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氣海·腎兪 人蔘藥鍼이 Glucocorticoid 投與 mouse의 免疫反應에 미치는 影響

        이은홍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qua-acupuncture solution with Panax Ginseng into Qihai(CV_(6)) and Shenshu (BK_(23)) on immune response induced by glucocorticoid in mouse, Panax Ginseng aqua-acupuncture solution was injected into Qihai(CV_(6)) and Shenshu(BK_(23)) for seven days after injection with glucocorticoid. And then MA-HRP(methamphetamine-horseradish peroxidase) induced antibody production. numbers and lysozyme. activity in macrophage, Band T cell proliferation and cytolytic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s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ntibody production in mouse immunized with MA-HRP was decreased in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Although Qihai(CV_(6)) group showed slight increasement, Shenshu(BL_(23)) group indicated grate increasement compared with normal group. However in Aa-BL group, antibody production was almost increased to normal group 2. In control group, the numbers of macrophage were decreased about 14%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And in the pretreated groups of Qihai(CV_(6)) and Shenshu(BL_(23)) were respectively increased 3.0 times and 2.9 times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3. Effects of Panax Ginseng Aqua-acupuncture solution on the lysozyme activity in macrophage was increased gradually in the pretreated groups of Qihai(CV_(6)) and Shenshu (BL_(23))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4. Effects of Panax Ginseng Aqua-acupuncture solution on B cell proliferation by ^(3)H -thymidine incorporation were decreased about 25 percent in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On the other hand, B cell prolife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8 times in Qihai(CV_(6)) group and 2.5 times in Shenshu(BL_(23)) group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5. Effects of Panax Ginseng Aqua-acupuncture solution on T cell proliperation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were decreased about 15 percent in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On the other hand, T cell prolife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9 times in Qihai(CV_(6)) group and 2.3 times in Shenshu(BL_(23)) group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And in purified T cell, the proliferation was furtherly increased rather than in non -purified T cell. 6. The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NK cell) was remarkably decreased in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However, the activities of NK cells in Qihai(CV_(6)) and Shenshu(BL_(23)) groups were recovered to the above levels of norma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y of NK cell in the Aa-BL group was sligh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owever this increasement was not reached the levels of Qihai(CV_(6)) and Shenhu(BL_(23)) group. And in the case of purified NK cell, the cytolytic activity of NK cell was respectively increased 1.6 times in normal group, 1.4 times in control group, 2.0 times in Aa-BL group and 2.0 times in Qihai(CV_(6)) group and 1.4 times in Shenshu(BL_(23)) group as compared to the non-purified NK c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nax Ginseng aqua-acupuncture solution at Qihai(CV_(6)) and Shenshu(BL_(23)) may proliferate Band T cells that is suppressed by glucocorticoid, and may increase antibody production, And Panax Ginseng aqua-acupuncture solution at Qihai(CV_(6)) and Shenshu(BL_(23)) will have immunoadjuvant effects on the cells which concerned with immunomechanisms.

