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大斷面 터널에서의 石灰巖 空洞 調査 및 補强公法에 관한 事例硏究

        李永基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석회암 공동과 인접한 대단면 NATM 터널의 공동조사 및 보강공법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시 공동의 위치와 현황을 파악하는 조사방법, 적정한 보강공법의 선정, 공동의 보강공법을 적용시 수치해석에 의한 안정성 검토, 계측에 의한 터널의 안정성 확보에 관한 내용 등 관련 데이터 및 보고서 등의 자료를 수집, 검토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하여 지반의 구조 및 공동의 예상위치는 지질도 분석및 지표지질조사, 시추조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상세한 공동의 위치 및 규모는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토모그래피, 시추공 영상촬영의 기법을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공동이 고려된 터널 안정성에 대한 수치해석을 실시한 결과, 상반 굴착 후에는 천단변위가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하반 굴착 완료 후에는 천단변위와 락볼트 축력이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석회암 공동보강을 위하여 터널상부 지표면 및 갱내에서 압력 그라우팅에 의한 선지보 네일링 공법을 채택하였으며 공동 보강단면에 대한 수치해석결과 터널이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터널보강 후 계측관리를 통하여 터널의 내공변위, 숏크리트 응력, 락볼트 축력에 대한 계측결과가 모두 허용치 이내로 관리되어 터널이 안정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thesis is the result of case study on exploration of limestone cavity and its reinforcing method in the large section of NATM tunnel. Collection, review and comprehensive summarization of data and reports on exploration methods of figuring out the location and the layout of cavity, selection of appropriate reinforcing method, stability analyses of reinforced tunnel with numerical method, and insurance of tunnel stability by instrument measurement were performed in this thesis. As preliminary exploration, geological structures and expected location of cavity was found through review of geology maps, site reconnaissance, and boring exploration. Details of cavity location and its dimensions were figured out by analyzing collectively data obtained from electrical resistivity profiling, seismic tomography and BIPS(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 From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about stability of tunnel considering cavity, stability of tunnel was found not to be secured with respect to displacements at tunnel crown during the process of excavating the upper half of tunnel and with respect to displacements at tunnel crown and axial forces mobilized in the rock bolts. Pre-reinforcing method with nails, highly pressurized grouting from the ground surface above tunnel and the inside of tunnel was chosen for reinforcement of cavity. The stability of tunnel was found to be secured from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about reinforced tunnel. From results of instrument measurements after reinforcing tunnel interal adisplacements, stresses mobilized in shotcretes, axial forces in rockbolts were found to be in the ranges of allowable values. Therefore, the stability of tunnel was found to be secured.

      • 3D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공간능력과 SW 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기 아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search,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using 3D modeling software to enhance students' spatial ability. This educational program was selected from two grade 6 classes were selected from one of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One class was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was selected as control group, and then experimental group class was appl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about their spatial ability and SW career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3D modeling education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mental transformation ability, the sub areas of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Second, 3D modeling education progra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patial orientation ability. Third, the 3D modeling education progra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career orient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one mainly used space capability area