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한 성경적 방법 연구

        이용락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 서 론 1. 연구목적 오늘날 멘토링에 대한 관심이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 이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현상의 반영이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우리 시대 인간관계의 소외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렇게 소외된 환경 속에서 사람은 자신을 이끌어줄 누군가를 간절히 요청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신뢰할 만한 인도자가 그리 많지 않다. 우리는 산업사회에 살면서 ‘타자의 임재’를 놓치고 있다. 정보화 시대의 해결사가 아니라 지혜를 가지고 내 삶을 전망하고 이끌어 줄 인도자가 필요한데, 이러한 관계를 가져올 사람이 없기에 사람들의 공허함은 더욱 커져만 간다. 고립은 깊어 가는데 인격적 관계는 약해진다. 따라서 사람들은 멘토링을 통해 인도자를 찾고자 하는 열망을 가질 수밖에 없다. 더 나아가 이 시대는 도덕적인 모범을 필요로 한다. 오늘날 같이 지도자들의 윤리와 명예가 땅에 떨어지고 영웅시하던 것들이 매력을 점차 잃어가면서 사람들이 혼란스러워 하는 시대는 없었다. 교회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공적인 삶이나 사적인 삶에서 고상하게 통합되는 그러한 모범을 보기 원한다. 무엇이 옳은 것인지 어떤 것이 지혜로운 결정인지를 행동을 통해 보여줄 사람이 필요하다. 따라서 관계를 통해 인생의 선배이자 동반자가 자신을 이끌어 주는 멘토링 과정은 차세대 지도자가 될 사람들에게 자기개발과 아울러 비전을 갖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본래 멘토(Mentor)라는 말의 기원은 헬라 시인 호머(Homer)의 대서사시 오디세이(Odyssey)에서 시작된다. 고대 그리스의 이타이카 왕국의 왕인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을 떠나며, 자신의 아들인 텔레마쿠스(Telemachus)를 보살펴 달라고 한 친구에게 맡겼는데, 그 친구의 이름이 바로 멘토였다. 그는 오디세이가 전쟁에서 돌아오기까지 텔레마쿠스의 친구, 선생님, 상담자, 때로는 아버지가 되어 그를 잘 돌보아 주었다. 그 후로 멘토라는 그의 이름은 지혜와 신뢰로 한 사람의 인생을 이끌어 주는 지도자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멘토가 텔레마쿠스를 길러낸 교육법에 따라 훗날에 멘토링(Mentoring)이란 교육 방법이 발전하게 되었다. 스승 멘토가 제자 텔레마쿠스를 용감하고 지혜로우며, 왕으로서 손색이 없는 인물로 성장시켰던 비결은 그의 독특한 교육 방법 때문이었다. 멘토의 교육 방법은 한마디로 ‘대화식’이었다. 그는 제자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사색을 하게 하였고 특히, 제자로 하여금 상상력을 최대한 동원케 하며 뜨겁게 토론을 벌였다. 스승은 제자를 마치 친구처럼, 동료처럼 대하며 둘 사이의 관계를 깊게 하였다. 멘토가 텔레마쿠스를 지도함에 가장 심혈을 기울인 부분이 논리적 사고, 철학적 깊이 그리고 수학적 정확성이었다. 가끔 텔레마쿠스는 인간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방황하고 흔들릴 때면 사부(師父)이면서 아버지 같고 친구 같은 스승 멘토를 찾아 이야기를 나누는 중에 자신의 불안과 갈등이 사라져 버림을 느끼곤 하였다. 중요한 것은 이런 교육 과정을 통하여 텔레마쿠스가 인격자로, 용사로, 지도자로서 손색이 없는 수준으로 성장케 되자 멘토는 과감하게 제자의 곁을 떠났다는 점이다. 자신에게 맡겨진 임무에 최선을 다하여 수행하고 그 임무가 완료되었을 때 미련 없이 떠나는 멘토의 모습에서 우리는 멘토링의 진수를 볼 수 있다. 멘토와 텔레마쿠스의 이야기를 처음으로 활용하여 소개한 사람은 17세기 프랑스의 신부이자 작가인 페넬롱(Francois Fenelon)이란 사람이다. 그는 루이 14세의 손자였던 비건디 공작의 가정교사가 되자 미래의 프랑스 왕이 될 제자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를 고심하다가 멘토와 텔레마쿠스의 경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원하지 않았지만 타의에 의해 1699년 당대에 베스트셀러가 되었던 책을 출판했는데, 그 책이 바로 ‘텔레마쿠스의 모험’이다. 그리고 이 책이 출판되는 것과 더불어 멘토는 지혜와 신뢰로써 한 사람의 인생을 이끌어 주는 리더라는 동의어로 사용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사실 멘토링이라는 단어는 성경에서 직접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원리는 성경전체를 통해 발견된다. 멘토링이란 단어가 성경에 나타나 있지 않다는 이유로 멘토링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간혹 있다. 그러나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후, 특별히 아담의 타락이후 인간관계 속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일이 사람의 중요한 과제가 된 이후 멘토링 관계는 시작되었고 계속 이어져 왔으며, 이는 앞으로도 계속될 중요한 인간교육 방법 중의 하나로서 삶의 전수(傳授) 방법이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의 경험을 나누고 또 그 경험을 통해 배우는 관계는 매우 발전적이며, 성경적인 행동이다. 다른 사람에게 관계를 통해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야 말로 살아있는 멘토링이다. 이러한 멘토링 기능은 오늘날 같이 급격한 변화의 시기에 흔들리기 쉬운 교회 조직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오늘날 교회조직, 특히 교역자들 사이에서 인관관계는 점차 업무 지향적인 구조로 변화

