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대통합 주일예배에 관한 어린이 참여방안 연구

        이에스더 서울장신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A. 연구의 동기와 입장 주5일근무제 시행과 친환경을 선호하는 시대가 되면서, 주일이면 먼 거리에서 온 가족들이 함께 예배당으로 오는 가정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대부분 교회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은 어른들은 본당으로 가서 예배를 드리고, 어린이나 청소년은 교육관 같은 분리된 장소에서 따로 시간을 갖는다. 일주일동안 가족 각자의 바쁜 삶 때문에 함께 있는 시간이 부족했는데, 교회에 와서도 서로 다른 공간에서 예배를 드리며 따로 주일을 보낸다. 그리고 교사들은 그 시간에 아이들을 가르쳐야 하기 때문에 다른 성도들과 공동체적인 예배를 드리지 못하고 따로 예배를 드려야 한다. 이것이 대부분의 한국교회의 모습일 것이다. 또한, 예배가 삶으로 적용되어야 하는데, 부모세대들과 어린세대들의 예배주제말씀도 서로 다르므로 서로가 신앙적인 나눔을 갖을 기회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고 요즘처럼 성인들은 투잡(two-job)으로 살아야 할 정도로 바쁘고 아이들은 입시경쟁에 파묻혀, 함께 식사하기도 힘든데 가정예배를 꾸준히 드리고 있는 가정은 얼마나 될 것인가. 위와 같은 상황 속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부분의 부모들이 자신의 자녀들의 신앙교육을 교회 주일학교에 맡겨두고 있는데, 예배가 아닌 기초적인 성경상식을 가르치는데서 그치는 경향이 많은 학교식 주일학교 방식에는 오류가 있다는데 있다. 현재의 주일학교처럼 성경이야기나 하나님에 대해서만 가볍게 알려주는 수준에서는 어린이들이 신앙적으로 성장될 수가 없다. 모태나 영유아 때부터 성경지식에 대해 꾸준히 들어 온 아이들일수록 학교 교과서식의 공과내용을 이미 다 아니까 교회에 더 이상 나갈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는 아이들도 많고, 주일학교 선생님들이 무엇을 하든지 간에 기대감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런 현상의 주된 이유는 어린이들은 예수그리스도를 영접하고 회심할 수 있는 영적 능력이 없다고 단정 짓고, 그들에게는 진정한 예배를 드릴 수 있는 기회를 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어린이들은 교회의 한 성도로서 여기지도 않아 어느 정도 나이가 들어야 교회의 일원으로 인정하고, 그 전까지는 하나님을 경험하고 실제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주지도 않았다. 어린이예배라고는 부르지만 그들에게 오락과 잠간의 흥미만을 제공하는 레크리에이션 시간에 흡사한 경우가 매우 많다. 이런 주일학교가 유치하다고 여겨지면 아이들은 점차 교회를 떠난다. 그들의 삶에 실제적으로 동행하시는 하나님을 어렸을 때부터 체험하지 못한 아이들은 교회의 프로그램보다 TV나 인터넷, 게임, 스포츠 등이 그들에게 더 가치 있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나님보다 학업성적 올리는 것이 더 중요한 목표가 되는 것이다. 교회에서라도 세상의 가치관을 뒤로 하고 영유아, 초등학생, 청소년, 청장년, 실버세대에 이르기까지 교회전체의 성도가 예수그리스도 안의 한 가족임을 인식하고 하나님을 예배하며, 사랑과 평화의 안식을 주고받게 하면 얼마나 좋을까. 대부분의 한국교회에는 나이, 성별, 직분, 출신에 상관없이 한 교회 온 성도가 함께 예배드리며 진정으로 하나님께 그들의 전인적인 삶을 통해 영광 돌리는 성경적인 공동체가 될 기회가 없다. 교회의 예배에 임재하시는 하나님을 체험하고 그 분의 뜻에 순종하는 성숙한 하나님의 군사요, 예수님의 신부가 되게 하기보다는 각 사람의 구미를 만족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이 더 활개를 치고 있다. 초대교회의 모형 중에 하나인 세대통합 주일예배에 대한 본 논문은 이런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특히, 어린이의 능력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정확치 못한 고정관념들을 바로 잡아주게 될 것이다. 그런데 현실적으로는 세대통합 주일예배를 언급하면 탁상공론에 불과한 이야기로 여기거나 영유아들의 부모들은 별로 달갑지 않게 받아들일 것이다. 아무리 내 자녀를 사랑한다지만, 예배시간만큼은 교사들이 따로 돌봐주고 간편하게 예배하길 원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아이와 함께하는 예배가 바람직함을 인정하지만, 자신의 자녀로 인해 예배분위기가 소란스럽게 될까봐 염려하는 부모들도 있을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느 정도 성숙한 중학생 이상부터나 가능하지 영유아나 초등학생이 어른들과 함께 예배를 드릴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교회성도들이 세대통합 주일예배를 시행하는 초기의 모든 불편함을 감수하고서라도 세대통합 주일예배를 필수적으로 드려야 하는 근본적인 이유들은 무엇인지, 영유아부터 초등학생들이 세대통합 주일예배를 함께 드리는 것이 실천 가능한 바람직한 대안인지를 중점적으로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미 세대통합 주일예배를 드리는 교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세대통합 주일예배의 형태는 어떠해야 좋을지, 기획과 예배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연구하고자 했다. 세대통합 주일예배를 오늘날 기독교교육학이나 예배학, 선교학의 통찰을 빌려서 성서적 근거를 통한 대안예배로 제시하여,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성을 이루는 예배”를 확립하려고 노력하였다.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기분화가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이에스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achment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on sexual assertiveness among college students. It also aimed to help university students keep their sexuality and spiritual health by being good at sexual assertiven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73 male and 164 female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Self-differentiation includes five subscales such as emotional reactivity, I-position, fusion with others, emotional cutoff, and emotional fusion. The major results wer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ttachment with parents with grade, major, parents marital statue, father’s education level and mother’s education leve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cross sex, grade, age, major, religion, parents marital statue, residence type and mother’s education level.