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승훈의 "Trio for two violins and piano" 분석 연구

        이승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이승훈의 "Trio for Two Violins and Piano"(2000)에 관하여 분석한 것이다. 이 곡은 작곡자의 대학원 재학 시에 작곡된 작품으로 제 33회 서울음악제에 입상하여, 2001년 5월 29일에 문예회관 대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이 곡은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의 대립을 두 대의 violin과 piano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 중요한 두 개의 개념의 표현을 위해서 동양적인 것은 heterophony를 사용하였고 서양적인 것은 polyphony를 사용하였다. 곡의 구조는 단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B-A'의 3부분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 중 A'는 A의 역행 형태를 취함으로서 B를 중심으로 곡 전체가 archform을 이룬다. A부분은 도입부로 시작을 하여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의 제시와 대립 그리고, 먼저는 서양적인 것으로 발전을 하며 A부분이 마무리되고, 이에 반해 A'는 서양적인 것이 점점 소멸해 가게끔 곡을 구성하였다. B부분은 단2도와 감5도를 결합시킨 016 set을 사용하여 보다 자유롭게 구성하였으며 이 부분에서 곡 전체의 climax가 나타난다. 또한, 이 곡은 일반적인 piano trio의 편성과는 조금 다르게 violin과 cello대신 violin을 두 대 사용 하고 있다. 그 이유는 두 대의 violin이 같은 음에서 출발하여 heterophony로 곡의 중요한 음정인 단2도를 도입하는 것과, 고음에서의 강한 표현을 위해 편성을 달리하였다. 이렇게 각 부분의 특성을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의 대립되는 개념을 통해 전체 구조와 연관지어 봄으로서 이 곡이 가지고 있는 논리적인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is thesis deal with ananalysis of Seung Hoon Lee's "Trio for Two Violins and Piano." The work was composed while the composer was study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and its elected at the 33th. Seoul Music Festival, and premiered at the Munye Gr and Theater on May 29, 2001. In the work, the composer try to express the opposed ideas between the eastern element and the western element by two violins and piano. The orient al element composed by heterophony and the occidental element by polyphony. This work comprises three sections of A-B-A' in a single movement. The A' section is in retrograde form of the A section. Consequently the whole work is in arch form centering around the B section. First, the A section starts with the introduction and ex poses the oriental element and the occidental element. The occidental element develops against the oriental element in the A section. The B section in composed of 016 set that combines interval of minor second and diminished fifth, and continues to establish the climax of the whole work. In the A' section, the occidental element disappears gradually in contrast to the A section. And the work configures two violins and piano in stead of general instrumentation of piano trio. Because introduce min or second by heterophony with two Violins and depict the fury of the st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work by correlating the opposed ideas between the oriental and the occidental of each section in the whole work.

      • 광신호 처리를 위한 광소자들의 특성 측정 및 응용 연구

        이승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thesis focuses on study of basic photonic devices related to long-wavelength single-mode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VCSELs) and single-photon detectors for applications to high-speed signal processing and quantum communications as well as characterization of nonlinear optical materials for such applications. New simple interferometric method for measuring the second-order nonlinear optic properties of optical materials were proposed and demonstrated by confirming the known electro-optic (EO) coefficient of the lithium niobate crystals. This method was intended to measure the EO coefficient of new polymer materials for periodic poled devices for quantum entangled photon generation. In addition, a method of third order nonlinear coefficient and zero-dispersion wavelength of a highly nonlinear fiber was also demonstrated as a part of four-wave-mixing based entangled photon generation. 1.5-m wavelength single-mode VCSELs were studied for timing-jitter reduced laser pulse generation, polarization bistability, and optical flip-flop operations. These measurements were expected to be useful for all-optical high-speed two-dimensional signal-processing as well as partly for pump laser sources generating quantum correlated photons via nonlinear effects. Some works on the single-photon detectors and its application to quantum key distribution were also carried as parts of the quantum communication research. Low noise single photon detector based on InGaAs/InP APDs were developed and used for demonstration of quantum key distributions.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I have developed basis technologies and sciences for all-optical high-speed signal processing and quantum communications.

