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전통 배자의 복식사적 고찰과 현대화 작업

        이은형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전통복식이라고 할 수 있는 오늘날의 한복은 이천년 이상의 역사를 이어왔으며, 시대와 문화에 맞도록 그 형태가 변화되어 왔다. 한복의 저고리류의 일종인 배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널리 입혀진 실용성과 조형미를 갖춘 한국의 전통의상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다채로운 디자인과 형태를 지닌 배자의 현대적 감각을 매우 높게 평가하며 이를 현대 생활 속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노력을 시도하였다. 전통 복식의 현대화 작업을 세 가지로 나누어 보면, 첫째, 전통 복식의 일부분, 즉 디테일, 소재, 디자인 요소를 현대 의상에 적용시키는 방법, 둘째, 전통복식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적용시키는 방법, 셋째, 전통의상과 현대의상을 서로 조합하는 방법이 있다. 세 가지의 방법 중 첫 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세 번째 방법은 아직까지 시도된 연구결과가 없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처음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 배자와 현대의 우리가 착용하는 의상들과의 조합을 통한 배자의 현대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특별한 날에만 착용하는 불편한 예복정도로만 여겨져 왔던 한복이 현대의 서구화된 생활양식과 복식의 구조에도 불구하고 불편함이나 거부감 없이 착용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이를 통한 과거와 현재 문화의 융합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 부분에서는 배자의 정의 및 배자의 역사를 정리하였는데, 배자의 역사를 정리하는 이유는 우리 역사를 바로 알고 배자의 변천 과정을 숙지하여 배자의 조형성 및 기능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배자의 현대적 조형미를 증명할 수 있는 코디네이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 부분에서는 배자의 역사를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로 나누어 정리하고 각 시대별 배자의 유형 및 유물과 회화자료 등을 살펴보았다. 삼국시대 배자형 복식은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그 형태를 뚜렷하게 볼 수 있었으며, 통일신라시대의 배자는 흥덕왕 복식금제(834년)에 기록된 ‘반비’와 ‘배당’을 그 양식으로 보았다. 고려시대에는 각종 문헌 기록을 통해 통일신라시대의 반비와 배당이 입혀졌다고 보며, 조선시대의 배자형 복식을 ‘광의의 배자’의 의미에서 방령(方領), 답호(□護), 전복(戰服), 괘자(掛子), 호의(號衣), 배자(背子)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배자의 역사를 통해 살펴본 바를 토대로 배자형 의복에 포함되는 유물 총 42점을 선택하여 삼국시대, 조선 전기, 조선 후기, 개화기로 나누어 시대를 구분하고 각각의 유물 사진과 도식화, 상세치수와 사용된 소재, 구성방법 및 바느질법 등을 살펴보았다. 이는 배자의 역사에 대한 비교 및 분석을 통해 배자에 대한 더욱 정확한 개념 확립 및 형태와 구성방법에 대한 심도 있는 관찰을 하기 위함이다. 앞서 정리한 유물 배자를 재현한 재단법인 아름지기의 작품 중에서 현대적 감각이 높이 평가되는 배자를 선택하고 그 조형성을 분석하였으며, 선택한 배자 재현작품을 현재의 우리가 착용하는 의상들과 조합하여 다양한 코디네이션을 제시하였다. 이는 전통 의상인 배자가 현대 일상적인 의복으로 손쉽게 입혀지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현대화 작업으로, 이 작업을 통하여 전통 의상인 배자가 현대 의상과 코디하여 착용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는 것을 입증하고, 배자의 실용성과 높은 현대적 조형미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2008년 F/W 시즌의 미니멀리즘 경향을 직선적 느낌이 강한 심플한 실루엣을 지닌 흔하지 않은 디자인의 배자와 스키니 진, 어그 부츠 등의 젊은 세대의 아이템과 코디네이션 하여 세련된 미니멀리즘과 젊은 세대의 발랄한 느낌을 동시에 표현하였다. 2008년 F/W 시즌에 두드러지게 유행하는 클래식 룩을 우아한 곡선의 미가 강조된 짧은 길이의 털배자와 호피무늬 패턴의 티셔츠, 그리고 또 다른 유행 아이템인 배기팬츠와 중절모를 코디네이션 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2008년 F/W 시즌에 유행하는 롱 재킷을 표현하기 위해 허리선 아래로는 다른 소재가 사용된 독특한 디자인의 현대적 감각이 뛰어난 긴 길이의 배자를 롱 재킷처럼 연출하여 세련된 느낌을 나타내었다. 특히 이번 2008년 F/W 시즌에는 다양한 소재를 겹쳐 착용하는 레이어드 룩의 유행이 두드러지는데, 단아하고 간결한 디자인으로 한복의 소박한 자연의 미가 표현된 모시소재의 푸른색 배자에 다양한 소재의 컬러감을 지닌 현대적인 아이템을 코디네이션 하여 완성된 레이어드 룩을 표현하였다. 2008년 F/W 시즌에는 가늘고 긴 스타일의 유행경향이 두드러지는데, 직선적인 느낌이 강하고 한복의 절제된 미가 강조된 간결한 느낌의 배자를 길이감이 있는 티셔츠 위에 조끼처럼 연출하고, 올 시즌 유행아이템인 통 넓은 와이드 팬츠를 함께 코디네이션 하여 가늘고 길어 보이는 효과를 더욱 강조하였다. 2008년 F/W 시즌의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중성적 느낌이 강조된 스타일을 나타내기 위해 앞쪽에서 X자 형태로 교차시켜 착용하는 남성적이며 캐주얼 한 느낌이 강한 배자와, 레이스와 시폰 소재로 된 현대 의상을 코디네이 Hanbok,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s a history of more than 2,000 years and has changed its forms corresponding to each period and culture.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jacket, Baeja, has been a Korean traditional costume equipped with practicality and formative aesthetic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Accordingl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ighly valued a modern sense of Baeja with various types of design and forms and attempted to make efforts to apply it into modern life. The modernization work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as below. First, it was related to the method of applying part of traditional costumes such as detail, medium and design elements into modern costumes. Second, it involved the application of images found in traditional costumes into modern ones. Third, it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methods of combining traditional costumes with modern counterparts. Among the said three method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the first and third methods. However, there have been no findings on the third method, and it has been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is study.