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학농민전쟁과 고창

        이세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order to assess a historical event as precisely as possible, it would be necessary not only to explore the timing when it occurred but also to determine the characters of the region where it happened, since the time as well as space in its environment and background might be essential factors in comprehending the aspects of a historical event. As part of this approach, it is intended to carry out here a study on the war of the peasants in Gochang who were devoted to Donghak, a religious doctrine originated by Choi Je-Woo in the late Chosun Kingdom. Gochang was the center of the Donghak peasants war. The present paper divides the proceeding of the Donghak War into two stages, the first and the second one each, in compli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orce employed by the peasants who took part in the defunct revolution. A large-scale mobilization of peasants was initiated on about March 15 following a careful preparation and approximately 4 thousand peasants formally marched in Dongeumchi, Mujang-hyeon under the banner of a proclamation against corrupt government officials. According to the records, farmers led by such figures as Oh Ha-Yeong, Oh Si-Yeong, Hong Nak-Gwan and Go Yeong-Suk were found to have participated in major battles of the March campaign. Although Gochang was not one of the major battle fields in the initial stage of the uprising in March, it was obviously located on the marching route of the uprising peasants who moved to attack the government agencies of Gochang, Mujang and Heungdeok which fell to their hands eventually. The geographically central role of Gochang was also evidenced by the facts that the chief of Gochang-hyeon fled and peasants were trained here for military purpose. Gochang and the neighboring areas had been entirely under the control of the military peasants since their retreat from Jinju Castle until re-uprising in September. At resumption of their war in September, about 17,000 peasants participated in the military actions in and around the areas of Gochang. From the mid of October on, most forces of the peasants went down south under the leadership of Son Hwa-Jung, seemingly engaged in operations actively throughout the districts of Yeonggwang, Hampyeong and Jangseong. A space is allowed in this paper to exploring actions of the armed forces of peasants based on reference to the historical materials concerning military uprisings in the areas including Gochang that have been open to doubt, though. When studied, it will reveal definitely what part of the country could be identified as the origin of the uprising and what would be the background that such revolt took place in no other places than there, leading to an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 military uprising. Baeksan uprising was confused with Gobu civil revolt. It is obvious that the peasants uprising in Gobu ignited the Donghak peasants' war as a whole but it was an operation performed sort of independently by Jeon Bong-Jun who failed to attract other kindred spirits. The rally in Mujang was dilated to a full scale by addition of Son Hwa-Jung and armed peasants from around the area, developing ultimately to a countrywide revolt. It seems thus proper to view the rally in Mujang on a dimension different from that of Gobu, an assumption that can be supported by lots of literature. Since it is evident that Mujang statement was declared at the same time with Mujang proclamation, there seems no problem to perceive Mujang revolt to be the starting point of Donghak Peasants War. In this study, an effort is also made to confirm if Dangchon, Gochang, in addition to other places in issue, was the real birth place of Jeon Bong-Jun since there have been arguments in this regard. His clan register was used to trace the origin of his ancestors and uprisings of his ancestors' graveyards. Continued studies and newly collected historical materials have tended to assume Dangchon to be the most possible birth place of Jeon Bong-Jun, clarifying the early ambiguities. This assumption was strongly supported when his clan registers of Imsul and Byeongsul were discovered which identified Jeon Byeong-Ho and Jeon Cheol-Ho to be Jeon Bong-Jun. Although his genealogy, residence and graveyard may be regarded to refer Dangchon, Gochang to be his birth place most favorably, there are still some lacks of evidences to prove it. Such research, however, is expected to activate further studies on Jeon Bong-Jun and Donghak peasants' War.

