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인화를 활용한 분청화 표현 연구

        이은하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문인화는 전문화가가 아닌 사대부들이 여기(餘技)로 그리던 그림이다. 정교한 솜씨보다 자연스러운 사의(寫意)를 드러나게 하여 서로 간의 철학을 공유하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사의성은 사물의 형태보다는 정신에 치중하고 사물의 외형보다는 그 사물을 바라보는 사람의 내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선비들의 주관적인 생각과 독창성을 근본으로 한다. 본인은 문인화를 시작한 지 10년 즈음에 화선지 위에만 그리는 먹그림이 단조롭게 느껴졌다. 눈이나 비에도 훼손의 걱정 없이 문인화의 담박미와 사의성을 감상할 수 있고 입체적인 표현 또한 가능한 재료에 관한 탐구를 하던 중 흙의 물성을 알게 되어 도자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문인화는 화선지 위에 먹과 붓을 사용하여 표현하지만, 도자기는 재료를 직접 만지면서 굴리고 누르고 찍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이질적인 재료를 융합하기 위해 다양한 도자기 회화법(철화, 분청, 안료 등)을 실험하였고 그 중 분청이 먹과 화선지의 느낌과 흡사함을 발견하여 분청사기에 주목하게 되었다. 분청기법은 일반 청자 흙 위에 하얀색의 화장토를 발라 표면을 백자처럼 만든 후 귀얄, 인화, 선각, 철화 등의 기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관(官)요와 민(民)요에서 두루 사용된 대중성이 특징이다. 대중 속에 살아있는 분청사기는 소박함과 해학이 있고 자유분방한 활력이 넘치는 율동감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양에서 보이는 물고기, 모란문, 연화문 등은 문인화에서 나타난 소재와 비슷하고 같은 소재를 어디에 표현하느냐에 따라 문인화가 될 수도 있고 분청사기가 될 수도 있다. 분청사기는 상감청자의 귀족적이고 우아한 세련미와는 다른 소박함이 있어 문인화의 담박미와 닮았다. 또한, 분청기법에 따라 다채로운 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측면은 문인화가 소재에 따라 다양한 사의성을 표현하는 것처럼 서로 연상작용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문인화와 분청사기를 고찰하게 되었고, 각각의 표현법의 특징을 연구하여 두 분야의 관계성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험을 거쳐 백 화장토를 태토 위에 바른 후, 흑 화장토를 사용하여 직접 그림을 그리고 자연물로 인화하는 기법을 사용하였고 이를‘분청화’라 명명하게 되었다. 분청기법을 응용한 조형적 표현 연구에서 분청화 작업은 기물의 형태나 도판의 물성과 작가의 심상에 따라 표현의 양상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문인화의 정신성과 흙의 본질을 활용한 조형성이 분청화로 발전되어 그동안 도자 분야에서 시도하지 않았던‘분청화’로서의 회화적 가능성과 입체성을 제시해 주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Literati paintings are paintings which were drawn by scholars as a leisure activity, not by professional artists. Being a medium, which enables metaphysical speculation to be shared among scholars, literati paintings don’t need sophisticated artistic techniques. So all they need is to make those who see them feel the painter’s desire to draw his or her speculation. To show the desire to draw the speculation, the painter focuses on the spirit of the subject rather than its shape. Therefore the painter needs to be inventive and creative. About ten years after I started to draw literati paintings, I realized that the ink wash painting on the drawing paper only is not that exciting. Searching for the material on which the good features of the literati paintings such as simplicity and expressing the painter’s speculation can be realized without worrying about being wet or damaged, I finally got to know abou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and started to work on making porcelain. To draw literati paintings, the painter uses only ink and brushes on the drawing paper while to make porcelain, the potter molds, shapes and designs the pot in various ways. While experimenting various kinds of porcelain painting methods such as underglaze iron painting, buncheong, mineral pigments to harmonize the entirely different materials, I got to notice buncheong shares some similarities with drawing paper and ink. Buncheong is an additive process, which means spreading white engobe onto general celadon porcelain clay to make it look like white porcelain and decorating it using some techniques such as white slip painted decoration, chnique, and incising technique. Buncheongware was so popular that it was largely manufactured at both the public and the private porcelain kilns. Being popular among the public, Buncheongware full of humor and simple beauty is considered to be lively and authentic. Buncheongware and literati paintings have many similarities - fish patterns, peony patterns, lotus flower patterns are commonly used for both of them. Unlike celadon porcelain, which has aristocratic and elegant sophistication, Buncheongware has simple beauty similar to simplicity in literati paintings. Being able to express the painter’s desire to draw various specula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s in literati paintings can be associated to being able to show the possibility of various changes according to buncheong techniques in buncheongware. These similarities made me notice the correlation between two fields and search for expression techniques for each of them. After a variety of experiments, I finally found the process which is spreading white engobe onto general celadon porcelain clay to make it look like white porcelain and on it drawing with black engobe or chnique with natural materials. I named this process ‘Buncheong painting’. I hope the spiritual features of the literati paintings and the formative features of Buncheongware can be harmonzed in‘Buncheiong painting’, which can make a chance to present a new attempt that has never been tried.

