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과 문제기반학습이 학습태도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영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PBL을 적용한 중학교 1학년 영어수업이 학습자의 학습태도 면에서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적용한 영어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변화를 가져오는가?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PBL을 적용한 영어수업을 진행한 결과, PBL 적용 영어수업 이전에 비해 학생들의 학습태도가 흥미도, 학습동기 및 참여도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PBL 적용 영어수업이 학생들에게 영어에 대한 재미를 느끼도록 해주면서 영어수업을 기다리게 해 주고, 또한 수업에 좀 더 집중하도록 영어에 대한 흥미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주는 효과를 보였다. 학습동기 영역에서는 PBL 적용 영어수업이 앞으로의 학생 생활에 도움을 주면서 영어수업을 재미있는 활동으로 인식시켜주고, 학생들에게 영어공부를 더 하고 싶도록 만들어 주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의 참여도 영역에서도 학생들을 영어수업시간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끌어주면서, PBL 적용 영어수업에서 제시하는 과제 해결에도 열중하도록 하는데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영어에 대한 자신감, 영어수업에 대한 만족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둘째, PBL을 적용한 영어수업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가? 수업 관찰과 COLT 분석을 통한 수업 분석으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영어수업 중 언어 상호작용을 살펴 본 결과, PBL 적용 영어수업이 제2언어로서 영어의 사용과 발화 지속의 양태 두 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임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PBL 적용 영어수업이 모국어를 사용하는 제1언어의 비율을 줄이면서 교사든 학생이든 제2언어인 영어의 사용을 자극하면서,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수업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학생들의 발화 지속의 양태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최소’ 형태의 발화가 줄어든 반면, 주어+동사 이상의 구성 형태를 지닌 ‘짧음’ 형태의 발화가 높은 향상을 보임으로 의사소통 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PBL 적용 영어수업이 학생들의 발언을 단순히 ‘반복’하거나 ‘바꿔 말하기’식이 아닌 영어 표현을 ‘확장’시키며 ‘상세화’시키려 함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학생 스스로 언어활동을 이끌어 내는 주제에 대한 통제 영역, 듣기와 말하기 중심의 활동유형과 발화의 지속성 영역의 분석 결과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둘 다 사전․사후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임으로 PBL 적용 영어수업이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내지는 못하였다. 더불어 성찰저널에서는 PBL 적용 영어수업이 제시된 문제의 내면화를 통해 영어에 흥미를 갖고 몰입하게 해 주며, 문제 해결에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지식에 대한 통합적 안목을 넓혀주면서, 자기주도적 학습 경험을 해주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처음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사용하도록 함으로 정답이 여러 개일 수 있을 때 학생 스스로 어떤 것이 가장 합리적인지 결정해야만 하는 PBL의 특성이 드러나 보였다. 또한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고 검토할 수 있도록 해주고, PBL 적용 전과 후의 생각의 변화와 지식의 습득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다른 학생들의 다양한 견해와 관점을 접하면서 개인이 지닌 사고의 영역과 범주, 그리고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관점에 대한 아쉬움을 이야기 하면서, 앞으로 학습참여 태도에 대한 반성과 각오를 새롭게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offer realistic and active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PBL(Problem-Based Learning) in English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n learning attitud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changes to the leaner's attitude through PBL in English education? Second, are there any effect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PBL in English education? Twelve of these students were analyzed as the experienced group and thirty-two were analyzed as the control group. The term of study was 6 weeks and conducted the test of learning attitude to English education just for the experience group. All statistical data of learning attitude was analyzed by the SPSS(ver 13.0) program, and to verify the result, t-value was used in significance level was within 5%. As for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t was the COLT class-analysis that analyzed four English classes which were monitored and recorded adapting different ways of teach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class adopting PBL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students' attitude to learning English. In reviewing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English class adopting PBL made students interested, motivated and they participated in learning English more. However, there was no progress in the students' confidence or satisfaction through the results in the t-valu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LT class-analysis, the classes adopting PBL stimulated the teachers and students to concentrate on us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more than the typical classes. In addition, while the repeat expressions were less than before, the expansion of usage and detail description increased compared with the typical classes. Finally, the self-reflection journal in which the students experienced PBL wrote down their feelings and reflections indicated that the classes adopting PBL could make them immerse in learning English and intergrade their ideas. After this study,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in English Education is verified by learning attitud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However, long-term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get more meaningful results and it will develope new plans to use PBL more variously.

