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송강 가사의 교수·학습 연구

        이아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Songang's kasa(lyrics), 「Samiinkok」 and「Sokmiinkok」 stand first on the list of his works, are highly appreciated in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 And the study of Songang's kasa has been done very briskly. But the study of how to teach the Songang's kasa in the active education leaves much to be desired.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ways of teaching "kasa", a part of Korean old literature. We have mainly concentrated on analysing the texts and the meaning of them and capturing the contents. However the object on teaching old literature doesn't lie in only letting us what past literature is. That the education through old literary works links the past to the "now" matters most. Kasa will be literature of the type which is unique is the possibility of trying to seek from only our literary company, Korean verse and will join in and Korea will beg and is a literature which represents. With like this reason, to record kasa work in literary subject and is to put. Of course, while our old literary initiates the results of historical social school register research and memorizes there is not a tendency which is preponderated. But recently, are newer a little from position of the consumer and the students interest there is connects goes and guides and a chisel possibility, means the sentiment which the sense for the real the traditional connection from fire tube line of current style subject and is and old literary education will be possible. Paid attention in like this point and this study from first to observe the style problem of kasa from literary subject map point of view, tried. Divided with writings and, lyricisms, narrations and kyosul beverages tried to observe. Had the work of Songang's kasa in afterwords and to observe about the kasa instructional method which is efficient tried. kasa the reason which does professor ․ studying of works with difficult 「Gwandongbyeolkok」 did in example and tried to observe. And 「Samiinkok」 with 「Sokmiinkok」 about literary educational value and expressive technique and subject about the subject map tried to observe. Songang's two miminkok with the work which is on apex in middle of the kasa works, our language being beautiful, well is saving with the thing changing, is visible the loyalty which is not a possibility of saying that there is a value from point. 「Samiinkok」 presented the professor ․ studying plan which is concrete in example of the professor ․ studying method which Songang's kasa is efficient last. This study which sees insufficienily from the while education field, kasa presents a point of view from the literary subject map which comes to treat and puts and point and Songang's kasa a questionable matter to the thing with method of professor ․ studying which is efficient to present works, put there is.

      • 중1 영어 교과서 대화문 분석

        이아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부터 말하기 영역에 대화문을 제시함에 있어 초등학교에서 4년 동안 영어를 배워온 학생들에게 적절한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또한 대화문으로서 갖추어야 할 요소들을 적절하게 갖추고 있어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키우는데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먼저 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언어재료 중 명확한 기준을 두지 않은 소재, 문화, 단일 문장의 길이를 분석기준으로 삼아 분석하였고, 대화의 상황적 요소인 시간, 장소, 참여자들의 사회적 관계와 의사소통 기능, 대화 분석적 개념인 발화순서교체, 인접쌍, 대화문의 길이 측면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제시된 대화문을 분석하여 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소재와 관련해서는 각 교과서마다 매우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었으나, 소재가 다소 편중되거나, 수박겉핥기 식으로 다루고 있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 중학교 1학년에서 다루어야 하는 소재는 일상생활에 관한 것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가족과 가정생활, 시간과 요일, 날짜등과 같은 소재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문화의 측면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현 교육과정 안에서는 문화라는 언어재료를 추상적으로 제시하고 있어서 문화라기보다는 또 다른 언어재료인 소재적 측면을 문화와 뭉뚱그려 고려하고 있었다. 이에 문화라는 너무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을 언어재료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현 교육과정 개정안에서는 소재의 하위 항목으로 포함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대화문에서 다루는 문화는 대부분이 Bic C에 해당하는 항목들이었고, 있다고 해도 심도 있게 다루지 않고 수박 겉핥기식으로 단순 언급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일상생활과 관련된 문화적 소재들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셋째, 대화문의 단일 문장의 길이는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낱말의 수를 세어 계산하여보니 초등학교 6학년과 거의 비슷한 문장의 길이를 보이고 있었고, 다만 6~9 낱말로 이루어진 낱말의 비중이 조금 증가하였다. 또한 단일 문장의 개수는 교과서마다 큰 차이를 보였으며, 초등학교 대화문의 개수보다도 현저하게 적었다. 넷째, 대화 상황적 요소와 의사소통 기능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더니 대화 상황인 시간, 장소, 참여자의 관계는 지나치게 편중되거나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대화가 일어나는 상황을 적절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 기능항목도 대부분 사실적 정보 교환 항목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지만, 상위범주 내의 각 하위 범주들의 분포는 교과서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대화분석적 개념들인 발화 순서 교체와 인접쌍, 대화길이는 편중적으로 제시되어 있을 뿐 다양하게 제시되거나 보다 복잡한 구조를 취하고 있지는 않았다. 위 결과로부터 대화문의 길이가 다양한 언어재료를 담고, 언어 상황적 요소를 고려하며, 대화의 구조를 갖추기에는 다소 짧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대화문의 길이를 늘려 다양한 요소들을 반영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 중국 교포의 한국어 쓰기에 나타나는 오류 양상 분석 : 부정적 전이를 중심으로