      • 뉴 실버 세대의 패션 색채 선호도 연구

        이세미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uch individuals’ preferences, sensibilities, and fashion propensitie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However, there was lack of related research about fashion style, product planning, and development of fashion color guidelines only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New Silver Generation’s fashion color preferences and proposed fashion color scheme guidelines that could be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The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snowball-sampled member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ages 55 to 65. The survey questions included five components: fashion color preferences, fashion sensibility and taste preferences, fashion interests, lifestyle, and demographic background. Seco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s based on respondents’ fashion interests and lifestyles. The four defined lifestyles were leisure-, self-, socializing-, and health-focused types. Next, to compose color palettes for the survey, 40 colors from the Munsell color system were chosen at random, and 5 achromatic colors were adde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member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prefer achromatic colors. In addi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red fashion colors depending on the lifestyle of leisure-, self-, socializing-, and health-focused types. The major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our color schemes were proposed based on the four defined lifestyle types. The achromatic colors, especially Black(No.45: C75, M68, Y67, K90), Dark Gray(No.44: C49, M40, Y40, K0), and White(No.41: C0, M0, Y0, K0), were generally preferred. It was shown that socializing- and health-focused types preferred Black, leisure focused type preferred Vivid P(No.9: C51, M80, Y0, K0) and self focused type preferred Vivid G(No.5: C83, M16, Y77, K2). This indicat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red colors depending on lifestyle. Generally participants wanted to try on Vivid R(No.1: C18, M100, Y69, K6), Bright Y(No.13: C5, M2, Y93, K0) and Bright RP(No.20: C4, M61, Y2, K0) in order. Since 192 people in their 50s (64.0%), 108 people in their 60s (36.0%)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ose in 50s were domina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w Silver Generation preferred Vivid R color to wear when it becomes a silver generation. Mainly wearing color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life style. Socializing focused type wore Black, leisure focused type wore Black and Dark Gray, health focused type wore Black and White and self focused type wore Black and Vivid PB(No.8: C87, M57, Y6, K0). After the age of 55, health focused type often wore Vivid R, Vivid RP(No.10: C33, M92, Y20, K1) and Black, socializing focused type often wore Black and Vivid RP(No.10: C33, M92, Y20, K1), leisure- and self focused type often wore Black and Dull RP(No.40: C46, M74, Y39, K14), This also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s. Thus, this study proposed a color scheme arrangement that used achromatic colors such as Black, Dark Dray, and White as main colors and arranged point colors following the color preference list for the four lifestyle types. This color scheme guideline is expected to help designers and companies plan and develop their fashion products for member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한국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가 되고 있으며, 이의 영향으로 베이비붐 세대를 포함하는 뉴 실버 세대가 최근 주요 소비자 타깃층으로 각광받고 있다. 뉴 실버 세대는 전통적인 실버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서 벗어나 사회 및 경제적으로 활동적이며, 취미 생활을 적극적으로 하고 여가를 즐길 줄 아는 세대다. 뉴 실버 세대들에게 패션은 더 이상 젊은 세대의 전유물이 아닌 중요한 관심 분야가 되고 있다. 특히, 빠른 고령화 추세로 인해 앞으로 더 많은 뉴 실버 세대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패션 선호도와 감성 그리고 성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겠다. 