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施設兒童의 社會適應能力 向上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活動의 效果性 硏究
본 연구는 시설아동의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광주광역시 소재 A보호시설과 M보호시설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조사를 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주2회씩 총 8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평가도구로서는 자아존중감, 정서, 공격성,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훈련 전·후에 두차례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동질성 여부, 각 집단의 대응 차, 집단간의 유의 차를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과 관련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이 훈련 전 동일선상에서 출발하였으나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정서와 관련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정서가 훈련 전 동일한 수준이었으나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세째, 공격성과 관련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격성이 실험 전에는 동일한 수준이었으나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공격성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넷째, 주관적 삶의 질과 관련해서는 실험 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삶의 질 평가 수준이 다소 높았으나,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실시 후에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사설아동의 여가활동 중 레크리에이션 활용은 자아존중감, 정서, 공격성, 주관적 삶의 질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설아동에게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 단조로운 생활에서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고, 타인을 위한 배려를 배우면서 자신에 대한 존중감도 향상될 것이다. 또한 팀웍 활동을 통해서 공격성과 주관적인 삶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 effect of recreation activity to improv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In the subject of study I chose the children at A residential facility and M residential facility in Kwang-ju city. And I divided them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 practiced recreation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two times a week in other words eight times in total, but the control group didn't take part in the recreation program. I carried out the analysis for a sense of self-esteem, aggression, quality of life as tools to verify the effect. And I analyzed the same quality, corresponding gab of each group, significant gab between two groups by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before program a sense of self-esteem of two groups started on the same line, but after practicing the recreation program a sense of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was more rising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before program the change of emotion between two groups was the same level, but after practicing the recreation program experimental group was more rising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before program the aggression between two groups was the same level, but after practicing the recreation program the aggression of experimental group was more reductive than that of control group. Forth, in quality of life before program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ed group in evaluation for quality of life and after practicing recreation program experimental group more rising than the control group.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recreation activity has an influence on a sense of self-esteem, emotion, aggression, quality of life. If we practice recreation activity continuously to the children received into a residential facility, they can experience various emotion and learn consideration for other people and rise a sense of self-esteem. Also I think that recreation activity will have an affirmative influence on aggression and quality of life.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한국 대학원 진학계획 영향요인 분석
이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교육국제화가 심화되고 고등교육의 국제적인 교류활동이 다양해지면서 유학생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대학 학력의 보편화로 인해 석사와 석사 이상 학력의 사람은 직장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고,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그래서 대학원 졸업한 후에 대학원 입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내에서 '대학원 진학 열'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한국으로 온 대학원 지망생 수도 늘어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도 정책을 통해 학생들의 대학원 진학 결정에 기여하고 있다. 그래서 대학원 진학은 사회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계획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 대학원 진학계획에 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는 2학년 이상의 중국인 학부생들이 한국 대학원으로 진학할 계획을 살펴본다. 진학 계획이 있는지, 영향요인이 어떻게 되는지, 각 요인의 영향력이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 여부에 따른 독립변인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서울 4년제 대학교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서울 4년제 대학교의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영향 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6개의 4년제 종합 대학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대학교 2학년 이상의 중국인 학부생들이다. 설문지를 만들어 셀프조사연구 소프트웨어 “問卷星”( www.wjx.cn) 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9년 10월 18일~11월 16일까지 총 474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 응답을 완성하지 않은 경우와 표 집단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제외하고, 총 460부의 유효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전공, 부모의 기대와 학교생활 만족도는 진학 계획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체능, 사범계열 등 계열의 중국인 대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과 자연이공 계열의 학생보다 한국 대학원 진학을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부모의 자녀가 대학원에 진학할 것을 기대하는 것은 학생들의 대학원 진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중국인 가정에서 부모의 의견은 여전히 자녀에게 큰 영향을 준다. 