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대두 요구르트 제조

        이우경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능성이 우수하고, EPS 성분이 강화된 기능성 대두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319종으로부터 대두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우수균주를 선발하였다. 관능검사를 통해 선별한 유산균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관능이 우수한 4종은 각각 Lactobacillus sakei F144-214, Lactobacillus curvatus FKMD4, Pediococcus pentosaceus FMN와 FMRG5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성 대두 요구르트 제조에 사용할 EPS 생성 능력이 뛰어난 F143-652 균주는 Leuconostoc citreum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5종의 프로바이오틱 기능성으로 항균활성 및 내산 내담즙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Lactobacillus sp. FKMD4, Pediococcus sp. FMN 및 FMRG5, Leuconostoc sp. F143-652는 E. coli, V. parahaemolyticus, S. Typhimurium, B. cereus, L. monocytogenes, B. subtilis, M. luteus의 생육을 저해하였다. 또한, Lactobacillus sp. F144-214, pediococcus sp. FMN 및 FMRG5, Leuconostoc sp. f143-652 유산균은 내산 (MRS broth at pH 3.0)과 내담즙(MRS broth with 0.3% oxgall)조건에서 초기균수(10⁸ CFU/ml)를 유지하여 높은 생산성과 내담즙성을 나타냈다. 선별된 유산균으로 대두 요구르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두유에 유산균 배양액을 1% 접종시켜 30도에서 24시간 발효시켰다. 발효 중 pH와 적정산도는 Lactobacillus sp. F144-214 대두 요구르트는 발효 24시간 후에 pH 6.03, 산도 0.30%, Pediococcus sp. FMN, FMRG5와 Lactobacillus sp. FKMD4 대두 요구르트는 pH 5.5~5.7, 산도 0.29~0.30%로 확인되었다. Leuconostoc sp. F143-652균주는 다른 4 종의 유산균에 비해 산생성능이 활발하여 발효 24시간 후, pH 4.95, 산도 0.44%로 확인 되었다. 대두 요구르트의 휘발성 향미성분을 관능평가 결과가 좋지 않았던 Lactobacillus rhamno년 GG와 MD2를 negative control로 선택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두유요구르트의 이취성분을 분석한 결과, 선별된 균주 5종의 두유요구르트는 negative control에 비하여 2-Heptanone은 약 96.4%, Benzaldehyde는 약 41.4%, 2-Nonanone은 약 95.0% 낮게 나타났고, 2-Undecanone은 나타나지 않은 반면, Lactobacillus sp. GG와 MD2, 두유에서는 2-Undecanone이 0.5~4.6%가 확인되었다. Leuconostoc sp. F143-652를 이용한 EPS함유 두유요구르트는 EPS 생성 기질로 10% sucrose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Sucrose를 첨가한 대두 요구르트의 EPS 함량이 2.12 mg/g 으로 sucrose를 첨가하지 않은 두유요구르트의 0.31 mg/g 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두유에 첨가한 sucrose는 모두 EPS 생성에 이용되어 TLC 당 분석결과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관능평가 결과, sucrose를 첨가하지 않은 대두 요구르트에 비하여 조직감, 맛, 향기, 전체 평가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선별된 유산균 5종은 두유요구르트의 관능을 개선시켜 대두 요구르트의 상품성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Leuconostoc sp. F143-652에 의한 EPS 함량이 높은 기능성 대두 요구르트를 제조함으로써 두유의 이용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종류별 인삼이 인체의 당대사, 지질 대사 및 동맥경화도에 미치는 효능

        이우경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혈압, 동맥경화 및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대사 증후군은 현대 성인병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왔다. 이 실험에 사용된 홍삼은 정관장으로부터 제공된 캡슐 형태의 한약 분말이며 실험 용량은 200mg으로 12주 동안 하루 3회 복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중 맹검을 유지하였다. 당대사로서는 공복 혈당, 공복 인슐린치, 당화혈색소, HOMA-IR 지질대사로서는 total cholesterol, tryc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otal lipid, phospholipid 동맥경화도로서는 regional-PWV를 이용하여 대동맥경화도, 하지 동맥경화도, 상지 동맥경화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당대사에서는 홍삼군이 공복혈당을 크게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백삼군은 공복 인슐린치와 HOMA-IR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지질대사에서는 홍삼군은 total cholesterol, tryglyceride, LDL-cholesterol 및 phospholipid에서, 서양삼군은 total lipid 및 phospholipid 에서 유의성 있는 개선 효과를 보였다. 