      • 4차산업혁명에 대응한 음악산업 전망에 관한 연구 : 음반 및 음원 산업을 중심으로

        이영주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2016년 세계경제포럼의 의장 클라우스 슈밥이 주창한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시대 이후 급속히 우리의 삶을 바꿔가는 중이다. 빅 데이터의 분석 에 따른 AI 인공지능과 로봇 공학 및 IoT 사물인터넷, 3차원 인쇄, 무인수 송과 나노 기술로 새로운 기술 혁신을 통해 우리 산업의 모든 분야에 영향 을 미치고 있다. 키오스크(무인결제주문기기)가 종업원을 대신하는 작금의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우리 인간의 노동력이 낭비될 필요 없이 사람들은 문 화예술의 향유와 각종 혜택을 누릴 것이라고 몇몇 학자들은 주장하기도 한 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빅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곡, 작사한 대중음악이 실 제 음원 판매 차트에 진입하고 있는 현실은 앞으로 순식간에 다가올 문화 예술 생태계의 급속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제 사례에 도 현재 인간이외의 무언가가 만들어낸 창작물과 그 저작권의 규명은 논의 의 시작조차 출발하지 못한 안타까움이며 교육, 정책 및 수많은 부분에서 의 문제점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구텐베르크의 활자 인쇄술 이후 악보 의 판매로 유통되며 시작되었던 음악의 상업화는 에디슨의 축음기 발명 이 후 레코드, 카세트, 콤팩트디스크 등의 음반 산업으로 발전하였다. 메이저 디스트리뷰터라고 불리는 음반 유통사들은 각종 M&A를 거쳐 공룡화 되어 갔으나 MP3 출범이후 현재에는 유니버셜, 소니, 워너의 3대 뮤직 음반 유 통 기업으로만 남아있다. 이들은 방대한 백 카탈로그의 외형적인 부유함에 반해 디지털, 온라인 유통으로 급변하는 사회의 예측할 수 없는 현재와 미 래를 혼돈 속에 내달리고 있다. LP이후 CD라는 안정적인 피지컬 시장에 안주하던 음반 시장 관계자들이 소리바다로 대변되는 P2P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져버린 과거의 사례는 번들, 덤핑 판매 구조와 광고 기반의 무료 스트 리밍으로 이어졌다. 이는 음반 시장이 지녔던 매출액의 파이가 대폭 축소 되는 등 파국의 나락으로 한없이 빠져드는 중이다. 이에 생산자와 유통자 간 분배에 대한 이해관계의 대립과 4차 산업혁명의 이기에게 또 다른 큰 위협을 느낄 수도 있는 중요한 순간에 와있는 우리 음악 산업의 현주소이 다. 개인의 문화적 진화를 위한 정보의 중간 매개체 밈(Meme)에 따라 우 리의 문화예술 창작물의 질적 성장 가능성이 4차 산업혁명 이후 어떻게 변 화할지 아직 누구도 모르는 일이지만 음악이라는 예술의 본질이 인간의 주 체에서 벗어날 수도 있는 가까운 미래에 대해 음악 산업과 음악 교육, 정 책 및 기타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부터 한발 한발 나아가 보자는 취지가 연구의 배경이다. 본 연구는 스트리밍 이후의 음악 산업의 다양한 변화를 통해, 곧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음악 산업에 대한 문제점들을 예측하고자 한다. 소리 바다로 대변되는 P2P 시장부터 광고를 기반으로 하는 뉴미디어 플랫폼과 Digital Subscription Service를 통해 거의 무료화 되어버린 작금의 스트리 밍 음원 시장이 어떻게 자리 잡았으며 또 이런 디지털 시장의 문제점과, 주로 생산자 위주의 불만들을 사전에 파악하지 못한 과거 정책의 아쉬움들 을 되짚어 봄을 우선하였다. 현재 급속도로 확산중인 사물인터넷 AI 스피 커를 통한 디지털 유통의 확산과 인공지능을 통한 음원산업의 기획, 제작 분야의 4차 산업 이후 향후 전망에도 큰 초점을 두었다. 현재에도 정확치 않은 배분과 그에 수반한 저작권 및 교육, 윤리, 정책 분야 역시 연구의 중 심에서 배제할 수 없었다. 뉴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홍보나 마케팅 분야와 크라우드 펀딩으로 발전중인 투자, 지원 분야도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과 음악을 연결해 발표한 기존의 자료가 많지 않기에 전문가들의 도움을 바탕으로 한 델파이 기법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음반과 음원 및 콘서트와 음악 축제를 막론한 각기각층의 음악 기획, 제작 분야와 음반, 음원 유통 및 홍보, 마케팅 부문 및 저작권을 필두로 교육, 윤리, 공공 지원, 민간 투자에서 정책 환경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의 전문가 들에게 4차 산업혁명에 따르는 인공 지능과 로봇의 창작물 및 그 저작권 등에 관한 의견을 구하였으며 수렴과 합의를 도출하는 델파이 기법을 사용 하여 미래의 음악 산업을 예측하고 분석해보는 작은 장이 되고자 했다. 이 는 위 전문가들 중 몇몇 분들과 최초 논의된 예측 가능한 문제점의 방안들 을 통한 분석과 그 안들의 적절성 또한 검증하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학 계와 업계 실무진 간의 예측을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각 분 야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들 역시 본 논문이 지닌 소중한 자료가 되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최종 종합하여 표준편차로 예측 동의정도를 분석한 결과 4차 산업혁명에 있어 학계는 국가적인 지원과 예술적인 비중에 무게 를 더한 반면 업계는 아직도 국가 지원에 부정적인 면이 많음을 알 수 있 었다. 단, 단순 기술적인 부분에서 4차 산업혁명의 요소들이 더 실질적으 로, 생각보다 훨씬 빨리 접근할 것이라는 전망이 업계의 일반적인 의견이 었다. 이는 음악 본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나 깊이가 4차 산업혁명의 이기들에게 자리를 내어 줄 수도 있다는 심각성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유통분야에 있어서는 대기업 위주로 진행되는 현 디지털 음원 시 장에서의 분배에 대한 불평등한 의식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전망마 저 가로막을 정도로 심각함을 느낄 수 있었으며 여전히 소비자들의 눈치 보기는 계속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분야별 전물가들 간에 사분점간 내에서 동의를 보인 항목이 대다수였지만 큰 이견을 보인 항목들 역시 존 재했다. 특히, 기획부문에서는 기회 전문가 집단과 제작 전문가 집단이 첨 예한 대립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4차 산업혁명 이후에도 흥행의 여부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기획자들의 고충과 다양한 시도를 원하는 제작, 연출 집단 간의 이견에 따른 당연한 결과로 받아들여졌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 문가들 그룹이 나름 국내에서는 큰 권위를 지닌 분들의 조합이었지만, 정 책적 합의를 이끌어내기에 너무나 방대한 부문의 항목들로 인해 그 논점의 시작부터 이끌어내기 쉽지 않았음을 솔직히 밝힌다. 특정 결론의 도출보다 는 부문별 전문가 집단과 여러 이해관계에 있는 업계와 학계의 다양한 만 남과 토론의 장이 절실함을 깨달을 수 있는 시간이었음은 무엇보다 본 논 문이 지닌 큰 성과라 할 수 있겠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문가들의 의견 을 통한 본 연구의 최종결론은 굉장히 희망적이었다. 