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자 사상을 통한 초등사회과 인구교육의 근대적 사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이솔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자 사상을 통해 초등사회과 인구교육에 내재한 근대적 사고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개선 방향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인구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 속에서 인구는 증가 또는 감소해야 하는 경제적 변수로 인식되어왔다. 이러한 경제적 시각은 인구 조절을 통한 생산성의 안정화를 지향하며, 자본주의와 산업혁명이 등장한 근대를 배경으로 형성되었다. 이원론·계몽주의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근대적 사고는 눈부신 경제 발전에 일조하였지만, 그와 동시에 물신주의와 같은 문제점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에 인구교육 속 근대적 사고를 성찰하기 위한 렌즈로 노자 사상을 도입하였다. 인간의 욕망과 편견을 비판적으로 간주하고 상대성과 관계성을 주목한 노자 사상은 동양적 관점에서 서구의 근대적 사고에 알맞은 개선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노자 사상의 내용은 관계적 세계관을 함의하는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와 유무상생(有無相生), 자율적 세계관을 함의하는 무위자연(無爲自然)과 소국과민(小國寡民)을 중심으로 개괄하여 분석하였다. 노자 사상을 바탕으로 초등사회과 인구교육의 근대적 사고를 성찰한 내용은 네 가지이다. 첫째, 출산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이다. 저출산, 인구감소의 심각성이 부각됨에 따라, 출산의 가치가 암묵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인구교육의 궁극적 목표이자 문제 해결의 본질이 출산 장려가 되어선 안 될 것이다. 둘째, 내용 요소 간 대립적인 구조이다. 인구교육 내용은 공존보다 대비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어린이-노인 간 대조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세대 간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셋째, 외재적 목적에 의한 지식 전달식 학습이다. 위로부터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지식은 인구에 대한 교사·국가·공동체의 이념을 담거나, 학생을 선별된 지식의 수동체로 전락시킬 위험성을 내포한다. 넷째, 전체적 관점 속의 소외된 개인이다.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인구 관련 그래프는 인간의 양적 측면을 강조한다. 숫자로 이루어진 수학적 통계 아래 개인의 다양한 삶, 인간의 질적 측면이 간과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성찰 결과에 기반하여 모색한 초등사회과 인구교육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적 측면에서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시각 지평을 확대해야 한다. 문제 해결의 돌파구가 출산 장려로 한정되지 않도록 인간 삶의 전반을 다루는 균형적 서술,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태도적 측면에서 포용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출산과 비출산·어린이와 노인 등의 대립구조는 혐오와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포용 교육과의 접목을 통해 상호존중과 공존의 가치를 이해하여야 한다. 셋째, 방법적 측면에서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주체적·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 필요하다. 인구문제에 대한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수업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이 직접 탐구하고 고민할 수 있는 참여중심수업을 통해 실천을 이끌어야 한다. 넷째, 내용적 측면에서 개인과 그의 삶을 조명하는 학습 자료를 선정해야 한다. 인간을 단순히 인구의 구성요소·수학적 통계대상으로 보는 시선에서 벗어나, 그들의 자율성과 다양성이 드러나는 개인적 차원의 학습 자료가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 전립선 암세포 주에서 블루베리와 아로니아에 의한 전립선 특이 항원(PSA) 발현 연구

        이솔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립선암은 영국과 미국의 남성에서 암사망율 2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전립선 암 비율이 증가, 남성의 암 사망율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전립선암에서 전립선 특이항원(prostate specific antigen, PSA)은 전립선의 상피세포에서 합성되는 단백질분해 효소로 전립선 이외의 조직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아 전립선암의 선별에 이용되는 유용한 종양표지자이다. PSA는 전립선암의 선별 검사뿐만 아니라 수술 후 재발 판정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전립선암 환자의 20-25% 정도는 혈청 PSA검사치가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종양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은 돌연변이 p53이며, p53의 변이 유무에 따라 apoptosis가 조절된다. p53은 DNA 손상에 반응하여 apoptosis를 유발하는 tumor suppressor protein으로서 세포주기조절과 