      • 미술치료 상담이 청소년 불안감 해소에 미치는 영향

        이은하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불안감을 갖고 있는 청소년들 개개인에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불안감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술치료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억압된 감정, 충동의 조절과 표출을 통하여 심리적 균형과 동시에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됨으로써 장래의 희망과 목표를 이룰수 있도록 여러가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건전한 자신의 위치를 인지함과 장래를 희망적, 낙관적인 생각을 갖게 함으로써 학교생활과 가정생활을 원만하게 적응하고 건전한 자신을 인지 하도록 정립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술치료 상담이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불안과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고 있는 청소년에게 자신이 갖고있는 재능을 발휘하여 어려운 상황, 환경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자기 스스로 회복 가능성을 인지하고 주변 티인과의 관계를 다시금 설계해 보는 긍정적인 생각의 변화되면 희망과 보람된 미래를 설계하는데 커다란 밑바탕이 될것으로 사료된다.

      • 청소년용 에니어그램 성격검사도구 개발 및 상담에의 활용

        이은하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Development of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ce and the Application to Counseling Eun - Ha Lee Major in Youth Counseling Department of Educational Science Graduate School, Soonchunhya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ang-In N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justify the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ce, and to apply it to counseling. To achieve this purpose, I prove the construction model which accounts for the testing for young adults through Enneagram. According to the procedu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sting instrument and for validity, I developed and gave validity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ce. Furthermor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research proposed in this study, I developed this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ce. The procedure was as follows; 1. The step of making a plan through the development model for the testing instrument 2. The step for contriving the questionnaire 3. The step for carrying out the preliminary research 4. The step for carrying out the research and developing the standard Specifying each step one after another, first in the step of making a research development plan, I fix the purpose of the testing and set up the construction model. The purpose of the testing is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character for youths through Enneagram and the subjects are from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to the third grade in high school. The research type was directed through the self-report style of the testing. Second, in the step for contriving questionnaire, I devised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deviated the reaction style and made the minimized reaction deviation of the questionnaire. Third, in the step for carrying out the preliminary research, to begin with, I first carried out the first preliminary research to make sure of the clarity of the questionnaire, the easiness of reaction and the propriety of reaction style. In addition to that, I carried out and analyzed the second and third preliminary research to find out the questionnaire selection and the element confirmation. For this study I put together 6,400 students from 32 schools all over the nation. In the process I assigned the sample groups at the rate of the proportion of the district. I ascertained the scale for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ce statistically excellent after analyzing the questionnaire, the mean, th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The total reliability was very high. From the questionnair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coefficient calculation, the analysis of reliability and the total reliability of the testing instrument shows very excellent result. From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among the sample groups to develop the standard, I could find the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 sex and the grades. Therefore different norms for each sex were developed and the norm for grades was just focused on the 2nd grade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lso the result of the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ce was applied to the counseling for dolescence. Personal profile of the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could be used as the clue for the counseling. The counseling could be started with interpreting the profile of the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And according to the profile the counseling issue should be adjusted to the main issue of the client. With the result of the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ce the counseling for adolescence were guided in terms of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element. For each of the type of Enneagram Personality the main theme and contents of the counseling were different and therefore the process and strategies were also different. Following is the process of the counseling. First of all the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ce was administered, and then main issue could be found. Next counseling plan could be made with interpreting the result of the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Main issue is related to the pattern of belief or thinking, emotion, and behavior. The counselor can help the client look out upon his/her behavior integratedly with dealing with the belief or thinking, emotion, and behavior with integration. With the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ce effective short-term of counseling with six session was proposed.

