humanized society. This chapter also reviews that the advent of 21st century's digitalized multi media age is also in collusion with this trend. Therefore,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o prepare young people for living and learning in a global culture that is connected through multi-media, media literacy education is essential in our education reality. In Chapter III,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it reviews the stereotyp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bserved in our education fields, and also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our education materials, mainly focused o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o teach Media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also suggests that for effective teaching of Media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ur existing teaching materials have to be changed for the better. In addition, the Chapter 3 discusses the need of intellectual powers educated though this new form of Media Literacy for young people who live in this multi media age. and 'the Realities of Media Literacy', first observes the examples of foreign countries in Media Literacy, and analyzes about our existing curriculum related to Media Literacy. Furthermore, Chapter Ⅳ shows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about the demand about Media Literacy Education, given to 37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its suburbs, and consequently it also evaluates and summarizes the results. Combin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on the examples of other foreign countries' Media education and our 7th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questionnaire results about Media use state and its demand, the Chapter Ⅴ suggests the effective plans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carry out Media Literacy education. It has been said that the 21st century is defined as 'Multi-media age', which enabled our humans' linguistic function to advance from limitation in medium though the development in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herefore, our education has a mission to nurture our generation to be adapted to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I humbly hope that this prudently prepared research gives a foundation to start a meaningful attempt in effec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매체 문식성의 개념과 그 교육적 필요성에 관한 조사 연구 이 임 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 노 명 완) 현대 사회의 과학의 발달과 정보&#8228;통신 기술의 발달로 현대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매체를 경험하면서 산다. 이러한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그로 말미암아 폭발적으로 증가한 지식&#8228;정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더욱 개별화 되고 개성화 되었으며 이것은 인간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종전과는 달리 다양한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출 필요가 생겼다. 그러기에 학교는 현대 사회를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살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매체 문식성 교육을 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국어과 교육에서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국어 교육의 목적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고, 이렇게 본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매체를 사용하고 매체를 통해 정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매체 문식성 교육은 국어과 교육에서 다루어야할 영역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에 대한 관심은 1980년대 초반부터 일어났으며 국어과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움직임은 1990년대 후반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등과 같은 연구 단체들의 이론적인 고찰에서부터 시작되었다. 2000년대에는 실질적으로 국어과 교육에서 실시하기 위한 교육과정 내용을 구안해보는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현재 초,중,고 학생들의 매체 활용 상태와 어떠한 이유로 그러한 매체 문식성 교육을 필요로 하는지 그리고 국어과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을 한다면 어떤 정도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들여다 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오래전부터 매체 문식성 교육을 실시한 외국의 경우를 살펴서 시사점을 얻고 우리의 현행 교육과정에 반영된 매체관련 교육 내용을 분석해서 현재 국어과에서 담고 있는 매체 문식성 교육의 실태를 파악한 후 초,중,고 학생들의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교육의 수월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매체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먼저 Ⅱ장 현대 사회와 매체 문식성에서는 현대의 과학 발달과 지식&#8228;정보 중심의 사회 흐름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개별화, 다양화 되면서 인간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진행 되고 있다는 것과 21C 디지털&#8228;다매체 시대의 도래도 이와 같은 맥락 속에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현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매체 문식성 교육이 요구되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Ⅲ장 국어 교육과 매체 문식성 교육에서는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식성 교육에 대한 편견과 ‘듣기’, ‘말하기’,&#985168;읽기’, ‘쓰기’의 교육 자료가 전통적인 인쇄 매체 위주로 되어 있는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국어과 교육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기존의 수업 자료가 매체 문식성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리고 21C라는 다매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는 새로이 매체 문식성을 통한 지력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매체 문식성 교육의 실태를 살피는 장에서는 먼저 외국의 경우를 살펴보고 매체 문식성과 관련한 현행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매체 문식성 교육에 대한 요구를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있는 초,중,고 학생 370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매체 문식성 교육에 대한 요구 상태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외국의 매체 문식성 교육의 실태와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내용을 참고하고 초,중,고 학생들의 매체 활용 상황 및 매체 문식성 교육의 요구를 조사한 설문 분석을 통해 국어과 교육에서 매체 문식성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교육과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흔히들 21C는 과학기술 발달과 정보와 통신이 융합된 매체들의 발달로 인간의 언어활동을 매체적 한계에서 현격하게 벗어날 수 있게 만든 &#985168;다매체 시대&#985169;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교육도 빠르게 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적응할 수 있는 격조 높은 능력을 갖춘 세대를 양성해야 할 사명이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조심스럽게 제안한 이 결과가 국어과에서 효과적인 매체 문식성 교육을 하는데 의미 있는 시도가 되었으면 한다.

