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수준별 어휘적 특성 연구

        이영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학습자의 어휘적 특성이 각 수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는 중간 언어적 입장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제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과정 중에 일어나는 어휘적 특성을 분석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에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어휘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연구의 대부분이 학습자의 어휘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연구자의 시각에서 판단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학습자의 특성에 적절한 어휘 교수 및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간 언어적인 입장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어휘적 특성이 각 수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어 수업시간에 쓴 초․중․고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을 수집하여 여기에서 나타난 어휘적 양상을 품사별 특징과 어종별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어휘 오류의 유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품사별 특징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품사별로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수준별 어휘 다양도(Type-Token Ratio : TTR)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어휘 사용 능력을 살펴보았다. 어휘 다양도(TTR)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품사별 특징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좀 더 다양하고 많은 어휘를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어종별 특징에서는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 혼종어로 나누어 사용 비율을 살펴보았다. 한자어와 고유어의 사용 비율은 학습자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사용 비율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고유어의 사용 비율은 학습자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사용 비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오류를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의 유형들이 어떠한 것인지를 알 수 있었다. 특히 모국어 영향으로 인한 오류 중 중국식 표현이나 전략에 의한 오류 중 신조어 전략과 같은 독특한 오류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을 통해 나타난 어휘적 특성을 중간 언어적 입장에서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나타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수준별로 보이는 어휘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격을 수 있는 어려움을 미리 예상하여 학습자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며 학습자들이 목표어 수준으로 더 가까이 갈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lex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found in their composition data appear by each level. This aims to build a basic data for teaching vocabulary to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lexical characteristic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rlanguage. Currently, while studies on vocabulary area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carried out actively, we viewed that they have limitations in that most of them are judged and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ers without taking learners' lexical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we have felt it is necessary to teach proper vocabulary suited to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seek proper methods of teaching and according to this need the present study analyzed how lex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found in their composition data appear by each level from the viewpoint of interlanguage. For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types of vocabulary errors as well after examining dividing lexical features into characteristics by parts of speech and characteristics by word types found in them collecting writing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which were written in Korean language class at the beginner’s level and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In order to examine what characteristics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have by parts of speech in characteristics of word class we investigated their ability of using vocabulary employing vocabulary diversity by levels found in their writings(Type-Token Ratio : TTR). The results of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by parts of speech through vocabulary diversity(TTR) indicate that the higher learners' level becomes, the more diverse and the more words they use. Next, for characteristics by word types we examined the ratio of use dividing words into Sino-Korean words, native words, loan words, and mixed words. It was observed that the ratio of use of Sino-Korean words and native words becomes increasing as the learners' levels get higher and higher, and that the ratio of use of native words becomes decreasing as the learners' levels get higher and higher. Finally, we investigated errors by types, which indicates what error types are made by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In particular, we could identify the existence of unique errors such as strategy of new words out of errors resulted from Chinese style expressions or strategy among errors arising from the influence of native tongue. The current study analyzed lexical characteristics occurring through composition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rlanguage. We expect that it will help learners approach Korean closer to the level of their mother tongue by predicting in advance difficulties learners may experience in education of Korean vocabulary based on lexical characteristics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show by their levels and by minimizing their problems.

      • 중학생의 확률과 통계 영역에 대한 인식 조사 및 분석

        이영지 대구가톨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Statistical methods are widely used for the uncertain phenomena of daily life in the modern information age. Probability is also strongly linked to everyday life such as weather forecast, exercise etc and its significance is on the rise.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Probability and Statistics area is supplemented and amend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I conduct the survey designated to investigate overall perception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area, targeting 3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in 2011 who first completed 2007 Revised Curriculum. Of the 12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female and male students in Daegu city and Icheon city in February 2011, 1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by SPSS.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ender, while both mathematics academic levels and interest level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units show meaningful difference, academic levels and class satisfaction level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area do not. Secondly, interest levels, academic levels, and class satisfaction levels in the field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are positively associated. Thirdly, some 52% of the students surveyed say that complicated calculation is the main reason to lose interest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area, 55% putting in too much time to calculate. In order to improve the situation, more than 60% of those who responded say that simple calculation is needed. 20% or more ask for a multimedia approach to learning and questions applied to every real life situation.

