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ntrathecal injection of clonidine has been reported to produce anti-allodynic effect in humans and animals. Also, several recent studies have investigated electroacupuncture significantly relieved neuropathic pai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electroacupuncture potentiates the clonidine-induced antiallodynia in neuropathic pain rats. For the neuropathic surgery, the right superior caudal trunk was resected at the level between S1 and S2 spinal nerves innervating the tail. Two weeks after the neuropathic surgery, rats were implanted with PE-10 tube. The tip of the tubing lay in the region of the lumbar enlargement. The behavioral signs of cold allodynia were evaluated by the tail immersion test before and after intrathecal (IT) injection of clonidine. Electroacupuncture (EA) stimulation was delivered to Zusanli (ST36) for 30 min. Although intrathecal clonidine (1, 3 and 5 ㎍) dose dependently relieved cold allodynia, 5 ㎍ clonidine caused side effects. Whereas, co-application of 3 ㎍ clonidine and electroacupuncture (EA) produced potent antiallodynia, which was parallel to the effect of 5 ㎍ clonidine, without side effe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lectroacupuncture can enhance the antiallodynic action of intrathecal clonidine.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는 인간과 동물에 있어 항이질통증 효과가 있다고 이미 발표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 연구를 통해 전침도 신경병질증성 통증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경병질증성 통증 모델의 백서에서,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와 전침이 냉이질통에 대한 진통효과에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백서의 꼬리에 신경병질증성 통증을 유발하기 위해 우측의 상미측신경 (superior caudal turnk) 의 S1-S2 간을 절단하였다. 2주일 후 백서의 척수강 내로 튜브 (PE-10 Ø) 를 삽입하여 clonidine을 투여하였다. 백서의 족삼리 (ST36) 혈에 20분간 전침 자극 (2 Hz, 0.3 ms, 0.2-0.3 mA) 을 주었으며, 냉이질통은 4℃ 의 차가운 물에 꼬리를 담그고 급작스런 회피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위 실험의 결과로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는 약물 농도 의존적으로 냉이질통의 진통효과를 보였으나, 5㎍의 농도 이상에서는 백서에게서 sedation, motor weakness, writhing action 과 urination 등의 부작용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전침 자극만으로도 냉이질통에 대한 진통효과가 나타났으며, clonidine 1 ㎍, 3 ㎍과 전침을 병용하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진통 시너지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척수강 내 clonidine투여와 전침의 병용이 냉이질통의 진통 효과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고 밝히는 바이다.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특성과 공간디자인 : 제임스 H. 길모어와 B. 조지프 파인 2세의 '진정성' 개념을 중심으로
As consumers are becoming more aware of the health and environmental concerns, the interest in natural beauty products has increased, and consumers have started demand for authenticity. Today, with an overload of information created by various media services, consumers are having difficulty to judge between authentic and inauthentic information, and as a consequence, they want companies who pursue something real or authentic rather than deceptive and fake in brand marketing. Experts say that authenticit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brand marketing. According to Gilmore and Pine from the book ‘authenticity’, consumers make decisions to buy something based on how authentic they perceive an offering. In addition, the authors describe frameworks for authenticity by offering the elements of authenticity. Authenticity or the expression of authenticity in beauty or food products are more important because of their potentially direct impact on human health. Among those products, authenticity affects the most in the cosmetic industry as cosmetics are being used anywhere on the body from head to toe, and consumers choose a brand of cosmetics in consideration of the ethical and moral issues of testing the safety of chemicals or animals. Recently, the natural beauty products are on the rise because of chemical and animal testing concerns; however, as natural cosmetic brands are emerging, consumers are finding it difficult to know which brands are authentic. Cosmetic brands can express their brand identity in a way of authenticity. Companies in these days are offering flagship stores to customers where they can test and experience products. If authenticity is applied to brand identity through flagship stores, consumers can build their faith on the brands. Based on this background, five natural cosmetic brands that have flagship stores in Seoul were selected, and after collecting their brand identity data, they were analyzed based on the principle of authenticity described by Gilmore and Pine. For better and clea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components by the principle of authenticity was analyzed through the quantification theory of type III. As a result, six types of authenticity were obtained, and they were interpreted into four areas of authenticity. The four areas of authenticity were the original ‘time’, the psychological ‘mind’, the ‘thought’ of the idea, and the physical ‘venue’. Some of the selected brands showed the strengths in four specific areas, but some were ambiguou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four areas, one representative flagship store operated by each brand was selecte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brand expression of authenticity. The results showed that Aesop signature store had a defect relatively in the expression