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마케팅 관점에서 본 해외 도시재생 성공사례의 유형화 연구

        이수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our country, many urban problems are occurring due to rapid urbanization. Regional growth and regional vitality are deteriorat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people in large cities are moving to suburbs or outskirts due to a decline of urban center, which shows the need of ‘urban regeneration’. Thu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being actively performed such as the restoration of the Cheonggyecheon, Dongdaemun Design Plaza (DDP), Gwanghwamun Plaza construction project, etc. Examining the urban regeneration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that experienced urban regeneration earlier than our country, it can be found that urban regeneration via urban marketing is the most important success strategy and element. Urban marketing is the means of enhancing city competitiveness making the image of a city a brand, which leads to increase of tourists and improvement of local residents. Therefore, for success urban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urban marketing strategy and execute it systemat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success cases of urban regeneration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England, France, Germany, Japan, etc., categorize the cases by using various factors, and use the results as the baseline data for establishment of urban regeneration policies needed to overcome the decline of cities in our country. This study selected success cases of urban regeneration in foreign countries based on recommendations of experts and literature research. Targeting selected 70 success cases, essential requirements of urban marketing were examin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seven urban regeneration classification factors and three urban regeneration Success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urban regeneration experts. With the three success factors including developers, specialized elements, and complex factors, 70 success cases of urban regeneration were categorized. Developers were divided into a private institution type of development companies and private companies, an active resident participation type of local residents, a public type of governments and cities, and a public-private partnership type of the integration of private and public institutions. Specialized elements were divided into a partial existing use type and a modified existing use type. Complex factors were divided into an Aa+Ab type of the integration of developers and an Am+Bn type of the integration of developers and specialized ele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garding developers, participations of public institutions, private institutions, and local residents as well as public-private partnership turned out to be important success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Besides, for specialized elements, existing urban regeneration cases mostly partially used neglected spaces to regenerate cultural facilities. However, as times changed, existing use was needed no more, so regeneration for a new use came to be required. Thus, in order to prevent a decline of urban center caused by the crater phenomenon at urban center, in most cases governments and development companies carried out regeneration businesses to reproduce commercial facilities. In addition,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England, France, and Germany mostly utilized existing buildings such as art galleries, museums, and concert halls to perform cultural regeneration. On the contrary, Japan promoted urban regeneration as redevelopment business utilizing commercial facilities and complex facilities to prevent the crater phenomenon at urban center. As explained above, although success cases of urban regeneration in foreign countries have various development methods and directions, the common elements are discriminative contents and cultural elements. Therefore, establishing and developing discriminative contents combining cultural elements would be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 for local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when urban regeneration is promoted in our country, it should be needed to include various contents and cultural elements in the urban regeneration plan considering locality, spatiality, and historicity of each region. 우리나라는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많은 도시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중소도시의 경우 지역성장 및 지역활력이 저하되고 있으며, 대도시는 도심이 쇠퇴하면서 인구가 교외나 도시 외곽지대로 빠져나가고 있어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청계천의 복원,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광화문 광장 조성사업 등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보다 일찍이 도시재생을 경험한 선진국들의 도시재생 사례를 보면 도시마케팅을 통한 도시재생이 중요한 성공 전략이자 성공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마케팅은 도시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브랜드화 하여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수단이 되고 있으며, 이는 곧 관광객을 불러들임과 동시에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까지 직결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시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도시마케팅 전략을 세우고 이를 체계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 진행된 도시재생 성공 사례를 선정한 후 성공사례를 다양한 요인을 이용해 보다 체계적으로 유형화하여 그 결과를 향후 국내에서 도시쇠퇴를 극복하기 위한 도시재생의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도시재생 성공사례는 전문가들의 사례 추천 및 기존 연구 사례지를 토대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70개 해외 재생 성공사례를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마케팅 필수 고려사항을 검토하였고, 도시재생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일곱 가지 도시재생 분류 요인과 세 가지 도시재생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세 가지 성공요인인 개발주체, 특화요소, 복합요인을 가지고 70개의 도시재생 성공사례를 유형화하였다. 개발주체로는 개발회사 및 민간회사를 중심으로 한 민간단체 중심형, 지역주민들의 의지로 형성된 적극적 주민 참여형, 정부 및 시가 중심이 되어 추진한 공공중심형, 민간기관과 공공기관의 결합인 민관협력형으로 구분하였다. 특화요소로는 본래의 용도를 부분 활용한 기존용도 부분 활용형과, 기존용도의 용도조정 필요성으로 재생한 기존용도 탈바꿈형이 있다. 복합요인으로는 앞의 여섯가지 요인중 중복되는 요인으로 개발주체의 결합인 Aa+Ab 또는 개발주체와 특화요소의 결합인 Am+Bn이다. 연구 결과, 개발주체와 관련해서는 공공기관과 민간기관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적극적 주민참여나 민관협력을 통한 도시재생이 많은 비중을 차지고 있어, 도시재생의 성공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특화요소의 경우, 종래의 기능용도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는 방치된 기존 공간들을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문화시설로 재생한 사례가 대다수였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기존용도가 더 이상 필요치 않아 새로운 용도로의 재생이 요구되어 재생한 사례들은 도심공동화 현상에 따른 도심부의 쇠퇴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 및 개발회사의 재생 사업에 따라 상업시설로 재생된 사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권 에서는 대체로 밀어붙이기식 개발이 아닌 기존 건물을 활용하여 미술관, 박물관, 음악당 등 문화적 재생을 시도하였다. 