        이아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중국 교포의 한국어 쓰기에 나타나는 오류 양상 분석 –부정적 전이를 중심으로- 이아름 한국어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중국 교포의 한국어 쓰기에서 나타나는 오류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추후 본 연구 결과가 중국 교포 한국어 쓰기의 교육적 바탕이 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의 국가 위상이 상승함과 동시에 최근 한류 문화 전파의 영향으로 여러 나라에서 취미 활동과 한국 유학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한국어 교육 연구도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이들 학습자와는 대조적으로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중국 교포의 경우 생계형 목적을 바탕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 대상자들은 이들 특유의 고착된 한국어 사용으로 인해 의사소통에는 일정 수준 능숙해도 쓰기 활동에서는 빈번히 오류를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안타깝게도 이들의 한국어 쓰기 오류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며, 기타 문화권 출신 학습자들과는 별도의 한국어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데, 그 교육 방안 지침 개발 역시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교포들의 한국어 쓰기 자료를 분석하여 이들 대상에게서 나타나는 오류의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 보는 데에 그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어 연구의 대상과 내용을 설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이들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를 통해 본 연구의 진행 방향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중국 교포의 한국어 쓰기에 나타나는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는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대조 분석 가설과 중간 언어의 개념을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중국어와 한국어에 대한 대조 분석까지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중국 교포의 한국어 쓰기 자료를 분석하기에 앞서 자료를 수집할 연구 대상과 분석의 의도 및 연구 절차와 방법을 설정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할 범주와 준거를 거시적 층위와 미시적 층위로 나누어 도출하여 정리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설정한 글쓰기 오류 분석의 범주에 따라서 먼저 각각의 자료를 거시적 층위와 미시적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거시적 층위에서는 크게 이들 글쓰기의 구조적인 측면 분석을 다루었는데, 3단 구성, 과제 수행도 및 응집성, 수사학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미시적 층위에서는 크게 어휘 오류, 조사 오류, 문법 오류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끝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중점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고, 연구가 지닌 의의 및 한계점을 되짚어 보며, 본 연구를 마무리 지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미미했던 연구 분야 중 하나인 중국 교포의 한국어 쓰기 오류를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 중국 교포 한국어 화자들에 대한 별도의 한국어 학습 자료들이 활발히 개발되기를 기대하며 더불어 이들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심도 있는 연구 또한 활발해지기를 바라본다.