      • 김우진 연구

        이은하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ies on Kim Woo-jin, one of the typical dramatists in 1920s, have been performed, mainly focused on highlighting the modernity of the themes, based on conflicts between modern self and the establishments as was demonstrated in his works. Those conflicts, however, are insufficient for being the fundamental to the interpretation that they, on the formal level, resulted from feudalistic order and sterile reality of colonial Chosun. In the age Kim was writing, the logic that literature also has to be a kind of national literature or anti-Japanese literature was prevailing. Accordingly, when the motive of a writers selection of arts and his writing may not correspond to such trends, his internal conflicts may be reflected on his writings. This view results from a speculation that writing activities have a greater possibility of being simply individual revelations, such as ones own aptitudes, interests and curiosities on the individual basis. It, in particular, may suggest his strong desire for individual success that he decided to take in the course of literature and went to Japan to study when anti-Japanese movement came to the surfa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focusing the conflicts in Kims writings on the split of consciousness from unconsciousness according to psychoanalysis. According to Lacan, the split of subject means that existence splits into the deepest self and the subject of conscious discourse, behavior and culture in the mind. Kims writings also reveal the aspect of such split and conflict between unconscious desire sought by his writing behaviors and sense of liability as an intellectual in the colonial age. Prior to review on the patterns of conflicts in his three later dramas that reveal deepening process and expansion of ndividual consciousnes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the nature of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development of the stories by analyzing poems, critical, early two dramas. Analysis of some poems in his early writing stage when he decided to take in the course of literature and began to write shows his will to seek for pleasure and regression to the stage of reliance on motherhood. However, at the same time, he stressed on struggle for reality on the basis of critical nationalistic view on the reality of Chosun, in his criticism published on the paper and his early dramas after he decided to take in the course of a dramatist, although he still revealed the state of regression in his writings on the basis of individual will to seek for pleasure. Such state of consciousness can be confirmed from the three dramas, such as Disillusion with Poet Dudeogi>, <Wreck> and <Mountain Pig> that were published in later stage. In the dramas, all motives of heroes severe conflicts and self-destructions resulted from the authors longing for free lifestyle not related with reality and his devotion to love on the basis of its prolongation. The heroes are formally attributing their conflicts to the contradictions of family and marriage systems, as if it were evil convention to be abolished. It reflects his consciousness as a colonial intellectual and self-recognition that the pursuit of pleasure cannot be positively accepted in reality and in Confucian ideas internalized by him. Therefore, such physiological conflict resulted in severe jump of the stories and some ideological problems. Considering this fact, this study showed that Kims writings were expressed on the basis of problem of modernity disguised as a challenge to traditional conventions, not a real challenge to conflicts from the conventions, since the unconsciousness of Kim who was longing for free will could not be positively accepted in reality. Therefore,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re-examination of Kims writings that have been understood unilaterally thus far. In addition, more studies supplementary to this will suggest another perspective for literature, detached from the view that all conflicts in the writings of intellectuals who accepted new culture through studying abroad at that time are related with the reality of colonial Chosun and the feudalistic evils. 