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布の表面構造と視覺的質感に關する硏究 : 反射特性からの檢討

        이원정 大阪市立大學 2000 해외박사

        RANK : 247631

        이 論文에서는 織(編)物의 表面幾何學的 構造特性과 그에 따라 變化하는 反射光의 質的, 量的變化, 및 빛에 의해 傳達되어지는 畵像情報(物理量)가 사람의 知覺 心理量에 어떻게 影響을 미치는가에 대해 檢討했다. 즉, 織(編)물 表面의 色과 表面幾何學的 構造特性의 物體側 要素가, 反射光이라는 客觀的 要素를 통해 사람의 主觀的 知覺에 어떻게 影響을 미치는가에 대해 檢討했다. 메커니즘 解明을 위해 色과 表面幾何學的 構造를 자유롭게 製作 可能한 表面이 필요함에 따라 染色과 製織에 의해 系統을 세운 試料를 作成하여, 表面幾何學的特性, 力學特性, 光反射特性 等의 物體側 物理的量과 그것을 보는 사람의 心理量의 關係를 檢討하여 視覺的質感의 매커니즘을 解明했다. 第1章 緖論에서는 生活材料와 關聯있는 感性的 項目 中에서 織物材料의 質感에 관한 硏究의 狀況과 必要性에 대해 論함과 함께 硏究目的, 內容의 槪要에 대해 論述했다. 第2章에서는 織物表面에서의 反射光 中에서 色과 幾何學的 構造 中에서 어느 쪽이 보다 크게 影響을 미치는가에 대해 밝히기 위해 纖維素材가 같은 綿纖維 中에서 組織이 다른 市販의 織物과 編物을 染色해서,詩料織物의 物理的 因子가 織物材質의 心理因子에 미치는 影響에 대해 檢討했다. 그 結果 織物表面에서의 反射光을 통해서 大腦에 視覺情報 處理가 心理效果에 크게 影響을 끼치는 것을 밝혔다. 第3章에서는 第2章과 같은 試料를 가지고 表面構造가 測色値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擴散反射特性 밑 正反射特性에 대해 빛의 入射角度, 受光角度의 測光의 幾何學條件을 3次元的으로 變化시켜 解析했다. 纖維構造에 따라 나타나는 表面幾何學的 構造特性이 光學的 異方性을 갖는 反射光으로서의 色 變化를 發生시키고 사람의 눈을 刺戟시켜 質感의 差異를 知覺시키는 一因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 第4章에서는 物體側의 表面幾何學特性을 보다 規則的으로 하기 위해 同一한 실로부터 出發하여 染色, 製織에 의해 發現되는 反射特性의 變化에 대해, 二値化의 畵像에 의한 2次元的 解析과 빛의 照射角度와 受光角度를 3次元的으로 變化시켰을 경우 反射光의 分光分布의 解析을 視覺的 質感에 관한 視知覺量과 함께 檢討했다. 表面色의 差異나 그 色의 濃淡은 質感의 差異判斷에 影響을 끼치는 것과 表面色과 表面幾何學的 構造 變化에 의해 視覺的 質感에 影響을 끼치는 것을 밝혔다. 第5章에서는 視覺的 質感의 形成要因에 있어서 複合特性을 밝히기 위해 織密度,織組織이 같지만 種類가 다른 纖維(綿, 毛, 絹)의 실을 이용하여 表面構造가 다른 織物試料를 製織함과 同時에 그 2次元 畵像을 印畵紙 上에 出力시킨 프린트 試料를 가지고 實物試料와 프린트 試料에 대한 視覺的 質感 差異와 織物 特性値가 心理因子에 끼치는 影響에 대해 檢討하여, 각 因子에는 表面特性뿐만 아닌 力學特性도 포함한 織物의 構造特性이 反射光特性과 함께 復合的으로 關與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第6章은 結論이다. 織物을 視覺的 刺戟으로 봤을 경우 視覺的 質感의 第1因子는 織物의 構成要素(실, 실의 꼬임, 실의 굵기, 織組織, 織密度 等)의 表面幾何學的 特性에 起因하는 材質感의 因子이다. 織物의 表面色은 評價性에 關係하는 心理에 關與하지만 表面의 幾何學的 構造에 의해 發現되는 光學的 異方性이 色이나 光澤에 差異를 發生시켜 서로 다른 表面을 識別하는 手段으로서 寄與한다. 그리고 織物을 보았을 때 發生하는 心理因子에는 織物의 表面特性과 力學特性도 포함한 織物特成이 그것에 의해 變化하는 反射光特性과 함께 復合的으로 關與하여 그것을 結合시킨 知覺板斷이 視覺的 質感의 메커니즘이라는 것을 밝혔다. 즉 織物의 表面에 대한 視覺的 質感에는 經驗을 바탕으로 한 心理的 表面의 關與가 크다는 것을 檢證했다.

