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지리 영역 교육과정 분석과 ‘핵심역량 중점과제’ 기반의 지리 수업 자료 개발 : 핵심개념 지속가능한 환경을 중심으로

        이시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2015 Revised Middle School Geographic Area with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at will be applied to middle school from March 2018 focusing on key concepts and key competencies. And based on this, to develop ‘Key Competency-Based Tasks’ according to the Backward Design development approach and offer lesson plans and evaluation criteria. First, a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key competencies of general guideline and social study specific-competencies, it can be analyzed that all the social study competencies are included in key competency sub-elements of General guideline. This can be seen as social studies specific-competencies are closer to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rather than its own specific-competencies, so from the geography curriculum perspective, the competencies of the unique geography curriculum are not presented. Therefore, this needs to be complemented in future curriculum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sists of the nature,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in a similar way to the previous curriculum. However, when analyzing the content system table specifically, areas, key concepts, the generalized knowledges, grade level content elements and functions are guided in detail so that the sequence and scope of the contents ar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key concepts in the grade. In addition, the curriculum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integrated to operate the course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are also combi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commentary, so these methods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ourse content. These changes are the distinct feature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the curriculum presents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he key concept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le maintaining the grade level sequence and scope.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geographic area of the middle school are presented through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each chapter. The result of analyzing them around the key concept is as follows. Analyzing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chapter, achievement standards belong to one of five areas of geography and relevant key concepts and content elements can be found in the content system tables. However, if achievement standards are reconstructed around the five areas and key concepts, some content elements of the key concepts such as 'geographical idea', 'spatial relationships' do not correspond with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clearly.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elements of the key concepts and a particular achievement standards means that there is little or no room to learn the content elements of the key concepts in the curriculum. This will have to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curriculum reform.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geographic area within social studies curriculum around the key competencies and extracting the stretchable competencies is as follows. First, by connecting consistently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around the key concepts,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in each areas and key concepts are suggested. However, as previous analysis shows, some key concepts are not matched to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Henc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or them are not presented. Second, a variety of student-centered activities such as the project learning and inquiry reports, work field, discussion and debate learning, portfolio collection and role playing are connected directly to the course content so that the curricular provides a concrete and practical information about the cla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he key concepts, when you makes us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around the key concepts, the key competencies of the learners can be enhanced and the teachers can evaluate competencies easily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Th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analyzed to be useful in strengthening its key competencies. Accordingly, we developed a geography lesson plans and evaluation criteria with ‘Key Competency Based-Tasks’ as the geography teaching materials for strengthening key competencies in the middle school geography lessons. Materials development sequence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ckward design. The key concept of 'sustainable environment' was selected as the case and the learning goal possible in the one class was chosen after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n total six learning objectives were extracted. This ‘Key Competency Based-Tasks' and the materials of lesson plan and evaluation criteria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o be utilized in the geography teaching and evaluation for strengthening the key competencies.

      • 남자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이시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남자간호대학생들의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 정립을 위해 나아갈 간호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남자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0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4년제 간호대학의 남자간호대학생 2, 3, 4학년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8988;간호사이미지&#8991;, &#8988;전공만족도&#8991;, &#8988;간호전문직관&#8991;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 17.0 program을 이용하였고, 실수와 백분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Linear Regression(Stepwise)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 연구대상자의 간호사이미지 점수는 최대 5점에서 평균평점 3.75±0.43점이었으며, 전공만족도는 최대 5점 중 평균평점 3.77±0.54점, 간호전문직관은 최대 5점 중 평점평균 3.63±0.45점이었다. 2. 간호전문직관과 전체 간호사이미지의 상관관계는 r=.82(p<.001)였으며,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는 r=.71(p<.001)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연구대상자의 학년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2학년 3.65±0.35점, 3학년 3.47±0.58점, 4학년 3.76±0.47점으로, 3학년이 2학년과 4학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F=3.64, p=.029), 아버지의 직업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아버지 직업이 있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61, p<.001). 4.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의 하부영역과 일반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학년과 아버지 직업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참여’, ‘자질’, ‘일반만족’, ‘역할’을 포함한 회귀식이 74.4%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간호대학생들이 간호사가 된 후에 임상현장에 보다 잘 적응하고 간호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수준보다 높은 간호전문직관을 정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간호사의 ‘사회참여’ 이미지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3학년 학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공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는 교육적 중재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the male students in nursing.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 sample of 143 male students in nursing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10 to September, 2010 using instrument for the nurse image, the satisfaction of major and the nursing professionalism. The linear regression analyzed with the stepwise approach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of major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male students in nursing. The mean scores of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of major were respectively 3.75±0.43 and 3.77±0.54. The mean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63±0.45. The social participation, the aptitude, the general satisfaction, the rol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ning for 74.4% of the variance in nursing professionalism. In conclusion, nursing professionalism is developed from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of major when they are in college. To level up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system should concern about social image of nurses and apply supportive care to male nursing students. Key word : Male student in nursing, Nursing professionalism, Nurse image, Satisfaction of major

      • 고등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자비 그리고 사회불안의 관계

        이시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이며 총 395명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와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SAS-A)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였고, 기술 통계분석,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하위요인 중 실수에 대한 염려와 수행에 대한 의심은 사회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일반적 사회상황에 대한 회피와 불안에서만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 하위요인 중 실수염려가 자기자비의 모든 하위 요인에 높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수에 대한 염려가 높은 학생들의 경우 자기 친절, 보편적 인간성, 마음 챙김과 같은 자기자비 수준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행에 대한 의심이 높은 학생의 경우 마음 챙김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기자비 중 보편적 인간성에만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자기자비의 하위요인 중 자기친절과 마음챙김은 사회불안의 모든 하위요인과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친절과 마음챙김이 높은 학생들의 경우 사회불안이 낮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반적 사회상황에 대한 회피와 불안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또한 비슷하게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 시절부터 실수에 대한 염려와 수행에 대한 의심이 높은 학생은 사회불안이 높게 나타날 수 있고, 자기자비 성향이 낮은 학생 또한 사회불안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측면을 이해할 수 있었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은 학생들은 사회불안이 감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고등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자비가 사회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자비 향상을 위한 양육프로그램, 다차원적인 사회불안 감소 프로그램 개발, 사회불안 상담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 비평가적 양육태도의 중요성 등이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으로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