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숭어추출액을 이용한 식초제조에 관한 연구

        이영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업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숭어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기능성 발효음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하나로 숭어식초 제조를 시도하였다. 숭어추출액에 당을 첨가하여 알코올발효를 진행시켜 숭어와인을 제조한 후 초산발효를 유도하는 단행복발효 공정으로 정치 배양하여 식초발효를 시도하였다. 숭어추출액에 쑥추출액을 첨가하여 젖산발효를 진행시키면 알코올발효와 초산발효가 촉진되는 것은 물론 숭어식초의 풍미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젖산발효와 알코올발효를 진행시킨 숭어와인의 알코올 농도를 6%로 조정하고 종초를 5% 부피비율로 접종하고 30℃에서 정치 배양하는 것을 최적조건으로 하여 배양경과 20일에서 산도 5.89%의 숭어식초 제조가 가능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생산된 초산의 양은 이론적인 생산량인 7.82%의 75%에 상당하였다. 젖산발효 결합 쑥추출액 함유 숭어식초는 acetic acid 51.07 g/L, malic acid 6.41 g/L, oxalix acid 1.03 g/L, propionic acid 0.15 g/L, 및 succinic acid 2.56 g/L와 1.46 g/L의 유리 페놀릭을 함유하고 있었다. 유리 페놀릭 함유량 증가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으로 표현되는 항산화활성도 증가하여 35%(대조구: 4.5%) 수준을 유지하였다. 숭어식초는 8종의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리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원료인 숭어추출액에 비하여 숭어식초의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감소하였으며, 숭어식초의 경우 쑥추출액을 첨가하는 경우 특이적으로 taurine과 ornithine 함량이 각각 219배와 5.5배 증가하였으며, 젖산발효 결합 쑥추출액 첨가 숭어식초에서는 taurine과 ornithine 함량이 각각 435배와 18.6배 증가하였다.

      • 다수의 이동 사용자의 GPS 데이터 공유를 통한 저전력 위치 데이터 수집 기법

        이영권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GPS 데이터가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GPS 데이터 수집 시 소모되는 전력량이 매우 크다. 그렇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GPS 데이터를 수집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스마트 폰의 모듈 별 소모 전력 측정 결과 GPS 모듈이 타 모듈에 비해 최소 2배 이상 소모한다. 데이터 통신의 경우 Wi-Fi, 블루투스에 비해 소모되는 전력이 제일 적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이동 상황일 때 GPS 데이터를 수집하여 그룹을 결성하고 그룹의 헤더를 정하여 헤더의 GPS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그룹원에게 공유하여 전체적인 GPS 데이터 수집량을 줄이는 저전력 위치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방법을 서술한다. 저전력 위치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제안하고 저전력 위치 데이터 수집 기법이 실제로 전력 감소의 효과가 있는지 보인다. GPS 데이터 수집 시 오차가 발생하므로 이를 줄이기 위한 가우시안 필터를 사용한다. 그룹을 결성하는 방법으로 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거리/방위각/속도를 기준으로 한다. 그룹을 결성한 후 그룹원들 중 배터리 잔여량이 제일 높은 사람을 그룹의 헤더로 정하고 헤더의 배터리 잔여량에 따라 수집 횟수를 설정한다. 실험을 통하여 저전력 위치 데이터 수집 모델에 최적화된 값을 정하고 배터리 소모량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저전력 위치 데이터 수집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데이터 절약 효과 및 전체 사용자의 배터리 소모량이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전체 사용자의 배터리 소모량에 비해 줄어듦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저전력 위치 데이터 수집 기법을 적용하면 사회 관계 그룹을 수치화 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거나 대중교통 데이터를 활용하여 GPS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중교통 위치 데이터를 대신할 수 있다.

