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브랜드 아이덴티티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요소 연구 : 플래그쉽 스토어 중심으로

        이연지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성장과 소비수준의 변화로 브랜드시장의 규모가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브랜드 들이 상위 브랜드로 진입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시장에서 기업들이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 브랜드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마케팅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브랜드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판매하는 플래그쉽 스토어가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플래쉽 스토어를 통해 브랜드가 가진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전달함에 있어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공간요소는 브랜드를 경험하게 하는 주된 요인일 것이다. 이러한 공간요소들의 특징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 영향에 상관성이 있음을 객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공간마케팅 및 디자인기획에 있어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 및 확립을 위한 주된 요인과 전략적 제안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공간요소를 통하여 기업이나 브랜드 공간 마케팅 및 설계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인지를 통한 공간요소의 분석 범위는 플래그쉽 스토어 중에서도 브랜드 인지도 확립 및 플래그쉽 스토어의 강점인 브랜드 전문화를 위해 차별화가 두드러지지 않고 가격대가 낮아 브랜드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SPA브랜드로 한정하였으며 연구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2 장에서는 연구에 기본이 되는 브랜드의 개념과 브랜드인지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따른 플래그쉽 스토어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공간디자인의 구성요소와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인지하는 특성에 대해 규명하였으며, 아이덴티티 영향에 관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3 장에서는 플래그쉽 스토어 중 SPA브랜드의 정체성 및 차별화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브랜드 사례분석을 실시하며, 이는 제공되는 브랜드이미지를 통해 브랜드 공간의 계획 시 기초자료로 쓰기 위함이다. 분석을 하기위한 틀은 브랜드 스케이핑의 요소와 실내디자인 스타일의 유형을 바탕으로 형용사 어휘 군집분석을 설정하였다. 분석을 하기위한 수집방법은 공간을 디자인하고 계획하는 디자이너그룹을 통해 심층면접 및 형용사 어휘 평가를 통해 다섯 개의 선도 브랜드를 유형별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는 소비자 리서치를 통한 분석 결과와 함께 연구모델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4 장에서는 소비자들이 플래그쉽 스토어에서 브랜드를 인지함에 따라 공간요소가 브랜드아이덴티티 영향에 상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장이다. 앞장에서 분석한 브랜드 이미지와 스타일을 소비자에게 제시했을 때, 소비자들이 어떤 공간요소를 통해 브랜드를 강하게 인지하는 가를 브랜드재인-회상 작용을 통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2,30대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통해 플래그쉽 스토어의 브랜드 인지를 강하게 전달하는 공간요소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각 브랜드공간의 공간요소들의 상관성을 밝혀 차이점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5 장에서는 4 장까지 진행된 연구 내용에 대한 종합의견과 향후 연구과제 및 적용 가능한 방향, 한계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분석사례와 공간요소의 도출에서의 한계점이 있었으나 전반적인 구조를 살펴봄에 있어서의 중요함이 있다. 따라서 더욱 세분화되고 명확한 도구제시를 통한 연구가 발전하면 향후 서비스 디자인과 함께 공간디자인 계획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마케팅에 있어서 소비자 인지에 의한 공간요소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영향에 상관성이 있다는 관점에서 주요 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기존의 도구개발 및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이며, 더 나아가 서비스 디자인 및 디자인 계획과 제안에 있어 활용되기 위한 첫 걸음으로 이를 통한 후속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 지역사회획득 MRSA 및 병원내감염 MRSA의 선천 면역 반응 차이

        이연지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major cause of hospital and community infections. MRSA is resistant to several antibiotics used to treat bacterial infections, and therefore prolongs hospital stays and increases hospital costs. In this study, we elucidated the differences and mechanisms of innate immunity between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type II (SCCmec II) sequence type (ST) 5, one of the strains of healthcare-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HA-MRSA), and SCCmec IV ST72, one of the strains of community-acquired MRSA (CA-MRSA).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cytokine production and NF-κB/MAPK activity between these two strains, mouse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were treated with heat-inactivated or lysed HA-MRSA and CA-MRSA. CA-MRSA treatment increased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and TNF-α)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and activated NF-κB/MAPKs. However, HA-MRSA treatment weakly induced cytokine production and NF-κB/MAPKs activity.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activity of innate immune receptors, HEK-Blue-hTLR2 and HEK-Blue-hNOD2 cells were treated with heat-inactivated or lysed MRSA. HA-MRSA treatment reduced the levels of TLR2 receptor activity, whereas CA-MRSA enhanced it. However, NOD2 receptors were not activated by HA- or CA-MRSA strain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immune response in vivo between the two MRSA strains during lung infection, bacterial CFU and IL-6, TNF-α, and IL-10 cytokine levels were measured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btained after nasal infection. A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 of bacteria were detected in the BAL fluids of CA-MRSA-infected mice than in HA-MRSA-infected mice, and induced more TNF-α production, which was consistent with severe pulmonary damage during CA-MRSA infection. The results validate the differences in host immune response depending on the MRSA genotype. Further, it suggests that the treatment targeting innate immunity has the potential as a method to control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that are difficult to treat with antibiotic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은 병원 및 지역사회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 세균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입원의 장기화 및 의료비용상승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주로 발견되는 병원 내 감염 (healthcare-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HA-MRSA) 계통 중 하나인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type II (SCCmec II) sequence type (ST) 5와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community 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CA-MRSA)인 SCCmec IV ST72의 선천면역 차이와 기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두 계통 간의 사이토카인 생성 및 NF-κB/MAPKs 활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골수 유래 대식세포에 열 불활화 및 용해한 HA-MRSA 및 CA-MRSA를 처리하였다. CA-MRSA 처리 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및 TNF-α와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의 증가를 야기하였고, NF-κB/MAPKs을 활성화하였다. HA-MRSA 처리 시에는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NF-κB/MAPKs의 활성을 약하게 혹은 거의 일으키지 않았다. 