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촌개발사업 운영 실태 및 주민만족도 분석 : 진안군을 중심으로

        이숙이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71

        While heading toward a sustainable 21st century society, the preservation of the earth?s environmental ecosystem is appearing as a new issue. Also,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ecent five-day-workweek system and the advancement of well-being culture, there is a growing demand on a national scale concerning a pleasant environment and beautiful natural scenery, and the mountain village is drawing attention as a supplier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solutions not onl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y identifying influential factors for satisfaction of residents by project but also by creating a project that will further satisfy residen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as well as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mountain village, an evaluation of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and an analysis of the investment in the existing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imed at the Jinan-gun area. The target villages were a total of 5 villag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sulted from research conducted for being offered a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to pursue in the forthcoming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details of business, investment costs, and comprehensive satisfaction focusing on villages subject to the execution of the process of pursuing the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included the following. Out of the total business costs of KRWon 6,209,168, an intensive investment was made in forest recreational facilities. The age of most of the respondents was in the elderly range and those elderly people resided in the area in large numbers, relatively. At the time of the creation of facilities, the determination of the project was made by villagers, but respondents seemed to prefer the decision by「Jinan-gun and professionals」to the capacity of villagers in the future. Concerning items to be reinforced after the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hey were analyzed to be, in order, production-based facilities, forest recreational facilities,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ies, and welfare facilities for residents. As regards the level of change by a village after the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project, respondents answered ?there was no change?, and as to causes of conflicts arising after the project, it was found to have resulted from the lack of unified opinions of residents back then; which implies professional advice is important. With regard to the selling method of agricultural products, most villages were using「direct sales」, and this result means that production and consumption activities are performed within Jinan-gun; thus, joint sales activities need to be sought out through the Internet, which is what many people use for the active sales and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future. As proposals for improving the forthcoming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t is deemed necessary to have a 「preventive device」 that will forecast problems which may occur pursuant to the project and prevent them before the project, and it is imperative to shift to a policy that is connected to 「income for farming households」 with a view to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which results in the need for seeking multilateral ways. After the project, regular 「monitoring」 is needed, and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of target villages and to arouse a pride in target villages; in recognition of the need for post-management, there should be「promotional strategies」for target villages. As to the limitation of research investigations, it may be pointed out that the level of 「service」 offered from villages was not analyzed. In order to overcome and objectify such a limitation, follow-up research should follow.

      • 조직시민행동이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 시간관리 기술과 주의통제의 조절효과

        이숙이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시간관리 기술과 주의통제 수준에 따라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 간의 관계가 달라지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 간에 역 U자형 곡선관계가 있을 것이라 예상하였다. 그 이유는 과도한 조직시민행동이 시간 부족과 주의 산만에 이르게 하고 이것이 과업수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시간관리 기술과 주의통제가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직장인 332명(남자 204명, 여자 189명, 무응답 5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36.32세(SD = 10.57), 평균 근속기간은 8.85년(SD = 9.01)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 간에 정적 직선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기술과 주의통제의 주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관리 기술의 조절효과와 주의통제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과 시간관리 기술, 주의통제가 모두 개별적으로 과업수행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 조직시민행동과 과업수행 간에 곡선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를 다뤘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nd task performance,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of OCB and task performance was affected by time management skill and attentional control.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OCB and task performance has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and that was explained by lack of time and distraction. The time management skill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time shortage, and attentional control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attention distraction. 332 employees(204 males, 189 females, 5 non-respons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average age of participants was 36.32(SD = 10.57) years, and the average tenure of participants was 8.85(SD = 9.01) year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OCB and task performan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The main effects of time management skill and attentional contr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moderating effects of time management skill and attentional control were not significant. Effects of OCB, time management skill, and attentional control on the task performance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 OCB and task performance had not curvilinear relationship but linear one. About this results, three possible reasons were discussed.