      • 제7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수록 시의 경향과 교육 방법

        이용락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risis of modern education is deeply related with crisis which modern society faces. High technology causes egoism and desire for material gains. Education reflect these social phenomena. Therefore, education focus on material gains. Fortunately, intellectual and righteous aspects become focused these days. However, righteous aspect has difficulty with method and items. That is why literature exist to solve out this problem of righteous aspect of education. Especially, education during an adolescent period, stimulates teenagers' sensibility and helps them establish health way of thinking. Therefore, this chapter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e seventh curriculum. Literature in the curriculum develops' literature ability' and then establishes literature culture. This curriculum focus on raising independent learner. I analyzed poems on textbooks in the seventh curriculum. Textbooks play mayor roles in the process. Therefore, I analyzed trend of eleven kinds of textbooks which are classified by period and books. Surveyed by textbooks, I studied literary works in textbook and also ones out of textbooks. Then, I classified these works based on the order of frequency and look at whether these works meet the seventh curriculum or not. Surveyed by period, I classified literary works in textbook from GABO reformation to 2001, and compared works with ones in the sixth curriculum. Through these analysis of literature works, I found out overall tendenc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eventh curriculum, I mentioned the way of poem education. Surveying creativity and acceptance of literary works, I showed the effectiveness of literary works in textbooks. In addition, I focused on education based on web infrastructure as self-study system. I mentioned reformation of textbooks, showing need of teachers' effort and creativity to provide intellectual experience with students. Based on literary works in textbook by the seventh curriculum, I look for way of developing poem education. Introduction of new textbooks reflect the need of chan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newly developed textbooks and develop poem education. I hope to help to develop poem education with this survey. With more survey on poem in various genre, I believe that poem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develops more and more.

