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정규 미술치료 석사학위 청구논문의 연구 동향

        이수은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한국에 미술치료가 도입 된지 10여년이 지난 현재 미술치료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의 증가에 따라 미술치료 분야는 신 유망직종으로 떠올랐다. 이러한 시점에서 그동안 발전해온 한국의 미술치료 연구현황에 대해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미술치료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가 있긴 하였으나 제한적인 대상의 연구동향이며 다른 미술치료관련 연구 분야와 비교하였을 때 이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미술치료의 발전현황과 향후 연구 분야의 필요성에 대해 알리고자 국내 개설된 정규 미술치료 석사과정 청구논문을 구조 분석함으로서 2001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 발표된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각 대학원별 및 연도별 편수를 통계 처리하여 그 동안 미술치료연구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논문제목에 나타나는 연구대상과 연구주제를 분류하여 그 다양성과 변화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미술치료 연구의 편중되지 않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의 기초자료 수집은 국회도서관(http://www.nanet.go.kr/)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kr/)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미술치료로 검색된 정규과정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한을 두고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21개 대학원 중 아직 청구논문이 발표되지 않은 대학원 한 곳을 제외한 20개 정규 미술치료 석사과정 논문 1083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0여 년 동안 한국 미술치료 학계의 연구는 매년 그 수가 급상승 하였는데 2001년 12편의 발표를 시작으로 2002년 34편, 2003년 60편, 2004년 62편에서 2005년 119편의 논문이 발표되면서 상승선을 나타내었다. 2006년에서 2007년도에 잠시 감소되었으나 2008년 정규과정 미술치료 대학원 추가 신설로 다시 증가하여 2010년 177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것은 한국 미술치료가 10여 년 동안 수직에 가까운 연구발전 하였음을 보여 준다. 둘째, 미술치료 대상자를 문제유형별로 구분하여 분류하였을 때 일반문제 현상 대상이 172편으로 전체 16%, 비장애일반인 대상이 154편으로 전체 14%의 비율을 보이며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미술치료 보다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미술치료가 더 많은 비율로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술치료 연구주제별 구분을 통해 분류하였을 때 정서를 연구주제로 다룬 연구가 총 293편, 전체 20%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다음으로 기타연구, 자아개념-자아존중감이 전체 비율 중 20%를 차지하여 정서부분의 주제와 거의 비슷한 비율로 연구되었다. 이는 현대인의 정서적인 문제와 관련하여 미술치료 또한 정서적인 부분을 많이 연구해왔음을 알 수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가 급성장해온 한국 미술치료학계의 향후 더 발전된 연구방향을 위한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en years after introduction in Korea, art therapy is now spotlighted as a newly emerging type of occupation accompanied with increasing concern and needs for it. At this point of time, it would be timely significant to have doubts about the past and current situation of development for its studies in Korea. Although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to the trends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the meantime, they were far more limited in scope and number than other studies related to art therap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is design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future needs of art therapy studies in Korea with a view to contribute to their progress in a balanced way.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into the number of theses that have been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pened by domestic graduate schools from 2001 to 2011. The number of theses by institution and year was counted statistically to see how the studies on art therapy have been hitherto progressed as well as the subjects and topics of the studies were also classified by category to find diversity of and changes in them. The basic data for this paper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net websites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http://www.nanet.go.kr/) and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http://www.riss.kr/) for the theses that have been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f graduate schools in the area of art therapy. A total of 1083 theses were put to analysis that were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f 20 graduate schools in the area of art therapy excluding one that did not post any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heses applied for. The finding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for the last decade, the number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Korea has recorded a steep increase from 12 in 2001 to 34 in 2002, 60 in 2003, 62 in 2004, to 119 in 2005. After a little decrease in 2006 and 2007, the number started turning around on the upcurve after addition of regular courses for art therapy at graduate schools in 2008, reaching eventually 177 in 2010, an obvious evidence for almost vertical upturn for the period. Second, divided by sort of problems facing the subjects, 172 theses or 16% of all handled the subjects with general problems of disability while 154 or 14% handled persons without disability, a certain evidence showing that more studies on art therapy have been conducted to the non-disabled subjects than to the disabled ones. Third, classified by category of the study theme, the biggest number of 293 or 20% of the whole studies dealt with sentiment, and another 20% of studies handled miscellaneous themes and themes of self-concept or -esteem, featuring the aspects that attention was focused mostly on the issue of sentiment in art therapy in reflection of contemporary people's concern for emotional issues. Latly, it is the writer's wish that this paper may serve as a step stone for further progress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Korea that has grown at a steep pace.