선천면역수용체의 활성 차이를 확인하고자 HEK-Blue-hTLR2 및 HEK-Blue-hNOD2 세포에 열불활화 및 용해 MRSA를 처리하였을 때, HA-MRSA처리는 낮은 수준의 TLR2 수용체의 활성을 야기하였고, CA-MRSA는 더 강한 수준의 TLR2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NOD2 수용체는 두 MRSA 계통 모두에 의해서 활성화되지 않았다. 폐 감염 시 두 MRSA 계통 간의 면역반응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강을 통하여 감염시킨 후 획득한 기관지 폐포 세척액에서 잔존하는 균의 수, IL-6, TNF-α 및 IL-10을 측정하였고, CA-MRSA의 감염은 HA-MRSA보다 균의 제거가 잘 되지 않았고, 더 많은 TNF-α의 생성을 유도하였다. 폐 조직에서 또한 CA-MRSA 감염 시 더 심각한 손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MRSA의 유전자형에 따라서 숙주의 면역반응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고, 더 나아가 항생제로 치료하기 어려운 항생제내성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면역 메커니즘 타깃 치료가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과학 시대의 문학 : 이광수의 『무정』에 나타나는 자연주의적 특성 연구

        이연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이광수의 『무정』이 지닌 자연주의 문학적 특성에 주목한다. 특히 필자는 『무정』에서 근대 과학적 지식을 문학 창작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려 했던 자연주의 문학적 시도의 측면을 조명할 것이다. 이광수는 과학적 법칙에 의거한 사회적 변혁과 문명조선의 건설을 촉구했다. 그리고 그러한 청사진을 문학적 창작을 통해 펼쳐 보이려 했다. 이 시도는 앞서 프랑스에서 과학과 기술문명이라는 자연주의적 지식을 문학 내부로 끌어 들여 창작에 응용하고자 했던 프랑스 자연주의 문학의 전범에 상당부분 부합한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자연주의와 관련한 에밀 졸라의 저술을 검토하는 방식을 통해 후에 『무정』에서 초점을 맞춰 살펴볼 몇 가지 자연주의적 특성을 구체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프랑스의 자연주의 문학론과 그 탄생 배경을 에밀 졸라가 발표한 「실험소설론」을 통해 분석할 것이다. 보통 창작 자체가 쟁점이 되는 여타 문예운동과 달리 작가에 의해 뚜렷한 이론이 제시되고 논의의 중심이 되었던 문예운동은 자연주의가 유일무이 유기환,「자연주의론 비교 연구 : 졸라의 「실험소설」과 염상섭의 「개성과 예술」」, 『佛語佛文學硏究』, Vol.100, 2014, p. 297. 하며, 때문에 자연주의 문학 연구에 있어 프랑스 자연주의 선언서라 평가받는 「실험소설론」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지닌다. 이 논문에서 문학 작품의 본격적 분석에 앞서 「실험소설론」을 통해 자연주의의 골자를 추출해내려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에밀 졸라가 주창한 프랑스 자연주의는 문학 사조 자체로서도 중요하지만, 문학 외적인 영향에 의해 태동한 하나의 지성사적 움직임이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 앞서 언급했듯 창작활동보다 이론의 수립이 선행되고 중시되었던 까닭이기도 하다. 문학사 내에서 바라본 근경으로서의 자연주의에는 작가와 작품이 존재할 뿐이지만, 원경에서 조망한 자연주의는 융성하는 근대 과학과 격변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문학가들이 시급히 마련한 대처와 생존의 전략이었던 것이다. 이 연구는 이광수의 『무정』이 유사한 시대적 상황 하에서 탄생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근대 과학적 지식과 발전이 초래한 위기의식을 해소하기 위한 대응 방안, 즉 자연과학적 방법론을 문학 내부로 도입하려는 시도와, 또 이를 바탕으로 한 작품 활동이 어떻게 과학적으로 강성한 문명과 국가의 발전을 촉구하려 했던 사회적 참여로 이어졌는지를 밝히려 한다. 이것이 바로 이 연구가 자연주의 문학의 대표작인 에밀 졸라의 『루공-마카르 총서 Les Rougon-Macquart』 7권 『제르미날 Germinal』과 이광수의 『무정』의 비교를 통해 드러내는 “자연주의적 특성”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naturalistic characteristics of Yi Kwang-su’s 1917 novel The Heartless. The Heartless is considered the first modern novel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ut discussion of the novel as a product of any specific literary movement has been scarce and slight. At first glance, it seems chronologically inappropriate to situate The Heartless amongst naturalistic novels considering the fact that Yeom Sang-seop The Green Frog in the Specimen Room, arguably the first Korean naturalist novel, was published in 1921. But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various literary movements such as nihilism, romanticism, aestheticism, diabolism, sentimentalism, dadaism, symbolism were all imported and practiced simultaneously unlike in the history of Western literature, where one new literary movement emerged as a reaction against previous movement one after another. Furthermore, it was through Japanes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at Korean writers encountered modern European literature that some misunderstanding and distortion were inevitable. For this reason, classification of literary works in this era by genre cannot help but be an arbitrary process with much room for adjustment. I see The Heartless not only as a naturalistic novel but as a literary manifestation of ideal for Yi Kwang-su’s civilized Chosŏn. Yi Kwang-su urged his fellow Koreans to work together to build the radically transformed society based on modern industrial and technical development, and this concept of scientific civilization was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his literary creation. In this sense, The Heartless can be corresponding literary model to French naturalism, whose exponents appropriated the scientific themes and method to write their novels and dealt with the subject of modern scientific civilization. Thus,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naturalistic aspects of Yi Kwang-su’s The Heartless by mainly comparing it with Germinal, thirteenth novel in Émile Zola's Rougon-Macquart series. To achieve this, first I take a close look at Émile Zola’s naturalism theories. And then this paper focuses on and examines three most powerful naturalistic themes that can be found on both The Heartless and Germinal. However,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not to classify The Heartless as naturalist fiction, but to find out what these two naturalistic writers, a French writer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a writer in colonial Korea of the early 20th century, tried to achieve by utilizing scientific methods to their acts of literary creation and to evaluate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 <산책>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형성