by the students and other areas were not heavily influenced by the 3D modeling education progra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interpreted that the 3D modeling education program only affects mental transformation among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본 연구는 학생들의 공간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경기도에 위치한 P초등학교 6학년 학급 중 두 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한 후 실험집단 학급을 대상으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3D 모델링 교육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SW 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3D 모델링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D 모델링 교육프로그램은 공간시각화 능력의 하위 영역 중 정신적 변환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D 모델링 교육프로그램은 공간방향 능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D 모델링 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의 SW 진로지향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학생들이 정신적변환 능력을 주로 사용하는 3D 모델링교육프로그램은 정신적변환 능력을 제외한 다른 공간능력의 하위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은 SW 진로를 프로그래밍 관련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프로그래밍 외의 SW을 사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는 학생들의 SW 진로지향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초등학교 자연과 교과서 중 산과 금속의 반응성에 대한 연구

        이영기 부산교육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자연과 실험 중 산과 금속의 반응성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로서, 이론적인 금속의 이온화 경향의 순서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실험상에 나타나는 반응성의 순서와의 차이에 주목하여, 그 원인을 규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일선에서 벌어지는 실험상의 오류를 없앨 뿐 아니라 아동이 가질 수 있는 오개념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의미한 학습이 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초등학교 수업에서 실험 시간을 20분으로 제한 할 때, 첫째, 표면 전 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금속들과 산의 반응성의 정도를 살펴보면, Al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표면이 산화하여 산화 알루미늄 피막이 형성되고, 그 피막이 산에 녹아 피막 속의 Al이 산과 반응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염산의 진하기를 달리하여도 Zn > Al > Fe > Sn 순으로 되어 이론상의 순서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피막의 상태와 Al의 순도에 따라서도 반응 속도가 다르다. 둘째, 표면 전 처리를 한 상태에서 금속들과 산의 반응성의 정도를 살펴보면, 염산의 진하기를 달리하여도 그 반응성의 순서가 Zn > Al > Fe > Sn 순으로 되어 이론상의 순서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관련된 내용을 지도할 때는 실험용 금속 시료로 Al, Zn, Fe를 사용하기보다는 Zn, Fe, Sn으로 대체하여 사용해야 아동들이 가질 수 있는 산과 금속의 반응성에 대한 오개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Cu, Ag 등을 사용하여 염산과 반응하지 않는 금속(Cu, Ag는 염산에는 반응하지 않으나, 질산 또는 가열한 진한 황산과 같이 산화력이 큰 산과는 반응한다.)도 있음을 알게 하는 것도 오개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산과 금속의 반응 실험에서, 염산의 농도는 1M로 하기보다는 금속 시료의 표면 전처리를 하지 않고도 그 반응성의 차이를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2M로 하는 것이 실험과 아동의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st of quantity on the reactivity of acid and base in elementary science schoolbook and to suggest its improvement. Comparing with theoretical metal ionization tendency order and the experimental metal ionization tendency order in chemistry class, if the experimental duration is limited to 20 minutes, the obtain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Under no pretreatment of the surface of the metals and different hydrochloric acid concentration, the experimental reaction order, Zn > Al> Fe> Sn, is different from the theoretical reaction order. Furthermore, the reaction rate is varied by the state of the metal film and the purity of Al. 2. Under the pretreatment of the surface of metals and different hydrochloric acid concentration, the experimental reaction order, Zn > Al> Fe> Sn, is different from the theoretical reaction order. Therefore, in order to have right conception of acid and reaction order of metals, it is preferred to use the experimental materials of Zn, Fe, and Sn rather than Al, Zn, and Fe. Also to under stand the existence of metals which are not reactive to hydrochloric acid, it is also recommended to use Cu and Ag. And it's necessary to change the concentration of hydrochloric acid to 2M in stead of 1M.