      • 가정폭력피해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지원체계와 개선방안

        이수은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가정폭력은 그 특성상 가족 또는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되는 폭력이기에 오랫동안 가정의 테두리 내에 가리어져 오다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사회적 범죄라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가정폭력관련법률이 제정되어 시행되었다. 하지만, 가정폭력관련법률이 제정된지 15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가정폭력이 개인의 인권을 짓밟는 범죄행위라는 인식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폭력의 근절과 피해자의 인권보호의 구현을 위해 가족주의적 관점에서 탈피하여 인권중심으로의 시스템과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자기 맘대로 지배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생각은 반인권적 발상이다. 가정에서의 ‘개인의 존엄’과 ‘양성평등’ 사고의 부재 등은 가정폭력의 주요원인일 수 있고, 가정폭력은 결과적으로 다른 인격적 권리도 동시에 침해하는 속성 때문에 중대한 인권침해로 간주되어야 한다. 가정폭력과 인권 그리고 그러한 교차점의 합의로서 여성의 인권에 대한 존중은 양보할 수 없는 숭고한 가치로서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정폭력은 모든 사회폭력, 즉 성폭력, 학교폭력, 직장폭력, 성매매등의 근간이 되는 폭력이다. 하지만 가정폭력에 대한 일반 국민도 정부도 가정폭력이 사소한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이며, 사회적 범죄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으며, 모든 폭력방지정책의 순위에서 밀려나 있다. 다만,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면서 최근 들어 4대 사회악(성폭력, 가정폭력, 학교폭력, 불량식품)에 가정폭력이 포함되어 이에 대한 정책변화를 기대해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가정폭력에 대한 여러 가지 정책에도 불구하고 가정폭력이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어나고 있는 가정폭력의 실태와 가정폭력의 영향, 즉 인권침해로서의 가정폭력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실태에 따른 가정폭력관련정책, 가정폭력 관련 법률의 개선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가정폭력피해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체계와 개전방안의 제시를 통해 가정폭력피해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정책 제언에 갈음하고자 한다. Due to the nature of domestic violence, family violence or intimate relationships that occur in the home for a long time because of the border point adjuster come in women's groups around the social crime of domestic violence a voice As higher is the enactment of laws was implemented. However, domestic violence laws enacted 15 years later, still the individual human rights of domestic violence, criminal acts which have outraged the place of has not properly recognized. Therefore, the eradica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protection of victims of human rights implementation, moving away from the family perspective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around the transition of the system is necessary. Whatever one person to dominate the other person cannot control his idea that the idea of the enemy is the anti-human rights. In the home of the "individual dignity" and "equality" as the absence of an accident can be a major cause of domestic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at the same time result in a violation of the right to personal property other serious haman rights violations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Domestic violence and human rights and the implications of such a junction as a respect of the human fights of women not to be able to hand as the noble values should be guaranteed. These are all soci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or sexual violence, school violence, workplace violence, prostitution, violence, etc. This is the basis. Domestic violence, but also the government and the general public also have personal problems of domestic violence as a minor social problem, and to overlook the fact that social crime, and pushed all the violence prevention policy is in the rankings. However, Park Geun-hye, while the government recently launched four ills (violence, domestic violence, school violence, bad food) is included in the domestic violence policy change on this looking forward to is sleep. In this paper, several kinds of policies for domestic violence, domestic violence, despite the decrease of domestic violence, but rather the growing rights violation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this status according to the home violence-related policies, domestic violence laws will want to review the improvement plan. Protect the human fights of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practical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system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th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lieu of a policy proposal is to.