        이연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산책> 프로젝트를 통하여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어 가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P시에 소재하는 D유치원 만 4, 5세반 1개 학반 6명(남:2명, 여:4명)으로 2020년 6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참여관찰, 심층면담, 기타자료(활동결과물, 일화기록, 학부모 면담 등)를 통하여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형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책> 프로젝트를 통하여 자연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관심과 기대로 변하고, 자연을 일상적인 놀이 공간으로 인식하며 친근함을 느끼게 되었다. 더불어 다양한 동·식물을 지속적으로 만나고 오감으로 관찰하고 교감을 나누는 경험을 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애정이 생겼다. 둘째, <산책> 프로젝트를 하면서 동·식물도 생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자연과 교감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자연을 온전하게 지켜주고 싶은 생명 존중 태도가 형성 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들은 <산책> 프로젝트를 통하여 자연을 지속적으로 만나는 경험을 통하여 자연을 사랑하는 태도를 형성하고, 생명을 존중하며 자연보호 실천 활동을 함으로써 생태적 감수성이 형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ature-friendly attitudes in early childhood are developed through project <Stroll>.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June 2020 to July 2021 to a class of 6 (2 male, 4 female) four-year-olds in kindergarten D located in city P of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current study took the method of ethnographic study, and throughout the project, the data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nature-friendly attitudes were col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via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other references (activity results, daily records, parent interview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perception towards nature changed to interest and anticipation, and the children sensed friendliness towards nature as they recognized it as their daily playing environment through the project <Stroll>. Also, the children learned affection towards nature as they experience a continuous encounter with various animals and plants as well as observing and interacting with all their senses. Second, the children learned to appreciate the lives of animals and plants, developing respect for life by interacting with nature and willing to preserve the environment through the project <Stroll>. In conclusion, through the project <Stroll>, young children developed affection towards nature by experiencing a continuous encounter with nature and developed ecological sensibility by respecting nature and participating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 항암제 내성을 억제하는 물질 탐색 및 기전 연구

        이연지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Chemotherapy is a treatment that works on cancer cells that spread throughout the body. As the number of treatments increases, cancer patients have resistance to anticancer drugs. Cancer cells grow continuously due to abnormal physiological environment, so the cores of cancer cells far from blood vessels is surrounded by micro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such as hypoglycemia, hypoxia, and nutrient starvations. The micro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causes two kinds of cell biological changes. The first is the accumulation of proteasome in the nucleus. When the proteasome accumulates, the topoisomerase-Ⅱα is degraded, and anticancer drugs targeting topoisomerase-Ⅱα lose their target and resistance to anticancer drugs. The second is up-regulation of GRP78 protein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Up-regulated GRP78 does not activate caspase-7 by binding to procaspase-7. Therefore, the caspase pathway is blocked, leading to the anticancer drug resistance. Based on this mechanism, studies about anticancer drugs resistance under micro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in cancer cells were conducted, we established a new screening system for anticancer drugs that inhibit the viability of cancer cells that have acquired resistance under micro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We isolated the active compound JS-18-25 from Bomby mori Linne through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LH-20 column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Finally, We confirmed that JS-18-25 was identified as that of dehydrovomifoliol by ESI-Mass spectrum, 1H-NMR and 13C-NMR analysis. Although dehydrovomifoliol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the inhibition of anticancer drug resistance has not been reported. Dehydrovomifoliol is not cytotoxic under normal conditions and inhibits degradation of topoisomerase-Ⅱα in micro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W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hydrovomifoliol as a new inhibitor for anticancer resistance induced by microenvironmental stress in cancer cells. 암은 인간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노령인구의 증가, 서구화된 식생활, 운동부족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사망률이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질병이다. 이러한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및 화학요법 등이 있으며 암의 재발 및 전이 방지를 위해 화학요법이 기본적으로 병용 치료된다. 항암제를 사용하여 치료하는 항암화학요법은 항암제가 혈류를 따라 온몸에 퍼져있는 암세포에 작용하는 치료법이며 치료 횟수가 증가할수록 암환자가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항암제의 내성 기전으로는 암세포가 가지는 비정상적인 생리환경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덩어리지며 성장함으로써 혈관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어 glucose, oxygen, nutrition 등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미세환경 스트레스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러한 스트레스 상태의 암세포에서는 두 가지의 세포생물학적 변화가 나타난다. 첫째, 핵내 proteasome 양의 증가와 축적으로 topoisomerase-Ⅱα를 분해한다. 둘째, 소포체내에서 분자샤페론 GRP78의 과발현을 유도하여 caspase pathway가 blocking된다.