      • 배추(Brassica campestris ssp. napus var. pekinensis)의 캘러스 배양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

        이숙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1855

        배추(Brassica campestris ssp. napus var. pekinensis)의 기내 조직 배양에서 캘러스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과 AgNO_(3)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삼진'과 '서울' 배추를 이용하여 발아 6일된 유식물의 자엽과 배축으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캘러스의 형성은 배지에 함유된 2,4-D 농도에 의존적이며, 1 mg/L 2,4-D와 0.1mg/L Kinetin을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가장 잘 형성되었다. AgNO_(3) 처리는 50 μM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생체량 증가를 일으켰으며 갈변 억제 효과와 절편체 생존률 증가를 나타내었다. BA와 NAA를 조합 처리한 재분화 배지로부터 shoot가 분화되었는데, '삼진' 자엽 유래 캘러스는 5-9 mg/L BA와 0.1-0.5 mg/L NAA 농도로부터 shoot가 분화되었으며, '삼진' 배축 유래 캘러스로부터는 shoot가 분화되지 않았다. '서울' 자엽 유래 캘러스는 3-9 mg/L BA와 0.1-0.5 mg/L NAA 농도로부터 shoot가 분화되었으며, '서울' 배축 유래 캘러스는 1-9 mg/L BA와 0.1-3 mg/L NAA 농도로부터 shoot가 분화되었다. 형성된 shoot는 0.1 mg/L NAA를 함유하는 MS배지로 옮겨진 후 10일 이내에 뿌리가 형성되어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장하였다. The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and AgNO_(3) on callu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have been investigated. Calli were induced from the hypocotyl and cotyledon explants of 6-day old seedlings. Calli were induced most frequently in MS basal medium with 1 mg/L 2,4-D and 0.1 mg/L kinetin. Callus growth rate and explant survival rate was- most enhanced at 50 μM AgNO_(3), and callus browning was inhibited at the presence of AgNO_(3). Shoots were formed on regeneration medium supplemented with BA combined with NAA. Shoot were formed on medium supplemented with 5-9 mg/L BA and 0.1-0.5 mg/L NAA from callus derived from cotyledon explants of cv. Samjin and hypocotyl explants were not regenerated. Shoot were regenerated with 3-9 mg/L BA and 0.1-0.5 mg/L NAA from callus derived from cotyledon explants of cv. Seoul, and 1-9 mg/L BA and 0.1-3 mg/L NAA from callus derived from hypocotyl explants of cv. Seoul. Shoots were transferred to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NAA, and roots were formed within 10 days, and grew into normal plants.

      • 제페토에서 한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패션 아이템 개발 연구 -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 패턴을 중심으로 -