동맥경화도에서는 서양삼군만 상지 돔맥경화도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이고 그외 실험군의 유의성이 없었다. 본 실험에서의 홍삼에서의 혈당 강하 효과는 사포닌 성분의 효과로 보이며, 이를 통해 기존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대체할 신약 개발도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서양삼은 국내산 홍삼과 백삼에 비해 당대사, 지질대사 개선 효능이 부족하였는데 이는 국내산 홍삼, 백삼이 본삼 비율이 높기 때문일 것이다. 동맥경화는 지질대사의 개선이 이루어질때 예방 효과를 보이므로 지질대사의 개선효능이 뚜렷한 홍삼 또는 백삼을 꾸준히 복용하면 간접적으로 동맥경화도 예방이 가능할 것이다. Metabolic syndrome, which refers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and the various following complications, is acknowledged as the main reason of modern adult diseases. This experiment administered several kinds of ginseng to patients to study and to identify its relationship among the herbal medicine and arteriosclerosis, lipid, blood-sugar, and insulin resistance which all of them are considered responsible for the modern adult diseases. The herbal medicin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a red ginseng which comes as a capsule-type tablet herbal medicine that was provided by Jung Kwan Jang. Its experimental dose was 200mg, and it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per day for 12 weeks period. This experiment kept a double-blind test format throughout the test; in addition, within this experiment the administering medicines, red ginseng, white ginseng, and western ginseng, were distinguished and were designed to detect difference and effectiveness at the same time based on its origins. Upon the administering Jung Kwan Jang red ginseng, the group's empty-stomach blood-sugar leve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white ginseng group's empty-stomach insul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otherhand Jung Kwan Jang red ginseng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otal cholesterol, tryglyceride, LDL-cholesterol, phospholipid. In arerial stiffness(regional-PWV) results, all three ginseng groups not showed tendency to increase or decrease the main artery age and upper-lower limb blood vessel age figure compared to placebo group. Our still remaining task upon the observation made from this experiment, especially the evidence of red ginseng's effect on forcing down blood-sugar level and improving several kind of blood lipid, should be applying those findings to further study and research for the administering dose and type of medicine.

      • Electron-Beam 법에 의해 제작된 TiO2/SiO2/TiO2 다층 박막의 특성과 NIR 필터 성능 향상 연구

        이우경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Electron-Beam 법을 이용하여 TiO2 박막과 TiO2/SiO2/TiO2 박막을 SiO2 두께에 변화를 주어 제작하였다. 그리고 NIR 필터의 성능향상을 위해 경사입사 증착법을 이용하여 NIR 필터를 제작하였다. 순수 TiO2 박막과 TiO2/SiO2/TiO2 박막은 600 ℃에서 열처리하여 구조적, 광활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SEM 측정 및 AFM 측정 결과 SiO2 두께가 증가할수록 응집입자들의 크기와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다. 600 ℃ 열처리된 박막들은 모두 아나타제 결정상이 나타났고 아나타제 결정상 이외에 어떠한 피크도 나타나지 않았다. TiO2/SiO2/TiO2 박막에서 SiO2 두께가 증가할수록 다양한 아나타제 결정상을 보였다. 또한 TiO2/SiO2/TiO2 박막이 순수 TiO2 박막보다 광활성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SiO2 60°경사입사 증착에 의해 제작된 31층 NIR 필터는 SiO2 0°31층 NIR 필터보다 뛰어난 투과율을 보였다.

