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확장된 의미역 결정을 이용한 문서 유사성 판단

        이은지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문서의 재사용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하여 정보 콘텐츠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단어의 삽입, 삭제 교체, 어순의 변경 등 복잡한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 특히, 문서 내의 단어가 같은 의미의 유사 단어로 교체되었을 때, 기존의 형태적 유사성 측정방법의 경우 유사성 측정의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유사도 측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의미역 결정(semantic role labeling)을 이용하여 문장의 구조 분석을 기반으로한 의미적 유사성 측정방법을 제안한다. 의미역 결정은 구문 분석을 기반으로 문장 성분을 술어-논항(Predicate-Argument)구조로 분석하여, 각 문장 성분이 문장 내에서 맡고있는 의미 역할을 결정 및 태깅하는 작업을 말하며, 문서의 의미적 이해를 위해 기계 번역이나 질의응답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문장의 술어-논항구조는 문장의 의미를 나타내는 중요한 성분으로 특정의미의 술어에는 필수적인 논항정보가 필요하게 되어, 유사한 의미의 문장 간에는 공통된 술어-논항정보가 사용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유사성 측정방법으로 검출하기 어려운 다시쓰기(paraphrasing)문장 등 변형이 많이 이루어진 유사 문장에 대한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미역 결정을 이용하였다. 기존 의미역 결정 도구들은 기 구축된 언어자원에 기반하여 문서 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언어자원의 범주에 따라서 문서 분석의 성능이 좌우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의미역 결정을 위한 언어자원 중 수작업으로 구축되어 높은 정확성을 갖으며, ‘술어’와 ‘논항’에 대한 의미 정보를 추가한 FrameNet을 활용하였으며, FrameNet의 자원 부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FrameNet을 확장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그 후, 확장된 FrameNet을 이용하여 두 문서에 의미역 결정을 수행을 통해 얻게 된 술어-논항정보를 문서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한 특징 정보로 선정하여, 두 문서 간의 유사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 문서간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해 확장된 FrameNet을 통해 얻게된 의미역 결정 정보를 이용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기존에 문서간 유사성 측정에 활용되고 있는 코사인 유사도, 부분 문자열 유사도와 비교를 통한 문서의 유사성 측정 방법과 비교하였다. 동일한 실험데이터에 제안된 유사성 측정 방식을 적용해 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문서의 수정을 많이 가하지 않는 표절 문서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법과 큰 성능의 차이는 없었지만, 단어의 변형, 문장 구조의 변형이 이루어진 다시쓰기 문장의 경우에는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Reusing documents is very common in the process of digitalizing information contents thanks to the Internet and the popularity of smartphone, and is in the complicated form of word insertion, deletion and replacement, and word order change. In particular, where a word in a document is replaced by a similar word semantically the same, it is not considered as an object of measuring similarity i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measuring morphological similarity. Therefore, it has been studied to measure similarity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measuring semantic similarity, based on sentence structure analysis using semantic role labeling. Semantic role labeling is based on syntax analysis to analyze sentence elements in the Predicate-Argument structure, then determine and tag semantic roles of each sentence element in a sentence.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achine translation or question-answering systems for semantic understanding of a document. Because the Predicate-Argument structure of a sentence is an important element showing the meaning thereof, and a predicate with a specific meaning requires essential argument information, common Predicate-Argument information is used for sentences with similar meaning. In this study, semantic role labeling is used to improve detection performance for similar sentences having many transformations, for example, paraphrasing not detected easily in the conventional similarity measurement methods. Conventional semantic role labeling tools conduct document analysis based on language resources already constructed, and document analysis performance depends on the category of language resources. In this study, FrameNet, one of conventional language resources for semantic role labeling, is used, which is manually constructed and very accurate, and to which the semantic information of ‘predicative’ and ‘argument’ is added. The process of extending FrameNet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issue of insufficient resources of FrameNet. The extended FrameNet is then used to select the predicative-argume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semantic role labeling for two documents as feature information for measuring document similarity and then measure similarity between two documents. In this study, semantic role labeling information is used, which is obtained through the extended FrameNet for measuring similarity between two documents. The result is t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for measuring similarity between documents by comparing it with cosine similarity and partial string similarity used for measuring similarity between documents. Application of the suggested method for measuring similarity to the same experiment data reveals that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does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the conventional methods for plagiarized documents in which the documents are not modified much, but implements better result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for paraphrased documents with modified words and sentence structure.

