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공용어로서의 영어 인식이 한국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학습 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소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제공용어로서의 영어 인식이 한국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학습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영어를 성취 가능한 목표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높이고, 주체적 영어 화자로서의 정체성 형성을 통해 학습 불안을 완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더불어 교수자로 하여금 사회문화적 변화를 반영한 영어 교육을 실현할 수 있게끔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모 중학교 3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한국 중학생의 ELF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은 다소 높은 수준의 ELF 인식을 지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ELF 인식 하위 변인 중 확장된 영어 소유권 인식 범주가 가장 높은 수준의 인식을 보였다. 반면 영어 변이형 인식 및 영어 학습 선호도에 있어 다소 낮은 인식을 나타냈다. 둘째, 한국 중학생의 ELF 인식은 학습자의 영어 성취도(상위, 하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인식을 지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ELF 하위 범주별로 살펴보면, 확장된 영어 소유권 인식과 ELF 평가 기준에 있어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높은 인식 수준을 보이며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셋째, 한국 중학생의 ELF 인식은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ELF 인식은 동기를 예측하는 데 있어 타당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ELF 하위 범주 중 확장된 소유권 인식과 ELF 학습 선호도가 동기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중학생의 ELF 인식은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ELF 인식은 불안을 예측하는 데 있어 타당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ELF 하위 범주별로 살펴보면, 확장된 소유권 인식 변인만이 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ELF 인식이 학습 동기 및 학습 불안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줌으로써 중등영어 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학습자가 특정 영어에 편향되지 않으면서도 높은 ELF 인식을 지닐 수 있도록 학습 내용에 있어 다양한 나라의 영어 변이형을 포함하고 다문화 접촉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영어 성취도 하위 집단의 ELF 인식 함양을 위해 학습자의 인지적 수준을 반영한 흥미로운 내용의 문화를 담은 학습 자료를 활용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동기 향상을 위해 학습 목표를 원어민과 같은 유창성이 아닌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으로 상정하고 세계인과의 의사소통 수단이라는 영어의 도구적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도와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학습자가 자신을 영어 사용 권리를 지닌 합법적 화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의사소통 능력 평가에 있어 특정 영어 변이형을 규범으로 채택하기보다 이해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다원주의적 접근을 채택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wareness of English as a Lingua Franca on motivation and anxiety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is helps learners to recognize English as an achievable goal, thereby increasing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helping them to ease learning anxiety by forming their identity as legitimate English speaker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ovide educational directions for teachers to realize English education reflecting sociocultural chang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0 students of the 3rd grade in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earners had a relatively high level of ELF perception. In particular, among the ELF awareness subcategories, the extended English ownership perception categor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somewhat lower perceptions on English variants recognition and English learning preference. Second, the higher group showed higher ELF recognition than lower group. In particular, by ELF subcategory, the higher group showed higher recognition level than the lower group in terms of extended English ownership perception and ELF evaluation criteria,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it was found that ELF perception was a valid variable in predicting motivation. In particular, extended English ownership awareness and ELF learning preference among the ELF subcategor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ivation. Last, ELF perception was found to be a valid variable in predicting anxiety. Looking at the ELF subcategories, only the extended English ownership awareness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LF perception of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affect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nxiety, and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secondary English education. First, in order to enable learners to have high ELF awareness without being biased in specific English, variants of different countries and opportunities for multicultural contacts should be provided. Second, in order to foster ELF awareness of students who have lower English proficiency, learning materials containing an interesting culture that reflects the cognitive level of learners should be used.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motivation of learners, the learning goal should be assumed to b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not the fluency of native speakers. Finally, to reduce learner's anxiety, learners should be able to recognize themselves as legitimate speakers with the language right to use English. In addition, rather than adopting specific English variants as norms in communication skills asessment, a pluralistic approach based on intelligibility should be adopted.

