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과 사례옹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이영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Regardless of the organization, the attitude of the organization members towards their jobs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the organizational goal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have been used as variables to measure job attitudes in research to find out positive effects of the organization The job-related attitude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operation of an organization is also mentioned as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organization's performance in human service area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ing their services for people by social workers and users. Accordingly, the job-related attitudes of the social worker who is in charge of it crucially influence the job performance including service quality. Meanwhile, the ethical value recognized by the social worker is very important for performing social welfare tasks. Social workers should conduct with user rights advocacy as their top priority values, and ethical and responsible conducts should be accompanied more than any other professions. For that,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social workers is an important judgment criterion when they select an alternative to solve a problem on their job.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social workers has a direct influence on determining user advocacy, and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user satisfaction. Human rights violations due to the lack of human rights sensitivity can be the cause of reducing not only the user satisfaction of service but also social worker's sense of accomplishment, and ultimately can be the cause of having turnover intention by decreasing voluntary behaviors and attachment for the organization. In such ways, social worker's human rights sensitivity influenc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user advocacy. For these reasons alone, identify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case advo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can be significant for promoting the importance of user advocacy, which is the ultimate value of social welfare, and creating a human rights friendly job environmen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ath between social worker'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case advo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attention give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ights of social workers and their work.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n social workers among the employees at organizations relateted social welfare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rea, and the final 434 responses were analyzed. Data checking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18.0 and AMOS WIN 18.0.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used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case advo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used as endogenous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after constructing a research model and investigating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s human rights sensitivity on turnover intention with job satisfaction as a medium was significant. Second, social worker's human rights sensitivity were found to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serving as a medium. Third, social worker's human rights sensitivity were found to influe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ith case advocacy serving as a medium. Fourth, social worker's human rights sensitivity were found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ith case advocacy serving as a medium.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first,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to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heory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job-related attitude by sugges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as a fundamental factor that social workers to have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n the basis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ory. Second, provided a basis that can explain in more depth the complex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mong human rights sensitivity, jo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n case advocacy of social workers. Third, suggested the importance of advocating user rights and creating human rights friendly work environment, and contributed to proposing the grounds for planning practical policy strategies needed for it. Practical implications are, firs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epared for promo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of social workers. Second,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small groups on a long-term basis rather than short-term compulsory education. Third, education methods by characteristics should be investigated for the human rights susceptibility education to be effective. Fourth, education on human rights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level should be considered. Fifth, establishment of advocacy support system by institution to activate social workers' advocacy is necessary. Sixth, the solidarity activities of human rights implementation network among institutions should be expanded to create a human rights friendly work environment. Seventh, establishing various evaluation criteria