      •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다큐멘터리사진을 활용한 비평적 감상지도연구

        이수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These days, we exist with a lot of visual images presented by various media.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implied meanings and messages the producers want to share through their works. In this study, an effort is made to improve students' critical appreciation ability and to make them understand the meanings implied in the documentary photograph by themselves. For that purpose, the activities of criticizing documentary photograph are considered as the effective educational devi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n appreciation class utilizing documentary photograph can help secondary students develop an artistic eye and understand the messages artists want to share.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documentary photographs in art field should be maximized by appreciation activity. It is vital that we encourage students to establish positive attitude toward documentary photographs. 본 연구는 다큐멘터리사진을 비평단계를 활용하여, 학생 스스로가 사진의 의미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비평능력을 신장시키고자하는데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다큐멘터리를 통한 감상수업은 중학교 학생들이 다양한 작품을 보여주어 폭 넓은 미적감식안을 갖게 하고, 작가의 비평적 사고를 이해하며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비평능력 신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미술교육에서 다큐멘터리사진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가능성을 감상수업을 통하여 극대화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다큐멘터리사진감상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정립하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다큐멘터리사진감상활동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고 비평능력을 신장시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17현 가야금곡 <풀잎>의 음악적 구조 연구

        이수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김영재가 작곡한 17현 가야금 독주곡 <풀잎>의 음악적 선율진행 구조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인은 본고의 연구 대상인 가야금 독주곡 <풀잎>을 작곡자가 6개의 악장으로 분류한 형태를 자기고 각 악장에서의 선율과 리듬 및 연주기법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정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주부의 경우는 ‘아주 느리게’로 시작하여 산조의 다스름 형태를 표현하였다. 하성부의 왼손과 중성부의 오른손의 교차하는 주법이 사용되며 옥타브 연주와 2도, 3도, 4도 화성의 출현은 기존의 전통음악의 산조 다스름의 느낌을 벗어나 현대적인 느낌이 나도록 선율로 표현하였다. 중모리는 양손의 교차되는 주법과 초반의 연 튀김 주법에서 아르페지오 수법과 3도, 4도의 화음 주법으로 점차 하행선율에서 상행선율로의 혼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자진모리는 3도, 4도 화음과 크라이막스 부분의 연튀김 주법으로 구조적으로 조밀도가 높게 표현되고 있다. 엇모리는 10박으로 구성되서 3+2+3+2형태의 기본적 리듬으로 구성되었으며, 부점과 16분음표가 조합된 리듬의 출현으로 리듬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것이 이 악장의 특징이다. 단모리는 초반의 16분음표의 등장으로 조밀도가 매우 높으며 연튀김의 기법과 전성, 퇴성, 3도, 4도 화음의 출현과 트레몰로 기법으로 매우 다양한 기교의 악장으로 볼 수 있다. 휘모리는 아주 빠르게 연주하며 작곡자의 설명에 의하면 주자의 감정을 이입할 수 있도록 배려된 악장으로 볼 수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등장하는 선율의 형태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글리산도 주법이 이 악장의 특징적인 주법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17현 가야금을 위한 독주곡 <풀잎>은 17현의 넓은 음역을 기본으로 하여, 전성, 퇴성, 농현 등의 전통적인 기법과 현대적인 기법의 글리산도, 화성기법, 양손 교차법 등을 사용하여 풀잎의 서정적인 형태를 묘사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o analyze the musical the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 of 17 string - Kayakum solo of which name is PULIP composed by KIM YUNG JAE. I came to know that this music is made up of three 6 musical parts. Therefore I categorize the main rhythm, playing technic by that structure and the conclusion is like this. Starting part is coming so slow that it expressed DASLUM type. Low part is showing hand-crossed playing techniques, octave playing various harmony(2,3,4 degree). It is felt that this music is expressing modern melody out of traditional way(DASLUM techniques). JUNGMORI is made up of hand crossed playing technique, YONNTWIKIM execution which is showed in early parts, Arpeggio execution, 3-4 degree melody execution. In a short word, its style is coming low melody between high melody. JAJINMORI is describing 3-4 degree melody and YONNTWIKIM execution, which caused the fine and high density. Specially in this chapter, ATMORY keeps ten time which is composed of basic rhythm(3+2+3+2 style), dot and a sixteenth note are producing a high variety of rhythm. DANMORI is showing high density which is caused by a sixteenth note in opening part. YEONTWLIM execution JUNSUNG, TOISUNG, 3-4 degree melody and tremolo technique are making this part artistic excel-lence of music. From his saying, this part is dedicated to his empathy of this music. WHIMORI is moving so fast and the melody is maintained in a same tune. Glissando is the distinguishing execution of this part. Explained like this, 17-string KAYAKUM solo PULIP is based on the variety of 17-string's musical range. It is so well harmonized with traditional way and modern way that it is full of splendid lyricism.

