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기업-공중 간 관계성이 위기 관리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공중의 위기 상황 분석 및 이미지 회복전략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이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1984년 Ferguson의 연구를 시작으로 PR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기업-공중 간 관계성이 대두됨에 따라 기업 공중 간 관계성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PR의 세부 분야에의 적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그 연구가 이론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그 실증적 효과를 밝히고 있는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업- 공중 간 관계성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적용하여 실제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기업 공중 간 관계성의 연구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위기 관리 커뮤니케이션 역시 기업 공중간 관계성이 이론적으로, 또한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분야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기업-공중 간 관계성이 공중의 위기 상황 분석과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태도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더하여, 앞서 제시한 연구 문제의 두 가지 종속 변수-위기 상황 분석과 이미지 회복 전략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도출해 봄으로써 위기 상황에 따라 차별적인 이미지 회복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기업-공중 간 관계성 척도를 이용하여 기업 공중간 관계성을 측정하고, 위기 상황을 제시한 후 위기 상황 분석을 기업의 위기에 대한 책임성과 위기의 심각성을 통해 측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앞서 제시된 위기 상황에 대한 기업의 이미지 회복 전략을 제시하여 이러한 전략에 대한 태도를 수용 여부와 진실성 판단 두 가지를 통해 측정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기업-공중 간 관계성이 적대적인 공중은 호의적인 공중에 비해 위기 상황을 더 심각하게 분석하였으며 위기 상황의 책임을 더 기업 쪽으로 돌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7가지의 이미지 회복 전략에 대한 공중의 진실성 판단과 수용 여부는 개선 행위 전략과 사과 전략을 제외한 모든 이미지 회복전략에 대해 적대적인 관계성 집단과 우호적인 관계성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 졌다. 단, 개선 행위 전략과 사과 전략에 대한 진실 여부와 수용 여부에 대해서는 두 집단 사이의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는데 이는 이 두 가지 전략이 가장 순응적인 전략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업이 위기 상황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그 사고에 대한 사과나 보상 기준을 명시한 경우이다. 즉, 기업이 전적으로 잘못을 인정한 경우에는 적대적 관계성 집단과 우호적 관계성 집단이 모두 기업의 이미지 회복 전략에 대해 진실이라고 생각하며 그 수용력도 높게 응답해 두 집단 사이의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하지만 나머지 전략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수용 가능한 전략과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전략의 범위에도 큰 차이를 보여 기업-공중 간 관계성에 따라 기업이 구사할 수 있는 이미지 회복 전략이 차별적임을 밝혀 내었다. 마지막으로 위기 상황 분석과 이미지 회복 전략의 관계에 대한 검증에서도 역시 공중이 위기 상황을 부정적으로 분석할수록, 즉 위기 상황에 대한 기업의 책임성이 높고 위기가 심각하다고 분석할수록 기업의 이미지 회복 전략 중 사과 전략과 개선행위 전략을 제외한 모든 전략에 대해서 수용 여부와 진실성이 낮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어 부적인 관계가 밝혀 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관계성이 공중의 위기 상황 분석과 이미지회복 전략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 주는 것으로 기업- 공중 간 관계성이 공중의 위기 상황에 대한 판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기업 입장에서 사전적인 위기 관리 전략과 사후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이 연구는 기업 공중 간 관계성의 관리를 통한 사전 위기 커뮤니케이션 관리가 가능함을 제시하며, 사후적으로는 공중과의 관계에 따라 또한 각 위기 상황에 따라 공중의 이미지 회복 전략에 대한 태도가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계와 상황에 맞는 이미지 회복 전략을 전략적으로 구사할 수 있다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Since 1984 in which Ferguson proposed "relationship" as a new paradigm for Public Relations,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hip has been the most important theme of a theoretical study and its application to detail fields of PR has been excuted, such as Marketing Public Relationships and community relations. However, unfortunately, these researches are merely focus on a theoretical level and an empirical study, which proves its actual effects for PR,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provide rationale for studying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hip" by an experimental research that applies organizational public relationship to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s. For this, this study divided subjects into a friendly public and hostile public using a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for organizational public relationship (Kim, 2000) and figure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analyzing a same crisis situation and an attitude to image restoration strategy of organizational that occur that accident. Also, the dependent variables of former research hypothesis - the analysis of crisis situation and the attitude to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of an organization -are also tested for correlations, based on former existing theory. The analysis of crisis situation is measured by subject's evaluating the responsibility of organization and severity of crisis toward the given crisis situation and the attitude to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is estimated by answering the acceptability and credibility of each strategies. According to experiment, the group who has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analyzed the same accident less severe and less responsible than the group with hostile relationship. Also, the friendly group's attitude showed more acceptable and more credible to 5-image restoration strategies-attack the accuser, denial, ingratiation, excuse and justification.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full apology and corrective actions were insignificant. It seems that because those strategies are the most accommodative strategies that an organization fully admitted their mistake, both group showed relatively positive answers. Except two strategies,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significant and the acceptable and credible strategies according to groups were quite different. It mean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public relationships, organizations can make discriminative use of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At last, correlations between the analysis of crisis situation and the attitude to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of an organization also were negatively significant, except corrective actions and full apology. These all findings shows the crucial effect of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hip to the analysis of crisis situations and the attitude to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This can suggest the blue print of proactive and reactive crisis management strategy of the organization. In conclusion, through the managing organizational public relationships, an organization can not only manage the crisis in advance but also strategically select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as post crisis managements. This study suggests proactive and reactive crisis management strategy in crisis management aspects, and gives rationale for the ongoing theorizing process of organizational public relationships in relation management aspects. Finally, it tried to provide the visible effects of Public relations, practically.

