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IM 적용 설계 도서작성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업무시설 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한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71

        최근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설계를 진행하는 사례가 많이 소개 되고 있다. 그러나 BIM의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건축설계 분야에서 BIM 방식의 설계가 아직은 일반화 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존 2D CAD에 익숙해있는 설계자들이 BIM 방식 설계를 도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는 BIM 방식 설계의 도입 시 변화된 새로운 프로세스를 경험을 통해 익숙해질 기회를 갖지 못하였고, 또한 새로운 프로세스로 설계를 완료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지 못한 측면도 있다. 또한 BIM 설계가 기존 방식의 2D CAD 설계에 비하여 비효율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본 연구는 BIM 설계 방식이 기존의 2D CAD 설계 방식에 비해 투입인원과 소요기간 절감으로 효율성이 있음 증명하고자한다. BIM 설계 사례를 선정하고 설계 과정을 인, 허가를 포함한 계획 단계와 도면작성 두 단계로 분류하여 실제 투입인원과 투입기간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BIM 사례 프로젝트와 규모와 용도가 유사한 기존 2D 방식 설계 사례를 3건 조사하여 동일한 항목으로 투입인원과 투입기간을 분석하여 BIM 설계가 기존방식의 2D 설계와 비교하여 투입인원과 소요 기간이 적은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설계 업무 진행시 인,허가를 포함한 계획 단계에는 인.허가의 절차나 발주처 요인 등으로 인하여 인원 투입에 많은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연구의 범위는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교적 변동 가능성이 적은 도면작성 업무에 한정하였다. 인원 투입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투입된 소요인원과 기간을 분석하였다. BIM 설계 방식의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추출된 실시설계 도면을 설계 업무 실무자에게 제공하여 2D CAD로 작성할 경우에 소요되는 예상시간을 묻는 설문을 실시하여 도면작성 시간 비교에서 BIM설계 방식이 기존 2D CAD 방식 설계 보다 인력투입이 적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BIM 설계 전문가들을 면담 조사하여 BIM 방식 설계가 기존 2D CAD 방식 설계에 비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로 건축설계에 특화된 프로그램의 기능으로 인한 단순작업의 감소, 태그 입력 등 도면 자동화기능, 공동 작업에 의한 업무 배치효율, 프로젝트 Template 등 사전 표준화작업이 설계 업무의 효율을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Recently, in designing works, many design cases applying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rocess have been introduced. Despite of various advantages of BIM, BIM-based design is not generally utilized yet. So, designers who are familiar with 2D CAD experience difficulties in applying BIM. This is because the designers have had little opportunities to become familiar with the newly introduced BIM-based design process, and the designers are not so confident when they have to complete the design procedure through this newly introduced process. Some case studies also show that BIM-based design is less efficient than 2D CAD design. However, this study aims to prove BIM-based design's efficiency in inputs of workers and time spent in comparison with 2D CAD design. First, this study suggested a case of BIM-based design and separated the designing procedure into two steps--making design plans and gaining approval process, and making construction drawings. Next,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amount of workers and period of cycle used. For comparative purposes, this study additionally analysed three other cases of 2D CAD design which are similar to the previous case for BIM design in terms of size and purpose. Thus, the results present that BIM design reduced the amount of inputs of workers and time spent compared with 2D CAD design. However, due to the factors like approval process and ordering parties, the practitioners may not tru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mount of time spent of aforementioned first step. In order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the results, this study limits its boundary into the second step of making drawings, which has fewer factors than the first one. Additionally, this study carried out a pilot project of BIM design method to analyze the amount of inputs of workers and time spent. The author provided the working drawings made by BIM design method, and subsequently conducted a survey with experts to find out the estimated amount of time spent when making the working drawings by 2D CAD design metho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pilot project and the expert surveys, BIM design method consumed less amount of time spent than 2D CAD method. In conclus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the author conducted face-to-face interviews with another group of experts of BIM design and then introduced BIM design method's factors which boost efficiency at work in comparison to the 2D CAD design. These factors can be summarized into four points: 1) decrease in manual works due to BIM's characteristics, which is oriented to architectural design, 2) drawing automation functions like entering tags, 3) efficient job allocation by collaboration, 4) preliminary standardization such as project template. Keywords: BIM Design, 3D Shape Data, Parametric, Modeling, Design Stage, Mapping, Office Facility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클러스터 기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기법에 대한 연구

