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진보정당 형성과 제도권 진출 : 1988~2004년의 경험에 대한 정치사적 접근

        이시훈 영남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M.A.Thesis The Formation of Korea's Progressive Parties and Their Entering the Parliament Lee, See Hun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 Diplomac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oo, Choon-Kweon) Abstract This thesis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s progressive partie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through which the authoritarian regime was toppled down. Korea's political party system had long been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authoritarian regime deep rooted in the cold war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repressions, exclusions and violences were a daily occurrence in the party politics with the ideological range strictly confined within narrow limits. Meanwhile, social movements, had long been excluded from the party politics, began to be radicalised in response to the 1980 Gwangju massacre committed by the military authorities, and it was these radicalised civil movements that forced the ruling government to embark on democratic institutional reforms. Despite some positive results of the reforms, however, the following democratization process remained as a sort of 'passive revolution' led by a group of ideologically-homogeneous conservatives, still leaving some crucial social issues such as class conflicts untouched and excluded. It was against this historically specific backdrop that Korea's progressive parties began to emerge. It was a part of social struggles to put the agenda of labour, class, or national reunification into the institutional politics, overcoming the forced alternative of democracy or authoritarianism lingering even after the official 'democratization'. In the early years of the democratic reform period, however, Korea's progressive parties failed to take advantage of the two general elections and presidential elections for entering into the mainstream institutional politics. They did not realize the anticipated result until the 2004 general election in which the Democratic Labour Party (DLP), a left-wing nationalist political party founded in 2000, finally won seats in Parliament. This thesis analyses what made the DLP different from the predecessors. For the purpose, the analysis focus on the three conditions (i.e. institutional background, socio-political environments, and internal organizational arrangements) necessary for a newly-founded party to secure a position in the institutional politics. Finding that the factor played the most critical role in the advent of the DLP was the internal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thesis proceeds the analysis by making the problem of a factional strife around the party and the supporting groups the analytical framework. The third chapter of this thesis reconstructs the experiences of progressive parties emerged in the early years of the democratic reform. In doing so,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he chief causes of their failure were their over-reliances on reputed individuals, the lack of the popular base of support, and the unstable organizational arrangements within the radicalised social movements. These factors highlights the strong points of the DLP in terms that it was founded on the well-organised labour movements, that is, the organised support o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The KCTU played the role of glue putting major fractions of the social movements together, along with the role of a magnet attracting popular supports from the large industrial cities such as Ulsan and Changwon. This thesis argues that, despite some limitations of the DLP in dealing with various problems deriving from inter-fractional strifes, it was able to enter into the institutional politics thanks to the internal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party discussed above. 한국의 진보정당 형성과 제도권 진출 - 1988∼2004년의 경험에 대한 정치사적 접근 - 이 시 훈 영남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치외교학전공 (지도교수 구춘권) 요 약 이 논문은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진보정당들의 변화와 제도권 정치 진출 과정을 다루고 있다. 권위주의 정권 시기 정치적 배제와 억압을 경험했던 한국의 사회운동세력은 계속된 저항과 6월항쟁을 통해 권위주의 정권을 종식시켰다. 하지만 한국의 민주화 과정은 보수적 제도권 정치 내부의 타협으로 마무리되었다. 특히 1971년 이후 다시 시행된 1987년 연말의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과 김영삼의 분열과 이에 따른 사회운동세력의 분열은 구 권위주의 정권을 승계하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의 당선으로 이어졌다. 진보정당의 등장은 이런 정치사적 배경 위에서 사회운동세력의 새로운 정치참여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1988년 제 13대 총선에서 재야세력과 사회운동세력 일부가 힘을 모아 한겨레민주당과 민중의당의 창당, 선거에 참여했으며, 민중당이 1992년 제 14대 총선에 참여했다. 하지만 이 당들이 선거에서 거둔 성적은 원내 의석 확보와는 거리가 멀었다. 하지만 한국의 진보정당은 1997년 제 15대 대선 국민승리21 창당을 기점으로 변화를 맞이한다. 2000년 국민승리21을 모태로 창당된 민주노동당은 이어진 선거에서 큰 잠재력을 보여줬으며, 2002년 제 16대 대선에서 100만 표를 획득하며 돌풍을 일으키게 된다. 이후 2004년 제 17대 총선에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도입이라는 제도적 변화에 조응, 10석을 획득하며 일약 원내 3당의 지위에 오른다. 이 논문의 한국의 사회운동세력이라는 같은 토대 위에서 만들어진 초기의 진보정당들과 민주노동당이 가진 차이점에 주목한다. 비록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실시라는 제도적 요인이 민주노동당의 원내 진출에 중요한 요인이었지만 그것만으로 민주노동당의 원내 진출을 설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에 이 논문은 한국의 진보정당들을 대중적 기반, 정파 관계라는 두 프레임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논문은 1988∼1992년 시기의 진보정당들이 대중적 기반의 부재, 재야 명망가 의존성, 사회운동세력 내부 정치의 문제에 직면해있음을 확인했다. 하지만 민주노동당의 경우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사회운동세력을 규합하여 진보연합당의 성격을 가졌으며, 민주노총과 전농과 같은 대중조직들의 존재, 세대균열의 등장에 따라 이전 시기 진보정당과 구분되는 대중적 기반을 가졌음을 드러냈다. 제 1장과 2장의 경우 이러한 문제제기와 그 문제제기에 따른 분석틀, 선행연구의 제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제 3장의 경우 1985년 제 12대 총선 이후 1992년 민중당 해산에 이르는 시기, 진보정당의 형성과 와해 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제 4장의 경우 민주노총의 발족 이후 이뤄진 새로운 진보정당 운동의 대두와 민주노동당의 원내 진출 과정을 재구성하였다.