      • 부재의 파괴확률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진단평가등급 판정

        이은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대상 구조물에 대해서는 시설물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에 관한 세부지침에 따라 4~6년에 1회 이상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여야 하며 필수적으로 안전성평가를 수반해야 한다. 안전성평가에서 사용되는 부재의 중요도는 기둥 0.9, 큰보 0.7, 작은보 0.5, 슬래브 0.3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기둥의 간격, 부재의 배열 또는 하중분포 특성이 상이한 경우에도 모두 동일한 중요도를 적용하게 된다. 또한, 부재의 안전율(Safety factor, 이하 SF) 범위에 따라 정해진 대푯값을 부재의 등급 점수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슬래브나 작은보의 등급이 붕괴가 우려되는 심각한 상태인 E등급과 같이 낮게 산정되어도, 층평가 결과는 B~C등급(보통의 상태)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부재의 SF가 75%미만인 경우 모두 E등급에 포함되어 하나의 대푯값으로 반영되므로, 부재의 SF가 매우 낮은 경우에도 부재의 중요도가 낮으면 해당 부재의 등급이 해당 층 및 구조물의 평가등급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결과가 도출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된 안전성 평가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뢰성 이론을 도입하였다. 구조해석을 통해 얻어진 각 부재의 내력비를 바탕으로 부재의 신뢰도 지수를 구하고, 목표신뢰도 지수에 대한 부재 신뢰도 지수의 비율을 사용하여 각 부재의 중요도를 수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중요도 수정방법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안전성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은 층 및 구조물 평가등급에 대한 SF가 낮은 부재의 영향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jor domestic structures that shall be managed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shall be thoroughly inspected for their safety every four to six years, and the safety evaluation shall be performed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s. In the safety evaluation, the importance factors of structural members are fixed as 0.9 for columns, 0.7 for girders, 0.5 for beams, and 0.3 for slabs, no matter the structure has different column spaces, member arrangements, and loading patterns. The members are supposed to have evaluation grades according to their safety factors(SFs). Consequently, the evaluation grades for floors are often determined as B or C grade (normal condition) even when slabs or beams are E grades (serious condition concerning collapse). Especially, because the E grade includes a large range of SFs below 75%, the evaluation grades of floors or whole structures are not influenced by the grades of the members with low important factors even when the members have very low SFs far below 75%. In this study, therefore, the structure reliability theory was introduced to overcome such a problem in the safety evaluation method. The reliability indexes of member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strength ratios obtained from structural analysis, and the modification methodology of the importance factors were proposed in accordance with the index ratios of the member reliability index and the target reliability index. The importance factor modification method was applied to perform the safety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flect the effects of low SF members on the evaluation grades of floors or structures.

      • 무용공연의 사회공헌활동에 따른 만족, 태도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지 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performances, which is a part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attitude, and intention to re - visit.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a group of people who have had the experience of watching the works selected for the local competition during the dance performances in March and October, 2017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420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 The survey method used the self - evaluation period method which is the individual interview survey, and the survey was sampled b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394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empirical study, except for some missing answers and 26 unreliable responses. The data of the selected questionnaires were SPSS Ver.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ar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alph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First,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dance performances affected satisfaction. Seco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dance performances partially affected attitude. Third, dance performances satisfaction and attitude influenced re - viewing intention. Fourt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dance performances influenced re - viewing intention. These results show that dance performance activities, which are part of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and attitude of local residents, and it is proved to be an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for re - viewing. And that it contributed indirectly to the study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 REBT 집단상담이 청각장애 학생의 신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은지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BT group counseling on lightening the irrational belief of secondar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wo hypotheses were formulated in this study: Hypothesis 1.