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유역의 빗물받이형 저류침투시설 설계인자 민감도 및 설치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이원영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집중호우가 증가되고 있으며,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율 증가됨에 따라서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홍수량은 증가되었고, 지난 10년간 서울시의 경우에는 확률강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온 실정이다. 따라서, 설계강우의 증가를 하수관로의 지속적인 정비를 통하여 확보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우수유출저감시설과 같은 별도의 시설 설치를 통하여 통수능이 부족한 구간의 통수능을 확보하는 방법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로 주변에 설치할 시설물 중에서 도로 노면의 빗물이 처음으로 접하는 하수도시설물은 빗물받이(street grate inlets)이다. 또한, 빗물받이는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1차 하수도시설로서 초기우수의 오염물질 및 이물질이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트랩이 설치되어 있어 별도의 초기우수 제거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침투저류시설 설치시 경제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침투시설 설치가 용이한 빗물받이에 저류침투기능을 추가하였을 때 효과와 빗물받이 설계방법과 기존 하수도시설의 설계방법을 고려하여 빗물받이에 저류 및 침투기능을 추가하였을 경우의 설계기법의 개선을 위한 설계인자의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 서울시에 적용되고 있는 빗물받이형 저류침투시설을 개선하여 표준단면을 설정하고 설계인자인 설계강우, 유역면적(차선수), 저류침투시설 폭 및 깊이 등의 최대유량 및 총유출량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하였고, 유출수문곡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바닥면적 1㎡, 저류용량 0.55㎥의 저류침투시설에 대하여 재현기간 10년 빈도와 같은 홍수시 최대유량 저감효과는 설계인자의 변화에 따라서 총유출량은 5% 미만이고, 첨두유출량은 1% 미만 정도이지만, 침투통 바닥면적을 2.25㎡로 증가시켰을 때, 강우지속시간 30분 재현기간 10년의 모의강우에 대하여 최대유량 17%까지 저감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감률이 크게 나타난 것은 침투용량 증가에 따른 영향보다는 저류용량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였다. 그리고 강우지속시간 30분의 모의강우의 영향으로 저류시작시점 위치가 최대유량 발생시점과 가깝기 때문에 최대유량 발생시간에 침투통 내 저류공간으로 저류가 됨으로써 최대유량의 17%까지 저감될 수 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류 및 침투의 시작시점을 결정하는 설계인자로 저류침투시설 연결관 역경사(월류턱)와 공공하수관로 연결관 경사와 같은 경우에는 저류침투시설 운영에 영향을 주는 설계인자로서 설계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Recently, incidences of torrential downpours are increasing due to abnormal climate changes caused by global warming, and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sewage conduits have also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water impermeability caused by urbanization. Over the past decade, Seoul has witnessed a continued increase in the level of probable precipita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increased design precipitation capacity through continuously managing the sewage conduits. In this respect, it would be necessary to secure enhanced water permeability in the areas where permeability is insufficient by constructing the dedicated facilities including the rainwater outflow controlling facilities. Of the facilities constructed along the streets, street grate inlets are the first ones runoff water on the street is to encounter. As street grate inlets are the first sewag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sewage conduits and have traps designed to prevent the contaminants and foreign matters of the initial rainwater from entering sewage conduits, such inlets could be a cost effective option as they eliminate the need to construct the facilities for removing the initial rainwat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to be expected when the rainwater harvesting function is added to street grate inlets that allow for an easy construction of the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and the methods of designing the inlets and conventional sewage facilities, and analyzed the design factors and levels of sensitivity for the improvement of the design methods in case the rainwater retention and harvesting functions were added to street grate inlets. We defined the standard sections for improving the existing inlet-type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currently adopted by the city, analyzed their sensitivities to the design factors including the design precipitation, basin area (the number of traffic lanes), maximum amount of flow and total amount of runoff in relation to the widths and depths of the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and examined the changes in the curves of the outflow water gates. The result of our analyses showed that, in terms of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ximum amount of flow in the 10 year-frequency floods by the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having a 1㎡ floor area and a 0.55㎥ rainwater retaining capacity, the effect of reducing the total runoff amount was less than 5 percent depending on the changes in the design factors,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peak outflow amount was less than 1 percent, but, in case the floor area of the harvesting tanks was enlarged to 2.25㎡, the maximum amount of flow could be reduced as much as 17% in the 10 year-frequency, 30-minute simulated precipitation. A high reduction effect was possible due to the increase in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than the increase in the harvesting capacity. And it was found tha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retained rainwater was close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maximum flow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imulated 30-minute precipitation, the maximum flow amount could have been reduced as much as 17% due to the retention of the rainwater in the harvesting tanks. The analyses showed that attention is required in the design of the reverse incline (flow bank) of the ducts connecting the retention facilities and the incline of the connecting ducts of the public sewage conduits as the design factors determin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rainwater and harvesting.