      • Spatio-temporal change in expression of the embryonic intermediate filament nestin in the hippocampus of mice after trimethyltin treatment

        이수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Nestin은 다분화능 신경줄기세포(multipotent neural stem cell)에서 발현되는 배아의 중간섬유(embryonic intermediate filament)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에 의해 손상된 해마에서 nestin의 역할을 연구하기 위해, 마우스에 trimethyltin (TMT, 2.5 mg/kg. i.p.) 투여 후 1일, 2일, 3일, 4일 및 8일째 해마에서 nestin 발현을 조사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TMT가 마우스 해마의 치아이랑을 선택적으로 손상시킴을 확인하였다. 해마에서 nestin mRNA의 발현은 TMT 투여 후 2일 및 3일째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4일 및 8일째에 대조군의 수치로 감소하였다. Nestin 단백질의 발현은 TMT 투여 후 2-4일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부분의 양성반응은 손상된 치아이랑의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양성 별아교세포에서 나타났다. 또한, TMT 투여 후 해마에서 Ki67 (proliferating cell marker) 양성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는데, 이 양성반응은 nestin 양성의 reactive 별아교세포에서 관찰되었다. 결국, 해마 손상에 의해 별아교세포가 nestin 양성의 다분화능 신경줄기세포와 일치하는 것으로 볼 때, nestin은 glial scar 형성과 신경발생의 변화를 통해 화학물질에 의해 손상된 치아이랑의 재형성에 기여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 현행 與民樂의 가야금과 양금 선율 비교 분석

        이수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855

        Because Yanggeum has been played almost by the Gayageum musicians, It is true that the melodies of Yanggeum are roughly known to be in harmonious accordance with that of Gayageum. But under the circumstance of few researches related with this thesis, it is required to put a study on the how much and how the comparison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goes on in the field of traditional playing of each other’s instrument. Even though among the composition including both of them, Gayageum and the Yanggeum, Yeominrak was provided with plenty value of research, the research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melody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has yet to be done. Therefore this study picks up the field of Yeominrak as a research spectrum of traditional play and analyzes the comparison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which comes to the relationship including the community, similarity, difference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The unit of the comparison is made up of each Deagang. Under the analysis of the 896 Deagang including from chapter 1 to chapter 7 of Yeominrak, I end up with the conclusion hereinafter. Firstly, the origin and derivation of the Yeominrak, the change, the composition of music are precisely checked up in accordance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usic for the research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In conclusion, this study figures out that because the occurrence and method of playing are differentiated, the distinctive acoustic traits are shown well, which gets rid of the musical simplicity Secondly, the result of the research upon the equivalent melodies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is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the agreed melodies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is increasing as follow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f the music, first chapter 60%, second chapter 66%, third chapter 78%, fourth chapter 93%, fifth chapter 94%, sixth chapter 96%, seventh chapter 95% among the whole melody flow of Yeominrak. Specially, the distinction on the appearance of the similar melody between the 1〜3 chapter at which one Jangdan is played slowly as 20 and the 4〜7 chapter at which one Jangdan is played fast as 20 is found. I can figure out the tempo of the equivalent melody is rapidly uprising from chapter 1〜3 to chapter 4, which is changing point of the tempo. The equivalent proceedings of Gayageum and the Yanggeum makes out a perfect harmony producing plenty of similarities upon the change of the tempo. It was expected to find more changes at the slow tempo, after the chapter 4 Bak is changing with the fast tempo the similar melody is leveled up rapidly, by which the tone unification was provided upon the tense tempo. Thirdly, the result of the research upon the similar melodies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is as follows. Partly similar melodies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is applied to 7% to the chapter 1, 12% to the chapter 2, 11% to the chapter 3, 5% to the chapter 4, 5% to the chapter 5, 3% to the chapter 6, 3% to the chapter 7, which is slowed down one by one. Especi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pter 1〜3 and the chapter 4〜7 is distinguished in a tempo. I can find the proportion of the similar tempo is rapidly decreasing from chapter 1〜3 to chapter 4 which is changing point of the tempo. The similar melodies appears a lot at the slow chapter rather than the fast chapter. The growing proportion of the similar melody from the slow chapter to the fast chapter, which is equivalent to from chapter 1 tp chapter 3, insinuates the change of the flow on the music. The Rhythmical allocation upon the same melody is processed most often, which breathes in the freshness into the music in accordance with the harmonious melody. Four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upon the complex similar melodies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is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the complex similar melody between Gayageum and the Yanggeum is decreasing step by step throughout the Yeominrak, which is applied to 21% to the chapter 1, 17% to the chapter 2, 9% to the chapter 3, 1% to the chapter 4, 0% to the chapter 5, 0% to the chapter 6, 1% to the chapter 7. Progressing into the chapter 4 the decline of the proportion