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구조물 부재 방향에 따른 부식 환경 모니터링과 강재 내구성 예측

        이영빈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랜트 시설 및 사회기반시설에서 다양한 형태로 주요 부재에 적용되고 있는 강구조물은 구조물 특성상 부재의 형상, 위치, 높이 등과 같은 부식 환경요인에 따른 부식손상이 상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국부적인 부식손상은 강구조물의 내구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유지관리 및 보수·보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부식 환경에 따른 강재의 내구수명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성 및 경제성을 고려한 구조물 설계 및 유지관리를 위해서 부식 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강구조물의 부재 및 위치에 따른 강재 내구성을 평가하여 내구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 및 제안하였다. 실제 철골 구조물로 이루어진 발전구조물을 대상으로 설치 방향이 서로 다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대상으로 1년간 모니터링 하였으며, 상대적 부식손상깊이와 부식 전류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실제 발전구조물의 국부적인 부식손상을 상대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일반적 부식속도 평가방법인 옥외폭로시험을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계측된 결과를 바탕으로 부식손상깊이와 부식 전류량의 상관관계와 선행 연구된 부식성 평가 제안식을 이용하여 내구성을 예측할 수 있는 세 가지 추정식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30년의 부식손상깊이를 추정하였다. 합리적인 추정식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 추정법을 통하여 추정된 부식손상깊이의 값을 부식열화 기준에 따른 부식성 등급의 범위를 확인하여 연간부식속도 부식성 등급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제안식을 통해 추정된 향후 부식손상깊이를 검토하기 위해서 연구부식속도와 실제 연간부식속도의 오차범위를 확인하였다.

      •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빌둥(Bildung)개념의 변증법적 의미

        이영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나타나는 빌둥(Bildung) 개념을 변증법과 관련지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빌둥 개념은 14세기 중세 독일의 신비주의에서부터 시작하여 칸트를 거쳐 헤겔에 이르기까지 주로 ‘형성하다’는 의미로 활용되었다. 또한 빌둥은 칸트에서부터 헤겔에 이르기까지 ‘세속화’된 의미로 다루어 졌다. ‘세속화’란 자연과 시대 속에서 보편적인 이념을 발견하고 실현시킨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헤겔에게 있어서 빌둥 또한 시대 속에서 작동하는 개념이다. 『정신현상학』에 있어서 변증법은 관통하는 하나의 핵심이다. 그런데 정신의 현상과 의식의 경험이라는 두 운동 속에서 변증법은 이중화된다. 이중화된 변증법 속에서 사태의 역사적 본성으로 인해 변증법이 역사를 서술함에 있어서의 관점을 어떻게 생성하는지의 물음이 대두된다. 하지만 변증법이 보여주는 사변적 실재의 전개 과정 속에는 시대와 사태의 역사적 본성이 속해 있다고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변증법의 사변적 전개를 빌둥이 시대와 역사 속에 ‘세속화된 형성’으로 예화해서 나타냄을 보여준다. 변증법의 한 특수한 예화로서의 빌둥, 변증법의 세속화로서의 빌둥이 시대와 역사 속에서 전개되어 나간다. 그러므로 변증법은 빌둥을 통해 역사와 관계를 맺으며, 역사가 진행해나가면서 역동적으로 구성된다. 이를 보여주기 위해 본고는 총 5장으로 구성되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 방법을 다룬다. 제 2장에서는 빌둥에 대한 이전의 논의들을 다룬다. 제 3장 에서는 변증법과 빌둥에 대해 다룬다. 제 4장에서는 변증법과 관련된 빌둥의 구체 적인 활동이 『정신현상학』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다룬다. 제 5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가치, 앞으로의 연구에 있어서의 의의에 관한 총괄적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변증법과 빌둥을 관계시키려는 연구이다. 이 연구는 앞으로의 헤겔 변증법과 관련된 빌둥의 연구 그리고 헤겔 『정신현상학』 속에서 빌둥의 구체적인 메커니즘과 양상에 관한 연구에 대한 예비적 성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 사회적기업의 경제성과와 사회성과의 동시적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사회성과인센티브 참여 기업을 중심으로