      • 經穴의 艾灸生體反應이 失血性貧血에 미치는 影響

        이은홍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moxibustion on anemic condition as a acute loss of blood,white rats were induced loss of blood by cadiac puncture. And then morphologically variation of The Bone Marrow was observed the following points of each rat were used;Shinsu(B_(23) or Ⅶ_(23)), Hyeon Jong (GB_(39) or XI_(39) ), and complex of Shinsu (B_(23) or Ⅶ_(23)) and Hyeon Jong(GB_(39) or XI_(39)) Comparing these above methods with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Moxibustion in Shinsu have an influence on activation of Normoblast and do for help hematoisis function of bone marrow 2. Formation ablity of R.B.C (Red Blood Cell) turn up order a list of Moxibustion in Shinsu(B_(23) or Ⅶ_(23)), Moxibustion in conplex of Shinsu (B_(23) or Ⅶ_(23)) and Hyeon Jong(GB_(39) or XI_(39) ), moxibustion in Hyeon Jong (GB_(39) or XI_(39) ) 3. Moxibustion in complex of Shinsu (B_(23) or Ⅶl_(23)) and Hyeon Jong(GB_(39) or XI_(39) ) moderately increase Megakayocyte

      • 자유 의지 문제에서 피셔의 세미 양립가능론 비판

        이은홍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자유 의지 문제에서 현대 양립 가능론자로 불리는 피셔의 세미 양립가능론에 관련된다. 피셔의 세미 양립가능론은 고전적 양립가능론자에 속하는 약한 결정론자들이 기존에 직면하고 있는 난점을 피해가면서도, 인과적 결정론과 도덕적 책임이 모순 없이 양립 가능하다는 점을 주장하는 이론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피셔의 주장이 결코 성공하지 못한다는 점을 보이는 것이다. 피셔의 세미 양립가능론은 약한 결정론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 중 일부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약한 결정론에 비해 세미 양립가능론을 선택해야 할 이론적 장점을 가지지 못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셔는 자신이 옹호하고 있는 프랭크퍼트식 사례에 가해진 비판에 적절하게 방어를 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 피셔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상당히 모호한 개념들을 도입한다. 그는 프랭크퍼트 사례를 옹호하는 과정에서 “자유의 실마리(Freedom of Flickers)”를 도입하거나, 결정론이 참인 상황에서도 행위자에게 도덕적 책임을 부여하기 위해 “유도 통제”와 “규제 통제” 개념을 도입하는데 필자는 이러한 개념들에 상당히 문제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둘째, 피셔가 자유 의지와 도덕적 책임 개념을 구분하여 자유 의지와 결정론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식은 기존의 약한 결정론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던 방식과 유사하다. 피셔의 시도는 인과적 결정론이 참인 경우에 약화되거나 사라지는 자유의지 즉, “형이상학적인 자유의지”를 포기하지만,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도덕적 책임의 개념을 포착하려는 시도이기 때문이다. 즉, 피셔의 주장은 결정론이 참이라고 할지라도 행위자가 강제되지 않은 상황이 바로 행위자의 자유로운 상태라고 주장했던 약한 결정론자들의 주장과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결국 피셔는 기존의 약한 결정론자들이 자유 의지 문제를 해결했던 방식에서 더 진전된 이야기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 없다. 필자는 자유 의지의 문제에서 세미 양립가능론이 실패함을 보임으로써, 결국 양립가능론자들이 가야 할 길이 새로운 형태의 약한 결정론임을 주장할 것이다. 이는 강제와 결정론 개념 구분을 받아들이고, 도덕적 책임을 위해 필요한 자유의지의 의미를 재정의하려는 시도들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The topic of the thesis is on free will, especially on John Martin Fischer's semi-compatibilism, known as the modern compatibilism in the free will literature. Fischer’s semi-compatibilism argues tha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soft determinists who are classical compatibilists and the causal determinism and moral responsibility are compatible without any contra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Fischer’s semi-compatibilism fails in arguing that causal determinism and moral responsibility are compatible. Fischer’s Semi-Compatibilism fails to resolve some of the problems faced by the soft determinists. Therefore, it does not have the theoretical advantage to choose semi-compatibilism over soft determinism. Here are the three reasons. First, Fischer is unable to defend the Frankfurt style example successfully, which he advocates against the criticisms from the opponents. I argue that it is implausible for Fischer to introduce considerably ambiguous concepts in order to defend his Frankfurt style example. Advocating the Frankfurt style example, Fischer introduces the concepts such as “Flickers of Freedom” and two types of control, “Guidance Control” and “Regulative Control.” In order to assign moral responsibility to the agents in a world where determinism is true, he applies “Guidance Control” and “Regulative Control” to agents. I argue that there are considerable problems with his concepts. Second, Fischer’s solution to make determinism and moral responsibility compatible is similar to that of the soft determinists. His solution is to distinguish free will from moral responsibility. Fischer attempts to capture the concept of moral responsibility, which is used in everyday life, while giving up on the “Metaphysical Free Will” which is undermined when causal determinism is true. The problem is that Fischer’s claim seems too similar to what the soft determinists have already argued. The soft determinists argue that the situation in which agents are not enforced is the free state of agents even if determinism is true. Consequently, I argue that Fischer has failed to provide a more advanced argument than that of soft determinists. By showing the semi-compatibilism fails to make determinism compatible with moral responsibility, I conclude that the compatibilists should consider themselves as soft determinists but with new or modified principles. To accept the new form of soft determinism is to embrace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compulsion and determinism and to redefine the meaning of free will, which is needed in order for to make sense of assigning moral responsibility in a world where determinism is true.