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Baeja through the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Baeja with the modern costumes worn by us today. The study was aimed to show that Hanbok which has been considered uncomfortable formal dress worn only on special days could be also worn by anyone without having a sense of inconvenience or aversion despite the westernized modern lifestyles and costume styles. At the same time, it attempted to incorporate past and contemporary cultures in this process. The part of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in this study arranged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Baeja. The reason for looking into the history of Baeja was to know its history and developmental process correctly,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y and to improve the effects of coordination that could verify its modern formative aesthetics. In this part, the study discussed the history of Baeja by dividing it into the Three Kingdoms Period,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and examined its types and pertinent data such as the remains and paintings demonstrating Baeja by each period. The forms of Baeja-type costum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noticeable in the tomb mural paintings of Goguryeo and those from the era of Unified Shilla were found in ‘Banbi’ and ‘Baedang’ recorded in Costume Restraint of the King Heungdeok. In Goryeo Dynasty, it has been assumed from various documents that people wore Banbi and Baedang from the Era of Unified Shilla. Meanwhile, the study classified the Baeja-type costumes of Joseon Dynasty into Bangryeong, Dapho, Jeonbok, Gweja, Ho-eui and Baeja in a ‘broadly-designated meaning of Baeja.’ Based on the findings from its said history, the study selected 42 pieces of remains included in the Baeja-type costumes, categorized them into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and the Flowering Period and investigated the pictures of the respective remains and schematization, specific dimensions and materials used, composition methods and sewing methods. These were done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more accurate concept and looking deeply into the forms and composition methods of Baeja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n its history. Among the pieces of the Foundation Arumjigi that reconstructed the said arranged remain ‘Baeja’, the study selected the Baeja with a highly-valued modern sense and analyzed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afterwards, the study combined the selected reconstructed piece with the contemporary costumes to suggest various types of coordination. This was a concrete work of modernizing a traditional costume (Baeja) in order for it to be worn easily as a modern ordinary dress. Through this work process, the study attempted to prove that there would be no difficulties in wearing the traditional costume of Baeja by coordinating it with modern costumes and that Baeja would be practical and highly equipped with formative aesthetics. The researcher showed a sense of refined minimalism and vividness found in young generation at the same time by coordinating 2008 F/W season’s minimalist tendency with the items of young generation such as uncommonly designed Baeja with a linear feeling of simple silhouette, skinny jeans and ugg boots. Exhibited were the results of coordination between classic look noticeable in 2008 F/W season and a short-length fur Baeja highlighting a beauty of graceful curves, a tiger-skin-pattern T-shirt and other trendy items such as baggy pants and a felt hat. Besides, a refined feeling was shown by creating a long Baeja with a modern sense of unique design using different materials below the waistline to express the long jacket in vogue in 2008 F/W season like a long jacket. In particular, the trends of layered look in which people wore various overlapped materials were prominent especially in F/W season of 2008. In this sens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ordinated modern items of diverse colorful materials with the blue ramie Baeja depicting Hanbok's simple and natural beauty along with its graceful and concise design to express a complete layered look. The trends of thin and long styles were conspicuous in 2008 F/W season. Accordingly, the researcher created Baeja of a concise feeling emphasized with highly straight-lined and temperate beauty of Hanbok like a vest on top of a long T-shirt and further highlighted the thin and elongated effects by coordinating it with the wide pants, the items in vogue this year. To represent a style emphasizing a sense of being neutral influenced by the modernism of 2008 F/W season, the researcher demonstrated a neutral sense of boyish females and a dressy feeling by coordinating the manly and casual-style Baeja wo