인공지능에 겁내지도 않았고 이 막연한 미래에 대해 국가나 정부에 기대지도 않았다. 특히, 정책 분야에 남겨진 전문가들의 소수 의견들 역시 앞으로 진행될 4차 산업혁명 의 음악 산업 분야에 큰 제언이 될 것이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led by Klaus Schwab, chairman of the World Economic Forum in 2016, is rapidly changing our lives after the digital era. AI, robotics, and IoT object internet, 3D printing, drone unmanned transport and nano technology that are used to analyze big data are affecting all fields of South Korean industry. Some scholars argue that people will enjoy the nostalgia and benefits of culture and art without having to waste human labor und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the fac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based on big data and composed pop music is actually entering the music sales charts is a sign of a rapid change in the coming cultural and artistic ecosystem. Even in these actual cases, the present definition of creations and their copyrights created by something other than human beings is a regret that has not even begun to discuss them, and also contains problems in education, policy and many other areas. The commercialization of music that began with the sale of sheet music after Gutenberg's typography developed into the recording industry of records, cassettes and compact discs after Edison's invention of phonograph. The record distributors, called major distributors, have become dinosaurs through various M&A programs and remain one of the top three music distributors - Universal, Sony and Warner. However, they are running into chaos for the unpredictable present and future of a society that has rapidly changed online since MP3 as opposed to the massive wealth of backcartalogs. A case in the past when music market officials, who were complacent about the online digital music market of "record," collapsed helplessly in Soribada, led to bundle and dumping through an ad-based subscription service called streaming. The music industry is in a state of complete collapse, with the sales pie of the music market sharply shrinking. Against this backdrop,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producers and distributors are on the verge of fierce competition, but this is another big threat to the "Performing Robot," which is equipped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I and motion capture. The paper, which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collecting opinions from experts on the near future where the essence of music may be deviating from the human body, was based on the help of the experts as there were not many existing materials link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usic. It was an opportunity to compare predictions between academic and industry practitioners, and various opinions from experts in different fields were also valuable materials. In particular, without the help of many music officials who have been particularly special, the study could not even begin. I would like to thank to JJ, the CEO of Jarasum Jazz Festival, who has once again contributed greatly to this paper, and I would like to thank to specialists of the nation's leading judges in planning, producing and distributing music.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people in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art management at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e, Arts and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of Chugye Arts, who helped me with my thesis. Especially, I cannot forget the many help I received from Park, Chung-sil and Kim, Ji-soo. Hopefully, this paper will be greatly appreciated if it can serve as a catalyst for future problems in the music sector follow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nally, Thanks to Park, Eun-Sil who is my advisor and a professor of culture and art management at the School of Culture and Arts at the School of Culture and Arts and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of Chugye Arts, who successfully filled my time gap in learning for more than 20 years.