      • 시 텍스트 의미 경험 교육 연구 : 김춘수 시를 중심으로

        이은홍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에 대한 민감한 인식을 보이는 김춘수의 시를 중심으로 시 텍스트 의미 경험 교육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 및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의 대상이 되는 시의 의미를 학습자와 분리된 객관적인 실체가 아니라 학습자가 경험함으로써만 알 수 있는 것으로 개념화함으로써 시 텍스트 의미 경험의 특수성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시 교육의 장에서 지속적으로 시 경험의 필요성이 논의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시의 의미가 고정된 의미로 전달되거나, 시적 언어의 특수성이 시 경험의 대상으로 자리 잡지 못했기 때문에 시 경험이 학습자의 삶과 유기적인 관련을 맺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기존 시 경험 교육의 한계점을 반성하고 시 경험이 시 교육의 내용으로 체계화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시적 언어를 직접 겪음으로써 시에 대한 인식을 확장해 나가는 방향으로 시 교육의 장에서 시 경험이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Ⅱ장에서는 시 교육의 의미 경험을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전제를 밝힌다. 시적 언어의 뜻을 확정하는 데에 주력한 뜻 중심 시 교육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시 이해를 강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시적 언어의 특수성을 직접 겪는 의미 경험의 위상을 갖추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뜻 중심 시 교육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시 경험은 학습자가 시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산문으로 환원될 때 사라지는 시의 의미를 경험하고, 새로운 의미가 형성될 수 있는 무한한 언어의 가능성에 대해 인식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시의 의미는 확정되거나 고정될 때는 경험되기 어려운 유동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의미의 역동성은 ‘방향성을 띤 의미(sense as direction)’로 재개념화될 수 있다. 또한 시 텍스트 의미 경험이 경험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관점에서 시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 과정으로 구체화되고, 확정성을 지향하는 일상 언어에 대한 비판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문화적 실천 행위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Ⅲ장에서는 시 텍스트 의미 경험의 개념을 바탕으로 ‘뜻 중심의 의미 경험’과 ‘무의미 중심의 의미 경험’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뜻 중심의 시에서 시적 명명의 뜻을 밝히거나, 언어의 한계성에 대한 관념적인 주제를 파악하는 과정 이외에도 학습자는 의미화 방식과 상호작용하면서 뜻으로 확정될 수 없는 유동적인 의미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시 교육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시 경험을 교사나 또래 학습자와 공유하는 즐거움을 느끼고, 방향성을 띤 시의 의미를 민감하게 경험하는 과정을 겪을 필요가 있다. 한편 무의미 중심의 시는 뜻으로 확정되기 어렵기 때문에 지금까지 시 교육의 장에서 축소·배제되어 왔지만, 학습자는 무의미 중심의 시를 통해서 ‘방향성을 띤 의미’를 적극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서술적 이미지를 통해서 정해진 관념을 정해진 방식으로 재현하는 고정적인 언어 사용에서 벗어나서, 수렴과 발산의 과정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시적 언어가 시 경험 교육의 내용으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내용과 제목 사이의 간극이 큰 시를 통해서 제목이 내용을 지시하기 때문에 내용과 제목을 하나의 뜻으로 수렴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과 제목이 의미 생성을 위해서 동시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그 사이에서 사물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는 시적 언어를 경험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준언어적 형식이 사용된 시를 통해서 학습자는 대상을 실재하게 하는 일상 언어와 달리 언어를 해체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대상의 확정성을 비판하는 시적 언어와 상호작용해 보는 기회를 갖는다. Ⅳ장에서는 시 텍스트 의미 경험 교육의 목표와 과정을 설계하고자 한다. 시 텍스트 의미 경험 교육을 통해서 시 교육에서 가능한 경험 영역을 확장하고, 방향성을 띤 의미에 대한 민감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학습자는 일상 언어와 질적으로 다른 시적 언어를 경험하면서 의문 형태의 시적 의미를 생산한다. 둘째, 학습자는 시적 의미를 기술(description)로 환원하기 전과 후를 비교함으로써 시적 의미의 환원 불가능성을 인식한다. 셋째, 학습자가 일상 언어의 소통 방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시로서 표현해야 했는가하는 시와 세계 간의 관계성을 인식하는 과정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 교육의 교육 내용으로서 경험 논의가 확산되고, 시 경험이 학습자의 삶에 유의미하게 통합될 수 있는 교육적 실천이 뒷받침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or processes of ‘The Experience of Sense of Poetry text in Poetry Education’ through the poetry written by Kim ChunSoo(김춘수) as a main object which readily shows the sensitive awareness of sense. The sense of poetry text as an experiential object, which is not segregated as an objectional form but is known by personal experience, would be conceptualized to make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clear through