      • 주한미군 공동주택 단위평면 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은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한미군의 주거특성과 선호경향을 고찰하고 국내 공동주택 단위평면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가지는 보편적 특징과 주한미군의 평면이 가지는 독자적 특징을 알아보고 주거평면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성격과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주한미군 공동주택의 주거계획에 있어 공간 환경을 개선함은 물론 그들의 주거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계획을 함으로써 주한미군이나 가족들에게 쾌적한 주거 공간을 조성하여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로서 목적이 있으며 향후 주한미군과 우리나라의 주거 발전을 위한 건축 계획적 관점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주거공간은 각 문화권의 생활양식과 공간에 대한 다양한 가치관이 반영되면서 조정되고 정착되어 가지만 서양의 생활양식을 전제로 오랫동안 조정과정을 거친 주한미군 공동주택 단위평면은 어떠한 변화가 있으며, 국내 공동주택 단위평면과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공간별, 영역별, 단위평면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평면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별 특성 분석에서 거실은 기존평면이나 New평면에서는 침실 수에 관계없이 면적이 비슷하지만 국내평면은 침실 수가 많아질수록 거실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성 비율은 기존평면이 New평면이나 국내평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가사영역의 증가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식당은 기존평면이나 New평면은 LD/K형으로 국내평면의 L/DK형보다 면적이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주한미군의 공동주택 단위평면의 경우 식당은 손님과 식사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파티 등 손님과의 다목적 공간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으로 식당 면적을 넓게 계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방은 거실과 마찬가지로 기존평면이나 New평면은 침실 수에 관계없이 면적이 비슷하지만 국내평면은 침실 수가 많아질수록 주방 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부침실의 경우도 기존평면이나 New평면은 침실 수에 관계없이 면적이 비슷하지만 국내평면은 침실 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발코니는 국내평면이 기존평면이나 New평면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기존평면이나 New평면은 거실에만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으나, 국내평면의 경우 거실, 침실, 주방 등에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어서 면적과 구성 비율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 외 공간의 경우 New평면에서는 뚜렷한 목적을 가진 가족실, 세탁실, 다용도실, 공조실, 창고 등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평면은 일실 다목적 공간으로 구분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발코니는 이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영역별 특성분석에서 공용영역은 침실 수가 증가할수록 기존평면과 New평면, 국내평면 모두에서 구성비율의 차이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공용영역의 비율은 기존평면에 비해 New평면과 국내평면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침실 수가 증가할수록 차이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드레스룸, 침실발코니 등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개인영역은 국내평면이 기존평면이나 New평면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영역은 New평면이 기존평면이나 국내평면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간별 특성에서도 분석되었던 가족실, 세탁실, 다용도실, 공조실, 창고 등이 추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연결영역은 기존평면이나 New평면이 국내평면보다 구성 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단위평면별 특성분석에서 평면의 구성은 기존평면이나 New평면이 국내평면에 비하여 실 분화 수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평면의 경우 발코니를 통해 침실로 연결되는 사례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평균깊이나 공간심도는 모든 평면에서 비슷하게 분석되었다. 평면의 형태는 기존평면이나 New평면, 국내평면이 70%이상 장방형 형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실의 배치형태는 국내평면의 경우 중앙배치가 많으며, 기존평면이나 New평면은 대부분 편향 배치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간의 구획형태는 기존평면은 실별 구획, New평면은 통로구획, 국내평면은 혼합구획으로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평면이나 New평면은 실별 구획이나 통로구획으로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을 엄격히 분리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혼합구획은 거실중심의 우리 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LDFK구성은 기존평면의 경우 LD/K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New평면은 LDF/K형과 LD/F/K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기존평면에 가족실(F)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의미가 강한 공적공간인 거실과 식당을 동일한 영역에 두고 가족적 의미가 강한 공적공간인 가족실은 분리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평면은 L/DK형으로 주방과 식당을 동일한 영역에 두고 있으므로 기존평면이나 New평면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침실의 구성은 모든 평면에서 침실 수가 증가할수록 구성 비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각적 노출 정도는 기존평면과 New평면, 국내평면이 대부분 반폐쇄