      • 서울시 어린이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및 건강 위해성평가에 관한 조사연구

        이원영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보육시설 실내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은 쉽게 거론되는 주요 오염물질이며, 노출될 경우 신경계 장애, 폐암, 눈 및 기관지 자극 등의 급성 및 만성 독성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상 어린이집에서 검출된 VOCs의 시간대 별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건강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여 인체 위해우려물질의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체 시간대의 개별 VOCs 평균농도는 Toluene(42.51 ㎍/㎥) > m,p-Xylene(6.80 ㎍/㎥) > Ethylbenzene (5.94 ㎍/㎥) > o-Xylene(2.80 ㎍/㎥) > Styrene(1.96 ㎍/㎥) > Benzene (1.47 ㎍/㎥) > Carbon tetrachloride(0.70 ㎍/㎥) > Chloroform(0.65 ㎍/㎥)의 순서로 나타났다. TVOC 중 발암물질인 Benzene, Carbon tetrachloride, Chloroform의 총 비율은 0.95 %로 나타나 비발암물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암물질은 일반적으로 건강상 안전한 역치농도가 없으므로 관심대상물질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간대 별 농도는 전체적으로 오전, 오후시간대에 비하여 새벽시간대에 오염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별 VOCs 중 Toluene, Styrene, Chloroform은 오전, 오후의 평균농도에 비하여 새벽시간대에 약 80 %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다른 물질에 비하여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TVOC는 약 65 %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새벽시간대의 농도(410.2 ㎍/㎥)는 보육시설 실내공기질 권고기준(400 ㎍/㎥)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기가 없는 새벽시간대의 농도증가는 실내 발생원에서 방출된 VOCs가 축적되어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Toluene, Styrene, Chloroform, Ethylbenzene, o-Xylene, m,p-Xylene의 실내/실외 농도비는 각각 3.09, 2.06, 1.72, 1.65, 1.63, 1.59로 나타났으며, 이들 물질은 실내 발생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Benzene 및 Carbon tetrachloride의 농도비는 각각 1.33, 1.09로 나타났으며, 실내보다 실외 발생원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Benzene은 벽 마감재에 따라 실내 오염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벽지로 마감된 경우에 Benzene의 농도는 1.26 ㎍/㎥이었으며, 페인트가 사용된 어린이집에서는 2.15 ㎍/㎥로 나타났다. Toluene은 도로변지역과 주거지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도로변지역(40.14 ㎍/㎥)은 주거지역(26.59 ㎍/㎥)에 비하여 약 1.5배 높은 농도로 조사되었다. Ethylbenzene, m,p-Xylene, o-Xylene은 환기시간이 2시간 미만일 때가 이상일 때보다 약 1.6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Ethylbenzene, m,p-Xylene, o-Xylene은 환기에 의한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보육교사 및 영・유아의 조사대상 VOCs에 의한 건강 위해성 평가결과, Benzene을 제외한 발암물질과 비발암물질은 보육교사와 전연령대의 영・유아에게 위해우려수준이 나타나지 않았다. Benzene은 2세 미만 남녀 영・유아의 CTE와 확률론적 위해성 평가 평균값이 모두 허용 위해도(10-6)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7차 교육과정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여성관련 서술의 분석

        이원영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현행 7차 교육과정의 한국근현대사 검인정 교과서의 여성사 서술을 분석한 연구이다.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한국근현대사를 심화 선택 과목 중의 하나로 개설하여, 독립적인 과목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한국근현대사 검인정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한국사의 전체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근현대사로 완결된 까닭에 여성 관련 서술을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다는 판단에 근거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고등학교에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6종의 근현대사 교과서를 대상으로 여성사 서술을 고찰해 보았다. 현행 근현대사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가장 큰 문제점은 여성사 서술이 전체 분량의 3~6%정도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적다는 점으로 드러났다. 여성사 서술의 양적 부족은 교과서가 여성사를 적극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결과라 할 수 있다. 분량의 부족은 결과적으로 다양한 여성의 모습을 제대로 서술하고 있지 못하도록 만드는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교과서의 여성 관련 서술은 전반적으로 남성 중심적인 시각에서 별로 벗어나지 못한 채 여성을 서술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한국 근현대 여성의 삶이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이루어진 것은 사실이나, 가부장적 질서로부터 벗어나려 했던 움직임보다는 이에 순응하는 모습을 주로 서술하거나 사진자료 등으로 제시하고 있고, 희생적인 어머니, 아내, 딸로서의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여성을 독립적인 인격체가 아닌 종속적인 존재로서의 모습을 강조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각 교과서가 대체로 근현대 여성의 다양한 모습과 사회에 대한 기여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지 못하고 있다. 여성의 사회 진출에 대한 서술 분량이 지극히 적고, 신여성과 직업여성 등 다양한 여성계층의 출현에 대한 서술도 부족하다. 