      • 뉴로피드백 alpha/theta 훈련 전후의 정량화 뇌파 분석

        이영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855

        Because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lpha/theta neurofeedback training has not been fully determined,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brain state feedback in alpha/theta training. Total of 27 healthy subjects trained on one time session of alpha/theta protocol, with resting QEEG assessed before and after training. QEEG was recorded at 8 scalp location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and was measured in absolute power, relative power, RST, RSMT, RMT, RAHB, SEF50, SEF90, ASEF, and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scaling exponent by each band. Significant increase of absolute alpha power except at T3 and T4 was noticed especially with slow alpha band. And also, relative alpha power, especially slow alpha band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t all lead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absolute theta power before and after training. Relative theta power except at T3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Significant decreases of relative beta power at O1 and relative mid beta power at O1 were noticed. RST and RSMT at C3, C4, O1, and O2, RMT at O1 and O2 and RAHB except at T4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however ASEF at F3, F4, and C4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Scaling exponent at F3, F4, O1, and O2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They indicate that one time session of alpha/theta training might have the potential to enhance vigilance and concentration and thus it might stabilize overall brain functions. Alpha/theta 뉴로피드백 훈련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건강한 성인 27명을 대상으로 1회의 alpha/theta 뉴로피드백 훈련을 시행하고 뉴로피드백 훈련 전과 후의 QEEG 변화를 8채널 뇌파 전극 별, alpha, slow alpha, fast alpha, theta, beta, SMR, mid beta, high beta, gamma의 주파수 대역 별, 절대파워, 상대파워, RST, RSMT, RMT, RAHB, SEF50, SEF90, ASEF 및 탈경향변동분석의 축척지수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Alpha/theta 뉴로피드백 훈련 전후 절대파워 비교에서 alpha파, 특히 slow alpha파는 뇌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상대파워 비교에서도 alpha파, 특히 slow alpha파는 뇌의 전 영역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반면 theta파는 alpha/theta 뉴로피드백 훈련 전후 절대파워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상대파워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속파(fast wave) 비교에서는 O1에서 beta파의 상대파워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이는 mid beta파에서 두드러졌다. RSMT, RST가 C3, C4, O1, O2에서, RMT는 O1, O2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RAHB는 T4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ASEF는 F3, F4, C4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탈경향변동분석의 축척지수는 훈련 후 F3, T4, O1, O2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단 1회의 alpha/theta 뉴로피드백 훈련이 집중력을 증진시키고 전반적인 뇌 기능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부모 가족의 부양부담과 노후에 대한 연구