      • 3차원 수치해석을 이용한 강관합성 말뚝의 보강효과 분석 및 p-y곡선 산정 연구

        이시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의 구조물이 장대화 되면서 경제성, 시공성, 안정성 등에 유리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이 선호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강관 케이싱을 남겨두더라도 구조재로서 활용하지 못하고 강관 케이싱의 지지력을 무시하고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초대형 구조물의 기초는 일반적인 기초에 비하여 훨씬 큰 횡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국내에서는 수평재하시험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대부분 말뚝 두부에서의 수평하중-변위 곡선 관계 도출에만 머무르고 있으며 p-y 곡선을 산정 할 수 있는 정밀한 수평재하시험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요소망 및 지반영역 크기에 대한 최적화 연구, 그리고 시험체 압축강도 실험과 현장말뚝 재하실험 결과와의 비교 검증을 하여 강관합성말뚝의 보강효과를 분석하고, 무리말뚝의 효과를 나타내는 p-multiplier를 산정하여 기존에 제안된 대표적인 p-multiplier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관은 von-Mises 모델, 콘크리트는 변형률 연화모델을 적용한 결과 시험체 압축강도 실험 결과를 잘 모사하였다. 실물크기 말뚝에 대한 보강효과를 분석한 결과, 강관합성 말뚝의 재료강도는 강관의 보강효과에 의해 축방향에 대해 약 10%, 횡방향에 의해 약 20∼4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에 근입된 단말뚝에 대한 보강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직방향 항복하중의 경우 강관합성 말뚝은 강관 말뚝의 1.90배, 콘크리트 말뚝과는 평균적으로 동일하였으며, 허용변위기준에서의 수평방향 항복하중의 경우 강관 말뚝의 1.46배, 콘크리트 말뚝의 1.25배로 나타났다. 지반에 근입된 무리말뚝에 대한 보강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직방향 항복하중의 경우 강관말뚝과 비교하여 평균 90% 큰 것으로 나타났고, 콘크리트 말뚝에 대하여는 평균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허용변위 기준에서의 수평방향 항복하중의 경우 강관말뚝과 비교하여 평균 50%, 콘크리트 말뚝과 비교하여 평균 22%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p-y 곡선을 산정한 결과 현장재하시험에서 얻은 결과를 적절히 예측하며, 매개변수 연구 결과 말뚝직경이 p-y 곡선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리말뚝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p- multiplier를 산정한 결과 기존에 제안된 O'Neill and Reese의 p-multiplier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 PWM 및 PFM 제어 기반 LED 전광판 전원회로 설계