      • PWM 초퍼 방식에 의한 저 전력 솔레노이드 구동

        이은형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솔레노이드 응용 분야는 산업자동화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성장 잠재력이 큰 기초산업분야로서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솔레노이드의 원리를 이용하여 많은 종류의 자동차 부품과 선박용 부품, 반도체 장비 부품 등 많은 종류의 제품들이 만들어 지고 있는데, 그 사용범위가 넓다는 것은 제품의 형태와 크기, 성능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다양함을 의미한다. 선박의 엔진은 추진용과 발전용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선박의 추진용 엔진에 적용한 연료 분사 솔레노이드의 경우 엔진의 연비향상과 엔진의 출력에 영향을 주는 부품이며, 발전용 연료 분사 솔레노이드의 경우 선박의 전원공급을 담당한다. 따라서 선박용 엔진의 경우 망망대해 및 저온과 고온의 온도를 횡단함에 따라 선박의 유지보수 및 연료공급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엔진의 높은 신뢰성이 중요하다. 또한 현재의 자동차는 소비자들의 환경 친화적인 욕구와 고유가에 따른 연비 개선 및 각국의 환경 규제에 따라 제조업체들은 기계식 제어 방식이 아닌 전자식 제어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으로 솔레노이드 방식을 사용하는 부품들은 솔레노이드의 하드웨어 제작에 의해 부품 수명이 결정되고 주위 환경에 따라 동작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서, 초기 솔레노이드 구동 시 많은 전류가 소비됨으로서 에너지 효율이 낮은 단점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마이컴을 이용한 PWM 초퍼 방식에 의한 저 전력 솔레노이드 구동 시스템을 개발하여 솔레노이드의 단점인 구동 이후의 전류 소비를 개선하고, 또한 열 발산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제품 수명을 연장함으로서, 향후 솔레노이드 분야의 활용 및 응용에 있어서 유지 보수비용과 하드웨어의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최옥삼류 가야금 산조 진양조의 선율과 호흡