      •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원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명인 모델 의존도가 높은 우리 나라 광고 현실에서 유명인 모델에 대한 연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유명인 모델의 효과 및 영향력에 관한 실증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유명인 모델의 속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유형에 따른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메시지 제시 형태에 따른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관여도에 따른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유명인 모델과 상품의 조화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그리고 유명인 모델의 중복출연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등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명인 모델의 효과와 관련하여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에 따라 광고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의 방향에 따라 광고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기 위해 광고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를 사용하였다. 광고에 대한 태도는 선호도, 호감도, 적절성, 신뢰성의 문항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구매의도는 구매탐색, 구매희망, 구매확신의 문항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의 방향에 따라 네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간 광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는 유명인 모델은 싫어하지만 상표는 좋아하는 소비자 집단과 유명인 모델은 좋아하지만 상표는 싫어하는 인지부조화 집단보다 소비자가 유명인 모델과 상표를 모두 좋아하는 집단으로 인지조화 집단이 선호도, 호감도, 적절성, 신뢰성, 구매탐색, 구매확신이 높게 나타나고, 유명인 모델과 상표를 모두 싫어하는 소비자집단으로 인지조화 집단보다 유명인 모델은 싫어하지만 상표는 좋아하는 소비자 집단과 유명인 모델은 좋아하지만 상표는 싫어하는 인지부조화 집단이 선호도, 호감도, 적절성, 신뢰성, 구매탐색, 구매희망, 구매확신이 높게 형성되었다. 둘째, 소비자의 인지가 부조화일 때는 유명인 모델은 싫어하지만 상표는 좋아하는 소비자 집단보다 유명인 모델은 좋아하지만 상표는 싫어하는 소비자 집단이 광고에 대한 선호도, 호감도, 구매탐색이 높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 방향에 따라 광고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의 방향에 의해서 광고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는데 있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도 논의되었다. In the reality of advertising in Korea with high dependence on celebrity endorser, there are more studies about celebrity endorser and positive studies about the effect and influence of celebrity endorser. These existing studies consist of researches on the effect of the attributes of celebrity endorser on advertising, advertising effect of celebrity endorser according to product category, advertising effect of celebrity endorser according to message suggestion, advertising effect of celebrity endorser according to participation, effect of harmony of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on advertising, and effect of multi-exposure of celebrity endorser on adverti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dvertising effect according to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of consumers related to the effect of celebrity endorser. It is looked into how the advertising effect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way of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of consumers, 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bout advertising is used to find out the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to advertising is analyzed through preference, goodwill, pertinence 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is through purchase seeking, purchase prospecting and purchase confirming. This is a try to separate into 4 groups and find out advertising effect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way of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of consumer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of consumers, cognitive consonance group as consumer group who likes both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has higher preference, goodwill, pertinence, trust, purchase seeking, and purchase confirming than consumer group who dislikes celebrity endorser but likes brands and cognitive dissonance group who likes celebrity endorser but dislike brands, and consumer group who dislikes celebrity endorser but likes brands and cognitive dissonance group who likes celebrity endorser but dislikes brands have higher preference, goodwill, pertinence, trust, purchase seeking, purchase prospecting and purchase confirming than cognitive consonance group as consumer group who dislikes both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consumer. Second, when consumer's cognition is dissonant, consumer group who likes celebrity endorser but dislikes brands has higher preference, goodwill, and purchase seeking in advertising than consumer group who dislikes celebrity endorser but likes brands. Therefore, advertising effec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ay of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test that advertising effec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ay of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 유아의 혼합연령집단에서 나타나는 놀이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원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령집단인 분홍반 만 4세와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유형을 알아보고 이를 비교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홍반에서 보여주는 놀이성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에 적합하게 놀이를 지도할 수 있도록 혼합연령집단의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원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 5세 혼합연령집단에서 만 4세 유아들이 자유놀이에서 보이는 놀이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2. 