      • 사회복지 지방분권의 개선방안 연구 : 국고보조사업의 지방이양을 중심으로

        이영주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방자치와 더불어 맞이한 지방분권화 시대에 사회복지 분야의 지방분권은 지역주민의 욕구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 요건이라 할 수 있다. 사회복지의 지방분권에 대한 논의는 지난 1989년부터 계속되어 왔으나 실질적인 지방분권은 참여정부에서 이루어졌다. 2005년부터 사회복지 분야의 국고보조사업 중 67개의 사회복지사업이 지방으로 이양되었고, 이에 따라 재정분권으로 분권교부세제도가 시행되면서 사회복지의 지방분권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의 지방분권에 대한 주요 쟁점들을 검토하여 성공적인 사회복지 지방분권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분야 67개 지방이양사업에 대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복지기능 분담의 적절성을 분석하고, 사회복지 재정분권을 위한 분권교부세제도의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기능분담의 적절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능분담의 기준을 공공재의 성격, 외부효과 및 복지형평성, 지방정부의 추진역량의 세 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67개 지방이양사업을 재분류 하였으며, 재정분권의 일환인 분권교부세의 탐색을 위하여는 분권교부세의 문제점과 이의 해결을 위한 담론적 대안들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 분야의 67개 지방이양 사업 중 46개 사업은 지방정부가 단독으로 기능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며 일정부분 중앙정부의 관여가 필요한 사업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21개 사업은 지방정부가 자율권을 행사하여 단독적으로 처리하기에 무리가 없는 사업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분권교부세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재원규모의 부족, 재원 성격의 모호성, 지방재정의 부담가중, 지방정부간 복지불균형의 심화 등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담론인 보통교부세로 통합하는 방안, 사회복지교부금 신설 방안, 지방이양 사업의 국고환원 방안 등의 대안을 검토해 보았다. 검토결과 지방재정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고, 지방정부 간 복지형평성의 조율도 가능한 방법으로는 선별적 국고보조금제도로 환원 하는 것이 가장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결국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지방분권의 개선방안으로 사회복지 분야 67개 지방이양 사업 중 중앙정부가 재정책임을 부담하여야 하는 46개 사업은 국고보조사업으로 환원하고, 국고보조금 지급방식은 포괄보조금 지급방식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providing successful ways of improving social welfare’s decentralization of power by revising point of issues about social welfare’s decentralization of power. For this, the propriety of the division of the social welfare function between th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in 67 local devolution works in social welfare area was analyzed and problems of the decentralized allocation tax system for financial decentralization of social welfare works were search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among 67 local devolution works, 46 of them were inappropriate for the local governments to function themselves and require involvement of central governments in certain parts, and remaining 21 works were analyzed to be appropriate for the local governments to use their autonomy and function themselves. Also, several problems of the decentralized allocation tax system is identified such as lack of financial scale, obscure characteristic of finance, increased local financial burden, deepening of unbalance in social welfare areas between local governments, etc. Several alternative systems to solve these problems which include the integration to the general local share tax, the founding of social welfare grant, the reverting to national treasury of local devolution works was checked. After check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ective national subsidy system is the most useful in terms of lessening the burden of local finance and meditating social welfare fairness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resenting 46 of the 67 local devolution works which requires central government to take responsibility in finance as the national subsidy works and introducing the block grant subsidy payment system for the government subsidy payment system to improve decentralization of power.