        이영빈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multaneous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which are the two type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at social enterprises need to secure sustainability. Despite the expansion of practices and discussions in social enterprises,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the compatibl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has been limited. In addition, there has been limited study on the analysis of unilateral relationship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utilizes the database established by the Center for Social Value Enhancement Studies “2018 Social Values Survey” and by Social Progress Credit (SPC) to analyze the simultaneous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using a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In previous studies, there has been limit in using the employment of vulnerable social groups as the index to measure the social performance. However, this study examines the value of all social the performances, including service performance, employment performance, ecosystem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these indices are converted into a monetary value. By using this new type of social performance index,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and sales figures that indicates the financial performance.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variou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explain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the economic performance is high when the authentication in the equation of economic performance is ‘service provider’ (+) or ‘combined’ (-) compared to ‘job offer’, when the enterprise networks with ‘public institutions’ (+) rather than ‘commercial enterprises’, and when the enterprise’s assets (+) are high. Social performance is high when the government assistance period (+) is longer, and when the government assistance value amount (-) is low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present study establishes the bilateral possibilities and simultaneous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the two organizational performances of social enterprises. Therefore, it offers a theoretical basis regarding various factors that can enhanc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and provides implications in the practice of social enterprise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direction of the strategic plan that contributes to secure sustainability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by establishing a virtuous circle between the two types of performances.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달성해야 하는 두 가지 조직성과인 경제성과와 사회성과의 동시적 상관관계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그동안 사회적기업에 대한 실천과 논의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경제성과와 사회성과의 양립가능성에 대한 검증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경제성과와 사회성과의 일방향적인(unilateral)인 관계에 대해서만 분석이 되어 온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가치연구원의 <2018 사회적 가치 서베이>과 사회성과인센티브(SPC) 추진단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사회적기업의 경제성과와 사회성과의 동시적 관계(simultaneous relationship)에 대해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로 사회성과에 대한 측정으로 사용해온 취약계층 고용과 관련한 지표를 넘어서 서비스성과, 고용성과, 생태계성과, 환경성과를 모두 포괄한 사회성과를 화폐적 가치로 환산한 값과 대표적인 재무성과로 볼 수 있는 매출액의 관계를 살펴본 데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 사회적기업의 경제성과와 사회성과의 쌍방적(bilateral)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밝힌다. 아울러 사회적기업의 경제성과와 사회성과을 설명하는 다양한 조직특성 및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경제성과의 방정식에서 인증유형이 ‘일자리제공형’에 비해 ‘서비스제공형’(+), ‘혼합형’(-)일 경우, ‘일반기업’과의 네트워크에 비해 ‘공공기관’(+)과 네트워킹할 경우, 그리고 자산(+)이 높을수록 경제성과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성과의 경우 정부지원기간(+)이 오래될수록 사회성과가 높은 반면, 정부지원금액은 정부지원금을 받지 않은 사회적기업에 비해 지원을 받은 사회적기업일 경우 사회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두 가지 조직성과인 경제성과와 사회성과의 양립가능성, 동시 실현가능성을 확인하고 경제성과와 사회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요인과 관련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기업의 실천분야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사회적기업들이 두 가지 성과의 연계 및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여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후속연구의 방향 등에 대해서 논의한다.

      • 노인가구의 소비지출 특성에 따른 빈곤선 재설정

        이영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OECD 기준 빈곤선이 노인빈곤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목표로 적절한지를 판단하고, 적절하지 않다면 노인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목표로서의 노인빈곤선을 재설정하고자 하였다. 가계동향조사(2016년)를 바탕으로 가구집단별 소비지출 특성에 관한 기술통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가구의 소비지출 수준은 근로연령가구 대비 58.2%~68.0% 수준으로, 이 수준이면 노인가구의 소비지출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켜 줄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현행 빈곤정책인 기초생활보장 제도의 현금 급여 수준은 노인가구의 소비지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데 충분하며, 오히려 기준빈곤선이 근로연령가구의 소비지출 욕구를 충족하는데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행 제도로도 충분히 노인가구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면, 현행 제도가 효과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빈곤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빈곤 노인가구를 포함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노인가구의 보건비 지출 경감을 위한 의료보호 정책의 개선과 함께 이루어진다면 각 가구집단의 소비지출 특성에 따른 적절한 빈곤선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 헤파린 결합 기능성 합성 펩타이드에 의한 항종양 효과 연구