만 4, 5세 혼합연령집단에서 만 5세 유아들이 자유놀이에서 보이는 놀이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 만 4, 5세 혼합연령집단의 만 4세와 만 5세의 놀이성은 어떻게 비교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분홍반에서 이뤄졌다. 연구대상은 2명의 담임교사들과 26명의 유아들로서 이들이 속한 분홍반은 만 4세와 만 5세 유아들로 구성된 혼합연령집단이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서 2011년 5월 3일부터 2011년 9월 2일까지 21회의 참여관찰과 분홍반 담임교사와의 2회의 심층면담이 이뤄졌다. 또한, 연구자는 정확한 상황 설명을 얻기 위해서 유아 및 교사들과 비형식적 면담을 수시로 실시하였다. 혼합연령집단의 만 4세와 만 5세 유아들의 놀이성을 기록하기 위해서 분홍반에서 이뤄지는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 참여관찰이 이뤄졌다. 연구자는 현장노트를 기록하고 비디오와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료 분석을 위해서 는 현장노트, 비디오 자료, 면담내용 기록 및 그 외 문서자료들을 분류, 조직 및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연령집단에서 분홍반 만 4세 유아들의 놀이성 유형은 놀이 주도하기, 협력 요청하기, 협력하기, 웃음 나누기, 놀이방법 공유하기, 새롭게 생각하기로 나타났다. 분홍반 만 4세 유아들은 주도적으로 놀이하였으며 놀이 시, 윗 연령 유아들의 간섭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교사역할놀이를 하면서 놀이에서 주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분홍반 만 4세 유아들은 스스로 놀이하는 것 보다 윗 연령 유아들과 놀이하기를 원했으며 동일한 연령일지라도 높은 인지능력을 가진 유아가 다른 친구들을 도와가며 놀이하였다. 함께 웃음을 공유하며 서로 활발하게 상호작용도 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분홍반 만 4세 유아들은 친밀감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놀이방법을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하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으며 창의적으로 생각하여 놀이방법을 새롭게 창조할 수 있었다. 둘째, 혼합연령집단에서 분홍반 만 5세 유아들의 놀이성 유형은 협동하기, 사전경험 공유하기, 놀이약속 지키기, 긍정적 감정 표현하기로 나타났다. 분홍반 만 5세 유아들은 아래 연령 유아들의 의도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능력을 자발적으로 공유할 수 있었으며, 함께 사전 경험을 공유하면서 오랜 시간 또래와 놀이할 수 있었다. 놀이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였고 긍정적인 감정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분홍반 만 5세 유아들은 놀이를 하는 동안 다양한 감정을 나타냈으며 긍정적인 감정을 공유하였기에 놀이시간도 증가하였다. 셋째, 분홍반 만 4세와 만 5세 유아들의 놀이성간에는 세밀한 차이가 있었다. 능동성, 사회적 상호작용, 놀잇감에 대한 관점이라는 4가지 공통된 범주가 있었다. 만 4세 유아들은 놀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만 5세 유아들은 만 4세 유아들의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만 4세 유아들이 자신의 능력을 또래에게 나눠주며 협력하였다면 만 5세 유아들은 타인의 마음을 읽어주고 자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만 5세 유아들은 정해진 놀이방법을 지키려고 하였으나 만 4세 유아들은 창의적으로 사물을 바라보며 놀이하였다. 이상과 같이, 만 4, 5세 혼합연령집단인 분홍반에서는 각 연령에 따라서 다른 놀이성을 보여주었으며, 두 연령의 유아들은 매일 서로 다른 놀이성을 경험하면서 발달하고 성장해 나갈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done to find out the patterns of playfulness and make a comparison for the six-year-old children and seven-year-old children in 'pink'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what the patterns of playfulness carried out in 'pink' class were and to support teachers to offer practical assistan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atterns of playfulness for six-year-old children in a mixed age group? 2. What is the patterns of playfulness for seven-year-old children in a mixed age group? 3. How can six-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is compared with seven-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in a mixed age group? This study has done in pink class of nursery located in Gyeonggi-do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two teachers and twenty six children and pink class is mixed age group of children six and seven. From May 3th, 2011 to September 2th, 2011, data for research were collected by 21 participant observations, 2 in-depth interviews with pink class's teacher. Also, researcher carried out non-formal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eacher to obtain accurate explanation of situation. There was participated observation in the free play activities period for pink class to record six-year-old children and seven-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in a mixed age group. Researcher recorded a field note, made a video and took pictur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re was classification, organization and categorizing of the field note, video datas, interviewed materials recordings, and other docum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s of playfulness for six-year-old children in a mixed age group were initiating a play, asking collaboration, collaborating, sharing a laughter, sharing the same play method, thinking creative. Six-year-old children took the lead at a play and despite the fact that Seven-year-old children interfere in their play, they solved the problem themselves. Also, they played the role of a teacher, so they could perform an active role in their play. Six-year-old children wanted to play with older children than playing by themselves and even though they were same