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이념으로서 사회통합을 위한 대안적 평생교육 고찰

        이운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examination on features of social integration as a main principle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and investigation the alternativ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studying critically limitation form of human capital and processed lifelong education under the leading of the government. In sphere of lifelong education, there are features of unification of society and relations through comparative discussion with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correlated to unification of society. Social capital is the instrumental role for embodying the idea of union of society and community. In addition, it is based on ideological concept for overcoming limitation of lifelong education under the leading of government or market and improving social efficiency. Community is the goal of alternativ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and the part of a subordinate concept for embodying unification of society in that it is based on increase of self-control and participation of members in society. In field of lifelong education, union of society is an active role for maintaining equality not excluded every member from society as well as improving life depended on individual growth. Besides, their active citizenship ground, comprehensive and continuous concept would be defined in the course of formatting strengthen community or already in the unified community by expanding civil community argument sphere. The problems were caused because Korean lifelong education was progressed under the leading of government of market. First, looking at lifelong education made by government functionally focused on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lifelong education was mobilized as a role of governmental competitive power. In addition, under the government control, autonomous civil society caused the regulation of improvement and the dead or distortion of social value. On the one side, under market control, lifelong education interested in form of human capital and HRD was reorganized by complete market logic from economic view. This process shifting learning responsibility to individuals from the government or company brings out the conclusion that the sphere of lifelong education was moved from public domain to private one. This study intended to 3 kinds of alternative lifelong education. First, the original value recovery of lifelong education was a premise. Faure and Derolos from UNESCO insist on learning for being and learning for survival together could overcome individualism and instrument of learning that were made by market. And they gave message that making real unification of society can be possible through faith and common regulation connected between you and me. Second, the common character shown by failure of government and market is collaboration among various fields not a one-sided lead. Therefore, for secure common character, alternative lifelong education has attention to a role of civil society and demand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NGO and government. Last one is that social capital is recognized social value as a demanded element for formation of alternative lifelong education. Social capital could he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tension that came from continuous survival leaning new knowledge and skills. And it would be an important role to embody the union of society and new community from harmonious learning relationship not competitive one between one and another. As a idea of lifelong education, revitalization of learning community and reinforcement of private collaboration are suggested as action plans for unification of society learning community could help a individual find their value being by returning lifelong education which was staying in individual level now in adult life world. On the other hand, in lifelong education field, not only private collaboration but also governance would propulsive force of lifelong education the greatest by participating with NGO and other civil communities in performance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Moreover from complementary cooperation, governance would look forward to making academic discussion to confirm common character of lifelong education. 이 연구는 한국 평생교육의 주요이념으로서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의 특성을 살펴보고, 인적자본 형성과 국가주도로 진행되어 온 평생교육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사회통합을 위한 대안적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고찰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사회통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공동체(community) 개념과의 비교 논의를 통한 그 관계성과 평생교육영역에서의 사회통합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통합, 공동체 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가주도 및 시장주도의 평생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념적 토대가 되는 개념이다. 