      • 쉴드 TBM 실대형 실험을 통한 기존 설계 추력과 토크 추정 모델들에 대한 고찰

        이승훈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급속한 경제 발전과 도시 인구 증가는 기존의 인프라의 개선과 확대를 위한 지하 공간 활용의 필요성을 증가 시킨다. 쉴드 TBM (Tunnel Boring Machine)은 높은 굴진율과 최소한의 지반 교란이 필요한 지하 구조물 설계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허용 추력과 커터헤드 토크는 적절한 TBM 타입을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설계 인자 이므로 TBM 공사시에 적절히 산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추력과 토크의 추정 모델은 오직 경험적인 인자와 TBM 직경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최적의 추력 유압 시스템과 적절한 유압 부품의 선택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5개의 추력 및 토크 계산 모델을 설명하고 정리하였고, 쉴드 TBM 실대형 실험을 통해 암반 지반 모델들과 비교 및 고찰하였으며 두 가지 다른 형태의 TBM 커터헤드를 이용한 실대형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굴진율을 비교하였다.

      • 실세스퀴옥세인을 함유하는 하이브리드 폴리이미드 복합체의 제조 및 특성 연구

        이승훈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고분자 재료들의 다양한 기능적 특성들이 요구됨에 있어서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내에 내부적으로 Si-O-Si 구조를 갖고 외부적으로는 다양한 유기 관능기를 가지는 실세스퀴옥세인(silsesquioxane)을 도입하였다. 이 학위 논문에서는 나노 단위의 Cage형태 그리고 Ladder 형태의 실세스퀴옥세인를 접목한 하이브리드 폴리이미드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를 나타내었다. Chapter 1에서는 폴리이미드의 내열성 향상 및 저유전 특성을 위해 여덟 개의 페닐그룹을 갖는 Cage형태의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를 Poly(amic acid) 전구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물리적인 결합 (π-π interaction)를 극대화시켰다. 다양한 POSS 비율을 갖는 하이브리드 폴리이미드의 모폴로지는 SEM과 AFM으로 확인하였고 내열특성은 TGA, TMA로 확인하였다. 절연체 필름으로서 사용되기 위해 고려해야 될 사항인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는 온도 범위 50 ~ 400 ℃에서 승온 속도 5 ℃/min 그리고 0.05 N의 tension force로 측정하였다. 이 밖에 유전상수는 주파수 범위 500 MHz부터 1 GHz까지 상온에서 RF impedance로 측정하였고 투과율은 Microspectrometer를 이용해 결과 데이터를 얻었다. Chapter 2에서는 페닐(phenyl) 그룹과 글리시독시프로필(glycidoxypropyl) 그룹을 각각 8대2와 6대4 로 갖는 Ladder-like polysilsesquioxane (LPS) 을 간단한 졸-겔 공법으로 합성한 뒤 양말단에 아민기를 갖는 Poly(amic acid) 전구체와 amine-epoxy reaction을 유도하여 폴리이미드 matrix 내에 LPS를 함유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폴리이미드를 제조하였다. 하이브리드 형태의 폴리이미드는 LPS의 wt% 비율을 달리함으로써 얻었으며, 이렇게 얻어진 하이브리드형 폴리이미드의 다양한 특성은 FT-IR, 1H-NMR, TGA, SEM, EDS, AFM 등으로 확인하였다. Chapter 3에서는 Chapter 1과 Chapter 2에 나타낸 실험 방법을 동시에 진행하여 폴리이미드가 화학적 그리고 물리적으로 실세스퀴옥세인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폴리이미드를 제조하였다. Poly(amic acid)와 페닐 그룹, 에폭시 그룹을 각각 8대 2로 갖는 LPS를 화학적으로 반응시키고 여덟 개의 페닐 유기 그룹을 갖는 POSS를 poly(amic acid)에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서 π-π interaction을 극대화시키고 저유전상수를 갖는 hybrid polyimide composite를 제조하였다.