falls deeply, which is the natural result of the growth of the relative tempo. The same melody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comes up both at the former part and the later part, which shows the variety of the melody change. Throughout the complex similar melodies, the type of melody on the Yanggeum can be inferred. By this process, the various way of making harmony with the Yanggeum proves the possibility of that way. Fif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upon the different melodies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is as follows. The comparison upon the different melodies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was analyzed with the melody of Piri. The proportion of the different melody between Gayageum and the Yanggeum is decreasing step by step throughout the Yeominrak, which is applied to 12% to the chapter 1, 5% to the chapter 2, 2% to the chapter 3, 1% to the chapter 4, 1% to the chapter 5, 1% to the chapter 6, 1% to the chapter 7. I can find the proportion of the different tempo is decreasing from chapter 1〜3 which is changing point of the tempo, rapidly decreasing from chapter 4 with the fast tempo. Inside the different melodies I can find the equivalence and the similarities with the melody of Piri and the identity of the melody of Yanggeum. Throughout the analysis on the identity of the melody of Yanggeum, each instruments are making out the harmony in a cohesive relationship rather than dependent with each other. Sixth, the equivalent melody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is appled 84% to the 751 Deagang, including the similar melody as 6% (55 Deagang), the differentiated melody as 7% (61 Deagang). Both the equivalent and similar melodies appears a lot at the fast chapter including chapter 4 - 7 rather than the slow chapter including chapter 1 – 3. The traits of the similar and different melodies could be inferred very clearly due to the embedding and detailed characteristics inside the each other’s sub-conception. I feel sure this analysis can contribute to the innovative creation based upon the our own tradition.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hich checked ou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Gayageum and the Yanggeum, The Gayageum player will find it not so hard to challenge the Yanggeum as a sub-major or the minor thanks to this kind of research, which will bring the modern way of playing out of the traditional music grammar through the role of string instrument a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양금은 예로부터 대부분 가야금 연주자에 의해서 연주되었으므로, 정악곡에서의 양금 선율은 대부분 가야금의 선율과 유사한 진행을 하고 있는 것으로 막연하게 알려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미루어 볼 때, 정악곡에서 양금선율이 가야금선율과 어떻게 그리고 얼마큼 관계가 있는지는 논의되고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가야금과 양금 두 악기가 모두 편성된 곡 중 '여민락'은 충분히 연구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선율관련 연구에서 가야금과 양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행 정악곡 중 여민락을 연구범위로 삼아 가야금과 양금의 선율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악기가 어떠한 선율적 공통성과 유사성, 그리고 상이성을 가지고 있는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비교할 선율의 단위는 각각의 대강으로 하였으며, 여민락 제 1장에서 제 7장까지의 896대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민락의 기원과 파생, 변천 및 악곡 구성을 살펴봄으로써 악곡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가야금과 양금을 비교 고찰하였다. 그 결과, 가야금과 양금은 악기학적 발생이 다르고 연주법이 다르기 때문에 선율이 동일하게 움직일 경우에도 이에 따른 각 악기의 음향적 특성이 잘 드러나 음악적 단조로움을 해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야금과 양금의 동일선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야금과 양금 선율이 일치하는 동일선율은 여민락 제 1장에서 제 7장 중, 제 1장은 60%, 제 2장은 66%, 제 3장은 78%, 제 4장은 93%, 제 5장은 94%, 제 6장은 96%, 제 7장은 95% 로 악곡이 진행됨에 따라 그 비율이 점차 증가한다. 특히 한 장단이 20박으로 느리게 연주되는 제 1장부터 제 3장까지와 한 장단이 10박으로 빠르게 연주되는 제 4장부터 제 7장까지 는 동일선율의 출현빈도수의 차이점이 발견된다. 제 1장에서 제 3장으로 진행하며 점진적으로 늘어나던 동일선율의 비율은 템포가 빨라지는 제 4장부터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야금과 양금선율의 동일한 진행은 전체선율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고 상호 조화되는 동시에, 악곡의 흐름과 템포의 변화에 따라 동일성이 급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느린 템포에서 비교적 더 많은 변화양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제 4장 이후 박이 변하고 빠른 템포로 변화하면서 가야금과 양금선율의 동일선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템포로 인한 긴장감 속의 통일감이 부여되었다. 셋째, 가야금과 양금의 유사선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야금과 양금의 선율이 부분적으로 동일한 유사선율은 여민락 제 1장에서 제 7장 중, 제 1장은 7%, 제 2장은 12%, 제 3장은 11%, 제 4장은 5%, 제 5장은 5%, 제 6장은 3%, 제 7장은 3%로 악곡이 진행됨에 따라 그 비율이 점차 감소한다. 특히 악곡의 속도가 느린 제 1장부터 제 3장까지와 악곡의 속도가 빠른 제 4장부터 제 7장까지 유사선율의 출현빈도수의 차이점이 발견된다. 제 1장에서 제 3장으로 진행하며 변화가 거의 없던 유사선율의 비율이 템포가 빨라지는 제 4장부터는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빠른 악장보다 느린 악장에 더 많은 유사선율이 출현하며, 느린 악장의 음악에서 빠른 악장으로 가기까지 제 1장에서 제 3장까지에 걸쳐 점차적으로 유사선율의 빈도수가 높아지는 것은 음악적 호흡의 변화를 암시하는 역할을 한다. 가장 넓은 분포로 출현하는 '같은 음을 리듬분할'하는 과정에서 긴밀하게 상호조화를 이루는 선율은 악곡에 생동감을 불어넣는 역할을 한다. 넷째, 가야금과 양금의 복합유사선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합유사선율은 여민락 제 1장에서 제 7장 중, 제 1장은 21%, 제 2장은 17%, 제 3장은 9%, 제 4장은 1%, 제 5장은 0%, 제 6장은 0%, 제 7장은 1%로 악곡이 진행됨에 따라 그 비율이 점차 감소한다. 제 4장부터는 복합유사선율의 비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템포가 빨라지면서 동일한 선율이 증가하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결과로 볼 수 있다. 가야금과 양금선율이 동일한 부분이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출현하여, 그에 따른 선율의 변화가 다채로운 양상을 띤다. 복합유사선율을 통해 양금선율의 진행유형을 유추할 수 있으며, 이는 양금과 여타 악기들과의 조화를 모색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섯째, 가야금과 양금의 상이선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야금과 양금의 선율이 서로 다른 상이선율은 피리선율을 함께 비교하였다. 여민락 제 1장에서 제 7장 중 제 1장은 12%, 제 2장은 5%, 제 3장은 2%, 제 4장은 1%, 제 5장은 1%, 제 6장은 1%, 제 7장은 1%로 악곡이 진행됨에 따라 그 비율이 점차 감소한다. 