반면 일본의 도시재생 사례들은 도시공동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재개발 사업으로 상업시설 및 복합시설을 통한 도시재생을 추진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각 해외 도시재생 성공사례들은 개발방식이나 개발방향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공통적인 요소는 차별적인 컨텐츠와 문화적 요소이다. 따라서 문화적 요소를 가미하여 차별적인 컨텐츠를 구축하여 발전시키는 것은 해당 지역 도시재생에서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판단된다. 향후 우리나라 도시재생 추진 시 해당 지역의 지역성, 장소성, 역사성 수요 등에 적합한 다양한 컨텐츠와 함께 문화적 요소를 적절히 그 시점에 맞게 도시재생계획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성찰 역량, 전문직 자부심, 인간중심간호 수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수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escriptive surve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professional pride, and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participants were 183 clinical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Clinical nurses'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was measured using an instrument developed by Shin et al. (2022) and professional pride was measured using an instrument developed by Jeon et al. (2020),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was measured using an instrument developed by Lee (2018)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an instrument developed by Chun and Kim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Tukey HSD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9.0. 1.The participants’ average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score was 4.02±0.40 (out of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according to age (F=3.39, p=.019), education level (t=-3.51, p=.001), total work experience (F=3.29, p=.022), number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experiences (F=3.29, p=.040), critical reflection training (t=2.86, p=.005), and critical reflection activities (t=2.12, p=.035). Specifically, participants aged 36 years or older were more likely to be critical reflectors than those aged 26–30 years; those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were more likely to be critical reflectors than those with a four-year bachelor's degree; those with more than 15 years of total work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be critical reflectors than those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total work experience; and those with more than 8 hours of training experience or less than 1 year of experience in critical reflection activities were more likely to be critical reflectors. 2.Professional pride averaged 3.62±0.44 (out of 5), with the following subscales: problem-solver, willingness to stay, self-achievement, feeling of vocation, and role satisfaction. Professional pride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t=-2.77, p=.006), total work experience (F=4.82, p=.003), and number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experiences (F=3.19, p=.043). Specifically, female participants exhibited higher professional pride than their male participants, those with more than 15 years of total work experience had higher professional pride than those with 6–10 years, and those with one instance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experience reported higher professional pride than those with only two instances. 3.The level of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of participants was 3.94±0.41 (out of 5), as measured by the subdomains of respect, relationship, individualization, empowerment, and holis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by gender (t=-2.75, p=.006),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 (F=4.66, p=.011), and number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experiences (F=5.97, p=.003). Specifically, females were more likely to perform person-centered care than males, those with less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in their current departments were more likely to perform person-centered care than those with more than four years of experience, and those with one or more than three instance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perform person-centered care than those with two experiences. 4.The mean scor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4.65±0.34 (out of 5), and the subcategories were blood transfusion, medication, fall prevention, operation/procedure prior patient safety, bed sore prevention, patient identification, infection, incidence report system, restraint use, accuracy communication, and firefighting. The total score for perform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232.64±17.07 out of 25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age (F=3.90, p=.010), education level (t=-2.56, p=.013), total work experience (F=3.87, p=.010), and number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experiences (F=5.22, p=.006). Specifically, the age of participants was higher for those aged 36 and older than for those aged 26–30, education level was higher for those with a master's degree than for those with a four-year bachelor's degree; total work experience was higher for those with 10–15 years than for those with less than five years; and the number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experiences was higher for those with three experiences than for those with two experiences. 5.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r=.337, p<.001), professional pride (r=.271, p<.001), and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r=.399, p<.001).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and professional pride (r=.454, p<.001), between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and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r=.652, p<.001), and between professional pride and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r=.578, p<.001). 6.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ge, education level, number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experiences,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professional pride, and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affecte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β=.358,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22.5%.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o increase clinical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methods must be found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person-centered care in clinical practic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articipatory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ntegrate skills and attitudes based on conceptual knowledge of person-centered care. Additionally, intervention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 of person-centered care on patient safety when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Finally,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values person-centered care and a medical environment with sufficient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support for person-centered care should be established.