      • KR-31831, a novel synthetic anticancer agent, has inhibitory activity on angiogenesis : 신규 합성 항암제 KR-31831의 혈관신생 억제활성에 관한 연구

        이의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암세포는 그들의 무한한 증식과 다른 조직으로의 전이를 위해서 새로운 혈관의 형성 (angiogenesis)이라는 과정을 필요로 하며, 혈관신생과정은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증식, 세포 외 기질 및 기저 막의 분해 과정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혈관신생은 혈관신생 촉진인자와 억제인자 사이의 균형에 의해 엄격히 조절을 받으며 이들 인자들의 불균형에 의해 고형암, 섬유성 혈과종, 류마티스성 관절염, 당뇨병성 망막증과 같은 병적 과정을 야기하게 된다. 최근 암을 치료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세계 각국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연구는 주로 혈관신생을 조절하는 인자들을 목료로 연구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화학 연구소에서 심장혈관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한 KR-31831이라는 물질이 혈관신생 과정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먼저, KR-31831 이 혈관내피세포에 독성을 가지지 않는 범위의 농도를 정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의 생존율이 80% 이상 되는 범위 안에서 임의적으로 3가지의 농도 (50, 100, 150uM)를 결정하고 이후에 진행되는 실험에서 적용하였다. 혈관신생에 포함되는 여러 과정에 KR-31831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Wounding migration assay, Invasion assay, Gelatin zymography, Tube formation assay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세포의 성장, 세포의 이동, 세포 외 기질로의 침윤, gelatin 분해능력, tube의 형상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iv vitro 상의 결과를 재확인하기 위해 in vivo 상의 혈관신생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in vivo mouse Matrigel plug assay를 수행한 결과 KR-31831 이 혈관신생과정을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미 알려진 혈관신생 촉진 인자들의 발현 양상은 RT-PCR을 수행하여 확인한 결과, KR-31831 이 bFGF, FGFR-2, VEGFR-2(KDR)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KR-31831의 혈관신생에 미치는 작용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이동, 분화단계, 그리고 세포 외 기질 성분의 분해의 억제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혈관신생 인자와 그들의 수용체들의 발현의 감소가 밀접하게 관여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KR-31831 이 혈관신생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다 많은 임상실험을 거친 후, 항암제로의 사용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

      • Characterization of anti-angiogenic activities of synthetic and natural compounds

        이의연 부산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암세포는 그들의 무한한 증식과 다른 조직으로의 전이를 위해서 새로운 혈관의 형성(혈관신생)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필요로 하는데, 이 과정은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증식, 침윤과 세포 외 기질 및 기저막의 분해 등의 과정을 포함한다. 이 같은 과정은 혈관신생 촉진인자와 억제인자 사이의 균형에 의해 엄격한 조절을 받으며 이들 인자들의 불균형에 의해 고형암, 섬유성 혈관종, 류마티스성 관절염, 당뇨병성 망막증과 같은 병적 과정이 야기되기도 한다. 최근 혈관신생 과정을 조절하는 인자들을 목표로 하는 암 치료제 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혈관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된 KR-31482와 KR-31831, 암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된 SJ-8002, SJ-8026 그리고 SJ-8029라는 화합물이 혈관신생 과정을 억제하는지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KR-31482와 KR-31831은 benzopyran 계열의 화합물로 benzopyran구조는 약물의 합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학구조로서 항산화제, 심장혈관 질환 치료제 등의 약물 개발에 사용되고 있다. SJ-8002, SJ-8026 그리고 SJ-8029는 topoisomerase II 와 microtubule inhibitor로 개발된 물질로 기존에 알려진 inhibitor는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면서 암세포의 사멸을 유발하는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각 화합물을 이용하여 혈관신생에 포함되는 여러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in vitro assay들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포의 성장, 세포의 이동, 세포 외 기질로의 침윤, gelatin 분해능력, tube의 형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in vitro 상의 결과를 재 확인하기 위해 in vivo 상의 혈관신생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in vivo mouse matrigel plug assay과 CAM assay를 수행한 결과 각 화합물이 혈관신생과정을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R-31831의 경우에는 이미 알려진 혈관신생 촉진 인자들인 bFGF, FGFR-2 그리고 VEGFR-2(KDR)의 발현 양상을 RT-PCR을 수행하여 확인한 결과 각 인자들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과정에서 혈관신생 관련 인자와 그들의 수용체들의 발현이 밀접하게 관여되어 있다는 사실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혈관신생 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염증반응 과정이 알려져 있다. 이는 혈관신생과 염증반응의 각 과정에서 관여하는 성장인자들과 각 성장인자들과 관련된 신호전달 과정이 공통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암을 치료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물질들이 혈관신생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염증반응과 혈관신생 과정을 동시에 억제 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반응의 대표적 신호전달 과정인 NF-ĸB의 발현이 억제된다고 보고된 Betaine과 Xylitol이 혈관신생 과정을 억제할 것으로 예상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 천연물을 이용하여 혈관신생에 포함되는 여러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in vitro assay들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포의 이동, 세포 외 기질로의 침윤, tube의 형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In vitro 상의 결과를 재 확인하기 위해 in vivo 상의 혈관신생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in vivo mouse matrigel plug assay를 수행한 결과 각 천연물이 혈관신생과정을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규 합성 화합물 5종과 천연물질 2종이 혈관신생 과정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각 물질이 혈관신생 과정을 억제하는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와 함께 임상 단계의 실험들을 충분히 거친다면, 항암제로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Angiogenesis is a process of remodeling of primitive vascular network into mature vasculature through sprouting, branching, and differential growth of blood vessels (Pawel et al., 2004). The process of angiogenesis consists of several steps, which include the stimulation of endothelial cells (ECs) by growth factors, the subsequent degradat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by proteolytic enzymes followed by invas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ECs, and finally the formation of new capillary tubes. Eventually, the recruitment of periendothelial cells (pericytes) stabilizes the newly formed capillary network (Emmanouil et al., 2001; Bobert et al., 2006; Femke et al., 2007). There is a growing body of experimental evidence that anti-angiogenic strategies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therapy of cancer. Several compounds containing anti-angiogenic properties are now under clinical investigation (Bisacchi et al., 2003). In this study, several synthetic and natural compound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anti-angiogenic activities. At first, benzopyran derivates, KR-31482 and KR-31831, were tested for their anti-angiogenic activities using in virto and in vivo angiogenesis assays. KR-31482 and KR-31831 inhibited the proliferation, migration, invasion and tube formation of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BAECs). In addition, KR-31482 and KR-31831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in BAECs (Figs. 3 and 5).