      • 미술감상을 통한 미적체험 지도방안 : internet cyber gallery를 중심으로

        이우경 又石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의 역할은 인간에게 새로운 눈으로 환경을 보는 것을 가르쳐 주고 감성의 잠재능력을 되살려서 밝고 활기찬 삶을 영위하는데 있다. 미술교육의 내용은 표현과 감상 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영역은 서로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상호 보완적으로 지도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창의성을 강조하는 미술교육 현장에서 미술 수업의 주된 관심은 표현활동에 집중되고, 감상활동에 대해서는 경시하는 풍조가 지배적이며,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것은 미술사를 암기하는 것쯤으로 하고있다. 바람직한 감상활동은 학생 나름대로의 미술품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조형요소와 조형원리 등을 발견하고 미술품속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가치를 수용하고 미적 감각을 길러 전인적 인간 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미술감상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미적 감각과 미의식을 길러 미술작품을 향수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유능한 인간을 형성하는데 중요성이 있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은 표현 및 감상활동을 통하여 개인의 미적 정서와 창의성의 발달을 돕고 생활환경 개선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국민적 자질을 기르는데 그 기본이 있다. 미술교육의 목적이 미술작가를 길러내는 것에 있지 아니하고, '미술을 통한 인간 교육의 추구'이며 다양한 미술 감상을 통해 우리는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미술 감상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므로 Internet Cyber Gallery를 통하여 보다 많은 작품을 감상하고 학생들 상호간의 의견교류를 통하여 더 좋은 감상 작품을 소개하면서 실제로 미술관 견학이나 작품을 보지 않아도 폭넓게 감상을 할 수 있고 여러 학생의 토론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미적 가치를 경험할 수 있다. 작품을 자주 접할 수 있으므로 감상활동에서 얻은 미적인 감각과 태도를 가지고 아름다움을 사랑하고 생활 속에서 실현해 나갈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미술 감상 교육에 있어서 Internet Cyber Gallery와 학교 연계의 중요성을 재고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좀더 폭넓은 자료와 학생중심의 주체적 감상활동으로 미술 감상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연계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나아가 Internet Cyber Gallery와 학교 연계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보다 질 높은 감상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 조선조 "일기문학" 연구

        이우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 thesis of the present dissertation is that the journal is a style of prose literature. Looking back, one can observe that journals were not even included in the thirteen modes of literature shown in the Chinese classic komusayuchan. In contrast, whenever types of “essays” are discussed in Korea, journals are always counted as one form of essay. Nevertheless, in those discussions, one finds even a preliminary matter such as classifying prose pieces rather confusing: classification in terms of form is often confused with that in terms of content, and to be worse, no consistent typological criteria seem to have been established. It seems only natural to witness such chaotic situation in the field of studies on prose literature under present circumstances; no full-scale research attempt has ever been made to investigate particular pieces of prose as literary works. Thus keen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typology of journals as well as to the thorough analyses of particular works. Focusing on the journals appeared in the late Yi Dynasty,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classify them in terms of subject material, methods of description and points of view, to investigate the process in which they were developed and to demonstrate what characteristics of journals make them qualified as literature. Chapter Two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journal” in Korea. It is shown that journals originated from a motivation to record historical facts among dignitaries. Such a type was the public journal. About at the same time, private journals began to appear. In the late period, personal stories, private essays, and travel journals, which all expressed some personal consciousness, appeared in quantity. It is clear that private journals are highly valued in literariness than public journals. In China, the tern “journal” was used to name written narratives, documentaries and essays, and it also included travel journals. In Korea, about the same situation was observed and journals became more and more subjective. The late Yi Dynasty was indeed a period in which the expansion from public to private journals was firmly established. Even the public journals, which described various experiences against historical backgrounds, reflected personal consciousness. The historical experience in the turmoil of the late Yi Dynasty triggered individual self-consciousness in people’s minds, which in turn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private journals. Chapter Three is an attempt to establish the typology of