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내 미세환경 스트레스로부터 유도되는 항암제 내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내성억제제 탐색을 위해 국내·외에서 자생하는 636종의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screening을 실시한 결과, 잠사(Bombyx mori Linne) 추출물이 항암제 내성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잠사 추출물은 정상상태의 암세포에서는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미세환경 스트레스 상태에서 강력한 내성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잠사는 누에 Bombyx mori의 분변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려진 효능으로는 염증완화, 노화억제, 중풍억제, 혈압과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생리활성이 있으나, 항암제 내성억제활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잠사 methanol 추출물로부터 항암제 내성억제활성을 가지는 생리활성물질을 분리하고자 극성도를 달리하여 n-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water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그 중 활성이 있는 diethyl ether 층을 silica gel column, LH-20 column chromatography와 HPLC를 실시하여 단일물질을 분리하였다. 이 활성물질을 JS-18-25라 명명하였고, JS-18-25의 화학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ESI-Mass, NMR spectrum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헌조사를 실시한 결과, JS-18-25는 기존의 sesquiterpenoid계 화합물인 dehydrovomifoliol과 동일한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dehydrovomifoliol의 세포생물학적 기전 연구를 실시하여 암세포내 미세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항암제 내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제 내성억제제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L. v. Beethoven, ?Piano Sonata No. 22 in F Major, op. 54?, F. Liszt, ?Mephisto Waltz No. 1?, C. Debussy, ?Suite bergamasque?, M. Ravel, ?Le tombeau de Couperin?에 대한 연주 및 연구

        이연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 프로그램인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년)의 «피아노 소나타 22번 바장조, 작품 번호 54»(Piano Sonata No. 22 in F Major, op. 54),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년)의 «메피스토 왈츠 1번»(Mephisto Waltz No. 1),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년)의 «베르가마스크 모음곡»(Suite bergamasque),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년)의 «쿠프랭의 무덤»(Le tombeau de Couperin)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각 작품의 구조 및 특징을 분석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주법 해설을 통하여 실제 연주를 용이하게 하는 데에 있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독일의 작곡가이다. «피아노 소나타 22번 바장조, 작품 번호 54»는 그의 중기 피아노 소나타에 해당된다. 총 2악장의 구성으로 1악장은 미뉴에트(minuet) 형식이며 2악장은 상동곡인, 소규모의 소나타이다. 1악장의 미뉴에트와 트리오(trio) 부분의 결합을 통해 통일성을 추구하면서, 끊임없이 계속되는 2악장까지 하나의 흐름으로 연주하여야 하는 작품이다. 프란츠 리스트는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헝가리의 피아노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피아노곡에 관현악적 특징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메피스토 왈츠 1번»은 그의 관현악곡인 «레나우의 「파우스트」에 의한 두 개의 에피소드»(Zwei Episoden aus Lenau’s 「Faust」) 중 ‘2. 마을 선술집에서의 춤’(Der Tanz in der Dorfschenke)의 피아노 편곡이다. 원작 「파우스트」에 등장하는 각 등장인물들에 대응되는 주제를 파악하여 관현악적 음향을 구현하며 연주하여야 하는 작품이다. 클로드 드뷔시는 인상주의의 기틀을 다진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그의 인상주의 작곡 방식이 확립되기 전의 초기작인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은 고전 양식을 차용한 근대 모음곡으로 신고전주의 양상을 띠는 곡이다. 총 4곡으로 구성된 각 곡들에 쓰인 고전 양식에 근대적 화성 어법 및 작곡 기법을 결합시켜 연주하여야 하는 작품이다. 모리스 라벨은 신고전주의를 추구한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그의 마지막 피아노곡인 «쿠프랭의 무덤»은 고전 양식을 차용한 근대 모음곡으로, 프랑스 작곡가인 프랑수아 쿠프랭(François Couperin, 1668-1733년)이 활동했던 바로크 시대의 음악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 있다. 또한, 각 곡에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자들인 그의 친구들을 추모하는 문구가 담겨 있다. 드뷔시의 곡과 마찬가지로 이 곡 역시 각 곡들에 쓰인 고전 양식에 근대적 화성 어법 및 작곡 기법을 결합시켜 연주하여야 하는 작품이다. This thesis is a reseach on L. v. Beethoven, «Piano Sonata No. 22 in F Major, op. 54», F. Liszt, «Mephisto Waltz No. 1», C. Debussy, «Suite bergamasque», and M. Ravel, «Le tombeau de Couperin»(or A memorial piece to Couperin) which were the programs of my master’s degree rec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iece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iece and to facilitate actual performance through explanation of method of performance. Ludwig van Beethoven was a German composer who represents Classicism. «Piano Sonata No. 22 in F Major, op. 54» is a piano sonata in his mid-period. This piece is composed of two movements, one in Minuet form and the second in ‘perpetuum mobile’, which are small-scale sonatas. This work requires combination of minuet and trio parts in the first movement to maintain consistent flow even in the second movement and in turn gain unity throughout the whole piece. Franz Liszt is a Hungarian pianist and composer representing Romanticism, who presented orchestral features in piano pieces. «Mephisto Waltz No. 1» is a piano arrangement of his orchestral music, ‘2. Der Tanz in the Dorfschenke(or Dance in the Village Tavern)’ of «Zwei Episoden aus Lenau's 「Faust」»(or Two Episodes by Lenau's 「Faust」). When playing this piece, themes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in the original ‘Faust’ should be identified and need to focus on realizing orchestral sound.  Claude Debussy was a leading French composer who laid the foundation for Impressionism. «Suite bergamasque», his early work before his impressionistic style of composition was established, is a modern composition in classical style and takes on a neoclassical style. The modern harmony expression and composition techniques need to be combined with the classical style used in each piece.  Maurice Ravel was a leading French composer who pursued Neoclassicalism. His last piano piece, «Le tombeau de Couperin», is a modern suite of classical music, which shows respect to the Baroque music of French composer François Couperin(1668–1733). Also, each piece contains a phrase in memory of his friends, who were World War I veterans. Like Debussy's, the work requires the combination of the classical style used in each piece, with the modern harmonic grammar and compositional techniques.