공동체는 모든 사회구성원의 자율성과 참여의 신장을 전제하므로 대안적 평생교육 패러다임의 지향점이며,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하위개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평생교육영역에서의 사회통합은 모든 사회 구성원 개개인이 사회적으로 배제되지 않도록 형평성(equity) 유지에 적극적이고 개인의 성장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가치를 두고 있으며, 또한 그들의 적극적 시민정신(active citizenship)을 기초로 시민사회 공론영역을 확장함으로써 결속력 있는 공동체(community)를 형성해 가는 과정 내지 그것이 달성된 상태로 거시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한국의 평생교육이 국가 및 시장주도로 진행되어 오면서 야기된 사회통합의 한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국가주도의 평생교육은 경제발전이나 사회발전을 강조하는 기능적 관점에서 평생교육을 바라보면서 국가의 경쟁력 강화의 수단으로서 평생교육이 동원화 되어졌으며, 또한 국가의 통제하에서 자율적 시민사회는 그 성장이 통제되고 공동체적 가치는 사장 또는 왜곡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한편, 시장주도의 평생교육은 인적 자본 형성 또는 인적자원 개발(HRD)에 관심을 보이며 경제적인 관점에서 철저하게 자본의 논리로 평생교육을 재편하고 있는데, 이는 학습의 책임을 국가나 기업에서 개인에게로 전가시키면서 평생교육이 공공 영역에서 점점 사적 영역으로 옮겨 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 연구가 지향하는 대안적 평생교육 패러다임은 첫째, 평생교육의 본질적 가치 회복을 전제로 한다. UNESCO의 Faure와 Derlos 등이 주장한 ‘존재를 위한 학습’과 ‘함께 살기 위한 학습’은 시장주도의 평생교육이 초래한 학습의 개인주의화와 도구성을 극복하고, 너와 나의 만남을 통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신뢰와 공통된 규범을 통해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룩해나갈 수 있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둘째, 평생교육의 공공성은 국가와 시장의 실패를 통해 드러났듯이 어떤 한 영역의 일방적인 주도로 확보되기 보다는 이제는 다양한 영역들 간의 협력일 것이다. 따라서 대안적 평생교육은 공공성 확보를 위해 시민사회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으며, 시민사회(NGO 등)와 국가와의 협력(cooperation), 연대(solidarity)를 요청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자본은 대안적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형성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사회적 가치로 재인식되고 있다. 사회적 자본은 시장학습경제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생존을 위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야만 하는 경제적·심리적 불안을 치유하며, 개인과 타인과의 경쟁관계가 아닌, 조화로운 학습 만남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 사회와 사회통합을 구현해내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평생교육이념으로서 사회통합을 위한 실천방안으로 학습공동체 활성화와 평생교육의 민관협력 강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학습공동체는 개인적 차원에서 머물던 평생교육을 성인들의 생활세계 속으로 다시 돌려놓음으로써 시민사회의 한 개인으로서 존재적인 가치를 발견하게 하고, 시민들의 자발적인 학습참여로 담론적 대화를 통한 민주적 공동체를 회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한편 평생교육영역에서의 민관협력 나아가 거버넌스(governance)는 국가의 평생교육정책 집행에 NGO 등 시민사회단체가 함께 참여함으로써 평생교육 추진 역량을 극대화하며, 상호 협력을 통해 평생교육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만들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장애인 고용의 질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이운식 대구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dicators and measurement to measur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nd to apply it to reality. The important thing in measurement development is the composition of the indicators to be used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measurement and the way of determining the weights of the indicators.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compose the quality of employment indicator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weights of the indicators. In the application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measurement, the data of the Primary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as used to look into the quality of employment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 n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icators to measure the quality of employment consisted of 6 superordinate indicators and 16 subordinate indicators. The 6 superordinate indicators are: employment security (E); possibility of development (D); income security (I); work condition (C), relationship (R); and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U). The 16 subordinate indicators are: employment type (ET); sense of employment security (SES); possibility of skill (PS); possibility of promotion (PP);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OET); pay (P); fringe benefit (FB); work time (WT); work environment (WE); intensity of work (IW); interpersonal relation (IR); participation/opinion (PO); understanding of disability (UD); disabled facilities (DF); fairness (F); and proper solicitude (PS). Second, the relative weights of superordinate indicators were the following: employment security 26.08%; possibility of development 16.18%; work condition 16.02%;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15.83%; Income security 13.53%; and relationship 12.36%. The relative weights of subordinate indicators to superordinate indicators were as follows: 'Income security' indicator involves pay 72.62% and fringe benefit 27.38%,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indicator