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詩)를 통한 효문화 진흥 및 인성함양에 관한 연구 : '7행의 효'를 중심으로

        이영숙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효문화 진흥 및 인성함양에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내용은 ‘7효’를 중심으로 시(詩)를 적용하여 효인성함양을 드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효문화 진흥 및 인성함양을 위하여 ‘7효’적 관점에서 문제를 분석한 후, 이를 시에 적용 하여 시에 함축된 요소로 효인성함양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전개는 서론에서 연구방법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제Ⅱ장에서는 효와 문화, 인성과 시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제Ⅲ장에서는 7효적 관점에서 본 효인성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7효’에 시를 적용하여 효인성함양을 모색하였으며, 제Ⅴ장에서는 연구요약을 바탕으로 결론을 지었다. 이와 같은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천의 효인성에서는 일부 종교지도자의 일탈행위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해인의 시 ‘살아있는 날’과 윤동주의 ‘서시’를 감상하면서 양심과 하늘에 한 점 부끄럼 없는 삶을 사는 것이 경천의 효인성함양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둘째, 부모·어른·스승공경의 효인성에서는 노인학대 문제를 살펴보았다. 박재삼의 ‘추억에서’, 백석의 ‘고향’, 이영숙의 ‘소녀의 고향’, 무헨리 반다이크의 ‘무명교사의 예찬사’라는 시를 적용하여 부모와 어른, 스승공경의 마음을 다지는 효인성함양을 제시하였다. 셋째, 자녀·어린이·청소년·제자사랑의 효인성에서는 아동학대 문제를 살폈다. 이에 천양희의 ‘한 아이’라는 시와, 도로시 로 놀테의 ‘아이들은 생활 속에서 배운다.’라는 시를 적용하여 순수하고 천진한 아이들의 올바른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 하며 어린이들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노력하고 불행하지 않도록 헌신하며 사랑하는 것이 효인성함양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넷째, 가족·친인척 사랑의 효인성에서는 1인 가구와 이혼율 증가 문제를 살펴보았다. 두보의 ‘달밤’, 유호의 ‘전선야곡’을 감상하면서 그리운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이 가족·친인척 사랑의 효인성함양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나라·국민사랑의 효인성에서는 분단국가로서의 안보문제를 살펴보았다. 조태일의 ‘국토서시’와 구상의 ‘초토의 시 8-적군 묘지에서’라는 시를 적용하여 동족상잔의 아픔을 보면서 나라·국민사랑의 효인성함양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생명존중·자연사랑·환경보호의 효인성에서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수준의 자살과 살인 범죄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영숙의 ‘자연 그대 품에’와 전상렬의 ‘보이지 않는 힘’이라는 시를 적용하여 생명의 중요성과 거룩한 자연의 섭리에 대하여 경건함을 느꼈다. 이와 같은 생명존중·자연사랑·환경보호가 효인성함양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일곱째, 이웃사랑·인류봉사의 효인성에서는 이웃과의 분쟁과 단절 문제를 고민해 보았다. 최두석의 ‘성에꽃’, 안도현의 ‘너에게 묻는다.’라는 시를 적용하여 헌신과 봉사정신으로 이웃을 사랑하면서, 인류봉사로 확장하는 것이 이웃과 인류봉사의 효인성함양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효문화진흥 및 효인성함양을 위한 자극의 중요한 모티브는 시에 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인간이 울고 웃고, 슬픔과 행복을 느끼는 것은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아름다운 시어 하나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따라서 정신적 가치문화의 진흥과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시공부와 문화예술참여를 위하여 돈과 시간을 투자하는 것도 삶의 질을 높인다고 할 수 있다. 효인성을 ‘하늘․부모․어린이․이웃․나라․자연․인류’로 확장시켜 나갈 때 효문화는 세계문화유산이 될 것이다. 이에 바탕 한 효인성 함양은 가정과 사회, 국가와 자연 등 인류의 모든 공동체를 결속시킬 수 있는 유일한 열쇠라는 것을 본 논문에서 밝혔다.