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receive REBT group counseling might change their irrational belief int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ore rational one than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don't. Hypothesis 2.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receive REBT group counseling might continue to change their irrational belief int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ore rational one than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don't on retention tes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boys and girls from two different schools. Out of them, 15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hearing-impaired secondary students without any multiple handicaps in K school in the city of Chuncheon, and they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15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attended S school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The selected two schools were placed in similar circumstances. The instrument used on the pretest, posttest and retention test was Kim Hwa-suk(1993)'s Personal Belief Inventory, and a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was reconstructed to suit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was conducted in 10 sess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3.0 program. To see i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equivalent, t-test was implemented, and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o find out the immediate and prolonged effects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on the irrational belief of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Besides, ANCOVA was utili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COVA was employed to track any possible changes in the irrational belief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spar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xposed to the REBT group counseling,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n't, in needs for approval, self-expectation, disposition of blame, frustrative response, emotional irresponsibility, overanxiety, problem avoidance, dependence, helplessness, excessive care about others and perfectness. It indicated that the REBT group counseling had an effect on easing irrational belief. Second, the retention test data wa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of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received the REBT group counseling remained the same. When their retention test scores were compared with the pretest ones, there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eds for approval, self-expectation, disposition of blame, frustrative response, emotional irresponsibility, overanxiety, problem avoidance, dependence, helplessness, excessive care about others and perfectness. It showed that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duced lasting effects.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이은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다시 말하자면 내현적 자기애라는 심리적 특성을 가진 대학생들이 SNS중독에 쉽게 빠진다고 가정하며 이러한 SNS중독경향성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요인으로 가정한 것이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대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성별)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SNS중독경향성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2.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SNS중독경향성 간 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3.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SNS중독경향성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4.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충청남도 소재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CERS), SNS중독경향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총 546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그 중 부적합한 자료를 제외하고 총 451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SNS중독경향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 SNS중독경향성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 그리고 SNS중독경향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는 SNS중독경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과민/취약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으며, 착취/자기중심성, 인정욕구/거대 자기 환상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하지 않은 영향을 보였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넷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첫째,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낮추거나 예방을 돕기 위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을 시도할 때 성별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돕기 위한 접근으로 내현적 자기애라는 성격적 변인을 고려하여 부적응적 정서를 낮출 수 있는 전략을 고려해야 하겠다. 셋째,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관련하여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을 시도할 때 개인의 내현적 자기애 전체의 성향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각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고려한 접근이 요구되며, 부적응적 정서 조절의 경우에도 타인비난과 파국화에 초점을 맞춘 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넷째, 개인의 SNS중독경향성을 돕기 위해서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수정할 수 있는 인지치료적 개입을 할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SNS중독경향성과 관련된 성차 연구나 심리적 특성을 살펴본 선행연구가 대부분이고,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같은 매개변인으로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드문 가운데,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한 가지 차원인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주요어: 대학생, 내현적 자기애, SNS중독경향성,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 두피 정보기반에 따른 맞춤형샴푸 사용자의 자기 효능감 연구