of spatial authenticity, and as a consequence, supplementation plan was provid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natural cosmetic brands identity using the principle of authenticity, the plan included a detailed information about spatial programs and expressions that can represent the values pursued by Aesop brand. Through the natural materials and space composition programs used in the space, the values and worldviews that Aesop pursues were added into the space, and completed this research by offering customers to know Aesop and to experience its brand value in the space. The research showed that various natural cosmetic brands have their own brand identity and are trying to express their own authenticity. Moreover, efforts should be made not only to improve cosmetic products, but also brand space, and it is necessary to express brand value through various experiences. 환경을 생각하고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로 자연주의 화장품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이러한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진정성’이 요구되고 있다. 오늘날 다양한 정보 매체로 인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소비자들은 진실인 정보를 판단하기 어려워졌고, 기업이 그들의 브랜드를 속이거나 가식적인 마케팅이 아닌 진실됨을 보여주는 ‘진정성’있는 브랜드 마케팅을 원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브랜드 마케팅에 있어 ‘진정성’은 중요하게 작용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길모어와 파인은 그들의 저서 ‘진정성의 힘’에서 소비자들의 인식이 성실한 사람에게서 진품을 구매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 ‘진정성’의 구도에 대한 구조화로 ‘진정성’의 원칙을 설명하고 있다. 신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상품군인 화장품이나 식품에 관련된 브랜드는 더욱 ‘진정성’의 표현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중에서도 화장품은 신체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사용되는 상품군으로 화학재료라던가 동물실험 등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도덕적이고 윤리적이며 좋은 원료를 사용하는 브랜드를 선택하겠다는 기준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을 상품군이라고 판단되어진다. 화학재료나 동물실험 등에 요즘 화장품 업계에서는 자연주의가 화두이다. 하지만 자연주의 화장품들이 우후죽순 생겨나면서 소비자들은 어떤 브랜드가 ‘진정성’있는 브랜드인지 알기 어려워졌다. 화장품 브랜드가 그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진정성’있게 표현할 수 있는 매체 중 하나가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기업들은 플래그십스토어라는 공간을 이용하여 그들의 제품을 체험해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플래그십스토어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진정성’의 측면에서 적용시킨다면 소비자의 신뢰가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서울에 플래그십스토어를 두고 있는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 다섯 곳을 선정하여 그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자료를 수집하고, 길모어와 파인이 설명하는 ‘진정성’의 원칙을 기준으로 분석한다.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 수량화이론 Ⅲ류 통계기법을 통한 ‘진정성’의 원칙에 의한 구성요소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가지의 유형을 얻었으며, 이를 축의 해석을 통해 4가지 측면으로 해석하였다. 4가지는 각각 본연의 ‘시간’, 심리적 ‘정신’, 발상의 ‘사고’, 물리적 ‘장소’이다. 각각의 브랜드는 카테고리 스코어 분포의 4가지 축을 기준으로 한 특정한 측면에서 강점을 보이는 브랜드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하고 애매한 브랜드도 있었다. 이 4가지를 기반으로 각 브랜드가 운영하고 있는 대표 플래그십스토어 한곳을 선정하여 사례 분석을 실시하여, ‘진정성’ 원칙으로의 브랜드 표현을 파악하였다. 공간의 표현과 카테고리 스코어 분포에서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미비했던 이솝 시그니처 스토어의 보완 계획을 제안하였다. 계획에 있어서는 ‘진정성’의 원칙에 의한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 구조분석을 통해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공간 프로그램과 표현을 통해 이솝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를 표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연출을 제안하였다. 공간에 사용된 자연소재와 공간구성 프로그램 등을 통해 이솝이 추구하는 가치와 세계관을 표현함으로써 매장에서 체험하는 고객들이 이솝에 대해 알아가고 브랜드 가치를 경험할 수 있도록 공간디자인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것은 다양한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들은 각자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고, ‘진정성’ 있게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품뿐만 아니라 브랜드 공간의 구성에도 노력해야 하며, 다양한 체험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표현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독일 중세문학은 칼(Karl) 대제에 이르러 중세국가로서의 틀을 갖추게 되면서 기독교적인 종교문학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독일 중세문학이 기독교 문화의 영향아래에 놓이게 되자 기독교적인 종교문학이 성행하면서 게르만 민족문학은 이교도 문학으로 취급되어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러나 독일 중세 종교문학의 이면에는 게르만 민족문학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이는 기독교 전파를 위한 노력으로 게르만적인 요소에 기독교적인 요소를 가미한 종교시에서 그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독일이 기독교적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중세국가로의 첫발을 내딛었을 때, 한반도에는 통일신라가 중세국가로서의 근간(根幹)을 이루면서 향가(鄕歌)문학이 등장했다. 향가문학은 한민족의 고대가요의 영향과 민간신앙의 주술적 성격이 불교와 융합되어 나타났다. 현재 전하고있는 대부분의 향가가 불교적 성향을 띠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데, 이는 당시 종교문화의 영향력이 컸음을 보여준다. 중세국가로서의 이행과정에서 독일과 한국은 기존의 민족문화의 영향아래에서 새로운 종교 문화권 아래에 놓이게 됨으로써 중세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공통점은 양 국가가 문화적 교류를 할 수 있는 지리적인 위치에 놓여 있지는 않았으나, 민족적 고유의 요소가 후대에 이르러 중세의 종교적·정치적 요인들을 받아들임으로써 중세시기를 맞이했다는 점에서 인류 역사의 보편성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독일의 초기 중세 종교문학과 한국의 향가문학의 비교는 인류의 보편적인 문화의 형성과 그 과정에서 생성된 문학의 독자적 특성을 통해 문학의 고유한 특질을 찾아내는데 그 의의가 있다. German national literature was regarded as 'Heathen literature' and it gradually disappeared as the Middle German literature came to be influenced by Christianity. The Middle religious literature, however, was based on German national literature. Evidence for this can be found in the 'religious poems' which are mixture of German national traits and Christianity. These poems were used to expand Christianity. When German became the Middle age nation by accepting Christian culture. 