      • 기독교 윤리사상에서 본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이임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요 약 본 논문은 기독교 윤리사상에서 본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오늘날 대중적 정신의 승리가 되고 있는 초점 없는 혼합주의와 무비판적 관용의 시대가 되고 있는 대안으로 기독교 윤리사상에서 본 포스트모더니즘의 연구가 문제로 제기되었다. 기독교 교육의 올바른 실천을 위한 대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3가지로 연구하였다. 그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올바른 이해와 기독교 윤리의 이해 그리고 기독교 윤리사상에서 본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연구하였다. Ⅰ.서론에 이어 Ⅱ.에서 개념의 정의와 역사적 발생과정과 윤리적 특징 을 들었다. Ⅲ.의 본문은 본 논문의 쟁점인 윤리학에 관하여 기독교 윤리의 기준으로써 성경의 윤리를 특징으로 하였다. 그것은 하나님의 명령과 절대적 가치와 계시, 중심의 윤리 그리고 의무론적인 윤리와 최근 기독교의 경향이다. Ⅳ.는 기독교 윤리사상에서 본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비판적 시각에서 개인윤리의 팽배와 실용주의의 윤리적 팽배이며 수용적 시각으로는 의사소통과 행위, 공동체 주의의 생태학적 관점 그리고 윤리의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조화적 시각으로는 비판적 관점에서 자아, 이성, 새로운 이해로 구분하고 수용적 시각에서는 역사성, 전통성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총체적으로 조화를 위한 포스트모더니즘 연구라고 결론을 얻었다.

      •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과 또래유능성

        이임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 and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based on the family interaction systems. To do this, several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of children's self-regulation based on family coherence level?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of children's self-regulation based on family adaptation level?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based on family coherence level? Fourth, is there any difference of children's self-regulation based on family adaptation level? Fifth,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206 five-year-old children from Seoul were rated in this study by their teachers using two Questionnaires of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Also children's mothers rated their family interactive system using family interaction system Questionnaire which was rivised from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Ⅲ(FACES Ⅲ) of Olson, Portner, and Lavee (1985).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sed using SPSS 14.0 and F ratio was calculated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groups among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tion systems and Pearson's r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levels of family cohesive systems. Seco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levels of family adaptative systems. Thir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levels of family cohesive systems. Fourth,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levels of family adaptative systems. Firth,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was correlated in the significant statistics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tell that family cohesion and adaptation system in terms of its interaction affects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elf regulation and peer relationship. This study also shows that young children with self regulation in higher level are more sociable and initiative to peers. As a result, family interactive system is so important to young children's social and self-regulated behavior for interaction with peers.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은 가족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정도를 의미한다. 가족 응집성은 가족 구성원들간의 결속력을 나타내는 것이며 가족 적응성은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가족들의 역할 관계, 관계 규칙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가족 응집성은 주로 가족 구성원들의 정서적인 유대감, 가족 구성원들간의 시간이나 공간 등의 허용 정도, 의사결정 유형, 가족들의 흥미와 오락 등등을 바탕으로 결정되어진다. 