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xual assertiveness across sex, major, religion, parents marital statue, Residence type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a household.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know the effects of attachment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on sexual assertiveness. An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fusion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sexual assertiveness. Fifth,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with their parents and sexual assertiveness was regulated by self-differentiation. Finally, female students were good at sexual self-assertion than male students were. And when college students were not excessively involved in emoti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y could be good at sexual self-assertion. Self-differentiation played a role in improving the sexual assertiveness of college students. The regulation effects of attachment with their mothers on sexual assertiveness were higher than that of attachment with their fathers.

      • Autophagy-enhancing peptide promotes hair growth through AMPK/ULK1/Beclin1 pathway

        이에스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Background: Hair loss affects millions of people around the world, but lacks of a method that can be used to regrow hai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autophagy regulation plays a variety of roles in hair growth. We developed ICP-5249, pentasodium tetracarboxymethyl palmitoyl dipeptide,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ICP-5249 on autophagic activity that may be associated with hair growh. Methods: After ICP5249 was topically applied in the telogenic mice for 28 days, it was analyzed through visual and histological evaluation. Also, human hair follicle organ was incubated with ICP5249 in the presence of autophagy inhibitor compound C for 5 days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elongated hair shaft and perform histological evaluation. Next, ICP5249 was treated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by concentration. Expression of hair growth-related factors and makers of autophagy was measured to confirm that it is whether ICP5249 affects in hair growth and autophagy activation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hDPCs) in the presence of compound C.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CP5249 significantly promoted hair growth by inducing anagen phase in hair follicle in vivo and most superior elongation of hair shaft inhibited by compound C. Histological observation was showed the appearance of hair follicle shape similar to anagen phase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β-catenin and LC3. Also, we showed the upregulation of hair growth-related factors and Wnt/β-catenin signaling in compound C-treated hDPCs. Furthermore, ICP5249 increased autophagy marker, ATG8 and LC3, through phosphorylation of AMPK, ULK1, and Beclin1 that are decreased in compound C-treated hDPC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CP5249 has positively affect hair growth through increased the activity of Wnt/β-catenin pathway and autophagy activation. 배경 : 탈모는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모발을 다시 자라게 하는 방법은 부족하다. 최근 연구에서는 자가 포식 조절이 모발 성장에 다양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ICP5249(pentasodium tetracarboxymethyl palmitoyl dipeptide)를 개발하고, 모발 성장과 관련될 수 있는 자가 포식 활동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 휴지기 마우스에 ICP5249를 28일동안 바른 후 시각적 및조직학적 평가로 분석하였다. 또한, 인체 모낭 조직을 자가 포식 억제제인 compound C와 ICP5249를 5일간 함께 배양하여 성장한 모간의 길이를 측정하고, 조직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인간 모유두 세포에 ICP5249를 농도 별로 처리하였다. 인간 모유두 세포에 compound C를 처리한 후 모발 성장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과 자가 포식의 인자들을 측정하여 ICP529가 모발 성장과 자가 포식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 생체 내 실험에서 ICP5249가 모낭을 성장기 단계로 유도 시킴으로써 모발 성장을 현저하게 증진시켰고, compound C에 의해 모간의 성장이 상당히 억제되었다. 조직학적 관찰에서는 모낭의 모양이 성장기 단계와 유사하였고, β-catenin과 LC3의 발현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ICP5249를 처리한 인간 모유두세포에서 모발 성장 관련 인자들과 Wnt/β-catenin 신호전달이 상향 조절되었다. 게다가, ICP5249는 자가 포식 marker인 ATG8과 LC3를 증가시키고. AMPK, ULK1, Beclin1의 인산화를 증가시켰으며, compound C를 처리한 인간 모유두세포에서는 감소하였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ICP5249가 Wnt/β-catenin 경로의 활성 증가 및 자가 포식 활성화를 통해 모발 성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 意思疏通 能力 向上을 위한 놀이 分析 : 2009 개정 중학교《생활중국어》5종 교과서 중심으로