      • 남북관계의 '3단계'발전과정 : 갈등적공존,협력적공존,통합과정을중심으로 /=xUnderstanding the three-stages of developing the North and South Korea relations

        이영권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uld be just the thing to allow Korea to advance and even become a world power with a singular, unifying political system. If the unification process is implemented gradually enough with sufficient preparation, the Koreas should be able to achieve peaceful unification without major difficulty or incident. However, in the current state of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reunification could have a serious negative impact or could even make matters worse for both Koreas on several fronts: it could cause Korea to become dependent on foreign aid, create a politically oppressive environment, economic inequality, social conflicts, or even lead to military confrontation. Therefore,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is not something we should stand by idly watching, but rather something we should be making every effort to remedy. Several factors, however, point to this being easier said than done. The current state of division is currently being used by governing groups of both Koreas to further their own political goals, and this further leads to conflicts, confrontations and repeated armed clashes. Does this mean, then, that there isn’t any hope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Will our future continue to be uncertain and unclear? There’s a lot we could learn from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in October 3, 1990. Many scholars and experts thought that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would be impossible. In actuality, no one even wanted Germany to become unified due to their ‘original sin.’ In contrast to the possibility of unification in their own country, they believed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would be much more likely to actually occur. When Germany capitalized on the ‘Ost-politik’(German for Eastern Policy) which had been implemented by Willy Brandt who came to power in 1969 and promoted since 1970, they were able to end the period of conflict between the two Germanys and instead begin a new era of cooperation. Around that time, the two Koreas had announced their so called “7.4 Joint Communiqu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at clearly outline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self-reliance, peace, and unification of their people. Germany, however, had achieved unification only 20 years after the ‘Os-tpolitik’ had been put into practice. In contrast, even though Seoul and Pyongyang have both made substantial efforts to achieve peaceful coexistence by launching the first and second South-North presidential summit talks, actually getting to the point where both sides are ready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i.e. actually implementing what both nations agree to, still seems a long ways off. However, just like in life, reversal has always occurred throughout history. North and South Korea have also had quite a dramatic reversal after all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they have experienced, with the offering of peaceful reunification by the two nations being the only means to this end. Although inter-Korean relations have appeared to regress or to have all but come to a halt at this point, both are at least taking steps toward reunification, looking at things from a more long-term perspective. This is due to neither side wanting to strain ties between the two nations. If ties remain strong, inter-Korean relations will most likely go through a period of cooperation and coexistence before eventually reaching a stage where they can actually start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Thus, if South Korea wants to take the lead in unifying the two Koreas, they should prepare by develop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Korea’s history and also by taking pride in it. South Korea will also need to have a fair amount of patience during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If one looks closely enough at the development of relation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Germany, there were a lot of times where it could have ended badly with disastrous consequences, but luckily didn’t fail under any circumstances. Despite North Korea`s nuclear bomb testing and military tension, South Korea should maintain the basics of their engagement policy towards North Korea. However, Seoul should not only stick to the engagement policy, but also strengthen the principles of the so-called ‘fundamental rules of engagement’ and use it as a future policy when dealing with Pyongyang. Basically, the engagement policy towards North Korea is supposed to be practiced by ‘the rational combination of carrots and sticks’. The engagement policy isn’t put in place to unconditionally take the North’s side, but rather to institutionalize norm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y using a so called “Tit for Tat” or “Quid pro Quo” strategy. Accordingly, this method would give disadvantages to the North by taking appropriate measures against any wrongdoings conducted by the regime, but at the same time offering advantages for its cooperation. That is to say that the rational engagement policy should not give North Korea the misconception that we would always take their side unconditionally. In other words, we have to clearly convey to the North that our engagement policy is not to acknowledge and tolerate their mistakes, but rather to strive for peaceful coexistence by actually acknowledging the North's regime, and to lead them to change throug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rule of engagement, we should take corresponding measures to make them aware of the pros and cons of their mistakes, while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their trust in us. This approach could lead to North Korea adopting a more cooperative stance with us in the future. If one looks at the entire history of Korea, the period of time where Korea was unified is actually longer than the amount of time Korea has been divided. Though this era of division we are faced with is not a short period of time, the day where Korea actually becomes unified could come even sooner if we just put our minds to it. As the conflict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become more and more intense, we should really take a moment to consider our future before we take action.