가족 적응성은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여 안정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부모의 자녀 훈육, 가족 구성원들 간의 협상 능력, 역할 확립 및 역할 분담, 가족 규칙의 명확성 및 융통성 등등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이러한 가족 응집성과 가족 적응성은 가족 구성원들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의 체제를 설명하는 것이며 이 속에서 유아는 영향을 받아 사회의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기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족의 응집성이나 적응성은 유아에게 있어 아주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 및 또래유능성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써, 가족 환경의 영향력이 다른 어느 시기보다 중요한 유아기 가족내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족 응집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은 차이가 있는가? 2. 가족 적응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은 차이가 있는가? 3. 가족 응집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차이가 있는가? 4. 가족 적응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차이가 있는가? 5.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K구와 O구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2곳과 유치원 6곳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206명의 담임교사 8명과 유아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는 가족 상호작용 유형 검사도구, 유아의 자아조절 검사도구, 유아의 또래유능성 검사도구이다. 가족 상호작용 유형 검사도구는 Olson, Portner와 Lavee(1985)에 의해 개정된 것을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한 FACES Ⅲ(Family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Ⅲ)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검사도구는 이정란(2003)이 개발하여 사용한 유아용 자기조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박주희,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은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가족 상호작용의 유형을 가족 응집성과 가족 적응성에 따라 FACES Ⅲ에서 제시한 가족체계 분류법에 근거하여 각각 4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이러한 집단 구분에 근거한 자기조절과 또래 유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후, 구체적인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응집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F=18.49, p<.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가족 응집성 수준이 가장 높은 매우연결 집단의 유아들이 그렇지 않은 다른 집단들의 유아들보다 훨씬 자기조절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가족 응집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들이 자기조절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적응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F=7.41, p<.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가족 적응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들이 자기조절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는 매우융통적 집단의 유아들의 자기조절능력은 다른집단의 유아들보다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 응집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또래유능성(F=6.93, p<.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가족 응집성 수준이 가장 높은 매우연결 집단의 유아들이 또래들과의 관계설정을 잘 할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가족 응집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또래유능성이 아주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 적응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또래유능성(F=2.86, p<.05)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가족 적응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또래유능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가족 적응성의 수준이 가장 높은 매우융통적 집단의 유아들이 다른 집단의 유아들보다 또래유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 유능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의 가족 응집성과 가족 적응성 수준은 유아의 자기조절 및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볼 때 유아의 가족 상호작용에서 가족들의 결속력이 높고 상호간의 의사소통의 정도도 높으며 정서적인 유대감이 높은 가족의 유아들은 자아조절도 잘 할뿐만 아니라 또래들간에서도 인기있고 사교적이며 친사회적이고 주도적인 활동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그렇지 않은 가족의 유아들은 상대적으로 자아조절력도 약할뿐만 아니라 또래간의 관계에서도 가족응집성의 정도가 높은 가족의 유아들보다 효과적이지 못한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적응성의 수준도 가족 응집성의 수준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보아 가족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의 정도는 유아들의 개인내 발달인 자아조절과 개인외적 발달인 또래유능감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본 연구는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가족구성원의 상호작용은 기능적으로 또는 관계적으로 응집력이 있고 적응성이 있을 필요가 있으며 이는 결국 유아들의 몫이기 보다 부모들 및 가족 구성원 전체의 몫이기에 가족구성원들간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유아들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족의 해체나 가족구성원들간의 갈등은 유아에게 효과적이지 않으며 정상적인 가족관계의 설정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나 사회적 장치가 있을 필요가 있다.