      •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연지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Patients visiting general hospitals not only suffer unbearable physical pain from the disease, but also experience spiritual conflicts such as fear of the disease. In this situation,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who care for various patients can help the health recovery of the subjects. However, they are less interested in spiritual nursing problems due to lack of time due to busy work and space constraints, and have low awareness and practice of spiritual ca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empathy, interpersonal relations, burnout and spiritual well-being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on spiritual care competency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development to improve spiritual care competency based on th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8 nurses who worked at six general hospitals in B metropolitan city, D metropolitan city and G city for more than one yea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5, 2021 to March 15, 2021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 (IRB) of K University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to visit the nursing department of the hospital to explain the purpose and procedure of this study to the nursing director and seek cooperation. After fully explaining the research purpose, method, and survey contents to the subjects who met the criteria for selecti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with written consent to respond directly to the questionnaire.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sealed and immediately recovered or collected. As a research tool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of empathy was based on the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TEQ) developed by Spreng et al.(2009) and translated by Kim Hwan and Han Soo Mi(2016) into Korean and verified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developed by Guerney (1977) was adapted by Moon Sun-mo (1980), and Im Eun-ju and Lee Yeo-jin (2014)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nurses. The burnout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a tool that Mijeong Ham (2011) translated and used Copenhagen Burnout Inventory(CBI) developed by Kristen, Borritz, Villadsen and Christensen (2005). Spiritual well-being measurement was developed by Paloutzian and Ellison (1982), using a Korean spiritual well-being measurement tool translated by You and Yoo (2016).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measurement was translated by Jeong Mi-ja, Park Young-rye, and Eun-young (2016) of Van Leeuwen et al. (2009) and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Scale (K-SCS)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analysis methods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5.0 (SPSS Korea, Data Solution Inc) statistics program, using real,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average level of empathy was average 43.35±6.67 (tool range:0-64) and average score was 2.71±0.42 (scale range:0-4). The average interpersonal relations was 84.59±11.01 (tool range:25-125) and the average score was 3.38±0.44 (scale range:1-5). The average burnout was 57.48±13.33 (tool range: 19-95) and the average score was 3.03±0.73 (scale range:1-5). The average spiritual well-being of the subjects was 53.80±13.99 (tool range: 20-100), average score 2.69±0.70 (scale range: 1-5), and religious well-being average 21.89±9.99 (tool range: 10-50) for each sub-area. average score of 2.19±1.00 (scale range: 1-5), existential well-being average of 31.91±6.55 (tool range: 10-50), and average score of 3.19±0.65 (scale range: 1-5). The average spiritual care competency was 67.76±16.19 (tool range:26-130) and the average score was 2.61±0.62 (scale range:1-5). 2.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piritual care competency of the subj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roviding spiritual care(t=3.781, p<.001) and the necessity of spiritual care(F=21.534, p<.001). As a result of the post-validation, the level of spiritual care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recognized as normal or unnecessary. 3. The level of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the subject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athy (r=.219, p=.001), interpersonal relations (r=.203, p=.003), spiritual well-being (r=.382, p<.001), religious well-being (r=.402, p<.001), existential well-being (r=.205, p=.003), and burnout (r=-.022, p=.057) was not significant. 4. The factors affecting the spiritual care competency of the subjects were the necessity of spiritual care(β=.303, p=.001), religious well-being (β=.291, p<.001), empathy (β=.149, p=.043),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25.4%.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spiritual care, religious well-being, and empathy as factors affecting the spiritual care competency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Therefore, to improv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raise awareness of the need for spiritual care, support and system to ensure religious well-being, and to develop and appl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empathy. 종합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은 질병으로 인하여 참기 힘든 신체적 고통을 겪을 뿐 아니라 질병으로 인한 두려움과 같은 영적갈등을 경험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양한 환자를 돌보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은 대상자의 건강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바쁜 업무로 인한 시간부족과 공간제약 등의 이유로 영적인 간호문제에 대한 관심이 적으며 영적간호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가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 대인관계 능력, 소진, 영적안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영적간호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 D광역시와 G시에 소재한 6개 종합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208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전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2021년 2월 15일부터 동년 3월 15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해당 병원의 간호부서를 방문하여 간호과장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방법, 설문내용을 충분히 설명한 후 서면동의를 받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는 밀봉하고 즉시 회수 또는 수거함에 넣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로 공감 능력 측정은 Spreng 등(2009)이 개발한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TEQ)를 김환과 한수미(2016)가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대인관계 능력 측정은 Guerney (1977)가 개발한 Relationship Change Scale(RCS)를 문선모(1980)가 번안하고 임은주와 이여진(2014)이 간호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소진 측정은 Kristen, Borritz, Villadsen와 Christensen (2005)이 개발한 Copenhagen Burnout Inventory(CBI)를 함미정(2011)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영적안녕 측정은 Paloutzian과 Ellison (1982)이 개발한 Spiritual Well-Being Scale(SWBS)를 You와 Yoo(2016)가 번역한 한국형 영적안녕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영적간호역량 측정은 van Leeuwen 등(2009)의 Spiritual Care Comeptence Scale(SCCS)을 정미자, 박영례와 은영(2016)이 번안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한국어판 영적간호역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IBM SPSS 25.0(SPSS Korea, Data Solution In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공감은 평균 43.35±6.67(도구범위:0-64), 평균평점 2.71±0.42(척도범위:0-4)이었다. 