      • 濟州道 有力者 集團의 政治社會的 性格 : 1945∼1960

        이영권 濟州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 and nature of those people who gripped the power and influence in the Cheju province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iberation from Japan in 1945 and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The Cheju society experienced the bloodbath of the 4th of April Uprising. The Uprising had a huge influence on the change of the influentials' group as well. Before the Uprising, the People's Committee, which were characterized by independence, self-sustenance, aboriginality, popularism, and leftism, had taken the leading power. The reason this Committee could grip the power is that they are supported by Cheju residents. The populace threw their full support behind the Committee because most of the Committee members staged a positive anti-Japan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ercive rule. The influence of this Committee, however, started to wane due to the suppression of the U.S. military control and the Seung-man Lee government after the incident of opening fire in 1947, which is considered the beginning of the 4th of April Uprising. In the while, the Rightists started to root in and began to influence a lot all over the society. The extreme anti-communism system was established through the 4th of April Uprising and Korean war and it enabled the Rightists to grip the leading power. Though most of those rightists were not supported by the residents because they had the experience of helping the Japanese rule, they consistently expanded their power and influence through the adherence to the central government under the protection of the extreme anti-communism system. Therefore, those rightists, gripping the power after the 4th of April Uprising, are characterized by dependence on a foreign rule, subordination to a central government and rightism. And the structure of power in the Cheju province, formed in that period, has still retained its basic frame.