age, children who had high recognition ability helped other friends in playing situations. They shared a laughter together and could actively interacted with each other. Through active interaction they could have a sense of closeness. Also, they shared the same method of play and exchanged opinions, so they could solved the problem. They could think creatively, and invent a new method of play. Second, the patterns of playfulness for seven-year-old children in a mixed age group were cooperating, sharing a prior experience, following the rules of a play, expressing positive emotion. Seven-year-old children could understand six-year-old children's intention and share their ability spontaneously. They shared prior experience together, so they could play with peer for a long time. And they tried to follow the rules of a play and also expressed their positive emotion freely. Seven-year-old children's feeling expression during the playing situation was diverse and since they shared a positive feelings while playing, their playing time increased. Third, there was specific differences between six-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and seven-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in pink class. There was four categories of playfulness and it is activeness, social interaction and viewpoint on the toy. Six-year-old children took the lead in their play and seven-year-old children were actively participate in six-year-old children's play. Six-year-old children shared their ability and collaborated with friends. On the other hand, seven-year-old children could understand friend's mind and give a helping hand voluntarily. During their play time, they also tried to follow the toy's rules. But six-year-old children saw the things creatively. According to the age of mixed age group, six-year-old children and seven-year-old children showed differences of playfulness. Through everyday contact with different playfulness, six-year-old children and seven-year-old children could develop and grow.

      •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

        이원정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e which is training education experts, reserve teachers and reeducating in-service teacher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in charge of a big role in Korean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ajor of Computer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contributes very much in computer education of teenagers who will lead the IT of Korea. Therefore, it will be a significant study comparing and analyzing about the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study, laying stress on 5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at is, Konkuk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uwon University, Ajou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the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major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ese 5 universities are evaluated ‘best’ and ‘good’ grad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valuation’ in 2004, 2005 which is done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have opened computer education major and have a school for the training of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erits and faults of curriculum in each Graduate Schools, to research a remedy and to establish more progressive model of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major. I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curriculum has divided in four parts, that is, basic completion subjects, common subjects, computer education subjects and non-common subjects, which are essential completion subjects to obtain a teacher’s license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ified. Through these researches, I suggest desirable curriculums for each universities connected with The 7th Curriculum of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As the research of this study, current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ems to have distance from the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must be reorganized to meet the purpos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make deep relation with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As well, the lack of the doctor’s course should be recognized and more doctors’ course should be founded in mor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graduate schools should make exertion to develop more efficient curriculum through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graduate schoolsand organize systemized and specialized curriculum which is needed required in the field. This study is limited in 5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therefore we need to study on more universities as well as foreign schools. By these processes desirable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 여성의 화병증상 완화를 위한 경락마사지미용치료 효과