this study. Although the necessity of poetry experience was carried on till now, it could not be eventually related to the lives of learners because the sense was transferred as an fixed meaning not involved in learners’ experiences or because its distinct feature could not be placed as an experiential object. Therefore, it is needed to take concrete shape to a concept of senses derived from only learner's experiences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its awareness: experiencing poetic language which cannot be repetitive or returned. On the second chapter, the recent poetry education with meaning central would be turned out to be excluded and the experience to learn meanings in poem would be reconceptualized in sense as direction. For these, the commonly used meaning in poetry education might be analyzed and the idea of 'sense as the direction', which is usually vanished when it is repetitive or returned, would be introduced. On the third chapter, based on the poetry experience, the educational contents with meaning central poetry or with non-sense central poetry were presented. Leaners can realize the fluxional sense not to set it in concrete by interacting the style of poetry text in meaning central poetry text. Since non-sense central poetry is not determined by meanings of each words in its context, it has been minimized or excluded in an educational field to this day. However, they can also experience a sense as direction from the non-sense central poetry. On the forth chapter, it would design the purpose and the process of the experience of sense in poetry text in poetry education. It also expanded learners' experience area in poetry education and purposed to develope susceptibility about sense as direction. First, they produced interrogative form of sense of poetry text to experience poetic language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common language. Second, learners realized the impossibility of returning of poetic meaning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returning description. Third, a process of recognition would be explained in a relation between poetry and the world as why learners have to express by poetry even though it can be expressed by communication method of common language. Through this study, the discussion of poetry experience in poetry education should spread out and it is looking forward to put in an action to meaningfully apply in learners’ lives. [Keywords] Literary Experience, Experience of Sense in poem, Meaning, Nonsense, Fluxional Sense, Infinite Sense, Impossibility of Returning

      • 감각의 재구성으로서의 시 감상 교육 연구

        이은홍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시 감상은 독자가 시 텍스트에서 포착한 감각을 능동적으로 재구성하는 활동이다. 이 논문은 학습자의 감상문과 마인드맵을 통해 감각 재구성 양상을 파악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각 재구성을 위한 시 감상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서 시 감상 교육이 시에 대한 의미 이해에 그치는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가 시와 예민하게 교감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며, 감각의 재구성과 시의 자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감각은 주체가 외부 세계로부터 떠올린 상이다. 일상적인 지각 과정에서 주체는 이전에 가지고 있던 자신의 지식을 바탕으로 이 외부 세계로부터의 상을 유의미한 대상으로 재인한다. 그러나 여러 요소들이 독자적인 결합의 맥락 속에 배치되어 있는 시를 지각할 때 독자는 쉽게 재인될 수 없는 불명료한 상태로 감각을 수용하게 된다. 시 감상은 이러한 불명료한 감각을 나름의 방식으로 명료하게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는 자신이 이미 알고 있고 익숙하게 자동화된 여러 지식과 경험들을 다시 살펴봄으로써 자신의 감각을 이전과 다른 상태로 만든다. 독자의 입장에서 볼 때 시 텍스트는 자신의 감각을 재구성하도록 추동하는 이질적 대상이며, 독자는 시 텍스트 안에 있는 여러 감각 대상들이 형성하는 비일상적이고 낯선 관계들 사이에서 감각 재구성의 근거를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질적 시 텍스트 수용 과정을 통해 독자는 궁극적으로 자신을 재구성하는 존재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비평가와 같은 숙련된 감상자들의 여러 평문에는 이 감각의 재구성이 감상의 과정에 지속되는 양상을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시 텍스트를 수용하면서 정태적이고 부분적인 지식의 재생이 아니라 역동적인 체험의 장을 구축하였으며, 감각 대상들을 확장하고 고정된 기존의 감각들을 새롭게 질서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감각 재구성으로서의 시 감상이 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의 시 감상 텍스트를 수집 ․ 분석하여 ‘시 텍스트와의 접촉’, ‘감각 형성의 심화와 변화’, ‘감각의 표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우선 ‘시 텍스트와의 접촉’ 에서는 학습자가 시 텍스트를 관찰하고 이로부터 의미화 가능성을 모색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동일한 시적 대상이라도 더 정확하고 세밀하게 관찰하려는 학습자가 있었다. 