      • 15∼17세기 제주유민의 사회사적 연구

        이영권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조선시대 특히 15∼17세기 기간 중에 제주 사람들이 배를 타고 제주도를 떠나 유랑하던 역사를 고찰한 것이다. 이들은 왜 제주도를 떠났을까, 떠난 이들은 바다에서 어떤 삶을 살았을까 그리고 그들의 삶이 지금 우리에게 남기는 의미는 무엇일까 등의 문제를 고민했다. 이들의 삶을 고찰하기 위해 우선 아날학파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Fernand Braudel)의 3층구조 역사틀을 활용했다. 기존의 연구는 이들의 출륙 배경으로 척박한 토지, 자연재해, 지나친 수취, 지방관과 토호의 수탈 등에 주목했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은 비단 15∼17세기만 국한되었던 것이 아니다. 전근대 제주사회 전체를 관통하던 역경이었다. 그런데도 대규모 출륙 유랑은 15∼17세기에만 집중적으로 일어났다. 그렇다면 위의 요인만으로는 15∼17세기 제주유민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이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Ⅱ장은 출륙 유랑의 배경 찾기다. 이들의 출륙 요인을 사회구조적 배경과 자연 환경적 배경으로 나누어 살폈다. 사회구조적 배경으로는 과도한 역(役) 부과와 말 사교역으로 대표되는 제주경제의 변동을 주요한 요인으로 설정했고 자연 환경적 배경에서는 척박한 토지와 빈번한 자연재해를 유민 발생의 중요 요인으로 설명했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이들 제주유민의 발생을 다뤘다. 먼저 이들에 대한 명칭을 살폈다. 명칭은 크게 두 가지 계통이 있다. 두무악(頭無岳)계 명칭과 포작(鮑作)계 명칭이 그것이다. 두 명칭 모두 본래는 한자어가 아니었다. 본래 토속의 민간 명칭에 그 의미를 살리며 발음이 가까운 한자어를 조합했던 것이다. 물론 포작과 두무악은 의미가 본래 다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사실상 같은 존재 즉 출륙 제주유민을 뜻했다. 그리고 제주유민의 발생 시점과 격감 시점을 고찰했다. 선행 연구에서는 대부분 성종년간을 제주유민 발생의 시점으로 삼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른 견해를 폈다. 성종년간은 나중에 크게 사회문제화 되었던 시점이며, 발생은 그 이전 즉 세종 때부터 시작이라고 논증했다. 격감 시점은 선행 연구와 일치한다. 인조7년(1629년) 강력한 출륙금지령이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구성을 살폈다. 초기 유민은 제주도민 전반에 걸쳐 형성되었다. 말(馬) 경제 관련자들이 제주도민 전반에 걸쳐 존재하고 있었으므로 출륙 유랑민 역시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하층민으로 집중되고 있었다. 제주유민이 섬을 벗어나 진출했던 지역은 실로 방대했다. 멀리 중국 요동반도 아래의 해랑도에서부터 한반도 전역의 해안에 걸쳐 이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이 없었다. 물론 남해안이 이들의 집중적인 우거지였다. 기록으로는 확인되지 않지만 일본 열도로도 나갔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들 제주유민의 규모는 최소 1만 명, 이는 기록상에서 확인되는 출륙 공노비 숫자이다. 중세의 인구 기록은 부정확하고 통계 방법마다 차이가 많아 대략적 추세만을 살필 수밖에 없었다. 이들의 생업은 기본적으로 해산물 채취와 이의 교역이었다.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약탈도 병행하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이들과 유사했던 집단 즉 수적과 왜구와 중국인 수적과의 관계를 살폈다. 제주유민이 때로는 약탈을 자행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이들을 수적으로 의심하기도 했다. 그러나 수적은 보다 조직적으로 약탈을 일삼던 전문적인 집단이며, 제주유민은 우발적이고 일회적인 즉 비조직적인 단순 약탈자로서 수적과는 조금 달랐다. 물론 이들 중 일부가 수적에 편입되기도 했을 것이며 점차 수적으로 진화하기도 했을 것이다. 왜구와의 관계를 보면 일부 일본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제주유민이 곧 왜구인 것은 아니었다. 당시 조선 정부에서는 이들을 분명하게 구분하고 있었다. 하지만 삶의 환경이 비슷했기에 이들 집단은 서로 상당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때론 협력하고 때론 갈등하던 관계라고 하겠다. 특히 16세기의 후기왜구 활동기에는 일본인, 중국인, 제주유민이 어느 정도 섞여 있을 가능성도 있었다. 그러나 사료상으로는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바다 생활이라는 생태적 공통점 때문에 이들의 협력 관계는 가정해 볼 수 있다. Ⅴ장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제주유민의 삶을 다뤘다. 이들은 물길 정보, 배 다루는 능력 때문에 일찌감치 수군의 주목을 받았다. 그것은 곧바로 임진왜란 전쟁이 터지자 효력을 발휘했다. 충무공 이순신의 기록에 이들의 활동상이 적지 않게 드러난다. 여러 전투에서 사망 부상자 현황을 보면 이들 제주유민의 비율이 10%를 넘는다. 그만큼 그 전쟁에서 맡았던 역할이 컸던 셈이다. 반면 왜병으로 편입되기도 했다. 조선 관료의 수탈이 심할 때 이들은 왜병의 일원이 되기도 했다. 이들에게 중요했던 건 근대의 민족의식이 아니라 생존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이들의 배 즉 포작선도 전투에 동원되었다. 소규모 배로서 아주 빠른 장점이 있었기에 대형 전투선인 판옥선의 보조 역할을 담당했다. Ⅵ장은 종합 정리의 장이다. 이들의 삶을 총화한 뒤 이들에 대한 성격 규정을 시도했다. 그리고 이 작업을 통해 그 성격이 가진 함의 즉 당시 역사와 오늘날 역사 연구에 던지는 의미를 찾아보았다. 본 논문은 이들의 성격을 해양적 성격, 교역경제인적 성격, 약탈적 성격, 용병적 성격, 국제적 성격, 경계인적 성격으로 규정했다. 그리고 그 성격 규정을 통해서 1국적 역사인식 극복과 해양 역사에의 주목, 농업중심 중세사 극복 등을 제기했다. 국가주의적 시선으로는 변방의, 해양의, 비농업인의 중세사를 들여다 볼 수 없기 때문이었다. 주요어: 15∼17세기, 제주유민, 출륙유랑, 페르낭 브로델의 3층구조, 말(馬) 교역 통제, 6고역, 여정(女丁), 진상, 공물, 두무악, 포작, 해랑도, 남해안, 수적, 왜구, 임진왜란, 해양적 성격, 교역경제인적 성격, 약탈적 성격, 용병적 성격, 국제적 성격, 경계인적 성격.