      • 초등학생 대상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과정과 이를 뒷받침하는 철학 및 내용이 변화되어 왔다. 체육과 교육과정의 철학은 신체의 단련을 목표로 하는 신체의 교육, 신체를 통하여 바람직한 행동 변화를 추구하는 신체를 통한 교육, 신체활동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신체활동 가치 중심으로 변화되어 왔고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뉴스포츠가 활동가치 중심의 새로운 위상 정립을 위한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뉴스포츠는 체육과 교육과정의 게임 영역에 해당하며, 게임 영역이 전체 체육 교육과정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뉴스포츠 수업은 다양한 게임 상황에 필요한 전략을 잘 수립하고 수행해야만 상대 팀을 이길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전략 수립에는 두뇌를 활용하는 능력을 필요로 하고 전략의 성공적인 수행에는 강한 체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뉴스포츠 수업을 통해서 다양한 게임 상황에 만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두뇌활용능력 향상과 체력 및 운동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더욱이 초등학생 시기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뇌세포의 작은 가지들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과잉생산 상태이기 때문에 초등학생에게 주어지는 다양한 경험이 두뇌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초등학생 시기에 어떠한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두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능력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뉴스포츠 수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써, 초등학생의 체력 향상은 물론, 두뇌활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뉴스포츠와 두뇌활용능력과의 관계 분석을 하고 뇌기반 뉴스포츠 원리와 전략을 탐색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먼저, 초등학생 대상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은 교수설계모형 중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를 5단계로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안채윤, 2016). 분석단계에서는 요구분석, 학습자 분석, 과제분석을 실시하였고, 설계단계에서는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 개발의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뇌기반 뉴스포츠 체육수업의 영역별(지식, 기능, 태도) 수행목표를 진술하였다. 또한 평가도구를 선정하고 뇌기반 교수전략을 수립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고 예비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를 거쳐 본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수정·보완하여 최종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D광역시 B초등학교 3, 4학년 남, 여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으로 나누어 임의 배정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은 2017년 5월 8일부터 6월 21일까지 주 3회, 회당 40분씩 총 20회에 걸쳐 진행되었고, 프로그램의 효과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뇌파를 반복 측정하였다. 부가적으로 체력검사(사전, 사후)와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들에게 수업 만족도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파검사결과에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불안과 긴장상태의 Gamma 파는 낮게 나타났고, 이완된 상태에서의 집중력을 나타내는 SMR 파는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뇌활용능력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인지강도, 인지속도, 집중력은 향상되었고, 두뇌스트레스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력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지구력과 유연성은 많이 향상되었고 순발력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만족도 검사에서는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에서 불만과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즐거움과 만족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불만과 스트레스는 감소시키고 집중력을 나타내는 뇌파를 활성화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속도를 향상시키고, 체력과 수업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의의를 프로그램 구성 측면, 프로그램 운영 측면, 프로그램 활용 측면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구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은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원리 및 전략을 토대로 체계적으로 구조화, 조직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 측면에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은 1차시가 40분으로 조직․구성되었기 때문에 초등학교 체육교과 수업 시간이나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도 운영할 수 있다. 셋째, 프로그램 활용 측면으로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 프로그램은 뉴스포츠를 전혀 모르는 교사라도 교수-학습 과정안을 토대로 실제 수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효과를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 진행과정에서의 제한점과 발전적인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 적용 학년이나 적용 지역을 확대하고 대상에 맞게 내용을 수정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기반 뉴스포츠 수업프로그램을 적용할 연구 대상을 늘여서 본 연구의 타당성을 지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신체․심리과정의 개인차를 고려한 다각적인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초등학생의 두뇌활용능력과 체력 향상, 수업만족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검증하였으므로 향후 뇌기반 체육교육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 리더십 계승의 성경적 원리와 방법 연구