1920년대 대표적 극작가인 김우진에 대한 연구는 작품에 나타난 근대적 자아와 구질서간의 갈등을 근거로 주제에 대한 근대성을 부각시키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갈등이 반드시 봉건적 질서와 식민지 조선의 궁핍한 현실 등 공적인 차원에서 비롯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는 근거 마련에는 미흡함을 드러낸다. 김우진이 창작 활동을 하던 시기는, 문학 역시 민족 문학 내지 항일 문학이어야 된다는 논리를 우세하게 만들고 있었다. 그런데 작가가 예술을 선택한 동기와 창작 행위가 이런 방향과 부합되지 않을 경우 심적 갈등이 문학에 반영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 관점은 창작 행위가 개인적 차원에서의 적성과 흥미, 호기심 등, 개인적 발로일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고려한 결과다. 특히 항일 운동의 움직임이 표면화되고 있던 시기에 문학으로 진로를 결정하고 유학을 가서 공부를 했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개인적 욕망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 필자는 김우진 문학에 나타난 갈등을 정신분석학에 의한 의식과 무의식의 분열에서 찾고자 했다. 라깡에 의하면 주체의 분열이란, 존재가 정신에서 가장 깊숙한 자아와 의식적인 담론, 행동, 문화의 주체로 나뉘는 것을 말한다. 김우진의 문학 역시, 창작 행위를 통해 추구한 무의식적 욕망과 식민지 지식인이라는 사명감 속에서 갈등과 분열을 거듭하는 모습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개인의식의 심화와 확대 성향을 드러내고 있는 후기 3편의 희곡에 나타난 갈등 양상을 고찰하기에 앞서, 시와 평론, 그리고 초기에 창작된 두 편의 희곡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작가의식의 본질이 전개 과정에서 어떻게 변모되고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김우진이 문학으로 진로를 결정하고 최초로 창작하기 시작한 시의 분석을 통해 드러난 것은 쾌락 추구의 의지와 모성으로의 퇴행심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같은 시점에 지상(紙上)에 발표한 평론과, 후에 극작가로서 진로를 결정하고 초기에 창작한 희곡에서는,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조선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현실 투쟁을 역설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개인적으로는 여전히 쾌락 추구 의 의지를 바탕으로 한 퇴행심리를 표출시키는 시를 창작하고 있다. 이처럼 분열되면서 상호 모순되고 있는 작가 의식의 실상은 후기에 발표된 <두덕이 詩人의 幻滅>, <難破>, <山돼지> 등 3편의 희곡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작품에서 주인공들이 극심한 갈등을 겪고 분열되는 원인은 봉건적 질서 때문이 아니라 현실 원리를 떠난 자유분방한 삶에의 소망, 그리고 이의 연장선상에 있는 애정행각 때문이다. 그렇다면 작품에 나타난 억압적 현실 인식의 근거는 결국, 개인의 쾌락 추구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희곡의 주체들은 자신의 갈등 원인을 결혼 제도와 가족제도의 모순 등 인습 때문인 것처럼 설득력 없이 부각시키며 공적인 차원에서 거론하고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쾌락 추구의 욕망이, 현실에서 그리고 스스로에게 내면화되어 있던 유교적 이념에서 긍정적으로 수용될 수 없다는 자기 인식과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양심이 반영된 것으로, 이러한 작가의 심적 갈등은 결과적으로 작품 내용의 심한 비약과 사상적인 문제점을 가져오게 만든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주목해 연구를 진행시켜 김우진의 작품 세계가 인습으로 인해 갈등을 겪고 이에 도전한 것이 아닌, 자유의지를 욕망하는 김우진의 무의식이 현실에서 긍정적으로 수용될 수 없었기에, 인습에 대한 도전으로 전도시켜 근대성의 문제로 위장되어 표출?음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는 단선적으로만 이해되던 김우진 문학에 나타난 근대성을 재고해서 해석의 지평을 넓히는 데 작은 기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 연구를 보완한다면, 당시 유학을 통해 신문물을 접한 지식인이 쓴 작품에서 보여지는 갈등을, 모두 식민지의 조선 현실, 봉건적 폐해로만 연관지어 이해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또다른 조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유아의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적 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은하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성, 연령,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의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성 행동과의 관계와 이들 변인의 영향력을 연령과 기관유형에 따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의 놀이성에는 어떠한 변인이 중요한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고 교육실제에서 놀이의 가치가 높이 구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에서의 방법론적인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놀이성은 성, 연령,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적 행동 변인과의 관계는 연령과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가? 2-1.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적 행동 관계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떠한가? 2-2.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적 행동 관계는 유아의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가? 3.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적 행동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연령과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가? 3-1.