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re secreted as proenzymes and key regulators of extracellular matrix turnover through degradation a wide variety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Bergers et al., 2000). The benzopyran derivates also inhibited angiogenesis in chorioallantic membrane (CAM) assay and/or in vivo mouse matrigel plug assay (Figs. 4 and 6). Furthermore, the mRNA expressions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2 (FGFR-2),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2 (VEGFR-2) were decreased by KR-31831 (Fig. 7). VEGF stimulates endothelial cells to degrade their tubes in vitro and is a potent angiogenesis inducer in vivo (Meadows et al., 2001). VEGF exerts its effects through a series of high-affinity receptors, including Flk-1 (KDR) and Flt-1 which is expressed early in endothelial differentiation and is signaling receptor during angiogenesis (Masso-welch et al., 2002). FGF-2 is also expressed at low levels in almost all organs and tissues (Leung et al., 1989). It is found in many cultured cell types, including fibroblast and endothelial cells. FGFR activation through an intracellular signal cascade is leading to multiple biological responses (Asahara et al., 1995), including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differentiation, protease production and angiogenesis (Liekens et al., 2001). Secondary, three other synthetic compounds used in this study are SJ-8002, SJ-8026 and SJ-8029. SJ-8002 exhibits microtubule-inhibiting activities, and SJ-8026 is exhibits topoisomerase II -inhibiting activities. SJ-8029 exhibits both microtubule and topoisomerase II inhibiting activities. These compounds are synthetic anti-cancer agents which are known to target for disease including stroke, ischemia and several cancers (Cho et al., 2002). In vitro and in vivo angiogenesis assays were carried out to demonstrate anti-angiogenic activity of these compounds. SJ-8002, SJ-8026 and SJ-8029 inhibited the proliferation, migration, invasion, tube formation and expression of MMP-2 in BAECs (Figs. 8, 10 and 12) in in vitro condition. Especially, SJ-8029 inhibits in vitro angiogenesis at lower concentration compared to SJ-8002 and SJ-8026. Since SJ-8029 contains both activities of anti-microtubule and anti-topoisomerase II, the antiangiogenic effects of SJ-8029 appeared to be synergistic in in vitro condition. In addition, SJ-8002, SJ-8026 and SJ-8029 also decreased the in vivo angiogenesis in the CAM and the mouse matrigel implants (Figs. 9, 11 and 13).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compounds could be a candidate for anti-cancer agent with the ability to inhibit the in vitro and in vivo angiogenesis of endothelial cells. Angiogenesis and inflammation seems to be important in tumor growth and expansion (Lin et al., 2007). These processes are exacerbated by increased production of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these often share common signal pathway (Sporn and Suh, 2000). Thus, anti-inflammation has been studied for targeting anti-cancer such as angiogenesis inhibitors. For example, anti-inflammatory drugs, such a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leads to angiogenesis inhibition (Jones et al., 1999). The mechanisms of anti-inflammation provide new approaches to target, cure, or even better, prevent angiogenesis by treatment with synthetic or natural agents (Yamamoto and Gaynor, 2001; Coussens and Werb, 2002). The crucial role of NF-ĸB in inflammation is well known (Gilmore, 2003; Karin, 2006). NF-ĸB is also a key factor in tumorigenesis given its ability to control the expression and the function of a number of genes involved in these processes (Francesco et al., 2006). Targeting the NF-ĸB pathway seems to have therapeutic relevance in various cancers (Dobovoldksis and Kozlov, 2005). For example, blockade of NF-ĸB activation and its downstream anti-tumor and anti-angiogenic activity using a synthetic proteasome inhibitor has shown some efficacy (Yvonne et al., 2007). Recent data directly link NF-ĸB activation in tumor and inflammatory cells to tumor progression, further supporting targeting NF-ĸB as a strategy to concurrently obtain inhibition of inflammation and angiogenesis (Ahn et al., 2006). Betaine and xylitol were obtained in various microorganisms, plant and animals and used widely for food sources (Craig, 2004; Loesche et al., 1984). In recent report, betaine and xylitol has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inhibiting NF-ĸB activation (Go et al., 2005; Han et al., 2005). Thes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nti-angiogenic activities as well 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Fist of all, western blo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heck inhibition of NF-ĸB activation by betaine and xylitol treatment in our system. The result is that phosphorylation of NF-ĸB was suppressed by betaine and xylitol (data not shown). Therefore, in vitro antiangiogenic activities of betaine and xylitol were examined. As shown Figs. 14 and 16, betaine and xylitol inhibits the migration, invasion and tube formation of human microvessel endothelial cells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order to demonstrate in vivo anti-angiogenic effect of betaine and xylitol, mouse matrigel plug assay was performed (Figs. 15 and 17). As a result, betaine and xylitol strongly inhibited in vivo angiogene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betaine and xylitol may be a potential to be a useful angiogenesis inhibitors. Recently, many groups of anti-cancer agents and angiogenesis inhibitors, including synthetic and natural compounds, are being investigated for their efficacy in vivo and in vitro (Shureiqi et al., 2000; Tsuda et al., 2004; Ferrari and Kerbel, 2005). It seems very important to screen useful candidates as angiogenesis inhibitors from synthetic and natural origins. In this study, several synthetic and natural compounds were examined for their antiangiogenic activities, and these compounds could be further developed as ideal candidates for angiogenesis inhibitors.