        이은형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s an important musical factor, respiration(in this thesis, respiration means phrase) is very important in Gayageum Sanjo. Eventually it is hard to define what phrase is. But Ham-dongjeongwals memoirs describes it like this. We know what water is when crossing, we know what human is when getting acquainted. Ham-dongjeongwoels Choi-oksam ryu(ryu means a school) Gayageum Sanjo was influenced by Kim-myungwhan who was very close friend and it was completed as Sanjo of today. Kim-myungwhan made theory ; Gi(introduce) Gyung(succeed) Gyul(conclude) Hae(solve). This theory was based on Gi seung Jeon Kyul of chinese poet. Therefore there is a profound relation between Ham-dongjeongwoels Gayageum Sanjo which considered phrase as a very essential factor and Kim-myungwhans Gi Gyung Gyul Hae rhythmical pattern. So this writer will explain melodies of Gi Gyung Gyul Hae as phrase. On that point, according to Choi-oksam Ryu Jinyangjo melodies, this thesis shows characteristics of Gi Gyung Gyul Hae. The melody of Gi means musical development and beginning of mode key. Gyung repeats melodies of Gi, sometimes it is stressed once more below an octave. Gyul is part of expression about climax of tension. Particulary it uses tough style of playing like strong Nonghyun(swing a string) and JeonSung(press a string quickly and spring out). The melody of Hae means ending of music and it is composed of ending molody. Phrase is grouped by Gi Gyung Gyul Hae. 4 Gak (Gak means rhythm and it is composed of ♩.= 6 beats ) unit composition of Gi Gyung Gyul Hae is basis of phrase. This writer explains 3 Gak and less as phrase reduction and 5 Gak and more as phrase extension. There are two kinds of phrases. One is reduction form. the characteristic of this form is omission of melodies. The other is extension form. Extension form is divided two; one is like this. The melody of Gi Gyung Gyul Hae comes together twice into one phrase melody. The other is like this. Gi Gyung Gyul Hae forms one melody paragraph order but in it, Gi Gyung are repeated many times. As we know, classification by Gi Gyung Gyul Hae shows that phrase plays an important role to connect mode and rhythm. So if we play Gayageum Sanjo after knowing about phrase, we can express more natural Gayageum playing. 이 논문은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선율 단락과 호흡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가야금 연주가 사이에서는 호흡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있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호흡의 개념에 대해서 정확하게 설명된 적은 없다. 단, 함동정월은 자신의 회고록『물은 건너봐야 알고 사람은 겪어 봐야 알거든』에서 호흡을 선율과 선율의 연결, 박자, 강약 등으로 설명한 예가 있다. 또 고수 김명환은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장단을 한시(漢詩)의 기승전결(起承轉結)의 이론을 적용하여 기(뻗고) 경(달고) 결(맺고) 해(푼다)의 구조로 설명하였다. 즉 함동정월의 호흡에 대한 생각과 김명환이 설명한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기 경 결 해 는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선율을 분석하여 기(起) 경(景) 결(結) 해(解) 선율의 특성을 밝히고, 이 선율을 중심으로 함동정월의 호흡에 대한 개념과 김명환의 기 경 결 해 이론이 호흡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연구 하였다. 그 결과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선율의 특성 중 기의 선율은 음악의 전개와 조(調)의 시작을 의미한다. 경은 기의 선율을 같은 음역에서 반복하거나 한 옥타브 아래에서 한 번 더 반복하기도 한다. 결은 선율의 진행 속에서 긴장의 고조를 표현하는 부분으로 특별히 왼손 주법에서 농현과 전성 등의 표현을 격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해의 선율은 종지형 선율로 음악의 끝을 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기 경 결 해 구조로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선율을 분석한 결과 기 경 결 해의 구성을 호흡의 기본이라 하되, 선율의 진행에 따라 단락의 축소와 확대가 다양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축소형태는 선율이 생략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면 기 해의 구성은 그 안에 경과 결의 선율이 생략되었고, 기 경 해의 구성은 결의 선율이 생략 되었다. 호흡의 확대형태는 3가지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는 2개의 기 경 결 해가 하나의 호흡으로 된 구성이고, 둘째로는 한 호흡에서 기 경 결 해의 중복으로 확장된 구성이다. 셋째로 기 경 결 해의 중복과 2개의 호흡이 하나의 호흡으로 된 선율이 합쳐진 구성이다. 위와 같은 호흡의 확대형식은 선율이 확장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에서와 같이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기 경 결 해의 단락은 곧 함동정월이 말하는 호흡을 의미한다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호흡의 개념을 알고 가야금산조를 연주한다면, 음악의 시작과 끝을 분명히 알 수 있고, 장단의 흐름을 알게 되며, 강(强)과 약(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야금산조의 연주에 있어서 호흡은 더욱 자연스럽고 깊이 있는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 위상과 형상 최적화 기법을 사용한 FRP 교량바닥판의 설계

        이은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FRP(섬유강화 복합재료)를 교량의 바닥판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위상최적화와 형상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여 이론적인 최적 단면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위상최적화를 통하여 바닥판의 최적 단면모양을 찾아내었으며, 그 결과 단순보에서 중앙 집중하중의 경우 가장 이상적인 구조는 트러스 형태의 골조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평부재와 경사부재가 만나는 절점에서 보강재를 볼 수 있었고, 이는 기존 상업용 FRP바닥판에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설계변수로 사용하였다. 두 번째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형상최적화를 통하여 위상최적화 결과의 규격을 찾고자 하였다. 기존 상용제품들과 비교를 위하여 바닥판의 높이를 제한하여 설계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바닥판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상용제품과 사용성 및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 기준안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By using topology and shape optimization, a theoretically optimum FRP deck was proposed. First of all, a topologically optimal shape, truss-like structure without hinges, was found. A truss-shape frame is the most ideal structure when subjected to a concentrated force at the center of simple beam. An armature was found at the point joining horizontal chord and diagonal chord, which was used as a new design variable. Secondly, optimum measure of topology optimization result was proposed through shape optimization using genetic algorithm. To compare it with existing FRP decks, shape optimization was performed by fixing the height of FRP deck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FRP deck proposed in this study, a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satisfies the serviceability and safety guide line of FRP decks.