for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is necessary. Eighth,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that train social workers needs to select human rights sensitivity education as a compulsory subject. Ninth, a policy trial that includes human rights sensitivity as an educational content starting from elementary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an all-round education is necessary since human rights sensitivity is the value that should take precedence in all areas of human life. Through the present study,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workers' human rights sensitivity, case advo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identified. Nevertheless, the present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to the entire social workers can be limited sinc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only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Second, the present study used only the episodes that social workers are likely to encounter as a human rights sensitivity meas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work, a more accurate analysis needs to be performed by developing a specialized scale with sufficient considerations given to the variety of social welfare practice in the future. Third, a follow-up study tha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r advocacy with a more various social welfare implementation other than the job since they are important variables in implementing social welfare. Key words: human rights sensitivity, case advo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mediating effect 어떤 조직이든 조직구성원이 직무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지가 조직이 추구하는 성과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는 조직의 긍정적 효과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에서 직무태도를 측정하는 변수로 활용되어 왔다. 휴먼서비스 영역의 조직도 마찬가지로 조직을 운영하는데 구성원들의 직무관련 태도가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사회복지조직은 사람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와 이용자에 의해 서비스가 생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관련 태도는 서비스 질을 포함한 직무성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편 사회복지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윤리적 가치는 매우 중요하다. 사회복지사는 이용자의 권익옹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행동해야 하며 다른 어떤 전문직보다도 윤리적 책임행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때 사회복지사가 실천현장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선택할 때 사회복지사가 가지고 있는 인권감수성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은 이용자 옹호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용자만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인권감수성 부족으로 인해 일어나는 인권 침해는 이용자의 서비스만족은 물론 사회복지사의 직무에 대한 성취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조직을 위한 자발적 행위와 애착을 감소시켜 결국 이직의도를 갖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렇듯 사회복지사가 갖는 인권감수성은 이용자에 대한 옹호를 통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이유만으로도 인권감수성과 사례옹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사회복지의 궁극적 가치인 이용자 옹호의 중요성을 알리고 친인권적 직무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인권과 직무 사이의 관계에 주목하면서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과 사례옹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에 경로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사회복지 관련 기관 종사자 중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총 43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에 대한 점검과 분석은 SPSS WIN 18.0과 AMOS WIN 18.0을 이용한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에 사용 된 외생변수로 인권감수성과 내생변수로 사례옹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가 사용되었다.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검증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은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은 사례옹호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은 사례옹호를 매개로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함의는 첫째,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갖추어야할 기본적인 요인으로 인권감수성을 제시하고 조직행위론을 근거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인권감수성과 직무관련 태도 사이의 이론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사례옹호에 대한 매개적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인권감수성과 직무에 대한 만족, 몰입, 이직의도 사이의 복잡한 인과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셋째, 사회복지실천의 궁극적 가치인 이용자권리옹호와 친인권적 직무환경조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이에 필요한 실천적 정책적 전략을 구상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기여하였다. 다음으로 실천적 함의는 첫째,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인권감수성 교육은 단기의 의무교육이 아닌 장기적인 소규모 교육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인권감수성 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개인특성별 교육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넷째, 인권감수성에 대한 권리의식 수준별 교육이 고려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사의 옹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관별 옹호지원체계구축이 필요하다. 여섯째, 친인권적 직무환경 조성을 위한 기관 간 인권실천네트워크 연대 활동이 확대 되어야 한다. 일곱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대한 다양한 평가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여덟째, 대학교육을 포함하여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모든 교육기관은 인권감수성교육을 필수과목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인권에 대한 민감성은 인간이 살아가는 모든 부분에서 우선 되어야 하는 가치이므로 전인교육 차원에서도 초등학교부터 교육내용으로 포함되는 정책적 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과 사례옹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사회복지관련 시설을 중심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체사회복지사로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인권감수성 척도를 사회복지사가 접할 가능성이 있는 에피소드 만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향후 사회복지 직무 특성상 사회복지현장의 다양성을 충분히 고려한 전문척도를 개발하여 보다 정확한 분석을 수행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실천에서 중요한 변수인 만큼 인권감수성이나 옹호가 직무 이외의 좀 더 다양한 사회복지실천과 그 연관성을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 科學的 推論領域과 社會的 認知領域에서 認知發達의 系列性과 同時性에 관한 硏究 : 次元期 兒童을 中心으로