      • 골프 전공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태도변화

        이소원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uses of inductive method of analyzing for those who faces golf first time and using method that they deeply analyzes how golf students adapt the school life and we see the process of change their attitude. This research is object in view for those things that I referred. To achieve these objectives of research, we proceeded this qualitative research with 5 students who study in J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Chung chung nam do Gum san gun and the one we collected by deep face to face talk and documents were analyzed by inductive method of categories. Through collection of research data and process of analyzing, we checked research's reliability, validity and ethicality and to analyze and interpret is as followed. First, participants decided their course late unlike other golf students who are major in golf too. Their motive to study golf was they had interests in golf by their friends or themselves. Usually people tend to do it by suggestion. Especially parents who share their time with close friendship than anyone else give great effect to choose their course as golf. Second, there is special attraction in golf unlike other sports. For athlete, one's interests of sports and attention towards sports is really important. There are common interests that participants tell about golf, it's eco friendly sports and Furthermore, when you put some of your effort in it, you find your life much worth living. When you achieve your output, you feel your biggest pride too. Third, University's school schedule is not ordered. so students encounter some difficulty when they register for courses or difficulty in adapting their classes. so some of them have not enough understanding of classes that they chose but they also make their relationship with people like other ordinary students too and through their adaptation of school life and relation of friends they soon be well in their school life. Forth, encountering school life, they feel their change and all of students answer that it is needed for one's personality and self concept formation and they also learn patience, sense of independence, through this learning, they have positive thinking and calmness too. Therefore, their way of speaking and attitudes became careful in school environment and it changed by facing new classes, and tutoring class too. As above, the participants, who started because of attraction of golf or whose family members told them to do so, they encounter difficulties to study golf. Classes are the opportunities that given equally and they found out that they became more careful of their way to speak and their attitude. It was helpful to form one's character and personality and also through school life, they get patience, learn independence more, positive way of thinking, and calmness in mind. By doing studying and exercising together, they have will of doing golf and passion towards it. Through this research, we try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who face golf first time and we newly found out that students changed their attitudes and one's way of speaking by learning and studying golf. 이 연구는 귀납적 범주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대학교에서 골프를 처음 접한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태도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상들을 심층적으로 분석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남도 금산군에 소재한 J대에 재학 중인 남학생 5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심층면담과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와 윤리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연구의 분석 및 해석한 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다른 골프전공학생들에 비해 골프 입문 시기가 늦은 고등학교 이후에 진로를 결정하였다. 골프를 시작하게 된 동기는 친구와 함께 또는 자기 자신이 골프라는 종목에 흥미를 느껴 시작하게 되는 경우 혹은 부모, 주위 사람들의 권유로 골프를 시작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부모의 경우 가정환경 속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친밀한 경험을 나누기 때문에 골프에 입문하게 되는 결정 및 준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는 다른 운동 종목과 다르게 특별한 매력이 있다고 한다. 운동선수에 있어 스스로의 운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은 매우 중요하다. 참가자들이 말하는 골프에 매력은 친자연적인 종목이라는 점에서 공통된 흥미가 있고, 골프 연습 중, 자기가 노력한 만큼 결과를 얻었을 때 보람을 많이 느끼며, 그 결과물을 성취하였을 때 가장 큰 긍지를 느낀다고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는 중·고등학교와는 달리 짜여 진 시간표대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갓 대학교 올라온 학생들이 접하는 수강신청이나 수업 적응 등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특히 자신이 선택한 수업에 이해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관계형성 에서는 일반학생들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학교적응과 대인관계를 통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대학생활을 접하면서 자신의 변화를 느끼고 모든 학생은 스스로 성격이나 자아형성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하였으며 인내심과 자립심, 독립심을 배우면서 긍정적인 마인드와 여유로움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그럼으로써 어투, 행동 하나하나가 조심스러워지면서 대학이라는 환경에서 대학생이 새롭게 접하게 되는 학업, 과외 활동 등을 통해 변화되었다고 한다. 