apoptosis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anthocyanin이 암세포중 전립선 암세포에서 항암효과를 나타낸 다는 것에 대하여 anthocyanin이 많이 함유 된 블루베리와 아로니아가 전립선 암의 종양 표지자인 PSA발현과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LNCaP과 DU-145에 블루베리와 아로니아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TPS assay, Cellular fluorescence를 이용한 cell cycle 분석, western blot을 통한 PSA 발현과 p53발현을 비교 관찰한 결과 블루베리와 아로니아 각각에서는 아로니아가, 그리고 블루베리보다는 아로니아와 함께 투여한 경우에서 암세포의 증식이 유의적으로 억제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블루베리와 아로니아의 천연 물질이 항암제 대체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에 대한 연구 : 이케아(IKEA) 사례를 중심으로

        이솔지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최근 다양해진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리빙브랜드와 브랜드 이용자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판매촉진, sales promotion)을 위해 해외 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에 관한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향후 관련 국내 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에 그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2012년부터 2014년 10월까지 서울 및 경기도에 입점한 해외 리빙브랜드 중 국내 입점한 리빙브랜드와 국내 입점 예정인 리빙브랜드로 구분하여,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를 병행하였다. 1차의 조사대상은 20~40대의 젊은 세대를 겨냥한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브랜드(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로 선정하였고 2차의 조사대상은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경기도 광명시에 입점예정인 이케아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대상은 브랜드와 고객과의 접점인 그래픽 아이덴티티(G.I), 프로덕트 아이덴티티(P.I), 스페이스 아이덴티티(S.I)와 오프라인 (전시형, 퍼포먼스형, 체험형, 공모형, 캠페인형) - 온라인 (브랜드형, SEO형, SNS형, MPR형, 체험/리뷰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 조사대상의 리빙브랜드는 오프라인인 전시형과 퍼포먼스형. 체험형의 G.I , P.I 프로모션 디자인 활동이 활발하였으나 상대적으로 공모형과 캠페인형 프로젝트형, 세미나형에서는 그 활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2차 조사 대상의 이케아는 해외 매장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으로써, 세계적인 프로모션 디자인 활동이 관찰되었으며, 현재 국내에 입점된 해외 리빙브랜드인 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에서 관찰 할 수 없었던 캠페인형, 세미나형, 프로젝트형에 해당되는 프로모션 디자인 활동이 나타났으며, 오프라인은 전시형을 통해, 온라인에서는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리빙브랜드 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과 국내 입점할 이케아의 프로모션 디자인 사례분석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G.I, P.I 의 따른 프로모션 디자인이 S.I 프로모션으로 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S.I 프로모션 디자인의 특징으로, 독립된 부스공간의 구조로, 오픈형 ZONE을 형성하였고, 이용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제품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프로모션 존(Promotion Zone)의 지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시장에 입점한 리빙브랜드 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과 입점예정인 이케아를 통한 프로모션 디자인 방향을 G.I , P.I , S.I 의 총제적 디자인 방향으로 ´토탈 스페이스 디자인(Total Space Design,이하 TSD )화´ , 브랜드와 이용자의 접점을 강화하기 측면으로 ´퍼포먼스 & 체험 마케팅(Performance & Experience Marketing,이하 PEM )화´, 온, 오프라인 영역의 확장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증강현실 프로그램(Augmented Reality Program,이하 ARP)화´로 나누어 그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리빙브랜드와 이용자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프로모션에 관한 연구로써 국내 입점예정인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기업 이케아(IKEA)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에 국내 토종 리빙브랜드들도 이러한 해외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의 매뉴얼을 통해 이용자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향에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 기대해 본다.