        이영지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2005년 장애인실태조사에서 우리나라의 지적장애인은 약 125,563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적장애인은 특징적으로 지능수준이 낮아 개인적으로 발달상의 과제를 완수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적응력에서 비장애인과 비교해 큰 격차를 보인다. 따라서 이들 지적장애인은 성인이 되어도 매우 제한적으로 취업활동을 하거나 불가능하므로 자신의 생활유지를 위한 수입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자기관리 능력의 불일치를 보이기 때문에 가족에게만 경제적 의존과 일상생활의 도움을 받으며 살게 된다. 최근의 의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개선, 평균수명 연장은 성인 지적장애인을 부양하는 노부모 가족의 출현을 가져왔다. 흔히 이들 노부모 가족은 노년기로 비장애자녀의 결혼 이후로 퇴직으로 인한 경제적인 수입원이 고갈되고 장애 자녀로 인한 추가비용, 노화로 인한 건강이상, 의료비 증가가 계속되는 어려움을 겪는다. 그로 인해 이들 노부모 가족은 일반 노인가구보다 빈곤한 노후 생활을 보내게 될 개연성이 아주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노부모 가족에 대한 가족지원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개별대상으로 시행되었던 기존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접근 방향에 대한 제고를 제기하는 것으로 이들 집단을 위한 서비스마련을 위한 욕구 분석 및 가족측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장애인 가족의 서비스욕구는 이들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변화하며 새롭게 생성되기 마련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서비스는 가족복지의 개념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개인 중심의 접근을 이루고 있으며 그 계층 역시 장애아 중심의 접근과 가족지원이 이루어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는 지적장애인의 연령이 높고 장애 정도가 높을수록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 복지서비스가 거의 희박한 상황이며 이들 가족에 대한 소득보장, 의료보장, 교육보호, 직업재활, 사회복지시설의 설립, 편의시설 및 편의환경 조성 등 정책적, 제도적인 가족지원도 미흡하여 이들 가족의 부양부담은 무거울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성인 지적장애인을 부양하는 65세 이상 노부모 장애인 가족의 특성과 가족지원 욕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노년기를 보내는 노부모가 느끼는 부양부담을 중심으로 이들 이들 노부모 가족이 어느 정도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내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장애 자녀에 대한 평생계획준비는 어느 정도 영향을 받고 있는가를 연구 주제로 삼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들 대상에게 필요로 하는 가족지원 서비스를 모색하는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나아가 이를 통해 성인 지적장애인을 부양하는 노부모 가족에 대한 가족지원 정책과 제도 마련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써 기여하고자 한다. The populat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n Korea was estimated as about 125,563 people as shown in 2005 Survey on Disabled Persons. The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s lower intellectual level as characteristics so as to have difficulty in completing developmental tasks personally, and as the age gets older, the person shows large gap of social adaptability in comparison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y. Therefore, thes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even as adult can have only very limited employment or no possibility at all, which make them very difficult to expect any income for their livelihood sustenance and have to live depending on their own family for support on finance as well as daily living since they have inconsistency in self management capability. The recent medical advancement,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as well as extension of average life expectancy brought the emergence of the elderly parents who take the caregiving responsibility for the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ften, these elderly parents face continuous hardship from the absence of income resources after retirement since their non-disabled children get married, together with additional financial burden due to the disabled child, health problems caused by aging and increasing medical expenses. This makes the probability very high for these elderly parents to have poorer old aged life than other general elderly households. Thus, the household support for these elderly parents became issue to pay attention, raising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approach direction of existing welfare service which has been implemented toward individuals, presenting the necessity to carry out the need analysis in order to derive service measures for these group as well as to provide support in terms of family. The service needs of the family having the disabled is variable and newly merging according to the family's life cycle. However, the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in our country is more like individual oriented approach rather than family oriented welfare concept, which its approach is more for the disabled children oriented and support to their family. This means that the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in Korea provides almost no accessibility to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f the age is higher and the disability level is more severe. Also, political, institutional support to the families of these disabled such as income security, medical security, educational security, vocational rehabilitation, establishment of exclusive social welfare facility, development of the convenient facility as well as convenient environment for them are very much lacking, making the caregiving burden of the family very heavy in reality. Hence, it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family support needs of the elderly parents over 65 years old who provide care to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caregiving burden felt by the elderly parents who are in old ages, the study seeks to figure out how stable old age life the elderly parents have, and how much their old age living affects on the preparation of the life time plan for their disabled childre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mily support service that these target people need through aforementioned research, and furthermore, it intend to contribute as a basic research resource for deriving the family support policy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the elderly parents who provide caregiving their adult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消費者保護를 爲한 不公正去來行爲 規制에 關한 硏究

        이영지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1988 국내석사

        RANK : 1855

        In modern economic societies, consumers have lost the consumer sovereignty due to mass productions and highly technique production process. Especially, under a monopoly, restrictive and unfair exchange is generally spread. Accordingly consumers have taken the damage of monopoly. As a result of the "fair trade practices" enforcement, consumers are aware of the fact that competition is profitable for the consumer and competitions between enterprises are sped up. But the "fair trade practices" puts the emphasis on the competition order preservation on the other hand the ACT is indifferent to protection of consumers. Unfair trade practices should be excluded more throughly in the "fair trade practices" for the consumer protection through fair trade, and following conditions are necessary for the eradication of unfair trade practices; (1) Awakening of enterprisers (2) Establishment of fair trade consciousness of the merchants (3) Active lead and enlightenment of the authorities (4) Enhancement of consumer consciousness.