involves proper solicitude 40.32%, fairness 33.30%, disabled facilities 26.38%, 'relationship' indicator involves understanding of disability 39.66%, interpersonal relationship 36.62%, participation/opinion 23.73%, 'work condition' indicator involves work environment 44.46%, intensity of work 31.29%, work time 24.27%, 'employment security' indicator involves employment type 51.44%, sense of employment security 48.75%,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dicator involves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34.28%, possibility of promotion 33.86%, and possibility of skill 31.87%. Third, the mathematical formula to derive the quality of employment index (QEI) is:. QEI_(i)= 26.08E_(i)+16.18D_(i)+13.52I(i)+16.02C_(i)+12.36R_(i)+15.83U_(i) The mathematical formula to find the values of subordinate indicators (employment security (Ei), possibility of development(Di), Income security(Ii), work condition(Ci), relationship(Ri), and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Ui)) is: Ei=(51.44×ETi+48.75×SESi)/100; Di=(31.87×PSi+33.86×PPi+34.28×OETi)/100; Ii=(72.62×Pi+27.38×FBi)/100; Ci=(24.27×WTi+44.46×WEi+31.29×IWi)/100; Ri=(23.73×POi+36.62×IRi+39.66×UDi)/100; Ui=(26.38×DFi+33.3×Fi+40.32×PSi)/100. Fourth, the distribution of QEI of the data from the Primary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as 61.23 on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it was 13.04, showing normal distribution.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into bad jobs, ordinary jobs, and good jobs based on ±1σ (standard deviation), the QEI of bad jobs was under 48.18 and that of good jobs was over 74.27. Finally,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men with disabilities rather than women with disabilities, disabled people in their thirties and disabled people with a high level of education. The type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didn't impact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job nature was higher in bigger companies, high ranking personnel, and those doing mental labor rather than physical labo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employment type(sheltered employment and competitive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the quality of employment so institu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give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second, employment type (sheltered employment and competitive employment) didn't make any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This result wasn't in agreement with the earlier one which competitive employment provides several benefits to the quality of employment different from sheltered employment; therefore, future studies about this should be made. Finally, if sheltered employment and competitive employment don't make any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sheltered employment can be a good alternative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ho are expected to work in bad job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it used the data of the Primary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secondarily processed in applying the measurement. In future studies those limitations should be cover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고용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와 척도를 개발하고 실제 적용하여 보는 것이다. 아직까지 양적 고용에 치중하고 있는 장애인 직업재활 분야에서 질적인 분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와 척도를 개발하고 실태를 살펴본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먼저 척도개발에서 중요한 것은 장애인 고용의 질 척도에 사용되어야 할 지표의 구성과 지표 간 가중치의 결정방식에 있었다. 장애인 고용의 질 지표 구성은 델 파이 방법을 이용하였고, 지표 간 가중치 결정은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을 활용하였다. 장애인 고용의 질 척도 적용에 있어서는 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 고용의 질을 구명하고, 인구학적 특성과 직무특성에 따른 고용의 질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고용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는 6개의 상위지표와 16개의 하위지표로 구성하였다. 6개의 상위지표는 고용안정성, 발전가능성, 보상, 근무조건, 관계, 장애인 식 및 이해도로 구성하였고, 16개의 하위지표는 고용형태, 고용안정감, 숙련향상가능성, 승진가능성, 교육훈련기회, 급여, 부가급여, 근무시간, 근무환경, 노동강도, 대인관계, 참여/발언, 장애이해, 편의시설, 공평 성, 적절한 배려로 정하였다. 둘째, 상위지표의 지표 간 상대적 가중치는 고용안정성(E)이 26.08%, 발전가능성(D)이 16.18%, 근무조건(C)이 16.02%, 장애인 식 및 이해도(U)가 15.83%, 보상(I)이 13.53%, 관계(R)가 12.36%이다. 상위지표에 대한 하위지표의 상대적 가중치는 ‘보상’지표의 경우 급여가 72.62%, 부가급여가 27.38%이고, ‘장애인 식 및 이해도’는 적절한 배려가 40.32%, 공평 성이 33.30%, 편의시설이 26.38%이며 ‘관계’는 장애이해가 39.66%, 대인관계가 36.62%, 참여/발언이 23.73%이다. ‘근무조건’지표는 작업환경이 44.46%, 노동강도가 31.29%, 근무시간이 24.27%이고 ‘고용안정성’은 고용형태가 51.44%, 고용안정감이 48.75%이며 ‘발전가능성’은 교육훈련기회가 34.28%, 승진가능성이 33.86%, 숙련향상 가능성이 31.87%의 가중치를 갖는다. 셋째, 장애인 고용의 질 지수(QEI : Quality of Employment Index)를 구하는 산식의 도출 결과는 QEI_(i)= 26.08E_(i)+16.18D_(i)+13.52I(i)+16.02C_(i)+12.36R_(i)+15.83U_(i) 이다. 