그리고 관찰 대상으로부터 명료하게 감각을 형성하거나, 감각을 명료화하지 않고 지각이나 의미로 수렴하거나 발산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감각 형성의 심화’에서는 학습자가 감각들을 종합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시 읽기 과정에서 감각들이 종합될 방향을 고려하면서 수렴적인 의미 계열을 구성하고, 감상문 쓰기 과정에서 수렴적인 의미에 부합하는 감각 대상들만을 선택하여 종속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경우와, 시 읽기 과정에서 감각들이 종합될 방향을 미리 고려하지 않고 발산적으로 의미 계열을 구성하며, 감상문 쓰기 과정에서 종합 가능한 감각들만 선별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감각 대상을 미세하게 관찰하면서 감각들의 관계를 명료화하는 방향으로 감상문을 쓴 경우와 감각 대상을 거시적인 의미 범주에 귀속시키면서 주제 중심으로 감상문을 쓴 경우가 있었다. ‘감각 형성의 변화’에서는 학습자가 다시 읽기 과정에서 감상의 오류를 발견하거나, 불명료했던 감각을 명료화하려고 할 때 감상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각의 표현’에서는 감상문 쓰기 과정을 통해서 감각의 표현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감상이 감각의 차원에서 타자의 언어적 표현에 주목하면서, 이로부터 독자의 체험을 구성하는 고유한 특질로서 감각을 형성하는 것일 때, 시에 대한 이해는 타자에 대한 이해일 뿐 아니라 시에 대한 예민한 자기화의 과정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향 속에서 감각 재구성을 위한 시 감상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작가의 언어 선택을 유의미한 감각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자신의 기억을 재구성 대상으로서 환기하고 성찰하면서 변화시키는 교육 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가 감각을 세밀하게 변별하면서도 상호 관계성을 심화하는 가운데 시를 음미할 수 있도록 하며, 시 감상에서 형성한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서 감상문에서 자신의 언어 선택을 종합적으로 조직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The poetry appreciation is an activity that the reader actively reorganizes the sensation which he catches in the poetry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sensation based on the result of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sensation reconstruction through the mind map and appreciation reports of learner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poetry education through which the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merel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oetry, and enhance the ability of susceptible communicating with poetry enabling the reconstruction of sensation and the appropriation of poetry. The sensation is an image that the subject associates with from the outside world. In ordinary perception process, the subject recognizes this image from the outside world as a meaningful object based on his existing knowledge. However, when perceiving poetry whose elements are placed in the context of a unique combination, the reader accepts unclear sensations that can not be easily recognized. Poetry appreciation is the process of clarifying these obscure sensations in its own way. The reader differentiates his sensations by the retrospect of his existing knowledge and familiar experienc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reader, poetry is a different object that drives to reconstruct his sensations, and the reader establishes a basis for the reconstruction of sensation among the unusual and unfamiliar relations formed by the various sensory objects in the poetry text. Through this process of accepting different poetry, the reader eventually experiences a change of being existence with reconstructing himself. In many appreciation reports of experienced readers such as critics, the reconstruction of sensation tends to be continuously appeared 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Specifically, it embraces the poetry text and builds a dynamic experience, not a static and partial reproduction of knowledge, and expands the sensory objects and newly arranges the existing fixed sensation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aspects of poetry appreciation regarding the reorganization of sensation for