하지만 뉴 실버 세대만을 위한 패션 연구 분석 및 상품 기획 그리고 패션 색채 가이드라인의 개발이 부족하며, 관련 연구 또한, 미미한 실정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뉴 실버 세대의 패션 색채 선호도에 대해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외 거주 중인 만 55세~만 65세를 대상으로 대면 및 비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문항은 패션 색채 선호도, 패션 감성 이미지 선호도, 패션관심도, 라이프스타일,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같은 5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뉴 실버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여가선호형, 자기개발형, 사교지향형, 건강추구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패션 색채 선호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색채 설문조사 시 필요한 패션 색채 팔레트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색상의 기본이 되는 먼셀 10가지 색과 무채색 5가지를 기본으로 11개의 톤 중 선행연구에 포함된 톤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임의로 4개의 톤을 선택하고 45개의 색을 정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뉴 실버 세대가 선호하는 패션 색채는 무채색 계열의 튀지 않는 색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선호형, 자기개발형, 사교지향형, 건강추구형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선호하는 패션 색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전체적으로 선호하는 패션 색채 및 주로 착용하는 색은 Black(45번: C75, M68, Y67, K90) 색상, Dark Gray(44번: C49, M40, Y40, K0) 색상과 White(41번: C0, M0, Y0, K0) 색상의 무채색 색상으로 분석되었다. 선호하는 색은 건강추구형과 사교지향형의 경우 Black 색상, 여가선호형의 경우 Vivid P(9번: C51, M80, Y0, K0) 색상과 자기노력형의 경우 Vivid G(5번: C83, M16, Y77, K2) 색상으로 나타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착용하고 싶은 색은 전체적으로 Vivid R(1번: C18, M100, Y69, K6) 색상, Bright Y(13번: C5, M2, Y93, K0) 색상과 Bright RP(20번: C4, M61, Y2, K0) 색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상자의 연령이 50대 192명(64.0%), 60대 108명(36.0%)으로 50대가 더 많이 참여한 설문조사로, 본 연구는 뉴 실버 세대의 패션 색채 선호도 연구로 착용하고 싶은 색으로 Vivid R 색상이 결과로 나타난 것은 뉴 실버 세대에서 실버 세대로 갈수록 Vivid R 색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주로 착용하는 색은 사교지향형의 경우 Black 색상, 여가선호형의 경우 Black 색상과 Dark Gray 색상, 건강추구형의 경우 Black 색상, White 색상과 자기노력형의 경우 Black 색상, Vivid PB(8번: C87, M57, Y6, K0) 색상으로 나타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 55세 이후 주로 착용하는 색은 건강추구형의 경우 Vivid R 색상, Vivid RP(10번: C33, M92, Y20, K1) 색상, Black 색상, 사교지향형의 경우 Black 색상, Vivid RP 색상과 여가선호형과 자기노력형의 경우 Black 색상, Dull RP(40번: C46, M74, Y39, K14) 색상으로 나타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Black 색상, Dark Gray 색상, White 색상의 무채색을 주 컬러로 선정하고 4개의 유형별로 포인트 컬러를 선정하여, 각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색채 선호도의 차이를 반영하고 패션 색채 가이드라인과 배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패션 산업체 전문가들의 뉴 실버 세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패션 디자이너나 업체에서 자료로 활용하여 패션 상품 기획 및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자기불일치와 암묵적 딜레마가 우울과 우울 지속에 미치는 영향

        이세미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지적 갈등의 지표인 암묵적 딜레마와 실제-이상 자기불일치를 통해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위협이 되는 우울이 왜 만성화 되고, 지속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암묵적 딜레마가 우울정도 및 우울의 지속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남녀 330명에게 실제-이상 자기 질문지와 Beck 우울질문지(BDI)를 실시하였다. 이중에서 경우울 이상(BDI 10점 이상)의 우울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79명)으로 레퍼토리 그리드 인터뷰를 실시하여 암묵적 딜레마를 측정하였고, 우울증상의 지속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달 뒤에 Beck 우울질문지(BDI)를 추적 실시하여 56명의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암묵적 딜레마는 우울정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해주었으며, 암묵적 딜레마는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의 영향을 통제한 뒤에도 우울정도에 대하여 독립적인 예측력을 가졌다. 또한,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암묵적 딜레마는 1차시기 우울정도를 통제한 뒤에도 한달 뒤 우울증상의 지속을 유의하게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암묵적 딜레마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울지속성과의 관계에서는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암묵적 딜레마 모두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Mycoplasma synoviae의 vlhA C-말단 분획을 이용한 ELISA 진단