      • 순회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상호이해와 협력에 대한 인식

        이영숙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Inclusion philosophy has been influenced recently in the all education environment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ed the effective education support system toward inter-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itinerant and inclusion teacher. Three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itinerant education, six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elementary school which meaned inclusion education environment.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ivided into two parts such as necessary and developmental methods on inter-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itinerant and inclusion teacher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wo groups of the teachers indicated positive attitudes in necessary of the inter-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itinerant and inclusion teacher; and (b) the two groups of the teachers indicated negative attitudes in the situation on the inter-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itinerant and inclusion teacher.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two groups of the teachers had to endeavor to increase the positive inter-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itinerant and inclusion teacher.

      • 생강 부위별 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 생리활성 연구

        이영숙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생강 부위별 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 생리활성 연구 이영숙 지도교수 : 유민정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화장품 시장에서는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에 대한 선진국들의 움직임에 의해 합성 원료의 시장성이 축소되고 화장품에 있어 친환경적이고 생리활성 성분을 갖는 천연 원료 개발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강 부위별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효과, 항염증효과, HaCaT 세포 보호효과, 항히스타민효과, 모유두 세포 증식효과, 피부질환 원인에 대한 항균효과 그리고 소취효과를 확인하였다. 생강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실험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생강 잎 추출물은 각각 170.22, 98.52 μg/mL, 줄기 추출물은 120.27, 70.26 μg/mL의 함량이 확인되었다. 뿌리 추출물은 146.14, 46.12 μg/mL의 함량이 확인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400 μg/mL의 농도에서 생강 잎 추출물은 88.78%, 줄기 추출물은 70.12%, 뿌리 추출물은 65.52% 으로 확인되었다. SOD 유사활성은 생강 잎 추출물이 65.22%, 줄기 추출물은 57.53%, 뿌리 추출물은 50.21%의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생강 잎 추출물이 88.26%, 줄기 추출물은 70.73%, 뿌리 추출물은 64.13% 으로 확인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생강 잎 추출물이 67.22%, 줄기 추출물은 58.53%, 뿌리 추출물은 53.21% 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효과 측정한 결과 생강 부위별 추출물 중 생강 잎 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가 확인되었다. 항염증효과는 100 μg/mL 농도에서 생강 잎 추출물은 12.18±1.08 μM/mL, 줄기 추출물은 13.98±1.24 μM/mL, 뿌리 추출물은 15.27±0.68 μM/mL의 NO 생성 억제능이 확인되었다. TNF-α 분비량 측정 결과 100 μg/mL의 농도에서 생강 잎 추출물은 282.2 pg/mL, 줄기 추출물은 328.6 pg/mL, 뿌리 추출물은 380.7 pg/mL로 분비량이 감소하였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세포내의 iNO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LPS 단독 처리 시에는 iNOS 단백질의 발현량이 유도 되었으나, 생강 잎 추출물 iNOS 발현량이 가장 높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 생강 잎 추출물이 항염증효과에 가장 높게 관여하는 것이 확인되어 천연 항염증 물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확인되었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HaCaT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는 100 μg/mL 농도에서 생강 잎 추출물은 82.18%, 줄기 추출물은 78.98%, 뿌리 추출물은 70.27%의 생존율이 확인되어 생강 잎 추출물이 32%의 보호효과가 확인되었다. 항히스타민 저해효과는 RBL-2H3으로부터 β-hexosaminidase의 방출 억제를 조사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생강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은 각각 51.57, 58.35, 70.36% 으로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모유두 세포의 증식효과는 생강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을 72시간 배양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생강 잎 추출물은 158.63%, 줄기 추출물은 140.41%, 뿌리 추출물은 132.40 %까지 세포 증식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생강 잎은 58%의 모유두 세포 증식효과가 확인되어 모발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강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효과는 생강 잎 추출물이 S. aureus, S. epidermidis, P. acnes, P. ovale, M. furfur, C. albicans, T. mentagrophytes에서 항균효과가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암모니아에 대한 생강 부위별 추출물의 소취효과를 평가한 결과 30분부터 생강 잎 추출물은 96%, 줄기 추출물은 93%, 뿌리 추출물은 83%의 소취효과가 나타났으며, 120분에는 생강 잎 추출물은 98%의 소취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생강 부위별 추출물 중 잎 추출물이 항산화효과, 항염증효과, HaCaT 세포 보호효과, 항히스타민효과, 모유두 세포 증식효과가 가장 우수 하였으며, 7종의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도 우수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취효과에서도 생강 잎 추출물이 가장 높은 소취효과가 확인되어 생강 잎 추출물은 화장품 소재로 기능성이 확인되었다.