        이용락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성경적 리더십 계승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서론에서 연구 목적과 연구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논문의 연구 목적은 크게 세 가지를 언급했다. 첫째는 리더십의 사유화 현상으로 나타나는 교회세습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둘째는 교회 안에서 진행되어야 할 바람직한 리더십 계승 모델을 제시하며, 셋째는 바람직한 영적 리더십 모델을 살펴보기 위해서였다. 본론은 전체 6장으로 구성하였다. 제2장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어 왔던 리더십 이론 즉, 리더십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리더십 연구 역사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았다. 먼저 리더십 정의에서 리더십을 일반화하여 정의할 수는 있지만 리더십은 상황에 따라, 리더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언급했다. 특정한 시대나 지역, 문화에서 배출된 리더십 이론을 획일화시켜 무작정 적용한다는 것은 매우 무모한 일이다. 우리가 성경적 리더십 모델을 연구할 때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바로 이러한 점이다. 현 시대의 상황에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지 않고 성경적인 리더십만을 강조한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성경에 나오는 리더십 모델들이 언제나 재생 가능한 것은 아닐지라도 현재 우리가 직면한 상황과 유사한 환경에서 나온 리더십이라면 그로부터 유용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Gibbs, Leadership Next, 30. 그 다음 리더십 연구 역사를 살펴보았다. 리더십 연구는 몇 가지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되어 왔다. 1940년대 말까지는 자질 중심의 접근 방법(Traits centered approach)이 지배적이었으나 학자들은 모든 조건에 적합한 리더십을 예측하는데 필요한 자질을 찾아내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후 1960년대 말까지 리더십 스타일 접근 방법(Leadership style approach)이 진행되었다. 이 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추종자들에 대한 고려의 측면에서 리더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려고 노력했지만 연구 결과는 리더십 효과를 예측하는데 일관성이 없었고 측정의 문제에 있어서 한계를 드러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196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까지는 상황 중심의 접근 방법(Contingency centered approach)이 주요한 연구 방법임을 살펴보았다. 이 방법은 업무 중심의 리더와 인간 중심의 리더를 구분했고, 리더십 효과를 리더의 상황 통제력과 연관시키려고 시도했지만 이 방법 역시 측정의 문제와 일관성이 없는 연구 결과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음을 살펴보았다. 1980년대 초부터는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에 중점을 두는 새로운 연구 방법이 대두되었는데, 이 방법 역시 용어상의 문제와 실증적인 문제 때문에 어려움에 직면했음을 지적했다. 아울러 리더십의 다양한 형태들을 살펴보았다. 리더십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부분이 리더십 유형으로서 하나는 인격이나 자질에 주목하는 절대적인 유형을 주장하고, 다른 하나는 교육이나 상황을 중시하는 상대적인 유형이다. 그리고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은 절대적인 것이라기보다 시의적절한 리더십 유형이 가장 효과적인 것임을 제시했다. 제3장에서는 영적 리더십을 다루었다. 영적 리더십에는 일반 리더십과 동일한 원리도 있지만 또한 일반 리더십과 구별되는 특성이 있다. 영적 리더십은 리더를 통해 복음을 증거하고, 교회를 세우고 성장시키며 믿음의 인물을 양성하여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영적 리더십은 최소한 리더십의 목표에 대한 문제와 리더의 책임감의 문제를 중시하고 또한 영적 리더의 영향력도 교회뿐만 아니라 불신자에게도 영향력을 미쳐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아울러 영적 리더십의 목표가 좋은 마무리(Finishing well)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영적 리더십의 종류로서 섬기의 리더십과 목자 리더십 그리고 청지기 리더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교회의 각 구성원들이 직분에 맞는 리더의 능력을 갖추는 것이 교회 조직의 활성화와 복음전파 능력 제고를 위해 얼마나 중요한지를 언급했다. 제4장에서는 성경에 나타난 리더십 계승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성공적으로 사역을 마무리한 성경의 리더들에게서 발견되는 공통적 요소들이 몇 가지 있었다. 첫째는 그들이 비전을 가졌다는 것이고, 둘째는 그들이 지속적으로 영적 훈련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영적 훈련들은 리더를 갱신시킨 독특한 내면적 삶의 체험이고 이러한 형태의 갱신적 체험은 리더의 특성과 리더십 역량을 개발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그리고 영적 리더들은 배움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했고 이러한 자세가 그들의 침체를 막고 성장시킨 요인이었음을 강조했다. 이러한 원리가 충실하게 반영된 성경의 성공적 리더십 계승 사례로 모세와 여호수아, 사무엘과 다윗, 엘리야와 엘리사, 바나바와 바울, 바울과 디모데의 사례를 다루었다. 아울러 성경에 나타난 리더십 계승은 시대별로 구별된 특징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구약의 리더십 계승은 전쟁을 수행하고 나라를 통치하며, 이교신앙에 맞서 이스라엘의 신앙의 정통성을 지키기 위한 리더를 세우는데 초점을 맞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