        이원정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병증상은 참는 것이 미덕이라는 전통문화와 유교적인 사상에서 비롯된 질병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병명이며, 다양한 연령층에 해당하지만 특히 참는 것에 익숙해져 있는 40~65세의 여성들에게서 많이 발병하고 있다. 화병증상은 억누르고 있는 화가 분출되어 신체화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하지만, 화병증상을 심각한 질환으로 인식하지 않는 탓에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경우는 많지 않아서 그냥 방치하거나, 최소한의 방법으로 침, 뜸과 같은 한의학적 치료나 음악치료, 미술치료, 놀이치료와 같은 심리치료로 제한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에는 화병증상의 치료에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모색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미용치료를 통한 화병증상치료의 모색은 적극적인 화병증상치료의 시도가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경혈점을 자극하는 경락마사지와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인간중심상담이론을 ‘경락마사지미용치료’로 정의하고, 경락마사지미용치료가 여성들의 화병증상 완화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충남 천안시에 거주하는 40~65세 여성이며,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화병연구센터에서 사용하는 화병증상진단설문지를 바탕으로 진단설문지를 재구성하여 1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화병증상자로 인정된 여성 9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화병증상자에게 미용치료경락마사지를 주 1회, 총 10회를 진행하여 회기별 심전도의 변화와 화병증상완화에 대한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경락마사지미용치료 실시 전보다 후의 심전도가 전반적으로 안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화병증상이 완화되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향후 화병증상완화치료에 미용치료의 한 분야인 경락마사지미용치료가 적극적인 화병증상치료의 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Hwa-byung is a distinct disease in Korea that is caused by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of tolerance and Confucian ideology. Although various age groups are affected by Hwa-byung, it is more common among women aged 40 to 65 who are used to enduring anger. The symptoms of Hwa-byung are caused by the outburst of suppressed anger and are accompanied by the symptoms of somatization. Nevertheless, because Hwa-byung is not considered as a serious disease,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it has been treated seriously. Rather, it has been neglected or treated minimally through acupuncture, oriental medicine such as moxa cautery, or psychotherapies like music therapy, art therapy and play psychotherapy. Recently however,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seek active therapy by introducing various methods that treat the symptoms of Hwa-byung. Thus, the search for Hwa-byung treatment through beauty therapy will be an active attempt to treat Hwa-byung symptoms. In this paper, human-centered counseling theory based on meridian massage that stimulates acupuncture points, empathy and understanding is defined as ‘meridian massage beauty therapy’. Also, this paper examined how meridian massage beauty therapy affects the relief of women's Hwa-byung sympto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65 years old female living in Cheonan city, Chungnam. The questionnaire reconstructed the surveys used by the Korea Oriental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Hwa-byung Research Center and surveyed 100 people. Out of 100 people, 9 women that were suffering from Hwa-byung were selected. A total of 10 sessions of beauty meridian massage therapy were given to the selected patients, and the change of the electrocardiogram and the relief of Hwa-byung symptoms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ctrocardiogram was much more stable after the meridian massage beauty therapy, and proved that Hwa-byung symptoms were alleviated. In the future, I hope that meridian massage beauty therapy can be used as an active therapy for the relief of Hwa-byung symptoms.

      •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원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실증조사는 국내 대기업 K그룹 경력 5년 미만의 사원급 대졸 초기경력자를 대상으로 255명으로부터 받은 설문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는 경력개발지원 인식으로 전략적 체계성, 운영적 체계성, 성장기회, 상사지원의 4가지 하위요인을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이직의도를, 매개변수는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조직몰입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력개발지원 인식이 큰 사람일수록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력개발지원 인식이 큰 사람일수록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직의도에 대한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은 조직몰입을 통한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초기경력자들의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조직몰입을 통하여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경력개발지원 인식의 하위요인 중 성장기회만이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졸 초기경력자들이 조직에서 성장기회를 충분히 느끼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경력개발제도의 안내 및 홍보, 성장기회의 공정성, 명확한 경력경로 제공 등을 통하여 대졸 초기경력자들의 조직적응과 몰입을 도와주며 이직의도는 낮출 수 있을 것이다.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은 간접효과가 더 크다는 연구결과와 같이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직에서 제공되는 경력개발제도의 성장기회를 높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과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상사의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경력개발지원 인식의 전략적 체계성과 성장기회를 통한 직접효과로도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여 대졸 초기경력자들의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조직몰입의 하위요인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독일 初期 中世文學과 한국 鄕歌文學 比較硏究