      • 초·중학교 공통 교과의 시간 배당 비중 변화에 따른 적정화 방향 탐색 연구

        이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중학교 공통 교과의 시간 배당 비중 변화를 짚어보고 적정화 방향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교육과정은 일면 한정된 시간 내에 무엇을 얼마나 가르치고 배울 것인지에 대한 계획과 시간 배분을 의미한다. 이는 교육과정의 핵심 역할로,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 시마다 중요한 쟁점이 되어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개정에서 시간 배당과 관련된 논의가 교육적인 측면보다는 교과목의 지위 상승과 영역확보, 이익집단의 알력 다툼, 경로의존성 등 정치적이고 관행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졌다는 관점이 우세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과 시간 배당 비중을 둘러싼 교육과정 변천사를 탐구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합리적 구성 방안에 대한 기초논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공통 교과의 시간 비중은 어떻게 변해왔으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공통 교과 시간 비중의 적정화 방향은 무엇인가? 문헌 연구와 국제 비교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개정을 거듭하며 초등학교 교과에서는 국어, 수학, 사회의 경우 시간 배당 비중이 소폭 증가했으며, 영어는 제6차 교육과정의 도입 이후 시간 배당 비중이 크게 확대되었다. 반면 과학과 실과는 시간 배당 비중이 감소하였다. 중학교 교과에서는 국어, 사회, 영어의 시간 배당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수학과 과학은 큰 변화 없이 비슷한 비중을 유지했고, 실용 교과였던 실업·가정은 크게 줄어들었다가 학문 교과인 기술로 변경하면서 그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교과 시간 배당 비중의 변화는 학습자의 요구보다는 대부분 사회적 요구, 특히 정책적 사유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부하기 어렵고,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사회적 수요가 큰 자연과학 계열의 교과보다는 시간 배당 비중을 고려하면 인문·사회 계열의 교과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였다. 국제 비교 결과를 통해 살펴본 우리나라 교과 간 시간 배당 비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국어는 전반적으로 낮은 비중을 지니고 있으며, 수학의 시간 배당 비중은 초등학교 시기에 비교대상국 중 가장 적게 나타난다. 국사, 도덕 등으로 별도의 교과 분화가 일어난 사회/도덕의 시간 배당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배당 비중이 확대되는 경향은 여타 비교대상국과의 차이점이다. 과학/기술의 시간 배당 비중은 비교적 낮은 편이며, 외국어(영어)의 시간 배당 비중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공통 교과 시간 배당 비중의 변화는 주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이루어졌으며,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데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에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논의를 포함하여 교과 시간 배당을 재검토할 것을 제안하며, 사회적 요구 또한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교사의 참여와 역할 확대를 포함한 교육과정 개정체제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최근의 공통 교과 시간 배당 비중은 인문·사회계열 교과에 편중되어 있는데, 이는 과학·기술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대 사회의 흐름과 상반된다. 기술·가정과 같은 교과는 수학, 과학과 같은 학문 과목의 지위를 가지지 못하였다. 문과 학생들이 수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부담감으로 계열 선택이 제한되었던 것처럼 학습자 중심의 관점에서도 교육과정의 수학 및 과학·기술 경시는 바람직하지 않다. 셋째, 지금까지의 교육과정 적정화 논의는 대부분 학습 내용의 양과 수준을 감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는 필요한 학습 수준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적정화는 학습자와 사회의 요구 사이의 균형과 적합성의 차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교과들의 시수를 확대하는 것도 적정화의 한 방향이 될 수 있다.