      • HEK293에서 치료용 단백질 생산을 위한 효율적인 임시 발현 연구

        이영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동물세포가 생산하는 재조합 단백질은 품질과 효능이 우수하여 단백질 의약품의 50% 이상이 동물세포에서 생산되고 있다. 또한 신약 개발을 위한 동물세포 기반 의약 단백질 생산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임상 단계에 수백 개의 후보 단백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 의약품이 생산되어 제조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후보 단백질을 생산하고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실제 제조 시 동물세포 배양기에서 사용되는 세포주는 세포주 엔지니어링을 통해 원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세포주를 선별하여 얻어진다. 선별 후에는 높은 생산성을 갖는 단일세포를 골라내어 세포 수를 불린다. 하지만 이 과정은 많은 시간과 선별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신약 개발의 속도를 낮추고 있다. 임시발현은 세포 염색체에 유전자를 삽입시키지 않고 일시적으로 발현해내는 시스템으로 선별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후보 신약을 빠른 시간 내에 스크리닝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신약 개발 과정 동안 다양한 분석들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백 밀리그램의 의약단백질이 필요함으로 고효율의 생산성을 가진 임시발현 시스템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세포 HEK293을 이용하여 임시발현의 각 공정단계를 개선해 재조합 단백질 생산성을 증진하고자 하였다. 발현 시스템의 요소 중 세포주, 형질주입 시약(transfection reagent), 증강인자(enhancer), 발현벡터가 공정 개선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높은 형질주입 효율을 가지는 세포주를 선정하고 높은 발현량을 얻기 위해 형질주입 시 세포 계대 수 및 생존 세포 수를 선정하였다. 발현벡터를 세포 내로 전달해주는 형질주입 시약은 여러 양이온성 지질을 스크리닝하여 DC-Chol 지질을 선정하였고 helper lipid (DOPE)와 함께 사용하였다. 또한 DC-Chol/DOPE 리포좀과 DNA 비율을 최적화하여 대조군 대비 단백질 발현이 2배가량 향상되었다. 세포 내로 유전자가 들어간 후에는 히스톤 아세틸화 효소 억제제의 일종인 부틸산을 배양액에 첨가해 주었다. 부틸산은 전사 조절을 통해 증강인자를 넣어주지 않은 음성 대조군 대비 최대 4배의 발현량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유전자의 발현과 안정성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진 CHO-K1 유래 조절인자 E77 element를 폴리아데닐레이션 신호 서열의 3’ 끝에 삽입시켜 인간 Fc 단백질과 항체 발현벡터를 구축하였다. HEK293 세포를 이용한 임시발현 시스템에서 E77 element의 벡터 내 도입을 통해 대략 7%에서 최대 15%의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선정된 HEK293 세포주 조건에서 DC-Chol/DOPE 양이온성 지질과 E77 element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이용해 형질주입 후 부틸산을 첨가하는 고효율 임시발현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형질주입 후 세포 성장과 단백질 발현량을 세포 배양 동안 비교하며 평가하였다. 대조군 대비 인간 Fc 단백질과 인간 항체의 발현량이 각각 2배와 20% 이상 향상하였다. 또한 목적 단백질의 mRNA 수준 분석을 통해 높아진 발현량이 유전자 전달 혹은 전사 수준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생산성이 증가한 새로운 임시발현 시스템은 앞으로의 신약 개발 초기 연구에서 목적 단백질을 충분히 확보하고 기초 및 응용연구를 위한 분석들을 위해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Recombinant protein production from mammalian cells has had a profound impact in many areas of basic and applied research. Transient gene expression is an attractive technology enabling to produce recombinant proteins for the development of biopharmaceutical candidates at an early stage, and offers an interesting alternative to the time-consuming generation of stable cell lines. Methods: Refinement of a transient system was attempted by screening different transfection reagent and transcription enhancer. In addition, an expression vector was developed to further increase the production yield. Results: A novel method was achieved by combining a highly efficient DC-Chol-based transfection reagent, optimized gene expression vectors including 3’E77, and exposure of cells to butyric acid with an optimized transient transfection process. A combination method enables an increase in human Fc and IgG protein expression maximal 2-fold and 10% respectively. Conclusion: Developed technology was investigated on cell growth, protein titer, and mRNA level of target protein compared to an existing protocol in Expi293F cells. We demonstrated that our novel combination method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to human IgG and Fc protein production.