        이숙이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Du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COVID-19 pandemic, the non-face-to-face online market has expanded. As a result, the metaverse platform market has also grown. Metaverse platforms are affecting various industries such as fashion, music, and movies, and have emerged as a new market for businesses. Zepeto, a representative metaverse platform, is mainly used by the overseas Zalpha generation(born from the mid-1990s to 2020: a combination of Generation Z and Alpha Generation). They establish and express their identity through digital fashion items of 3D avatars in Zepeto. As a result, digital fashion items have significant value within the platform. Zepeto also generates and shares various digital content, with Korean Wave-related content such as the digital world map, digital fashion items, and digital dramas being particularly active. When Korean culture's unique creativity and high-level digital content manufacturing technology meet, they create Zepeto's content, which is shared as ‘K-Culture’ by various overseas users of Zepeto. Among them, digital fashion items related to ‘K-pop idols’are being consumed mainly by Zepeto overseas users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Wave, and are making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activation of Korean Wave within Zepeto.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Zepeto's digital fashion items related to K-pop idols using traditional Dokkaebi patterns that represent Korean creativity, folklore, and identity. This has significance in communicating with overseas Zepeto users through digital fashion items and activating the Korean Wave within Zepeto.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focuse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examining the Metaverse and the Zepeto platform,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llyu(Korean Wave) in reality and the current status of fashion companies entering Zepeto. Then,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goblin patterns are researched by dividing them into different eras. In the second part, based on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Hallyu, a 'Hallyu idol' is selected from Zepeto and their digital fashion items, as well as 'digital fashion items with traditional Korean goblin patterns', are fully investig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quantity, style, color, and pattern. In the third part, a logo design incorporating the traditional Korean goblin pattern and six pattern design principles are developed based on the case study, and applied to nine digital fashion items. The ultimate goal is to register and release the final products on the Zepeto Studio after approval. Additionally, we are planning to create a virtual digital fashion brand called 'DOKKABI' in Zepeto, utilizing the developed digital fashion items. The study method involved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o collect examples of Hallyu trends currently active on the Zepeto platform and develop characteristic digital fashion item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cademic papers, internet articles, and publications related to keywords such as ‘Metaverse’, ‘Zepeto’, ‘Hallyu fashion’, and ‘Dokkaebi patterns’. Based on this, three Hallyu idol groups that well represent three characteristics of Hallyu were selected, and as of February 28, 2023, a total of 13,442 digital fashion items related to the three groups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item quantity, color, style, and pattern. Additionally, 402 digital fashion items related to traditional dokkaebi patterns were searched using keywords such as ‘도깨비(in Korea)’, ‘Korean dokkaebi’, ‘Dokkaebi(in English)’, and 'Goblin' on Zepeto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three Hallyu idol groups. Based on the analysis, traditional Korean dokkaebi patterns we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to develop patterns using Adobe Illustrator, a 2D graphics program. Motifs were desig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okkaebi patterns from different eras, and a principle fit design was composed based on the motif design. The composed principle fit design was applied to the digital fashion item template using Adobe Photoshop and implemented on Zepeto 3D avatars in the Zepeto studio.