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성찰 역량, 전문직 자부심, 인간중심간호 수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83명을 편의 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성찰 역량은 Shin 등(2022)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전문직 자부심은 전재희 등(2020)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인간중심간호 수행은 이진주(2018)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천고운과 김지영(2018)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Tukey HSD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대상자의 비판적 성찰 역량은 평균 4.02±0.40점(5점 만점)이었다. 비판적 성찰 역량은 연령(F=3.39, p=.019), 최종학력(t=-3.51, p=.001), 총 근무경력(F=3.29, p=.022), 의료기관 인증평가 경험 횟수(F=3.29, p=.040), 비판적 성찰 교육 이수 경험(t=2.86, p=.005), 비판적 성찰 활동 경험(t=2.12, p=.03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대상자의 연령은 36세 이상이 26세 이상 30세 미만보다, 최종학력은 석사 과정 이상이 4년제 학사 졸업보다, 총 근무경력은 15년 이상이 5년 미만보다 비판적 성찰 역량이 높았으며, 비판적 성찰 관련 1회 8시간 이상의 교육 경험이나 1년 이내 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 비판적 성찰 역량이 높았다. 2.전문직 자부심은 평균 3.62±0.44점(5점 만점)이었고 하위 영역으로 문제해결자, 지속근무 의지, 자아성취, 소명의식, 역할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부심은 성별(t=-2.77, p=.006), 총 근무경력(F=4.82, p=.003), 의료기관인증 평가 경험 횟수(F=3.19, p=.04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남성 보다, 총 근무경력은 15년 이상이 6년 이상 10년 미만보다 전문직 자부심이 높았으며, 의료기관인증 평가 경험은 1회인 대상자가 2회인 대상자보다 전문직 자부심이 높았다. 3.인간중심간호 수행 정도는 3.94±0.41점(5점 만점)이었고 하위 영역으로 존중, 관계성, 개별화, 임파워먼트, 총체성 순이었다. 인간중심간호 수행은 성별(t=-2.75, p=.006), 현 부서경력(F=4.66, p=.011), 의료기관인증 평가 경험횟수(F=5.97, p=.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현 부서경력은 2년 미만이 4년 이상보다, 의료기관인증 평가 경험횟수는 1회와 3회 이상이 2회보다 인간중심간호 수행 정도가 높았다. 4.환자안전간호활동의 수행 정도는 평균 4.65±0.34점(5점 만점)이었고 하위 영역으로 수혈, 투약, 낙상, 수술/시술, 욕창, 환자확인, 감염, 환자안전 보고체계, 신체보호대, 정확한 의사소통, 화재 순이었다. 환자안전 간호활동 수행의 총 점수는 250점 만점에 평균 232.64±17.07점이었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연령(F=3.90, p=.010), 최종학력(t=-2.56, p=.013), 총 근무경력(F=3.87, p=.010), 의료기관 인증평가 경험 횟수(F=5.22, p=.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대상자의 연령은 36세 이상이 26세 이상 30세 미만보다, 최종학력은 석사 과정 이상이 4년제 학사보다, 총 근무경력은 10년 이상 15년 미만이 5년 미만보다, 의료기관인증 평가 경험 횟수는 3회 이상이 2회보다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가 높았다. 5.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비판적 성찰 역량(r=.337, p<.001), 전문직 자부심(r=.271, p<.001), 인간중심간호 수행(r=.39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비판적 성찰 역량과 전문직 자부심 간에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454, p<.001), 비판적 성찰 역량과 인간중심간호 수행(r=.652, p<.001), 전문직 자부심과 인간중심간호 수행(r=.578, p<.001)간에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연령, 최종 학력, 의료기관인증 평가 경험 횟수와 비판적 성찰 역량, 전문직 자부심, 인간중심간호 수행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간중심간호 수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358,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2.5% 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에서 인간중심간호의 수행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이를 위해 인간중심간호의 개념적 지식을 기반으로 기술과 태도를 융합할 수 있는 참여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인간중심간호 수행을 임상에 적용 시 환자안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중재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인간중심간호를 중요시하는 조직 문화와 인간중심간호가 수행될 수 있는 충분한 인력과 물리적 지원이 갖추어진 의료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특성과 스포츠 참여동기 수용태도의 관계

        이수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제공자와의 유사성, 신뢰도와 스포츠 참여동기의 관계 에서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인스타그램에서 가장 활발하고 사용률이 높은 20~30대로 선 정 하였으며, 인스타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구글 플랫폼 설문 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방법은 설문지 응답 자료를 회수한 후 응답 내용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34부를 제외한 199부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분석은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 SSP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 인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3단 회귀분석 매개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스타그램 정보제공자의 유사성과 스포츠 참여동기 관계에서 수용태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인스타그램 정보제공자의 신뢰도와 스포츠 참여동기 관계에서 수용태도의 매개과가 나타났다. 셋째, 수용태도는 스포츠 참여동기에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결과적으로 인스타그램을 통해 운동 게시물을 올리는 정보제공자에 대해 사람들은 수용하는 수용태도에 따른 확실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정보제공자의 유사성, 신뢰도에 있어 이용자들은 정보제공자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어야 수용태도에 있어서도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고 스포츠 참여동기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수용태도는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게 된다. 정보제공자의 유사성, 신뢰도가 스포츠 참여동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수용태도라는 매개를 통했을 때 보다 큰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이 많은 스포츠 참여동기를 가지고, 스포츠 수행과 발전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imilarity with information provider, reliability, interest in sports,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For this stud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most active and use Instagram were selected, and a Google platform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those who use Instagram.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is study,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 response data, 19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except for 34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SPS 26.0, a computer statistics program.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of acceptan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milarity of information providers on Instagram and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ttitude of acceptan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provider on Instagram and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Third, attitude of acceptance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cceptance attitude people accepted for in formation providers who posted exercise posts through Instagram. In terms of the similarity and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provider, users should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formation provide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attitude and even affect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In this process, acceptance attitud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t could be seen that the similarity and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provider directly affected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but had a greater effect when mediated through the attitude of acceptance. This study found that Instagram users have a lot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and can perform and develop sports We want to provide you wit h meaningful data.