      • VR 애니메이션의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 VR 애니메이션 〈미니월드 VR〉을 중심으로

        이영권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동안 공상과학 장르의 소재 정도로 여겨졌던 가상현실은 어느새 현시대의 거대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일부로 성장하고 있다. 현실을 모사한 가공의 환경에서의 새로운 경험은 많은 이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에 맞물려 다양한 기존 장르와의 융합, 새롭고 신선한 돌파구를 찾기 위한 움직임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필자가 기존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의 VR 콘텐츠를 분석하고, 직접 VR과 애니메이션의 융합을 시도하는 제작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배우고 느낀 것들을 담았다. 그리고 이후의 VR 애니메이션 제작에 기여하고 관련 연구를 위해 제언하는 것을 최종적인 목표로 삼아, VR 콘텐츠 제작이 가상현실 체험의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고, 그 특성들로 인해 발생하는 세부적인 차별점들에 대한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지는 것에서 시작한다고 상정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제시하기 위해 HMD(Head Mounted Display)와 모션 컨트롤러가 주는 고유한 체험적 특성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다양한 선행 연구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그리고 기존 VR 콘텐츠가 이를 고려해 제작한 방식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컷 사용이 극단적으로 제한되어 롱 테이크에 기반한 연출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VR 하드웨어와 관련 영상 문법의 발전이 계속 되어 온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함을 검증했으며, VR을 위해 등장한 새로운 인터페이스인 모션 컨트롤러는 가상의 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수단으로써 몰입감을 강화하는 동시에 가상공간이 적합한 물리적 피드백을 줄 수 없는 가공의 환경에 불과하다는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역효과를 불러오기도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고유의 경험적 특성으로 유발되는 다양한 제작적 차별점들은 1인칭 시점으로 경험하는 3차원의 가상공간을 그 원인이자 매개로 하고 있었기에, 가상의 공간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연출자가 의도한 대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고론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이를 지칭할 용어에 대해 ‘공간 기반의 간접적인 연출’이라는 의미로 ‘공간연출’이라 명명하고 그 세부적 요소들을 추려 제언하였다. 뒤이어 필자가 제작에 참여한 VR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미니월드 VR>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제작적, 연출적, 기술적으로 어떠한 고민과 시행착오가 있었고, 기존 분석한 VR 콘텐츠에서 유추했던 공간연출적 요소들이 어떻게 적용, 발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실제 제작에도 참고와 도움이 될 법한 요소들을 제언하였다. 결론에서는 이에 더해 현 세대의 하드웨어 개발 동향을 보아 그 중요성을 예상할 수 있으나, 제작 당시의 하드웨어적 한계로 검증하지 못한 점들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VR애니메이션 공간연출의 세부 요소들이 VR 콘텐츠 제작 과정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Virtual Reality has been thought as just a fancy material of Sci-Fi for a long time, but it is now growing the more and more important part of huge entertainment industry. VR makes people have unusual experience in artificial surroundings that imitate our real world. Under the circumstances, many creators keep trying ways to combine VR with existing genre for a new phase in image production. This paper is based on what I learned while analyzing present VR contents and participating in production project that aimed to integrate VR and animation technique. This study offers a specific opinion on VR animation production and it’s expected to help promote related studie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experience is necessary for successfully make VR contents. To suggest specific explanation for that, I analyzed unique experiential attributes of HMD and motion controller by illustrating some examples. As previous researches and existing VR contents’ making showed, there was a consensus that long-take based directing is appropriate for VR contents because of its limitation of cut using. And I verified that this previous study result is still valid even with the new circumstance of ongoing VR hardware development. About motion controller, it functions as equipment to interact with the virtual space with the purpose to make people be more absorbed in the situation. However, what I discovered is that even though it is a new interface made especially for VR, it can cause opposite effects by giving players the clue that the environment is just an artificial one with no correct physical response. These problems and features come from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experienced in a first person perspective. For that reason, I argued that creators need all-encompassing way of thinking to achieve intended scene directing. I named this specific idea as ‘Space Directing’ in the sense that it means indirect scene directing based on space understanding. After that, I suggested essential details and qualifications for Space Directing. The final analysis focused on the VR interactive animation <Mini World VR> which I participated in producing. I explained useful factors for actual production by examining the trial and error in producing, directing, technical issues and how the application of ‘Space Directing’ view affected the making process. In conclusion, I presented the need for following researches to examine some points that couldn’t be studied because of hardware limitation despite the expected importance considering current hardware development trend. I hope that the information of ‘Space Directing’ method for VR animation suggested in this paper would be helpful for future VR contents making.