      • 전력반도체용 파워 모듈의 방열 기판

        이영기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석유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저감을 위한 노력 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에너지를 얼마나 효율적으 로 사용하는지가 중요시 되고 있다. 가전 부분에서는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등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활 가전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 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린카등의 전기 자동차 분야도 국가 정책적으로 개발을 진행 중 이다. 이러한 요구에서 에너지 효율을 증대 시키기 위한 방법이 각 생활 가전에 포함되어 있는 모터(에어컨 실외기, 세탁기 모터, 냉장고 모터)의 효율적인 제어 가 부각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Inverter) 채용이 증대대고 있으며, 이 인버터의 핵심 부품이 전력 반도체 모듈이다. 전력 반도체 모듈의 구성은 전력반도체 소자(IGBT, MOSFET등)과 그 소자를 구동하는 IC(HVIC, LVIC)와 그 소자와 IC가 실장되는 방열 기판으로 크게 구성된다. 현 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열기판은 DBC(Direct Bond Copper)이다. 하지 만 DBC는 그 제작 비용과 신뢰성 부분에서 고려 되어야 하는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DBC를 대체하기 위해 Resin과 Filler의 Composit으로 절연층을 구성한 CBMTM의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전력 반도체 모 듈은 600~1200V의 고전압 소자가 방열 기판에 실장되기 때문에 방열 기판의 내전압은 그 사용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작된 CBMTM 내전 압(Isolation Voltage)의 수준을 검토 하였으며 7kV이상의 내전압 특성을 확인 하였다. 또한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위해 기존 DBC 대비 열 전도 및 열저항에 대한 부분을 검토 하였다. 열전도도가 Ceramic 20W/mK대비 낮은 5W/mK이지만 그 구조를 최적화 하여 열저항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검토 가 진행되었다. 이에따라 기존 DBC를 적용한 전력반도체 모듈과 동등 수준의 열저항을 확인하였고, Simulation을 통해 최적화 가능한 구조를 제안하였다. 또 한 Packaging후 전력반도체 모듈에서 외부 Heatsink로의 열전달을 위해서 Heatsink과 접합면의 Warpage의 수준에 대한 검증을 하였으며, 방열기판에서의 Warpage 뿐만 아니라 각 Package 공정후 변화되는 Warpage 수준에 대해서도 확인 하였다. 기존 전력반도체 모듈에서 요구되는 100um 이하 수준임을 확인 하였다. 또한 신뢰성 측면에서는 가혹환경 신뢰성을 DBC와 상대 비교 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가혹환경에서 DBC와 CBMTM 의 환경 신뢰성 수준을 비교하였으며 DBC보다 CBMTM 이 가혹 환경하에서는 우수한 특성을 보임을 확인 하였다. 또한 양산 적용을 위해 설계대비 양산 제작 가능성에 대해 검증을 하였 다. 검증한 결과 양산 적용을 위한 SPEC.을 기준으로 Cpk 1.0 이상이 모두 확 보 되었으며 이것을 토대로 전력 반도체 모듈에서 널리 사용되는 DBC를 CBMTM 으로 대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법인세율 결정요인, 소득분배와 조세재정정책, 소득분배와 개인소득세 구조에 관한 연구

        이영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about the tax competition and globalization, the income inequality and tax policy, and the redistribution impacts of tax structure of OECD countries. The first chapter addresses the future of corporate tax rates. OECD countries corporate tax rates seem to be on the turning point although they have been under downward pressure by globalization started in 1980s. Using a panel data of 34 OECD countries over 1980-2013 on Tax, the study finds that the average level of corporate tax rates of 2010s is already below the Laffer’s revenue maximizing tax rate. As globalization index, openness and FDI inflow still have negative impact on corporate tax rate, the tax policy makers moved onto quite different situation. In early 1980s, the OECD countries’ average corporate tax rate was above the Laffer’s revenue maximizing tax rate, the policy makers thus were in a position to cut corporate tax rates. However the economic and fiscal environment has changed, the policy makers now face a conundrum between the tax revenue and tax rate which have a trade-off relation on the left side of Laffer curve. On the one hand, to reduce government debt it desperately needs more tax revenue, on the other hand to provide more favorable environment to entrepreneur it seems inevitable to cut tax rate. The second chapter studies the government tax policy’s effects on income distribution. The data from the top income database were instrumental to identify the different effects on income distribution of corporate tax and personal income tax. While the personal income tax has a more improving effect on income distribution expressed by gini coefficients, the corporate tax has more attenuating effect on the top 1~10% income concentration than the personal income tax.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implication that the policy maker may as well pull both strings of the personal income tax and the corporate tax in order to reduce income inequality.