      • 꽃의 이미지를 통한 행복의 은유적 표현

        이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We all pursue happiness. Even when achieving happiness seems unrealistic, and when repeated failures to be happy make it seem unreachable, we still hope for happiness. We not only yearn for the happiness of ourselves, but also for that of our families, friends, teachers and many others around us. Although we all crave for happiness from the bottom of our hearts, expressing happiness often makes our cheeks blush. Moreover, we often have trouble clearly explaining or defining the term 'happiness' despite the fact that it frequently appears in our vocabulary. Even when you look in the dictionary for clarification, the term 'happiness' and other terms relating to happiness are defined in many different ways in multiple contexts. This is why most of us hesitate to give a quick answer when asked questions such as "what it the meaning of happiness?", or "are you happy?" Therefore, unless we clarify the definition of such terms with thoughtfully-set standards and perspectives, we might never know its usage in communication, or what to seek in order to be happy. Therefore, this work defines happiness as 'togetherness in relationships' and visualizes it in a realistic setting. This work started with a death of a friend who suffered from cancer. With this incident the artist came to realize how thankful she should be to the people around her that they are there, breathing beside her. By drawing trees, flowers, and nameless plants, the sorts of things that are commonly seen, but are taken for granted, this work tries to express the respect for life itself, and 'the value and purpose of existence' of life sprouting and withering. Furthermore, it intends to send a warm, loving message that more fruit will be bore in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persons. The foremost important metaphor in this work is a 'flower'. Life is like a 'flower'. In accordance to the laws of nature, a shoot sprouts from a small seed, and the most beautiful moment of a flower's life-cycle is the process of fruit bearing. This dazzling moment of bearing a fruit, however, accompanies significant pain. Such imagery of a flower overlaps with that of many people who outgrow their agonies. Likewise, the life-cycle of a flower, the repetition of blooming and withering with the flow of time, is similar to the life of a person filled with countless encounters and farewells, and hardships and hopes. As a bundle of flowers is more ravishing than a single flower, but not as much as the nature, where all different kinds of flowers and plants create magnificent collage; a person is more charming and powerful when he is with others. In this work, the above message is visually expressed in metaphorical ways. Not only are flowers used in delightful occasions such as birthdays and anniversaries, but they are also familiar items in many people's daily lives; therefore, they were chosen to be used as subjects in this work in order to easily communicate the viewers. By sharing the artist's attitude, always valuing and being thankful for her loved ones and all the memories, this work is the result of her endeavor to give a positive guideline to finding happiness to those who pursue happiness but only fail, and to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expressing happiness. 본인의 작품과 논문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행복이다. 행복은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다. 행복을 찾아 살아가는 삶 속에서 현실성을 얻지 못했을 때는 실패로 인한 실망이 더욱 커지는 행복의 부조리를 경험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행복을 희망한다. 나의 행복을 바랄 뿐 아니라, 가족, 친구, 선생님 등 주변 사람들의 행복을 기원한다. 이렇게 우리는 간절히 행복을 원하지만, ‘행복’하다는 표현을 할 때에는 종종 낯이 뜨거워지곤 한다. 또한 ‘행복’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지만 막상 ‘행복’이 무엇인지 설명해 보라는 요청을 받는다면 명확하게 설명하거나 정의를 내리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것은 사전에서 ‘성공’, ‘번영’, ‘행운’, ‘불운’ 등, 행복과 관련된 단어들은 여러 가지 뜻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어들에 대해 나름의 생각과 관점을 가지고 의미를 명확히 하는 작업이 없이는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행복하기 위해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지 모를 수 도 있다. 이러한 인식을 전제로, 본인은 행복을 ‘관계 안에서의 함께함으로 사람의 고유한 존재 가치와 본성이 회복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현실을 바탕으로 한 바람을 시각화 하였다. 본인의 작업은 친한 친구가 암에 걸려 세상을 떠난 사건에서 시작된다. 친구의 죽음을 통해 주변의 사람들이 곁에서 숨을 쉬고 존재한다는 것이 얼마나 고마운 일인지 새삼 깨닫게 되었다. 나무, 꽃, 이름 없는 풀 등 흔하게 볼 수 있으나 사람들이 크게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소재를 그리는 것을 통해 생명의 경외심을 느끼고, 끊임없이 생명이 움트고 지는 그 자체의 ‘존재가치와 목적’에 대해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긍정심리학의 마린 셀리그만(Martin E. P. Seligman)은 ‘완전한 행복’이란 책에서 행복해지려면 행복에 대한 시각부터 교정하라고 조언하는데 일시적인 가치가 아닌 우리 안에 있는 진정한 가치들에 집중할 때 우리는 힘을 얻는다는 것이다. 사회적 존재로서 관계 안에서 사람에게 있는 고유한 가치를 발견하고 그것들을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행복으로 보고, 사람 안에 있는 고유의 존재 가치가 회복되고 함께 하는 것을 자연 안에서의 하모니를 통해 표현하였다. 형상화 방법으로는 사람을 은유하는 꽃을 통하여 만남이 이루어져 본성이 회복되는 이상공간을 설정하였다. 사람을 표현하는데 꽃을 사용한 이유는 일상에서도 자주 접하는 친근한 소재이기 때문에, 본인의 사적인 경험들이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모두가 공유하는 소통할 수 있는 언어로 쉽게 다가 설 수 있고, 꽃의 피고 지는 모습은 사람의 생명을 상징하며 만남과 헤어짐, 시련과 희망이 반복되는 인생에 비유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인생에 비유될 수 있는 꽃이 한 송이 보다 한 다발이 풍성하고, 모든 꽃들과 풀 들이 모여 있는 자연이 더 풍성하듯, 한 사람의 특별함을 색과 다른 꽃의 모습으로 표현하여 모아둠으로써, 혼자 있을 때에도 특별하지만 함께 있을 때 더욱 도드라지고 힘을 받을 수 있음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였다.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색채의 사용도 밝고, 경쾌한 색과 먹의 대비와 행복이 강조 되도록 표현하였다.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상호 교류의 소통이 단절된 현실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놓치기 쉬운 소소한 삶의 부분과 만남, 기억들에 대한 소중함과 감사함을 의연하게 바라보려는 본인의 태도가 우리 안에 존재하는 진정한 가치와 사람의 고유성을 인식하고 타고난 모습으로 아름답게 성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작은 등불, 또는 나침반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앞으로의 작업 방향을 모색하고 탐구하였다.