        이영순 忠南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유사한 순서적 발달계열의 존재, 연령별 도달 가능한 발달수준, 연령별 과제간의 발달속도의 동시성, 그리고 개인의 여러 과제에서의 발달의 비동시성 등이 종족과 문화를 초월하여 존재하는지 구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차원기에 속하는 아동 중 차원기 수준 0에 속한다고 판단되는 유아원생(3.9세)과 차원기 수준 1, 2, 3 각각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국민학교 1학년(6.7세), 3학년(8.6세), 5학년(10.6세) 각 20명 (남:10, 여:10)씩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과학적 추론을 측정하는 Noelting의 주스배합과제, 사회적 인지를 측정하는 Marini의 생일파티과제, 그리고 李榮淳과 金言柱에 의해 고안된 사회적 인지를 측정하는 보상분배과제 등이었다. 검사실시는 개별검사로써 각 과제당 소요시간은 40분이고, 따라서 한 어린이당 2시간이 소요되었다. 전체 어린이 80명을 검사하는 데 총 160시간이 소요되었다. 실험은 예비실험과 본 실험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각 과제별로 측정기준이 작성된 후 측정기술을 익혀 실험에 임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사용된 통계적 방법은 빈도, 퍼센트, 평균, 표준편차, 적률상관계수, 채점자내 신뢰도, 변량분석 등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과제에서 차원기 아동들이 보여준 수행은 하위발달수준 0(착생기)부터 시작하여 하위발달수준 1(1차 통합기), 하위발달수준 2(2차 통합기), 하위발달수준 3(정교화기)순으로 진행되었으므로 발달의 계열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연령별로 도달 가능한 발달수준을 측정한 결과 유아원과 국민학교 1학년의 경우는 이론적으로 예언된 수준보다 높은 성취를 보인데 반하여 3학년과 5학년의 경우는 세 과제 모두에서 이론적으로 예언된 성취와 실제 얻어진 성취가 유사하였으므로 수행수준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부분부정, 부분긍정 되었다. 그리고 연령별 각 과제간의 발달속도는 동시성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차원기 아동들이 각 학년에서 각 과제간에 약간의 편차는 있으나 거의 비슷한 성취수준을 보여주었다. 또한 각 아동의 여러 과제에서의 성취수준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과제간 동시성을 보여주는 아동의 비율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한 단계분할을 보여주는 아동 비율이었다. 과제간의 동시성을 볼 때 인지과제와 사회과제 간에 보여주는 동시성 보다도 사회과제와 사회과제 간에 보여주는 동시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인지발달에 있어 문화를 초월하여 수직구조와 수평구조가 존재한다는 것이 구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test Case's neo-Piagetian Theory in Korean culture. The hypotheses exam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performance on each of the Juice-Mixing Task, the Birthday Party Task, and the Reward Sharing Task would follow a progression from level 1 to level 4, with most children passing the level 1 task and progressively fewer of them level 2, 3, and 4 (existence of an ordinal developmental sequence); ② Level l, 2, 3, and 4 of the three tasks would be passed by the majority of the children at grade JK, l, 3, 5, respectively (age appropriate performance); ③ The children at each grade would perform at the same level on all three tasks (parallels in rate of development across the tasks); and ④ Although the majority of children perform at the same level on the three tasks, a substantial percentage would perform at one level different across the three tasks(domain-specific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eighty children between 3 and 11 years of age, twenty at each of following four grade levels: junior kindergarten(JK), grade 1, 3, and 5. The mean chronological age for each grade was: JK, 3 9 years(SD=0.31); grade 1, 6. 7 years(SD=0.22); grade 3, 8.6years (SD=0.30); grade 5, 10.6 years (SD=0.25). The Noelting's Juice-Mixing Task was used to assess scientific reasoning and the Marini's Birthday Party Task was used to assess social cognitive understanding. And the Kim and Lee's Reward Sharing Task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concept of distributive justice. Prior to the formal testing session, the author spent several days in the children's classrooms, familiarizing herself with the student and thus making the upcoming testing session easier to approach. Each task was administered by the present researcher on an individual basis, The testing session took place in a private room at the child's school. There was no specific time limit on the duration of a session. However, each task lasted from 15 to 20 minutes, depending on the child. An entire session thus lasted between 45 to 60 minut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①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children succeding on the Juice-Mixing task decreased as the level of task complexity increased. A similar sequence of performance was observed on the Birthday Party and the Reward Sharing Task.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no instances where the child who failed level 1 would pass level 2, 3, or level 4. Then, the hypothesis of a similar sequence of performance across the three tasks was confirmed. ② The results revealed that Level 1, 2, 3,and 4 of the three tasks were passed by the majority of the children at grade JK, 1, 3, 5, respectively Thus, the second hypothesis of age appropriate performance was confirmed. ③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performance on each of the three tasks was very similar, An ANOVA showed no task effect [ F(2,216)=.833, p>.05] or interaction [ F(6,216)=1.752, p>.05] and a strong age effect [ F(6,216)=179.268, p<.01]. Thus, the third hypothesis of parallels in rate of development across the tasks was confirmed. ④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performing at one level different between the Juice-mixing Task and the Birthday Party Task, between the Juice-mixing Task and the Reward Shoring Task, and between the Birthday Party Task and the Reword Sharing Task were 43%, 44%, and 9%, respectively. Thus, the fourth hypothesis of domain-specific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was confirm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yond culture and race, development can he characterized as having "horizontal structure", that is, as progressing through a similar sequence, and at a similar rate across domains.