journals. Journal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ar journals, royal dynasty journals and travel journals. Each of the three types exhibits its own distinctive manners of perception, although they share some similarities in dealing with subject matters or material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discussing the types of journals, one ought to pay attention to how the writers perceive about their world as well as to what they see as facts. “Facts” and their transformed “meanings” are shown to be projected from writers’ perspectives and attitudes for description in quite complex and stratified manners. Considered diachronically, it is shown that the three types of journals got more and more away from the nature of public journals in the later periods. From a functional viewpoint, journals may be divided into formal factual records and informal histories on the one hand and private records and journals on the other. One can also observe that public journals were gradually transformed into private journals. However, their literariness comes from individual writers’ points of view, not automatically from historical changes. That is to say, the source of generative power of private journals is individuals differentiated consciousness reacting to historical facts. Chapter Four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 which has resulted from a macroview obtained in the previous chapters, by means of “see-through” methods of interpretation. First, because points of view represent attitudes for description, they are closely related with content. Based on this thesis, five different subjective attitudes are identified: direct subjective, objective subjective, selective subjective, subordinate subjective, and imaginative subjective. These subjectives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question of who sees from where in what attitudes. It is, then, shown that what is described (descriptive domain) and how it is expressed (expressive technique) can be revealed by using the notion of the five subjectives. Secondly, it is claimed that the construction of a journal is a two-dimensional structure with binary oppositions such as segmentation vs. combination, repeated daily affair vs. new discovery, conflict vs. relaxation, and ordinary language vs. expressive language. Owing to this type of literary effect, writers can extend ordinary meanings for their own purposes and by doing so their suggestive feelings can be expressed, and in this manner their daily experiences can cause readers to be move emotionally. Thirdly, the modes of expression are combines systematically, and related to writers’ self-consciousness. In the case of the journals of the Yi Dynasty, external social consciousness and internal self-consciousness were integrated to include ideology and perception. The former was expressed as critical attitude as well as general historical and nationalistic awareness, while the latter came out as a conflict between realistic selves and primitive selves. In sum, the writer’s experience is a fact distinguished from actual daily life, and this ‘fact’ can be a motivation which an individual to a certain ‘perception’. Since the expressed experience is the smallest unit of perception, “the meaning of experience” constitutes the essence of prose. Thus journals as a literature are a special kind of literature which express in a language the processes in which particular experiences from daily lives are transformed into the world of perception. In Chapter five, the two mo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ive prose including journals are identified. First, subjective prose literature is a synthesis of experience and perception, thereby describing the space of “on the spot”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awareness of them at the same time. It is neither a record of daily life, nor a literature of imagination (“Mimesis”). It is a “reflection” revealing experience and perception. Secondly, the journal as a form of subjective prose has a rather extensive domain of expression according to its writer’s ability to experience. The reason is that multiple points of view can be formed on account of the openness of the point of view in journals. Actions and events are represented in “on the spot” experiences and emotional feelings are described in perceptual processes, ad consequently epic and lyric styles tend to intervene in journals. But the generic characteristic of a journal is maintained by its subjective property which controls infinite expansion. Therefore, in literary space, “I” is a new being projected from the world of consciousness, not a copied “I” coming from the real world. As a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offers a new possibility that a very unique literary spirit finds itself in the journal, a mode of literature which has been neglected because of its allegedly weak or nonexistent literariness. Historically, this study, if successful, identifies the period in which the literary genre “journal” was establish as the late Yi Dynasty, and in this sense, this study will not only make considerable quantitative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ut also can it shed light on how and when the traditional genre “journal” came into being a new style of literature. 