학교생활의 만족도도 중국인 대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진학계획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진학 계획이 있는 학생과 진학 계획이 없는 학생 간에 교수영역의 만족도, 교육내용의 만족도, 학생활동의 만족도, 학교환경의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deepening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and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of higher education, more and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In recent years, people with master's and higher degrees can get better treatment at work, and their unemployment rate is lower. Therefore, the proportion of students choosing to enter graduate school is growing. Against this backdrop, there is a "postgraduate fever” phenomenon in China leading more Chinese students to study in Korea. Chinese government releases the beneficial policies aiming that more students are willing to enter graduate schools. Therefore, gaining a postgraduate degree has become a social issu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is study aims at researching the plans for Chinese undergraduates at Seoul-based four-year universities about going to graduate schools in Korea. Trying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postgraduate study plan, and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Thre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set up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what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a four-year university who have postgraduate study plans in Korea, and those who don't postgraduate study plans in Korea are. Second, what the Influence Factors in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overseas students studying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re. Third, in which degree these factors influence the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To solve these ques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via the self-researching software 問卷星(www.wjx.c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hinese undergraduates who are sophomore and above in six four-year general universities in Seoul. 460 effective responses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18, 2019, and November 16, 201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who major in the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prefer to have a postgraduate study plan in Korea than those major in the arts, physical education, and education. Parents' expectations of children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ostgraduate study plans. The opinions of parents in Chinese families st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ir children.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이영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韓國 近代 東佯畵의 터전은 朝鮮王朝末期의 천재화가 吾園 張承業 에 의해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예술세계는 당시 위축되어가던 朝鮮末期의 회화에서 다음시대 인 近代 회화로 그 흐름과 명맥을 잇게 하였고, 그의 회화에 크게 영 향을 받은 小琳 趙錫晋 과 心田 安中植등을 거쳐 오늘날 한국회화의 발판이 되게 하였던 것이다. 天涯의 고아로 떠돌아다니며 불행한 어린시절을 보냈던 吾園 張承 業은 비록 체계적으로 학문을 익히지 못하여 문인의 교양을 갖추지 는 못했지만, 일체의 기성적 방법이나 학문의 바탕 없이도 스스로 美 를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였다. 그리고 장승업은 자유분방한 행동 뿐 아니라 내적인 자유정신의 예술의지로 쇠퇴해 가는 朝鮮末 期의 화단에서 독특한 예술을 창조해 냄으로써 원동력이 되었다. 그리하여, 문인화적인 詩 畵卷氣, 文字香이 부족하다고 하면서도, 한국회화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화가로 평가받게 된 이유를 본 논문의 연구목적으로 두었다. 그의 대부분의 작품이 年記가 불확실하고, 편재되어 있어 화풍의 발전과정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吾園 張承業의 회화를 연구해본 결과, 翎毛畵에서부터 山水畵, 人物畵, 花卉畵, 器皿折枝畵 등에 이 르기 까지 다양한 소재를 모두 능수능란하게 소화해내어, 실로 많은 작품속에 독특한 화풍을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왜곡되고 변형된 형태의 산과 바위 그리고 인물의 표현은 기괴 한 분위기를 창출해 내었고, 새의 눈동자를 날카롭게 강조한 翎毛畵 에서는 매섭고 당당한 느낌을 주는 것과 동시에 한국적인 정감을 느 끼게 하는 순수하고 천진난만한 분위기의 그림도 있어 동물들의 다 양한 성질을 정확히 파악한 후 나름대로 해석하여 그렸음을 알게 한 다. 또한 화면구성은 대각선 구도로서 縱軸의 긴 화면에 主된 대상 을 역동적인 자세로 중앙에 배치하고 , 뒷배경은 거의 사선을 이루 도록 그렸으며, 특히 吾園 張承業의 호방한 기질이 반영된 듯한 대담 한 묵법과 휘연한 필치는 변화있고 웅대한 양식을 창안 하였다. 그리 고 이러한 양식은 모든 분야에서 간간히 나타나긴 하였지만, 특히翎 毛畵에서 돋보이는 흰색이나, 청록색의 設彩방법은, 서양화의 기법에 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그의 독특한 器皿折枝와 함께 근대화단에 문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렇듯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찾아볼 수 없었던 독특한 화풍을 개척한 화가로서, 호방한 성품과 천재적인 기량을 바탕으로 한 吾園 張承業의 예술세계는 한국회화사에서 근대회화의 起點을 논할 때, 그 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가 된다고 하겠다.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artistic grounds of modem Oriental paintings in Korea were set and cultivated by the genius of Oh-Won Seung Yup Cha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His paintings gave new life to the fading vigor of art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his influence still lives on today through the works of So-Rim Suk Jin Cho and Sim-Jun Choong Sik Ahn. Oh-Won Seung Yup Chang spent an unhappy, orphaned childhood, roaming the countryside on his own unable to receive proper schooling. However, his inborn talent was such that required no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o express itself. His innate love for freedom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quest for new techniques and furthermore laid the foundations for a new school of art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thesis attempts to show how Seung Yup Chang, despite his lack of cultural refinement and training, proved his worth in a time whe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were identified as one and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ists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It is difficult to trace back the exact course in which Chang's paintings matured