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ix principle fit design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okkaebi patterns from different eras were developed, and two principle fit designs were applied to each of the three Hallyu idol groups that best represent these characteristics. Nine digital fashion items were developed, three for each team, using the principle fit designs, and a ‘DOKKABI’ word mark logo was designed as a motif using the origins of dokkaebi, ‘돗가비’ and ‘DOKKAEBI’, to ensure consistency among the developed digital fashion items. The research results have been officially released on the Zepeto platform and can be purchased within the platform, serving as a means of communication with overseas consumers to promote Hallyu. Through this research, we aimed to create new value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Hallyu by combining traditional Korean Dokkaebi patterns and digital fashion on the rapidly growing metaverse platform Zepeto, with a focus on the overseas younger generation. Additional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igital K-fashion item analysis and development for Hallyu content marketing and for overseas users with a high interest in K-fashion on the Zepeto platform.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lead to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gital fashion items in subsequent studies to promote Hallyu on Zepeto. IT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코로나 19(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시장의 확장과 더불어 메타버스 플랫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패션, 음악, 영화 등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새로운 비즈니스의 시장으로 부상하였다.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는 해외 잘파(Zalpha) 세대(1990년 중반 ~ 2020년까지: Z세대 + 알파 세대)가 주 이용자이다. 이들은 제페토에서 3D 아바타의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표현함으로써 디지털 패션 아이템은 제페토 안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제페토에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들이 생성되고 공유되고 있으며 특히 한류 관련 제페토의 디지털 월드맵, 디지털 패션 아이템, 디지털 드라마 등의 콘텐츠가 활성화되고 있다. 한류는 한국만의 독창적인 문화와 수준 높은 디지털 콘텐츠 제조기술이 만나 제페토 콘텐츠들로 생성되면서 제페토의 다양한 해외 이용자들에게 ‘K-문화화’되어 공유되고 있다. 그중에서 ‘한류 아이돌’ 관련 디지털 패션 아이템은 한류에 관심도가 높은 제페토 해외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소비되고 있으며 제페토 내의 한류 활성화에 많은 이바지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해학성, 민예성, 상징성 등을 잘 표현하고 있는 전통 도깨비 문양을 활용하여 한류 아이돌들과 관련된 제페토의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개발하고 그것을 활용한 가상 디지털 패션 브랜드를 론칭하고자 한다. 이는 제페토에서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통해 해외 이용자들과 소통하며 한류를 더욱 활성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론적 배경에서는 메타버스와 제페토 플랫폼에 대해 고찰하고 현실에서의 한류 특징과 제페토에 진출해 있는 패션 기업들의 현황을 조사한다. 그 후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의 변천사와 특징을 시대별로 나누어 연구한다. 두 번째, 사례분석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다룬 한류의 3가지 특징을 기준으로 이를 잘 반영한 제페토 내에서의 ‘한류 아이돌’을 선정한다. 선정한 ‘한류 아이돌’의 디지털 패션 아이템과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전수조사하여 수량, 스타일, 컬러, 패턴 4가지로 나누어 분석한다. 세 번째,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을 응용한 로고 디자인 1종, 패턴 원리핏 디자인 6종을 개발하고 9종의 디지털 패션 아이템에 적용한다. 최종 결과물은 제페토 스튜디오에 등록하고 승인 심사를 받아 출시한다. 또한, 개발한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활용하여 제페토에서 가상 디지털 패션 브랜드 ‘DOKKABI’를 기획한다. 연구의 방법은 제페토 플랫폼에 활성화되고 있는 한류의 사례를 수집하고 특징적으로 나타난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메타버스’, ‘제페토’, ‘한류 패션’, ‘도깨비 문양’ 등의 키워드를 다룬 논문, 인터넷 기사, 간행물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사례 대상을 선별하였다. 이를 통해 한류의 3가지 특징을 잘 나타내는 한류 아이돌 3팀을 선정하고 2023년 2월 28일 기준으로 제페토에서 3팀과 관련하여 출시되어있는 디지털 패션 아이템 13,442개를 아이템별 수량 컬러, 스타일, 패턴으로 나누어 전수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전통 도깨비 문양과 관련된 디지털 패션 아이템은 ‘도깨비’, ‘한국 도깨비’, ‘Dokkaebi’, ‘Goblin’ 등의 키워드로 제페토에서 검색한 402개의 아이템을 한류 아이돌 3팀과 같은 방법으로 전수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패턴을 개발하기 위해 2D 그래픽스 프로그램인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를 활용하였다. 시대별 도깨비 문양의 특징을 모티브로 일러스트 디자인을 선행하고 모티브 디자인을 바탕으로 원리핏 디자인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원리핏 디자인은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디지털 패션 아이템의 템플릿에 적용하고 제페토 스튜디오에서 템플릿을 제페토 3D 아바타에 구현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 도깨비 문양의 시대별 특징을 반영하는 6개의 전통 도깨비 문양 원리핏 디자인 개발하였고 그 특징에 부합하는 한류 아이돌 3팀에 각 2개씩의 원리핏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원리핏 디자인을 활용하여 각 팀당 2개씩 총 6개의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개발하였고 개발한 디지털 패션 아이템들의 통일성을 위하여 도깨비의 어원인 ‘돗가비’와 ‘DOKKAEBI’를 모티브로 ‘DOKKABI’ 워드 마크 로고를 디자인하였다. 연구 결과물은 제페토의 심사를 받고 정식 출시되어 제페토 내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한류 활성화를 위한 해외 소비자들과의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해외 잘파 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 제페토 안에서 한국 전통 문양과 디지털 패션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한류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또한, 해외 이용자들을 위한 한류 콘텐츠 마케팅과 디지털 K-패션 아이템 개발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제페토에서 K-패션에 관심도가 높은 해외 이용자들을 위한 디지털 한류 콘텐츠들은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한류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K-패션 아이템 분석과 개발에 대하여 심도 있게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를 통해 제페토에서 한류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디지털 패션 아이템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ラット hepatocyte における leucine aminopeptidase (LAP) の細胞內分布および動態に關する硏究