      • 朝鮮時代 民畵에 나타난 造景要素에 관한 硏究 : 造景 植物을 中心으로

        이승훈 漢陽大學校 環境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 시대의 보편적인 문화 현상을 살펴봄에 있어 그림은 좋은 자료가 된다. 특히 조선시대 서민들의 생활 풍습이 그대로 담겨 있는 민화(民畵)는 당시의 조경문화를 이해하는 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정서상 가장 친숙함을 느낄 수 있는 조경은 전통적인 조경에서 비롯된다는 데서 출발하여 17세기 이후 서민층을 중심으로 크게 성행한 민화에 나타난 전통적인 조경요소(造景要素)를 분석하고, 조경요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식물요소(植物要素)를 중심으로 각 식물의 상징성(象徵性)과 생육환경, 그리고 그림에 나타난 구도적(構圖旳) 특징(特徵)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조선시대의 민화 1,058점을 대상으로 하여 이를 크게 植物要素, 構造物要素, 自然要素, 動物要素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식물요소가 34.23%(1,267회)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물요소 33.97%(1,257회), 자연요소 21.37%(791회), 구조물요소 10.43%(386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경요소는 소나무, 모란, 봉황, 호랑이, 잉어, 산, 해, 정자 등 총 106가지가 나타났으며 그 중 산이 6.4%(238회), 돌이 5.7%(212회), 소나무가 4.8%로 가장 많은 출연 빈도를 보였다. 특히 민화에 나타난 조경식물은 소나무(松), 연(蓮), 모란(牡丹), 대나무(竹), 매화(梅花) 등의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목류(樹木類)와 초화류(草花類)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2. 민화를 화조도(花鳥島), 산수도(山水圖), 동물도(動物圖), 어도(魚圖), 십장생도(十長生圖), 풍속도(風俗圖), 설화도(說話圖), 수렵도(狩獵圖), 문방도(文房圖), 문자도(文字圖) 등 10가지 장르로 구분하여 발생배경 및 특성을 고찰하고 민화에 나타난 조경요소를 식물요소, 자연요소, 구조물요소, 동물요소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각 요소들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 요소들은 상호 대립적인 특성과 구도(構圖)를 통해 완결된 미(美)를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인간과 자연경관, 그리고 구조물의 조화와 상호 대립적인 요소들의 적절한 배치 및 구성을 통하여 당시 서민들의 미의식(美意識)과 그들의 생활 공간 속에 나타난 전통적인 조경요소를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더욱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전통조경이 계승(繼承)․발전(發展)되기를 기대한다. 3. 자연을 토대로 하고 있는 식물은 조경에 있어서 가장 근간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생활 주변의 정화와 미화 및 쾌적하고 합리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민화에 나타난 조경요소 중 특히 조경식물을 중심으로 하여 각 그림에 내재된 상징성과 의미를 분석한 결과 각 식물에는 부귀와 자손번창, 장수와 절개 등 서민들이 염원하는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예컨대 매화․난초․국화․대나무․소나무․동백은 절개(節槪)와 군자를 상징하고 포도․석류․동백․연은 다남(多男)과 자손번창을, 복숭아․소나무는 장수를, 모란은 부귀영화(富貴榮華)와 부부금슬을, 버드나무와 목련은 여성의 아름다움을 의미한다. 특히『養花小錄』과『山林經濟』등 조선시대의 문헌을 살펴보면 이들 식물에 대한 상징성과 생태적인 특성, 생육환경 등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어 당시 이들 식물이 우리 민족의 폭넓은 사랑을 받으며 전국의 산야와 정원 등에 널리 식재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 화염 그림자의 영상분석을 통한 최초 발화지점 확인에 관한 연구

        이승훈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재는 인명과 재산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재앙이다.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미 발생한 화재의 현장을 면밀히 조사하여 적절한 예방대책을 새워야 하는데 잘못된 발화부위의 판단은 화재조사 전체를 망쳐버리게 되므로 화재조사에 있어서 발화부위의 판단은 가장 중요한 업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CTV에 촬영된 그림자를 분석해서 현장에서 광원으로 작용한 화염의 위치 즉 발화부위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빛의 직진성과 확산성이 주요 과학적 원리가 되며 이는 기존의 여러 법과학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CCTV 기록 자체는 별도의 해석이 필요치 않고 그것만으로도 사실로 인정할 수 있으므로 증거로의 가치 또한 매우 높은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기존의 발화부위 방법과 충돌할 경우에도 더욱 우세한 증명력을 가질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실제 화재현장을 묘사한 실험세트에서는 평면적 분석은 정확히 화염의 평면적 위치에서 교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입체적 분석에서는 화염의 확산연소로 인한 상승성 때문에 약1m 화염의 경우 연장선이 직경 50cm 범위 내에서 화염부에 집중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방법을 이용할 경우 연장선이 집중되는 지점의 하단부에 발화부위가 존재한다는 것을 충분히 고려하며 주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오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화재패턴의 해석과 전기적 특이점 분석을 통한 발화부위 판단 방법에 의한 경우 보다 더욱 협소한 범위를 발화부위로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4건의 실제 화재현장에서 촬영된 CCTV의 그림자 위치를 분석해 보았을 때 정확히 발화부위를 더욱 협소한 범위로 지목하고 있어 실무에서도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