and developed, mostly due to the fact that the finished dates of many of his works are unverified and unrellable. Yet, it is at once easy to see that he used at will various subjects in his works which range from landscapes, portraits and paintings of flowers, plants and insects. The distorted proportions of mountains and rocks, the keen and poignant eyes of birds, the mysterious and sinister atmosphere of his portraits and even his paintings of the traditional sentiments of the Korean people all reflect how Chang was able to go beyond the surface of things and bring out the true essence of all he came in touch with. The composition of his pictures constitute a diagonal line with the main subject dynamically place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ly long canvas. The background scene is, in most cases, composed diagonally and it is here that one can witness the vigorous penmanship and bold use of ink. In all of his paintings but more in particular in his paintings of animals and birds, the use of white and green reflect an influence of Western art and his original introduction of such colors opened the doors to the modem stream of Western art skills. Seung Yup Chang was a rare artist who developed a very unique brushwork and his ingenious talents place him in the center of modem art in Korea.
전용선 단소산조 선율분석 : 김소희소장 음원 중모리, 중중모리를 중심으로
이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14 국내석사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김소희 소장의 전용선 단소산조를 대상으로 채보ㆍ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종지형선율에 의해 단락을 구분하여, 단락별 음구조와 선율의 짜임새를 살펴본 뒤, 선행연구된 신쾌동 소장음원, 성창순 소장 음원과 비교고찰하여, 본 음원에서 만의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소희 소장 음원 전용선 산조의 중모리(1)은 58장단 총 9단락으로 나누어 지고, 중중모리는 95장단 총 15단락으로 나누어진다. 둘째, 김소희 소장 음원 중모리(1)에서는 a음본청 계면길, e음본청 계면길을 사용하고, 중중모리는 a음본청 계면길, e음본청 계면길, c음본청 우조길을 사용한다. 즉 본청이 다른 두 종류의 계면조와 한 종류의 우조가 쓰인다. 이중 a음본청 계면길과 완전 4도 아래인 e음본청 계면길은 중요한 음구조를 이룬다. 셋째, 신쾌동 소장 음원은 중모리(1) 59장단, 중중모리 63장단 이고, 성창순 소장 음원에는 중중모리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 본고에서 연구된 음원은 중모리(1) 58장단이고, 중중모리95장단으로 구성되었는데, 신쾌동 소장 음원과 같은 음구조를 사용하지만, 짜임새가 같지 않고, 또한 세 개의 음원에서 같은 선율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 점을 보았을 때 전용선 명인은 매번 녹음을 할 때 마다 머리속에 구성된 음악만으로 즉흥적인 연주를 한 것으로 보인다. 매번 음원마다 다른 가락을 연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길바꿈과 음조직의 질서가 잘 지켜지고 있으며, 매우 체계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급변하는 지식정보 사회에서 대학은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전달하는 사명을 지니고 있음에 비추어 교수와 학생은 반드시 정보화를 앞장서서 이끌어가야 한다. 이들이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이룩하려면 대학의 행정·관리에 있어 그 주축이 되어온 직원 또한 정보소양 능력을 키워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직원의 정보소양 능력을 측정하여 각각의 수준에 상응하는 정보화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직원의 정보소양 수준에 따른 정보화 교육요구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직원의 정보화 교육 프로그램 마련에 있어 그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로 대학직원 정보화교육체계를 고찰하여 정보화 교육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대학직원의 정보화 수준을 조사하여 미래의 정보화 교육요구를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분석은 서울 소재 모대학의 직원 1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는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 대학의 과거 5년 동안 직원 정보화교육현황은 초기 즉, 95년에는 인터넷에 관련된 교과목을 중심으로 3회 실시되었으며, 점진적으로 인터넷 관련 교과목과 더불어 문서작성 및 컴퓨터 운영체제인 Windows에 관련된 교과목으로 확대되어갔다. 이러한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이 개인의 정보화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직원의 정보화 수준 평가는 컴퓨터 활용능력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대학직원의 컴퓨터 기능에 대한 각각의 이해정도를 조사해본 결과 컴퓨터 운영체제인 Windows에 대한 이해 정도가 가장 높았다. 컴퓨터 활용 능력에 따른 미래의 교육요구도는 Windows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컴퓨터 활용에 있어 근간이 되는 운영체제의 이해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의 요구도로는 전자우편, 인터넷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터넷의 중요도를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컴퓨터 활용 능력은 각 측정 항목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컴퓨터활용 능력이 높게 나타난 집단은 다음과 같다. 직종의 경우 전문직 집단, 직급은 직원·주임대우 집단, 학력은 대졸집단, 성별은 여자집단, 직무만족도는 보통집단, 타이핑 속도는 1분 300타 이상 집단, 근무년수는 7년 이하 집단, 연령은 33세 이하 집단이다. 직장에서의 컴퓨터활용능력과 교육요구도는 개인의 인구 통계적 특성 및 직장에서의 정보화 수준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컴퓨터 활용능력과 미래 교육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인 정보화에 따라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컴퓨터 활용능력과 미래 교육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 소양 능력에 따라 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학은 직원의 정보소양능력을 향상시키고 직원정보화를 앞당기려면 개개인의 정보화를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In a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universities have to create knowledge and pass it on to people. There is no doubt about that professors and students should play their leading roles in information. If they wish to lead the information successfully, administrative staff playing a pivotal role in th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re no exception to develop the information literacy. In order to do so, we should measure the information literacy of each staff and prepare for the information education program which is suitable for his or her level. This study aimed to provide universities with the foundation for the appropriate information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literacy level of staff person after surveying the information education needs.