상이선율의 비율은 제 1장에서 제 3장으로 진행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감소하나, 템포가 빨라지는 제 4장부터는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상이선율 안에서는 피리선율과의 동일성이나 유사성을 살펴볼 수 있고, 양금선율만의 독자성을 발견할 수 있다. 양금의 독자선율 분석을 통하여 양금선율이 가야금선율이나 피리선율에 종속된 것이 아닌,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며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여민락 제 1장에서 제 7장(896대강)까지의 가야금과 양금의 동일선율은 84%(751대강), 유사선율은 6%(55대강), 복합유사선율은 7%(61대강), 상이선율은 3%(29대강)이다. 템포가 비교적 느린 제 1장부터 제 3장에 비하여 제 4장부터 제 7장의 빠른 악장에서 훨씬 더 많은 동일선율과 유사선율이 발견되었다. 또한 분석 결과 각각의 하위개념에서도 세분화 된 선율형의 특성이 내제되어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유사선율과 상이선율의 특징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선율유형의 분석은 전통에 기반을 둔 창작에 유용한 쓰임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가야금과 양금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연주가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작곡가들에게는 한국 전통음악에서 현악기의 역할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전통음악의 어법으로 작곡된 현대 작품을 낳는 효과를 동반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Task-specific effects on crosslinguistic differences in nouns and verbs for Korean and English speaking individuals with aphasia

        이수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Aphasia is an acquired language disorder that emerges across modalities including receptive and expressive domains. It is caused by brain damage and can coexist with other neurogenic disorders such as motor speech disorders, although cognitive disorders are excluded when diagnosing aphasia (McNeil & Pratt, 2001). Linguistic symptoms may differ by language, and aphasic symptoms are likely to be affected by unique linguistic features of the language that individuals with aphasia used premorbidly. Considering that the language-specific features could influence individual symptoms of aphasia,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language-specific differences among aphasic symptoms as well as how these differences affect syndromes of aphasia. The competition model accounts for aphasic symptoms based on the uniqu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that aphasic individuals used premorbidly rather than syndrome-based differences across the types of aphasia. According to the competition model, instances of the same type of aphasia may demonstrate different linguistic features across languages (Bates & Wulfeck, 1989). The current study performed crosslinguistic comparisons in Korean and English, given that these two languages have contrasting syntactic structures. Korean is a verb-final language, following the word order of Subject–Object–Verb (SOV). As long as the predicate is retained at the end, other linguistic constituents can be scrambled freely within a sentence (Sohn, 2001). In contrast, English follows a word order of Subject–Verb–Object (SVO), and word order information is a critical factor in interpreting thematic relations of a sentence in English (Bates, Friederici, & Juarez, 1988). On the other hand, grammatical morphology, such as case markers, plays a critical role in denoting thematic roles in languages with a relatively free word order such as Korea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crosslinguistic differences in personal narratives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between Korean- and English-speaking individuals with aphasia. Spontaneous speech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elicitation measures in evaluating syndromes and severity of aphasia because it demonstrates a wide range of communication abilities. Many studies have examined spontaneous speech in aphasia patients to examine symptoms. However, few studies have conducted crosslinguistic studies in aphasia using elicited tasks. Crosslinguistic studies in aphasia could give an implication of language-specific effects across language, given that aphasic individuals’ premorbidly used language breakdown would provide a basis for applying the competition model. The measures most frequently used to elicit spontaneous speech include narrative tasks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These two different ways of eliciting spontaneous speech may tap into different cognitive and linguistic domains.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a picture description task may place greater demands on the individual than narrative tasks do, as the picture description paradigm is presented in a more constrained way (Deloche, Jean-Louis, & Seron, 1979). Twenty-nine individuals with aphasia with a single, left-hemisphere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fourteen Korean-speaking individuals with aphasia and fifteen English-speaking individuals with aphasia. Data for the English group are taken from the “Aphasia Bank Project” (MacWhinney, Fromm, & Holland, 2011). Personal narratives and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 tasks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The experimental materials were obtained from the Aphasia Bank Protocol. For the Korean participants, the English protocol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In personal narratives tasks,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 current status of their speech, how they suffered stroke, and their recovery from stroke. Troubleshooting questions were asked to encourage them when participants struggled. For the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 task, six cuts of the sequential story of a boy refused an umbrella were used. Linguistic outcome measures included total number of utterances, total number and different numbers of nouns and verbs, number of nouns per utterance, number of verbs per utterance, tokens for verb-to-noun ratio (VNR), and types for VNR. Two-way mixed ANOVAs were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English-speaking groups depending on