위에서와 같이 참여자들은 골프란 종목에 매력을 느껴 스스로 시작한 경우와 가족, 주위의 권유로 대학에 입학하여 수강신청, 수업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업은 일반대학생과 평등하게 기회를 부여받으면서 어투, 행동 하나하나가 조심스러워지는 변화를 느끼고, 자신의 성격이나 자아형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대학생활을 통해 인내심과 자립심, 독립심을 배우고 긍정적인 마인드와 여유로움을 갖게 되었으며 학업과 운동을 병행함으로써 골프에 대한 열정과 의지가 생겼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교에서 골프를 처음 접한 학생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들의 학교생활의 적응과 태도변화 과정을 통해 새롭게 발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한 · 중 자연시 비교연구 : 윤선도와 왕유를 중심으로

        이소원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적으로 한국과 중국은 문화 교류가 긴밀하여 서로 문학적인 영향을 주고받았다. 윤선도와 왕유는 자연 소재를 중심으로 하여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한 자연시인으로서 작품에서 많은 유사점이 나타난다. 윤선도(尹善道)는 조선 고전시가 문학사에 큰 업적을 남겼으며, 한시와 시조의 창작량도 매우 많다. 그러나 윤선도의 정치 인생은 평탄치 않았는데 그의 여러 작품을 통해 보면 임금을 위해 큰 뜻을 품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다. 그는 잦은 유배로 인해 많은 고초를 겪었고 이후 산수와 벗하여 자연에서 은거생활을 하게 된다. 자연에 대한 그의 애정은 조선 전기의 역사적 배경과 자신의 환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한· 중 자연경물이 창작된 자연시를 비교 연구한 내용이다. 중국과 한국 시인의 자연시 비교 분석을 통해 자연시 창작 방식과 색채미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내면에서 드러나는 작가의식을 탐구해 보았다. 먼저 윤선도와 왕유의 생애와 문학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다음은 두 시인의 자연시를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두 시인의 자연시 비교함에 있어 우선 작품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이어서 작품의 표현적인 특징과 사상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윤선도의 작품은 구조적으로 시간의 순환성을 가지며 구조상 전개는 사계절을 반복하며 영원성을 추구하였다. 즉, 기교 면에서 대구법의 처리와 자연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詩想)을 전개하는 특징이 있었다. 왕유의 작품은 그럼을 그리는 기법을 잘 활용하여 그의 시는 연시(聯詩) 형식으로 쓰여지는데, 시 하나 하나는 각각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고, 합치면 하나의 파노라마 화면으로 집결할 수 있었다. 두 시인 작품의 공통점은 자연을 소재로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두 시인은 작품의 표현 묘사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윤선도는 색채 배합에 있어서 대비를 사용했으며, 왕유는 색채 배합에 있어서 다양성을 가지고 있었다. 윤선도는 시에서 자연산수를 자수(刺繡)에 비유했다. 왕유는 원근(远近) 묘사를 이용하여 색채감과 연관지어 입체감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두 시인의 자연 묘사의 공통점을 보면 색채미가 뛰어나고 계절적 구조를 사용하여 자연의 순환 원리를 잘 표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수는 단순히 경물이 아니라 자연물의 개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자연에 대한 표현이 함축적이고, 완곡하면서도 각각 독특한 개성미가 있었다. 작품 사상적으로 비교한 결과는 윤선도는 유가사상을 바탕으로 그의 자연시에서 충과 효 사상을 담아내고 있었다. 왕유는 불교사상을 기초로 하였다. 왕유는 불교의 선사상의 공허함과 정적미(寂静美)를 자연시(詩)에 표현했고, 그의 수양(修身)의 삶이 시(詩)에 녹아 있었다. 따라서 윤선도와 왕유는 한국과 중국의 고전시가 문학사에서 자연시의 한 부분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 상실을 경험한 노인의 "자기"(self)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소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상실경험(lost experience)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노인의 상실경험을 객관적이고 관찰자의 입장에서 조망하는 것에서 벗어나 의미생산의 주체를 노인이라는 경험의 당사자에게 돌려주고, 당사자 관점에서 상실경험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판단을 중지한 채 노인들의 언어의 세계로 들어가 그들이 자신들의 경험에 대한 의미들을 어떻게 생산하며 해석하고 있는가를 들여다보는 과정이었다. 이 과정은 궁극적으로 노인의 상실의 이면에 숨어 있는 경험의 가려진 실체를 발견하고, 그것이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해석되고 있는가를 발견하는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상실경험의 범주를 전 생애에 걸친 상실경험으로 설정하였다. 노년기에 진입한 후 경험한 상실에 국한하지 않고, 노년기가 된 현재의 시점에 서서 자신의 전 생애를 회고하며 상실의 의미를 생산할 수 있도록 인터뷰내용을 구성하였다. 분석과정은 경험당사자 18명을 인터뷰하였고, 그 중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적절성이 확보되지 않은 3사례를 탈락시켜 15사례를 가지고 1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 분석 후 총13사례에서 노인의 상실경험을 구성하고 있는 주제어가 "자기"(self)로 드러남을 발견하고 2사례를 탈락시켜 13사례가 본 연구의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경험의 본질, 구조, 해석이라는 현상학적 분석틀을 사용하여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상실경험을 관통할 수 있는 본질주제는‘상실의 중심에서 상실과 공존하고 있는 나’였다. 이 결과는 노인이 상실경험 과정에서‘자기’(self)를 재구조화하는 것이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보여준 것처럼 상실경험은‘자기’(self)를 불안하게 하는 요소로만 인식된 차원을 넘어 서 있었다. 노인들은 자신의 상실경험 과정에서 상실의 상태에 자신을 고착시키지 않고, 상실과정을 통해 새로운 모양새의 나를 찾아가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생활세계 안에서 상실경험은 그들에게 배척이나 분리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공존의 대상이 되어 있었다. 그들에게 선택된 생활세계는 처음에는 가족과 노동시장이라는 범주로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상실과의 공존을 선언한 그들의 생활세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지형을 확장해간다. 