        이세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Mycoplasma synoviae (MS)는 닭과 칠면조에서 만성 호흡기 질병과 활막염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체로 가금 산업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다. 현재 계군의 MS 감염을 진단하기 위해 주로 rapid serum agglutination test를 포함한 혈청학적 분석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대개 특이성이 낮고 민감도 또한 낮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MS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신속하고 간단한 혈청학적 진단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항원성이 높은 phase-variable hemagglutinin protein (vlhA) 의 C-말단 부위 (또한 MSPA로 알려짐)를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시켰다. 그리고 이 항원을 이용하여 전남지역의 14개의 농장으로부터 총 306개의 혈청을 수집하여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검사시료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로써 마이코플라즈마의 감염이 만연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전의 N-말단 부위 (또한 MSPB로 알려짐)를 이용한 실험과 마찬가지로 C-말단 부위 또한 ELISA의 항원으로서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ycoplasma synoviae (MS) is an important causative agent of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and synovitis in chickens and turkeys, and causes a major economic loss in the poultry industry throughout the world. Control of this pathogen is highly dependent on serological assays, including RSA (rapid serum agglutination) to detect infected flocks. However, these assays suffer from limited specificity and sensitivity. In this study, to develop rapid and simple serodiagnostic method for the detection of antibody against MS, a highly antigenic fragment of phase-variable hemagglutinin protein (C-terminal of vlhA, also known as a MSPA) was used as an antigen for ELISA. A total of 306 samples from 14 different farms in Jeonnam was examined. As a result, all samples were seropositive, which indicates this mycoplasmal infection is quite widespread. And more, MSPA was found to be a proper antigen for ELISA as well as MSPB.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사회성,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관계

        이세미 건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사회성,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 규명하고, 더 나아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청소년기의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주어 학교폭력을 줄이고자 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체육시간과는 별도로 정규 교육과정의 일환인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클럽 단위의 스포츠 활동을 참여하게 한 서울 소재 중학교 3곳을 정하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참여하는 1·2·3학년 남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무성의한 기입과 누락된 자료를 제외하여 총 384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사용했던 도구들 가운데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가설 규명에 필요한 변수들을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사후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성, 학교생활적응,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차이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적인 점수가 높거나 1, 2, 3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학교폭력 가해행동은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높거나 1, 2 ,3학년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사회성, 학교생활적응,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차이는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의 평균적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활동성과 자율성,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폭력 가해행동은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평균적인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사회성, 학교생활적응,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상관관계는 사회성, 학교생활적응, 학교폭력 가해행동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과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사회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성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성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생활적응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하위요인인 괴롭힘, 언어· 심리적 폭력, 따돌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생활적응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교생활적응이 높을수록 학교폭력 가해행동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사회성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성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하위요인인 괴롭힘, 언어· 심리적 폭력, 따돌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성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성이 높을수록 학교폭력 가해행동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가치 수직선 토론에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