      • 발효 꽈배기모자반의 생리활성 물질 탐색 및 생리활성 검증

        이솔지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pgrade the biofunctional activity of brown alga Sargassum siliquanstrum after fermentation by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used to isolate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Weissella sp. SH-1, Lactobacillus sp. SH-1, Leuconostoc sp. SH-1, and Streptococcus sp. SH-1. Brown alga S. siliquanstrum was fermented with (SBD) or without (SBO) debris by 4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pH and 2,2-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periodically measured to determine the optimum fermentation period during fermentation. After then,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 like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etc. were measured. pH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plateaued after 2 days fermentation regardless of bacterium used. Three aspects were drawn. Firstly, fermentation increased biological activities of S. siliquanstrum. Secondly, fermentation without debris (SBO) exhibited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fermentation with debris (SBD). Finally, different isolate enhanced different biological activity of S. siliquanstrum. Fermentation increased antioxidative activity compared to non-fermented sample and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sp. SH-1 was the most efficient.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by 18.43% and 5.70%, respectively, compared to non-fermented one.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sp. SH-1 showed the highest ACE inhibitory activity of 73.93%. On the other hand antimicrobial activity was not improved by fermentation. Whitening, anti-wrinkle, anti-inflammatory and immune activities were measured by cell culture. Fermented S. siliquanstrum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in B16F10 cells. Anti-inflammatory and immune activities were upgraded by fermentation. HPLC analysis was seemed to increase the compounds containing α-tocopherol due to fermentation and this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of fermentation. Biological activities of S. siliquanstrum were enhanced by 4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which might be exploited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or healthy drink products.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인 꽈배기모자반(Sargassum siliquanstrum)의 생리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분리한 유산균으로 발효를 진행하였다. 유산균은 전통 발효식품에서 Weissella sp. SH-1, Lactobacillus sp. SH-1, Leuconostoc sp. SH-1 및 Streptococcus sp. SH-1 등 4종을 분리하였고, 이들을 발효에 이용하였다. 발효기간 중 pH와 DPPH radical 소거능을 정기적으로 확인한 후 최적발효기간을 구하고, NO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등의 항산화 활성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ACE 저해활성, 항균활성, 미백 및 주름개선, 항염증 및 면역활성 등을 관찰하였다. pH 및 DPPH radical 소거능은 총 8일 간의 발효기간 중 2일 째 큰 변화를 보이고, 그 후 거의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3가지를 확인하였다. 첫째, 발효가 꽈배기모자반의 생리활성을 향상시켰고, 둘째, 해조류 침전물을 제거 후 발효한 것이 해조류 침전물과 함께 발효한 것보다 생리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균주에 따라 발효를 통해 증진되는 생리활성의 종류가 달랐다. 발효군은 발효하지 않은 군에 비해 항산화 활성을 증진시켰으며, 그 중 Lactobacillus sp. SH-1 접종군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비발효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각각 18.43% 및 5.70% 증가하였다. 항고혈압 활성을 나타내는 ACE 저해활성의 경우 Lactobacillus sp. SH-1 접종군의 저해활성이 73.9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발효를 통해 항균활성은 증진되지 않았다. 미백 및 주름개선, 항염증 및 면역 활성은 동물세포 배양을 통해 측정하였다. 발효 꽈배기모자반은 비발효군에 비해 tyrosinase 및 elastase에 대한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났고, 멜라닌 함량도 감소되어 미백 및 주름개선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항염증 및 면역 활성도 발효를 통해 증진되었다. HPLC 분석으로 꽈배기모자반의 발효군과 비발효균을 비교하여 발효균에서 α-tocopherol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peak의 면적이 2배 이상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발효가 제대로 되었는지 지표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꽈배기모자반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유산균 발효에 의해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발효 꽈배기모자반을 기능성 식품소재 혹은 건강음료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크루즈항구도시의 크루즈관광산업 정책네트워크 구조 분석 :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이솔지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높은 연평균 