        이원정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독일 중세문학은 칼(Karl) 대제에 이르러 중세국가로서의 틀을 갖추게 되면서 기독교적인 종교문학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독일 중세문학이 기독교 문화의 영향아래에 놓이게 되자 기독교적인 종교문학이 성행하면서 게르만 민족문학은 이교도 문학으로 취급되어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러나 독일 중세 종교문학의 이면에는 게르만 민족문학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이는 기독교 전파를 위한 노력으로 게르만적인 요소에 기독교적인 요소를 가미한 종교시에서 그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독일이 기독교적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중세국가로의 첫발을 내딛었을 때, 한반도에는 통일신라가 중세국가로서의 근간(根幹)을 이루면서 향가(鄕歌)문학이 등장했다. 향가문학은 한민족의 고대가요의 영향과 민간신앙의 주술적 성격이 불교와 융합되어 나타났다. 현재 전하고있는 대부분의 향가가 불교적 성향을 띠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데, 이는 당시 종교문화의 영향력이 컸음을 보여준다. 중세국가로서의 이행과정에서 독일과 한국은 기존의 민족문화의 영향아래에서 새로운 종교 문화권 아래에 놓이게 됨으로써 중세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공통점은 양 국가가 문화적 교류를 할 수 있는 지리적인 위치에 놓여 있지는 않았으나, 민족적 고유의 요소가 후대에 이르러 중세의 종교적·정치적 요인들을 받아들임으로써 중세시기를 맞이했다는 점에서 인류 역사의 보편성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독일의 초기 중세 종교문학과 한국의 향가문학의 비교는 인류의 보편적인 문화의 형성과 그 과정에서 생성된 문학의 독자적 특성을 통해 문학의 고유한 특질을 찾아내는데 그 의의가 있다. German national literature was regarded as 'Heathen literature' and it gradually disappeared as the Middle German literature came to be influenced by Christianity. The Middle religious literature, however, was based on German national literature. Evidence for this can be found in the 'religious poems' which are mixture of German national traits and Christianity. These poems were used to expand Christianity. When German became the Middle age nation by accepting Christian culture. 'Unified Shilla' in Korea constructed its Middle age nation and 'Native Songs called Hyang-Ga' came to appear. Like the religious literature in Middle age German, Hyang-Ga was influenced by Korea's ancient songs and Buddhism. Therefore, almost all Hyang-Ga still existing at present have Buddhism in them, through this fact, we can assume the power of religious culture at that time. On the way to the Middle age, Germany and Korea came into the Middle age by being put under the influence of religious culture while they we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national culture. We can find something in common between two countries, despite the fact they never exchanged any cultural traits. In this dissertat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Middle German literature and the Middle Korea literature, I try to analyse proper literary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general formation of human, beings culture and the special literary characteristics which grew in it.

      • 뽕잎의 품종별, 계절별 및 가공처리별 페놀화합물의 함량 변화

        이원정 대구가톨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solate and identify of phenolic compounds from mulberry(Morus alba) leaf for developing high quality functional mulberry leaf tea and extract. Additionally, quantitative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in mulberry leaf were determined by HPLC according to mulberry cultivars, seasonal variation and heat processing. First, to search for the major phenolic compounds, six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and purified from the ethanolic extract of mulberry leaf by a series of isolation procedures, such as Diaion HP-20,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ODS-A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chlorogenic acid (CL), isoquercitrin(IQT), quercetin-3-O-(6"-O-malonyl)-β-D-glucoside(QMG), astragalin(AG), kaempferol-3-O-(6"-O-malonyl)-β-D-glucoside(KMG) and rutin(RT) by UV and NMR spectral analysis. Additionally,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was determined by HPLC in mulberry leaf according to cultivars, seasonal variation and heat processing.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of mulberry leaf in six different mulberry cultivars(Gaeryangdaehwa, Gaeryang iljiroe, Guksang, Busa, Suhoek 20, Yulmok) ranged from 520 mg% to 1871 mg% per dry weight, and especially “Guksang" and “Busa" cultivar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CL levels of six phenolic compo- sition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QMG, RT, IQT, KMG, and AG, in descending order.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in most of mulberry leaf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harvest time, but increased with heat processing except for “Yulmok". These result suggest the steaming process of mulberry leaf of “Guksang" and “Busa" cultivars harvested at early June are suitable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mulberry teas and extracts.