      • 통합교육에서 일반 청소년의 장애 청소년 수용태도에 대한 연구

        이영숙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purposed on understanding how general teenagers indicate disable people and accept them and to analyse that result so that make the general teenagers can understand disable people. From those reasons, this study made those critical mind as starting point, how general teenager thinks about disable teenager under integrated education field, both general and disable teenagers can communicate well, what do they need to exchange each other, and how integrated education makes disable teenager changes his consciousness about social integration.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general inclination about recognition of disabilities and attitude of acceptation, because of a prejudice, affection, experience of helping disable student exceeds normal standard, so that generally it's positiv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 difference according to integrated education, it turns out there is no attentive difference among all the three reasons according to classify integrated class. In other word, no matter of integrated class and non-integrated class, it is almost same that student's recognition of disabilities, therefore,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integrated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disabilitie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attitude of acceptation according to integrated education, non-integrated class's result is lower than integrated class in attitude of acceptation and all the lower rank factors. Therefore, integrated class's students' attitude of acceptation is more positive, so integrated education influences attitude of acceptation about disable peopl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recognition of disable as a frequency of contacting disable people is getting higher, statistically,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in contacting disabilities education at home. The average disabilities education for the students who live with disable people is 50.21 which is higher than the students who don't live with disable people 44.35.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if a frequency of contacting disable people is higher, attitude of acceptation is positive, difference in attitude of acceptation according to a frequency of contacting disable people is only make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contacting called 'intercourse' in the local community. Therefore, for the students who get high chance to contact with disable people have a positive mind on part of attitude of accepting called intercourse. However, in the other case, there is no remarkable difference statistically. Therefore, there is a partly correlation between a frequency of contacting and recognition of disabilities.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recognition of disabilities and attitude of acceptation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and grade, statistically, only attitude of acceptation's difference is meaningful. For the attitude of acceptation about disable student, generally, female students are more positive than male students. However, recognition of disabilities doesn't have any correlation between gender. Moreover, there is no correlation among student's grade, recognition of disabilities, and attitude of acceptation.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attitude of acceptation and recognition of disabilities, it turns out prejudice in recognition of disabilities is related to attitude of acceptation. However, interrelation's amount, interrelation's intensity was pretty low. It means if students have positive mind on disabilities, attitude of acceptation towards to disabilities is also positive. However, it's hard to beg the question that recognition of disabilities is highly related to attitude of acceptation. When you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factors, only friendliness in recognition of disabilities .155's l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of acceptation's acquaintance. There is no other correlation between other factor. From the result that comes from this study, there are some proposal. First, this study only limited the high school student from Kang-Suh-Gu, teenager from nationwide is required to research more universal research result about recognition and attitude of acception. Second,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of acceptation for the disable people, expert education and special relation information and education need to offer. Third, if integrated education's goal is normalized, through making assertive education program, so that offer them a right direction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each other, other than just use a space called classroom to study together in communal space that is passive education.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 있어서 청소년들이 장애인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며 인식하고 수용태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청소년들로 하여금 장애인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출발점으로 하여 통합교육 현장에서 비장애 청소년의 장애 청소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비장애 청소년과 장애 청소년간의 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장애 청소년과 장애 청소년과의 교류를 위하여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통합교육을 통해 비장애 청소년의 사회통합에 대한 의식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식과 수용태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분석한 결과 편견, 친근감, 장애학생 돕기 경험의 평균은 보통 수준을 상회하기 때문에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에 따른 장애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합반 구분에 따른 장애인식은 3개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의 장애에 대한 인식은 통합반과 비통합반 관련 없이 비슷하며, 따라서 통합교육과 장애인식은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통합교육에 따라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수용태도 전체 및 각 하위 요인에서 비통합반의 평균이 통합반보다 낮았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반 학생들의 장애학생 수용태도가 더 긍정적이며, 따라서 통합교육은 장애인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장애인 접촉빈도가 높을수록 장애인식이 긍정적인지를 분석한 결과, 가정에서의 접촉 경험별 장애교육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장애인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학생들의 장애교육 평균은 50.21로서, 함께 생활하지 않는 학생들의 평균 44.3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섯째, 장애인 접촉빈도가 높을수록 수용태도가 긍정적인지를 분석한 결과 장애인 접촉빈도에 따른 수용태도의 차이는 지역사회에서의 접촉 빈도별 ‘사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을 자주 접촉하는 학생들은 수용태도 중의 사귐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른 경우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장애인 접촉빈도는 장애인식과 부분적인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학생들의 성별 및 학업성적에 따라 장애인식과 수용태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수용태도의 차이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는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편이었다. 그렇지만 장애인식은 성별과 관계가 없고,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적도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장애인식과 수용태도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장애인식 중의 편견은 수용태도와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상관계수의 크기, 즉 상관관계의 강도는 약한 편이었다. 즉 장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편견)이 긍정적이면 장애인에 대한 수용태도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 장애인식이 수용태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른 요인들 간의 관계를 보면 장애인식 중의 친근감만이 수용태도의 사귐과 .115의 약한 긍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기타 다른 요인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강서구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으로 한정하였으므로 전국적인 차원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과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좀 더 보편적인 차원의 연구 결과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장애인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접촉빈도에 따른 수용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저학년부터 전문적인 교육과 특수관련 정보와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셋째, 통합교육이 이루어야 할 목표지점이 정상화에 있다면 단순히 한 교실이라는 곧, 공동의 공간에서 교육을 한다는 소극적 차원의 교육보다는 정상화를 이루기 위한 더욱 적극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서로가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學校 統一敎育의 發展方案 硏究