        이숙 九州大學 1990 해외박사

        RANK : 1839

        여러종류의 ligand의 세포내 internalization이 보편적인 세포활동으로 인식됨에따라 세포막으 로부터 lysosome까지 여러형태의 Vesicular Component가 존재한다는사실이 명확해졌다. 그러한 �rganella의 형성에 관한 조절기작을해명하기위한 연구가 최근 세포 생물학의 중심 과제가 되고응括�원형질막단백질인 Leucine-Aminopeptidase(LAP)의 세포내­국재(distribution)와 동태를Immctron-Microscopic technique를 이용하여 Morphological Approach를수행했다. LAP 항체는 rat-kirush-border membrane으로부터 여러 단계의chromatography로 정제한 LAP를 antigen으로하여 rabb부터 polyclone으로조제하였다. LAP항체를 HRP로 표식하여 간 조직과 간 초대 배양 세포에서 LAP내 분포를 immunoelectron microscopy로 관찰하여 LAP가 원형질막의 bileCanaliculi(BC)막 domai니라 Sinusoidal Surface(SS)와 Coated pit, Golgi주변의 Smooth Vesicle, Endosome에 존재한다느�알게되었다. 이 사실로LAP는 RER에서 합성되어 Golgi를 endosome을 경유하여 SS에 도달한후 읗搭뻤�기관을 (Vesicular Compartment)거쳐 BC membrane에 운반됨이 시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양 세포를 이용한 LAP의 세포내 분포 및 세포내internalization 실험 결과는 세포를 collagenase시켜 single cell로단리시키면 epithelialcell의 특성인 Polarity를 상실하고 LAP는 Single Cell전체에 diffuse 된다. 그러나 배양을 계속함에 따라 세포는 원래의polarity를 회복하고 LAP는 BC차 enrich된다. 이때 LAP는 세포막표면으로부터 coated pit에 함입되어 세포내 endocytic compar경유하여BC membrane까지 운반됨이 시사되었다. 이 사실을 전형적인 endocytic ligand인ASGP의 �sialofetuin에 gold particle을 conjugate시켜 double labeling에의해 재 확인했다. 이러한 LAPracellular transport에는 온도와microtrbule가 susceptible factor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았다. The glob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the NPT regime), based on the NPT, the IAEA, the UN, and the NSG, tends to rely on the supply-side strategic options such as export controls, diversion controls, and punitive sanctions. However, in spite of its remarkable achievements, the NPT regime reveals its limitations in halting nuclear proliferation. In this situation, the demand-side strategy, based on the strategic bargaining for reducing the aspirations of a proliferator for nuclear weapons,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nuclear nonproliferation, The North Korean case of nuclear proliferation (from mid 199 1 to December 1995) is an exemplary one which showed the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y. As the NPT regime failed to fully dissuade North Korea from going nuclear, the U.S. and South Korea stroke several bargaining deals with North Korea in order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tried to protect or promote its national interests by using its nuclear proliferation option as bargaining leverage. Meanwhile, the U.S. and South Korea adopted diverse strategic options which could affect the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of North Korea for nuclear weapons.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S. as bargaining parties faced a variety of uncertainties which they had to cope with in order to enhance the procedural or substantive rationality of their strategic choices. In the strategic bargaining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dispute,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uncertainty ignoring, uncertainty reduction, uncertainty accommodation, and uncertainty overlooking) influenced the strategic choices of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 S.(conceding strategy, demanding strategy, and compromising strategy). Moreover,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also affected the bargaining outputs (conflict, cooperation, and capitulation) by influencing the combination of strategic choices of bargaining parties. Uncertainty as a critical variabl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ynamicity of the strategic nuclear bargaining.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ree dimensions. In theoretical term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managerial approach to uncertainty which is newly emerging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analytic approach to uncertainty. In practical terms, this research helps the understanding of the nuclear incentives, bargaining strategies, and bargaining tactics of North Korea as a nuclear proliferator. In policy terms, this research shows the weaknesses of the supply-side options of the NPT regime, especially the IAEA nuclear inspections and the UN sanctions. Meanwhile, this research reveals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ic options which can be selected within or beyond the NPT regime. Index Words: Analytic approach, Conflict, Cooperation, Diversion controls, Export controls, IAEA, Managerial approach, NPT, NPT regime, North Korea, Nuclear Incentives, Nuclear nonproliferation, Nuclear proliferation, Punitive sanctions, Strategic choice, Supply-side strategy, UN, UN Sanctions, Uncertainty, Uncertainty management,