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goal. First, the information education system for university staff, and then analyzed their status of information education was studied. Second, the information level of the staff was surveyed and the information education needs for the future were found out. Collecting questionnaires from 136 non-teaching staff at a university in Seoul showe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universities offered internet-related classes three times in 1995, which is the beginning year to educate the staff on the information. Gradually the University has expanded its courses to document writing and computer operating system, Windows, related courses along with internet-related classes during the past five years.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se information education programmes were beneficial to the individual's information. Second, the information level of the university staff by their computer literacy level was evaluated. The University staff understood the computer operating system, Windows, better than any other computer program. The survey showed that the staff regarded the understanding of the operating system(Windows), the core of computer literacy, as the most important thing because the education needs of the future for the Windows was most strong. Next was electronic mail and internet, which seemed to reflect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each measuring item as far as computer literacy level is concerned but the followings are the group with a higher ability to use computers on the whole. Type of job : technical job, Rank : staff and chief of staff equivalent, Education: college degree, Sex: female. Degree of job Satisfaction : average, Typing skill: more than 300 words per minute, Working period: not exceeding 7 years, Age: 33 years old and downward. The survey found out that computer operating skill at work and education needs were not influenced by the information level at job and the individual's populati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rather, the individual's information level influenced the variation affecting computer literacy and the education needs for the future. In conclusion, universities need to prepare for the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mprove individual's information literacy and to get the university staffs information done sooner, becaus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resent computer literacy of university staffs and their education needs for the future were influenced by the individual's information level.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 이해 및 사용 양상 연구 : ‘-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말다’, ‘-어 놓다’, ‘-어 두다’를 중심으로
한국어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 ‘-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말다’, ‘-어 놓다’, ‘-어 두다’는 일상 언어에서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보조용언 구성들이다. 이 다섯 가지 보조용언 구성들은 모두 ‘완료’라는 상적 의미를 공유하고 있지만 각각 다양한 양태적 의미를 나타내며 상과 양태적 의미에 따른 통사적 특징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 한국어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에 대한 직관이 부족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러한 통사적·의미적으로 유사한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고 있는지 그 양상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말다’, ‘-어 놓다’, ‘-어 두다’ 다섯 가지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 각각의 특징을 통사적과 의미적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하였다. 그 중에서 통사적 특징은 다시 ‘선행용언과의 결합 제약’, ‘주어와의 결합 제약’, ‘부정어와의 결합 제약’, ‘선어말어미와의 결합 제약’ 네 가지로 나누고 의미적 특징은 다시 상적 의미와 양태적 의미로 나누어 자세하게 고찰하여 이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기로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에 대한 이해 및 사용에 차이가 나타난 원인을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간섭 현상으로 판단하기 위해 한국어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과 중국어 대응 표현 간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때 기존에 많이 논의되어 온 중국어 결과보어뿐만 아니라 중국어 추향보어와 조사에도 초점을 맞추어 이들이 한국어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과의 대응 관계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이상과 같은 선행 작업을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 이해 및 사용 양상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중국 국내 대학교 한국어전공의 2학년, 3학년, 4학년 학습자 총105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40명을 대상으로 이해 양상을 측정하는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사용 양상을 측정하는 테스트를 추가로 요구하였으며 테스트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우선 학년에 따라 학습자의 이해 및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고 그 다음에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별로 각 집단에서 어떠한 이해 및 사용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에 대한 이해 및 사용 양상에 차이가 나타난 원인을 학년과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의 유형 외에 모국어의 영향, 목표어의 영향 그리고 교육과정의 영향 세 가지 측면에서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의 이해 및 사용 양상에 대한 고찰 또한 원인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의 교수·학습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완료상 보조용언 구성의 통사적 및 의미적 특징에 대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고 그 다음에 교육 방안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 Korean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어 버리다,' '- 내다', '-고 말다', '-어 놓다' and '-어 두다' are relatively frequen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in everyday language. All of these five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share the aspect meaning of 'completion', but each represents various modality meanings and differs in syntac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spect and modality meaning. For this reason, Chinese Korean learners who lack intuition about the Korean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have a lot of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using these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which have similar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Starting from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Chinese Korean learners understand and use these Korean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and to deriv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asures based on this. First,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five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into syntactic and semantic. 