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적 행동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떠 한가? 3-2.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적 행동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 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7개원에 재원중인 48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고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성, 연령,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놀이성은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유아의 연령,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과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적 행동에 따른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적 행동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기질, 교사-유아 관계, 친사회적 행동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먼저 연령별로 살펴보면 만 4세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모든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교사-유아 관계의 변인인 친밀성이, 만 5세 유아의 경우 기질의 변인인 적응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모든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친사회적 행동의 변인인 협력하기가, 어린이집 유아의 경우 기질의 변인인 접근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장애여성의 휠체어댄스스포츠 체험에 관한 생애사적 접근

        이은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tudy assessed in terms of the life history approach about woman with disabilities to change meanings of her life and process of adapting society by the wheelchair dance sport. And also it provided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meaning of wheelchair dance sport through the dictator's life. A dictator who suffers from peripheral neuropathy of the handicapped was wheelchair dance sport national team. As the fifth of six children, dictator is suffering from Charcot-marie-tooth C disease. Currently, dictator shows her ability as a leader and judge of wheelchair dance sport. This study was done through a participant observation, the in-depth interview and the related data. The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by dividing two parts. First, non-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about 10 times from January 2007 to September 2008. The secondary non-participant observation revolved around dictator's families, the living space, workplace, a scene of the competition, and a practice space from October 2008 to October 2010. The in-depth interview of 9 times per 90 minutes was performed from March 2007 to April 2011. Also, through the testimony of four secondary dictators, we understood and refer to structural properties like a situation, relation, place and time. The related data were tried to diversity of sources by collecting dictator's diary, documentary videos, family tree, pictures, and tournament brochures. The data analysis were analysis of the text. For the veracity of data, it was performed the triangle verification, the reflective subjectivity, the expert consultation, the in-depth technical, and examining activity between the members. It maximally improved ethicality of the study for the reflecting and respecting dictator's opinion most and progressing a study focused on the dictator. As a result, Kim yeol-sim's lifetime process, meaning of wheelchair dance sport in Kim's lif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 of wheelchair dance sport were derived. Kim's lifetime process was appeared as the childhood before recognizing her disable, recognizing uncomfortable body little by little and the diagnosis of rare diseases, the difficulty of social activities and various experiences of sports, the introduction to dance sports and the life as a player, and then a leader of wheelchair dance sport. The meaning of the dance sport in Kim's life was draw such as a rediscovery of body that changed from the target of exclusion to the love, rediscovery of the family, rediscovery of the sport, rediscovery of the social network. The social and cultural undertone of the wheelchair dance sport was a pl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hope of disabled, : be a role model, women with disabilities, cross the threshold of the world in wheelchair dance sport, the challenge for the bias about a view of women with disabilities who perform wheelchair dance sport. 