'Unified Shilla' in Korea constructed its Middle age nation and 'Native Songs called Hyang-Ga' came to appear. Like the religious literature in Middle age German, Hyang-Ga was influenced by Korea's ancient songs and Buddhism. Therefore, almost all Hyang-Ga still existing at present have Buddhism in them, through this fact, we can assume the power of religious culture at that time. On the way to the Middle age, Germany and Korea came into the Middle age by being put under the influence of religious culture while they we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national culture. We can find something in common between two countries, despite the fact they never exchanged any cultural traits. In this dissertat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Middle German literature and the Middle Korea literature, I try to analyse proper literary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general formation of human, beings culture and the special literary characteristics which grew in it.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유명인 모델 의존도가 높은 우리 나라 광고 현실에서 유명인 모델에 대한 연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유명인 모델의 효과 및 영향력에 관한 실증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유명인 모델의 속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유형에 따른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메시지 제시 형태에 따른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관여도에 따른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유명인 모델과 상품의 조화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그리고 유명인 모델의 중복출연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등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명인 모델의 효과와 관련하여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에 따라 광고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의 방향에 따라 광고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기 위해 광고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를 사용하였다. 광고에 대한 태도는 선호도, 호감도, 적절성, 신뢰성의 문항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구매의도는 구매탐색, 구매희망, 구매확신의 문항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의 방향에 따라 네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간 광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는 유명인 모델은 싫어하지만 상표는 좋아하는 소비자 집단과 유명인 모델은 좋아하지만 상표는 싫어하는 인지부조화 집단보다 소비자가 유명인 모델과 상표를 모두 좋아하는 집단으로 인지조화 집단이 선호도, 호감도, 적절성, 신뢰성, 구매탐색, 구매확신이 높게 나타나고, 유명인 모델과 상표를 모두 싫어하는 소비자집단으로 인지조화 집단보다 유명인 모델은 싫어하지만 상표는 좋아하는 소비자 집단과 유명인 모델은 좋아하지만 상표는 싫어하는 인지부조화 집단이 선호도, 호감도, 적절성, 신뢰성, 구매탐색, 구매희망, 구매확신이 높게 형성되었다. 둘째, 소비자의 인지가 부조화일 때는 유명인 모델은 싫어하지만 상표는 좋아하는 소비자 집단보다 유명인 모델은 좋아하지만 상표는 싫어하는 소비자 집단이 광고에 대한 선호도, 호감도, 구매탐색이 높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 방향에 따라 광고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소비자의 유명인 모델과 상표에 대한 인지부조화의 방향에 의해서 광고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는데 있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도 논의되었다. In the reality of advertising in Korea with high dependence on celebrity endorser, there are more studies about celebrity endorser and positive studies about the effect and influence of celebrity endorser. These existing studies consist of researches on the effect of the attributes of celebrity endorser on advertising, advertising effect of celebrity endorser according to product category, advertising effect of celebrity endorser according to message suggestion, advertising effect of celebrity endorser according to participation, effect of harmony of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on advertising, and effect of multi-exposure of celebrity endorser on adverti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dvertising effect according to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of consumers related to the effect of celebrity endorser. It is looked into how the advertising effect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way of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of consumers, 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bout advertising is used to find out the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to advertising is analyzed through preference, goodwill, pertinence 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is through purchase seeking, purchase prospecting and purchase confirming. This is a try to separate into 4 groups and find out advertising effect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way of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of consumer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of consumers, cognitive consonance group as consumer group who likes both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has higher preference, goodwill, pertinence, trust, purchase seeking, and purchase confirming than consumer group who dislikes celebrity endorser but likes brands and cognitive dissonance group who likes celebrity endorser but dislike brands, and consumer group who dislikes celebrity endorser but likes brands and cognitive dissonance group who likes celebrity endorser but dislikes brands have higher preference, goodwill, pertinence, trust, purchase seeking, purchase prospecting and purchase confirming than cognitive consonance group as consumer group who dislikes both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consumer. Second, when consumer's cognition is dissonant, consumer group who likes celebrity endorser but dislikes brands has higher