성장률과 함께 경제적 파급효과를 보이는 크루즈관광산업은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에 이르기까지 크루즈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크루즈관광산업은 다양한 행위자들이 관련되어 있는 네트워크 성격으로 인해 정책행위자들의 협력적 관계구축이 반드시 필요한 산업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크루즈관광산업의 개념과 특징 등을 고려하여 정책행위자와 활동영역을 설정하고, 분석의 틀을 구축하여 크루즈항구도시의 크루즈관광산업 관련 정책행위자들의 속성, 상호작용, 관계구조 등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을 목표로 두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부산지역의 크루즈관광산업 정책행위자들의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루즈항구도시의 크루즈관광산업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위하여 부산지역 크루즈관광산업 관련 정책행위자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을 위해 사회연결망분석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밀도분석, 중심성 분석(연결정도 중심성, 인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구조적공백 분석과 같은 분석기준을 통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는 정책행위자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인 활동영역에서는 공식 정책행위자인 부산관광공사와 한국관광공사, 비공식 정책행위자인 크루즈선사의 역할이 크게 나타났다. 그 외 활동영역별 분석에서는 기항지관광 상품개발, 기항지관광 수용태세, 유치촉진 및 기항지홍보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공식행위자인 한국관광공사와 비공식정책행위자인 모객여행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산지역 크루즈관광산업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네트워크 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관광공사의 역할이 핵심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크루즈항구도시의 크루즈관광산업 성장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먼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관계에 있어서 지방정부 관련 기관의 역할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크루즈관광산업과 관련된 활동에 대해서 세부 영역별 기능적 특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기하였다. 이와 더불어, 공식·비공식정책행위자들 간의 네트워크 강화, 부산 지역 내 크루즈관광산업 관련 민·관 정책행위자들의 협력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부산지역 크루즈관광산업 정책네트워크 구조는 한국관광공사와 모객여행사가 중심이 되는 구조이다’라고 결과를 정리할 수 있다. 크루즈관광산업의 특성상 효율적인 정책 집행을 위해서는 정보 및 자원의 공유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식·비공식 정책행위자들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앞으로도 관련 학술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크루즈관광산업, 정책네트워크, 네트워크구조, 사회연결망분석법.

      • 지속가능한 역사도시를 위한 방안 : 경주와 공주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이솔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도시는 문화유산과 사람이 공존하면서 역사문화공간으로 형성되었고, 앞으로도 함께 발전되어 갈 공간이다. 본고에서는 지속가능한 역사도시는 추구한 역사도시의 정책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진행하였다. 주요국가 역사도시 정책의 현황과 지속가능한 역사도시를 위해 노력한 두 역사도시의 정책전개과정과 정책 및 법 제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역사도시를 형성하기 위한 정책요건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국내 사례의 문제점을 살피고 국내사례에 요구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역사도시의 개념과 유형과 역사도시에서 지속가능성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역사도시의 개념은 점적인 단일 문화유산에서 면적ㆍ공간적인 개념으로 확대되면서 역사도시와 역사문화경관의 의미가 정립되어왔다. 본고에서는 지속가능한 정책이 긴요한 사람이 거주하는 역사도시를 대상으로 하여 원형보전형과 진화보전형의 역사도시를 분석하였다. 역사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역사도시를 역사문화의 보존만을 고려하던 관점에서 벗어나 계속 변화되어가는 현대의 삶 일부로서 현재진행형의 의미로 인식해서 연속성을 지니는 역사도시 형성을 추구하여야 한다. 외국 주요국가의 역사도시 관련 정책의 현황을 살펴 국제적인 역사도시 관련정책의 동향과 국내 역사도시 관련 정책과 법 제도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국, 영국, 프랑스의 주요정책의 현황과 특성을 종합하면 지역 역사문화보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으며, 지역 조례 및 특별법 제정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민간을 포함한 다양한 정책행위자의 협력체제가 형성하고 역사문화정책과 도시계획과의 연계 및 통합을 이루고 있다. 국내 역사도시 관련법에는 문화재보호법, 국토계획법, 고도보존특별법이 대표적이고 대부분 중앙정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문화재보호법과 국토계획법의 규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고도보존특별법이 제정되었다. 고도보존특별계획 외에도 7대 문화관광권개발과 문화마을 가꾸기 등이 추진되어왔다. 진화보전형 역사도시인 볼로냐시와 원형보전형 역사도시인 톨레도시의 사례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역사도시를 위한 정책요건을 도출하였다. 볼로냐시는 중앙정부의 도시계획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역사문화를 고려한 도시계획을 설립하였다. 역사도시 정책의 초기단계였던 1960년대부터 보존과 재생이라는 원칙을 세워 추진하였다. 1970년대부터는 기존의 원칙을 고수하면서 지역의 문화예술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여 문화예술진흥을 제도적으로 지원하였다. 2000년에 EU에서 문화도시로 지정되었다. 또한, 볼로냐 2000 프로젝트를 수립ㆍ시행하여 근대문화유산을 첨단 문화예술시설로 활용하여 도시의 변화하는 역사성을 이어나가고 새로운 문화예술과 콘텐츠들을 끊임없이 개발해 나아가고 있다. 톨레도시는 처음 스페인 정부에 의해 역사적 문화적 기념물로 지정된 후 역사문화경관의 원형보전을 유지하여 아름다운 경관과 한 시대를 재현해 놓은 것 같은 도시의 분위기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고 있다. 하지만 역사지구 내 인구가 유출되고, 지역의 주거와 상업지구의 시설들이 낙후되어가고 있었다. 톨레도시는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톨레도시 역사지구의 문제점을 인지하기 시작하였다. 