        이에스더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아래 개편된 중학교《생활중국어》5종 교과서에 제시된 놀이를 비교·분석해보고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놀이를 개발 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교과서의 놀이 자료가 ‘언어의 네 기능을 얼마나 고루 반영하였는가?’, ‘각 단원별로 제시된 놀이는 학습목표와의 연계성을 띄고 있는가?’ 등을 분석한 후 더 나은 학습효과를 낼 수 있는 새로운 놀이를 추가 개발해 보고자 한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놀이를 생각해 보기에 앞서 의사소통 능력과 놀이의 개념을 먼저 알아 보고 필요성 및 효과·유형 등 이론적 특성을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以前 교육과정인 2007 개정 교육과정과 現 교육과정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체제와 의사소통 기본표현의 차이점을 비교해보고,《생활중국어》5종 교과서의 구성 체계 및 놀이 구성을 분석해 본다. 이어서 각 교과서에 구성된 놀이의 언어기능을 분류해보고, 놀이가 각단원별 학습목표와 연계성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중국어 교과서를 바탕으로 중국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놀이를 개발하여 본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해 보고 정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 5종 교과서의 놀이 자료를 분석한 후 학습목표와 놀이간의 연계성이 결여된 단원을 토대로 두 가지 이상의 언어 기능을 통합한 새로운 놀이를 개발하는데 주안점을 두어 향후 중국어 교재 개발에 수월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 한·미·중 국제방송 유튜브 뉴스채널의 팬데믹 보도 비교 분석 : 미디어외교 현황을 중심으로

        이에스더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On May 4, 2023, the International Public Health Crisis (PHEIC) of COVID-19 was lifted three years and two months after the WHO declared COVID-19 a pandemic. This study focused on the national image and public response reflected in the news of international broadcasts in the United States, China, which form a representative conflict, and Korea, at a time wh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s confused by a global epidemic in the early 21st century. Specifically, through topic modeling and in-depth interviews, COVID-19 news on YouTube channels operated by international broadcasts in three countries,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as empirically verified. To this end, the thesis was largely composed of Research 1 and Research 2. First, in Research 1, a total of 3,575 COVID-19 news articles from three YouTube channels, Voice of America in the United States, CGTN in China, and Arirang News in Korea, were collected, and the concept and theme of news were analyzed using Leximancer, one of the topic modeling techniques. As a result, the frame of Voice of America was "pandemic lockdown and economic crisis," the frame of CGTN was "China's coronavirus control and vaccine diplomacy," and the frame of Arirang News was "coronavirus statistics and government measures." Through Research 1, it was confirmed that the frames found in the COVID-19 news of international broadcast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differed by country. In Research 2, we explored how the YouTube public responds to COVID-19 news in three countries, focusing on the goal of public diplomacy to win the hearts of the foreign public through consent and empathy. Specifically, 150 of the 3,575 news collected in Research 1 were selected for each channel, and a total of 124,019 comments (Voice of America = 40,581 / CGTN = 56,990 / Arirang News = 26,448) were analyzed in Leximancer to derive major concepts and themes of the comments. As a result, VOA comments in the U.S. showed that the public shared opinions on the facts and power of coronavirus-related news, discussing freedom of food and places with people who eat animals such as bats. The public response revealed by Chinese CGTN comments was "criticizing China's propaganda on COVID-19 news, medical research and prayers to God to save the world from the pandemic." Finally, regarding Arirang News, the public talked a lot about "the number of coronavirus infections and confirmed cases among the total population, treatment and control, and doctors." Through Research 2, it was confirmed that Chinese international broadcasting news did not secure public trust, while Korean international broadcasting news secured public trust.