      • 해상교통정보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영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domestic marine tourism business, the fishing and shipbuilding industries, which had been stagnant, are reviving, and the traffic of related ships is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a variety of Vessel Traffic Information Service(VTIS) with new concept other than the existing Vessel Traffic Service(VTS) has been operating. The VTS refers to the monitoring of ships and providing safety information for ship by installing and operating facilities capable of detecting the ship’s position and communicating with ships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and facilitation of traffic and protect the marine environment and marine facilities. In general, The VTS is enforced on the basis of 「Vessel Traffic Service Act」 by the Korea Coast Guard’s VTS Center. However, in addition to the VTS Center of Korea Coast Guard, there are various similar expressions such as the Maritime Safety Management Center,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Bureau, Ship safety Management Center and Navigation Management Center, which provide Vessel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in a similar manner not only in local governments, public organizations,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corporations actually. They are operated for the common purposes of VTS, such as securing maritime safety, provision of navigational safety information, and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as well as the port conditions of each center and their own tasks and purposes. However, if these VTIS is implemented on their own without being based on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s, the following issues could arise. The first issue from the legal aspect is the lack of legal basis for establishment and operation. Second, it is the lack of regulations on education and training of operators. Third, there is a lack of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The issues of the institutional aspect are, first, the issue of responsibility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VTIS. Second, the operator’s lack of expertise. Third, the system is not linked among each facilities. Fourth, there is a financial limit to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equipment. These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have been clarified, and the issue of the limits of VTIS has been raised. In this study, First,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traffic control institutions such as VTS, VTIS and Air Traffic Control Institutions and overseas VTIS Institutions are examined, and the issues related to the overall operation of VTIS such as control facilities, operation status, personnel/organiz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are diagnosed by examining the legal status of domestic VTIS institutions as well as overseas legislative examples. And the following improvements are suggested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VTIS. In terms of legal aspects, First, a legal basis for the VTIS must be established. Second, issues related to the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s of the operator must be clearly defined. Third, issues related to the impact assessment on the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ndition should be defined and specified. In terms of institutional aspects, First, the main subject of VTIS should be established to clarify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level of expertise and level of the operator can be satisfied by more than a certain standard through the dispatch and exchange work of a professional operator. Third, it is required to facilitate mutual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the connection of control system among VTIS facilities. Fourth,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equipment should be provided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o enable smooth traffic service. In this way, it is intended to secure legal feasibility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of the VTIS and establish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ystem to provide a foundation for resolving blind spots and securing the safety vessel traffic services. 최근 국내 해양관광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침체되어 있던 선박 관련 업종이 활기를 되찾고 있는 가운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선박들의 통항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내 일부 수역에서는 선박들을 관제하기 위한 기존 해상교통관제 이외의 새로운 개념의 해상교통정보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해상교통관제라함은 해상교통의 안전 및 효율성을 증진하고 해양환경과 해양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선박의 위치를 탐지하고 선박과 통신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운영함으로써 선박의 동정을 관찰하고 선박에 대하여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교통관제는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해양경찰청 소속의 해상교통관제센터에 의해 시행된다. 그러나 해양경찰청의 해상교통관제센터 이외에도 해상안전관리센터, 어선안전조업국, 운항관리센터 및 해상관리센터와 같은 비슷한 명칭으로 지방자치단체, 공공단체,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법인기업에서까지도 해상교통관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해상교통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해상안전확보, 항행안전정보제공 및 해양환경보호와 같은 해상교통관제의 목적과 더불어 각 기관의 운영현황과 고유업무의 목적에 맞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상교통정보서비스가 법과 제도에 근거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시행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법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설립·운영에 관한 법적 근거 미비이다. 둘째, 관제사의 교육·훈련에 관한 규정의 미흡이다. 셋째, 관제시설 및 장비의 설치·운영 및 정보처리에 관한 규정의 미흡이다. 제도적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해상교통정보서비스 주체의 다원화로 인한 책임에 관한 문제이다. 둘째, 관제사의 전문성 부족이다. 셋째, 각 기관 간 시스템 미연계이다. 넷째, 시설 및 장비의 유지·관리에 대한 재정적 한계이다. 이러한 법적·제도적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해상교통정보서비스의 한계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국내 교통관제기관인 해상교통관제센터, 해상교통정보서비스기관, 항공교통관제기관과 국외 해상교통관제기관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해상교통정보서비스에 관한 국내법·국제법적 규정과 해외 입법례 및 국내 해상교통정보서비스기관의 법적 지위에 대해 검토하여 관제설비, 운영실태, 인력·조직, 교육훈련 등 운영 전반에 대한 해상교통정보서비스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법적 측면으로는 첫째, 해상교통정보서비스를 시행하는 기관으로서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관제사의 교육·훈련 및 자격에 관한 사항을 명확하게 규정하여야 한다. 셋째, 관제시스템 및 정보처리 실태에 대한 영향평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이를 구체화 하여야 한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첫째, 해상교통정보서비스의 주체를 정립하여 책임과 권한에 관하여 명확히 하여야 한다. 둘째, 전문관제사의 파견·교환 근무를 통하여 관제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해상교통정보서비스 기관 간 관제시스템의 연계를 통해 상호정보교환이 용이하도록 한다. 넷째, 시설 및 장비의 유지·관리에 대하여 국가 및 지자체의 재정적 지원으로 원활한 해상교통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해상교통정보서비스의 법적·제도적 개선을 통하여 법적 타당성을 확보하고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제도를 갖추어 해상교통관제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해상교통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정신건강과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경로탐색