톨레도시는 1992년 리우회의의 지역의제21을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에 동참하였다. 그리고 톨레도 역사지구 특별계획을 수립하여 역사문화의 보존과 함께 지역주민의 생활과 지역 예술문화 정책을 연계하여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볼로냐시와 톨레도시 사례를 비교하면 볼로냐시는 처음부터 보존과 재생이라는 원칙을 지켜 예전부터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며 역사도시를 보전하였다. 그러나 톨레도시는 1990년대 이후 도시재생 정책을 추진하면서 지속가능한 역사도시의 추구하고 있다. 두 역사도시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한 역사도시를 위한 정책을 도출한 결과, 역사문화보전에서는 구체적 규제 마련, 역사문화의 수리ㆍ보수 시 지역 재료 및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행정ㆍ법 제도에서는 중앙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지역 특성에 맞는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법 또는 조례 마련, 주민참여의 제도적 기반마련, 다양한 정책행위자 간의 협력, 역사문화계획과 도시계획과의 연계 및 통합되어야 한다.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역사문화유산 및 주민생활과 연계된 연구, 변화하는 도시에서 수용 가능한 역사문화정책수립과 사회구성원 유지를 도모해야 한다. 또한, 지역 문화예술을 증진할 것과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 국제적 흐름을 반영하여 국제기구로부터의 지정이 요구된다. 경주시와 공주시의 국내사례의 역사도시 정책 전개과정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국사례에서 도출한 지속가능한 역사도시를 위한 정책요건과 비교하여 국내 역사도시 특성과 문제점을 밝히고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국내 역사도시의 문제점은 매력적인 역사문화경관 창출을 위한 구체적인 규제의 부재, 주요정책행위자 간의 역할 및 예산분담의 모호성, 관련 법 제도의 산발적 시행 및 지역 법 또는 조례의 부재, 지역주민의 역사문화의식 및 정책참여제도의 부재와 역사도시의 문화유산과 주민생활과 연계된 장기적 연구부족, 주민생활을 고려한 정책이 부재하였다. 따라서 국내 사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사례를 통해 도출한 지속가능한 역사도시 정책요건을 국내의 실정에 맞추어 지속가능한 역사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창의적 조경설계를 지원하는 Geodesign Interface 연구

        이솔지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Dangermond(2009)에 의해 GIS의 다음 패러다임으로서 제시된 Geodesign은 조경계획 및 설계의 바탕이 된다. 또한 고재용(2015)은 공간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행되는 조경설계의 관점에서 Geodesign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의 방법론은 효율성 향상을 위한 연구인 반면 Geodesign의 한계점이자 조경설계의 핵심인 ‘창의성 지원’은 다루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조경설계의 관점에서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념으로서 개념화를 통해 7±2개라는 인간의 인지능력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조경설계 분야의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인간의 인지능력 한계 극복과 그것을 통한 창의성 향상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창의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 방안을 바탕으로 창의적 조경설계의 지원이 가능한 Geodesign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의 과정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ESRI사의 GeoPlanner for ArcGIS에 방법론을 적용하여 Interface 설계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기능요소와 정보요소를 판단하여 Interaction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Interaction을 바탕으로 Interface 설계를 진행하였다. 창의성 향상이라는 것은 물리적으로 증명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다. 그러나 Interface 설계를 통해 잠재의식 속에 있던 새로운 질서를 찾아내어 개념화를 통한 창의적 지원이 가능하며,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놓치지 않고 표현하여 인지능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안하였다. Geodesign was suggested by Dangermond(2009) as a next paradigm of GIS to be a future basis for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Ko(2015) also suggested a Geodesign methodology that uses spatial information from a landscape designer's perspective.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fundamentally require creativity and efficiency but Ko's methodology did not include the creativity aspect. To complement the deficiency, this paper expand the research scope to deal with a designer's cognitive limits and to provide better experiences for the landscape designers. An interface was designed to improve the designer's creativity based on interactions that were derived from a script of landscape design. The expanded methodology for both efficiency and creativity is suggested for the interface by analyzing preceding researches. ESRI’s GeoPlanner for ArcGIS, as a first Geodesign software, is compared to improve the interface in terms of creativity. One of the difficulties as a thesis is that it is not easy to measure the improvement of design creativity physically and quantitatively. This paper tried to eliminate any stumbling block in supporting creativity and to help designers find new orders in design subconsciousness and to reach a new concept. In addition, the interface to express instantaneous design ideas would be a guide to overcome the designer's cognitive limits.