또한 상위지표 고용안정성(Ei), 발전가능성(Di), 보상(Ii), 근무조건(Ci), 관계(Ri), 장애인 식 및 이해도(Ui)에 대한 값을 구하는 산식은 Ei=(51.44×고용형태i+48.75×고용안정감i)/100; Di=(31.87×숙련i+33.86×승진i+34.28×교육기회i)/100; Ii=(72.62×급여i+27.38×부가급여i)/100; Ci=(24.27×시간i+44.46×환경i+31.29×노동강도i)/100; Ri=(23.73×참여i+36.62×관계i+39.66×이해i)/100; Ui=(26.38×시설i+33.3×공평i+40.32×배려i)/100이다. 넷째, 산출 식을 적용한 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의 장애인 고용의 질 지수(QEI) 분포는 평균이 61.23점이고 표준편차가 13.04인 정규분포를 이룬다. 고용의 질을 ±1σ(표준편차)를 기준으로 나쁜 일자리, 보통 일자리, 좋은 일자리로 구분해 본 결과, ‘나쁜 일자리’는 QEI가 48.18점 이하에서 일하는 사람이고, ‘좋은 일자리’는 74.27점 이상의 QEI를 가진 일자리에 일하는 사람이다. 다섯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 고용의 질은 여자보다는 남자, 연령별로는 30대, 학력이 높은 장애인이 좋은 일자리에 근무한다. 장애유형 및 등급 차이는 장애인 고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장애인의 직무특성에 따른 고용의 질은 업체규모가 클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육체노동보다는 정신노동에 근무하는 장애인이 고용의 질이 높다. 하지만 고용형태 즉 보호고용과 경쟁고용 따른 고용의 질 차이는 없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은 첫째, 교육은 장애인 고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므로 장애인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보호고용과 경쟁고용으로 나눈 고용형태에 따른 고용의 질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고용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보호고용과 비교해 볼 때 경쟁고용은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는 지금까지의 상식과 일치하지 않은 결과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후속연구를 제안해 본다. 더불어 보호고용이 경쟁고용에 비해 고용의 질 차이가 없다면 나쁜 일자리에 근무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애인의 고용대책으로 보호고용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척도적용 자료에 있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2차 가공하여 사용하였다는 제한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은 후속 연구에서 보강하여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 제약기업의 고객관계관리 운영특성 및 지식 공유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운식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 나라에서 제약 산업의 위치는 생산액의 기준에서 볼 때 그다지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인간의 생명연장 그리고 인간의 건강추구에 대한 욕구의 충족 측면에서는 어느 산업보다도 그 중요함이 강조되고 있는 것도 또 다른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한국의 제약산업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게 변화를 요구 받고 있다. 엄청난 지적재산권을 확보하고 있는 다국적 제약기업의 진출, 국가들간의 FTA체결, 묵시적으로 자행되어온 리베이트에 대한 강력한 규제와 단속 그리고 건강보험 약값의 인하방침 등은 현재까지 단순하게 합성 및 복제의약품을 제조, 판매하던 제약기업들에게는 어느 때보다도 지속가능한 성장과 함께 사회적 책임 이행 및 기업윤리의 준수라는 환경변화에 적응하면서 적극적으로 핵심역량을 키워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고객지향적인 철학을 이행하는 것으로 변화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물론 경쟁적인 환경에서 존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R&D투자를 통한 신약개발도 수행해야 하지만, 고객추구적인 복합적 마케팅 철학의 이해와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가 우선됨으로써 제약기업의 존속의 정당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 제약기업들도 복합적 마케팅 철학의 이행 요소인 고객관계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여 고객관계관리(CRM)를 통해 기업성과를 달성하고자 하지만, CRM활동이 단순히 고객정보를 관리하는 수준인 판매관리 및 고객접점담당자의 촉진 활동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제약기업의 성과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지 못하여 CRM시스템의 활용이 효과적으로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 기초하여 CRM활동을 효율적으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요인을 확인하여, 그 요인들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 CRM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국내 제약기업과 다국적 제약기업 총 85개 기업을 대상으로 CRM시스템 활용에 직접 영향을 주는 조직환경 특성, 시스템운영 특성, 고객관계지향 특성 그리고 상기의 3가지 특성요인이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고, 그 지식공유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나타내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여 그 관계를 연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참고한 설문항에 따라 현재 한국에서 활동하며 또한 CRM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국내 제약기업과 다국적 제약기업을 표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는 SPSS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분산분석 및 경로분석 등을 한 결과, 도출된 여러 문제점을 바탕으로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CRM활용을 위한 전략적 제언을 할 수 있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의 전략으로서 CRM전담부서의 설치, CRM활용에 필요한 기본 철학의 조성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특성 요인에 따른 구체적인 전략으로서, CRM활동 고객전문인력 확보, 최고경영자의 지원과 지속적인 투자, 고객정보 상호교환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체계 구축, 고객요구를 반영하는 업무 프로세스의 설계, 고객담당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 구축, CRM활동이 전사적 차원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인식전환 교육 훈련, 고객지향적 사고의 인식전환 교육, 고객들이 정보를 동료나 관련된 사람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기술 활용, 영업담당자의 교체, 부재중에도 고객이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및 프로세스 구비, 차별적이며 가치창조적인 CRM시스템 운영과 활용, 3가지 특성요인 및 지식공유가 기업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사적이며 복합적 차원에서의 관리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몇 가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지만, 제약기업이라는 특정분야에 한정하여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CRM활용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였으며, 특히 B to B 마케팅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대북 지식공유사업에 대한 연구 : 남북 산림협력을 중심으로