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 income tax structure and gini-Gap (before tax and transfer gini coefficient minus after tax and transfer gini coefficient). By introducing OECD Taxing Wages Comparative Table into this investigation which comprises 8 household types covering one- and two-earner families of varying size and different fractions of average gross wage earnings, a spectrum according to tax rate(or tax burden) ranging from statutory top income tax rate to a two children family with one earner of 100% of average production worker income level is possible to set up. Regressing each tax rate (or the tax burden) on gini-Gap, we gained a meaningful result that the gini-Gap is not most sensitive to top rate. This result is not supportive to the result of Duncan & Peter(2012). They suggested that the income distribution is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top tax rate rather than other tax rate of middle or lower income tax bracket. JEL Classification Number : D31, D63, E62, H21, H22, O50 Keywords: Corporate Tax, Income Tax, Globalization, Gini Coefficient, Income Distribution, Inequality, Laffer Curve, Government Debt 세계경제가 빠른 속도로 개방되자 세계2차 대전 이후 형성된 조세체계는 변하기 시작하였다. 국가 간 경제통합이라는 세계화의 진전으로 생산요소 특히 자본의 이동이 자유로워지고 그 결과 국가간의 법인세율 인하경쟁이 세계적으로 유발되었다. 더불어 조세제도의 대표적인 정책기능인 소득재분배도 개방화의 영향으로 그 기능이 약화될 수밖에 없는 사회경제적 환경이 조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환경 아래에서 OECD국가들의 법인세 동향과 동인, 조세재정정책과 소득재분배 그리고 소득재분배와 소득세구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주제는 OECD국가들의 법인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1980년대 이후 유발된 세계적인 법인세율 인하경쟁에서 각 국가들의 법인세율에 주된 영향을 주는 국내외 경제여건이나 재정여건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향후 변화 방향에 대해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지 못하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래퍼곡선 분석을 통해 극복하고자 시도하였다. OECD국가에 대한 분석에서 개방도 및 FDI유입과 법정법인세율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높은 부(-)의 관계를 보였다. 또 실업률이나 정부부채비율 등 개별국가의 국내 경제-재정 여건도 세계화에 따른 법인세율 인하경쟁 못지 않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래퍼곡선분석에서는 1980년대는 법인세율이 래퍼곡선 분석에서 도출된 세수극대화세율보다 높아서 법인세율 인하경쟁이 유효하였지만 200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법인세율은 세수극대화세율보다 낮은 수준으로 내려가 정책결정자들이 더 이상 세율인하경쟁을 용인하기 어려운 임계치에 도달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국가채무 비율이 급격하게 상승하기 시작하는 2000년대 중반부터 재정여건이 질적으로 달라져 향후 OECD국가들은 법인세 인하경쟁을 더 이상 수용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두 번째 주제는 조세정책이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소득분배격차가 확대되기 시작하면서 향후의 소득 분배 상황에 대한 전망이나 상대소득격차 확대에 대응한 소득재분배정책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소득분배의 격차의 확대는 범세계적인 추세로서 개방화와 국제화의 진전과 그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 그리고 경쟁의 격화 등과 같은 경제적 요인과 고령화 등 인구사회학적 요인 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OECD연구결과를 보면 조세재정정책의 소득불균등해소 기여도는 확연하게 축소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를 통해 소득세의 소득불균등해소 기능은 여전히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조세재정정책도구들의 소득불균등 해소를 위한 영향의 정도와 그 방향을 분석해서 시사점 도출했다. 지니계수와 상위 1~10%의 소득집중도를 분석하는 것은 소득불균등 해소뿐만 아니라 양극화 해소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법인세의 경우 소득 상위계층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 볼만하다. 분석결과를 보면 법인 소득세율은 세전 지니계수와 상위 10%, 5%, 1%소득계층에 대해 공히 부(-)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소득상위 계층에 대한 소득집중과 법인 소득세와의 관계가 강하고 이는 배당소득이나 주식가격 상승과 같은 자산효과 등을 통하여 비교적 긴 전달경로를 거치지만 법인소득세가 상위소득계층 소득집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세 번째 주제는 소득분배와 소득세구조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이다. 2007년의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한 변화를 고려하더라도 1980년 이후 지난 30년간 세전지니계수로 나타낸 소득불평등은 심화되는 양상이다. 나아가 부의 편중 정도에 대해서도 그 원인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시각에는 차이가 있을지언정 마찬가지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은 소득불균등은 사회적 통합력을 약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정치적인 불안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어떤 형태로든 정치적 의사결정에 반영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소득불균형 심화는 조세수입수준과 조세누진도, 그리고 세출이라는 재정정책과 연결된다. 성장이나 고용 등 함께 소득불평등도 중요한 경제성과 지표로서 정부정책이나 경제주체들의 행태와 별개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에서는 OECD국가들에 대해 법정소득세 최고세율, 근로자소득별 가족유형에 대한 세부담율 등 조세구조가 지니계수개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는 소득분배 개선을 위한 소득세구조 변경 시 최고세율과 구간뿐만 아니라 중간소득구간에 대한 세율조정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세부담률을 현실화할 필요성이 높아진 우리나라 상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JEL 주제분류: D31, D63, E62, H21, H22, O50 핵심주제어: 법인세율, 소득세율, 세계화, 세율인하경쟁, 소득재분배, 지니계수, 재정정책, 국가채무, 래퍼곡선