상실경험을 이전에는 발견할 수 없었던 타자와의 관계망이 구성되고, 그 타자들과의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상실의 중심에서 상실과 공존하고 있는‘나’의 모습은 상실을 기준으로 상실에 대한 경험의 변화과정의 흐름에 따라 구조화되었다. 상실경험 이전의‘나’, 상실에 의한‘나’의 균열, 상실과의 경계를 허물고 있는‘나’, 상실과 관계 맺는‘나’,‘나’를 세워가는 기제 등 다섯 단계로 구조화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상실경험을 구성하고 있는 중추적 과정으로, 흐름의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새를 하고 있는 자신과 삶의 모양새를 보여주고 있었다. 상실경험의 원형단계로 규정되는 상실경험 이전의 나의 모양새는 자신감과 자부심으로 충만했던 자신의 모습을 그려내며, 상실로 인해 균열되었던‘나’의 모양새와 대비되는 현상으로 거의 완벽에 가까웠던 시기로 묘사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 때로는 예고된 드라마처럼, 때로는 어떠한 전조현상도 없이 엄습해 온 상실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자기’(self)가 균열되고 있음을 경험하였다. 이 경험은 나로 하여금 생활세계를 낯설게 느끼게 했고, 그 생활세계는 나에게 생존을 위한 엄청난 삶의 에너지를 요구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이 시기에 경험된 상실은 나에게 있는 것을 단순히 박탈당한 모양새가 아닌 나를 포기하게 하는 그 무엇으로 인식되었다. 이처럼 상실은‘나’와 나의 정체성의 지반을 흔들어 놓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상실이라는 나의 경험과 자기(self)를 분리시키지 않았다. 오히려 내가 용인하는 방식으로 상실과의 경계를 허물기 시작했다. 그리고 상실의 상황에 순응하는 삶의 모양새를 갖추기 시작했다. 이것은 차후에 상실과 적극적으로 관계 맺기를 하는 나의 모습으로 확장된다. 상실과의 분리를 선언하지 않고 나와 나의 삶과의 연대를 추구하는 그들의 구체적인 모양새는 상실의 상황에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구성된 자신의 역할을 삶의 전면에 내세우는 것이었다. 이때의‘나’는 이미 헌신과 희생의 주체로서의‘나’로 전환되어 있었다. 즉 상실의 중심에서의‘나’는 책임감으로 점철된 타자를 위한 존재였고, 생활세계에 드러난 것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의 나의 역할과 기능이었다. 상실의 상황에 타자에 대한 그들의 헌신과 희생은 생활세계 안에서 상실과 내가 지속적인 연대의 근거가 되기에 충분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실질적인 상실은 자기의 역할이 사라지거나 무기력해지는 경험이었다. 또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상실과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것은 타자에 의한 시선으로부터 자신의 상실을 해방시키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이 과정은 인식론적 차원에서의 해방이 먼저 선행되었 This study is aimed at prospecting and analyzing the lost experience of the elderly from the phenomenological aspect. Instead of prospecting the lost experience of the elderly from objective viewpoint of observer, the study intended to prospect it from the aspect of principal by conveying the subject of production of meaning to the principal having the experience of senior. It was, so to speak, a course of looking in how the old individuals produce and interpret the meanings concerning their experiences by getting into their world of language after stopping the researcher's judgement. It ultimately enabled to discover the veiled substance of the experience hidden behind the loss of senior, how it is structured, and how it is analyzed. In this study, lost experience across the whole life was set up as the category of senior's lost experience. In constructing the interview with them, it was focused on their looking back their own whole lives at the present point of old age so as to produce the meaning of loss rather than their viewing their losses experienced after they entered the old ag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8subjects who have experiences. Of them, 3 cases were excluded for the reason that adequacy related with the subject of study was not sufficient while 15 cases were selected for preliminary analysis. The preliminary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eme words consisting of the lost experience of the elderly was "self" in 13 cases in total. In result, 2 cases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13 cases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Secondary analysis by means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frame in the form of nature, structure and analysis of experience was carried out based on these 13 cases. As result of analysis, essential theme that may penetrate the lost experience of the elderly was revealed to be‘Self that co-exists with loss at the center of loss'. This result showed that the senior restructures 'self' in the course of their experience loss. As shown in the previous study, lost experience was just more than the concept being recognized as the element that unsettles 'self' only. The seniors were discovering themselves in new shapes through the losing process rather than fixing themselves to the state of loss in the course of experiencing their own loss. For the study participants, lost experience in their life-world became the subject of co-existence rather than the subject of exclusion or separation. The life-world selected by them was restricted to the category of family and labor market in the beginning. Nevertheless, the life-world of those who declared co-existence with the loss expands its geographical feature as time goes by. It was because, a network with the others who had never discovered lost experience before was established, and the communication with such others were being carried out. The