      • 20대 남녀의 헤어미용 관리유형과 자아존중감의 연관성

        이수빈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개인의 개성이 강조되고 미적 기준이 빠르게 새로워지고 있다. 아름다워지려는 것은 시대를 막론하고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이며 그 중 헤어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개성과 매력 표현의 가장 중요하고 강력한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헤어미용 관리유형별 요인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헤어미용 관리를 이용하는 전국의 20대 남녀들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익명성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에 남성 158명, 여성 162명을 조사하여 총 320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독립성 검정을 수행했으며 SPSS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자아존중감은 성별에 따른 정도의 차이는 없으나 세부 항목 중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는 남성보다 여성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20대 남녀의 헤어미용 관리유형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남성의 경우 ‘커트+펌’, ‘커트+펌+염색’, ‘커트’, ‘커트+염색’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수준 5%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커트+염색’, ‘커트+펌+염색’, ‘커트+펌’, ‘커트’ 순서로 높게 나타나 ‘커트’만 했을 때보다 ‘커트+펌’, ‘커트+염색’, ‘커트+펌+염색’을 했을 때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다. 결론: 20대 남녀가 헤어미용 관리를 받는 과정에서 헤어미용 관리유형별로 자아존중감의 정도가 달랐다. 따라서 헤어미용 관리유형은 자아존중감과 관련이 있었다. 20대 남녀의 자아존중감 정도 관리를 위해서 헤어미용 관리를 유형별로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20대 남녀, 헤어미용 관리유형, 자아존중감

      • 청년의 실업상태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 이원적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수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Lazarus와 Folkman의 스트레스-대처 모델을 바탕으로 청년의 실업 상태가 문제음주 행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업과 문제음주 사이의 관계를 이원적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청년기는 생애주기상 직업을 갖고 소속감이라는 발달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데 이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긴장과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자 스트레스 대처방법으로 음주를 하기 쉽다. 청년기의 문제음주는 그 수준이 낮게 나타날지라도 이후 생애 전반에 걸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조기개입과 예방이 중요하다. 스트레스-대처 모델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외부 환경의 요구와 개인의 자원 간 조합으로 인지적 과정이 중심이 되기에 스트레스의 지각과 해석에서의 개인차가 중시된다. 즉, 동일한 실업 상태이더라도 개인에 따라 이를 스트레스로 평가하는 데에는 개인차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해 개인마다 다르게 가지고 있는 원인적 선행변인에 따라 인지적 평가가 달라지고 이에 따른 대처방식 역시 다르게 행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원인적 선행변인에 따른 인지적 평가를 담당하는 것이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이다. 이에 따라 이원적 자아존중감에 따라 스트레스원(stressor)인 실업 상태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달라지고 문제음주라는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의 수준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렇게 스트레스와 대처 사이의 매개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스트레스의 영향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할 수 있기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실업 상태가 문제음주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년의 실업 상태는 이원적 자아존중감(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즉, 실업 상태 청년의 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이 취업 상태 청년의 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보다 낮은가(높은가)? 셋째, 청년의 실업 상태는 이원적 자아존중감(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문제음주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청년패널(YP 2007) 13차 자료(2019년)를 활용하였다. 주요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를 제외한 25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 2,68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결혼상태, 종교, 주관적 건강상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실업 여부(독립변수)가 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매개변수)을 매개로 문제음주 행위 수준(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은 Baron & Kenny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3단계 매개효과 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Sobel-test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실업 상태는 문제음주 행위 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실업 상태인 청년이 취업 상태인 청년보다 문제음주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대처 모델에 따라 실업 상태가 청년들에게 긴장을 유발하고 스트레스로 작동하여 문제음주 수준을 높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실업이 긍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실업이 개인에게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증가라는 심리적 어려움을 초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실업과 문제음주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으나,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실업과 문제음주 사이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즉, 실업자인 청년이 취업 청년보다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고 이렇게 높아진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문제음주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test 결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스트레스-대처 모델을 기반으로 실업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영향을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Lazarus & Folkman(1984)이 주장한 원인적 선행변인에 따른 인지적 평가의 중요성이 검증된 것으로, 특히 자아존중감의 하위유형에 따라 대처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업으로 인한 결과 중 문제음주에 초점을 두어 이원적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을 자세히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개인에게 있어 직업이란 소득원을 넘어 자아개념 및 정체성과 같은 심리 내적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논의와 연결된다. 특히, 문제음주와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증가라는 구체적인 실업의 부정적인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실업으로 인한 소득 상실 등 경제적 어려움의 담론에서 나아가 실업 상태 청년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관한 개입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셋째, 이원적 자아존중감 가설을 수용하여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행해 한국의 청년들에게도 자아존중감의 이원적 구조가 적절하게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청년패널(YP 2007) 13차 자료(2019)는 서울을 포함한 7개 광역시, 제주도를 포함한 9개 도에서 표본을 추출한 전국 대표성을 지닌 패널 자료로, 본 연구는 표본의 대표성과 외적 타당도를 비교적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청년의 문제음주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고, 청년의 문제음주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실업 상태를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문제음주에 대해 실업 청년을 중심으로 초점화된 개입과 고용센터와의 연계 등이 필요하다. 둘째, 문제음주의 개입에 있어서 부정적 자아존중감 완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밝혔다. 