      • 박판 알루미늄 합금의 저입열 Pulse MIG 용접 공정 최적화에 관한 연구

        이영기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 및 유럽 등의 선진국들이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자동차 연비 기준을 강화하면서, 자동차 업계에서는 차량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연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경량화 소재를 적용하여 차체의 중량을 줄이는 차체 경량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합금은 기존의 강재에 비해 비중이 1/3로 낮으면서 90% 강성을 가지고 있어 차체 경량화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은 비열 및 열전도도가 높아서 용접 시 고온의 열원이 필요하고 용융 후 부피 변화가 매우 크기 때문에, 양호한 품질을 얻기 위해 저입열 프로세서를 이용한 아크 용접 공정과 함께 최적 용접 공정 변수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CMT 프로세서를 이용한 저입열 Pulse MIG 용접에서 박판 알루미늄 합금의 비드형상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용접 공정 변수인 용접전류, 용접속도, 갭(Gap), 토치각도 변화에 따른 인장강도와 비드형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실제 자동차 현장의 용접부 품질 기준을 적용하여 냉접, 이면비드 및 용락이 발생하지 않는 비드형상과 인장강도가 모재의 80%를 상위하는 적정 용접 범위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적정 용접 범위내에서 저입열 Pulse MIG 용접 공정 변수인 용접전류, 용접속도, 갭의 크기 변화가 인장강도와 비드형상 변수인 볼록도 및 용입깊이와의 관계를 다중 회귀 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비드 예측 회귀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호감도 함수(Desirability function)를 적용한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athodology)을 이용하여 자동차 생산 현장에서 겹치기 용접 이음부의 0~1 mm 갭 발생에 대해 강건한 용접 품질을 갖는 최적 용접 공정 조건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박판 알루미늄 합금의 용접에서 CMT 프로세서를 이용한 저입열 Pulse MIG 용접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용접부 품질 기준에 적합한 적정 용접 범위를 선정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용접 품질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비드 예측 회귀 모델과 자동차 생산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갭 발생에 대해 강건한 용접 품질을 갖는 최적 용접 공정 변수 값을 결정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Because of the recent in oil price and peolpe's growing interest in evironmental issues throughout the world, automobile makers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improving fuel efficiency through weight reduction in vehicles. One of the most widely known car weight-reduction methods is to use light and corrosion-resistant aluminum alloys. However, because of high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y and a low melting point, it is difficult to obtain good weld quality when working with the aluminum alloys. Also, Pulse MIG welding is the typical aluminum welding process,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thin plate, because of melt-through and humping-bead. In order to enhance weld quality, welding parameters(such as welding current, welding speed, size of gap) should be considered in optimizing the welding process. In this paper, low heat-input pulse MIG welding has been applied to the arc welding of thin aluminum alloys. This paper has been divid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 1) Proper welding range has been induced against 0~1mm gap with bead geometry and tensile strength. 2) Bead estimate regression model has been induced based on multi-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elding variables(welding current, welding speed, gap), tensile strength and bead geometry variables(convexity ratio, penetration depth). 3)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applying desirability func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welding process parameters. The introduced method was applied to the low heat-input Pulse MIG welding process of the aluminum alloy sheets and the welding parameters were optim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