      • 기혼 직장여성의 고용불안정성이 자녀 방임에 미치는 영향 : 절망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은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직장여성의 고용불안정성이 자녀 방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절망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여성 복지 연구실에서 연세미래선도 연구사업 2차년도 과제로 실시한 ‘직장여성의 사회적 배제와 일-가정 양립에 대한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만 18세 이하 자녀를 1명 이상 양육하는 만 19세 이상 직장인 여성으로 정규직 150명, 비정규직 150명, 총 300명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분석에는 연구참여자 300명을 전부 활용하였다. 연구모형과 주요변수 구성은 전이이론과 아동학대의 과정모델을 근거로 설정하였다. 주요 변수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증, F검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검증은 Hayes(2013)가 제시한 검증 방법에 따라 macro program PROCESS v.3.5의 부트스트랩(Bootstrap)을 실시하여, 통제변수와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통제변수, 독립변수,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직장여성의 고용불안정성이 매개변수인 절망감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기혼 직장여성의 고용불안정성이 종속변수인 자녀방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혼 직장여성의 고용불안정성과 절망감이 자녀방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혼 직장여성의 고용불안정성과 자녀 방임의 관계에서 절망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직장 여성이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이 자녀 방임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한다. 둘째, 기혼 직장여성이 느끼는 고용불안정성이 자녀방임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마지막으로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EAP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의 인지된 고용불안정성이 자녀 방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of married working women on child neglect,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hopelessness. The data used for analysis is, "Research on Social Exclusion and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Women", which was conducted by Yonsei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in the second year of Yonsei Future Leading Research Project. The research subjects were 30 0 working woman aged 19, who raise at least one child under the age of 18, and the job classification of this study subjects were 150 regular workers and 150 non-regular workers. This study model and the major variables were set based on the spillover theory and the process model of child abuse. The major variables of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were analyzed by using IBM SPSS 25.0. and macro program PROCESS v3.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 insecurity of married working women has a positive effect on hopelessness. Second, the job b insecurity of married working wome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neglect. Third, the job insecurity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hopeless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neglect. Lastly, hopeless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insecurity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the child negl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upport for child neglect factors, so that job insecurity of married working women does not lead to child neglect. Second, child care services should be supported with concrete policy, to prevent child neglect. Lastly, the EAP program should be expanded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married working women. This study meaningfully and empirically revealed that, perceived job insecurity of married working women can affect their child neglect.

      • 한국 전통 관악기 음향 기반 전자 음원의 창조 : 한국 전통 관악기 음향 기반 전자 음원의 창조

        이은형 안동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was written to research a new electronic synthetic sound source based on Korea traditional wind instrument sound. That is, we create a new electronic synthetic sound by using various computational methods such as additive synthesis, reverberation, DC-off set, equalizing, etc. We hope that the electronic sound source created with source of the tone of <Eb6> of Sogeum will be used widely by computer musicians as new and creative musical resource. Furthermore, we emphasize this study will help virtual software instrument to improve much more by our new electronic synthetic sound.

      • 역학에서의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문제제시 유형별 난이도 비교

        이은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학에서의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문제제시 유형별 난이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역학에서 동일한 이론에 대한 문제를 두 가지 유형으로 제시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역학부분에서 정성적 문항과 정량적 문항의 형태에 따른 난이도의 차이는 없었다. 성적에 따른 난이도 차이도 동일한 결과였다.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는 남학생집단이 여학생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수학능력시험의 도입 이후 정량적 문항과 정성적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불균형 학습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evaluation of learning played another important roles to stimulate the motivation of students learning and provide guidelines for the preparation for instruc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82 second grade boy students and 81 second grade girl students from high schools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qualitative items and quantitative items in the area of mechanics by students'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used two different types of test item presentation. There was no discrepancy in the difficulty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questions when we presented questions on mechanics part. We found out the same result with the upper and lower level of students. In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 boy students received higher scores in qualitative questions ones while girl students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the two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the unbalance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has been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