      • 민간경비원의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 및 고객지향성의 관계

        이솔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고객지향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나아가 이들 세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1월 15일부터 3월 15일까지 서울·경기소재 민간경비업체 종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경호·경비 유형별(시설경비, 신변호보, 기계경비, 호송경비, 특수경비) 70부씩 총350명을 추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308명이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α=.600 이상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통계기법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F검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고객지향성의 차이가 있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감정노동은 감정부조화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감정노동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감정부조화는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감정노동은 감정부조화을 통하여 고객지향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감정부조화는 감정노동과 고객지향성을 매개하는 변수이다.

      • 카브리올 점프 수행력에 영향을 주는 운동학적 변인분석

        이솔지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kinematic variables affecting Cabriole jumping performance by analyzing ballet cabriole motions with 17 male and female dancers. In addition, the study aim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kinematic vari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dancers in order to use in technical training. Cabriole motions were recorded by motion capture system and a operating program, and kinematic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a commercial numerical analysis program. Male and female dancers each repeatedly performed the Cabriole motion 8 times, and the highest and lowest motions were used as analysis data, respectively. The linear kinematic variables of center of gravity and angular kinematic variables of major joints were defined as dependant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jump height The mean of the kinematic variables of males and females were compared to see gender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ertical velocity of the center of gravity before jumping (r=0.970)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ump height and the ankle joint angl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jump height. According to the male and female comparison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jump height, women decelerated the forward acceler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before take-off, decreased the hip joint angle, and pressed the ground to get the best per formance. Doing so during the movement, female subjects increased the horizontal speed, increased the hip joint angle upon landing which affected their expression on aesthetic flexibility. The male subjects increased their vertical speed by increasing their knee angle from stepping to performing the movement, leading to high vertical jumps and long flight times. 본 연구는 17명의 남·여 무용수를 대상으로 발레의 카브리올 동작을 분석하여 카브리올 점프 수행력에 영향을 주는 운동학 변인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남·여 무용수들 사이의 운동학적 변인 차이를 비교하여 기술지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영상측정 장비와 동작 분석 프로그램으로 동작을 측정하였고, 상용수치해석 프로그램으로 운동학적 변인들을 계산하였다. 남·여 무용수들은 8회씩 카브리올 동작을 반복 수행하였고 연구자는 가장 체공높이가 높은 동작과 낮은 동작을 각각 분석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분석 변인으로 무게중심의 선운동과 주요관절의 각운동 변인들을 정의하였다. 점프 높이를 목적 변수로 두고 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점프 수행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남·여 무용수에서 나타난 운동학 변인들도 평균 비교를 실시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점을 보았다. 연구결과 점프 전 무게중심 수직속도(r=0.970)는 정적인 영향을 족관절각은 부적인 영향을 점프 높이에 주었다. 남·여 비교 결과 점프높이를 향상시키려면 여성은 동작을 취하기 전에 무게중심의 전진 가속도를 감속하고 고관절각을 작게 한 후 지면을 눌러야 했다. 이것은 동작 시 수평 속도를 증가시켰으며, 착지시 고관절각을 키워 미적인 유연성 표현에 영향을 주었다. 남성은 디딤발에서 동작수행까지 슬관절각을 키워 수직 속도를 증가시키고 높은 수직 점프와 긴 체공시간을 이끌어 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