이는 알코올 중독자를 위한 비약물치료 중 하나인 심리·사회적 중재와 관련지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업 상태 청년의 심리·정서적 위기상태에 개입하는 상담 및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고용노동부의 지역별 고용센터와 몇몇 지방정부에서 실업 상태 청년들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사업과 상담이 존재하지만, 서비스 수혜의 양과 질에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력과 자원을 보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unemployment among young adults affects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behavior based on Lazarus & Folkman’s stress-coping model and to identify whether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problem drinking. The youth strive to have jobs and to achieve the developmental task of belonging in their life cycles, which can cause stress. They are prone to drink alcohol as a way of dealing with stress to reduce the tension and negative emotions. An ear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problem drinking in youth are important because even if the level is low, it can affect rest of their lives. According to the stress-coping model, stress depends on cognitive process which is a combin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needs and individual resources. Thu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stressful environment are important. In other words, even if individuals are equally unemployed, one can find it stressful while others do not. This is because cognitive appraisals vary depending on the causative antecedents that individuals have for stress and the coping behaviors that are also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Here, the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are in charge of cognitive appraisals according to causative antecedents. Therefore, this study predicted that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could change the cognitive appraisals of stressor, an unemployment, and thus change the level of emotional-focused coping behavior, a problem drinking. Identifying such mediators between stress and coping is important because it can provide alternatives to protect individuals from the impacts of stress.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youth unemployment affect problem drinking levels? Second, does the unemployment affect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That is, is positive(negative) self-esteem of unemployed youth lower(higher) than that of the employed youth? Third, does the unemployment of youth affect problem drinking levels through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13th data (2019) of the Youth Panel (YP 2007) was exploited and 2,682 young people aged 25 to 39 were analyzed who responded to all of questions regarding major variables, except for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The main variables were unemployment as independent variable,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as mediators, problem drinking levels as dependent variable, gender, age, education levels, household income, marriage status, relig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 control variables. Baron & Kenny’s three-stage mediation effect analysis through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and Sobel-test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youth unempl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behavior. In other words, unemployed young adults showed a higher level of problem drinking than those employed.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stress-coping model that unemployment causes tension and acts as stress in young people, raising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Second, unemployment was not associated with a positive self-esteem, bu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egative self-esteem. This indicates that unemployment causes psychological difficulties which are increased the negative self-esteem for individuals. Third, positive self-esteem did not medi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problem drinking, but negative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problem drinking. In other words, unemployed young people have higher negative self-esteem than those employed, and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increases through this increased negative self-esteem. Sobel-test results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reveals the impact of unemployment on problem drinking based on the stress-coping model, and demonstrates that negative self-esteem mediates the impact.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importance of cognitive evaluation according to causal prior variables claimed by Lazarus & Folkman (1984) has been verified, especially with the subtype of self-esteem.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focused on problem drinking among the results of unemployment and examined the relevance of the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This is linked to the discussion that for individuals, jobs mean beyond sources of income and also affect psychological internal structures such as self-concept and identity. In particular, by examining increased problem drinking and negative self-esteem, the specific negative effects of unemployment, the study contributed to the need for intervention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unemployed young people, moving from the existing discourse of economic difficulties such as loss of income due to unemployment. Third, by accepting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hypothe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self-esteem into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confirming that the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were properly applied to young Koreans. Fourth, the 13th data (2019) of the Youth Panel (YP 2007) used in this study are national representative panel data sampled from seven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and nine provinces including Jeju Island. Therefore, this study relatively secured the representation and external validity of the samples. This study also provides both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intervene youth in problem drinking and confirm that unemployment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the interven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unemployed young adults’ problem drinking and link them with employment centers. Second, in an intervention for problem drinking, efforts to relieve negative self-esteem are required. This can be related to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one of the non-drug treatments for alcoholics.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counselings and programs to intervene i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risis of unemployed young people. Currently, there are consultations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jects for unemployed young people in the Regional Job Center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some local governments. But, there is a gap in the amount and quality of service benefits. Efforts to replenish manpower and resources are requested to solve this problem.