      • 미국 사회과 교육에 대한 일고찰 : 역사교육을 중심으로

        이원정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fter America adapted Korea a social study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it has been a great influence on Korea education. Korea intends to foster children'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American education. History education exists throughout America society. In either case, they make an effort to find the way of education and keep the characteristics. There are the change of the four times for Social study. The first period is "The traditional social study" from 1820 to 1900. The second period is "The innovative social study" from 1900 to 1960. The third period is "New Social Study" from 1960 to 1980. The fourth period is recent social study from 1980 to now. The first period is "The traditional social study". After forming public education, the social study was valued that inspiring the patriotism and having the citizen awareness to people. Among them, history became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NEA and The Committee of Seven were established in 1892 and 1899. They planed to educate people for a practical purpose in community life. It is imperative that people should learn history to be a patriot. The second time, the innovative social study, was affected by Dewey. In modern educational surveys, social efficiency and real experience or living were emphasized. In 1916, NEA defined social study; 'A person as a organization of human society and a member of community in connection with a direct study" Social study in the center of the life was criticized from 1930. Moreover, it was more in 1950. New history was popular because it could resolve social matter. In third time, New Social Study, was concerned about failure modern education due to 'Sputnik shock'. People argued to back the intellectual and scientific course of study. According to Bruner's 『A course of study』, Studycentrism was started in total education. That's why New Social Study appeared. From the study of social science, social study exists to teach a result or method. Unfortunately, it was criticized. A committee of special investigation diagnosed a crisis of history education as a position in school. Because children take no interest in history. To solve this matter, it will have the special education for history among them. In the latest trend, American history was diagnosed by「Facing crisis with America : Necessity of education reform」in 1983. At that point, America tried to find the new method for history education by 「The thesis of history educational course : Guides for history education in - scool」and a frame of California history-social science. They made 『National Standards for United States History』and 『National Standards for World History』to raise understanding and thought of history. But 『National Standards』 has been critiqued yet. We are aware of the direction of how to change America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economy,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In this thesis, we look into social study and history education accomplishment in America. It deals with not only total issues but also 『National Standards』 controversy. So, I believe you can understand a considerable change easily focusing social and history education. As I said, America's public course has been an influence on Korean public education. At the conclusion of my thesis, America education will be a good example for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 Korea. 지금까지 미국의 사회과 교육의 변화와 함께 역사의 위상 변화를 살펴보았다. 미국의 사회과 교육의 변천은 네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820년부터 1900년까지의 전통적 사회과, 1900년대부터 1960년까지의 혁신적 사회과, 1960년부터 1980년까지의 신사회과, 1980년~현재까지의 최근 동향으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시기는 1820년부터 1900년까지의 전통적 사회과이다. 공교육이 성립된 이후 이민으로 인한 분쟁과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시민의식을 갖게 하고 애국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회과가 중시되었다. 그 중에서도 역사교육이 중시되었다. 1892년 NEA10인위원회와 1899년 7인 위원회가 창설되었다. 두 위원회에서는 역사교육을 통하여 학교에서만의 교육이 아닌 사회생활에 필요한 교육을 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조국에 애국하는 시민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역사를 필수적으로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두 번째 시기인 1900년대부터 1960년까지의 혁신적 사회과에서는 듀이의 사조로 대표되는 진보주의 교육사조의 영향을 받았다. 진보주의 교육사조에서는 사회적 효율성을 중시하였으며 실생활 경험이나 생활을 통한 교육이 강조되었다. 1916년 NEA위원회에서는 사회과를 '인간사회의 조직 및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인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과'라고 정의하였다. 1930년부터 생활과 경험중심의 사회과는 지나치게 현재 중심적이라는 비판이 일어났다. 1950년대에는 비판이 더욱 강화되었다. 사회과학의 개념과 방법을 이용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신사학이 지지를 얻게 되었다. 세 번째 시기인 1960년부터 1980년까지의 신사회과에서는 스푸트닉 쇼크로 인해 진보주의 교육이 실패하였다는 우려가 높아졌다. 지식적 ? 