여성이 역사적으로 다양한 기여를 했지만, 교과서가 이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한국 근현대 여성들이 일제에 대항하여 국가의 독립을 위해 활동한 것, 해방 이후 여성의 가장 큰 변화인 여성참정권의 획득으로 정치에 참여한 사실, 1960~70년대 산업화 및 민주화 과정에서 국가적 억압적 구조에서 희생적으로 기여한 여성 노동자의 삶에 대한 서술이 모두 그 몫만큼 서술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상 본론에서 살핀 내용을 바탕으로 보면, 현행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여성사 서술은 양적으로 부족하며, 남성중심적인 시각에서 서술된 문제를 지니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앞으로의 역사교육과정에는 여성의 경험을 보다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며, 페미니즘의 관점도 긍정적으로 검토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여성사 교육의 내용이 될 여성사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되어야 하며, 나아가 사료의 발굴과 연구 인력의 증가, 여성사 연구에 대한 역사학 및 역사교육계의 인식 개선 등이 요구된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omen history in authorized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of the current 7th Educational Curriculum. Under the current curriculum,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taught as one of the further elective courses, defined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this study, authorized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were chosen as the subject of analysis because it is possible to analyze women-related content more deeply from the viewpoint confined only to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not overall history of Korea.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women history content in 6 typ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currently adopted and used at high school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urrent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the biggest problem was found that women history content accounted for as excessively small portion as about 3 to 6%, which implies that textbooks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women history positively. Such deficiency in content functions as a limit preventing effective descriptions of various situations of women, after all. In general, women-related content in the textbooks talked about women, remaining at men-centered viewpoint.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life of women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was controlled by the patriarchic system, the textbooks were found to put more emphasis on their conformity to the system through descriptions or pictures, as well as their identity as a sacrificing mother, wife or daughter, rather than their struggle to escape from such a patriarchic order, which results in viewing women not as an independent person, but simply as a dependent being. Moreover, textbooks were not found to specifically address various situations and contributions to socie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women. On top of seriously insufficient statement about entry of women in public affairs, appearance of a variety of women classes such as new and career women were not fully mentioned. Despite their diversified contributions in history of Korea, textbooks were found to fail to fully reflect such contributions of women including activities of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women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their participation in politics by wining women suffrage, the biggest change for wome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nd the life of women workers who contributed at the expense of their lives under the suppressive system by the government in course of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the 60’s and 70’s. Given the findings as discussed above, women history content in the current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is considered lacking in volume and written from a men-centered perspective. To solve such problems, experiences of women should be more positively incorporated into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future, while feministic viewpoints should be considered affirmatively. To this end, it is most important to conduct in-depth studies on women history as the subject of women history education, together with further efforts to excavate historic materials, increase of research workforce, and change in the attitude on the part of history study circle and history education society about women history research.