        이세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가치 수직선 토론에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을 분석하여 가치 수직선 토론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 나아가 토론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은 어떠한가? (1) 인지 갈등 상황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2) 인지 갈등 상황별 학생들의 반응 양상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21명의 초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2021년 9월 4주부터 10월 1주까지의 예비 연구와 10월 4주부터 12월 1주까지 가치 수직선 토론 수업을 진행했다. 연구자 본인의 단일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가치 수직선 토론 수업을 관찰하고, 토론 수업 참여자 관점에서 기술된 토론 전, 후 활동지와 최종 글쓰기 자료, 토론 후 설문 자료, 특이 사례 인터뷰 자료를 분석했다. 위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상황은 신념과 외부 지식의 갈등과 신념 간의 갈등이다. 신념과 외부 지식의 갈등 상황은 학생 내부에 존재하는 신념과 외부 지식이 갈등하는 상황이다. 신념 간의 갈등은 학생 내부에서 신념끼리 갈등하는 상황을 말한다. 둘째, 신념과 외부 지식의 갈등 상황에서는 신념 조정, 외부 지식 조정, 반작용적 강화와 같은 반응이 나타난다. 신념을 조정하는 반응에는 ‘대체’와 ‘혼란’이 있다. 외부 지식을 조정하는 반응에는 ‘무시’와 ‘방어’가 있다. ‘방어’는 충돌하는 외부 지식에 대해 반박하는 양상에 따라 ‘수용적 방어’와 ‘배제적 방어’로 나뉜다. 신념을 조정하거나 외부 지식을 조정하는 반응 외에도 반박하는 과정에서 신념이 강화되는 ‘반작용적 강화’ 반응이 일어나기도 한다. 셋째, 신념과 신념의 갈등 상황에서는 ‘갈등 지속’ 반응과 ‘수용’ 반응이 나타난다. ‘수용’ 반응은 논리적으로 판단했는가의 기준에 따라 다시 ‘논리적 수용’과 ‘비논리적 수용’으로 나뉜다.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학생들은 총 9가지의 다양한 인지 갈등 양상을 띠었다. 여전히 ‘무시’나 ‘배제적 방어’와 같은 폐쇄적 반응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대체’, ‘논리적 수용’, ‘혼란’ 등 외부 지식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자신의 신념에 대해 의심하고 확신해나가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를 통해 가치 수직선과 같은 비경쟁 토론이 반복적으로 적용이 되어야 하며 말하기 중심의 토론 교육 문화가 듣기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토론, 토론 교육, 비경쟁식 토론, 가치 수직선 토론, 인지 갈등, 인지 갈등 상황

      •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세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어 교육에서 베트남인 학습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언어 학습의 기본이 되는 교재에서도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베트남인 학습자의 모국어인 베트남어는 한국어와 차이점이 많은 언어로, 특히 초급 수준의 학습자에게는 모국어가 제2언어 학습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교재가 도움이 될 것이다. 학습자뿐만 아니라 한국인 교사에게도 베트남어는 생소한 언어로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대조 분석과 표적집단면접(FGI)을 통해 학습자 요구를 분석해 보았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베트남인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는 범용 교재의 번역에 그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베트남인 학습자가 기존의 교재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발음과 어휘,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발음 체계가 완전히 형성된 성인 학습자의 경우 모국어 화자와 같은 발음을 생성하기 어렵고, 학습의 초기에 발음을 제대로 학습하지 못하면 오류가 화석화되어 수정하기 어렵고 읽기, 듣기, 쓰기와 같은 언어의 다른 영역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발음은 초급 수준의 학습자에게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발음에서는 한국어의 자음과 삼중 대립 관계, 연음 현상에 대해 한국어와 유사한 베트남어 발음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연습 문제를 예시로 제시했다. 어휘는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가장 중요하게 학습하는 항목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에서 공통적으로 한자어를 쓴다는 점을 고려하여 True Friends와 False Friends 어휘 목록을 제시했다. 또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분류사와 호칭어를 대조한 어휘 목록을 제시하여 학습을 돕고자 했다. 교착어로 조사나 어미를 통해 문법적인 요소를 나타내는 한국어와 달리 고립어인 베트남어는 문법 항목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조사와 시제 어미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는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 조사와 과거 시제 중심으로 교재 내용의 예시를 제안했다.