      • 스케줄링을 병행한 골반 저근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배변 · 배뇨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스케줄링과 병행한 골반저근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배변·배뇨 기능,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배변·배뇨 장애 증상을 진단 받은 20명이었고, 선정된 대상자를 실험군(스케줄링 + 골반 저근 운동)과 대조군(일반적인 배변·배뇨 관리 프로그램 교육)에 10명씩 무작위 할당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4주 동안 주 5회, 총 20회기, 매일 20분 동안의 스케줄링과 골반 저근 운동을 작업치료사와 일대일로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일반적인 배변·배뇨 관리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고 수행 여부는 구두로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은 기술 통계와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 그룹 내 중재 전, 후 차이 비교를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 두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만-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사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 수준(p value)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군에서는 변실금 삶의 질 척도 중 곤란·부담 항목을 제외한 배뇨 수행 능력, 변비 사정 척도, 미국 비뇨기과학회 증상 지수,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 변실금 삶의 질 척도 모든 평가 결과 중재 전과 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5). 대조군에서는 실험군과 달리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의 배변 조절, 변실금 삶의 질 척도 중 곤란·부담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케줄링과 골반 저근 운동을 병행한 집단에서 배뇨 수행 능력의 변화를 평가하는 배뇨 수행 능력, 미국 비뇨기과학회 증상 지수 결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스케줄링과 골반 저근 운동을 병행한 중재가 일반적인 배변·배뇨 관리 프로그램보다 뇌졸중 환자의 배뇨 시간 조절 정상화와 요실금 증상 호전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는 배변·배뇨 중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원으로 중재에 적극적인 참여 필요성을 제시하고, 작업치료사의 배변·배뇨 중재 접근성 확대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ing scheduling with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on bowel and bladder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Twenty who were diagnosed with bowel or bladder dysfunction after stroke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group(N=10) or control group(N=10).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general bowel and bladder management program, scheduling(5min) combined with pelvic floor muscle training(15min) for 20min per session, 5 times a week, for 4 weeks. Control group received general bowel and bladder management program for 5 days a week, for 4 weeks, for a total of 20 sessions, respectively. For result analysis described analysis, chi-square test, Wilcoxon sing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5. As a result of this study, Both groups improved on all outcome measures after the intervention. In terms of within group differences,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on Urinary continence measurement scale, CAS, AUA, K-MBI and FIQL(p<.05), except for the sub-items embarrassment on FIQL (p>.05). but the contro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on all the outcome measures(p<.05), except for the sub-items bowel control on K-MBI and embarrassment on FIQL (p>.05). In the comparison done among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rinary continence measurement scale and AUA,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ombining scheduling with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normalize bladder time interval control and improve of urinary incontinence. In future study, investigators need to consider research with large participation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nd long term follow-up. In this study, occupational therapists play an important role in bowel and bladder interventions suggests the necessity of active participation in interventions as a team member. It is meaningful to expand the area of bowel and bladder interventions of occupational therapists.

      •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대일 인식의 이중성 연구 : 「여인전기」와 「여자의 일생」을 중심으로

        이의연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의 목적은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대일 인식의 이중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을 이와 같이 설정한 이유는 몇 가지 이유가 있어서이다. 첫째, 1970년대 이후 채만식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시각으로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일 인식에 대한 본격적 · 단독적인 연구는 대단히 미미한 실정이라는 것, 둘째, 그럼에도 전반적인 문학의 맥락에서 볼 때, 채만식의 문학세계를 결코 무시할 수 없다는 점, 셋째, 따라서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대일 인식의 이중성 연구는 채만식에 대하여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작업이다. 채만식은 3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현실 비판적인 소설을 썼지만 30년대 말기에 들어서면서 대일 협력 소설을 쓰기에 이른다. 그러나 해방이후 반성 적 포즈의 자전적 소설과 객관소설이 병립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채만식의 이러한 문학적 변화는 그의 사상 변화와 맞물려 있었다. 본고에서는 30년대 말부터 해방 직후까지 채만식이 보여줬던 대일 인식의 이중성에 주목했다. 이를 밝힐 텍스트로 『여인전기』와 『여자의 일생』을 택하여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여인전기』와 『여자의 일생』은 연작소설로 볼 수 있다 즉, 『여자의 일생』 과 『여인전기』 가 연결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두 작품은 그 성향이 상반된다. 『여인전기』 가 대일협력의 모습을 보인다면, 『여자의 일생』 은 반일적인 성향이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채만식의 사상 변화를 살펴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대일 인식의 이중성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하였다. Ⅱ장에서는, 30년대 후반의 문학적 경향을 밝혀 채만식이 놓인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고, 채만식의 생애와 그의 문학적 경향을 통해 채만식의 사상변화 양상에 주목했다. 30년대 중반 이후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면서, 문단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이 시기의 작가들은 문학작품에 이념이나 사상을 반영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압박 속에서 작가들은 작품을 쓰는 데 있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30년대 후반 이후의 소설들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특징적인 면모를 보여주게 된다. 첫째, 작품에서 드러나는 사상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세태소설과 심리소설이라는 특징적 형태로 드러나게 된다. 사상성이 줄어든 자리에 '세태묘사'와 '심리묘사'가 들어오게 된 것이다. 둘째, 통속소설이 범람하는 특징을 보이게 된다. 셋째, 전향소설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문학의 경향은 결국 채만식의 문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억압적인 시대 상황에서 오는 무기력함은 작가 채만식의 정체성을 무너지게 한다. 결국 채만식은 3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현실 비판적인 소설을 썼지만 30년대 말기에 들어서면서 대일 협력 소설을 쓰기에 이른다. 