      •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의 기체 유량에 대한 방전 특성

        이원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 장치의 유량 변화에 대한 플라즈마 방전 특성을 유체역학적으로 해석하였다. 유리관에 주입되는 기체의 유량 변화에 대한 레이놀즈 수(Re)에 의한 기체 흐름의 형태 변화와 베르누이 정리에 의한 압력 변화가 플라즈마 발생에 영향을 준다. 일반 유체실험에서 알려진 레이놀즈 수 Re<2000에서의 층류와 Re>4000에서의 난류의 영향으로 유리관 내부에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길이가 변화한다. 층류에서 유량의 증가로 플라즈마 칼럼의 길이가 증가한다. 층류와 난류의 전환 영역에서 플라즈마의 길이는 줄어든다. 난류의 영역에서는 방전 경로의 혼란으로 플라즈마의 길이가 매우 짧고 급기야 방전이 정지된다. 층류에서 유량과 유속의 증가는 베르누이 정리에 의하여 유리관 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파센 법칙에 의하여 방전 전압이 낮아진다. 따라서 주입 유량이 증가하면, 동일한 구동 전압에서 유리관에 발생하는 플라즈마 칼럼의 길이는 길어진다. 층류의 방전은 유리관 밖에서도 층류의 흐름이 일정 길이로 유지되므로 시료 표면에 조사되는 플라즈마 빔의 직경은 유리관의 직경 이하로 유지된다. The influence of gas flow on the plasma generation in the atmospheric plasma jet is described with the theory of hydrodynamics. The plasma discharge is affected by the gas-flow streams with Reynolds number (Re) as well as the gas pressure with Bernoulli's theorem according to the gas flow rate inserted into the glass tube. The length of plasma column is varied with the flow types such as the laminar flow of Re<2000 and the turbulent flow of Re>4000 as it has been known in a general fluid experiments. In the laminar flow, the plasma column length i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flow rate. Since the pressure in the glass tube becomes low as the increase of flow velocity by the Bernoulli's theorem, the breakdown voltage of plasma discharge is reduced by the Paschen's law. Therefore, the plasma length is increased as the increasing flow rate with the fixed operation voltage. In the transition of laminar and turbulent flows, the plasma length is decreased. When the flow becomes turbulent as the flow rate is increasing, the plasma length becomes short and the discharge is shut down ultimately. In the discharge of laminar flow, the diameter of plasma beam exposed on the substrate surface is kept less than the glass diameter, since the gas flow is kept to the distinct distance from the nozzle of glass tube.