feature of 'self' that co-exists with the loss at the center of‘loss' was stru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change of experience concerning the loss based on the loss. It was structured into five steps; the features of 'self' prior to lost experience, crack of 'self' caused by loss, 'self' that tears down the edge of loss, 'self' that establishes relation with loss, and going to stand 'I' mechanisms. Such change is a pivotal process comprising lost experience, having shown the shape of self and life that takes different form each other as the flow changes. The shape of self prior to lost experience stipulated to be the original step of lost experience figured out the feature of self that was full of confidence and pride as a contrast to the shape of 'self' that broke off caused by loss, which was being described as the point almost close to perfection. Under this circumstance,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they were breaking off sometimes like a previously announced drama or sometimes owing to the loss that swept over them without any preliminary sign. Such experience made 'self' feel the life-world unfamiliar, and such life-world was recognized as the being requiring the 'self' a tremendous energy of life for survival. Loss experienced at this time was recognized to 'self' as something that made 'self' give up rather than the shape that simply deprived 'self' of its possessions. As such, the loss shook‘self’and the ground of its identity, but the study participants didn't separate their own experience in the name of loss from self. Rather, they started to tear down the edge of loss in such a manner that 'self' accepted it. And they started to form the shape of life adapting them to the situation of loss. This is expanded to the feature of 'self' that makes positively relation with the loss later. That is, their concrete shapes pursuing solidarity between 'self' and the life of 'self' rather than declaring a separation from the loss was placing the role of 'self' established in the relation with the other under the situation of loss at the forefront of life. 'Self' at this point was already converted to 'self' as the subject of devotion and sacrifice. That is, 'self' at the center of loss was the being for the other riddled with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what came out to life-world was the role and function of 'self' in the relation with the other. It was because their devotion and sacrifice to the other in the situation of loss provided a sufficient basis for loss and 'self' to continuously keep solidarity in the life-world. In this context, substantive loss recognized by study participants was their roles being disappeared or emotionally draining experience. In addition, the edge of loss collapsed in the relation with the other was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liberating the loss of 'self' from the attention of the other. In this process, the liberation from the aspect of epistemology was conducted in advance, and the practical attempt to tear down the boundary that exists in the life-world was conducted thereaf

      • 임신기간 중 요가 프로그램이 출산 후 산모의 신체적 회복 및 분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소원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산모 질식분만 예정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임산부 요가 프로그램이 산모의 신체조성과 출산 후 자궁의 크기, 오로 색깔 및 분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출산 후 산모의 빠른 회복에 임산부 요가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천안 Q 산부인과에 내원한 20대 후반에서 30대 임산부로 신체적 결함이나 질병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임신 5개월 이상의 초산부 중 질식분만 예정자 18명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본 실험에 대한 설명과 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후 자발적인 참여를 원하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무선 배정하여 12주간 요가를 실시하는 운동군과 요가를 실시하지 않은 통제군으로 구분하여 실험에 착수하였다. 그 결과, 임산부 대상 요가 프로그램에 따른 체중의 변화를 살펴보면 체중은 운동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임산부 대상 요가 프로그램에 따른 체지방의 변화를 살펴보면 체지방은 운동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임산부 대상 요가 프로그램에 따른 제지방의 변화를 살펴보면 제지방은 운동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임산부 대상 요가 프로그램에 따른 체수분의 변화를 살펴보면 체수분은 운동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요가 프로그램에 따른 분만 후 자궁 크기의 변화를 살펴보면 자궁 크기는 운동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오로 색깔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면, 분만 2일 후와 5일 후에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적색 100%로 나타났으며, 분만 4주 후에는 운동군의 경우 백색의 비율이 40%로 나타난 반면 통제군에서는 37.5%로 확인되었다. 또한 분만 아기의 신장과 체중의 변화에서 임산부 대상으로 12주간 요가 프로그램에 따른 분만 아기의 신장과 체중 변화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가 프로그램에 따른 분만 만족도 조사 결과 임산부의 분만 만족도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산모를 대상으로 적용된 12주간의 요가 프로그램은 운동 시기에 따라 산모의 신체조성과 자궁의 크기 및 오로 색깔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분만 아기의 신장과 체중 및 분만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에는 연구 대상자의 수와 신체적 특성 그리고 분만 경험 정도를 고려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요구된다.