      • 표면 존재로서의 상자

        이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는 어디서 와서,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가"하는 고갱(Paul Gauguin)의 물음은 모든 인간의 궁극적인 문제이며 세계관의 기준이 된다. 내세를 믿지 않는다 하더라도 스스로의 삶을 보다 가치있게 추구하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다. 예술적 욕망이 이러한 인간의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볼 때, 수많은 예술작품은 궁극적인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예술은 인간이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작업이며, 아울러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함으로써 다른 사람들과 공감하고 소통되어진다. 즉, 예술은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인간존재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프랑스 사상가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에서 질 들뢰즈(Gilles Deleuze)로 이어지면서 현대에 다시 부활된 형이상학에서부터 출발한다. 물질성과 관계하는 외적 경험을 다루는 것이 과학이라면, 이 형이상학은 내적 경험을 다루는 것을 일컫는다. 우리가 삶의 순간순간 만나게 되는 문제들은 우리로 하여금 다양한 선택의 기로에 서게 한다. 그러나 사회적 통념이나 가치관과 같은 절대기준은 이미 진리로서의 권위를 상실한 지 오래이다. 따라서 옳고·그름, 원인·결과와 같이 서로 대립되는 것들이 공존하는 모순된 상황에서 언제나 우리는 갈등을 겪고 힘들어하는 것이다. 본인은 이러한 갈등의 원인을 우리가 자신의 이상형을 내부에 미리 세워두고 마음대로 되지 않는 외부세계와 싸우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진정 행복한 삶은 이상을 위해 현재와 과정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지는 상황을 받아들이고 최선을 다하는 '과정' 그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것이라 생각한다. 이는 끊임없는 자기물음이며 자기인식의 수행인 것이다. 서로 상반되는 것 둘 다를 긍정하는 것은 정지나 포기가 아닌 보다 높은 차원의 실천을 종용하는 것으로 '無'이면서 동시에 '存在'인 노자사상(老子思想)의 '無爲'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러한 본인의 입장은 자기방어를 버리고 주님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기독교적 세계관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하겠다. 본인의 작품과 작업은 이러한 인간이해에 따른 것이다. 그러므로 본인의 「경계」는 나누기 위함이 아니라 이미 우리가 수없이 나누어 놓은 경계들의 한 모퉁이를 드러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며, 먼저 지각하게 하고, 그리고 허물고자 하는 것이다. 표현적인 면에서 본인은 주로 상자의 형태의 입방체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인 기하학적 형태는 고대로부터 존재를 드러내는 의미로 형이상학적 사유와 그 맥을 같이 해왔다. 그러나 본인의 상자는 존재의 덩어리를 드러내기 위한 것은 아니며 이러한 기존의 상징성을 통하여 내부와 외부의 공허한 부분들에 있는 의미를 드러내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졌다. 또한 그것은 열리는 대상으로, 상자를 여는 행위를 통하여 안과 밖, 나와 세계의 대립을 없애고 소통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대상을 내포하고 있는 캐스팅 기법을 통하여 내부이면서 동시에 외부인 표면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덧붙여 캔버스의 표면을 경계로 시·공간을 확장한 루치오 폰타나(Lucio Fontana)와 기하학적 형태를 탐구한 벤 니콜슨(Ben Nicholson), 입방체로 존재를 표상한 조엘 사피로(Joel Shapiro)와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 그리고 최근 주조(casting)기법을 통하여 보지 못하던 이면을 실체화하고 기존의 개념을 전이시킨 영국의 젊은 작가 레이첼 화이트레드(Rachel Whiteread)의 작품을 참고로 본인의 기본적인 입장을 표현·확장해 보았다. 본인은 이 경계가 숨쉬기를 바라며, 부유하기를 바라고, 사라지기를 바란다. 나의 내부로부터의 열림과 다른 이들의 여는 행위가 만나서 서로 주는 것도 받는 것도 낯설지 않게 되기를 바란다. 