        이운식 북한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ies and trends of knowledge sharing projects that have emerged as a new flow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ince the 2000s, and to obtain implications necessary for future project promotion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knowledge sharing projects with a focus on the forest sector. In the 2000s, the knowledge sharing project began to spread as the importance of not only the input of material resources but also the use of non-material knowledge and technology was emphasized while reflecting on the existing development aid method centered on donor countri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knowledge sharing project with North Korea began with market economy education for North Korean officials and academics. Korean NGOs also started to promote knowledge sharing projects centered on technical support and policy consultation while promoting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 agriculture, health care, and forestry. However, all these knowledge sharing projects were halted after 2010 as inter-Korean relations deteriorated. After the advent of the Kim Jong-un regime, as North Korea established a 10-year forestry plan and carried out extensive forest restoration activities, expectations for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also increased in South Korea. However, due to the strained inter-Korean relations and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re were few cases in which it actually led to a project. As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were suspended for a long time, NGOs promoted independent knowledge-sharing projects such as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education/training through international NGOs in third countries. Although it was not pursued with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sharing project and a long-term goal, it was confirmed that the knowledge sharing project for capacity building was very useful in the changing condi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sustainability, governance and external influence of the knowledge sharing project with North Korea focusing on the field of forestry cooperation. Since the mid-2000s, knowledge sharing projects in the forestry sector and field-oriented technical support activities promoted by NGOs have greatly contributed to enhancing North Korea's nursery productivity and strengthening development capabilities in the forestry sector.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olicy of scientific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n addition, North Korea showed deep interest in South Korea's advanced nursery and tissue culture technology,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and use cases of RS/GIS spatial information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which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recent trend of North Kore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spite various effects such as strengthening North Korea's forestry development capabilities, there were few cases of independent knowledge sharing project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sharing project by NGOs and the low acceptance of North Korea. In order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the business, it is important to fully utilize resources and prepare a program with continuity and completeness by involving various actors. In addition,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is a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that requires expertise and large-scale financial resources, requiring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NGOs, and expert groups. The forest knowledge sharing project, like other North Korea projects, was greatly affected by the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North Korea. Nevertheles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tively utilize the cross-disciplinary nature of the knowledge sharing project for capacity development was also confirm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knowledge sharing project in the forestry sector in a more sophisticated way by referring to past experiences and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trends in North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 국제개발협력의 새로운 흐름으로 등장한 지식공유사업의 이론과 동향을 살펴보고, 산림분야를 중심으로 대북 지식공유사업의 현황을 분석, 평가하는데 있다. 지식공유사업은 2000년대 들어 공여국 중심의 기존 개발원조 방식을 반성하면서 물질적 자원의 투입뿐만 아니라 비물질적인 지식·기술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확산되기 시작했다. 