      •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이용 패턴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학습효과를 중심으로

        이소원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 on young children's smartphone usage, particularly examining that on children's overindulgence on smartphone and the effectiveness of using smartphone for learning. The study found that the use of smartphone has shown divided results of overindulgence and learning in children which are respectively a negative impact and a positive impact of the usage. A total of 225 questionnaires from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were used in concluding the analysis and were answered by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of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2 and 6 years who attend the institutions. Cronbach's alpha reliability verifica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to explor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key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young children's use of smartphone, it was found that children mostly use smartphones 1-2 days per week(81 responses, 36%). The average daily smartphone usage was below 90 minutes(66 responses, 29.3%), less than 20-40 minutes a time (88 responses, 39.1%). For the purpose of smartphone usage surveyed with multiple responses, an overwhelming majority(187 responses, 68.2%) answered video viewing. Time(39.7%) was the most employed regulatory element by parents, and parents ranked fun and excitement(166 responses, 64.8%) as the reason for their children's use of smartphone. Second, most parents spent less than 60-180 minutes per day on smartphone on average(103 responses, 45.8%) and the leading activity on the device was social media (143 responses, 27.8%) and online search(141 responses, 27.4%). The largest number of parents answered they allow their children to use smartphone because the children want to use it (42.2%) and to ensure the parents' free time(33.8%). The contents they mainly show their children are animated videos(130 responses, 38.2%), and the frequency of using smartphones with children was 1-2 times a week (48%). Parents tend to think that young children need to use smartphones(60.4%) despite their belief that there lacks adequate contents to use for the children's development(49.8%). Learning(38.8%) and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36.1%) were the most necessary reasons for the children's use of smartphone. As to why children do not need smartphones, on the contrary, they mainly accounted the concern about electromagnetic waves(31.5%) and the possible access to inappropriate web sites(28.9%).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fluence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s have on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overindulgence on smartphone are as follows. The overall mean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was the highest at 4.04 (SD=.56) and average of reasonable parental guidance was 4.18 (SD=.43). In analyzing parental smartphone usage pattern, questions which used scaling to examine parental media mediation found negative mediation at the highest with 3.77 (SD=.77), positive mediation at 2.98 (SD=.67) and negligence at 1.77 (SD=.68). The average value for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tendency was 1.92 (SD=.47), leading to factors such as tolerance to be 2.43 (SD=.47), virtual world orientation 2.05 (SD=.83), withdrawal 1.72 (SD=.62), and difficulty of performing daily activities 1.63 (SD=.58). Fourt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in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factor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especially in regards to reasonable guidance and limit-setting.