preference, goodwill, and purchase seeking in advertising than consumer group who dislikes celebrity endorser but likes brands. Therefore, advertising effec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ay of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test that advertising effec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ay of cognitive dissonance in celebrity endorser and brand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유아의 혼합연령집단에서 나타나는 놀이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령집단인 분홍반 만 4세와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유형을 알아보고 이를 비교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홍반에서 보여주는 놀이성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에 적합하게 놀이를 지도할 수 있도록 혼합연령집단의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원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 5세 혼합연령집단에서 만 4세 유아들이 자유놀이에서 보이는 놀이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2. 만 4, 5세 혼합연령집단에서 만 5세 유아들이 자유놀이에서 보이는 놀이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 만 4, 5세 혼합연령집단의 만 4세와 만 5세의 놀이성은 어떻게 비교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분홍반에서 이뤄졌다. 연구대상은 2명의 담임교사들과 26명의 유아들로서 이들이 속한 분홍반은 만 4세와 만 5세 유아들로 구성된 혼합연령집단이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서 2011년 5월 3일부터 2011년 9월 2일까지 21회의 참여관찰과 분홍반 담임교사와의 2회의 심층면담이 이뤄졌다. 또한, 연구자는 정확한 상황 설명을 얻기 위해서 유아 및 교사들과 비형식적 면담을 수시로 실시하였다. 혼합연령집단의 만 4세와 만 5세 유아들의 놀이성을 기록하기 위해서 분홍반에서 이뤄지는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 참여관찰이 이뤄졌다. 연구자는 현장노트를 기록하고 비디오와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료 분석을 위해서 는 현장노트, 비디오 자료, 면담내용 기록 및 그 외 문서자료들을 분류, 조직 및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연령집단에서 분홍반 만 4세 유아들의 놀이성 유형은 놀이 주도하기, 협력 요청하기, 협력하기, 웃음 나누기, 놀이방법 공유하기, 새롭게 생각하기로 나타났다. 분홍반 만 4세 유아들은 주도적으로 놀이하였으며 놀이 시, 윗 연령 유아들의 간섭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교사역할놀이를 하면서 놀이에서 주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분홍반 만 4세 유아들은 스스로 놀이하는 것 보다 윗 연령 유아들과 놀이하기를 원했으며 동일한 연령일지라도 높은 인지능력을 가진 유아가 다른 친구들을 도와가며 놀이하였다. 함께 웃음을 공유하며 서로 활발하게 상호작용도 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분홍반 만 4세 유아들은 친밀감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놀이방법을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하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으며 창의적으로 생각하여 놀이방법을 새롭게 창조할 수 있었다. 둘째, 혼합연령집단에서 분홍반 만 5세 유아들의 놀이성 유형은 협동하기, 사전경험 공유하기, 놀이약속 지키기, 긍정적 감정 표현하기로 나타났다. 분홍반 만 5세 유아들은 아래 연령 유아들의 의도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능력을 자발적으로 공유할 수 있었으며, 함께 사전 경험을 공유하면서 오랜 시간 또래와 놀이할 수 있었다. 놀이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였고 긍정적인 감정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분홍반 만 5세 유아들은 놀이를 하는 동안 다양한 감정을 나타냈으며 긍정적인 감정을 공유하였기에 놀이시간도 증가하였다. 셋째, 분홍반 만 4세와 만 5세 유아들의 놀이성간에는 세밀한 차이가 있었다. 능동성, 사회적 상호작용, 놀잇감에 대한 관점이라는 4가지 공통된 범주가 있었다. 만 4세 유아들은 놀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만 5세 유아들은 만 4세 유아들의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만 4세 유아들이 자신의 능력을 또래에게 나눠주며 협력하였다면 만 5세 유아들은 타인의 마음을 읽어주고 자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만 5세 유아들은 정해진 놀이방법을 지키려고 하였으나 만 4세 유아들은 창의적으로 사물을 바라보며 놀이하였다. 이상과 같이, 만 4, 5세 혼합연령집단인 분홍반에서는 각 연령에 따라서 다른 놀이성을 보여주었으며, 두 연령의 유아들은 매일 서로 다른 놀이성을 경험하면서 발달하고 성장해 나갈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done to find out the patterns of playfulness and make a comparison for the six-year-old children and seven-year-old children in 'pink'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what the patterns of playfulness carried out in 'pink' class were and to support teachers to offer practical assistan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atterns of playfulness for six-year-old children in a mixed age group? 2. What is the patterns of playfulness for seven-year-old children in a mixed age group? 3. How can six-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is compared with seven-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in a mixed age group? This study has done in pink class of nursery located in Gyeonggi-do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two teachers and twenty six children and pink class is mixed age group of children six and seven. From May 3th, 2011 to September 2th, 2011, data for research were collected by 21 participant observations, 2 in-depth interviews with pink class's teacher. Also, researcher carried out non-formal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eacher to obtain accurate explanation of situation. There was participated observation in the free play activities period for pink class to record six-year-old children and seven-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in a mixed age group. Researcher recorded a field note, made a video and took pictur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re was classification, organization and categorizing of the field note, video datas, interviewed materials recordings, and other docum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s of playfulness for six-year-old children in a mixed age group were initiating a play, asking collaboration, collaborating, sharing a laughter, sharing the same play method, thinking creative. Six-year-old children took the lead at a play and despite the fact that Seven-year-old children interfere in their play, they solved the problem themselves. Also, they played the role of a teacher, so they could perform an active role in their