이 연구는 장애여성이 휠체어댄스스포츠를 통해 변화되는 삶의 의미와 사회에 적응해가는 과정을 생애사적 관점에서 기술하고, 구술자의 생애를 통해 휠체어댄스스포츠가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구술자는 말초 신경 장애를 앓고 있는 1급 지체장애인으로 휠체어댄스스포츠 전 국가대표 선수였다. 구술자는 6남매 중 다섯째로 차코마리투스C를 앓고 있다. 현재는 휠체어댄스스포츠 지도자 및 심판으로서 역량을 펼치고 있다. 자료수집은 참여관찰, 심층면담, 관련자료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참여관찰은 1차, 2차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먼저 2007년 1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약 10회의 1차 비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2차 비참여관찰은 2008년 10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실시하였으며 구술자의 가정과 생활공간, 일터, 대회현장, 연습공간 등을 중심으로 관찰하였다. 심층면담은 2007년 3월부터 2011년 4월까지 1회 90분 정도 총 9회 실시하였다. 또한 4인의 보조 구술자의 증언을 통해 상황, 관계, 공간, 시간 등의 구조적 속성을 이해하고 참고하였다. 관련자료는 구술자의 일기, 다큐영상, 가계도, 사진, 경기대회 팜플렛 등을 수집하여 자료원의 다원화를 시도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위해 삼각검증법, 반성적 주관성, 전문가 협의, 심층 기술, 구성원간 검토 작업을 수행하였다. 구술자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 존중하며 구술자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기 위해 연구의 윤리성을 최대한 제고하였다. 그 결과 김열심의 생애과정, 김열심의 삶에 있어서 휠체어댄스스포츠의 의미, 휠체어댄스스포츠의 사회문화적 함의로 도출되었다. 김열심의 생애과정은 장애인지 이전의 어린 시절, 조금씩 인지되는 불편한 몸과 희귀병 진단, 힘든 사회 활동과 다양한 스포츠 경험, 휠체어댄스스포츠 입문과 선수로의 삶, 휠체어댄스스포츠 지도자로 살아가기로 나타났다. 김열심의 삶에 있어서 휠체어댄스스포츠의 의미는 배제의 대상에서 사랑의 대상이 된 몸의 재발견, 가족의 재발견, 스포츠의 재발견, 사회적 관계망의 재발견으로 도출되었다. 휠체어댄스스포츠의 사회문화적 함의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소통의 장, 장애인의 희망: 역할모델 되기, 장애여성, 휠체어댄스스포츠로 세상의 문턱 넘기, 휠체어댄스스포츠를 하는 장애여성을 바라보는 편견에 대한 도전으로 나타났다.

      • 吳昌碩이 韓國 書壇에 미친 影響

        이은하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Oh, Chang-Seok, a master calligrapher in the modern Chung dynasty, actively accepted the new culture and then started his original art of calligraphy. Also he headed for the highest art world with the excellent talent for the seal engraving. His art works were introduced to Korea by Min,Young-Ik and then its effect was surprisingly influenced to many artists in Korea. And his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also did by Oh's style of Kim,Yong-Jin's who studied down Oh,Chang-Seok. As his distinctive calligraphy, painting, and seal engraving, established by Oh's Art, were celebrated in Korea, Japan as well as that age Chung, many studies had been on his style in those countries. The art of Oh,Chang-Seok's is called four excellence of poetry, calligraphy, painting and seal engraving, and so his literary painting was completed with postscripts. Artist's own feeling was not represented in paintings, but only a composition on his paintings tuned up with the poetry. As there was interested in epigraphy at the end of Chung dynasty, Oh, Chang-Seok came in touch with 'Seok Ko', and so created his typical boundaries of art world in calligraphy. His calligraphy style renewed was strong, antique, epigraphical, and literary. So, the style handed his high effect down to the calligraphic circles in Korea, as well as Japan, China. The beginner learned a seal character with Oh's textbook. Moreover, a section of the artist's private works was devoted to Oh's character arts. In Korea, particularly, many art works, which copied or collected characters in Oh,Chang-Seok's works, have participated and won the prize i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r public subscriptions. As these follows, we make it out that Oh's calligraphical style was introduced and have a great effect on that of Korea. The art of Oh, Chang-Seok, renewed the tradition with his distinguished sense and knowledge, established the great achievement in the modern calligraphy art. In the basis of making a direction and possibility in the current calligraphy, I think that studies on Oh, Chang-Seok's world of art must go on. But it is a matter of sincere regret that we have little chances of referring on Oh, Chang-Seok's original prints, though there are a few of texts on his world of art or documents in our country.