대인관계 능력은 평균 84.59±11.01(도구범위:25-125), 평균평점 3.38±0.44(척도범위:1-5)이었고, 소진은 평균 57.48±13.33(도구범위:19-95), 평균평점 3.03±0.73(척도범위:1-5)이었다. 영적안녕 정도는 평균 53.80±13.99(도구범위:20-100), 평균평점 2.69±0.70(척도범위:1-5)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종교적 안녕 평균 21.89±9.99(도구범위:10-50), 평균평점 2.19±1.00(척도범위:1-5), 실존적 안녕 평균 31.91±6.55(도구범위:10-50), 평균평점 3.19±0.65(척도범위:1-5)이었다. 영적간호역량은 평균 67.76±16.19(도구범위:26-130), 평균평점 2.61±0.62(척도범위:1-5)이었다. 2. 대상자의 영적간호역량 정도의 차이는 일반적 특성 중 영적간호를 제공한 경험(t=3.781, p<.001), 영적간호의 필요성(F=21.53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증한 결과 영적간호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군이 보통이거나 그렇지 않다고 인식하는 군보다 영적간호역량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영적간호역량 정도는 공감(r=.219, p=.001), 대인관계 능력(r=.203, p=.003), 영적안녕(r=.382, p<.001), 종교적 안녕(r=.402, p<.001), 실존적 안녕(r=.205, p=.003)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소진(r=-.022, p=.757)과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4. 대상자의 영적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적간호의 필요성(β=.303, p=.001), 종교적 안녕(β=.291, p<.001), 공감(β=.149, p=.04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의 영적간호역량에 대한 총 설명력은 25.4%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영적간호의 필요성, 종교적 안녕, 공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영적간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종교적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원과 체계를 구비하고, 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디지털위성방송의 박물관 전문채널 제안

        이연지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디지털위성방송은 2002년 3월 1일 출범하여 이제 막 걸음마 단계를 시작하는 중이라 할 수 있다. 디지털위성방송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데이터방송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본 방송을 개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디지털위성방송의 데이터방송 서비스는 지금까지 '바보상자'로 불리던 TV가 시청자의 까다로운 수요에 부응하고 예기치 못했던 상황까지도 대처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스마트 TV'로 격상하게 한다. 이로써 TV는 우리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정보전달 매체로 새로운 자리 매김을 하게 된다. 이렇듯 이제 TV는 우리의 삶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대중매체로서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지대하다. 이러한 TV를 매개로 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문화예술 향수 및 학습의 기회와 정보를 제공하여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 환경 즉, 문화예술 전문 채널이 활성화되리란 전망 아래 디지털위성방송에서의 박물관 전문채널 제안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2장의 연구에서 디지털위성방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지털위성방송에서의 문화예술 전문채널 운영의 가능성을 알아보았으며, 3장에서는 박물관을 문화예술 전문채널의 컨텐츠로 설정하여 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을 알아보고 매체와 박물관의 연계점을 찾아 박물관 전문채널의 가능성을 도출하여, 마지막 4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이 담긴 디지털위성방송의 박물관 전문채널 'I.M.C'(Interactive Museum Channel)를 제안하였다. 'I.M.C'는 상호작용성(interactivity)과 비동시성(asynchronism)의 특성을 가지며, 박물관이 갖는 다양한 기능을 종합디지털방송(ISDB)서비스를 통해 발전적 유기적 연계성을 갖고 수행한다. 그리고 'I.M.C'의 다양한 기능은 프로그램으로 실연(實演)하고 소화(消化)된다. 'I.M.C'는 박물관을 담아내기에 남녀노소 모두에게 유익한 채널이며, 그러한 만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제공한다. 수용자들은 디지털위성방송의 갖가지 수용자 중심의 기능을 사용하여 'I.M.C'의 프로그램을 향유함으로써 문화예술 향수와 학습의 기회와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이로써 'I.M.C'는 21세기 문화의 시대를 맞아 점점 증가하고 있는 국민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를 충족 시켜 줄 수 있으며, 박물관이 갖고 있는 수집, 보존, 연구, 전시 기능 뿐 아니라, 사회교육, 향유, 정보제공의 기능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과 자국의 문화이미지 제고를 위한 국제교류 기능 등을 담당하여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위성방송의 문화예술 전문채널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박물관 전문채널 제안을 통해 그 청사진을 그려보았다. 여기에 응용하여 예컨대, 오페라하우스채널, 연극채널 둥 디지털위성방송에서의 보다 다양한 문화예술 부문의 채널이 개발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자의 디지털위성방송의 박물관 전문채널 'I.M.C' 제안이 실현되어 'I.M.C'가 새로운 문화기관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 더불어 방송매체를 이용한 문화예술 보급 및 화산과 성숙한 문화예술 향수자 개발 그리고 나아가 문화민주주의를 앞당기는데 본 연구가 미력이나마 일조 할 수 있기를 바란다. In Korea,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was launched on the Ist, May in 2002 and it is still in the opening stage. Data Broadcasting service which is the core of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is currently placing itself in the mainstream of the global broadcasting environment. In Korea it is scheduled to start during early 2003.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s promote TV to a high rank - it was considered as a simple appliance for a long time, but now it is called 'intelligent smart TV which meets the particular demand of viewers and copes with the unpredictable situations. Therefore, TV has become the essential media in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Clearly the importance and reliability of TV media is on the rise. This research started on the assumption that enjoyments and opportunities through the mediation of TV will increase, and it is intended to suggest the museum channel with the perspective on the activation of a special culture and art channel which will provide the accessible circumstance of culture and art. In chapter 2, 1 deal with the possibility of managing a special culture and art channel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in chapter 3, with setting up the museum as a content of the special culture and art channel, I deal with functions and roles of the museum, and finally in chapter 4, 1 suggest the 'I.M.C'(Interactive Museum Channel) a special museum channel on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which i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M.C' has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and asynchronism, and it performs various functions of the museum with developmental and organic connections through ISDB(Integrated Service Digital Broadcasting). In addition, the various functions of 'I.M.C' are performed and absorbed by programs. 'I.M.C' which shows the museum is a beneficial channel to people of all ages and gender, providing programs to satisfy all the people. Receivers will possess this 'I.M.C' program by using the means of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and finally take the opportunities of learning and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Accordingly, 'I.M.C' satisfies people's increasing needs for culture and art in the 21st century as the era of culture. Moreover, it is very functional not only for the basic functions of the museum such as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and display, but also for providing social education, enjoyment, and information. It a h accomplishes the role of a complex cultural site, and the international exchange for the image-making of the native culture. In this paper, we picture the possibility ol the Museum Channel on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through the suggestion of the adaptive museum channel. Likewise, we can apply the various channels about culture and art such as an Opera Channel or a Performing Arts Channel. Therefore, I wish that the museum channel on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of 'I.M.C' is realized as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upcoming culture environment. In addition I hope that this research contributes diffusion and spread of 'culture and art' by broadcasting, as well as development of polished men of culture and pioneering of cultural democracy.