「日記」는 산문 문학의 한 양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淸)의 姚내(1731~1815)는 古文辭類纂에서 文의 13가지 양식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그 중 雜記의 양식과 어느 정도 근접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국은 隨筆의 10여가지 양식적 분류 속에 반드시 日記를 포함시키고 있다. 대체로 이들 분류는 형식적 분류와 내용적 분류가 혼용되어 있어 일정한 기준이 정립되지 않는 듯하다. 개별 작품 연구가 소홀한 현 시점에서 양식 분류의 혼란은 당연하다고 본다. 앞으로 산문 장르의 연구는 개별 작품의 연구와 더불어 그 양식적 분류에 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논문은 서술 방법에 의해 일기 양식을 조망하고 문학적 특징을 추출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조선 후기 일기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소재·서술 방법·시점에 따라 분류하고 일기의 발생 과정과 유형을 조망한 다음 일기의 문학적 특징을 밝히려고 했다. II장에서는 일기의 형성 과정을 검토하였다. 「日記」는 원래 상층 인물을 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고자 한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이들 公日記와 함께 평범한 개인의 기록인 私日記가 公日記보다 두드러진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처음엔 역사성을 바탕으로 쓰여진 實記의 형태였는데 후대에 오면서 이를 탈피하고 개인의 의식이 내포되었다고 본다. 중국의 경우 후대에는 日記가 필담, 필록, 수필과 같은 개념으로 쓰였으며 여행을 소재로 한 일기가 포함되었는데 한국의 경우도 주관성이 개입되어 이와 유사한 모습으로 전개된다. 조선 후기는 公日記에서 私日記로 확장되는 시기였으며 시대적 역사 체험이 개인의 의식을 일깨운 동기가 되어 일기 번성을 더욱 촉진시켰다. 후대에는 개인의 여행 일기가 포함되어 私日記가 많이 확산되었다. III장에서 조선 후기의 방대한 일기는 몇 가지 기준 방법에 의해 분류될 수 있었다. 소재에 따라 전쟁 일기, 궁중 일기, 여행 일기로 분류된다. 이들 각 유형의 작품들은 동 시대에 유사한 역사적 체험을 했으면서도 서로 다른 인식의 태도에 의해 서술의 방법이 달리 나타나 있다. 그리하여 日記는 현장 체험의 “사실성”못지 않게 작가의 “인식”에 따라 그 서술 태도가 다양하다는 점이 드러난다. 이와 같은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각기 다른 서술 방법의 작품을 대표 유형으로 선정하여 비교 검토했다. “사실”과 “인식”은 다양한 층위로 분석되어 그 결과 서술의 방법에 의해 실록, 기록문(야사) 일기문학으로 분류된다. 여기에서 公日記가 私日記로 변모되는 양상을 좀더 뚜렷이 볼 수 있다. 이는 시대적인 변모에 의해 발전되는 양상이 아니고 개인의 표현 관점에 따른 다양한 서술 형태이므로 작가의 의도에 따라 기능적으로 달리 서술되었다고 본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일기의 유형과 발생은 시대적으로 사회 역사적 배경과 관계는 있으나 이에 반응하는 개인의 “의식”의 차이에 의해 개별적인 체험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V장에서는 앞 장의 거시적인 조망에 의해 밝혀진 일기의 양상을 투시안적인 해석의 방법으로 고찰한다. 이 장은 「日記文學」의 성격이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첫째, 서술의 시점은 기본적으로 1인칭 주관적인 시점인데 이 주관성은 다섯가지 상이한 서술 태도에 의해 그 표현의 기법과 영역이 다르다. 외부 관찰자적 태도에 치우친 객관적 주관, 선택적 주관과 외부, 내부 관찰자적 태도를 포괄하는 직접적 주관, 내부 의식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종속적 주관, 내부 의식이 상상적 은유에 내포된 상상적 주관으로 분류된다. 둘째, 작품의 구성은 이원적 구조인데 분절/집합, 반복된 일상/새로운 발견, 갈등/이완, 일상언어/표현 언어의 관계 속에서 구성의 묘미, 은유등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표현 방법에 의해 일상적인 체험사실은 문학적 효과에 힘입어 독자에게 감흥을 줄 수 있었으며 의미의 확대로 작자의 암묵적인 감성도 표출할 수 있었다. 셋째, 이들 표현 형식은 총체적으로 결합되어 작가의 자의식의 세계로 연결된다. 조선 후기 일기는 외부 사회 의식과 내부 자아 의식이 결합되어 사상과 인식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들 작가 의식은 계층과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르나 외부 사회 의식에서는 비판 의식과 더불어 역사의식, 민족의식이 나타나고, 내부 자아 의식은 현실적 자아와 원초적 자아와의 갈등이 형성되어 (자아/세계):원초적 자아의 갈등 양상이 나타난다. 결국 작가의 체험은 일상 생활과 변별성에 의해 구분된 “사실”이며 이 사실은 개인의 “인식”에 동기가 된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때 표현된 체험 사실은 인식의 최소 단위이므로 “체험의 의미”야말로 산문의 핵심이 된다. 따라서 日記文學은 일상의 세계에서 특정한 체험이 동기가 되어 인식의 세계로 전입되는 과정을 언어로 표현한 독특한 존재 양상임이 증명된다. V장에서는 일기의 장르적 성격을 밝히는데 주관적인 산문의 성격 중 가장 포괄적이고 기본적인 두 가지 성격이 규명된다. 첫째, 체험과 인식의 종합인 日記는 현장 체험 공간과 심리적 인식이 함께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일상 생활 그 자체도 아니고 창조된 상상의 문학(Mimesis)도 아닌 일기는 체험에 따른 인식을 드러내는 “드러내기”(Reflection)임이 증명된다. 둘째, 주관적인 산문인 日記는 작가의 체험 인식에 따라 그 표현 영역이 넓다. 이유는 시점의 개방성으로 인해 여러 측면의 관점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현장 체험에서는 행동과 사건이 재현되고 인식의 과정에서는 감성적인 느낌이 서술되어 서사체와 서정적인 표현 방식이 개입된다. 그러나 무한대적인 팽창을 제어하는 “주관성”은 타 장르와 엄격히 구분되어 산문의 장르적 속성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문학 공간 속에서 “나”는 현실 세계의 모사인 복제되 “나”가 아니고 그 인식 과정에서 새롭게 투영된 “나”로 존재하게 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소홀히 다루었던 “日記”라는 문학 양식이 결코 방치될 수 없는 중요한 문학적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했다. 日記에도 독특한 문학 정신이 내재해 있다는 사실을 밝히기 위해 일기를 포함한 주관적 산문의 존재 양상을 증명할 수 있어 조선 후기「日記」 는 새롭게 조명될 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 결과적으로 조선 후기「日記」연구는 문학사에 양적으로 기여할 분 아니라「日記」 라는 기존 장르가 변형 생성되어 문학으로 확산, 정립되는 시기와 이유를 밝힐 수 있어 의의가 크다고 생각한다.