학문적 교육과정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에서도 밝혔듯이 학문중심주의가 교육전반에 본격화되었으며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도 다름이 없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하여 신사회과가 나타나게 된 것이었다. 사회과학의 연구를 통하여 성과나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 사회과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신사회과에 대한 비판도 나타났다. 1975년 학교교육에서의 역사과목의 지위에 대한 특별 조사위원회에서는 역사교육이 위기라고 진단하였다. 학생들이 역사과목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과목과는 구별되는 역사교육만의 학습 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였다. 네 번째 시기인 1980년부터 현재까지의 최근 동향에서는 1983년 「위기에 처한 미국 : 교육 개혁의 필요성」에서 미국 교육기 위기에 빠졌다고 진단하였다. 위기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역사과 교육과정의 정립 : 학교에서의 역사교육을 위한 지침들」과 캘리포니아 역사-사회과학 틀을 통하여 역사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려고 노려하였다. 목표 2000의 일환으로 『미국사표준서』와 『세계사표준서』를 작성하여 역사적 이해와 사고를 고양시키려고 하였다. 『표준서』에 대한 비판과 논쟁도 이루어졌으며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사회과교육과 역사교육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어지고 있다. 역사는 현재의 거울이라고 하였다. 역사를 통하여 과거를 알게 되고, 반성함으로써 나은 현재와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역사교육은 때로는 사회과 교육 안에서 때로는 사회과 교육의 틀 밖에서 이루어졌다. 미국의 사회과교육과 함께 역사교육을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가지고 있는 교육의 한계를 넘어 한국 역사교육 발전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 우리나라 고대, 현대 채소류의 종류 및 이용

        이원정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of the vegetables we are eating now were not known to us until 3000 B.C., during the Neolithic Age, when they were assumed to be introduced and cultivated with the beginning of crop farming. According to the birth myth of Korea, a yam is regarded as the first garden plant on this land, and throughout the periods of Gojosun, Three Kingdoms, and the Unified Kingdom of Silla, only some fragmentary informations about the productions and uses of vegetables was available. However,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exchanges of garden plants among the neighboring countries seem to have been very active. The fact that the qualities of vegetables such as color, taste were regarded as important suggests the early stage of artificial cultivation of seeds. The Koryo Dynasty saw a far wider variety of vegetables available. The watermelon was believed to have been introduced during this period, and burdocks, spinach, the roots of a lotus, and onions were also known. During the Chosun Dynasty, we can guess, from the agriculture-related books and others published at that time, that the situation concerning the productions and uses of vegetables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oday. Red peppers and pumpkins are believed to have come from Japan, and tomatoes from China. At the end of the Dynasty, the government tried to introduce vegetables from the West. These days, thanks to active exchanges between countries, various kinds of vegetables were cultivated everywhere regardless of their origin. Through the research of old books,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old names of vegetables which are not used now can be known. In addition, through the research of various records and modern books, the kinds of vegetables and their uses are known. It is hoped that, to those students and scholars who are interested in traditional foods, this thesis will be a great help in developing traditional food using these vegetables and discovering unknown vegetables, edible and medicinal. 현재 우리가 먹고 있는 대부분의 채소류는 예전에는 우리나라에 없던 것들로, 채소는 신석기시대 후기(B.C.3000)부터 우리나라에서 곡물농경이 시작되면서 재배되고 식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건국신화에 나타난 蒜(산)이 우리나라 최초의 원예식품이라고 볼 수 있으며, 고조선 및 삼국시대를 거쳐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는 채소의 생산 및 이용에 대해 단편적인 면모만을 엿볼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이미 이웃나라와 원예식품의 상호교류가 상당히 활발하였던 것으로 보여지며, 채소의 색과 맛 같은 질적인 특성을 중요하게 여긴 것으로 보아 인위적 선발 같은 초기 육종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중국의 「齊民要術(제민요술)」에 수록된 채소의 종류는 그 폭이 상당히 넓으며 이들 중 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 보급되었으리라고 간주된다. 고려시대에는 이용된 채소류의 종류가 훨씬 다양하다. 수박은 이 시기에 도입된 것이며, 우엉(牛蒡), 시금치, 연뿌리가 소개되어 있고 양파도 알려져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당시 간행된 농서 및 그 밖의 문헌을 통하여 채소류의 생산과 이용 상황이 오늘날과 비슷함을 짐작할 수 있다. 고추와 호박은 일본에서, 토마토는 중국에서 전래된 듯하며, 조선조 말엽에는 정부가 서양채소의 도입을 시도한 기록이 보여진다. 동서양의 교류가 활발해진 지금은 원산지에 상관없이 세계 각지에서 재배되고, 채소류의 수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고대문헌 기록조사를 통해 채소류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과 함께 지금은 사용하지 않지만 고문헌에서 채소류를 칭하는 옛 명칭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현대문헌 기록조사를 통해서는 채소류의 종류 및 이용현황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채소류를 이용한 전통음식 개발과 묻혀진 채소류와 식용뿐 아니라 약용 채소류를 발굴하고, 우리나라 전통음식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과 학자들에게 이 논문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