play. Six-year-old children wanted to play with older children than playing by themselves and even though they were same age, children who had high recognition ability helped other friends in playing situations. They shared a laughter together and could actively interacted with each other. Through active interaction they could have a sense of closeness. Also, they shared the same method of play and exchanged opinions, so they could solved the problem. They could think creatively, and invent a new method of play. Second, the patterns of playfulness for seven-year-old children in a mixed age group were cooperating, sharing a prior experience, following the rules of a play, expressing positive emotion. Seven-year-old children could understand six-year-old children's intention and share their ability spontaneously. They shared prior experience together, so they could play with peer for a long time. And they tried to follow the rules of a play and also expressed their positive emotion freely. Seven-year-old children's feeling expression during the playing situation was diverse and since they shared a positive feelings while playing, their playing time increased. Third, there was specific differences between six-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and seven-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in pink class. There was four categories of playfulness and it is activeness, social interaction and viewpoint on the toy. Six-year-old children took the lead in their play and seven-year-old children were actively participate in six-year-old children's play. Six-year-old children shared their ability and collaborated with friends. On the other hand, seven-year-old children could understand friend's mind and give a helping hand voluntarily. During their play time, they also tried to follow the toy's rules. But six-year-old children saw the things creatively. According to the age of mixed age group, six-year-old children and seven-year-old children showed differences of playfulness. Through everyday contact with different playfulness, six-year-old children and seven-year-old children could develop and grow.
이원정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As a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e which is training education experts, reserve teachers and reeducating in-service teacher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in charge of a big role in Korean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ajor of Computer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contributes very much in computer education of teenagers who will lead the IT of Korea. Therefore, it will be a significant study comparing and analyzing about the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study, laying stress on 5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at is, Konkuk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uwon University, Ajou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the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major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ese 5 universities are evaluated ‘best’ and ‘good’ grad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valuation’ in 2004, 2005 which is done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have opened computer education major and have a school for the training of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erits and faults of curriculum in each Graduate Schools, to research a remedy and to establish more progressive model of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major. I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curriculum has divided in four parts, that is, basic completion subjects, common subjects, computer education subjects and non-common subjects, which are essential completion subjects to obtain a teacher’s license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ified. Through these researches, I suggest desirable curriculums for each universities connected with The 7th Curriculum of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As the research of this study, current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ems to have distance from the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must be reorganized to meet the purpos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make deep relation with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As well, the lack of the doctor’s course should be recognized and more doctors’ course should be founded in mor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graduate schools should make exertion to develop more efficient curriculum through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graduate schoolsand organize systemized and specialized curriculum which is needed required in the field. This study is limited in 5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therefore we need to study on more universities as well as foreign schools. By these processes desirable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이원정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화병증상은 참는 것이 미덕이라는 전통문화와 유교적인 사상에서 비롯된 질병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병명이며, 다양한 연령층에 해당하지만 특히 참는 것에 익숙해져 있는 40~65세의 여성들에게서 많이 발병하고 있다. 