        이시훈 濟州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design the optimal power supply for LED Display board. The power supply used in the display board provides the LED module with 5V. The proposed power supply provides the LED module with LED driving voltage by color.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by digital control program. The initial duty of the control program sets output voltage of buck converter to be 2.6V and 3.8V. The power supply uses control program for stable output voltage. The proposed power supply operate in PWM(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at moderate to heavy loads, under light load condition the converter operate in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control. The power supply can be switched to PWM control mode when the load current is greater than 60mA, and can be switched to PFM control mode when load current is under 60mA. Simulation was used the EVM board and the LED module. We checked by simulation that the PWM and PFM function of power supply work fine and measured the efficiency of the power supply. When the load current is under 60mA, efficiency of power supply is 8% higher than. When the LED module is operated by using the proposed power supply,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posed power supply is 40% less than before. The proposed power supply provides the LED module with the necessary voltag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LED module.

      • 해커톤 기반 초등 SW교육모델 개발 및 적용

        이시훈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으로 초연결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무인 운송수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몇 년 간 주목받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과 새로운 사회에 필요한 문제해결력과 협업능력, 그리고 창의력까지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문제해결력 및 협업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을 고찰하여 초등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모델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결과를 토대로 해커톤 기반의 소프트웨어 교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교육모델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및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다루기 위한 기초 수업 후 협업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해커톤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커톤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모델로 수업을 적용한 결과 일반적인 모둠활동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이 제작한 산출물의 정교성과 문제해결력에 대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영상분석을 위한 시간표집법을 사용하여 협동성과 수업참여도에 있어서 일반적인 수업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협동과 참여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팀 협의 횟수와 일탈 행동 횟수에서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긍정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모둠 수업 중 가장 자주 발생하는 무임승차의 문제도 확연히 줄어드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해커톤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모델의 확장 가능성 및 적용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더욱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 방안 마련 및 적용 확대를 통한 일반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SNS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이시훈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using SNS for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SNS is in wide use for our daily life and it helps build up mutual trust between the Korean students and foreign instructors residing in Korea. It begins with locating the educational efficiency of using SNS. And it reviews the teaching methodology in writing instruction that employs the potential merits of the SNS. Further it tries to present solutions to the unilateral instruction and to the problems arising from vocabulary memorization and repetition drill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helps our effort to come up with easier and more interesting interactive writing education. Chapter One discusses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ill also cover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his paper and the literature survey in the area. Chapter Two deals with the educational need for writing instruction employing the SNS. This chapter delves into the properties and theories of dialogue oriented writing education, which will serve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actual text analysis in Chapter Three and Chapter Four. The significance of using SNS in writing instruction is also discussed in this chapter to see i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effect on teaching writing. Chapter Three shows the actual text analyse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laid out in the previous chapter. We have analyzed the Korean and Foreign learners Facebook texts and classified them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Chapter Four studies the methodology of writing instruction by using the Facebook. It presents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as well as learning strategies and suggests the instruction plans for each subcategory. The major goal of all this study is to lay out an easier and friendlier way to learning to write in Korean.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speak and hear Korean but they find that putting their ideas in Korean is a tremendous challenge almost beyond their capacity due to various diacritic marks, the honorific system and phonologically confusable words distinct in meanings. Further, it takes more strokes than English to write in Korean, which is further aggravated by the difficulty in acquiring the right grammar for spacing. Facebook is a very convenient educational medium that presents easy access to orthographical regulations found in Korean. First of all, the absence of special or time limitation is the greatest merit of SNS in that the students can use it anytime and anywhere for their learning purpose and they can get the feedback they need even in the absence of the instructor. Further they can get feedback from their Korean friends around on top of that from the instructor, which shows that the Facebook, as an open space for learning, has great influence on Korean writing education.