그러나 해방이후 반성적 포즈의 자전적 소설과 객관소설이 병립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채만식의 이러한 문학적 변화는 그의 사상 변화와 맞물려 있었다. Ⅲ장에서는, 채만식의 대표적 대일 협력 소설인 『여인전기』를 분석하여, 이 작품이 보이고 있는 대일 협력의 모습들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따라서 본고는 일제가 내세웠던 파시즘 논리와 징병제 등이 『여인전기』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등장했는지 밝히는데 주력했다. 우선, 『여인전기』를 쓰기 위해 채만식이 어떤 친일 논리들을 내세웠는지를 살펴보았다. 채만식은 신체제의 논리를 펴기 위해, 가족 중심인 조선의 제도를 비판하고 국가 중심인 일본의 제도를 옹호한다. 또한 징병제 옹호를 통한 파시즘의 형상화를 시도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대일 협력의 모습을 보이던 채만식은 해방 후에 쓴 장편소설 『여자의 일생』에 가서는 그 태도가 변하게 된다. Ⅳ장에서는, 『여인전기』의 연작소설 격인 『여자의 일생』에 드러난 반일사상을 살펴보고, 시대 상황에 따라 변화한 채만식의 사상적 경향을 밝혔다. 『여자의 일생』에 등장하는 지식인 남진사는 적극적으로 일본을 비판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여인전기』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이 친일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것과 상반되는 모습이다. 또한 작가는 여기서 더 나아가 직접 제국주의 일본을 비판하기에 이른다. V장에서는, 채만식의 대일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채만식이 1939년까지 고수했던 체제비판적인 문학 태도를 버리고, 1940년에 들어서면서부터 『여인전기』와 같은 대일 협력 소설을 쓰게 된 경위는, 당시의 허무주의적 의식과 극심한 경제적 궁핍, 그리고 일제의 위협에 의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해방 이후, 『여인전기』의 연작 소설이라 할 수 있는 『여자의 일생』을 반일적 성향이 강한 작품으로 쓴 이유는, 대일 협력 행위에 대한 자기 방어 논리를 구축하기 위함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채만식의 대일 사상 변화 과정은 그의 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체제비판적 문학 경향을 고수하던 채만식이 갑자기 『여인전기』와 같은 대일 협력 소설을 쓰게 된 변화와, 해방 후 『여인전기』의 개작으로 볼 수 있는 『여자의 일생』을 쓰면서 철저한 반일 정신을 보여주었던 변화는, 당시 작가의 정신적 혼란과 고뇌를 극명하게 드러내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duplicity in novelist Chai Man Sik's attitude toward Japan by studying his novels. The followings are the reasons why this thesis is aimed at it. First, little is known about awareness on Japan so far. Second, full-scare and thorough study about his attitude toward Japan is so rare in spite of many studies surveyed from various viewpoints since the 1970s. Third, despite above, his literary world can't be disregarded in the context of whole Korean Literature. Forth, to examine the duplicity in his attitude toward Japan can help more deeply understand Chai. By the early 1930s Chai wrote novels which criticized present situation. However, he wrote pro-Japanese novels starting from the late 1930s. After Korean Independence, his autobiographical novels out of self-criticism of his pro-Japanese writings and objective novels stood side by side. These changes in his literary career engaged with those in his thought. This thesis is focused on his double attitudes toward Japan shown from the late 1930s to after Korean Independence. To this end I choose 『Life of a Woman』 and 『Biography of a Woman』 as the grounds to see the changes. 『Biography of a Woman』 and 『Life of a Woman』 can be considered a serial story. That is, the two novel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Yet, unusually the two stories are contrary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 characters. While 『Biography of a Woman』 reflects pro-Japanese disposition, 『Life of a Woman』 is anti-Japanese. This disposition plays a key role in studying changes in his thought. Thus, this thesis generally analyzes Chai's double awareness about Japan revealed in his works by comparing the two novels. In the chapter two, I analyze the circumstance of his days through the literary tendency of the late 1930s. Also this chapter shows changes in his thought through his life and literature. Starting from the late 1930s Japan more harshly cracked down on Koreans, exerting an influence on Korea's literary circles. Authors in this period were not able to reflect their thought or ideology in works. Under this social pressure, writers sought out a new direction in their writing. Therefore, novels written after the late 1930s reveal a few aspects as follows. First, authors' thought was rarely reflected in works. This is well seen as special forms of situation novel and psychological novel. Description on the present conditions and psychology took the place of writers' thought. Second, popular novels were widely read. Third, conversion novels appeared. Conditions of this period and literary tendency eventually gave an influence on Chai's literature. Nervelessness out of oppressive social conditions got his identity as a writer collapsed Chapter three shows specific pro-Japanese aspects by analyzing his typical pro-Japanese novel, 『Biography of a Woman』. Thus, this chapter centers on how Japanese fascism and conscription system were revealed in 『Biography of a Woman』. First of all, I study pro-Japanese logic that Chai used in writing 『Biography of a Woman』. He criticized family-oriented system of Chosun Dynasty and supported Japan's nation-oriented counterpart, in order to advocate the Japanese New Order. Plus, he came to try to configure fascism by agreeing to Japanese conscription system. In spite of his active pro-Japanese behaviors, he changed his attitude in his long novel, 『Life of a Woman』 which was written after Korea's Independence. In chapter four, I analyze anti-Japanese thought reflected in his 『Life of a Woman』 which is a continuation of 『Biography of a Woman』, and light on disposition of his thought according to social conditions. Nam, an intellectual in 『Life of a Woman』 is a person who actively criticizes Japan. This runs counter to most of pro-Japanese characters in 『Biography of a Woman』. Furthermore, he came to directly criticize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Life of a Woman』 Chapter five shows the course of his switch in view of Japan. Nihilism, sharp economic poverty and Japan's threats prompted him to abandon his critical attitude toward Japan existing until 1939 and write pro-Japanese novels such as 『Biography of a Woman』. It also seems that after Korea earned Independence, he represented anti-Japanese ideas in 『Life of a Woman』 in order to build self-defence logic against his pro-Japanese behaviors. This conversion in his consciousness largely affected his literature. Mental confusion and agony of writers of the days is clearly reflected in the facts that he suddenly converted his critical attitude toward Japan in 『Biography of a Woman』 and that he showed thorough anti-Japanese attitude in 『Life of a Woman』written as a continuation of 『Biography of a Woman』after Korea's Independence.