education, this study divides the learner’s poetry appreciation into 'contact with poetry text', 'deepening and changing of sensation formation', and 'expression of sensation'. First of all, in the 'contact with poetry text', the learner showed a tendency to observe the poetry text and look for the meanings of it. Some learners tried to observe poetic objects more precisely. And there is a tendency to form a clear sensation from a poetic object, or converge/diverge into perception/meaning without clarifying the sensation. In the 'deepening of sensation formation', the aspect of the learner’s synthesis of sensations is handled. There were cases where the learner constructs a convergent meaning series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integrated sensations in the poetry reading, and selects only the sensory objects that conform to the convergent meaning in the writing of appreciation reports, or the learner constructs a divergent meaning series without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integrated sensations in advance, and selects only the sensations that can be synthesized to construct the meaning in the writing of appreciation reports. Also, there were cases where an appreciation report was written in the direction of clarifying the relation of sensations while specifically observing the sensory objects or a report was written around the topic while including the sensory object in the macroscopic meaning category. In the 'changing of sensation formation', the appreciation was changed when the learner tried to clarify unclear appreciations or found his errors of appreciation in the process of re-reading. In 'expression of sensation', expressions of sensation were reduced or enlarged through the writing of appreciation reports. When the appreciation focuses on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other in the level of sensation and forms a sensation as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constructs the reader’s experience, the understanding of poetry is not only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 but also a susceptible appropriation for poetry. In this approach,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sensation should provide the contents in which the learner actively accepts the writer’s words as meaningful sensory objects, and changes his memory by retrospect and evoking. In addition,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developed in which the learner can appreciate poetry while deepening the interrelationship and specifically distinguishing the sensations and to synthetically organize the selection of words in the appreciation report to express the sensations formed in the poetry appreciation.

      • 일제강점기 에비 미치타카(蝦道隆)의 역사교육관과 초등 역사수업

        이은홍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에비 미치타카의 교육 활동과 역사교육관을 분석하여 그의 초등 역사수업을 재구성하였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1930년대 전반기 조선 교육계의 동향과 역사과 교육과정 및 역사교과서를 살펴보았다. 당시 식민지 조선에서는 교육 목표로 내선융화가 등장하였고, 서양의 다양한 교육 사상과 슈프랑거·듀이 등이 제시한 교수 방법이 소개되었다. 더불어 역사과 교육과정에서는 일본 국체의 이해와 국민지조의 양성을 목표로 두었고,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普通學校國史 兒童用』 上·下卷과 『普通學校國史』 卷一·二가 역사교과서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재조 일본인 교사 에비 미치타카의 저술활동과 역사교육관을 살펴보았다. 그는 경성사범학교 훈도로 근무하면서 『朝鮮の敎育硏究』에 역사교육과 관련된 논설문, 수업지도안, 교재해설과 지도상의 유의점 등 37편의 글을 활발히 게재하였고, 『普通學校國史敎授書』 卷一을 집필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에비 미치타카가 작성한 수업지도안과 교수서를 근거로 와케노 기요마로와 쇼토쿠 태자를 가르치는 역사수업을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에비 미치타카의 역사수업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에비 미치타카의 역사교육 목적은 일본의 국체인 천황체제를 유지하고 강화하려는 이데올로기 교육이었다. 이는 1930년대 전반기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던 국체의 확립과 국민지조 양성의 목적과 부합한다. 그리고 역사교육의 부수적인 목표로 내선융화의 확산을 내세워 1930년대 후반에 내선일체로 나아가도록 하였다. 또한, 사상 교육을 실시해 민족주의를 강조하였지만 사회주의 사상의 침투는 차단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그의 수업에서도 부각되었다. 