      • 호텔 정보시스템 품질에 의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수빈 경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컴퓨터 및 정보기술(IT)의 발달로 기업에서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성과 수익성을 향상으로 호텔들도 경영에 필요한 호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호텔에서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은 각 부서, 시스템 그리고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의 품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품질은 각 부서들 간에서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고객 서비스를 위한 정보의 생성과 흐름, 그리고 각 부서간 이루어지는 정보의 공유 관계 및 각 부서별로 고객 서비스를 위하여 활용하는 정보의 유형과 품질 등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과 고객 만족을 위한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 관리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 호텔 정보시스템 품질에 의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국내 4성, 5성호텔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20년 4월 1일부터 4월 21일 3주간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2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 21부를 제외하였으며 4성 호텔 172부, 5성 호텔 31부가 회수되어 총 203부의 설문지를 분석해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에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설 1은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요인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호텔 정보시스템 품질의 하위 요인 중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비스품질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그리고 시스템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품질은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가설 2는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요인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의 하위 요인인 시스템품질과 서비스품질은 직무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품질은 직무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 되었다. 그리고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스템 품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 되었다.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 되었다. 가설 3은 ‘자기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 이다’이며 자기조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 되었다. 가설 4는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어,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5는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며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어,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에서 세 가지의 요인으로 추출된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은 자기효능감의 두 가지 요인인 ‘자신감’과 ‘자기조절’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서비스 품질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호텔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정보품질은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제 해결을 위해 종사원 스스로 극복해나가는 자신의 모습을 통하여 자기 효능감이 높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호텔 종사원들의 직접적인 정보공유와 업무지식은 팀원 사이에서 원활하고 긍정적인 지식공유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분위기가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호텔 종사원 동료간에 지식공유를위해서 경영성과에 대한 실무적인 방안으로는 호텔 내 실무공동체 팀을 형성하셔 발전을 지원하는 것이 있다. 둘째,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에서 세 가지의 요인으로 추출된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은 직무스트레스의 두 가지 요인인 ‘직무요구’과 ‘직무자율성결여’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정보 품질은 직무요구에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호텔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서비스품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호텔종사원은 인적서비스의 비중이 높은 관계로 다양한 고객을 접함으로써 직원의 과다 업무 스트레스가 높아 질 경우 적절한 휴식을 취해서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시킬 필요성이 있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두가지의 요인으로 추출된 ‘자신감’과 ‘자기조절’은 자기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의 두 가지 요인인 ‘직무요구’과 ‘직무자율성결여’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가운데 자기조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업무가 종사자가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스킬이 높으면 업무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져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가 높아 질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종사원의 직무수행이 자기효능감 통해서 기대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데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나는 선행연구의 중요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사원들이 자기 업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정을 해 주어야 한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우선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개발, 개별 상담 등을 통하여 종사원에게 무리한 부담과 긴장감의 조성은 지양하고, 그들의 열의와 의욕을 가지고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여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성과가 높아짐으로써 경영의 효율성 및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실증하였다. 이상과 같이 호텔정보시스템 품질에 의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호텔기업은 호텔정보시스템 품질 향상과 더불어 호텔종사원들의 자신이 맡은 임무를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서 호텔종사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파악해서 직무성과에 맞는 방법을 찾아서 종사원들에게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domestic hotels have also developed hotel information systems necessary for management and used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ement 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by using information systems in companies.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customers in hotels is the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departments, systems and members. Service quality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 generation and flow of information for customer service that is organically formed between departments, and the sharing relationship of information between departments and the type and quality of information used for customer service by department. Since the quality control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for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self-efficacy by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an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performance" on hotel employee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 star and 5 star hotel workers.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or 3 weeks from April 1, 2020 to April 21, 2020, and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llect 224 questionnaires. Among the retrieved questionnaires, 21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172 four-star hotels and 31 five-star hotels were retrieved and 20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used.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analyze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an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relation to research hypotheses proposed by the current study.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hotel information system quality,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fidence. However, the hypothesis that service quality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fidence was rejected. And while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egulation, the hypothesis that information quality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egulation wa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will affect self-efficacy was partially adopted. Second,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hotel information syste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requirements, and the hypothesis that information quality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requirements was rejected. In addition, the assumption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ask self-sufficiency wa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will affect job stress has been partially adopted. Third, the hypothesis that self-regulation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elf-sufficiency wa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self-efficacy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was partially adopted. Fourth, the hypothesis that self-efficacy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has been adopted, indicating that self-efficacy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Fifth, the hypothesis that job stres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has been adopted, indicating that job stres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Followings are meaningful suggestions or solutio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First, The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extracted from the quality of the hotel's information system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 two factors of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among the quality of the hotel's information system, service qua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onfidence. And among the quality of hotel information system, the quality of informa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egulat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self-efficacy can be enhanced through the self-assessment of the employees themselves to solve the problem. In other words, direct information sharing and work knowledge of hotel employees can be seen as an important task to promote smooth and positive knowledge-sharing activities among team members. To share knowledge among hotel employees, practical measure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clude forming a working community team in the hotel to support development. Second, The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extracted from the quality of the hotel's information system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 two factors of job stress, 'work demand' and 'work self-compensation', while the quality of the hotel's information syste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requirements. And among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the service qua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lf-sufficiency of the job. As hotel employees have a high proportion of human services, it is necessary to take proper rest and relieve their job stress if the employee's excessive work stress increases by contacting various customers. Third,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xtracted as two factors of self-efficacy, showed that self-efficacy had different influences on the two factors of job stress, "work demand" and "work self-regulation," and among self-efficacy, self-regul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elf-regulation. If a job has high knowledge and skills, expectations for the job will increase and job stress will increase through self-efficacy. Therefore, it would be a good way to reduce job stress if the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job could properly control expectations through self-efficacy. Fourth, an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self-efficacy affects job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prior research, which shows that it is possible through self-efficacy in order to influence job performance, was discovered. Therefore, the atmosphere should be adjusted so that employees can actively do their jobs. Fifth, an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job stress affects job performance. Therefore, in order to prioritize the management of job stress for hotel employees, we will avoid creating excessive burden and tension for employees through program development and individual counseling, and will help them perform their duties with enthusiasm and motivation.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creased job perform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As abov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lf-efficacy an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performance by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the hotel company hop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and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hotel workers can be more active in their duties, so that hotel workers can find out what they want to do, find ways to suit their job performance, and present directions to employees.