      • 청소년이 지각한 심리적 변인과 학교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아름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교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이나 실천방법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등의 심리적 변인과 학교폭력경험이 청소년의 정신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또한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 자료와 프로그램으로 연결 할 수 있는 정보를 찾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의 스트레스 정도는 어떠하며, 관련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어떠하며, 관련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의 정도는 어떠하며, 관련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이며,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다섯째, 청소년의 우울의 정도는 어떠하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 (배경변인, 심리적변인, 학교폭력경험) 및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규명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자료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적 분석, 집단 간 비교를 위한 t-검정 및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종속변수의 결정요인 및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중회귀분석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스트레스 첫째, 스트레스의 전반적 경향 청소년의 스트레스 수준은 5점 만점에 전체 평균이 3.23점으로 보통 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배경변인(성별, 학교, 부모님과의 관계, 경제적 수준, 학교만족도) 에 따라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성별, 학교, 학교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자아존중감 첫째, 자아존중감의 전반적 경향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수준은 5점 만점에 전체 평균이 3.32점으로 보통 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 배경변인 (성별, 학교, 부모님과의 관계, 경제적 수준, 학교만족도)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알아본 결과 부모님과의 관계, 경제수준, 학교생활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학교폭력경험 첫째, 학교폭력경험의 전반적 경향 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을 피해경험, 가해경험 2가지 하위변인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 수준은 5점 만점에 피해경험평균 1.66, 가해경험평균 1.46, 전체 평균이 1.56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폭력경험 배경변인(성별, 학교, 부모님과의 관계, 경제적 수준, 학교생활만족도) 에 따른 학교폭력경험의 차이에서 부모님과의 관계, 경제적 수준, 학교생활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스트레스에 따른 학교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은 스트레스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교폭력경험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에 따른 학교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은 자아존중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학교폭력경험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폭력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 학교폭력경험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스트레스였으며 그 다음이 학교생활만족도, 성별, 부모님과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들 4개 변인의 설명량은 22%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낮을수록, 남학생일수록, 부모님과의 관계가 나쁠수록 학교폭력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우울 첫째, 우울의 전반적 경향 청소년의 우울 수준은 5점 만점에 전체 평균이 2.36점으로 보통 보다 조금 더 낮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우울 배경변인 (성별, 학교, 부모님과의 관계, 경제적 수준, 학교만족도)에 따라 청소년의 우울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성별, 학교,부모님과의 관계, 경제수준, 학교만족도 5개의 변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스트레스에 따른 우울 청소년의 우울은 스트레스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에 따른 우울 청소년의 우울은 자아존중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폭력경험에 따른 우울 청소년의 우울은 학교폭력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폭력경험이 많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인은 자아존중감이었으며 그 다음 이 학교생활만족도, 스트레스, 학교폭력 피해경험, 부모님과의 관계, 성별, 학교 순으로 이들 7개 변인의 설명량은 40.4%였다. 구체적으로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교폭력피해경험이 있을수록, 부모님과의 관계가 나쁠 수록, 여학생일수록, 고등학생일수록 더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교폭력경험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고 건강한 학교 생활과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학교폭력경험으로 인한 우울을 낮추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연구이므로, 앞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핵심어 : 학교폭력경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violence experience upon depression to find out intervention and/or practice for protection of young people's depression. The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violence experience upon depressions that indicated young people's mental heath status to find out problem solving and progra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he subject was 36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are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ean score of students' stress was 3.23 out of 5.00 which is a little higher than the middle score. And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3.32 out of 5.00 which is a little higher than middle score. The students experienced school violence victim at 1.66 out of 5.00, bullying at 1.46 on average and at 1.56 on overall average. The stress had the greatest influence upon school violence experience, followed by satisfactions with school life, gender and relation with parents. These four variables accounted for 22% of the varia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The mean score of students' depression was 2.36 out of 5.00 which is a little lower than middle score. The self-esteem had the greatest influence upon depression,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stress, victim experience, relation with parents, gender and school in order. These seven variables accounted for 40.4% of the variance of depression. In conclus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ress, self-esteem and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depression. Above all, this study found out that self-esteem had the greatest influence upon the depression. Therefo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eeded to have higher self-esteem to prevent depression and to adapt well to school life. Key words : stress, self-esteem, school violence experience, depressio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목격자들(주변인)의 경험탐색 연구