        이영숙 忠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Ⅰ. Introduction Korea has recently passed a law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subject of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and alone topic. This takes the overall subject of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way from its current status as a single theme within “Social Studies” or “Society” and elevates it to a position equal to its importance in the hearts of the populace. However, for “unification Education” to become a significant and compulsory study subject, it must evolve and expand alongside the existing subjects of “Ethics” and “Social Studies.” It cannot be seen as being independent. Recognizing the important relationship of all three subjects is a key to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each. Research should therefore focus on how to adjust current curriculums and staffing in order to practically and effectively introduce, and continue to deliver, “Unification Education” into the existing school curricular matrix. Education of youths in Korea should, in the future, concentrate on delivering a strong unitary subject rather than continuing to deliver education on the subject of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merely as a minor theme with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gainst this background, I have prepared a five-part thesis which will seek to develop and support my assertion that “Unification Education” must evolve as a fully recognized and supported standalone subject in its own right. In the first section, I will review the research methodology I employed to collect, analyze, and draw conclusions from the range of data available and accessible while preparing this thesis. In the second section I will seek to define the concepts of “Unifi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This section will also provide an overview to current teaching of “Unification” within the broader “Society” /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second section of the thesis expands the concept of unification and looks at the case study of the re-unification of the former East and West Germany’s in Europe in the early 1990’s. Pre and post unification themes are explored and analysis is drawn based on the implication of these on a Korean model. I also introduce the desirability of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o parallel the changing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third section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Unification” teaching within the public school system. I will highlight substantial problems with current methodology. This will be carried forward to the forth section of the thesis where I will introduce potential solutions to the problems analyzes and present mea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The fifth and final part of my thesis is the “conclusion.” Here I restate my opinion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andalone subject within the public school curriculum. I will review my research findings and support these with current affairs media resources covering the “Unification” issue in today’s Korea. Education policy change must take place to strengthen the role of “Unification Education” within the current and future public school curricular. Whil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is but a dream in the minds of many, the reality of any future reunification lays in the hearts and minds of today’s “Youth generation.” By strengthening the role of education in the field of “Democratic Citizenship” and “Unification,” we can provide the fertilizer by which such aspirations might blossom in the future.