        이영한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1855

        오늘날 현대사회는 인터넷의 보급으로 지식정보화사회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 다. 일상생활에 산재한 사물과 물리적 대상이 점차 정보의 대상으로 확대됨에 따 라 인간과 컴퓨터, 사물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다양하고 편리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모든 사물에 컴퓨팅, 센싱, 그리고 통신 기능을 내장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며, 특히 인간 외부 환경의 감지와 제어 기능을 수행 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핵심 기술로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센서 노드가 설치되는 장소는 물리적인 접근이 불편하거나 용이하지 않은 곳이 많기 때문에 배터리를 사람이 손으로 교체한 다든지 충전하는 방법은 현실적이지 않으므로 최 대한 전력소모가 적게 설계하여 센서 노드의 수명을 최대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센서들은 제한된 배터리에 의해서 가동 되며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면 센서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으므로 각 센서들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라우팅 기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 한 라우팅 기법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기법이 LEACH와 PEGASIS 기법이나 LEACH(혹은 LEACH-C) 기법은 헤드 노드의 전력 소모가 심하여 다른 노드보다 먼저 수명을 다하는 단점이 있으며 PEGASIS 기법은 LEACH 기법보다 성능이 우 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소스 노드에서 싱크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매우 긴 홉을 통과하여 데이터가 전달되기 때문에 전송시간이 길고 싱크 노드에 가까운 노드들의 에너지 소모가 급격하게 진행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LEACH의 클러스터링 기법과 PEGASIS 기법 체인연결 기법을 혼합하여 사용함으 로써 센서네트워크를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기법을 제시하였으며 LEACH-C 기법보다는 33% PEGASIS 기법보다는 18%의 성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 수생식물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수생식물은 생활모습이 다양하고 육지식물과 구별되는 특징으로 인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생식물은 물 속에서 수질을 정화시키고 물고기들의 서식처가 되어주며 작은 생태계를 만들어 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친환경 태도 함양을 위해 수생식물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생식물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구분하였다. 실험반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생식물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비교반은 수생식물과 수생식물과 관련된 내용을 강의식 수업으로 학습하도록 하여 친환경 태도 검사지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활동과정과 학습 결과물에서 나타나는 친환경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생식물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수생식물이 갖고 있는 환경적 가치를 고려해 수생식물의 특징, 수질오염, 생태계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수생식물 체험학습 프로그램 적용 후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흥미도, 시간운영, 활동내용, 목표 달성도에 있어서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소집단 협력학습, 자료 활용도, 시간운영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생식물 체험학습 프로그램 적용 후 초등학생들의 친환경 태도의 각 영역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수질오염, 생태계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p<.05)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태도 전체는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유의미하게(p<.05) 향상되어 수생식물 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친환경 태도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일반에 대한 태도까지 향상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생식물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친환경 태도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한편, 후속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수생식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 자료의 보급이 이루어져야 하며, 좀 더 다양한 수생식물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학교 내 연못을 환경교육의 장으로서의 활용, 지역사회의 비오톱 조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quatic plants whose characteristics and living condition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sorts of plants on land could draw attention from students. Those plants cleanse the quality of water, serve as a living space for fish and make up a minor eco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quatic-plant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geared toward fostering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school children, and to examine how that actually affected their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3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class and a control class. The experimental class participated in an aquatic-plant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and the control class received exposi- tory lessons about aquatic plants. To assess their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both groups took a pretest and posttest, and their activities and learning outcome were observed to track any possible changes in their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quatic-plant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quatic plants, water pollution and eco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values of those plants. Second, after the aquatic-plant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was applied, the response of the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it's found that the students generally took a favorable view of their own interest level and the program's time management, activities and attainment of objects in general. But there was some room to improve the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data utilization and time management of the program. Third, after the aquatic-plant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was conducted, their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was checked in each category.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a significantly better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in attitude toward water pollution and ecosystem(p<.05). The former's overall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at of the latter(p<.05), which indicated that the aquatic-plant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had a good effect on furthering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the elementary schoolers. But that wasn't effective enough to enhance their general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aquatic-plant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cultivating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the school children. In the future, more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supplied to provide elementary schoolers with information on aquatic plant that is appro- priate at their level. A wide array of aquatic-plant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school ponds should be utilized as a pla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esides, how to construct and capital- ize on biotope in local community should be studied in detail.

      • 리튬 이차전지 음극용 비정질 주석 코팅된 실리콘계 나노복합체의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이영한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 및 전기자동차 시장의 비약적인 성장에 따라 고성능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개발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상용화 된 음극소재인 흑연은 매우 제한적인 이론용량 (372 mAh/g, LiC6)을 가지며 고율특성이 좋지 않아 고용량 및 고출력 특성을 요구하는 향후의 이차전지 시장의 음극소재로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를 위한 특정 목표 성능 (초기 가역용량 > 1200 mAh/g, 초기효율 > 80%, 100사이클 이후의 용량 유지율 > 90%) 달성을 목표로 하여 차세대 고성능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소재의 개발을 진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