화병증상은 억누르고 있는 화가 분출되어 신체화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하지만, 화병증상을 심각한 질환으로 인식하지 않는 탓에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경우는 많지 않아서 그냥 방치하거나, 최소한의 방법으로 침, 뜸과 같은 한의학적 치료나 음악치료, 미술치료, 놀이치료와 같은 심리치료로 제한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에는 화병증상의 치료에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모색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미용치료를 통한 화병증상치료의 모색은 적극적인 화병증상치료의 시도가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경혈점을 자극하는 경락마사지와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인간중심상담이론을 ‘경락마사지미용치료’로 정의하고, 경락마사지미용치료가 여성들의 화병증상 완화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충남 천안시에 거주하는 40~65세 여성이며,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화병연구센터에서 사용하는 화병증상진단설문지를 바탕으로 진단설문지를 재구성하여 1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화병증상자로 인정된 여성 9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화병증상자에게 미용치료경락마사지를 주 1회, 총 10회를 진행하여 회기별 심전도의 변화와 화병증상완화에 대한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경락마사지미용치료 실시 전보다 후의 심전도가 전반적으로 안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화병증상이 완화되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향후 화병증상완화치료에 미용치료의 한 분야인 경락마사지미용치료가 적극적인 화병증상치료의 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Hwa-byung is a distinct disease in Korea that is caused by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of tolerance and Confucian ideology. Although various age groups are affected by Hwa-byung, it is more common among women aged 40 to 65 who are used to enduring anger. The symptoms of Hwa-byung are caused by the outburst of suppressed anger and are accompanied by the symptoms of somatization. Nevertheless, because Hwa-byung is not considered as a serious disease,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it has been treated seriously. Rather, it has been neglected or treated minimally through acupuncture, oriental medicine such as moxa cautery, or psychotherapies like music therapy, art therapy and play psychotherapy. Recently however,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seek active therapy by introducing various methods that treat the symptoms of Hwa-byung. Thus, the search for Hwa-byung treatment through beauty therapy will be an active attempt to treat Hwa-byung symptoms. In this paper, human-centered counseling theory based on meridian massage that stimulates acupuncture points, empathy and understanding is defined as ‘meridian massage beauty therapy’. Also, this paper examined how meridian massage beauty therapy affects the relief of women's Hwa-byung sympto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65 years old female living in Cheonan city, Chungnam. The questionnaire reconstructed the surveys used by the Korea Oriental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Hwa-byung Research Center and surveyed 100 people. Out of 100 people, 9 women that were suffering from Hwa-byung were selected. A total of 10 sessions of beauty meridian massage therapy were given to the selected patients, and the change of the electrocardiogram and the relief of Hwa-byung symptoms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ctrocardiogram was much more stable after the meridian massage beauty therapy, and proved that Hwa-byung symptoms were alleviated. In the future, I hope that meridian massage beauty therapy can be used as an active therapy for the relief of Hwa-byung symptoms.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원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는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실증조사는 국내 대기업 K그룹 경력 5년 미만의 사원급 대졸 초기경력자를 대상으로 255명으로부터 받은 설문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는 경력개발지원 인식으로 전략적 체계성, 운영적 체계성, 성장기회, 상사지원의 4가지 하위요인을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이직의도를, 매개변수는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조직몰입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력개발지원 인식이 큰 사람일수록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력개발지원 인식이 큰 사람일수록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직의도에 대한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은 조직몰입을 통한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초기경력자들의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조직몰입을 통하여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경력개발지원 인식의 하위요인 중 성장기회만이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졸 초기경력자들이 조직에서 성장기회를 충분히 느끼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경력개발제도의 안내 및 홍보, 성장기회의 공정성, 명확한 경력경로 제공 등을 통하여 대졸 초기경력자들의 조직적응과 몰입을 도와주며 이직의도는 낮출 수 있을 것이다.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은 간접효과가 더 크다는 연구결과와 같이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직에서 제공되는 경력개발제도의 성장기회를 높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과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상사의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경력개발지원 인식의 전략적 체계성과 성장기회를 통한 직접효과로도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여 대졸 초기경력자들의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대졸 초기경력자의 경력개발지원 인식과 조직몰입의 하위요인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발음 기반 표기 지도 방안 연구 : 연음 규칙을 중심으로