      • 첫 아버지 되기에 관한 현상학적 체험 연구

        이세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 modern society, Father has a new appreciation to children as the very important being, is demanded an aspect of new father socially and culturally. This can lead to experiencing not only affirmative sentiments but also negative. Depending on the father's emotional experience make a different impact on the children. So because of a sudden change of modern social and cultural flows, It is necessary that the modern father h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first child care course. As most of the modern family is formed of triad, father, mother, child, It is demanded the understanding about family dynamics formation process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fathers understand what is the means and essence of fathers´ experience in process of being father as first childbirth today through their vivid experience. This study refers to Max van Manen´s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s of experience about first-being father who is having his first taste of child-rearing after first childbirth, and performs the 10-steps study consis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essence of experience, realistic investiga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writing. The Participator of this study have collected in-depth interview, picture, poem and such like things from september 2008 to November 2008 from 10 fathers with their firstborns aged 11 months to 36 months or younger. In order to refer to analyze We make a collection Not only from the participators but also art and literature.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data collected, essential themes of experience of about first-being father emerged ; 〈Feeling the confused emotion which is difficult to express watching the born child〉 - Mother bear a baby with physical and mental pain, and Father get a child with mental pain. - Feeling the confused emotion which is difficult to express. 〈Becoming feel the part being father in progression watching the child similar to me〉 - Making effort to be familiar to the child. - A child connects wife to me. - I am feeling good when a child recognizes me. - Finding this world worth living, watching child who grow up. - The distinction of the sex affects as bring up. - Becoming feel the part being father in progression watching the child similar to me. 〈Can not feel the distinguish between father and mother taking care of child〉 - Father plays a mother's role. - Can not feel the distinguish between father and mother taking care of child. 〈Guichenot which gives of his body and mind as food〉 - coming first the child than my comfort. - Becoming more careful in his job. - Guichenot which gives of his body as food. - Joy from child give happiness and easy away the sense of responsibility. - Although centre of the life become family not me, new pleasure goes to me in that. - My child change my point of view of looking at life. - As becoming father, find myself to be come to maturity. 〈It feel significant that give an inheritance batter than matter〉 - Considering an influence on child even the small action. - It feel that children have to believe me and rely on mentally. - It feel significant that give an inheritance batter than matter. 〈Childbirth gives chance to remind my father〉 - Comparing resent old father between young father. - Determine that don't give to my children missing about father. - Exerting oneself in order to give batter as feel the mind of parents. 