      • 인공지능 기반의 유전자 데이터와 질병과의 연관성 예측에 관한 연구

        이영지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유전자 데이터와 질병과의 연관성 예측에 관한 연구를 제안한다. 제안된 논문은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라벨링, 학습데이터 구축, PCA 변환, 딥러닝 네트워크 구조 설계 등의 5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는 데이터 선별 과정과 데이터 변환 과정을 수행한다. 데이터 선별 과정은 불분명하고 결과에 관계없는 특징들을 선별하여 학습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학습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유전자 데이터는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에서 진행한 TCGA(The Cancer Genome Atlas) 프로젝트의 공개된 유전자 데이터이다. TCGA 프로젝트는 다양한 암에 관한 유전변이 데이터를 통합 축적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이다. 데이터 변환 과정에서는 데이터 선별 과정이 끝난 후에 데이터들을 학습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가공한다. 데이터 라벨링 과정에서는 방광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두경부암, 폐암 등의 5가지 암에 대한 5가지 암에 대한 데이터들을 0과 1로 라벨링한다. 학습 데이터 구축 과정에서는 선별된 TCGA 유전자 데이터 변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 변환과 라벨링을 통해 총 522,557개의 학습 데이터(Learning Sets)를 구축한다. PCA 변환 과정에서는 유전자 데이터는 돌연변이의 개수가 다양하므로 입력 데이터의 크기를 맞추며, 모든 특징들이 학습 데이터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데이터를 기존의 차원에서 주성분 축으로 차원 축소한다. 딥러닝 네트워크 구조 설계 과정은 PCA 적용 후, 구축된 학습 데이터(Learning Sets)가 입력되어 6개의 Fully Connected Layer를 거쳐 Sigmoid를 통하여 유전자 데이터에 의한 질병이 예측되어 출력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학습 데이터는 TCGA(The Cancer Genome Atlas) 프로젝트의 공개된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한편, 학습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cBioPortal 사이트에 공개되어 있는 총 2,670명(총 125,490개의 유전자 변이)의 실험 데이터(Test Sets)를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유전자 데이터와 질병과의 연관성 예측의 객관적인 신뢰성 평가를 위하여 질병 예측 정확도(Accuracy), 재현률(Recall), 정밀도(Precision)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병 예측 정확도(Accuracy), 재현률(Recall), 정밀도(Precision) 등이 기존 Nature Communications 논문의 결과보다 낮게 나타내었다. 낮은 결과가 나온 원인은 본 논문에서는 환경적인 요인과 생활 습관 등의 여러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유전자 변이와 기본 정보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암에 대한 다양한 가중치 정보를 추가하여 데이터 학습에 활용하면, 보다 효율 높은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특정 암에 관련된 특정 유전자만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학습시키지 않고 각 암 환자마다 가지고 있는 모든 유전자 패턴을 학습하였으므로, 특정 암에 대한 정확성이 다소 불명확하더라도 다른 암에 대한 예측과 암 전이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고 볼 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