the type of elicitation tasks (personal narratives and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 tasks). The results revealed, first, that the Korean speaking individuals with aphasia rated higher in different number of verbs, number of nouns per utterance, number of verbs per utterance, tokens for VNR, and types for VNR. However, the English-speaking group had higher total numbers of utterances in both personal narratives and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 task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task-type differences in total number of utterances, total number and different numbers of nouns and verbs, number of verbs per utterance, and tokens and types for VNR. Both Korean- and English-speaking individuals with aphasia generated more linguistic units in utterances, nouns, and verbs in personal narratives than in the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 task. Third, the two-way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 in number of nouns per utterance and number of verbs per utterance. The interactions in number of nouns per utterance are due to the fact that the Korean-speaking group produced more nouns in the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s than in the personal narrative tasks, while the opposite was observed for the English-speaking group. In terms of the interaction for the number of verbs per utterance, the Korean group generated more numbers of verbs in the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 tasks than the personal narrative tasks compared to the English group. The interactions in number of verbs per utterance occurred because the Korean-speaking group produced more verbs in the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s than in the personal narrative tasks, while the English-speaking group performed similarly in both personal narratives and the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 tasks.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Korean individuals with aphasia produced more numbers and a greater variety of verbs than the English individuals with aphasia did.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that Korean speakers with aphasia are less vulnerable to producing verbs than English speakers are, given that Korean is a verb-salient language. In addition, many samples in a wide range of communication situations could be acquired by evaluating different types of spontaneous speech. Personal narratives tasks and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 tasks were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an aphasic individual’s spontaneous languag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produced more utterances, nouns, and verbs in the personal narrative task than the sequential picture description task.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that personal narrative tasks are easier for aphasic individuals than describing a sequential picture. This is because the picture description tasks need more combined cognitive process than personal narrative tasks do. Further research in elicited spontaneous speech across types of aphasia could be useful. 실어증은 뇌손상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언어를 습득한 이후, 언어를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영역과 관련하여 다양한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장애를 말한다. 또한, 다양한 신경학적 손상을 동반하기도 하지만, 치매와 같은 비구어적 인지능력과 관련된 신경학적 손상은 실어증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실어증은 언어적 손상을 나타내지만, 모든 언어에서 같은 특성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실어증 환자의 언어적 양상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자발화 분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발화 분석은 실어증 환자의 다양한 언어적 능력을 반영해주는 좋은 지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및 영어를 사용하는 실어증 환자들의 과제의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언어학적 손상의 특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좌뇌반구 뇌졸중으로 인한 실어증 환자들 중 실어증 유형과 중증도를 고려하여 한국어 사용 실어증 환자 14명과 영어 사용 실어증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대화하기 과제와 연속그림설명하기 과제를 통해 한국어와 영어 간 실어증 환자의 언어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발화 수, 동사의 유형 수, 한 발화 당 명사와 동사의 수, 총 개수와 유형의 동사 대 명사 비율(VNR)에서 한국어 사용 실어증 환자가 영어 사용 실어증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와 비율이 나타났다. 하지만, 영어 사용 실어증 환자가 한국어 사용 실어증 환자에 비해 더 많은 발화를 산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과제에 따라 총 발화 수, 명사의 수와 유형, 동사의 수와 유형, 한 발화 당 동사의 수, 유형에 따른 동사 대 명사 비율(VNR)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수에 따른 동사 대 명사 비율(VNR)도 미미하지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한국어 및 영어 사용 실어증 환자들이 연속그림 설명하기 과제에 비해 대화하기 과제에서 더 많은 발화, 명사, 동사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 발화 당 명사와 동사의 수에서 과제에 따른 그룹 간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발화 당 명사의 수는 한국어 사용 실어증 환자는 대화하기 과제에 비해 연속그림 설명하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영어권 실어증 환자는 반대로 대화하기 과제에서 더 많은 명사의 사용을 보였다. 또한, 한국어 사용 실어증 환자는 연속그림설명하기 과제에서 더 많은 동사의 수를 사용하였으나, 영어 사용 실어증 환자는 대화하기와 연속그림 설명하기 과제에서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화하기’ 와 ‘연속그림설명하기’ 자발화 과제에서 한국어 사용 실어증 환자들이 영어 사용 실어증 환자들에 비해 다양한 동사를 산출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이는 한국어 사용 실어증 환자들이 영어 사용 실어증 환자들에 비해 동사의 표현에 대한 손상이 적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국어는 동사가 문장 구성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언어적 손상이 있는 한국어 사용 환자들은 문장 구성의 핵심요소는 보다 적게 손상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다양한 자발화 과제의 사용이 실어증의 발화특성을 평가하고 중재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이는 대화하기 과제가 실어증 환자의 일상생활을 반영하여 그림설명하기 과제보다 높은 수행력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와도 일치하였다. 후속연구로는 두 언어 간 실어증 환자의 유형별 언어적 특성을 비교해보는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해본다.