〈Making sure to try to be faithful to the sense of being〉 - Wishing to make relationship to feel the deep heart together. - Trying to do his best in a humble measure. Findings of this study made possible to be deeply understanding on the experience about first-being father who is having his first taste of child-rearing after first childbirth. Finall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and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y. 현대사회에서 아버지가 아동에게 매우 중요한 존재로 재인식되면서 새로운 아버지의 모습을 사회문화적으로 요구받고 있다. 이로 인해 아버지들은 긍정적 정서 뿐 아니라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있으며, 아버지의 정서적 경험의 종류에 따라 아동에게 서로 다른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현대의 사회문화적인 흐름의 급변화로 인해 현대 아버지들이 첫 자녀 육아과정에서 겪는 체험에 대한 이해의 필요가 있다. 이는 현대가정이 父 ? 母 ? 子의 삼자(triad)로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들 간의 가족역동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첫 자녀 출산으로 아버지가 되는 과정에서 겪는 아버지들의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그들의 생생한 체험을 통해 이해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 아이의 출산 이후에 자녀양육을 경험하고 있는 아버지들의 첫 아버지되기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방법 중 Max van Manen의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조사,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의 글쓰기로 구성된 총 10단계를 밟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생후 11개월부터 36개월 이하의 자녀를 키우고 있는 10명의 아버지들로 2008년 9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심층면담과 그림, 시 등을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로부터의 자료수집 뿐 아니라 문학 및 예술 작품도 분석 시 참조하기 위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첫 아버지되기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태어난 아이를 보며 한마디로 표현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감정을 느낌〉 - 엄마는 몸과 마음으로, 아빠는 마음으로 아파 아이를 낳음. - 한마디로 표현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감정을 느낌. 〈나를 닮은 아이를 보며 점차 아빠가 됨을 실감하게 됨〉 - 아이와 친밀해지기 위해 노력함. - 아이가 아내와 나를 연결해주는 끈이 되어줌. - 아이가 나를 알아볼 때 기분이 좋음. - 커가는 아이를 보며 보람을 느낌. - 자녀의 성별이 키울 때 영향을 주게 됨. - 나를 닮은 아이를 보며 점차 아빠가 됨을 실감하게 됨. 〈아이를 돌볼 때 아빠와 엄마의 구분이 크게 느껴지지 않음〉 - 아빠지만 엄마의 몫까지 하게 됨. - 아이를 돌볼 때 아빠와 엄마의 구분이 크게 느껴지지 않음. 〈제 몸과 마음을 새끼의 먹이로 바치는 가시고기〉 - 나의 편함보다 아이를 먼저 생각하게 됨. - 직장생활에 보다 신중해짐. - 제 몸을 새끼의 먹이로 바치는 가시고기. - 아이가 주는 기쁨으로 책임감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행복을 경험함. - 삶의 중심이 내가 아닌 가족이 되었지만, 그 안에서 새로운 즐거움을 경험함. - 내 아이로 인해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바뀌어짐. - 아버지가 됨으로써 한 단계 성숙해진 자신을 보게 됨. 〈물질보다 정신적 유산을 전해주는 것이 의미있게 느껴짐〉 - 작은 행동 하나까지도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게 됨. - 자녀가 나를 믿고 정신적으로 의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됨. - 물질보다 정신적 유산을 전해주는 것이 의미있게 느껴짐. 〈자녀 출산은 내 아버지를 회상케하는 계기가 됨〉 - 어릴 적 아버지와 현재의 늙으신 아버지가 비교됨. - 아버지에 대한 아쉬움을 내 아이에게 되물림하지 않겠다고 결심함. - 부모의 마음을 가슴으로 느끼게 되면서 더 잘해드리기 위해 노력함. 〈아버지라는 존재감에 충실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다짐을 해봄〉 - 자녀와 깊은 정을 나누는 관계가 되기를 소망함. - 부족하지만 노력하는 아버지가 되고자 함. 이와 같이 도출해낸 본질적 주제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첫 아버지되기는 할아버지와 아버지, 아버지와 자녀사이에 있어서 부(父)-자(子)간의 관계재정립의 기회를 제공한다. 먼저, 첫 아버지되기의 체험은 그들의 아버지인 할아버지와 참여자 자신의 관계재정립의 기회를 마련해준다. 아버지들은 자녀로 인하여 자신의 아동기를 재경험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가능해짐으로써, 아버지와의 관계재정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참여자들은 아버지 자신과 새로 태어난 자녀와의 관계재정립의 기회를 갖게 된다. 이는 아버지가 된다는 부담감으로 밀착되지 못했던 부자관계가, 아버지로서 참다운 기쁨을 느끼게 됨으로써 새로운 부자관계가 형성됨을 의미한다. 둘째, 첫 아버지되기는 한 개인이 아버지가 되는 삶을 통해서 아버지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하고 이를 재확립시켜나가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셋째, 첫 아버지되기의 체험은 아버지가 되어 아버지로 살아가는 자신에 대한 소중한 가치를 깨닫게 해 주어, 아버지로서 한 개인의 자존감(self-Esteem)을 높이는 계기가 된다. 넷째, 첫 아버지되기는 자녀와 맺게 되는 정서적 유대감을 통해 아버지의 감정 이입 능력을 발달시킨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영유아 보육 시설에 대한 운영개선방안 : 기혼 취업여성 중심으로