국제사회의 대북 지식공유사업은 북한 관료, 학자 대상의 시장경제 교육을 중심으로 시작되었고, 한국 민간단체들도 농업과 보건의료, 산림분야의 개발협력 사업을 추진하면서 기술지원과 정책자문 중심의 지식공유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렇게 추진했던 지식공유사업은 2010년 이후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모두 중단되었다.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북한이 산림조성 10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대대적인 산림복구 활동을 전개하자 한국에서도 남북 산림협력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그러나 경색된 남북관계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로 인해 실제 사업으로 이어진 경우는 거의 없었다. 남북 교류협력 중단이 장기화되자 민간단체들은 제3국에서 국제NGO 등을 매개로 국제회의, 워크샵, 교육·연수 등 독립된 방식의 지식공유사업을 추진했다. 지식공유사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장기적 목표를 갖고 추진한 것은 아니었지만, 역량강화를 위한 지식공유사업이 변화된 남북관계 상황에서 매우 유용한 사업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대북 지식공유사업의 효과성과 지속가능성, 거버넌스, 그리고 지식공유사업에 미치는 외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민간단체가 추진한 현장중심의 기술지원 활동과 지식공유사업은 북한의 양묘생산성 제고와 산림분야의 개발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북한이 양묘분야의 핵심과제로 내세우고 있는 묘목생산의 과학화, 공업화, 집약화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북한은 국제회의에서 남한의 선진적인 양묘와 조직배양 기술, 산불관리시스템과 RS/GIS 공간정보 활용 사례 등에 깊은 관심을 보였는데 이는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북한 내부의 상황을 반영한 것이었다. 산림분야에서의 북한 개발역량 강화 등 다양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지식공유사업에 대한 민간단체들의 이해 부족과 북한의 낮은 수용성 등으로 인해 독립된 방식으로 지식공유사업이 시행된 사례는 많지 않았다.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고, 다양한 행위자들을 참여시켜 연속성과 완성도를 갖춘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했다. 또한, 남북 산림협력은 전문성과 대규모 재원이 소요되는 개발협력 사업으로 정부와 민간단체, 전문가 그룹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남북 간 직접협력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국제NGO 및 해외동포 단체의 역할이 더욱 높아진 것이 확인되었다. 산림분야 지식공유사업도 다른 대북사업과 마찬가지로 북한을 둘러싼 안보환경으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그럼에도 역량발전을 위한 지식공유사업의 범분야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확인되었다. 과거의 경험을 참고하고 국제사회의 북한 개발협력 동향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보다 정교한 방식으로 산림분야 지식공유사업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 운동선수의 조절초점, 실패내성 및 대처방식의 인과관계

        이운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조절초점 성향이 실패내성과 대처방식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조절초점 성향과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서울 소재 K대학교 학생선수 43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활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기초기술통계와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의 신뢰도,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상관분석을 통해 하위요인들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더불어, 조절초점, 실패내성 및 대처방식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절초점의 하위요인인 예방초점과 향상초점은 실패내성과 대처방식의 하위요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조절초점의 하위요인인 예방초점은 실패내성과 대처방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향상초점도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예방초점이 실패내성의 하위요인인 실패 후 행동 요인을 매개하여 문제중심 대처, 정서중심 대처, 그리고 회피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방초점이 실패 후 행동을 매개하여 문제중심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에서 가장 큰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대처방식을 예측하는 향상초점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절대적으로 유리한 동기적 성향이 없음을 암시한다. 성향에 따라 강점과 약점이 존재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하는데 동기화되는 이유가 다르다. 개인의 성향을 이해하고 적합한 방법을 사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운동수행이 가능하다. 본 연구가 선수 개인뿐만 아니라, 동료 및 지도자의 지원과 지지의 관점에서 선수의 동기유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淸華 念佛禪 硏究

        李雲植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Chunghwa(1923~2003)'s discipline for fifty six years since his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can be characterized with a few practices which he sincerely followed such as meditation without laying himself down and taking just one meal in a day. All these practices and diciplines were to solve the problem of birth, age, sickness, death regarding which Buddha wanted to give the answer that is called Nirvana, the true liberation. During his lifetime, Chunghwa roam around all the places where the people need the teachings of Buddha, and which served as examples of absence of ego and nonpossession. Meanwhile, He also focused on evangelization for the people who need the teachings of Buddha especially for the last sixteen years of his life time. Chunghwa got all the respects from the people who followed him because of the pureness in his religious commandment based on which the people know right form wrong. He claimed that the we always need to purify ourselves and follow the best precepts of Buddha so that we can have the mental state of concentration and focusing on one point to the exclusion of all else(三昧). He considered all the things in this world as one being which cannot be separated. In other words, people generally think that there are different and separate beings in the world, but the