      • 조직원의 이미지 관리행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수빈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자기이미지는 중요한 사회적 소통수단으로 초연결과 초지능을 특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파급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이미지 및 외적이미지 관리행동과 그에 대한 심리적 기대효과가 직장 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사원주주회사인 Y사의 전문경영인의 내러티브 탐구와 조직구성원 206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조직 구성원의 이미지 관리행동과 이미지 관리행동 후 심리적 기대효과, 그리고 조직성과에 대한 분석을 위해 t-test과 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Correlation analysis와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내적 이미지 관리행동에서는 20대 조직 구성원이 의식지향 행동이, 과장인 조직 구성원이 예절지향과 수용지향 행동이 각각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직급이 과장인 조직 구성원이 내적 이미지 관리 행동이 높았다(p<.05). 또한 외적이미지 관리행동에서는 영업직인 조직 구성원이 도구지향과 대인지향 행동이 각각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영업직인 조직 구성원이 외적 이미지 관리행동도 높았다(p<.01). 영업직인 조직 구성원이 이미지관리 후 자신감과 긴장해소가 각각 높았으며 이미지 관리행동 후 심리적 기대효과도 높았다(p<.05). 또한 최종학력이 높고 남성 조직 구성원과 직급이 과장인 조직 구성원이 조직성과가 높았다(p<.05). 한편 내적이미지 관리행동 및 외적이미지 관리행동이 높을수록 조직성과도 높았으며(p<.001), 이미지 관리행동 후 심리적 기대효과가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았으나(p<.001), 이미지 관리행동 중 내적이미지 관리행동이(p<.001)이 외적 이미지 관리행동(p<.01)보다 조직성과에는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미지 관리행동 후 심리적 효과 중 자신감이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았다(p<.01). 또한, 연구 퍼즐 해석의 결과, 전문경영인들은 이미지 관리 행동에서 외적 이미지보다 내적 이미지 관리 행동에 더 비중을 두었고, 이미지 관리 행동을 통하여 자기효능감이 상승하였으며, 이에 이미지 관리행동 후에 얻게 되는 심리적 기대효과 또한 높아져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조직 구성원들과 전문경영인들의 이미지 관리 행동에 대한 사고는 상호 간 일맥상통하여, 조직 구성원들은 내적 이미지 행동을 높게 추구하고 이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상승이 곧 조직성과로 이어진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속 자기이미지 관리행동이 조직성과를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임을 확인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조직의 구성원들에게는 자기이미지 관리행동의 지침이 되며, 조직 관리 차원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조직성과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 self-image that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oneself is a major means of social communication and could wield the largest ripple influenc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haracterized by hyperconnectivity and superintellig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individual people's internal and external image management behaviors and of their psychological expectancy effects for the behavior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ir workplace.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chief executive officers of a company that was an employee stock owned company was carried out,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06 organizational memb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5.0 for Windows.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analyze the imag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office workers, their psychological expectancy effects after the image management behaviors and their organizational performanc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implemented, and the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As a result, in terms of internal image management behaviors, the company employees who were in their 20s showed lots of consciousness-oriented behaviors, and etiquette-oriented and reception-oriented behaviors were dominant in the office workers who were section chiefs. Overall, the office workers whose positions were section chiefs showed a lot of internal image management behaviors (p<.05). Concerning external image management behaviors, instrument-oriented and person-oriented behaviors were widespread in the company employees who had a sales job. Overall, the office workers who had a sales job showed lots of external image management behaviors (p<.01). The office workers who had a sales job had more confidence and became less tense after their image management, and these people's psychological expectancy effects were higher after the image management behaviors (p<.05).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ompany employees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were male and whose positions were section chiefs were higher (p<.05). On the other h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ecame higher when there were more internal image management behaviors and external image management behaviors (p<.001), and that became higher when psychological expectancy effects were larger after the image management behaviors (p<.001). But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under the greater influence of the internal image management behaviors (p<.001) than the external ones (p<.01), and that became higher when confidence was stronger among psychological effects after the image management behaviors (p<.01). Besides, when the puzzle of the study was interpreted, it's ascertained that the CEOs placed more importance on internal image management behaviors than external ones in terms of image management behaviors, that their self-efficacy became better through the image management behaviors, and that psychological expectancy effects which were obtained after the image management behaviors became higher and thereby impacted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us, the thinking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on image management behaviors had something in common with that of the CEOs, an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ompany employees sought after internal image behaviors a lot, and that higher self-efficacy which resulted from it led to bett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self-image management behaviors in an organization are verified as an integral factor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organizational members with guidelines on self-image management behaviors at a personal level, and to offer research data for the management in term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 안료의 번짐 효과를 이용한 도자 장식 연구