      • Context Drawing 기법을 활용한 영어 역할극 수업 디자인 연구 : 영어 표현 지도를 중심으로

        이우경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에 의하면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가장 큰 목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 즉 영어를 듣고 자신의 생각을 영어로 말할 수 있는 구두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특히 다른 영역에 비해 스스로 말 하려는 의지가 필요한 영어 말하기 영역은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역할극이라는 언어 학습 기법에 본 연구자가 제시하는 경험을 활용한 그리기 기법인 Context Drawing 기법을 접목하여 Context Drawing 기법을 활용한 영어 역할극 수업을 디자인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표현 위주의 영어 말하기 수업에서 새로 배운 표현을 영어 단어의 학습처럼 장기기억화 시킨다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발화할 수 있다고 보고 경험 활용과 Drawing 기법을 통해 새로운 표현을 장기기억에 도모하고자 수업을 디자인하였다. Atkinson & Shiffirin (1968)이 제시한 정보처리 모델에서는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도 컴퓨터의 정보 처리 과정과 비슷하다고 보고, 새로운 정보가 투입되면 감각기억, 작업기억, 장기기억의 정보저장소에 머무르거나 저장되는데, 각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전이될 때 인지 과정을 거치게 된다. 감각기억을 통해 들어온 정보는 주의와 지각을 통해 작업기억으로, 작업기억 속의 정보는 시연과 부호화 과정을 통해 장기기억으로 저장되며 장기기억속의 정보는 인출 과정을 통해 다시 작업기억으로 전이되어 실제 우리가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지 과정 중 부호화 과정을 활성화시켜 작업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의 전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Context Drawing 기법을 활용한 영어 역할극 수업은 경험활용과 그리기 기법, 그리고 역할극을 접목하여 초등학교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는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자인 되었다. 디자인 된 수업의 각 요소가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을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인지 정보처리과정의 부호화 중 학습자의 경험이나 기존 지식에 새로운 정보를 연결시키는 과정인 정교화를 활용한 것으로, 새로운 영어 표현을 장기기억화 시켜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발화를 도울 수 있다. 또, 이러한 학습을 통해 학습자 자신은 사용할 일이 없다고 생각하는 다소 생소한 영어 표현을 자신이 사용한 적이 있고 또 사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언어로 인식하게 되어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낮출 수 있다. 둘째, 그리기 기법을 활용한 학습은 인지 정보처리과정의 부호화 중 정보를 시각화 하는 과정인 심상형성을 활용해 인지과정을 활성화 시켜 정보를 장기기억화 시킨다. Chen & Leung (1989)은 초보학습자들이 목표어 단어의 의미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 ‘중개자(mediator)’로 모국어나 그림 표상을 이용한다고 했다. 단어에 대한 주석으로 그림과 글을 제공한 경우가 글만 제공한 경우보다 단어의 회상률이 높다는 것이다. 또 영어 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고 흥미를 유발하여 영어에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역할극을 활용한 학습은 인지 정보처리 과정의 시연을 활용한 것이다. 역할극을 하기위해 대본을 만들고 연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새로운 표현이 포함된 대화문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운 표현은 장기기억에 도모된다. 또 새로운 표현을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경험활용과 그리기, 역할극을 접목한 Context Drawing 기법을 활용한 영어 역할극 수업은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7th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one of the main goal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is to enhance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Improving speaking ability, which is Especially considered an active way of learning English, cannot be expected without the learners' willingness. Thus, this study suggests English Role Play with Context Drawing which is utilizing learners' own experience. This study assumed that learners can learn and memorize English expressions through utilizing experience and drawing drills. Atkinson & Shiffirin (1989) suggested a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 theory. According to this theory, The human's process of memorizing new imformation is similar to the computer's. New information moves into each memory; sensory memory, working memory, and long-term memory, step by step. The information transfer to the next step is through the cognitive process. Information in the sensory memory transfers to the working memory through selective attention, and information in the working memory is transfered and stored in the long-term memory through rehearsal and encod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transfer English expressions in working memory to long-term memory by activating the encoding processes. English Role Play with Context Drawing is utilizing experience, drawing, and role play. This instruction is designed to improve learners' speaking ability through having a good effect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side. The following are the effects of each