fact according to Buddha's teaching is that we just have one nature of reality and truth. On the basis of such Buddha's teaching, Chunghwa suggested us to follow the way of discipline which is called ‘Buddha-Recitation- Seon(念佛禪)’. In his Buddha Recitation Se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we should not miss our self-nature or the essential self-existence, through which we can be close to the reality of the world. Dut to the his above stated precept, that is, the Buddha's teaching that there is only one truth encompassing all the things in the world, Chunghwa recognized all the branches of Buddhism as well as different religions, and which is based on his belief that the orientation of all the Buddha's teaching is in opposition to all kinds of separation(圓融會通). Chunghwa thought that the Buddha's precious teaching is truly the stating point to solve all the problems where people are in many struggles owing to their various forms of discrimination. In terms of the way of discipline, Chunghwa thought everybody following Buddha's saying should have his own discipline which matches with his own orientations and capacities, because having a suitable discipline to an individual can be the short cut to realize the reality of all the beings. Briefly, Chunghwa's teaching is that it does not matter whichever discipline an individual pick up if you can skip all the false images(五蘊皆空) and realize the wondrous being of true emptiness(眞空妙有) to encounter the true eternality(中道實相). The discipline which Chunghwa gave us is mostly affected by the teaching of his master, 'Kumta'(菩提方便門). The focal point of his discipline is that both mental act to think of the truth including everything in this world (一相三昧) and sustainability of the mental act (一行三昧) are really required to really reach the eternal stage of relization, that is, Nirvana as well as the truth(眞如佛性) which exists in all the beings. The Buddha-Recitation-Seon given by Chunghwa is nothing but the belief based on the identification between myself and three bodies of Buddha which are the Dharma body, the reward body, and the manifested body (歸依自性三身佛). In other words, the conception of Buddha which represents the integration of all the beings in our mind can be Buddha, himself. From a practical point, Chunghwa's fore-stated Buddha-Recitation-Seon adopted ‘contemplation of the mind and repeation of Buddha's name (觀心念佛)’ and 'understanding of Buddha's teachings in advance and practice them later (先悟後修)'. After Chunghwa spreaded his teachings, Buddha-Recitation-Seon could be divided into two ways of disciplines. One is the questioning that 'who is the person repeating Buddha's name' in the middle of recitation of Buddha (念佛話頭法). The other is contemplation of the Dharma body with the belief that Buddha is internally existed in the mind of an individual (實相念佛法), and which is following the way of recitation given by Chunghwa. In addition, we will briefly go through the other recitation methods which are 'Recitation with invoking Buddha's name(稱名念佛)' and 'Wonhyo's Recitation-Buddha-Seon(元曉念佛禪)' that is basically on the basis of 'Recitation with contemplation the image of Buddha(觀相念佛)'. As the followers of Buddhism are getting educated, the intellectual and religious aspiration have been increasing. Under such situation, meaningless but religious rituals and ceremonies cannot satisfy them. The research under the title of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Buddhism followers in terms of their ways of disciplines and attitudes」 might be helpful to briefly understand what the people following the teachings of Buddha need and the fact that many of them consider medita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desirable practices they can implement. Through the research, Chunhwa's Recitation-Buddha-Seon can be provided to the Buddhists who are different from Buddhism followers in the past and have different expectation from the religious activities. Chunghwa'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Korea as well as in the world is nothing but the fact that he taught us to have his own disciplines which are suitable to himself so that he can realize the true reality which includes everything and which may be the standard to judge from right or wrong. He also brought up many pupils to spead and stress the message that people need to have absolute knowledge(wisdom), meditative stabilization(samādhi), and righteousness. Chunghwa implied many things which people should repeatedly think over and over.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his teachings is the matter of our responsibility. The further studies on his teachings in order to more easily understand and spread his precious sayings will be absolutely meaningful for the realization of eternalit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