이원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발음 기반 표기 학습이 필요함을 밝히고, 지도 내용 선정 원리와 교재 구성의 원리를 반영하여 연음 규칙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발음 기반 표기 학습의 시기,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문식성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먼저, 앞선 연구들을 분석하여 기초 문식성 시기의 학습자들에게는 ‘문자와 음성의 연결’이 중요한 과제임을 밝혔다. 이를 도구성, 사고성의 관점에서 살핀 후, 기존의 문식성의 분류에 ‘탐구적 문식성’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기초 문식성 시기에 도달해야 할 기초적 수준의 능력으로, ‘간단한 국어적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기초 탐구 능력’을 추가하여 정의하였다. 이는 기초적 국어 탐구 과정의 경험에서부터 내재화까지를 의미하는 것이며, 도달점은 기초 탐구력의 함양이다. 둘째, 표의주의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기초 문식성과 음운 변동의 관계를 밝히고, 연음 규칙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기초 문식성 시기에는 모든 음운 변동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발음과 표기가 ‘다를 수 있음’을 아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논하였다. 또 학습자의 발달 수준과 학습 과정에 맞는 발음 기반 표기 학습이 필요함을 밝혔다. 다음으로, 표준 발음법에 나타난 연음 규칙 관련 조항을 분석하여 기초 문식성 시기에 적합한 학습 범위를 정하였다. 기초 문식성 시기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표준 발음법 제4장 제13항을 기본 학습 범위로, 제14항을 심화 학습 범위로 제안하였다. 셋째, 교재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4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현 실태를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내용 선정 면’과 ‘교재 구성 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점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부족했음을 확인하였다. 내용 선정 면에서는 첫째, 학습 내용이 초점화되지 않았다. 둘째, 음운 변동의 위계성, 읽기, 쓰기 영역 학습을 고려한 위계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맥락화되지 않은 자료가 제시되었다. 교재 구성 면에서는 첫째, 학습자의 사고 활동이 필요한 탐구의 과정이 부족하였다. 둘째, 표기 학습에 치우치고 다른 영역과의 통합성이 부족하였다. 셋째, 일회성 학습에 그치고 적절한 적용 활동이 부족하였다. 넷째, 내용 선정 면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지도 내용 선정의 원리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연음 규칙의 지도 내용을 선정하였다. 먼저, 선정 원리는 위계성의 원리, 실제성의 원리의 두 가지다. 위계성의 원리는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는데, 음운 규칙의 위계성(음운 규칙들 간 위계성, 한 음운 규칙 내 위계성), 각 학년 학습자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배열, 읽기, 쓰기 등 국어과 다른 영역과의 관계를 고려한 위계성을 말한다. 실제성의 원리는 발음과 표기의 관계 이해에 효과적인 자료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효과적’인 자료란, 학습자의 사고 활동을 유발할 수 있는 자료, 오개념을 형성하지 않도록 면밀히 계획된 자료, 언어 사용의 실제성을 고려하여 맥락화된 자료를 의미한다. 이러한 내용 선정 원리를 바탕으로, 지도 내용 선정 기준을 정하여 지도 내용 선정 결과를 도출하였다. 지도 내용 선정 기준은 크게 받침의 유무, 연음 규칙 적용 유무, 단어의 수준으로 정하고, 단어의 수준은 다시 활용 여부, 사용 빈도, 의미, 음절 수로 세분화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연음 규칙의 지도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지도 범위를 논하였는데, 홑받침의 연음, 쌍받침의 연음까지를 기본 지도 범위로 삼고, 심화 학습의 경우 겹받침의 연음까지도 지도할 수 있는 것으로 정하였다. 다섯째, 교재 구성 면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교재 구성의 원리를 설정한 후, 이제까지 논의한 내용을 반영하여 교재를 구성하였다. 교재 구성의 원리는 네 가지로 선정하였는데, 초점화의 원리, 사고성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 반복·확장의 원리가 그것이다. 초점화의 원리는 학습자가 사고 과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도 범위를 초점화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사고성의 원리는 일방적인 지식 전달, 결과 설명이 아니라 과정성을 지닌 학습 활동을 구현해야 한다는 원리이다. 통합성의 원리는 두 가지 차원에서 설명할 수 있는데, 표기 학습과 발음 학습의 균형과 통합, 읽기 및 쓰기 영역과의 통합을 의미한다. 반복·확장의 원리는 탐구 활동을 통한 음운 규칙 학습을 반복하되, 동일한 활동이 되게 하지 않고 적용,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음 규칙을 중심으로 기초 문식성 시기의 발음 기반 표기 지도 단원을 설계하였다. 이 때, 사고성의 원리에 따라 문법 영역의 ‘기능’ 중 ‘분류하기’를 익히고 내면화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문법 영역의 ‘기능’은 탐구 능력과 연결지을 수 있는데, 이 중 ‘분류하기’라는 탐구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습 활동을 구성하였다. 기초적인 수준에서 분류가 가능한 국어 자료를 제시하고, 학습자의 사고를 유발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또, 통합성의 원리를 반영하여 문법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쓰기 성취기준과 통합하여 단원을 계획하였으며, 표기 학습이나 발음 학습으로 치우치지 않고 두 가지가 통합되도록 학습 활동을 구성하였다. 끝으로, 반복·확장의 원리에 따라 단원 학습을 하는 동안 다양한 형태와 수준으로 탐구 활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는 기초 문식성 시기에 발음 기반 표기 학습이 필요함을 논의하고, 지도 내용 선정의 원리와 교재 구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가 초등학교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발음 기반 표기 지도 방안에 관한 논의가 발전되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necessity of the pronunciation-based spelling instruction for the low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devise instructional plans for liaison rule reflecting the Principles of Selecting Instructional Contents and the Principles of Textbook Organizing.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old ways about when to learn, what to learn and how to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spelling. The discussions are follows. First,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ion of basic literacy.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reveals that ‘Connecting Spelling and Sound’ is important for learners in the period of basic literacy. And through the analysis in the aspects of Instrumentality and Thinking, we added ‘Inquiry Literacy’ to existing classification of literacy. Inquiry Literacy is the basic ability which should be achieved in the period of basic literacy and can be defined as an ‘inquiry ability to solve simple language problems’. This ability includes from experience to internalization of basic inquiry process for language and the goal of this is the development of basic inquiry skills. Second, this study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literacy and phonological process after discussing Korean orthography and then discusses of liaison rule. In the period of basic literacy, learning should be focused on getting to know that ‘Spelling and Sound can be different’, not all the phonological process. Also students need to learn appropriately for their level of development and curriculum as they learn the pronunciation-based spelling. About liaison rule, this study sets right range of learning in the period of basic literacy, by analyzing rules concerned with liaison rule. It suggests Clause 13 of Chapter 4 in Standard Pronunciation as a basic range of learning in the period of basic literacy. Third, the elementary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s from the 4th to the 2015 are checked in order to get ideas for organizing textbooks. Through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reas needed to be improved are checked in ‘Contents Selection’ and ‘Textbook Organization’. The areas needed to be improved are follows. In ‘Contents Selection’, 1)Learning contents are not focused well. 2)We could not find Hierarchy with consideration of hierarchy of phonological process, learning of reading or learning of writing. 