      • 프로젝션 홀로그램을 이용한 융합형 광고 홍보 서비스 모델 연구

        이원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산업간 경계약화, 신기술 확산, 수요의 다양화 등으로 인해 콘텐츠 산업의 융합화 현상도 가속화 되고 있어, 새로운 융합형 콘텐츠에 대한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신기술 문화콘텐츠는 기존 콘텐츠 산업 영역에서 방송, 광고, 게임, 음악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융합형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기이다. 이러한 미디어의 융합은 산업, 문화, 환경 등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을 바꿔나가고 있다.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불가능했던 시각적 표현들이 점차 실현되고 있으며, 정보중심의 콘텐츠는 타 분야와 융합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다가서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고 홍보 서비스 모델 연구 개발에 대하여 국내 및 해외의 사례를 연구하고 광고홍보 서비스중심으로 문화콘텐츠 개발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프로세스를 통해 진행하였다. 첫째, 홀로그래피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홀로그램 미디어의 유형들 중 광고홍보에 한정하여 국내, 국외의 사례들을 분류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융합형 콘텐츠의 세계 시장상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셋째, 융합형 문화콘텐츠의 개념을 정리하고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될 경우 콘텐츠 개발 시스템 제안하며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우선 실제 현실의 이미지를 변환시스템에서 실시간 저장하게 되고 이러한 데이터의 움직임과 위치 값을 나누어 그래픽 시스템을 보낸다. 그래픽 시스템은 모션 값과 위친 값을 그래픽과 합성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합성작업이 완료되면 전달하고자 하는 광고의 정보, 홀로그래피의 기능인 입체감과 시각적 흥미성의 구성요소를 추가, 합성한다. 유저는 이러한 제작 시스템을 거처 제작된 영상정보를 상호작용(interaction)을 통하여 제공받게 되며,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 제시된 융합형 문화콘텐츠 제작시스템은 소비자 특성에 맞는 이벤트 및 제품특성에 따른 콘텐츠를 제작, 활용되는데 그 의의를 둔다. Recently, due to such factors as the erosion of national borders dividing industries, the dissemination of new technologi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product demand, the coalescence of the contents industry has been ongoing, with the possibility for the creation of new coalescent contents increasing. Particularly, with neo-technological cultural contents actively coalescing with various other fields within the existing contents industry, such as broadcasting, advertising, games and music, it is a time characterized by a growing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coalescent cultural contents. The coalescing of these kinds of media is transforming industry, culture, the environment and all other existing social paradigms.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reviously impossible forms of visual e-pression are gradually being realized, while through coalescence with other fields, information contents are becoming more easily accessible to users. In the present study,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are referenced pertaining to the use of holograms with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service models toward providing a plan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specifically with regard to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services. The current study unfolds in the manner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olography is examined. Second, among the forms of hologram media, particular focus is given to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distinguish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ir particular characteristics so as to research the conditions of the global coalescent contents market. Third, following the provision of a definition of the idea of coalescent cultural contents, a contents-development-system for the use of marketing is set forth, while ideas for the trajectory of future development are also suggested. Therein, a graphic system is proposed wherein real images are saved in real-time within the rendering process and the relevant data values pertaining to position and movement are defined respectively. This graphic system carries out the task of rendering the data values pertaining to motion and position into graphics. Upon completion of the composition process, the relevant advertisement’s information, holographic (three-dimensional) effect and other visual components are added and/or composed. In interacting with such a creative system, the user is granted access to created visual content and may add an interface for interaction. The system for creating coalescent cultural contents presented in this current study is significant insofar as it facilitates the creation and utilization of events corresponding to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nd contents reflecting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differing products.