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child's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parents' positive mediation and negligence. Fifth, the effects of major variables on each other were exam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effect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limit-setting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children's overindulgence tendency while negligence was verifi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tendency. Sixth, examining the effects of smartphone on children's learning, it was found that parents expect their children to gain interest in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via smartphon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aring attitud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s of the parents and the smartphone overindulgence tendency of children, and analyzing the parents'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smartphone on children's learning.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이용 패턴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 중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학습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똑같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유아들이 내놓는 결과가 부정적 영향인 과몰입과 긍정적 영향인 학습효과로 양분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3개의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2세~만6세 사이의 자녀를 둔 학부모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해 총 225부가 최종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해 신뢰도(Cronbach'α),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주요변인들의 관계와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관련 특성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스마트폰 주간 사용일수는 1~2일이 81명(36%)으로 가장 많았다. 1일 평균 사용 시간은 90분 미만이 66명(29.3%), 1회 평균 사용시간은 20~40분 미만이 88명(39.1%)으로 나타났다.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목적으로는 동영상시청이 68.2%(187명)로 압도적 과반수를 차지했다.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규칙은 시간(39.7%)이 가장 높았고, 부모들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이유로 재미와 흥미(166명, 64.8%)를 첫손에 꼽았다. 둘째,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관련 특성 중 스마트폰 1일 평균 사용시간은 60~180분 미만이 45.8%(103명)로 가장 높았고, 스마트폰 주 사용기능은 SNS가 27.8%(143명), 정보검색이 27.4%(141명)로 나타났다.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수락 이유로는 자녀가 원해서(42.2%)와 부모의 여가시간 확보를 위해(33.8%)가 높게 나타났다. 자녀에게 주로 보여주는 콘텐츠는 만화영화(130명, 38.2%)로 가장 높았고, 자녀 동반 스마트폰 사용 빈도는 주 1~2회(48%)가 가장 많았다. 부모들은 유아발달에 적절한 콘텐츠가 부족(49.8%)하다고 느끼면서도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 필요하다(60.4%)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아에게 스마트폰이 필요한 이유로는 학습(38.8%)과 시대의 흐름(36.1%)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유아에게 스마트폰이 필요없는 이유로는 전자파로 인한 우려(31.5%)와 유해사이트접속(28.9%)을 첫손에 꼽았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이용패턴과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의 일반적 경향과 변인들의 평균은 다음과 같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전체 평균 4.04(SD=.56)로 가장 높았고, 합리적지도는 평균 4.18(SD=.43)로 나타났다.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패턴 중 척도설문을 진행한 미디어중재는 부정적중재가 3.77(SD=.77)로 가장 높았고, 긍정적중재는 2.98(SD=.67), 방임은 1.77(SD=.68)이었다.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향성은 전체 평균 1.92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내성이 2.43(SD=.47), 가상세계지향성이 2.05(SD=.83), 금단이 1.72(SD=.62), 일상생활장애가 1.63(SD=.58)로 이어졌다. 넷째, 주요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Pearson 상관분석 결과,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하위요인 전체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합리적지도와 한계설정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다고 나타났다. 또 부모의 미디어중재 중 긍정적 중재와 방임과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요 변인들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계설정이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끼쳤고, 부모의 미디어중재 중 방임이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여섯째, 유아의 스마트폰 학습효과를 정리한 결과 부모들은 자녀들이 스마트폰의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아이가 여러 학습에 흥미를 갖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이용패턴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며, 유아의 스마트폰 학습효과에 대한 부모들의 지각을 알아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원가와 긴급 수요를 고려한 주문형 반도체 공장의 생산계획 연구

        이소원 高麗大學校 情報經營工學專門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s one of the most competitive markets in the world. To survive this competition, important targets for production planning are on-time delivery and profit maximization. In our research, we modify the linear programming model for the current production planning by adding new objective functions that maximize the profit. In addition, we propose a production planning process that gives a priority to new products, reflecting daily fluctuations in demand to weekly production planning. We validate our model with real data sets obtained from a major company semiconductor manufacturer and performed the paired t-test to verify th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our model forecasted profit and loss with 93.2% accuracy and improved the due date satisfaction by 10%.