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and use patterns of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the response pattern between the Korean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and the Chinese response expression was examined. At this time, the response pattern between the Chinese pursuit complement, the auxiliary words and Korean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was also considered,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he Chinese result complement,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In addition, based on the preceding work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examined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the Korean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 total of 105 second, third, and fourth-grade learners of Chinese University Korean majors and 40 Korean-speaking speakers were tested to measure their understanding pattern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were asked to additionally measure their usage patterns and then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First, the learner's understanding and usage pattern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grade, and then, the understanding and usage patterns of each group were examined for each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In addition,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in the learner's understanding and usage patterns of the Korean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were analyzed in three aspects: the influence of the mother tongue, the influence of the target language and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 Finally, the teaching and learning measures for the Korean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understanding and usage patterns analysis and the results of cause analysis. First, the educational content on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was selected, and then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method was presented.
이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본 연구는 교사평가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을 조사 연구하여 현행 교사평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평가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교원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다면평가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평가제 시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의 행동, 전문성, 현행 교사평가의 문제점, 교사평가제, 다면평가제, 미국의 교사평가제에 대해 문헌을 고찰하였고 설문지를 작성하여 교사평가 방법과 내용에 대한 인식을 통계 처리하였다. 초등학교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통계 처리한 내용을 조사 분석할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사평가제에 대해서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교사의 전문성 향상엔 도움이 될 것이다. 교수학습방법 개선, 학급 경영능력의 신장, 교육자로서의 품성 유지, 교과지도능력 신장, 생활지도능력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평가제에서 학부모와 학생의 참여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이 크지만 학습의 주체인 교사, 학생, 학부모의 관심은 증대될 것이다. 교육의 수혜자인 학생, 학부모의 기대치가 높아져 높이에 맞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평가 기준을 제시할 때에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함께 할 수 있는 평가제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젊은 교사와 5-15년의 경력있는 교사들의 관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제에서 우수교사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진다면 많은 교사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바람직한 제도로 자리잡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what teachers think of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search evaluation system's development methods.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research problems are follows: First, What do think of current evaluation system and multi-dimensional appraisal system? Second, What do think of the enforcement plan for teacher's evaluation system? To make clear the specific problems of study,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method are performed. Survey method will performed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problems of current evaluation system, multi-dimensional appraisal system and American's evaluation system. The data were analyzed cont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think that current evaluation conformity is not fair. New evaluation system will help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o improved teaching and learning, To developed the classroom management's skills, Teacher's ability and Student's guidance will be used teacher's activities. Second, a lot of teachers opposed to attend evaluation system of parents and students. But parents and students concern will be increased.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study trustful evaluation methods befor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ake part in teacher evaluation . third, young teachers and 5-15's career teachers are increased the promo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to reward outstanding teachers. and many teachers will participate in evaluation system. It is settle d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