        이은지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의 소비문화는 개인의 가치와 개성에 초점을 맞춘 소비 형태로 대량 생산의 시장 구조에서 자신만을 위한 특별한 제품에 초점을 둔 맞춤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업계에서도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두발용 제품군에 속하는 맞춤형샴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뷰티시장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소비자들의 인식이 현재까지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두피 인식과 맞춤형샴푸의 사용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나아가 맞춤형샴푸를 사용 후 객관적 두피 진단과 주관적 자기 효능감에 의한 인식의 차이점을 알아보려고 한다. 20대 이상의 남녀 424명을 대상으로 두피 인식 및 맞춤형샴푸 인식을 알아본 결과, 평소 자신의 두피타입이 정상 두피라고 인식하는 응답자가 31.4%로 높게 나타났으며,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인식은 57.8%로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그 중 맞춤형샴푸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느냐는 응답에서는 78.5%가 사용한 적 없다고 응답하여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 여부에 대한 차이를 보였다. 맞춤형샴푸 사용 후 객관적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 실험을 진행한 결과 5개의 두피 상세 진단 결과 중 두피 상태, 모공 밀집도, 두피 각질량에서는 약간의 감소가 일어나면서 변화를 측정할 수 있었으며 모공 상태에서는 사용 전보다 모공상태의 수치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두피 혈관 노출은 맞춤형샴푸 사용 전과 사용 후에서 수치상의 변화를 알아낼 수 없었다. 자기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대상자의 실험 전후 두피 인식 조사 결과에서 맞춤형샴푸 사용 후 인식 조사 결과 두피, 모발 개선 효과 면에서 개선된 것 같다는 응답자가 65%로 높게 나타났으며, 맞춤형샴푸 사용 시 만족하였냐는 응답에 향, 사용감, 용량 부분에서 만족하였다는 응답자가 85%로 높게 나타났다. 보통이다는 응답자가 15%, 불만족한 응답자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향후 맞춤형샴푸 구매의사에 대한 설문 결과로 80%가 사용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20%의 응답자는 구입의 편의성과 가격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맞춤형샴푸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에서 맞춤형샴푸를 사용할 때 개선 희망 사항으로는 두피청결 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 후 두피 가려움과 비듬 유무에서 개선이 되었다는 응답자가 각각 75%, 80%로 높게 나타났다. 모발 굵기에서는 큰 변화를 느끼지 못하였다는 응답자가 55%로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두피의 객관적 진단 결과와 자기 효능감에 대한 결과가 같지 않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연구대상자의 맞춤형샴푸 사용 전후의 두피 인식이 그 전과 차이점을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눈에 두드러지는 향과 사용감 그리고 세정력 등 즉각적 효과에서는 자기 효능감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두피의 객관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샴푸의 사용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었으며 자기 효능감에 대한 이해와 객관적 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다.

      •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지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은지 울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크게 인지적, 정서적 특성으로 나누어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지적 수행, 특히 표준화된 지능검사와의 관련성을 세부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나아가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지적 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 소재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150명을 대상으로 지능을 측정하고자 박혜원, 이경옥, 안동현(2015)이 표준화한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Ⅳ)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아동패널에서 사용한 양육지식척도, 양육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지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에 기초하여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유아의 지적 수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의 월령에 따른 유아의 지적 수행 차이를 본 결과, 어휘 소검사에서 48∼66개월 유아가 67∼89개월 유아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지적 수행 차이를 본 결과, 동형찾기, 그림기억, 선택하기, 동물짝짓기 소검사와 처리속도, 전체IQ, 비언어, 인지효율성 지표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지적 수행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유아의 지적 수행은 .16∼.18의 범위를 나타냈고, 어머니의 양육지식은 유아의 선택하기 소검사 수행, 처리속도, 인지효율성 지표 수행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지적 수행은 -.21∼-.16의 범위를 나타냈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토막짜기 소검사 수행, 작업기억, 전체IQ, 일반능력 지표 수행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지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지식은 유아의 지적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토막짜기 소검사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0, p<.05).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의 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솔직한 응답보다는 방어적인 응답이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유아의 지능 측정 시에 환경, 검사자와의 라포형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진행하지 못하였다. 또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와 같은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 외에도 유아의 지능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탐색하여 긍정적인 유아의 지능발달을 이끄는 방안들이 더욱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영아가 아닌 유아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 간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지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에 관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유아기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에 대한 가정환경의 질, 수학학습관점 및 수학적 태도의 영향