element: First, learning utilizing experience is using the elaboration process which means learners use their previous knowledge or experience when they study English expressions. This can help learners to learn and memorize English expressions effectively by transferring expressions to the long-term memory, and soothe anxiety about English by recognizing that English is a language like their mother tongue they used and can use. Second, learning utilizing drawing technique activates cognitive process by using imagery which is one of the elaboration processes. Chen & Leung (1989) insisted that beginners who study language use images to access to meaning of the word. Learners can easily remember when they were provided with a picture of the word rather than only the word. Third, Role Play is utilizing rehearsal and repetition. Through making scripts for role play and practicing with friends, learners repeat the dialogue including new expressions. With these process, new expressions transfer to long-term memory. Role play is an effective way to learn English because it provides opportunity for learners to speak english by themselves. As I mentioned above, English Role Play with Context Drawing can allow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lesson comfortably and actively, and it affects to enhance learners' interest and attitude for positive English learning.

      • 慶北地域內 主要 水稻害蟲의 發生動向

        이우경 安東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trends of major rice insect pests occurrence.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daily data of light trap catches from 22 locations within Gyeongbuk province for past ten years(1991~2000) in relation to their surrounding conditions. And som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Common species collected by light traps throughout the study period were Chilo suppressalis, Nilaparvata lugens, Sogatella furcifera, Laodelphax striatellus, Nephotettix cincticeps and Lissorhoptrus oryzophilus. And each species demonstrated some unique trend of occurrence. 2.In general, yearly total number of C. suppressalis moth collected was reduced with time. Until 1996, two peaks of moth emergence were distinct with about 60% at the second peak, however, since 1997, those peaks become much smoother and the number at two peaks become about the same. And yearly total number of moth collected seem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insecticides applied from 1995 through 2000 when the average temperatures during the season were more or less the similar. 3.The first peaks by immigrating hoppers of N. lugens and S. furcifera come at the same time during late July. The second peak by the first generation of N. lugens comes at early September, while that of S. furcifera comes at late August, provably due to their effective degree-days difference. Yearly number of both species at the immigration peak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rainfall at the peak time, and those numbers at the first generation peaks show som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at the immigration peak. 4.Yearly total number of L. striatellus was gradually decreased with time upto 1999, and show som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rea of barley cultivation. While that of N. cincticeps fluctuated more with slight tendency of decrease, and show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mmer temperature. 5.L. oryzophilus started to appear on 2 traps in 1991, the number of traps collected the species increased with time, and collected by all 22 traps since 1997. However, no logically reasonable significant correlations was found between the number of this species collected and surrounding conditions so far analysed. 6.Average rice yield per h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during summer, and the amount of insecticides applied together with the nitrogenous fertilizers applied. Though the number of insects collected were found to b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ice yield, the damage by pests could have suppressed by some actions of pests management,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insecticides applied and rice yield indirectly explains that these pests did some negative action on rice yield.