      •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해상풍력 발전기 버켓기초의 장기 반복 지지거동 분석

        이시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신재생에너지 중 해상풍력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유럽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 및 시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해상풍력발전기의 경우 기초구조물 시공비용이 전체 공사비의 25% 이상을 차지하며 그 비중은 풍력터빈 다음으로 높다. 그리고, 기초구조물 시공비용은 수심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해상개발 사업의 경제성을 높이려면 기초구조물의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해상 기초구조물 중 버켓기초는 해저지반이 점토 또는 보통 조밀한 사질토 지반인 경우 가장 경제적인 기초 형식으로 알려져 있다. 버켓기초는 컵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버켓기초의 자중으로 인하여 지반에 관입을 한 다음 버켓 내부의 물을 배출하면서 발생하는 석션압에 의하여 관입한다. 버켓기초는 주로 토사 지반에 설치되므로 해상 풍력발전기에 작용하는 장기 반복하중에 의해 지반의 누적 소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설계에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 지반에 설치되는 버켓기초에 대하여 장기 반복하중에 대한 지지거동을 분석하였다. 우선, 장기 반복하중을 재하할 수 있는 모형실험 장비를 개발하였다. 본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장기 수평하중 및 인발하중을 받는 버켓기초의 지지거동을 분석하고 장기 누적변위를 예측할 수 있는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수치해석을 통해 버켓기초의 누적변위를 산정할 수 있는 수치해석 모델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실험 장비는 기존의 모형실험장비의 단점을 보완하여 재하횟수 104번 이상의 반복하중을 안정적으로 재하할 수 있으며, 반복하중의 주파수 및 크기를 정밀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실험장비의 적용성은 단일말뚝에 대한 검증실험을 수행하여 검증하였다. 모형실험 장비를 이용하여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버켓기초의 장기 수평 지지거동 및 인발 지지거동을 분석하였다. 장기 수평재하 실험의 경우 실험에서 고려한 변수 조건은 하중조건(정적 및 반복하중), 반복하중 크기 3가지, 지반 상대밀도 2가지, 버켓 근입깊이 2가지를 적용하여 총 16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버켓기초의 누적 회전각은 반복횟수와 반복하중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리고, 반복하중의 크기가 작은 경우 누적 회전량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반복횟수가 100회 이상일 때부터 누적 회전량 증가속도가 일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누적 회전량 증가속도는 반복하중의 크기, 지반밀도, 근입깊이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그러므로, 이 관계를 이용하여 버켓기초의 장기 수평회전량을 예측할 수 있는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버켓기초 회전각에 대한 제하 강성(unloading stiffness)은 상대밀도와 L/D비에 관계없이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인발재하 실험의 경우 하중조건(정적 및 반복하중), 반복하중 크기 3가지, 지반 포화조건 2가지(건조 및 포화지반), 버켓 근입깊이 2가지를 적용하여 총 16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버켓기초의 누적 인발 변위량은 건조 지반의 경우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버켓기초가 인발되면서 주면마찰력이 감소하게 되어 누적 인발 변위량 증가속도가 증가하며 항복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포화 지반의 경우 버켓 내부에 발생하는 석션압이 반복하중에 저항하면서 건조지반과 비교하여 인발변위 발생량이 감소하였으며 반복횟수 증가에 따른 누적 인발변위 증가속도는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반에 설치된 버켓의 누적 인발량 증가속도는 반복하중의 크기, 근입깊이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그러므로, 이 관계를 이용하여 버켓기초의 장기 누적인발량 예측할 수 있는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버켓기초 인발변위에 대한 제하 강성(unloading stiffness)은 지반조건 및 L/D비에 관계없이 초기 반복횟수에서 감소하였으며,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해지거나 증가하였다. 포화 지반의 제하 강성값은 버켓 내부에 작용하는 석션압으로 인하여 건조 지반의 강성값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조건에서의 실규모 버켓기초의 장기 누적변위를 모사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수치모델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기법은 버켓기초 변위가 반복하중 횟수에 따라 누적되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여 반복하중 횟수에 따라 지반의 탄성계수를 감소시킨다. 본 기법의 적용성은 본 연구에서 수행된 반복 수평재하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그리고, 현재 계획 중인 서남해안 해상풍력단지의 실규모 버켓기초 조건에 개발된 기법을 적용하여 누적변위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기법은 반복횟수의 증가에 따라 버켓기초의 변위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잘 모사하였으며 실규모 버켓기초의 설계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