      • 감탄사를 사용한 환경중심 언어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

        이영숙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milieu language treatment program with use of an interjection affects acquisition of vocabulary in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3 subjects for 40 minutes per session, 4 times a week. It consisted of 3 stage-pretest, treatment, and maintenance, and utilized an AB experimental design. Acquisition of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was evaluated through pre-test, post-test, and maintenance assessmen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quisition of receptive vocabulary was improved after treatment in all subjects. The subjects maintained newly acquired receptive vocabulary. Second, all subjects showed the improvement of their ability to acquire expressive vocabulary. In addition, they maintained the newly acquired vocabulary. In conclusion, the milieu language treatment program with the use of an interjection was effective in vocabulary acquisition in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may be suggested. First, on a follow-up study, there's need to analysis the form response of the use of an interjection. Second, on a futher study, there's need to extend subjects. Third, on a follow-up study, there's need to verb acquisition and sentence acquisition.

      •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영숙 대구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social play activities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 1 : Does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social play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the improving self-esteem?Research question 2 : Does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social play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the improving social skill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mposed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social play activities through literature for social pla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0 children attending in kindergarten located in Busan. The experimental group 60 children(mean monthly age, 79.40 months), the comparison group 60 children(mean monthly age 80.25 months). The study period in from 2010, 9 May to 22 July a total of 11 weeks. The number of experiments 2~3 times a week, total 32 times.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were the Korean version of Kim Young Sook(1997) 󰡐Self Esteem Scale for 5-6 years󰡑developed by Harter and Pike(1984) for children's self esteem and the Korean version of Kim Young Sook(2002) 󰡐The Social Skills Scale󰡑developed by Kohn and Roseman(1977) for measure social skills teachers to calm.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depending on the questions analyzed by using the SPSS V.18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based on the Crenbach's a for to examine confidenc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for to analyze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o examine was perform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hether a significant impact for children's social play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efinite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children's self-esteem's sub-areas(cognitive competence, peer acceptance, physical abilities, mother acceptance, self-accepta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social play activities. Second, there were definite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children's social skill's sub-areas(social adjustment ability, social adaptation ability) in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social play activities. The concret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social play activitie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conducted in the short term, rather than intensive kindergarten curriculum in conjunction with the monthly-weekly-daily-activity-oriented units operating experience should be integrated into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social play activitie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There were great educational effect that wh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social play activities applies to all of children the common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 all of children should be constructed and applied. There were believed that children's social behaviors was improved by learning value of multicultural on cultural, language, ethnicities, country must be respected through talking activities based of knowledge rather than the multicultural program based of experience and process. 본 연구는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사회극놀이와 다문화교육활동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 120명으로서 실험집단 60명(평균월령, 79.40개월), 비교집단 60명(평균월령 80.25개월)이었다. 연구기간은 2010년 5월 9일부터 7월 22일까지 11주였고 실험횟수는 주 2-3회로서 총 32회였다. 측정도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Harter와 Pike(1984)의 유아용 자아지각 척도인 ‘5-6세용 자아존중감 척도’를 김영숙(1997)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가 평정하는 Kohn과 Roseman(197)의 사회적 능력 평정척도를 참조하여 김영숙(2002)이 우리나라 유아의 수준에 알맞게 번역․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연구문제에 따라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신뢰도 계수인 Cronbach α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및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하위영역(인지적 능력, 동료수용, 신체적 능력, 어머니 수용, 자기수용)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하위영역(사회적 적응능력, 사회적 순응능력)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효과가 있었다. 다문화교육활동은 단기간 집중적으로 실시되기 보다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월단위-주단위-일단위-활동단위로 운영되는 체험중심의 통합적 교육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을 위해 효과가 있었다. 다문화교육활동은 대상을 분리하여 실시하기보다는 일반가정 유아 및 다문화가정 유아 모두에게 적용하였을 때 교육적 효과가 크므로 전유아를 대상으로 구성․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지식위주의 이야기나누기 교육활동 보다는 체험중심, 과정중심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유아들이 자신의 문화․언어․인종․국가와 같은 다문화적 가치를 존중해야 함을 배움으로써 유아들의 사회적 행동이 증진될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