      • 업사이클 데님패션 디자인 개발 연구

        이연지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Fast fashion, which has become popular lately, is mass producing various products in different designs at low prices reflecting the fast-changing trend. This phenomenon has led to irresponsible consumer consciousness, and is causing wasteful use of resources which is destroying the environment and threatening the global ecosystem. Based on the environmental awareness, concepts prioritizing the environment and the society have emerged, and these concepts are being developed into design concepts such as eco design, green design, and sustainable design. Among these concepts, upcycl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various industries as a value-appreciating concept of recycling which recreates the existing resources into more useful products. Fashion designs using recycled garments are especially recognized for its values as a practice of upcycle design since it effectively and efficiently reuses limited resources. However, since upcycle fashion design only provides limited values to consumers as it simply emphasizes the concept of recycling, researches on the aesthetic and the material of upcycle fashion design are required in order to provide different styles satisfying personal tastes of consumers and to provide alternate plans for the environmen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upcycle denim fashion design development which is a part of upcycle design in the 21st century where environmental awareness is emerging. Th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both the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in order to identify the position and the importance of denim material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nim materials, one of clothing wastes known to cause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its production and the disposal proces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enim recycling, research foundation and characteristics for denim fashion designs had been provided by identifying unique features and principles of upcycle fashion designs through advanced studie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alue-appreciating upcycle denim fashion designs applying design factors and principles of hand-made products which had been identified through analyzed methods of expression. Theoretical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nim materials which have practicality, symbolism, and aesthetic are produced in different colors, textures and thickness according to the types of weaving process and combination of the raw material, and new materials had been developed with various innovative processes. Second, analysis on the denim fashion market has found that the casual clothing, which is the positioning where denim fashion belongs to, has been expanding its size for last 5 years, and since the women’s, men’s, and children’s clothing industries have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denim items, it is believed that the denim fashion is widespread regardless of the types of clothing. Third, the need for upcycle denim fashion design development research has been reconfirmed as it is a resolution for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resource wastes from harvesting, transporting, manufacturing, and disposal of cotton which is the main raw material of denim. Fourth, characteristics of upcycle fashion design identified by advanced researches were environmentality, uniqueness, aesthetic, availability, convertibility, deconstructivity, and rarity, and the expression principles of upcycle fashion design were recycling, substitution, recombination, and reduction.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enim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conduc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external expression pattern and the inner mea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has found that the external expression pattern consists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itution, avant-garde and convertibility, mix and match of materials and techniques, zero waste, and layering, while the expression techniques were decomposition, depaysement, weaving, cut off, collage, assemblage, overlapping, connecting, attaching, and stitching. The inner meanings were identified as economicality through recycling, convertibility through rearranging, and rarity with values of hand-made products. The result of the upcycle denim fashion design research applying the identified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developing and creating designs using modified denim and sub-materials with various expression patterns and techniques could provide whole new images unlike existing denim products. Second, modifying the details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ormat of denim clothing could provide unique characteristics to the upcycle denim fashion design, suggesting a new possibility of upcycle denim fashion design. Third, methodological and environment-friendly models with creative designs were developing by recycling used denim materials and reducing resource waste and energy while maximizing the use of resources This research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researches as it applies the theoretical research results and suggests the potential of fashion designs utilizing used denim materials. In order to vitalize upcycle fashion design, it is required to show the consumers that the aesthetics and the quality of products are as equal as new products. Thus, additional development researches for various products are needed as denim materials are durable when it comes to quality. Also, in order to commercialize the products, consistent supply of used materials through making connections with related businesses is required, and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it mainly focused on limited colors of denim products using used denim materials provided by non-professionals. Lastly, in order to provide resolutions for environmental issues, consumers also ne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ethical consumerism, and change in consciousness for avoiding meaningless consumerism is necessary. This study expects upcycle desig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to become a permanent fashion trend and consumer culture. Moreover, this study also expects upcycle fashion design research using denim materials to help creating new values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n the fashion industry. 