      • 천안 일부지역 고등학생들의 영양지식, 식생활태도, 패스트푸드 이용에 관한 연구

        이원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eens' nutrition knowledge, their dietary attitudes, and their fast food consumption, taking 260 male and female students living in some areas of Chonan city, with an aim to use these research findings as a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to lead teens to develop desirable dietary behavior and eat balanced diet. The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in the preceding study has been revised, supplemented, and reorganized to suit the research purpose. Then 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13.0 has been used to carry out the statistical data processing and we set the significance level at 0.05 (or 5%).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my research findings. 1. Our analysis of the students' demographic factors show the gender breakdown of 43.2% males and 56.8% females. Moreover,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was 17 years old [42.8%], classified as “underweight" in terms of BMI [53.0%], have monthly family income range of KRW 3,000,000 to 3,990,000 [30.7%] and receive monthly allowance of less than KRW 50,000 [53.0%]. According to our analysis of parents'demographic factors 60.6% of respondents surveyed have fathers with a college degree or more while 39.0% of them have fathers with high school diploma or less. On the other hand, 59.5% of them was found to have mothers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or less while 40.5% of them was found to have mothers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suggesting that their fathers achiev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than their mothers.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participants' fathers [33.7%] was found to be in white-collar occupations while an apparently high rate of their mothers was reported as working housewives [69.7%] compared to that of those who work at home [30.3%]. 2. They achieved mean nutrition knowledge of 11.9 which is higher than the average of other studies. The survey found that the channels through respondents obtain their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ir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are in the order of teachers, mass media, internet, and parents. “Average" was the most common answer for all respondent groups when they were asked about their nutrition knowledge level. 3. Their mean dietary behavior score was 3.09 which is about the average of other studies. In terms of the regularity of meals according to their dietary attitude level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the group with higher dietary behavior score reported that they eat breakfast every day, in comparison to other groups. For the frequency of eating lunch the highest response for all groups of respondents was eating it everyday".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m with regards to their dinner consumption; all the respondent group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prevalence of eating dinner everyday compared to other meals. For the frequency of weekly physical a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ir dietary attitude level the most common answer, at 40.9%, was “I never exercise" while only 5.7% of them reported that they exercise everyday. 4. Based on our findings on the respondents'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 the mean score for their motivation to consume fast food was 3.21 which was slightly above the average of other studies. Based on our analysis of the type of days (weekends vs weekdays) they eat fast food most often the highest response for groups with low and medium motivation to eat fast food was “weekends"/"holidays"; “it does not matter" was the most common answer by groups with high motivation to eat fast food. In regards to the amount of time they spend in a fast food place the highest response for group with low motivation to eat fast food was ”Less than 30 minutes" while “Between 30 minutes and 1 hour" was the most common answer by groups with medium and high motivation. The fast food establishments respondents frequent were found to be in the following order: hamburger shops, convenience stores, pizza shops and fried chicken stores. And their favorite menu items were in the order of carbonated drinks, hamburger, French fried potatoes, pizza, and chicken/cup noodles. As for the extent of the request to stop eating fast food and health risk the highest answer was “Positive" [25.6%] followed by ”Neutral" and “Very Positive", when they were asked about whether they think eating fast food is harmful to their health. In terms of the extent of the request to stop eating fast food the most common answer was ”I Sometimes Listen" representing 31.8% of all responses. In this survey individuals who receive relatively high allowance were found to spend more money on fast food. It also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knowledge the lower the frequency of their fast food consumption and the amount of money they spend on fast food. 5.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fast food consumption according to their nutrition knowledge level the highest response was “Once to 4 times a week" and their average monthly expense was in the range of KRW 3,000 to KRW 10,000. As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ir decision the highest answer for the group with a medium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was ”mass media" while “friend" was the most common answer for groups with low and high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6. In this survey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groups with lower dietary behavior score said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ir dietary life after they are fast food. Moreover, groups with low and medium dietary behavior scores were found to respond more negatively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eat fast food for a meal while groups with high dietary behavior score gave more positive answer. In terms of taste preferences they were often found to prefer sweet and hot tastes. As for the type of meal in which fast food is being served as a substitute the highest response for groups with low dietary behavior score was "Dinner" while "Lunch" was the most common answer for groups with medium and high dietary behavior. 7. In our analysis of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demographic factor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the motivation to consume fast food mal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and better dietary behavior. Female counterparts, on the other hand, showed a higher motivation to consume fast food. Having analyzed the differences in respondents' BMI and the monthly income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their motivation to consume fast food. In terms of their parents’ education level no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fathers’ education level, but for mothers’ education level those with college degree or higher were found to have higher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ur result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nutrition knowledge would be able to practice a correct dietary life more easily. However,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ir motivation to consume fast food and their mothers’ education level. 8. Our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among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their motivation to consume fast foo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the motivation to consume fast food. Put somewhat differently, people high in nutrition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healthy dietary behaviors and have low motivation to consume fast food. Based on these findings I suggest the following. As mass media and internet along with teachers constitute a large portion of information channel through which people obtain nutrition knowledge, they are encouraged to make a leading contribution to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to the public. Teachers’ role in teaching nutrition knowledge in the classroom also ought to be given more emphasi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for an individual to make a healthy food decision by taking nutrition into consideration whenever they eat fast food. To achieve this goal I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educational retraining in nutrition and food additive labelling, and develop a greater variety of food products which can help consumers make more reasonable food selection decision. It is also essential to teens with accurat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nd suggest, and teach guidelines which can be applied in their real life situations, to help them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orrect dietary habits and make desirable dietary behaviors a habit.