그래서 궁극에는 세상이 줄 수 없는, 세상이 알 수도 없는 '평화'를 만끽하게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Paul Gauguin's philosphical questions, "Where do we come from?", "What are we?", "Where are we going?", reveal the fundamental problem of human existence. If we consider that the desire to create art comes from the human mind, then the making of art begins with the search for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Accordingly, art is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what it is to be human as well as the product of the artist's effort to communicate to others the results of his investigation. My thoughts about human existence begin with the metaphysical philosophy of the French thinkers Henri Bergson and Gilles Deleuze. I pursue inner experience, not the materialism that relates to outer experience that is called science. Meeting each of life's problems requires that we meet with a moment of decision. For some time now, conventional ideas and social institutional values have lost their authority to provide guides to the individual life. We are conflicted as we face the paradoxes inherent when opposites such as right and wrong or causes and results exist simultaneously. I believe that the cause of this conflict results from having determined our ideals within ourselves while having to struggle against the uncontrollable forces of the outside world. Nevertheless, the truly happy life is reached not by sacrificing the process and the present for the ideal, but by accepting the given situation and doing our best to pursue our ideals! . Such a pursuit requires constant self-questioning and the practice of self-awareness. Affirming both the opposing approaches means neither stopping nor surrendering but demands a higher level of practice. The search may be understood through the precepts of Taoism in which nothingness is at the same time existence. My own perspective is based upon a Christian worldview, which abandons self-defense, accepting God fully. My work is based upon such human understanding. The boundaries presented in my work are meant not for dividing, but rather for showing the edges of the borders. I intend to show my views by revealing these borderlines. To express my ideas, I employ a very basic geometric form, the cube, which in ancient times signified the presence of existence and equated to metaphysical thought. However, my boxes are not meant just for revealing the mass of existence, but, through symbolism, the boxes are used as tools to illustrate the meaning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the boundary that lies between them. By using a casting technique that suggests past objects, I intend to convey a kind of surface that is both interior and exterior, an object that removes the contradictions even while posing them. My references and my influences begin with Lucio Fontana, who innovated the concept of space expressed through the surface of canvas. I also owe a debt to Ben Nicholson, Joel Shapiro, and Robert Morris, whose works represented beings by using basic geometric forms, and to the British artist Rachel Whiteread, whose work shows reverse space through the use of a new casting technique. I hope that my boundaries breathe, thrive, and finally, vanish. The opening from my inside will meet the openings of others, and the process of giving and receiving will become one. Through these processes, I hope that the viewer enjoys the peace that the ordinary world cannot provide, cannot know.