      • 유아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멘토링기법이 유치원 통합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이영순 공주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아특수교사와 통합교육교사의 멘토링기법이 유치원 통합교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이영순 지도교수 : 곽 승 철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유아특수교사와 통합교육교사의 상호 이해 및 협력관계를 알아보고,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적절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기법이 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상호이해와 협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멘토링기법이 통합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작성한 질문지와 심층면접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이 있는 특수학급 교사를 멘토로 하고 통합교사를 멘티로 짝을 이루어 멘토링 장학을 실시하는 유치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공립유치원에 특수학급이 있는 특수교사 13명과 통합학급교사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는 유치원 방문 및 전자메일을 통해 3월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6월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은 유치원 6개원을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동일 집단 전후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관계와 관련하여, 통합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멘토링기법을 적용하기 전보다 적용을 한 후에 두 교사 간의 협력관계가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멘토링 기법 적용 이후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차이 없이 상호이해 및 협력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통합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하여 장애유아 특성 이해, 개별화프로그램 운영, 문제 행동대처 모두가 통합교사에게 멘토링기법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도 통합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멘토링기법은 통합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 미용실 종사자의 역할에 따른 보상유형이 장기근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순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ffects of compensation type and store awareness on the long - term intentions of beauty shop workers according to the roles of beauty shop workers. For this, a total of nine hypothesized research models were established and verified. 2 × 2 × 2 group interactions designed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role of hairdresser (hair designer, step), compensation type (cognitive reaction induction compensation, emotion response induction compensation), and store awareness (high, low) was conducted as a scenario technique by 248 people.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in tthe long - term intentions of beauty shop workers. ANOVA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echnology were used for analysis of data. Analysis shows that hair designers have higher intention of long-term service than staff. And regardless of the role of a hair salon worker, providing emotion response induction compensation to both hair designers and staff is more effective for long-term employment than for providing cognitive reaction induction compensation In addition, hair designers showed higher long-term service intention when the store awareness was high, but in the case of staff,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long-term service depending on whether it was a store. Finally, in the case of low store awareness, the emotional response induction compensation in the hair designers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ognitive response induction compens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ng term servi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type in the staff group. Although human factors were key in the beauty industry and their long-term service intent was essential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beauty salons,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effective compensation methods.