      • 박완서 소설 연구 : 여성 문제를 중심으로

        이은하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들을 예리하게 관찰하고 개성 있게 표현한 수많은 작가들 중에서 소설가 박완서는 사회 문제, 특히 여성 문제를 관심 있게 다룬 작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작가 박완서가 우리 사회의 여성 문제를 어떻게 다루었으며, 소설 속의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여성 의식의 변화와 여성 의식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어떤 양태로 나타나 있는가를 밝혀보는 데 었다. 또한 작가의 여성주의 문학관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성의 문제를 다룬 박완서의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의 정체성과 여성 문제를 일으키게 된 본질을 생물학적 차이로만이 아니라 그와 연유된 중요한 사회구조의 문제로 이해하고 해답을 찾으려 하였다. 여성해방의 시각과 그 성숙 정도에 따라 고발 단계, 재해석의 단계, 해방의 비전을 제시하는 단계로 나뉘는 페미니즘 문학을 포함한 여성주의 문학 이론에 입각하여 박완서의 소설 속에 나타나는 여성 문제를 논의하였다. 또한 현저하게 남성 위주의 가치체계를 반영했던 기존의 편향된 텍스트 원기에 대응하여 보다 여권론적인 관점에 입각한 ‘여성으로서의 독해’를 하였다. 결국 주로 여성과 관련 있는 쟁점에 대한 여성의 가치의식이 이 글의 핵심이 된다. 연구의 대상은 주로 여성 문제를 다룬 것으로, 1970년 초기작부터 현재에 발표된 단편소설을 위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장편소설을 들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박완서 소설의 여성 문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박완서 소설 속의 여성들은 자기만이 갖는‘자기다움’을 바로 찾지 못하고 여성 자신의 정체성을 남편과 자녀, 부모와의 관계에서 찾으려고 한다. 이것은 우리나라 여성들의 자의식의 세계이기도 하다. 왜곡된 여성정체성의 대물림으로 어머니나 아내 역할만을 주입 받아온 박완서 소설 속의 여성들은 모성의 존재론적인 의미를 보여주었다. 또한 여성간의 갈등과 나약한 존재로 나타나는 남성들 사이에서 여성성을 인정하고 자아 발견의 과정을 이룩해 낸다. 여성도 독립적인 한 인간이며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여성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것이 진정한 삶을 사는 모습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박완서는 작품 속에서 여성 의식의 변화를 방해하는 요소이자 사회적 통념인 남아선호사상의 실태를 묘사하고 비판한다. 남성위주로 구성된 복잡한 사회구조의 속성으로 인해 여성 자신조차도 모순된 사고로 살아가는 현실을 재현하는데, 이렇게 남아선호사상이 발현하게 된 이유는 가부장제 전통 때문이다. 가부장제, 남아선호사상은 남성들보다 오히려 여성들에게 뿌리깊게 나타나는데, 그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성차별, 성불평등 현상은 여성의 모순된 사고의 결과이다. 여성들은 죄의식과 상실감을 느끼는데, 결국 박완서는 남아선호사상의 허상을 통혜 진정한 의미의 남녀평등이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 참된 여성주의가 꽃피우기 위해서는 우선 여성들 안에 있는 자기 모순적이고 불합리한 관념부터 깨뜨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셋째, 현대 산업 사회의 몸통이 되고 있는 중산층의 삶의 양태를 여성의 입장과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왜곡된 여성정체성의 대물림과 남아선호사상으로 살아온 여성들, 특히 주부들은 가정을 이루고 자녀를 재생산하면서 정서적으로 더욱 갈등을 겪는다. 그것은 가족과 사회로부터의 소외감에서 오며 지나친 가족이기주의, 개인이기주의에 빠져 살아온 삶의 결과이다. 작가가 이기주의와 물욕에 물든 천민자본주의에 대한 경고를 담으며 중산층 여성의 속물 근성과 지식인의 허위 의식을 비판하면서도 독자로 하여금 반성과 화합의 긍정적 결말을 유도하게 하는 것은 작가의 시대적 비판 의식과 아울러 소외된 자에 대한 깊은 애정, 즉 사랑과 평화를 지향하는 모성적 관점에서 비롯된 것엄을 알 수 있다. It seems that studies of the novel, presumed tobe a mixture of aspects of society and the writer'sconsciousness, provide a good opportunity for us tolook into the phases of the times and the writer'stexture of consciousness. Amidst lots of novels that have keenly and idiosyncratically expressed varied socialissues, novelist Park Wan-seo took a keeninterest in social issues, especially infeminine ones. With this in mi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puts on inquiring into how novelist Park Wan-seo deals with feminine issues incontemporary society, how Koreans' consciousness of women has changed, andhow their consciousness has representedtheir right consciousness on women. And an additional objective consists in reviewing in detail what feministic view of literature Park Wan-seo h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depended very largely upon short stories on feminine issues that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early 1970s up to date, including some long stories if necessary. The results of having investigated feminine issues represented from novels by Park Wan-seo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women in novels by Park Wan - seo tried to find their identities within the relations with their husband, children, and parents. Those women characters in Park Wan-seo's novels who were imbued merely with the roles as a wife or a mother in a distorted way in cognizing the identity of the woma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only show their existence as maternity. Furtherm ore, they recognize as an effeminate being their femininity among conflicts among women and