      •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비교 분석 및 수업지도안 연구 : 서양음악의 감상영역 중심으로

        이수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음악 교육은 다양한 악곡 및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고, 음악의 기본 능력과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기르며, 풍부한 음악적 정서와 음악을 생활화하는 태도를 가지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음악을 감상하는 능력은 이러한 학교의 음악 교육을 통해서 교과서의 악곡의 내용을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파악하고 가창, 기악, 창작, 이해 영역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발전한다. 본 논문은 음악 감상 교육을 하는데 기초가 되는 고등학교 3종 음악교과서를 2007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근거로 시대사조, 작곡가, 악곡형식을 분석 하고 분석을 토대로 서양음악 감상 교육을 위하여 교과서별로 공통되는 선곡 기준을 명시하여 학생들이 어떠한 교과서로 교육받더라도 균등한 감상교육을 경험하기 위해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 곡을 선정하여 다른 영역과 연계한 음악 감상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음악 감상영역 중 서양 음악사의 감상영역을 분석한 후 효과적인 음악 감상교육을 연구하여 수업지도안을 통해 구체적인 감상 교육을 제시한다. 음악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감상 곡의 종류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어느 교과서를 선택하여 학습 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의 효과적인 음악 감상교육의 질이 달라 질 수 있다. 또한 학교 교육현장의 음악 감상수업에 좋은 자료로 활용되거나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효과적인 음악 감상 교육과 창의적인 학습을 위해서 교과서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수업지도안을 작성할 때 세부적인 교육내용까지도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s to have students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through various tunes and activities, to develop basic abilities of music and ability to express and appreciate, and also to help making rich musical sentiment and music a part of life. The ability to appreciate music develops by apprehending the music in textbooks in terms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music education at school, and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 the realm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omposition, and comprehension.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 of the times, composers, and musical forms on the basis of the curriculum contents of 2007 revised version of three types of music textbooks, which are the basis of high school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tates common selection guideline in all textbooks for Western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so students can experience equal music appreciation course with any textbook, and suggests a teaching plan for music-listening course in connection with other domain by selecting tunes with high demand. It suggests specific music-listening course through the teaching plan by analyzing the Western music-listening course scope, and studying an effective music-listening education. The music used in the music-listening course of different textbooks vary, therefore the quality of effectiveness of music-listening education can be altered. Also, the purpose is to utilize or offer good reference in music-listening course. Specific details in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suggested when specifically preparing a teaching plan, for an effective music-listening education and creative study.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수은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공감능력,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영․유아반(만 2세 ~ 만 5세)을 담당하는 유아교사 300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Enochs와 Riggs(1990)가 개발한 과학 교수효능감 검사도구를 유아교사효능감 검사도구로 수정한 이분려(1998)의 도구를 이배(2018)가 수정․보완한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Davis(1994)의 대인관계 반응지수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공감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이정숙(2003)이 여러 평가척도 파일에서 상호작용 유형의 측정 문항을 추출하여 수정․보완한 교사-유아 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주요 변인이었다. 이는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은 교사와 유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와 유아 간의 질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empathy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relationship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empathy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teachers’ efficacy and empathy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0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the classes of infants and children (2-5 years old)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Jeollanam-do. To measure the teachers’ efficacy, this study used the teacher efficacy scal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ee (2018), which is the instrument in which Lee (1998) modified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Tool developed by Enochs & Riggs (1990) into an Early Childhood Teacher Assessment Tool, and to measure the teachers’ empathy, this study used the empathy scale in which Park (1997) adap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Davis (1994)’s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ponse index. To measu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this study use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scale in which Lee (2003) extrac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types of interaction from several assessment scale fi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Jamovi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empathy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ir efficacy as a whole and all its sub-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heir empathy as a whole and all its sub-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teachers’ efficacy and empathy, the higher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becomes. Second,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the influences of the teachers’ efficacy and empathy on child-teacher interactions, their efficacy and empathy were the major variables explaining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s means that the teachers’ efficacy and empathy have influences on th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To sum up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empath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hich promote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empathy to enhance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