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s strategic methods for applying the image of the store in addition to compensation methods to employees ' long-term service intent and the effective alternative measures were derived by dividing them into designers and staff. Key Word : the roles of beauty shop workers, compensation type, the image of the store, the long-term service intention 본 연구는 미용실 종사자의 역할에 따른 미용실 종사자의 장기근속의도에 보상유형과 점포인지도가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총 9개의 가설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284명을 대상으로 미용실 종사자의 역할(헤어 디자이너, 스텝)과 보상유형(인지반응유도보상, 감정반응유도보상), 점포인지도(높음, 낮음)을 독립변수로 하는 2×2×2 집단 간 실험설계로 구상하여 시나리오 기법으로 실험하였다. 종속변수로는 미용실 종사자의 장기근속의도로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분산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헤어 디자이너의 경우가 스텝의 경우보다 장기근속의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미용실 종사자 역할에 관계없이 헤어 디자이너와 스텝 모두에게서 감정반응유도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인지반응유도보상을 제공하는 것보다 장기근속의도에는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헤어 디자이너의 경우에는 점포인지도가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장기근속의도는 더 높게 나타났으나 스텝의 경우에는 점포인지도에 따른 장기근속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점포인지도가 낮은 경우에는 헤어 디자이너의 집단에서는 감정반응유도보상이 인지반응유도보상보다 장기근속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스텝의 집단에서는 보상유형에 따른 장기근속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용 산업은 인적 요소가 핵심이며 이들의 장기근속의도는 미용실의 유지 및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보상방법 관련 연구는 부족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미용실 종사자들을 디자이너와 스텝으로 구분하여 효과적인 대안을 도출하였다는 점과 종사자들의 장기근속의도에 보상방법 외에 점포의 이미지를 적용하여 전략적인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둔다. 주요어: 미용실 종사자의 역할, 보상유형, 점포이미지, 장기근속의도

      •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육 실행연구

        이영순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장 교사인 연구자가 동작수업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실행한 연구의 과정을 살펴보고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교사 지식의 변화를 서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동작수업 능력 향상을 위한 실행연구의 과정은 어떠한가? 2.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동작교육 지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S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교사인 연구자가 만 4, 5세 혼합연령인 1학급 유아 14명을 대상으로 한 실행연구이다. 연구 기간은 2016년 3월 24일부터 10월 1일까지이며 연구 기간 동안 동작수업 35회, 저널 작성 35회, 전문가 수업컨설팅 12회를 실행하였고, 문서자료(수업안, 컨설팅 전사자료) 및 수업녹음, 수업녹화자료(동영상 32개, 녹음자료 3개) 등의 자료를 다각적인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유혜령(1998)이 사용한 연구방법론을 참조하여 여섯 단계로 자료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동작수업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실행연구 과정에서 연구자는 동작활동의 위계성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유아들이 동작의 기초영역과 응용영역을 모두 경험할 수 있도록 균형 잡힌 동작활동 계획을 세워 1차, 2차 동작수업을 실행하였다. 실행기간 동안 연구자는 전문가의 수업 컨설팅을 통해 실행한 동작수업을 평가하고 수업을 성찰하였다. 둘째, 실행연구의 과정에서 교사의 지식 즉, 동작교육에 대한 교과내용 지식, 교육학적 지식, 상황적 지식이 모두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동작수업 실행과정과 동작교육 지식의 변화는 동작교육을 실행해보고자 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염지관명상이 기혼여성의 우울과 분노정서에 미치는 영향(단일대상연구)

        이영순 동방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 C씨를 대상으로 염지관명상이 우울과 분노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자는 위의 목적을 위하여 염지관명상 프로그램을 호흡명상, 느낌명상, 동작명상의 세 하위영역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 ABAB 실험설계가 사용되었다. 제1기저선 단계에서 사전면담과 측정을 하고, 1차 개입인 8회기(40일간)를 진행하였다(B1). 51일간 염지관명상의 개입을 중단(A2)하였다가 2차 개입으로 8회기(41일간)를 다시 실시하였다(B2).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염지관명상은 기혼여성 C씨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1차의 우울정도가 급격하게 변화한 반면 2차에서는 우울정도가 감소된 것이 유지되는 효과를 보였다. 둘째, 염지관명상이 기혼여성 C씨의 분노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1차와 2차 개입에서 모두 분노표현수준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셋째, 염지관명상의 실시결과 호흡명상은 내담자에게 고요함, 안정감, 집중력을 강화시켜주고, 느낌명상은 느낌과 감정을 자각하고 수용하여, 거기에서 벗어나도록 하였고, 동작명상은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고, 심신의 건강을 회복시켰다. 본 연구는 알아차리고, 머물러, 지켜보는 염지관명상이 기혼여성 C씨의 우울과 분노의 감정을 다스리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단일대상연구는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염지관명상의 심리치료 분야에 대한 구체적 접근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염지관명상 프로그램 개발에 참고가 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