3)Materials are not contextualized, which means that they are not suggested in right contexts. In ‘Textbook Organization’, 1)There is not enough process of inquiry that make learners think actively. 2)Learning process is biased in spelling learning and lacks integration with other areas. 3)Most of the activities were just one-time and lack of right application activity. Fourth, this study draws the principles of selecting instructional contents based on ideas derived from real contents selection and accordingly, it devises instructional plans for liaison rule. Firstly, the two principles of selecting instructional contents are 1)the principle of hierarchy, 2)the principle of authenticity. The principle of hierarchy can be explained in three ways: hierarchy of phonological rules(hierarchy between phonological rules, hierarchy in a single phonological rule), placement according to each grader level, hierarchy related to other areas such as reading, writing etc. The principle of authenticity is that effective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s and spellings should be suggested. ‘Effective’ materials means materials that can promote learners’ thinking activities, materials that are planned carefully to avoid misconceptions, and materials that are contextualized considering the practical language use. Based on these principles of selecting contents, standards for selecting instructional contents are set and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are derived as a result. Standards for selecting instructional contents are large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rop consonan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pplication of liaison rule and the level of words. And the level of words is divided in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jugation, frequency of use, meaning and the number of syllables. From these standards, this study devised instructional contents for liaison rule. And also we discussed about the range of instruction for grade 1. The basic range is liaison rule of a single prop consonant and doble prop consonants. And overlapped prop consonants(that are composed with two different prop consonants) can be taught in advanced learning range. Fifth, we devised the principles of textbook organization based on ideas derived from real textbook organization. And then we organized textbooks by reflecting the discussions so far. The four principles of textbook organization we devised are 1)the principle of focusing, 2)the principle of thinking, 3)the principle of integration, and 4)the principle of repetition and extension. The principle of focusing is that the range of learning should be focused appropriately so that learners can focus on the process of thinking. The principle of thinking means that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process-based, not one-way or descriptive.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has two kinds of meaning: balance and integration in spelling learning and pronunciation learning, integration with reading area and writing area. The principle of repetition and extension means that learning for phonological rules should be repeated in the process of inquiry activities and also it should be applied in variety and developed more. Lastly, we constructed a chapter for instru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spelling around the liaison rul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inking, the instruction was focused on make learners practice and internalize ‘classifying’ of grammar ‘skills’. ‘skills’ in the grammar area can be linked to inquiry ability, so we constructed learning activities which can develop a ‘classifying’ skill of inquiry ability. We suggested materials that are classifiable at the basic level and activities that can encourage learners to think. Also, reflecting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we planned the chapter centering on grammar achievement standards integrating with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chapter is planned to be balanced between spelling learning and pronunciation learning. finall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repetition and extension, inquiry activities are repeated in various forms and levels through the chap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s the need for the pronunciation-based spelling instruction for the low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it suggests an effective way of textbook organization. I hope this study helps the discussions about the pronunciation-based spelling instruction with consideration about learners’ level of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