      •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 연구

        이영권 동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Kim Jong-il, a chairman of national defense of North Korea, was died suddenly on Dec. 17, 2011. It created Kim Jong-un, a young and new leader of North Korea. Kim Jong-un couldn't have time to establish independent succession authority. In addition, distribution system was collapsed by economic difficulties and resident cohesion was weakened by inflow of capitalism factors, etc. Meanwhile, 3-generation hereditary succession at the young age, etc. is weakening validity of political power's succession. Therefore, the problem of Kim Jong-un government's stability has sufficient values and necessities as a subject of research. So, this thesis considers that ‘long-term trends' are organized by 3 dynamic factors(control of political power, functions of government, legitimacy of political power) and intend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Kim Jong-un government by focusing on the judgement of those 3 factors. The temporal range of this research is from 1998 to 2013. From an angle of research methodology, this thesis evaluates the stability of Kim Jong-un government and intends to use qualitative method and quantitative method at the same time so as to try limited anticipation of the future. For the method of quantitative measurement, a survey on North Korean defectors was mainly used so as to evaluate and judge 3 factors organizing long-term tendency for stability of political stability, control of political power, functions of government and legitimacy of political power. To sum up the results of research, Kim Jong-un regime entered stable conditions, but there is few possibilities to improve unstable factors greatly. Kim Jong-un political power takes the order, ‘strengthening of political(party control)・physical control → offsetting of unstability in economic area → improvement of stability in the whole parts such as politics, society, military force, etc. → improvement of general stability of political power’.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tability of Kim Jong-un government until now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it has lots of unstable factors like Kim Jong-il government, but shows off their stability. If examining long-term tendency(control of political power, functions of government, legitimacy of political power) related to the stability of North Korean government, fluctuation pattern of '(see-saw)’ type has been repeated at a certain level without any big width of fluctuation and shows recovery of relatively strong system. Second, negative factors such as deviation in the military, increase of corruption, low morale, etc. are gradually increased because of the reduction of North Korean functions(especially, insufficient supply). It can cause unstability of the military and threaten stability of Kim Jong-un government seriously. Third, there are a few possibilities that the crisis of North Korean functions is related to the crisis of Kim Jong-un government, like socialist countries of the East. Although North Korean function(supplying function) has maintained the level of crisis continuously, the stability of the government has been kept by strengthening of political power's control. Fourth, they have maintained limited stability until now in the situation the quality of North Korean system is very weakened, but trigger factors giving a sudden shock can cause the crisis of government. If the purge of people in the leadership such as change of leaders, execution of Jang Sung-taek, etc. is frequently occurred, it can restrict and press the control of government and cause the crisis of system suddenly. Especially, Kim Jong-un government whomp up their stability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physical control, so they should be more vulnerable to trigger factors such as internal agitation, etc. An analysis on the durability of Kim Jong-un government of North Korea from an angle of long-term tendency should be positively helpful to establish policies of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their unity. In addition, the analysis of long-term tendency should contribute to studies on system stability of socialist countries or dictatorial regimes including North Korea academically as one of methods to try to analyze the stability of existing North Korea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