        이영주 한영신학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ental health status for female victims of a domestic violence and to examine correlation of social support on social adjustment of the victims.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oretical base and practical method on social support to improve social adjustment on female victim of a domestic violence. To achieve studying purpos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for 301 female housed in 31 shelters for domestic violence victim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t levels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their religions and self-respect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When their mental reliance came from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high degree of depression was shown and when their mental reliance came from neighbors, social worker and professional social work staffs, degree of depression was shown relatively low. Second, avoidance numbness and arousal reaction was increased and self-esteem was decreased. When depression was high, social adjustment was low, it decrease avoidance numbness and arousal reaction and when self-esteem was increased, because depression was lowered, it suggested that social adjustment could be increased. Thir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djustment, whil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High self-esteem enhanced social support, but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didn't affect the level of social support. However, the adjustment of social support was efficient to convert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to positive effect, and it has been lowered the influence of self-esteem. Therefore, the negative influence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was changed into positive pressure due to adjustment of social support. Finally, among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support, only informative support was found to be a factor which makes significant influence to social adjustment. The low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victims experienced and the higher they had self-esteem, the higher informative support wa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social welfare are as follow; First, by strengthening a role of social workers for female victims of the domestic violence as social supporters, they should be helpful for increasing social adjustment of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Especially, focusing to provide informational support among social supports, comprehensive service such as concrete information supply, connection between local society resource, etc that wer needed to increase social adjustment of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should be provided Second, among social support of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formation support had intermediation effect. Especially such intermediation effect decrease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erefore, by providing social support that female victim of domestic violence subjectively felt in various local social welfare system such as domestic violence advice office, mental health center, general welfare hall, self-support agency, etc,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hat can decrease negative mental health elements such as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etc should be practiced.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정신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키는 사회적 지지방안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실천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31개소의 가정폭력쉼터에 입소해 있는 301명의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에 따라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의지처가 가족이나 친지, 친구의 경우가 우울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웃의 경우와 사회복지사, 사회복지 전문요원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둘째, 회피마비와 각성반응이 증가하고, 자아존중감이 낮고, 우울이 높으면 사회적응은 낮아지고 있어 회피마비와 각성반응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우울을 낮춤으로써 사회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셋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우울은 사회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사회적 지지는 높아지고 있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우울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통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우울은 부정적 효과에서 긍정적 효과로 변화하고 있고, 자아존중감의 영향은 줄어들고 있었다. 따라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우울의 부정적 영향이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의해 긍정적 영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의 세부요인 중에서 정보적 지지만이 사회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적 지지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가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 실무자들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사회적 지지원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사회적응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사회적 지지 중 정보적인 지지(informational support)의 제공에 초점을 두고,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응력 증진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제공, 지역사회 자원연결 등의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중 정보적 지지는 사회적응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특히 우울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정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사회적 지지를 가정폭력상담소, 정신보건센터, 종합사회복지관, 자활기관 등 다양한 지역사회복지의 체계 내에서 제공함으로서 우울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의 부정적 정신건강요인을 약화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실천하여야 한다.