        이세미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혼여성의 취업증가와 더불어 기혼취업여성이 가정의 한정된 시간 내에 다중역할로 인한 문제들 중 자녀보육으로 인한 갈등은 가족의 복지에 영항을 푸고 있다. 기혼취업여성 가족은 자녀보육을 위해 다양한 보육유형을 고려하지만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만한 보육을 선택하는 일은 쉽지 않다. 현재 기혼 취업여성 가족을 대상으로 자녀보육을 포괄적으로 다룬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점 증가하는 기혼취업여성 가족의 자녀보육과 가족복지를 위한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기혼 여성이 취업하여 독자적 소득이 있으며 안양, 평촌지역에 거주하는 기혼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보육실태와 원하는 보육실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보육유형의 차이,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사노동, 그리고 자녀보육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발견한 것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혼취업여성 가족은 만3세 미만 자녀의 양육 수단으로 가족과 보육시설을 병행하겠다고 하며 이에 못지 않게 종일제로 보육시설을 이용하겠다는 비율도 높았다.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개인보육에 대한 요구가 높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영아를 위해서는 교사 대 아동의 비율이 낮은 시설보육을 선호하고 있으므로 현재의 보육시설에 영아반을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질적으로 우수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보육시설에 보육료가 비싸도 보내겠는가에 대해 83%가 보내겠다고 하였으며 이때 보육료 수준은 현재보육시설의 보육료보다 높은 가격이다. 보육료의 수준은 보육종사자의 질적 향상과 보육내용과 관계가 있으므로 아동의 연령에 따라서만 차등을 둘 것이 아니라 지역단위 및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보육료를 차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질적으로 우수한 보육시설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만3세 미만 자녀의 주된 보육프로그램으로 기혼취업여성들은 안전한 보호와 기본적인 생활습관을 원하고 있었다. 또한 만3세-만6세 자녀의 주된 보육프로그램으로 기본적 생활습관, 사회성발달, 안전한 보호, 창의적 사고력을 원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혼취업여성들의 욕구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다. 만3세 미만(영아반)은 다양한 영아들의 흥미와 요구에 맞춰 상호작용과 놀이에 중점을 두며, 교육내용에서는 영아의 흥미나 놀이, 일상생활과 관련된 경험, 기본생활습관을 중심으로 다루어질 내용을 선정하여 실시한다. 또한 영아들에게는 교사와의 신뢰감 형성 및 정서적 안정감을 우선적으로 강조한다. 만3세-만4세(유아반)는 발달수준에 맞춰 아동끼리 또한 교사와의상호작용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보호와 교육의 균형 잡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유아들의 학습에 적합한 주제를 아동과 함께 토론을 통해 다루어 보고 싶은 내용들 중에서 선정하여 그 주제에 대해 깊이 있는 탐색을 하도록 한다. 정서적 안정감을 기초로 하며 전 영역의 교육활동과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골고루 강조하며 다양한 견학이나 직접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계획한다. 만4세~만6세(유아반)는 흥미 있어 하는 교육주제에 따라 자유선택활동과 대 · 소집단 활동을 실시하머 점차 주제를 어떤 식으로 접근해 갈 것인지 토론하고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시간의 비중을 늘려나간다. 어린이 도서실을 이용하여 책과 접하는 활동을 실시한다. 놀이계획을 하고 놀이 후 놀이평가를 실시하여 아동 스스로 자신의 놀이나 학습활동을 주도하게 하고 교사는 각 아동의 생활과 학습을 잘 관찰하여 더욱 심화된 활동을 제시해 주고 안내해 준다. 셋째,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혼취업여성들은 보육시설의 시간제 운영시간을 가장 많이 원하고 있었다. 원하는 보육유형에서도 개별보육과 보육시설을 병행하겠다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보면 취업주부일지라도 하루종일 자녀를 보육시설에 맡기는 것은 원하지 않으며 자녀를 돌봐주는 엄마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더욱 가족에게 맡기고 싶어한다. 그러나 자녀를 돌볼 사람이 없으면 종일반을 이용해야 하며, 직장일로 인해 야근을 한다거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정규 프로그램이 끝나는 시간까지 아이를 데려갈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보육시설이 시간제로 운영되면 아동과 교사 모두에게 안정적이지 못하며 어린이집 원칙에도 어긋난다. 그러므로 종일제를 중심으로 하여 반일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기로 한다. 대상 기혼취업여성들의 요구와 보건복지부 운영지침을 따라 운영시간을 다음과 같이 계획할 수 있다. 평일은 오전8:00 - 오후7:00까지, 토요일은 오전8:00 - 오후2:00까지 운영한다. 이 중 정규 교육프로그램은 오전 9:00 -오후3:00까지 실시하며 기혼취업여성의 요구에 따라 융통성 잇게 시간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찍 출근하는 기혼취업여성을 위해 오전7:00부터, 늦게 퇴근하는 기혼취업여성을 위해 오후 9:00까지, 그리고 토요일은 토요전일 근무하는 기혼취업여성을 위해 오후 5:30까기 등원 및 하원이 가능하며 이 때 교사는 교대로 1인씩 일찍 출퇴근하도록 한다. 이럴 때는 반드시 사전에 기혼취업여성은 교사에게 연락을 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