최근 성행하고 있는 패스트 패션은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을 즉시 반영한 디자인과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상품을 무분별하게 대량생산하고 있다. 이로 인해 무책임한 소비 의식이 팽배해지고 이는 무의미한 자원의 낭비로 환경 파괴로 이어져 지구 생태계를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러한 환경 파괴의 경각심을 바탕으로 환경과 사회를 우선시하는 개념들이 생겨났고, 에코디자인, 그린디자인, 지속가능한 디자인 등의 디자인의 용어를 사용하며 개념들을 발전시켜 가고 있다. 그 중 업사이클은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현대 사회에서 기존의 자원을 재활용하여 이전보다 쓸모 있는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가치상향형태의 재활용 개념으로 많은 분야에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업사이클 디자인의 실천방안 중 하나로서 중고 의상을 재활용한 패션디자인은 고갈되어가는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재사용한다는 점에서 환경적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재활용의 측면만 강조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제한적 가치만을 전달해주므로 오늘날 개인의 개성표현과 환경문제의 새로운 대안을 위하여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은 외형적 측면뿐만 아니라 소재별 특성에 따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환경에 대한 책임이 대두되고 있는 21세기에 업사이클 디자인의 일환으로써 업사이클 데님패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의류 폐기물들 중 특히 제조와 폐기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데님 소재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 패션 산업에서의 데님의 위치와 비중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외 마켓을 조사하였다. 이에 데님의 재활용 필요성을 인식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특징과 원리를 도출하여 업사이클 데님패션 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된 표현방식에 의한 수공예적 디자인 요소와 원리를 반영하여 고부가가치의 업사이클 데님패션 디자인 작품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론적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성, 상징성, 심미성의 특성을 지닌 데님은 제직의 종류와 원료의 배합이나 가공기법에 따라 다양한 표면과 색상, 촉감, 두께로 생산되는데 기존의 틀을 깨는 다양한 가공으로 새로운 소재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었다. 둘째, 데님패션의 마켓 분석을 통해서 데님패션이 속한 포지셔닝의 캐주얼은 최근 5년간 계속적으로 규모가 확장되고 있었으며 여성복 및 남성복, 아웃도어, 아동복 등에서도 데님 아이템의 종류 및 수량을 늘리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종목을 불문하고 데님패션이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데님의 원료인 목화의 재배, 운반, 제조와 폐기의 과정에서 낭비되는 자원과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업사이클 데님패션 디자인의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특징은 환경성, 독창성, 심미성, 가용성, 전환성, 해체성, 희소성으로 나타났으며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표현원리로는 재활용, 대체, 재조합, 재생산, 경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론적 분석을 토대로 도출한 업사이클 데님패션 디자인의 특성을 외적 표현형식과 내적 의미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외적 표현형식은 해체와 재구성, 전위와 전환, 소재 및 기법의 믹스매치, 제로 웨이스트, 레이어링의 형식으로 나타났으며 표현기법은 해체, 데페이즈망, 엮기, 컷 오프, 콜라주, 아상블라주, 겹치기, 이어붙이기, 덧붙이기, 스티칭 등의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의미는 재활용을 통한 경제성, 재배치를 통한 전환성, 수공예적 가치가 더해진 희소성으로 내적 의미와 가치를 갖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특성을 반영하여 업사이클 데님패션 디자인 작품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표현형식과 기법을 이용하여 변형한 데님과 부자재를 사용하여 작품을 개발하고 연출함으로써 기존의 데님 제품과는 다른 새로운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었다. 둘째, 데님 의류의 기본적 형태를 유지하면서 디테일에 다양한 변화를 줌으로써 독특한 개성을 부여하여 업사이클 데님패션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중고 데님을 재활용하여 자원의 낭비와 에너지를 절감하고, 자원의 활용도를 최대한 높임으로써 환경에 유익한 창의적인 디자인의 방법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 결과와 이를 적용하여 중고 데님을 재활용한 패션의 활용 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두었다.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각적 디자인이나 품질이 새 제품과 비교해 뒤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하는데, 데님은 시간이 지나도 품질에 크게 구애 받지 않는 소재이므로 데님의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의 개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제품의 상업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중고 재료의 수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의 재료는 지인을 통한 중고 데님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의 데님 작품이 제작되지 못한 점에서 연구의 제한점이 있었다. 끝으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 또한 윤리적 소비와 그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소비를 위한 소비의 지양과 필요와 쓸모에 의한 구매를 하는 의식의 변화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환경을 고려한 업사이클 디자인이 일시적인 트렌드로 사라져버리는 것이 아닌 문화로 정착되길 바라며, 데님을 이용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 연구가 패션 산업에서 소재의 특징을 인식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생태계교란생물 마늘냉이의 분포와 개체군 동태

        이연지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known that garlic mustard(Alliaria petiolata), which is a species that has devastated forests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and Canada, plays a role in destroying the ecosystem such as reducing the competitiveness of endemic species and weakening litter decomposing by secreting allelochemicals. It was designated as an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species in Korea in 2020 because the seed has a long lifespan and is not easy to remove once it settles. In this study, the domestic distribution of garlic mustard was confirmed, and the precise distribution, growth environment, life cycle,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dynamics were identified in the Samcheok area, where the largest population in Korea has settled. Considering the stage of occurrence of the garlic mustard population that invaded the Samcheok area, the life cycle was revealed by classifying the age status, and the population dynamics in places with different location requirements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garlic mustard occupied an area of 2,957㎡ in Samcheok and spread widely in the area of Galyasan Mountain. The annual population germinated in April and passed the winter in rosette form, followed by vegetative growth from April 10 to 24, and reproduction from April 24 to May 7 of the following year. Most of the populations began to die in June. Both the annual and biennial populations tended to increase and then decrease as of around April 27(118 days). The plant standing biomass had a high value when the diameter of the diameter of tap root was large, the number of leaves over 1cm was high, and the biomass of the above shoot system was larger than that of the root system. When checking the seed production rate in self-pollination and cross-pollination, seed production was achieve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pollinating insec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the distribution area of garlic mustard, the light conditions were better, compared to undistributed area, the litter layer was less developed, the distance from the road was short, the altitude was low, and it was concentrated in the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lope.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spread trend of garlic mustard was predicted, and a plant management plan was suggested to help establish a control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