      • 해방 정국의 중도파의 좌우합작운동

        이영주 慶南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좌우합작운동은 해방 후 통일 민족국가수립이라는 당시의 한민족 최대 과제를 실천하기 위해 추진된 운동이다. 1945년 말 모스크바 삼상회의의 결정으로 인한 신탁통치 논쟁의 대두로 국내정치세력은 급속히 좌우로 양분되어 갔다. 국내 정국의 이 같은 좌우 양극화 현상은 제1차 미소공위 결렬 후 더욱 증폭되어 갔다. 해방정국의 이러한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당시 중도파는 좌와 우가 뜻을 모아야만 민족 최대의 과제인 통일민족국가 수립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좌우합작운동은 중도파의 이러한 현실인식 속에서 추진된 것이다. 그러나 좌우합작운동은 끝내 실패로 귀결되었고 나아가 한반도의 분단은 고착화되었다. 하지만 합작운동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당시 좌우합작운동에서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이는 합작을 추진하였던 중도파의 올바른 현실인식과 해결방안이 70년이 경과한 현재에도 분단국가로 남아있는 한민족에게 적지 않은 점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해방 정국에서의 중도파의 현실인식과 통일민족국가 수립 방안이 아직도 현재성을 갖고 있다는 인식하에 착안하였다. 해방 후 남한에서 유일한 정부임을 자처했던 미군정은 좌우합작을 지지하고 후원한 세력이었다. 하지만 미군정이 합작을 지원한 목적은 어디까지나 1차 미소공위를 앞둔 시점에서 소련과의 회담에서 자국이 유리한 입장에 서기 위함이었다. 따라서 이는 통일민족국가를 건설하고자 합작을 추진한 중도파의 목적과 서로 상충되지 않을 수 없었다. 한편 남한의 우익과 좌익은 합작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이승만은 합작이 한창 진행되고 있을 당시 공공연히 남한 단정론을 주장하였으며, 김구는 중경 임정의 법통론을 고수하면서 정국의 중요한 분기점마다 반탁운동을 주도하여 혼란을 가중시켰다. 좌익세력은 합작 초부터 ‘민전 5원칙’을 내세워 합작에 반대하며 합작운동의 큰 방해세력으로 존재하였다. 좌우합작운동에 호의적이지 않은 정국 속에서도 당시의 중도파는 올바른 현실인식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중도파는 미국과 소련에 의존적이었던 극우와 극좌 세력들과는 달리 자주적이고 현실적인 문제해결방식을 제시하였다. 신탁통치문제로 좌우가 극렬히 대립할 당시 중도파는 선임시정부의 수립, 후 신탁문제의 자주적 해결이라는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소공위에 대해서 좌우합작과 과도입법기구 참여라는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인 방안을 택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한반도는 해방된 지 70여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세계유일의 분단국가로 남아있다. 따라서 당시의 민족의 최대 과업인 통일정부의 수립은 아직도 우리의 과제로 현존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당시 중도파가 제시한 민족통일전선의 일환인 좌우합작운동은 여전히 역사적 현재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아직도 이데올로기적 간극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현실에서 해방정국의 중도파의 통일민족국가 수립과 민족통합을 달성하려는 노력은 재음미되어야 할 필요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노력의 실마리를 푸는데 조금이라도 기여해 보고 싶은 마음에서 작성되었다. The left-right joint movement was a campaign to promote the nation's greatest task in the era of establishing a unified national nation after liberation. With the rise of the debate on the trusteeship ruled by the decision of the Moscow Tripartite Summit in late 1945, domestic political forces were rapidly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arties. This polariz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has been further amplified after the first breakdown of the microcircuits. In the midst of this complex and confusing situation of the emancipatory politics, the center-backs thought that if the left and right had to gather, it would be possible to achieve the nation's greatest task,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nation-state. The left and right joint move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awareness of this reality of the middle class. However, the left and right joint movement ended in failure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came fixed. However, in spite of the failure of the joint venture, we can learn many lessons from the joint venture at the time. This is because the right-wing recognition and solution of the midway wave that promoted the joint venture suggests a considerable amount to the Korean people who remain as a divided nation even after 70 years passed. Therefore,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reality of the middle class in the emancipatory country and the idea of ??establishing a unified national nation still exist. After the libera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ich claimed to be the only government in South Korea, supported and supported the left-right joint venture. However, the purpose of the US military support for the joint venture was to stand in a favorable position in the talks with the Soviet Union at the time of the first smile. Therefore, it could not but be in conflict with the purpose of the midwayers who pursued a joint venture to build a unified nation state.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s right wing and left wing were not active in a joint venture. In the course of the joint venture, Rhee openly insisted on the South Korean monotheism. Kim guided the lawsuits of Chongqing Imjung and led confrontation by leading the opposition movement at every major branch of the political circle. The left-wing forces have been a major obstacle to the joint movement since the beginning of the joint venture, protesting the "Five principles of mining war". Even in the non-hostile countries in the right and left collaborative movements, the centrists at that time suggested correct perception and solutions. Unlike extreme right and leftist extremists who were dependent o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the centrists presented an independent and realistic way of solving problems. When the opposi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was fiercely opposed by the issue of trusteeship, the midway party proposed a realistic alternative to establishing the municipal government and solving the issue of the trust after independence. In addition, they have tried to strengthen their political influence by adopting concrete and realistic methods of participating in bilateral cooperation and transitional legislation. Although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liberated over 70 years, it still remains the only divided nation in the world.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unification government, which is the greatest task of the nation at that time, still exists as our task. In this reality, the left-right joint movement, which is part of the national unification front proposed by the middle-class people at the time, still has a historical current. In the reality that is still not free from ideological gap, it seems that the efforts to achieve national unification and national unification of the center of the emancipatory countries and the national unification are enough. Based on these assumptions,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desire to contribute a little to solving the clues of effort.