        이은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유아기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가정환경의 질, 수학학습관점, 수학적 태도를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은 가정환경의 질, 수학학습관점, 수학적 태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에 대한 가정환경의 질, 수학학습관점, 수학적 태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가 수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수학학습관점이 매개하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정환경의 질이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수학학습관점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에 대한 가정환경의 질, 수학학습관점, 수학적 태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333명에게 질문지를 통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지현(2015)이 개발한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가정환경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김지현, 정현심, 김정민, 이순형(2012)이 개발한 유아용 가정환경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수학학습관점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Cannon과 Ginsburg(2008)의 수학 학습에 대한 어머니 관점 척도의 하위 척도인 어머니의 인식론적 관점을 Lee와 Kim(2016)이 타당화한 부모의 수학학습관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혜정과 김지현(2016)이 타당화한 부모의 수학적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WIN 21.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분석, 편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모든 통계분석은 어머니의 학력과 취업여부를 통제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의 질, 어머니의 수학학습관점, 수학적 태도는 수학적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있다. 즉, 일상생활에서 유아와 빈번하게 수학적 상호작용을 하는 것과 높은 수준의 가정환경의 질, 구성주의 관점의 수학학습관점, 긍정적인 수학적 태도는 관련이 있다. 둘째,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에 대해 가정환경의 질, 수학학습관점 순으로 영향력을 가진다. 그러나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는 두 독립변인을 함께 고려하였을 때, 수학적 상호작용을 예측하지 못했다. 셋째,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가 수학적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관계를 수학학습관점이 완전 매개한다. 이는 어머니의 수학에 대해 느끼고 있는 두려움이나 즐거움과 같은 감정과 수학학습에 대한 자아개념을 포함하는 수학적 태도가 자녀의 수학학습 방법에 대한 관점으로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수학적 상호작용을 예측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어머니의 수학학습관점은 가정환경의 질과 수학적 상호작용의 관계를 조절한다. 즉, 가정환경의 질이 높으면 수학적 상호작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데, 구성주의적 수학학습관점의 수준이 높으면 그 향상 폭은 극대화된다. 이 연구는 어머니와 유아의 수학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정환경의 질과 어머니의 수학학습관점 및 수학적 태도의 영향을 밝히고, 더 나아가 어머니의 수학학습관점이 매개 및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밝혔다. 이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수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유아를 능동적인 수학학습자로 바라보아 유아의 수학적 능력 발달에 적합한 가정양육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을 제안하여 유아의 수학적 능력을 도모할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selected three variables to be affecting the early childhood mothers’ mathematical interaction: quality of home environment, early childhood their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and mathematical attitude. Our study investigated (1) whether the mother's mathematical interaction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their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and mathematical attitude, (2) how about the relative effects independent variables, (3) whether their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mediates the effect of mathematical attitude on mathematical interaction, (4) whether their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moderates the influence of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on mathematical interaction. We randomly sampled 333 mothers of 3, 4, and 5-year-old children attending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 and collected their responses by questionnaires. Mothers’ mathematical interaction was measured with mathematical interaction scale for young children’s parents developed by Kim (2015).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was measured with development of the home environment scale early childhood developed by Kim, Jung, Kim, and Lee (2012). Mothers’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was measured with Lee and Kim (2016)’s scale which validated subscale in Cannon and Ginsburg (2008)’s scale of mother’s view about math learning. Mother’s mathematical attitude was measured with mathematical attitude scale for young children’s parents validated by Lee and Kim(2016). Responses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 reliability test, partial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s, and moderator regression using IBM SPSS Statistics WIN 21.0.