      • 천연발효 베이커리의 선택속성과 구매의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원영 순천향대학교 기술경영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천연발효 베이커리의 선택속성과 구매의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본 논문은 천연발효 베이커리 상품의 선택속성을 파악하고 어떤 선택속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제과, 제빵 산업의 분야로 성장하고 있는 천연발효 베이커리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신제품이 개발되고 있는 시점에서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들의 이용행태를 파악하여 향후 업계 발전의 초석이 되는 자료를 제시하는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효과적인 연구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천연발효 베이커리를 선택하는 중요한 선택속성을 제시하고 구매의도와 고객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병행하여 구조적 인과관계를 모델화 하기위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또한 베이커리, 천연발효 선택속성, 구매의도, 고객충성도에 대한 문헌적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핵심적인 개념을 파악하고 영향관계를 밝혀줄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간적 범위는 2018년 3월 1일부터 2018년 4월 15일까지 6주를 설정하고, 공간적 범위는 서울, 경기 거주 천연발효 베이커리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총 515부의 유효한 표본을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된 자료는 통계분석프로그램인 SPSS 22.0과 AMOS 22.0을 통해 설계된 가설을 검증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성 검증(Cronbach's alpha 계수),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베이커리 점포를 방문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고객들이 베이커리 점포를 어떠한 속성에 의해 선택하게 되는지를 상품 속성, 서비스 속성, 환경 속성, 마케팅 속성으로 나누었고 이러한 속성들을 통해 구입하게 된 상품의 구매의도를 파악하며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행동적충성도와 태도적충성도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베이커리 상품의 상품 속성, 서비스 속성, 환경속성, 마케팅 속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베이커리 상품 속성은 모두 소비자의 구매의도 향상을 위해 관리되어져야 할 속성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품속성은 고객들의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속적인 상품개발과 고객들의 요구를 반영한 상품에 대한 개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며, 베이커리 상품의 상품 속성은 행동적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나 태도적 충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속성은 행동적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태도적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속성은 행동적 충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태도적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케팅 속성은 행동적 충성도와 태도적 충성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행동적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품속성과 마케팅 속성을 강화시키고 태도적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 속성, 환경속성, 마케팅 속성을 강화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상품속성과 마케팅 속성을 살펴보고 이를 어떻게 강화시킬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고객들의 구매력을 향상시키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고객이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쾌적하고 아늑한 환경, 고객의 기대를 반영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제공한다면 고객들의 태도에 우호적 관계가 형성될 것이며 이는 장기적 고객 유치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베이커리 상품 속성의 하위 요인인 상품 속성, 서비스 속성, 환경 속성, 마케팅 속성과 고객충성도에 대한 관계에서 구매의도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는 경로로 나타났으며 상품속성이 가장 높은 직 간접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주목하여, 무엇보다 고객충성도,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하여서는 핵심이 되는 상품의 품질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 천연발효 베이커리, 상품속성, 행동의도, 고객충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