      • 모드 순서 전환된 2자유도계 압전 진동 에너지 수확장치의 수학적 모델 개발과 설계 변수 연구

        이소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팔보형의 압전 진동 에너지 수확장치는 에너지 수확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형태이지만, 아직까지는 부족한 출력, 좁은 주파수 대역폭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부가 질량 스프링계가 달린 외팔보 형 압전 진동 에너지 수확장치가 많이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모드 순서 전환된 2 자유도계 압전 진동에너지 수확장치는 1자유도계 일반 외팔보와 같은 주파수에서 더 높은 출력을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이 에너지 수확장치는 두 외팔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부착되어 모드 순서가 전환된 에너지 수확장치로, 일반적인 2 자유도계 외팔보와는 달리, 첫 번째 모드에서 역 위상으로 진동하며 두 번째 모드에서 정 위상으로 진동한다. 이런 특이한 운동으로 인해 모드 순서 전환된 압전 진동에너지 수확장치는 기존의 일반 외팔보 수확장치와 같은 공진 주파수를 가지며, 더 넓은 주파수 대역폭에서 더 많은 양의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델에 대한 수학적 모델이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아 설계 변수 연구 등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에너지 수확장치에 대해 연속체 기반의 수학적 모델을 유도하였으며, 유도한 수학적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해보기 위해 상용 유한요소 해석 소프트웨어의 결과 및 실험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비교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학적 모델과 유한요소해석 결과 및 실험 결과로부터 얻은 공진 주파수와 최대 출력 값이 모두 5 % 이내의 차이를 보여 상당히 정확하게 에너지 수확장치의 출력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속체 기반의 수학적 모델은 각 설계 변수에 따른 성능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가장 많이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모드 순서 전환된 에너지 수확장치의 경우 아직까지 수학적 모델이 정립되지 않아 설계 변수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추가적으로 각 보의 길이 및 끝단 질량의 무게를 설계 변수로 설정하여 설계 변수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중 몇 가지 모델을 선정하여 실험을 통해 설계 변수 연구를 검증하여 유도한 수학적 모델에 근거하여 진행된 설계 변수 연구 또한 상당히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립한 수학적 모델은 앞으로 모드 전환된 에너지 수확장치의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평판 이론으로 확장할 경우 더욱 다양한 설계 변수에 따른 수확장치의 성능 변화 연구를 진행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 cantilever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PEH) has been most actively researched, but there are still some challenges such as narrow bandwidth and insufficient output power. To solve this problem, many researchers have adopted the axiliary mass-spring unit. Especially, a mode sequence reversed two-degrees-of-freedom PEH has attracted many attentions, due to its enhanced ouput power while the operating frequency is maintained. The mode sequence reversed PEH is composed of a general cantilever beams (without PZT), a reversely connected piezoelectric cantilever bimorph beam, and two tip masses. In this composition, the lowest eigne mode of the cantilevered PEH shows out-of-phase mode, instead of the usual in-phase-mode. This unusual behavior enables the mode sequence reversed PEH to improve ouput power at the target freqeuncy, with broader bandwidth.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newly develop a continuum-based mathematical model suitable for efficient analysis and parameter study of the mode sequence reversed PEH. Once such a mathematical model is available, various physical behaviors can be analytically investigated for better designs. After the mathematical model is developed, its validity is checked by using ANSYS and experiment. The predicted resonant frequency and output voltage by the mathematical model showed less than 5 % difference, respect to ANSYS and experimental results. This validated mathematical model is very useful to study the effect of particular prameters to the performance of the mode sequence reversed PEH. In this research, the length of each beam and the weight of each tip mass are chosen as design parameters, to observe the output voltage and power. Additionally, results of parameter studies are validated by comparing with results from experiments of specified 5 models. The developed and validated mathematical model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optimized design of mode sequence reversed PEHs. Also, if this mathematical model is applied to plate theory, it is expected to be used for parameter study of the PEH having more various design param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