      • 음극반응조 운전 조건의 변화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 시스템의 하.폐수처리 및 전기에너지 생산에 관한 연구

        이우경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상업적 규모로 폐수로부터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은 혐기소화가 유일하다. 일반적으로 혐기소화는 상대적으로 높은 운전온도(평균 36?J), 긴 체류시간(15~20일)을 요구하고 있고 고농도의 하?P폐수만 처리에만 적용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미생물연료전지(Microbial Fuel Cell, MFC)는 미생물의 촉매반응을 통해 유기물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경제성 문제와 규모 확대의 어려움 등의 문제로 인해 현재까지는 실제 규모에 적용 가능한 미생물연료전지 시스템의 개발은 어려운 실정이다. 지금까지 개발되어 온 미생물연료전지시스템은 주로 실험실에서 1L이하의 작은 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생산되는 전류밀도는 이미 실용화 가능한 수준이다. 하지만 이들을 큰 규모(1L 이상) 확대할 경우, 전력 생산량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극물질과 이온교환막의 경우 고가로서 높은 자본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저가형 전극물질 개발, 이온교환막을 사용하지 않는 미생물연료전지설계기술에 대한 연구와 규모 확대 시 지수적으로 낮아지는 전력 밀도를 실험실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면서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흑연물질 중 펠트와 과립을 사용하여 전기에너지 생산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5L의 큰 용량의 이실형 반응기를 제작하였고, 산화전극부의 위치에 따른 반응기 형태를 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최종전자수용체로 사용되는 산소 대신 오존을 사용하여 전기에너지 생산을 증대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최종 전자 수용체로 오존 사용시 전압은 0.93V를 생산하였는데, 이는 일반적인 미생물 연료전지의 열린회로전압(OCV)보다 높고, 이론적으로 얻을 수 있는 최대전압 1.14V에 근접한 값이다. 산소와 비교하여 오존을 사용할 경우 평균 전압은 약 5.8배, 전류는 약 6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환원전극부의 pH를 3으로 운전하였을 때 산소를 사용했을 때 보다 전력밀도는 3.36배, 전류밀도는 1.4배 높은 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전자수용체를 오존으로 사용하고, 환원전극부의 pH를 3, 오존의 유입농도를 0.12 g/L(500 ml/min)로 운전 시 유기물의 제거 효율을 평가 하였다. 최종전자수용체로 산소를 사용하고, 유기물 부하량을 2 g COD/l*d로 하였을 때, COD 제거율은 약 75%이고 암모니아 제거율은 40.46% 로 나타났다. 최종전자수용체로 오존을 사용하여 운전한 결과 COD 제거율은 80%, 암모니아 제거율은 35.48%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종전자수용체로 오존을 사용하여도 미생물연료전지시스템에서 유기물의 제거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전자수용체로 오존을 사용하여 조건을 변화시켜 전기에너지 생산 및 유기물제거 효율을 평가하였다. 현재 미생물연료전지시스템에 오존을 사용한 연구는 초기 단계이다. 따라서 앞으로 오존의 사용에 적합한 전극소재, 양이온 교환막, 반응기 구조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use of fossil fuels, especially oil and gas, in recent years has accelerated and this triggers a global energy crisis. Renewable bioenergy is viewed as one of the ways to alleviate the current global warming crisis. Major efforts are devoted to develop alternative electricity production methods. New electricity production from renewable resources without a net carbon dioxide emission is much desired. A technology using microbial fuel cells (MFCs) that convert the energy stored in chemical bonds in organic compounds to electrical energy achieved through the catalytic reactions by microorganisms has generated considerable interests among academic researchers in recent years. For the applic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the scale-up is a very important issue but there was few test of MFC system with relatively large size. In this study, a MFC with relatively large size of 5 L was designed and tested for getting scale-up factor. Ozone was used as electron acceptor. When operated with catholyte which has a pH of 3, the system produced a voltage of 0.93 V which approached to the maximum voltage of 1.14 V that could be obtained in MFC theoretically. And the open circuit voltage (OCV) was 1.36 V. Results showed that a maximum power density of 12.46 W/m3 (anode working volume) was obtained at a current density of 27.33 A/m3, which is 4 times higher than the one using oxygen as electron acceptor. The system was operated with an organic loading rate 2 g COD/L?Ed, obtained a COD removal efficiency of approximately 80 %, and an ammonia nitrogen removal rate of approximately 40%.

      • Core-A 플랫폼을 이용한 동기형 전력 제어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이우경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마스터로 동작하는 32 비트 RISC 프로세서와 디지털 신호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슬레이브가 동기되어 동작하는 전력 제어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현한다. Core-A 플랫폼은 (주)다이나릿 시스템이 제공하는 Core-A 프로세서, AMBA 버스, SSRAM, AC97, DMA, UART, GPIO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슬레이브는 4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의 값에 비례하여 220V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아날로그 회로와 마스터가 보내는 신호에 동기되어 다양한 전력제어 패턴을 생성하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된다. Core-A 플랫폼이 라이브러리로 구축된 ㈜시스템센트로이드의 Flowrian2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크로스 컴파일하고 하드웨어 회로를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였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FPGA 검증 보드와 CPLD 칩에 구현되었고 전력제어 아날로그 보드를 제작하여 구현하였다.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기술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조명 시스템으로부터 음악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예술 작품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