      • 중년기 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 학습참여 동기와 삶의 의미 간의 관계 : 관계성의 조절효과

        이임순 숙명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life events and learning motivation on the meaning of life for middle-aged female learners who are learning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is study intended to make middle-aged women aware of the importance of learning and relationship on the meaning of life, and to seek ways to enhance the meaning of life in the scene of counseling.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will provide basic data on adult learning study by enhancing understanding of middle-aged female learners. For this, this study was set out research hypotheses as follows. First, the life events of middle-aged female learners will impact on their meaning of life. Second, the learning motivation of middle-aged female learners will impact on their meaning of life. Third, the relationship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female learners' experience in life events and the meaning of life. Forth, the relationship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femal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the meaning of life. Data were collected from 874 middle-aged female learners aged 40 to 65, who are studying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nam-do, and Gangwon-do provinces. The analysis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o verify the validity of existing measures, the EFA(exploratory factory analysis) and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impact of life events and learning motivation on the meaning of life, simple-regression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lso,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in life ev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eaning of life. In particular, personal-society factor among the sub-factors of the life events have been identified as a factor that significantly explain the meaning of life. However, economic, workplace and physical-health factor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Second, the learning motivation influenced on the meaning of life. The learning-directed motivation and goal-directed motivation have been identified as meaningfully explaining the meaning of life. Activity-directed motivation, however, was foun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Third, the effect of experience in life events on the meaning of life depends on the level of th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in the group with high relationship scores, the negative impact of life events on the meaning of life was weakened, resulting in high scores of the meaning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 low-relationship group had a lower score on the meaning of life, even if they had not experienced a serious life event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were verified in all sub-factors(economic, workplace, physical-health) of the life events on the meaning of life. Forth, the influence of the learning motivation on the meaning of life was found to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in the effect of goal-directed motivation on the meaning of life. In a group with high level of the relationship, the goal-directed motivation had little impact on the meaning of life. On the other hand, in low-relationship group, goal-directed motivation had more influence on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in life events affects the meaning of life. In particular, the personal-social factor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explaining the meaning of life. In other words, for middle-aged women, personal achievement or change, and experiences in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can be important for the meaning of life. Second, in addition to confirming the influence of the learning motivation on the meaning of lif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life is increased when participating in learning with learning-directed and goal-directed motivation.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directed motivation, which means the interest and enjoyment of learning itself, and goal-directed motivation, which has a clear purpose to gain through learning, can increase the meaning of life.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we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in life events, learning motivation, and meaning of life. In other words, i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can be a factor that helps to express the meaning of life by moderating the influence of the various experience in life ev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moderates the influence of th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goal-directed motivation on the meaning of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improved understanding of not only middle-aged female learners but also adult learners.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에서 학습하고 있는 중년기 여성학습자를 대상으로 생활사건 경험과 학습참여 동기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에서 관계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중년여성들의 삶의 의미에 대한 학습 및 관계성의 중요성을 알리고, 상담의 장면에서 삶의 의미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중년여성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높여 성인학습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은 삶의 의미에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중년기 여성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는 삶의 의미에 영향을 줄 것이다. 셋째, 관계성은 중년기 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과 삶의 의미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넷째, 관계성은 중년기 여성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삶의 의미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경남, 충남, 강원도에 소재한 평생교육기관의 고등교육기관에서 학습하고 있는 40세에서 65세의 여성학습자 874명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 측정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및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생활사건 경험 및 학습참여 동기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관계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사건 경험은 삶의 의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사건 경험 하위요인 중 개인·사회 요인은 삶의 의미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경제, 직장, 신체·건강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참여 동기는 삶의 의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참여 동기 하위요인 중 학습지향 동기와 목표지향 동기는 삶의 의미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활동지향 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사건 경험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은 관계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계성 점수가 높은 집단의 경우, 삶의 의미에 미치는 생활사건 경험의 부적 영향이 약화되어 삶의 의미 점수가 높았던 반면, 생활사건을 심각하게 경험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관계성 수준이 낮은 집단은 삶의 의미 점수가 낮았다. 또한 삶의 의미에 대한 생활사건 경험의 모든 하위요인(경제, 직장, 신체·건강, 개인·사회)에서 관계성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학습참여 동기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은 관계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참여 동기 하위요인 중 목표지향 동기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관계성 수준이 높은 집단은 목표지향 동기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은 반면, 관계성 수준이 낮은 집단은 목표지향 동기가 삶의 의미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생활사건 경험은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개인·사회 요인이 삶의 의미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중년여성들에게 있어 개인적 성취나 변화,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경험이 삶의 의미에 중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삶의 의미에 대한 학습참여 동기의 영향력을 밝힌 것과 더불어 학습지향 동기, 목표지향 동기를 갖고 학습에 참여하게 될 때 삶의 의미가 높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학습 그 자체에 대한 관심과 즐거움이 있는 학습지향 동기, 학습을 통해 얻고자 하는 분명한 목적이 있는 목표지향 동기는 삶의 의미를 높이고 활력이 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생활사건 경험 및 학습참여 동기와 삶의 의미 간의 관계에서 관계성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관계성이 다양한 생활사건 경험의 영향력을 조절해 줌으로써 삶의 의미 발현을 돕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또한 학습참여 동기 전체 및 목표지향 동기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성이 조절하고 있음이 확인되어 중년여성학습자 뿐 아니라 성인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었다는 측면에서도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