        이아름 가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목격자들(주변인)의 경험탐색 연구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학교폭력 주변인의 역할이 중요함을 전제하고 학교폭력 주변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대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0명의 여학생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 개인에 대한 심층면담을 이용해 얻어진 연구 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통해 연구결과로 도출되었다. 결과는 크게 다섯 개의 대주제로 분류되어 첫째, 주변인으로서의 경험, 둘째, 방어자 역할의 중요성, 셋째, 가해학생에 대한 처벌 강화, 넷째, 학교폭력예방 교육의 필요성, 다섯째, 학교폭력자치위원회의 역할로 나뉘어졌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폭력예방학교폭력의 직접적인 개입에 방어자 역할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이타적인 도움행동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학교폭력예방 및 방지에 보다 실효성 있는 효과를 위해 가해학생에 대한 강한 조치가 필요함을 지적하였고, 정기적인 학교폭력예방 교육의 실시는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학교폭력 상항에서의 대처 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임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학교폭력자치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을 학생들에게 인식시키고 적절하게 운영된다면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에 큰 기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을 경험한 주변인의 관점에서 학교폭력예방 및 대처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를 진행한 연구로써 도출된 연구 결과는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학교폭력예방 및 대처 방법에 있어 방향성을 설정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MZ 세대의 노후 준비의식에 관한 연구 : 경기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이아름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stable future by analyzing the physical, emotional, and economic effects of the MZ generation's consciousness of preparing for retire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MZ generation's consciousness of preparing for old age was studied as follows. First, the theory related to the MZ generati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preparation for old age were organized through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Second, a research model that analyzes the correlation among physical, emotional, and economic readiness for old age and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o see how the MZ generation affects the preparation for old age (physical, emotional, and economic factors). presented. Third,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based on the research that the MZ generation's consciousness of preparation for old age will affect physical preparation for old age, emotional preparation for old age, and economic readiness, concrete alternatives were sought and results were drawn. In addition, the academic meaning of the research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practical directions and policy suggestions for the MZ generation's sense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motional, and economic factor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with the general group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the MZ generation's consciousness of preparation for old age (physical factor)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readiness when the age was higher, and the higher the profession, the higher the case of illnes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ual health checkup and management, physical exercise,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were necessary. Second, regarding the consciousness of preparation for old age (emotional factor) of the MZ generation, the higher the subjective standard of living or the more savings, the higher the emotional preparation for old ag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emotional read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volunteering was done as a leisure activity.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savings, leisure activ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tailored to the individual were necessary in the consciousness of emotional preparation for old age. Third, as for the consciousness of preparation for old age (economic factor) of the MZ generation, the degree of economic readiness for old 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of professional occupations and volunteer activities as leisure activitie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volunteer work was necessary as a leisure activity from the consciousness of preparing for economic old age, such as emotional factors. Fourth, this study was verified with significant results on the MZ generation's consciousness of preparing for old age (physical, emotional, and economic factors). Therefore, in order for the MZ generation to prepare for a stable future, health care programs reflecting the MZ generation's consciousness of preparing for old age, practical plans for preparing for old age, and realistic education and counseling tailored to each individual must be provided. 본 연구는 MZ 세대의 노후 준비의식에 대해 신체적·정서적·경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안정적인 미래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MZ 세대의 노후 준비의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MZ 세대와 관련한 이론과 MZ 세대의 일반적 특성 및 노후 준비 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문헌 검토를 통해 정리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MZ 세대의 노후준비의식을 살펴보았다. 둘째, MZ 세대는 노후 준비의식(신체적·정서적·경제적 요인)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신체적 노후 준비도, 정서적 노후 준비도, 경제적 노후 준비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설정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연구 모형에 따라서 MZ 세대의 노후 준비의식이 신체적 노후 준비도· 정서적 노후 준비도·경제적 준비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연구조사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고 그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조사의 학술적 의미는 MZ 세대의 노후 준비의식에 대한 실천적 방향과 정책적 제언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것이다. MZ 세대의 일반적 집단간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며 종속변수인 신체적·정서적·경제적 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Z 세대의 노후 준비의식(신체적 요인)은 연령이 높고, 전문직일수록 준비도가 높고 질병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평소 건강검진 및 관리와 신체적 운동, 취미, 여가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MZ 세대의 노후 준비의식(정서적 요인)은 주관적인 생활수준이 높거나 저축을 많이 할수록 정서적 노후 준비도는 높았다. 또한 여가활동으로 봉사활동을 하는 경우 정서적 준비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노후 준비의식에서 저축과 여가활동, 개인에게 맞는 봉사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MZ 세대의 노후 준비의식(경제적 요인)은 전문직인 경우와 여가활동으로 봉사활동을 하는 경우 경제적 노후 준비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정서적 요인과 같이 경제적 노후 준비의식에서 여가활동으로 봉사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본 연구는 MZ 세대의 노후 준비의식(신체적·정서적·경제적 요인)에 유의한 결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MZ 세대가 안정적인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MZ 세대의 노후 준비의식이 반영된 건강관리 보건의료프로그램과 실질적인 노후 준비 방안 및 개인에게 맞는 현실적인 교육과 상담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

        이아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mediated effects of mother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parenting stress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from the 5th year(2012) to 7th year(2014)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ARCL) was used to measur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mother parenting stress, depressions, self-esteem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ajor variables depending o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differed according to the sex of the child and the birth order.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depending on mother’s education and employment. Second, mother’s parenting stress, depression, self-esteem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at the previous time each significantly affected later periods. Third, mother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longitudinal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Fourth, the mother’s depression and self-esteem mediated longitudinal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parenting stress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the higher the mother’s depression, the higher the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the lower the parenting stress, the higher the mother’s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 mother’s self-esteem, the lower the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a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discussed for the prevention of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as well as longitudinal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major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