        이영빈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1. 목 적 Bone morphogenetic protein-4 (BMP-4)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superfamily의 하위 그룹에 포함되는 다기능적 성장 인자이다. BMP-4의 주된 기능은 골형성 촉진 효과이지만, 그 외에도 근육 발생, 인간 배아의 발생, 골의 무기질화 등의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므로 다양한 질환들의 임상적 치료에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에는 BMP-4가 다양한 종양 세포에 항종양 효과를 가진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고, BMP-4를 종양 치료에 이용하려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 BMP-4의 heparin binding domain (HBD) peptide는 heparin과 결합하여 BMP-4의 골형성 촉진 효과에 기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다른 기능으로서 헤파린과 결합함으로써 HBD peptide는 BMP-4의 생리적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위로 BMP-4의 항종양 효과에도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BMP-4에서 도출한 HBD peptide에 의한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 방 법 BMP-4에서 도출한 heparin binding domain (HBD) 가 종양 세포 내부로 투과하여 internalization이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형광 염색한 펩타이드를 종양 세포에 처리 후, 공초점 주사 전자 현미경 (confocal scanning microscopy)으로 관찰하였다. HBD peptide의 종양 세포의 apoptosis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펩타이드를 각각 0, 25, 50, 100, 20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펩타이드 처리 48 시간 후, western blot assay를 시행하여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 (Bcl-xl, PARP, Cas-3)의 발현 여부를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Slot blot 분석을 이용하여 HBD peptide가 heparin과의 결합 친화성 및 종양 세포의 증식에 필수적인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와 결합 친화성을 관찰하였다. 3. 결 과 BMP-4에서 도출한 Heparin Binding Domain (HBD) peptid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종양 세포 내부로 투과되는 펩타이드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HBD peptide의 세포 투과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HBD peptide를 처리한 종양 세포에서 Bcl-xl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PARP cleaved form 및 Caspase-3의 cleaved form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HBD peptide가 종양 세포의 apoptosis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HBD peptid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heparin 및 VEGF와의 결합이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HBD peptide의 heparin 과의 결합 친화성을 확인하였고, HBD peptide가 VEGF와 결합을 통해 종양 세포 증식 억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대학도서관 외국연속간행물 구독방법에 관한 연구

        이영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researches the status of the subscription method in order to help the serials subscription librarians in the courses of the serials subscription which consist of the 35.7% of the purchase of the book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our country, which look for the effective subscription method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serials subscription librarians. In investigating the evaluations about the recognitions of the subscription method of experiences of theirs, I want to help the librarians mates to have them experience that through the vivid 'language of the experience' indirectly, so they have in common, that is the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The leading subscription methods which are done in the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the research are followings ; 1. the method which use both the domestic and foreign agent(33.8% out of the total), 2. use of the domestic agent only(25.8%), 3. use of the domestic, foreign agent and direct purchase from publishing co.,(22.6%) 4. use of the foreign agent and direct purchase(6.5%), 5. use of the domestic agent and direct purchase(6.5%), 6. use of the domestic agent only(4.8%) The elements which effect on the subscription method of the serials are the prices of the serials and service charge, missing-issues and disposal of the claim, velocity of the action, agent service, the regulations about the subscription deed etc. And then, this study researches the librarians' evaluations about the subscription method in the course of the serials subscription in the cases of (1)use of foreign agent, (2)use of domestic agent, (3)use of single agent, (4)use of multi-agent, (5)use of the direct purchase of the publishing. Through the 'language of the experience' of the foreign serials subscription librarians, we have experiences indirectly the accumulations of the experiences in our university libraries. Now, I suggest the solutions about the special subscrip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in the course of that. First, the concept of the 'serials librarian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libraries. Second, the informations and experiences about the subscription method of the serials subscription librarians should be had in common. Third, the evaluations about the subscription methods and agents should be preceded. Fourth, the cooperative acquisition between the libraries through the local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should be researched. Fifth, the role-leading of the librarians in the courses of the serials subscription should be established.

      • 현대 중국인의 양성평등의식 : 성인과 그 부모의 교육수준 효과의 남녀간 차이 : Gender-Specific Effects of Education of Adults and their Parents

        이영빈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중국 성인들과 그 부모의 교육수준이 본인들의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교육의 효과가 성(性)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5년도 중국종합사회조사(Chinese General Social Survey, CGSS) 자료를 활용하였다. 해당 자료에서 추출한 사례(n=2,938)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인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양성평등의식을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한편 부모 교육수준의 효과는 남녀 모두에게서 보이지만, 구체적인 효과는 남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분석대상을 남녀로 분리하여 부모 교육수준의 효과를 살펴보면, 부모 교육수준의 효과는 여성들에게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성들의 경우, 모친의 교육수준(대졸 이상)은 본인의 양성평등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부친의 교육수준(대졸 이상)은 오히려 양성평등의식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들에게서 나타나는 부친 교육수준의 효과는 이들 부친들이 경험한 사회문화적 특성과 함께 성별 사회화 과정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의 결과들은 본인, 부친, 모친 교육수준의 효과가 본인의 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동시에 그 구체적인 내용과 방향은 시대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and how the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differ among the adults in contemporary China, In doing so, the study focuses on the gender specific effects of education of adults and their parents. Using samples (n=2,938) from Chinese General Social Survey in 2015, the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eduction level of the respondents and their perception on gender equality. And this association is found to be stronger for women than men. The eduction effects of their parents are also observed, though mother’s eduction has stronger effect than father’s education. Furthermore, the effects of parental eduction appear to be different for men and women, For women, the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is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education (college and above) but negatively related to father’s education (college and above). Such findings are understood as a result of socio-cultural atmosphere for the parents as well as gender differentials in socializing their children. The study, confirming that the education effects of adults and their parents on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would differ by gender, suggests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such effects be assessed from the social context for both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