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early childhood mothers’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and mathematical attitud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mathematical interaction. That is, frequent mathematical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in everyday life had relationship with high level of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their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and mathematical attitude as well. Secondly,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demonstrated the largest explanatory power on the variance of mothers’ mathematical interaction, followed by mothers’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however, mother’s mathematical attitude did not predict mathematical interaction when two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nsidered together. Thirdly, mothers’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mathematical attitude on mathematical interaction. This implies that mothers’ mathematical attitude indirectly predicted mathematical interaction through their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Lastly, Mothers’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That is, if mother has high level of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the positive effect of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on mathematical interaction was even more enhanced.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mothers' mathematics learning view, and mathematical attitudes to improve mathematic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ren. Furthermore, the mothers' view of mathematics learning has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mothers' mathematical interactions, mother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look for their children as active math learners, and create a home environment suitable for child mathematical competence development.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idea about building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can foster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athematics learning home environment for developing the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 1920년대 전반기 한국문학에 나타난 불안의 전개 양상

        이은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lluminates the roles and functions of anxiety, that is commonly observed from the Korean writers in the early 1920s. Although earlier studies have already explained the implications of the negative emotions found in the literature of this perio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ir explanations on these emotions go beyond merely elites' pretentious anguish. However, a closer look at these emotions gives us another explanation: there were the idea of "life" and a sense of its failure at the bottom of the negative emotions. In this regard, anxiety was a dominant mentalité of the writers at the time. Only the ways of responding to anxiety varied by person, and these different ways were interwound with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ach writer's different literary style. To address such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the formation of an intrinsic identity, it is effective to use the psychoanalytic concept of anxiety as 'symptom/sinthome' and that of 'identification with the sinthome.' The body of this paper is consisted of three chapters, each of which demonstrates the imaginary, symbolic or real way of responding to anxiety. Basically 'sinthome' includes all three features, but it is possible and useful to categorize the literary works based on which feature predominates, in order to view both of what the writers thought in common and not in common. Chapter 2 examines the cases of the imaginary way of responding to anxiety. The work of this type often has anxious characters frustrated by Christian ethics or "humanity-justice" discourse which obstructed their artistic activities or free love(Yeon-ae), a major means to materialize the idea of "life." However, other characters in the adjacent work suggest the images of the devil or death as a dysphemism against such ethics. This kind of response can be considered as imaginary because it relieves anxiety virtually and readily. Meanwhile, the concept of 'conscience' also emerges in the similar contexts with the image of the devil, because both emphasize the free mind of an individual and ignore repressive social order. Chapter 3 touches upon the cases of the symbolic way of responding to anxiety. Characters in this type of work are also anxious because of the livelihood issues, another impediment to accomplishing "life." These characters cannot easily deny the importance of the livelihood: rather they stay on disquietude failing to take any measures. They feel the pang of 'conscience' for not being honest with their authentic feelings. However, the concept of 'conscience' gradually expands from this point on, because it can be also 'conscientious' to accept reality in a way. In this vein, the writers claimed in their literary theory that literature should express especially the anguish of the time. What should be noted here is that the anguish mentioned above is on the contrary to 'sentimental' in their language. While the former connotes serious concerns about improving the conditions, the latter is accounted as being impulsive and invalid. Chapter 4 addresses the cases of the real way of responding to anxiety. The writers in this type clarified that it is impossible to realize the idea of "life" under the miserable social conditions at the time and considered the movement to reform society