      • 地方自治團體의 性認知的 政策推進에 관한 硏究 : 全羅南道의 女性政策을 中心으로

        이숙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전라남도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방자치제도 실시 이후 여성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지역여성정책을 분석하려는 목표를 갖는다. 성별권력관계에 대한 인지와 평등한 양성관계로의 변화 의지를 포함하는 '성인지적 관점'이 지역 여성정책 추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가 중요한 분석의 초점이다. 본 연구에서 성인지적 관점은 다양한 영역에서 여성의 요구에 주목하고 여성의 참여를 지원한다는 의미에서 사용되었다. 1990년대 한국의 중요한 정치적 변화인 지방자치제도가 시작되면서, 지방정부는 단순히 정책을 집행하는 행정기능에서 벗어나 정책의 개발과 수립에 대한 책임을 갖게 되었다. 정치적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지역 여성정책은 중앙정부의 성평등 의제의 영향을 받아 성인지적 정책으로 의제의 전환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지역 여성정책이 평등의제를 반영하는 정책과제를 수립하고 있는지, 또한 성인지적 정책이 실효성있게 집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부터 본 연구는 지역 여성정책 전개과정에 개입된 성인지적 관점이 어떻게 여성정책 추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분석상의 초점을 두게 되었다.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지역여성업무에 대한 2차 자료 분석과 여성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 4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제도의 실시로 지방단위에 성인지적 관점이 도입되었다. 지방정부는 여성정책 담당부서를 신설하거나 개편하면서 여성정책 추진체계를 갖추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방내에서도 여성정책이라는 용어와 개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이렇듯 지방자치제도 실시 이후 각 지방에 여성정책이 도입되고 성인지적 관점이 등장하면서 잔여적이고 사회통합적인 인식하에서 추진되던 지역 여성업무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여성정책 담당부서를 중심으로 성인지적 정책을 추진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지방 관료조직 내에서 여성부서와 인력 그리고 여성업무는 가장 주변화된 위치에 놓여 있으며 여성문제는 여전히 비가시적이고 비정치적인 영역으로 남아 있다. 셋째, 지방행정조직에서 여성정책은 평등의제를 반영하는 구체적인 정책으로 집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 여성정책은 지방의 특수성과 여성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여성에게까지 도달하고 있지도 못하다. 지방에 도입된 성인지적인 관점은 여성정책의 상징적인 목표나 표면적인 과제의 명칭에만 일부 반영되어 있을 뿐 정책의 내용이나 집행과정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것이다. 결국 지역여성정책이 여성의 현실과 성인지적 관점에 기반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을 모색하는 정책으로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담당부서와 인력이라는 추진체계의 마련 뿐 아니라 정책이 추진되는 지방행정조직의 인식과 운영원리의 변화가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woman's policies at the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perspective on woman's issue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ous system. The study highlights the impact of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an awareness of gender-based power dynamics and a will to move towards gender equality, on the formation of local woman's policies.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in this thesis refers to an effort to recognize the wants and needs of woman in various areas and to support their participation. In the 1990's Korea witnessed major changes in its political scene, one of them being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ous system. With the system, Korean local governments were empowered with the responsibility to promote and establish policies, going beyond its original role as administrative bodies that simply executed them.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landscape, local governments started to adopt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in their woman's policies, largely motiv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gender equality agenda. However, whether the local governments are actually reflecting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in their polices, and whether these policies are effectively carried out are yet to be assessed. The following is the excerpt of the research.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ous system facilitated the adoption of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A systematic women's policy making process was developed at local governments by newly establishing or reorganizing women's policy departments.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ous system and the entailing establishment of women's policies and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brought about changes in women related work at local governments that was until then confined to residual and socially integrated perspectives. Second, women's policy departments took the initiative in pursuing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Despite such efforts, woman-related departments and work are still marginalized, and women issues are far from being resolved and need vigorous politicizing. Third, the local governments, where the efforts to promote gender perspective co-exists with the traditional recognition of women issues as a marginal area, are failing to adopt the equality agenda in their woman policies. Local women policies also failed to reach women, for they do not reflect the local uniqueness and the reality of women's lives. In other words,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is merely reflected in the symbolic objectives or superficial titles of tasks but not in the actual process of implementation or content of th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