        이수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번짐은 밀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기체나 액체 속으로 퍼져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번짐은 규칙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어떠한 물질이 다른 물질과 혼합 되어가면서 그 범위를 확장시킨다. 일반적으로 번짐은 자연 현상에의 물을 통해 표현되었으며, 이를 도자 장식의 표현에 응용해 보았다. 본 연구는 회화와 도자에서 동일하게 발생하는 번짐 현상을 통해 도자 접시에 다루어 연구하고자 하였다. 접시라는 평면적 형태에 흘러내리기, 뿌리기, 겹치기 등의 기법으로 장식하여 도자영역의 회화적인 표현을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자연현상에서 나타난 번짐을 살펴보았으며, 예술에서의 번짐은 동·서양회화에서 나타난 번짐을 구분지어 분석하였다. 또한 공예에서의 번짐은 도자공예, 섬유공예, 유리공예 통하여 번짐에 대한 기법과 작품 사례를 살펴보았다.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품제작에서는 번짐 효과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대상으로서 기물의 형태를 접시로 한정하였다. 또한 번짐의 농담을 극대화 시켜 표현하기 위해 고화도의 Cobalt안료와 Black안료를 선정하였다. 혼합된 용액 안료와 미디엄특성을 파악하여 실험하였고 드로핑(Dripping)기법을 이용하여 번짐 효과를 도자 기물에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과정에서 얻어낸 오일의 특성을 이용하여 회화적 번짐 효과를 도자 접시에 응용하여 표현 할 수 있었다. 기물의 담겨진 물에 안료와 혼합된 오일을 떨어뜨렸을 때 나타나는 유동성 및 변형성과 번짐의 다양한 현상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벌 기물상의 혼합액이 흡수를 통해 흡착하여 번짐의 농담과 깊이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바탕으로 연구 방향 설정에 있어 다양한 번짐의 형태변화와 색상변화를 모색하고 발전시키며 확장된 도자의 회화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blurring effect refers to a phenomenon of spreading in gas or liquid from a higher position to a lower position, which is more dense. This kind of blurring does not appear regularly and it extends the range while mixing one substance with another substance. In general, the blurring effect was expressed through the natural phenomenon of water, I saw it in the representation of applied ceramic dec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covered ceramic plates through the study of blurring that occurs equally in painting and ceramics. The goal was to show pictorialization through the effects of flowing, sprinkling, overlapping, etc. on the plate, which has a flat form. From a theoretical standpoint, the blurring effect that occurs as a natural phenomenon was examined and the distinction created by the blurring effect that appears in Eastern-style paintings was analyzed as an art form. In addition, in the craft of blurring, instances of art and techniques about blurring in glass craft, textiles, and ceramics were examined. The work produc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art piece as an object for expressing a blurring effect was restricted to objects in the form of a plate. Also, solid pigments of cobalt and black were selected in order to maximize the expression of the light and shade of the blurring. The blurring effect in the ceramic object was expressed by using a dripping technique and an experiment was done to determine the oil properties and the mixed solution of the pigments.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oil obtained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the pictorial blurring effect can be expressed by applying it on the ceramic plate. We can see the wide range of phenomena such as spreading, deformation, and fluidity that show up when the mixed oil and water in the pigment from the object drop. Furthermore, the depth and the light and shade of the blurring was effectively expressed by adhesion through the absorption of the object's rough mixture blend.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is a set direction for research that seeks a variation in color and a modification of various blurring effects and this enables, as well as develops the pictorial representation of extended ceramics.

      • 젠더 감수성 제고를 위한 국어교육 방안 연구: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을 중심으로

        이수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젠더 감수성 제고를 목표로, 고전 소설 <이생규장전>을 본 제재로 삼아 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젠더 감수성(gender sensibility)’은 다양한 정체성의 개인이 사회에서 어우러져 존중과 협력의 가치를 실천하며 살아가기 위해서 꼭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는 젠더 교육이 아직 실천의 차원에서 활성화되지 않았지만, 청소년 또한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젠더 감수성을 함양해 나가야만 한다. 공교육에서는 청소년에게 젠더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기회를 부여해야만 하며 본 연구는 이러한 목표 의식 아래 국어과에서의 젠더 교육을 설계하게 되었다. 학교 현장에서 젠더 관련 교육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교육과정의 교과 및 학습 내용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의 ‘고전 읽기’ 교과에서 본 교육 방안을 적용하도록 권장한다. 다양한 고전 작품 가운데 <이생규장전>은 문학 교과에서 이미 본 제재로 빈번히 활용되고 있다. 학습자에게 친숙한 문학 작품으로서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점, 젠더 역할 규범의 수행 관점에서 현행 교육 내용을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근거로 교수·학습 대상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본격적인 설계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의 젠더 역할 규범의 수행 차원에서 <이생규장전>을 새롭게 비평하였다. 현행 <이생규장전> 교수·학습 내용과 비평 결과를 비교하여 새로운 교수·학습안이 개선해야 할 문제점을 찾았다. 여러 문제점 가운데 작중 인물을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에 편중되어 있지만 인물에 대한 비평이 굉장히 제한적으로 다루어지며, ‘젠더 정상성’을 전제로 한 왜곡된 해석의 틀에 맞추어 교육이 이루어진다는 점이 가장 문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이생규장전>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포용적 학습자’로서 젠더 감수성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젠더 교육 방안은 고전 작품을 매개로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학습자가 고전 작품을 넘어 현실 세계의 젠더 문제를 인식하고 능동적으로 가치관과 견해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이생규장전> 텍스트를 젠더 역할 규범과 캐릭터의 관계를 중심으로 새롭게 읽어낼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이생규장전> 교육 연구가 주목하지 않았던 젠더 감수성의 제고, 이분법적 젠더 구도 및 젠더 정상성의 해체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