와케노 기요마로를 가르치는 수업에서 천황제 이데올로기 강화를 위한 교수 지침이 나타났고, 백제계 귀화인 쿄키를 교수 자료로 삼아 내선융화를 추구하였다. 또한, 쇼토쿠 태자를 가르치는 수업에서도 17조 헌법과 일본 문화를 강조하여 조선 학생들에게 일본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도록 가르쳤다. 둘째, 에비 미치타카의 역사수업에서는 최신 역사 교수 방법들이 본래의 취지와 달리 천황제에 기반을 둔 국가주의적 내용을 전달 및 강화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에비 미치타카는 역사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➀ 이회와 감정이입’, ‘➁ 생활지도’, ‘➂ 교편물의 활용’, ‘➃ 아동중심주의 학습법’, ‘⑤ 개발주의 설화법’ 등의 당대 최신 교수법을 제시하였다. 천황제 이데올로기 강화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지도안과 교수서에서 이와 같은 5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던 것이다. 특히, 와케노 기요마로와 쇼토쿠 태자를 가르치는 역사수업에서 5가지 교수 방법의 활용 사례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방법들은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의 역사적 상상력과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대에 독일과 미국 등에서 유행하던 최신 교육학설이 반영된 교수법이기도 하다. 하지만 에비 미치타카는 이러한 교수법들을 천황체제 이데올로기와 일본 중심의 국가주의 역사관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물론, 재조 일본인 교사 에비 미치타카의 수업지도안과 교수서에 나타난 역사수업의 형태를 일제강점기에 모든 역사수업으로 일반화 시킬 수 없다. 또한, 경성사범학교에서 근무했던 에비 미치타카가 국가의 교육정책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자신이 추구하는 방향으로 역사수업을 설계하지 못하였을 가능성도 크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재조 일본인 교사 에비 미치타카의 역사수업 사례는 일제강점기 역사수업의 목적과 방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조선시대 풍속화에 표현된 음식 풍속 연구 : 조선후기 풍속화와 오방색을 중심으로

        이은홍 조선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s represented on genre paintings by Cho Young-Sik, Kim Hong-Do, and unknown genre painters. Although Korean Food culture history reaches back to Paleolithic Age, when the first nation was founded in Korean Peninsula, table setting formed it's today's appearance with various and splendid dishe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Not only indigenous Korean food culture formed its traditional way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but also was the transition period from long lasted feudal society to modern society and also was the period that economic base for modern era was set. Moreover, social measure of value moved from noble birth and political power to wealth. And arising academic movement known as Silhak, which means practical learning, improved civic consciousness by influencing cultural movement. Popular literature and paintings that express ordinary people's daily lives arose and emphasized on realistic expressions rather than abstract ideas. Especially emerging Middle Class double sided attributes, which both yearning for and criticizing noble culture, were presented in Sijo, Pansori, and Genre Painting which are important historical records for cultural studies in that time period. To conclude, food culture of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that was expressed in the genre paintings, was directly related to survival to the ordinary people. Korea has distinct four seasons which cause regional climate differences and the differences developed local cuisine made of their own local products and therefore they show clear differences in tastes and colors of the foods due to separation in social status and classes. While foods in Kyong-Ki area are splendid in colors due to royal cuisine influence, foods in North area are light and plain. Today's food culture is not only for nutrition purpose but also seeking for better looking in table settings and its appearance. Interests in color is one of the factors that fulfill the cultural appetite. the food culture is predictable since it is basically stable, but also is steadily changing by pass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Korea has long history in colour related to the foods. It seems O-Bang colors began in Koguryeo and our food culture is based on the O-Bang colors. It is our duty to preserve food culture which is representation of ancestors' wisdom and to develop further with modern se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