as a higher priority. This argument developed into the primary form of the proletarian literary movement. It was also embodied in the literary work, in which the characters fall into complete despair with the barrier of class and start to vent their anger and sorrow, as well as gain the political awakening. This type of response to anxiety can be regarded as real because the characters cannot maintain a stable life ending up by runaway, violence, or death. Meanwhile, the magazine named 'Saengjang(growth)' is also notable in this regard. This magazine mediated diverse principles such as vapid nihilism doubting even the working-class movement, vigorous socialism, and the idea of 'Saengjang' which includes and therefore be compatible with socialism. Meaning 'growth' that comes to everyone regardless of class, 'Saengjang' suggests an alternative term for "life" and makes the idea remain in existence, adaptable to the age of socialism. From the above, we can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Korean writers in the early 1920s commonly suffered from the crisis of the idea of "life" and found different solutions to deal with it, forming each one's own literary style. Overall, this discussion (1) provides a new explanation on differentiation process of the literature in the 1920s as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the suffering self and (2) exemplifies the proactiveness of emotions through diverse responses to anxiety under the same socio-structural condition. 이 논문은 1920년대 전반기 문인들에게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불안의 역할과 기능을 밝히고자 했다. 이 시기 문인들이 드러낸 부정적 감정은, 선행 연구에서 적극적인 의미 부여가 다수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는 여전히 폐쇄적인 엘리트의 ‘자부심 섞인 고뇌’라는 인상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없었다. 그러나 그 흔적들을 진지하게 검토해 보면, 그 근저에서는 ‘생(生)’이라는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는 충동과 그것이 이미 실패하고 있다는 위기감을 광범위하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불안은 이 시기에 특히 두드러진 지배적 심성에 해당한다. 다만 문인들이 불안에 대응하는 방식은 각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대응 양상은 그들이 동인지 시기에 서로 비슷한 이론 및 소재를 제출하다가 점차 각자의 작품세계를 형성해 갔던 과정과도 맞물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불안과 고유한 정체성 형성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증상’으로서의 불안과 ‘증상에의 동일시’ 개념이 효과적인 설명 방법을 제공해 준다. 이 논문의 각 장은 불안에 대한 대응에서 특히 어떤 측면에 부각되느냐에 따라 설정되었다. 2장은 상상적 측면, 3장은 상징적 측면, 4장은 실재적 측면이 부각된 사례들을 다루었다. 본래 증상은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모두와 관련되지만, 그에 대응하는 방식에 따라 특정 영역과 관련된 측면이 더 두드러질 수 있을 것이다. 먼저 2장에서는 불안에 대한 대응에서 상상적 성격이 두드러지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에 해당하는 작품의 인물들은 기독교나 ‘정의 인도’ 담론과 같은 도덕과 충돌하면서 ‘생’의 실현이 좌절될 위기에 처하고, 그로부터 가치론적 갈등으로서 불안을 느낀다(2장 1절). 그러나 이와 연계된 또 다른 작품에서, 인물들은 기독교 및 ‘정의 인도’ 담론을 부정하고 ‘악마, 죽음’ 등의 소재를 본격적으로 내세우면서, 그 불안을 위악적이고도 빠르게 해소한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양심’ 개념이 부각되기도 했는데, 이는 오늘날의 일반명사와 같은 도덕의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인다는 진정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2장 2절). 한편 ‘악마, 죽음’이 담지하는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자유는, 그 파괴성 자체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경우와, 파괴성 이후에 전제된 진정성의 함의를 주의 깊게 간직하는 경우로 다시 나뉘었다. 후자의 경우 작품 속 인물들은 자신이 겪은 파멸의 위기를 돌아보고, 자신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참된 것’을 더듬어 나가고자 했다(2장 3절). 3장에서는 불안에 대응하는 방식에서 상징적 성격이 두드러지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때 인물들은 ‘생’의 실현을 여전히 원하면서도 생활인으로서 일상을 지탱하고 있는 사회적 질서를 무시하지 못하여, 어떤 행동도 취하지 못한 채 불안 속에 머무른다. 실로 일련의 작품들이 보여주는바 ‘생’의 실현은, 당대 사회의 일상생활 속에서는 주변의 누구도 그 취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그저 무의미한 것으로서 비로소 출현하였다(3장 1절). 이러한 환경에서 스스로의 이념을 의심하기 시작한 인물들은, 이제 자신이 ‘생’의 실현에 충실하지 못하다는 점을 자책하면서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낀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자신이 처한 여건을 직시하는 것 또한 스스로에게 진실한 태도라고 여김으로써, ‘양심적’인 태도의 범위를 확장하려 하기도 한다(3장 2절). 문예론에서도 문인들은 그 같은 ‘고뇌’를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단 이때의 ‘고뇌’는 앞으로 자신이 처한 여건을 바꾸어 나가기 위해 일어나는 것으로서, 그러한 전망 없이 단순히 괴로움을 토로하는 것 자체에 목적이 있는 ‘센티멘털’과는 구분되었다(3장 3절). 4장에서는 불안에 대응하는 방식에 있어 실재적 성격이 두드러지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에 해당하는 문인들은 ‘생’의 실패에 대한 위기의식이 극대화된 나머지, 현재의 여건 속에서는 ‘생’의 실현이 아예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생’의 실현 자체를 목표로 하기 전에 우선 그것이 가능해지기 위한 사회적 환경을 먼저 조성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이것이 곧 계급적 문제의식으로 연결되었다. 작품 속에서 이러한 양상은, 인물들이 자신에게 가해진 억압을 분명하게 알아차리면서, 울음을 터뜨림과 동시에 계급적 각성을 얻는 것으로 형상화된다(4장 1절). 이러한 맥락에서 환멸에 대한 대응은 한편으로는 그 고통을 대대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고통의 표현 자체보다는 ‘제2의적 운동’의 차원으로 넘어가는 것으로 크게 나뉜다(4장 2절). 이러한 가운데 잡지 󰡔생장󰡕은 계급운동을 둘러싼 다양한 견해를 매개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생장󰡕의 주변에는 이미 계급운동마저도 회의적으로 보는 관점과, 이를 비판하며 계급운동의 의의를 강조하는 관점과, 계급운동과 양립 가능하면서도 그 문제의식의 범위를 초과하고자 하는 ‘생장’ 개념이 공존했기 때문이다(4장 3절). 이상과 같이 불안을 중심으로 1920년대 전반기 문학을 설명해 보았을 때, 이 시기는 ‘생’의 실현이라는 공통된 목표가 좌초할 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 문인들 각자가 다양한 대답을 제시해 나간 과정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미적 주체나 낭만적 자아와도 다른 고통의 주체가 스스로를 정체화하는 과정으로서 문학의 분화를 새롭게 설명할 수 있다는 점, 또한 동일한 사회구조적 영향 속에서도 다양하게 제출된 반응들을 통해 감정의 능동성을 보다 적확하게 예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