      • 사회적 자본과 조직몰입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의연 단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Social capital, first presented by Hanifan in 1916, has been focused by numerous researchers (e.g., Coleman, Putnam) in earnest since the 1980s. Social capital promotes the functioning of an organization in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cludes a structural, cognitive, and relational capital among members of an organization, and regards a bond between members that are not owned by a particular individual. As results, it is evaluated as a potential tie for network activities that are inevitably associated with the organization, boss, and fellow members surrounded by its members, in addition to the comprehensive implications of the mutual cooperation of its members. Although there is a lot of research on social capital, there are few studies examining the double-sidedness of social capital. In order to examine social capital from various perspectiv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both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social capital. Present paper not only understood the positive results of the social capital investigated by the prior social capital researchers, but also focused on the negative aspects of the social capital. Although social capital can induce positive outcomes such a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excessively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could form closed group or instrumental tool and lead to group conformity. Based on this perspective, current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negative aspects of social capital. Present study also aims to provide the negative mechanism of social capital and the strengthened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paper analyzed whether the level of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of the members. Second, I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ird, present paper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ethical leadership. A total respondents of 565 questionnaires in 30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were analyzed by SPSS 23.0, Amos 24.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influences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positively. Second,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impact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rough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ive, Normative). Third, although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not significantly moderated by ethical leadership, it is true that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thical leadership. When social capital is excessively high in the organization, the members attempt to protect the organization or leader while completing the task, or engage i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at violates social norms. It is meaningful to have different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existing social capital. In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is fully mediat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implied that the social capital in the organization increases the emotional attachment and duty of the members, induces the group conformity that discriminates and rejects other groups, and causes the members to engage i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in violation of social norms. In the Moderated Mediation role of ethical leadership, although the hypothesis that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would be Moderated Mediation by ethical leadership was rejected, the magnitude of effect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thical leadership. The results displayed the dysfunction of social capital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mitigating the dysfunc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ethical leadership in addition to the existing research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s important. Based on these findings, current paper suggests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ethical leadership in order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supervisor and members for ethical management at the organization level. 1916년 Hanifan에 의해 사회적 자본이라는 개념이 최초로 제시된 이후 70여 년이 지난 1980년대부터 Coleman, Putnam 등 연구자들이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해 왔다. 사회적 자본은 조직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기능을 증진시키는 집합체, 구성원들 간의 구조적, 인지적, 관계적 자본이면서 한 특정적 개인에게 소유하지 않는 구성원들 간의 유대관계이다. 그 결과 사회적 자본은 조직 내 구성원들의 상호협력이라는 포괄적 의미 외에도 구성원들에게 둘러싸인 조직, 상사, 동료구성원들과 필연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네트워크 활동을 위한 잠재적 유대관계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자본을 양면성의 관점에서 검토해 보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사회적 자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의 순기능이거나 역기능을 양면성에 의해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사회적 자본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된 긍정적 결과를 이해함과 동시에 부정적 측면에도 주목하였다. 사회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이나 직무만족 등의 긍정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높은 사회적 자본은 폐쇄적 집단을 형성하거나 도구적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고, 집단 동조현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의 부정적 측면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자본의 부정적 메커니즘과 이에 따른 강화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적 자본의 수준에 따라 구성원들의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사회적 자본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윤리적 리더십의 수준에 따라 완화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서울, 수도권을 비롯하여 전국에 소재하는 30개 기업에서 565부의 설문응답을 바탕으로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3.0, Amos 24.0,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을(정서적, 규범적) 매개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윤리적 리더십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영향력이 윤리적 리더십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온 것은 사실이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의미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우선, 조직 내 사회적 자본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구성원들은 과업을 완수하는 과정에서 조직 및 리더를 보호하거나, 사회적 규범을 위반하는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이 나타난다. 이는 기존의 사회적 자본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를 가지는데 그 의의가 있다. 조직몰입 매개효과의 경우, 사회적 자본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조직 내에서의 사회적 자본이 구성원들의 정서적 애착과 의무감을 증대시켜 결과적으로 구성원들이 다른 집단을 차별하고 배척하는 집단 동조현상을 유발하고, 사회적 규범을 위반하는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참여하게 된다.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의 경우,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윤리적 리더십의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 가설이 기각되었지만, 윤리적 리더십의 수준에 따라 영향력 크기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자본의 역기능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중요하다는 기존의 연구에서 더 나아가 사회적 자본의 역기능을 완화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윤리적 리더십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조직차원의 적극적인 윤리경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사와 구성원들 간에 원활히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이해 및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