      • 미래수요 대응형 국립공원 야영장 조성·관리 방안 : 야영장 이해집단 인식을 중심으로

        이영주 상지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이며 여가권 시대 대국민에게 휴식과 휴양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써 그 가치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인들의 경제, 사회, 문화 등 삶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감염에 대한 공포로 국가 간 이동제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여가활동에도 여러 가지 제약과 변화가 동반되었다. 국내 여가 트렌드도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하고자 산, 바다 등 자연휴양지를 방문하는 경향이 늘고 있으며, 개인차량을 이용한 소규모 국내 여행으로 변하고 있다. 다양한 여가활동 중 특히, 캠핑은 자연친화적 야외활동으로 상대적으로 감염 위험성이 낮고 자연과의 교감이 가능하며 동반자와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어 최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대국민 야외 휴양공간인 국립공원은 이런 사회·환경적 변화와 국립공원 방문수요 증가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국립공원 야영장 이용객과 관리자 등 국립공원 야영장 운영 관련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야영장 이용 실태조사 및 인식을 분석하고 이에 기반한 미래수요 대응을 위한 국립공원 야영장 조성과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지는 국립공원공단에서 운영하는 16개 국립공원 내에 있는 20개의 야영장이며, 야영객 615명과 관리자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립공원 야영장은 가족단위의 친밀한 소규모 형태의 방문유형이 주를 이루고, 서울·경기지역 거주자로 4년제 이상의 고학력자와 월평균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의 방문이 많았다. 거주지에서 야영장까지 평균 차량 이동거리가 2시간 이상인 야영객이 가장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먼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여 국립공원 야영장을 방문하는 이유로는 ‘휴식/휴양’, ‘가족 및 친구들과 좋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정서적 안정/스트레스 감소를 위해’의 순으로 나타났다. 야영객과 관리자 모두가 중요시하는 야영장의 조건으로는‘안전한 환경’,‘야영장의 주변 경치·경관’순으로 나타났으나 야영객의 경우 야영장 주변의 경치·경관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시했고, 관리자의 경우 안전한 환경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시했다. 두 집단 간 공통으로 중요시하는 야영장 시설로는 ‘이용 편의시설’,‘안전·위생 관련 시설’순으로 나타났으나 야영객이 관리자보다 편의시설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했고, 관리자가 야영객보다 안전·위생 관련 시설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립공원 야영장 이용 시 가장 만족하는 사항으로는 야영객은 ‘친환경성’, ‘고요하고 조용한 분위기’순 임에 비해 관리자는‘저렴한 요금’,‘친환경성’순으로 조사되어 두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가장 불편하거나 개선되어야 할 우선 사항으로는 야영객은 ‘소음 및 혼잡 등 이용객 관련 공해’, ‘시설 낙후 및 미비’순으로 나타났지만, 관리자는‘공동이용 관련 사항’,‘소음 및 혼잡 등 이용객 관련 공해’순으로 두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미래 국립공원 야영장의 조성과 관리 초점이‘친환경성 유지를 위한 자연자원의 유지와 보전 노력’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국립공원 야영장은 시설 중심의 도심 인근의 민간 야영장과는 차별화된 자연자원 중심의 야영체험 질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미래수요 대응형 국립공원 야영장 조성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립공원은 시설 중심의 양적 관리보다는 우수한 자연환경이 주는 경치, 경관이 잘 유지될 수 있도록 자연·생태환경 중심의 질적 관리에 신경써야한다. 둘째, 날로 높아지는 안전 및 위생에 관한 야영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수준의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우리 사회의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이용행태와 수요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 가능한 관리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이용시설의 질적·효율적 관리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국립공원 휴양의 질 유지와 지속가능성을 위해 탄소중립을 위한 보다 실천적이고 다각적인 국립공원공단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이 2022년 5월 한 달간의 국립공원 야영객에 제한되어 계절별 이용 특성을 모두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국립공원 유형에 따른 야영체험과 이용의 차별성을 반영하지 못한 일반화도 연구의 한계라 할 수 있다. 향후 계절별, 국립공원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보다 정밀한 후속 연구가 요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