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public diplomacy experts with the results of the topic modeling data analysis in Research 1 and Research 2, China's CGTN clearly promoted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national image and promoting the country, and Korea's Arirang News also reflected the intended national imag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VOA news in the United States, which values media independence and objectivity, does not reflect the national image intended by the United Stat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 diplomacy approach of international broadcasting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count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approach and role of media diplomacy differ depending on the national system by analyzing YouTube news of international broadcasts in the global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guide for media diplomacy research in that the frame of this study can be substituted for other international conflict news studies. Finally, it is meaningful to diagnose the current address of Korean international broadcasting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media diplomacy after post-COVID-19 by comparing and analyzing Korea's international broadcasting news in mid-sized countries and confirming a positive public response to the national image. 2023 5월 4일, 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를 팬데믹으로 선포한 지 3년 2개월 만에 COVID-19의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이 해제되었다. 본 연구는 21세기 초유의 전지구적 전염병으로 국제사회가 혼란을 겪으며 강대국들에 대한 이미지에 변화가 일어난 시기에 대표적인 갈등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그리고 한국의 국제방송 뉴스에 반영된 국가 이미지와 공중의 반응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 미국, 그리고 중국 등 3개국 국제방송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의 COVID-19 뉴스가 어떤 프레임으로 뉴스를 발신하며 국가 이미지가 반영되었는지, 동시에 공공외교 커뮤니케이션의 대상인 공중이 COVID-19 뉴스에 보이는 반응이 어떠한지를 토픽모델링과 심층면접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크게 연구 1과 연구 2로 논문을 구성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미국의 Voice of America, 중국의 CGTN, 그리고 한국 Arirang News 등 3개 유튜브 채널의 COVID-19 뉴스 기사 총 3,575건을 수집하여 토픽모델링 기법 중 하나인 렉시맨서(Leximancer)를 활용하여 뉴스의 개념과 주제를 분석하고 동시출현개념의 빈도와 관계성 차이를 분석하여 프레임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Voice of America의 프레임은 ‘팬데믹 봉쇄와 경제 위기(pandemic lockdown and economic crisis)’, CGTN의 프레임은 ‘중국의 코로나바이러스 통제와 백신외교(China’s coronavirus control and vaccine diplomacy’, 그리고 arirang News의 프레임은 ‘코로나바이러스 통계와 정부의 조치(coronavirus percent and government measures)’로 나타났다. 연구 1을 통해 한국, 미국, 중국 국제방송의 COVID-19 뉴스에서 발견된 프레임이 국가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동의와 공감을 통해 외국 대중의 마음을 얻으려는 공공외교의 목표에 주목하여 유튜브 공중이 3개국의 COVID-19 뉴스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 수집된 총 3,575건의 뉴스 중 채널 별로 150건을 선별하여 150건 뉴스에 달린 댓글 총 124,019건 (Voice of America = 40,581 / CGTN = 56,990 /Arirang News = 26,448개)을 렉시맨서(Leximancer)에서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댓글의 주요 개념과 주제를 도출한 후, 동시출현개념의 빈도를 분석하여 공중 반응의 차이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미국 VOA 댓글에서는 공중이 ’박쥐 등 동물을 음식으로 먹는 사람들과 음식, 장소에 대한 자유를 논하며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뉴스의 사실 관계 및 권력‘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CGTN 댓글로 드러난 공중의 반응은 ’COVID-19 뉴스에 대한 중국의 선전(propaganda)을 비난하고, 세계를 팬데믹에서 구하기 위한 의학적 연구와 신에게 드리는 기도‘였다. 마지막으로, Arirang News에 대해 공중들은 ’전체 인구 중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와 확진자 숫자, 치료와 통제, 의사‘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다. 연구 2를 통해 중국 국제방송 뉴스가 공중의 신뢰를 확보하지 못한 반면, 한국 국제방송 뉴스가 공중의 신뢰를 확보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1과 2의 토픽모델링 데이터 분석 결과를 가지고 공공외교 전문가들을 심층면접한 결과, 중국의 CGTN은 국가이미지 제고와 국가홍보 목적을 확실하게 추진하고 한국의 Arirang News 또한 의도된 국가이미지를 반영하였다. 그러나, 언론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중요시하는 미국의 VOA 뉴스에는 미국이 의도한 국가 이미지가 반영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국가별로 국제방송의 미디어외교 접근 방식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이라는 전지구적 위기 상황에서 국제방송의 유튜브 뉴스를 분석하여 국가 체제에 따라 미디어외교의 접근 방식과 역할이 다름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이 연구의 프레임이 다른 국제갈등 뉴스 연구에 대입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디어외교 연구의 지침서로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대국 국제방송과 견주어 중견국 한국의 국제방송 뉴스를 비교분석하고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공중 반응을 확인함으로써, 한국 국제방송의 현 주소를 진단하고 미디어외교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