men, developing the process of self-discovery. We can acknow ledge from this that it is a woman's real mode of living that in these contexts she lives as an independent human being, finds a genuine self, and establish her identity. Second, literary works of Park Wan -seo elucidate preference for sons, a factor hampering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woman as well as a generalized accepted social idea, stress the abolishm en t of the contradictory idea women have, as least to achieve the equality of the sexes and right feminism. Third, the writer criticizes the family egotism and Philistinism of women in modern times. Notwithstanding, the inducement of the readers to a conclusion of reflection and harmony is due to deep affection towards those who are alienated. That is to say, it is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 a maternal view aiming at love and peace. An integrated elucidation of Park Wan - seo' s feminine issues is expected to be conducive to understanding his literary interpretations and artistic values in a correct way. Moreover, revelation of many a problem of women that has been recognized as perfectly justified due merely to the patriarchal tradition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groping not merely for the causes of feminine suppression but for an approach to feasibility of feminine development.

      •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 개발 및 이행정도

        이은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에서 언급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내용을 토대로 근거중심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와 체크리스트의 임상 이행정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단계별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 개발 첫째,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연하과정인 4단계 사정체계로 분류하여 구강준비단계(4항목), 구강기단계(6항목), 인두기단계(6항목), 식도기단계(4항목)로 구성된 총 20개의 사정항목과 사정에 따른 중재항목 76개를 도출하였다. 둘째, 예비 체크리스트 항목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11명의 임상 전문가에게 의뢰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점수(Index of Content Validation)를 산출하여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1998) 80%이상인 항목을 채택하였다. CVI 0.8미만인 사정항목 1개와 중재항목 6개를 삭제하기로 하여 최종 연하곤란 사정항목 19개와 중재항목 70개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확정하였다. 셋째,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예비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경과에 입원한 환자 중 48시간 이내의 환자를 기준으로 20명을 표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하곤란 체크리스트의 사정 19항목 Cronbach's α 계수는 .852였고, 중재 70항목의 Cronbach's α 계수는 .984였다. 2.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의 이행정도 개발된 체크리스트의 임상 이행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7월 25일 부터 9월 3일까지 G광역시 C병원의 신경과에 입원한 연하곤란이 있는 뇌졸중 환자 중 연구 대상 기준에 충족된 97명을 표출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18.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방법은 실수,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acute; test로 하였다. 첫째,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 이행정도를 살펴보면, 사정항목에서 ‘환자는 깨어있고, 의식이 명료한 상태인가’ 가 가장 높은 이행률을 보였으며, ‘환자의 이름을 부른다’ 와 ‘환자를 일으켜 앉힌다’ 의 중재항목이 각각 높은 이행률을 보였다. 영역별로는 구강준비단계와 구강기단계에서의 사정과 중재 이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 이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 이행 간에 순 상관관계(r=.71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영역별로도 모두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간호사의 연하곤란 사정 이행 정도가 높을수록 연하곤란 중재 체크리스트 이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사정 체크리스트 이행 정도에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연령(t=5.62, p=.005), 식이 종류(F=9.84, p<.001), 안면마비 유무(t=2.97, p=.004), 흡인성 폐렴 과거력 유무(t=3.12, p=.020)인 것으로 나타났고,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중재 체크리스트에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식이 종류(F=3.11, p=.030), 흡인성 폐렴 과거력 유무(t=3.32, 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 내용 타당도와 신뢰도는 연구결과를 통해 검증되었으나 실제 임상 이행정도 분석에 있어 인두기와 식도기단계에서의 사정과 중재 이행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에 낮은 항목에 대한 저해요인을 분석하고 이행률을 높이기 위한 추후 전략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