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글로벌역량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 요인 탐색: PISA 2018을 중심으로

        이성원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global competency latent profiles are classified by the level of various cognitive and non-cognitive factors and to explore the predictors of individual and school variables on determining these latent profiles. For this, the OECD's PISA 2018 Global Competency data was used, and the final analysis target was 6,592 Korean 15-year-old stude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considering the cognitive performance level of global competency and various sub-indice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kills, and attitudes by level, Korean adolescents were 'low-low respect group (14.2%)', 'medium-low global competency group (26.7%)', 'average-high respect group (39.3%)', and 'high-high global mind group (19.9%)'. Second, student-related variables predicting global competency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were gender, ESCS, parents' emotional support and interest in learning other cultures, meaning of life,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global issues. School-related variables were school type, global competence learning activities, atmospher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mong students, a sense of belonging at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nd teachers' egalitarian belief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ce.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dolescents' global competency characteristics by considering both cognitive and non-cognitive factors of global competency, cognitive test results, and self-report test results. Furthermore, implications for future global competency education were provided by exploring various predictors related to the individual and school that affect global competency improvement.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Consistency-based Path Recovery and Congestion Detection Protocols in Low Power and Lossy Networks : 저전력 손실 네트워크에서 일치도 기반 경로 복구 및 혼잡 감지 프로토콜

        이성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IoT(Internet of Things)는 저렴하고 작은 단말들이 사회 곳곳에 설치되어 습득한 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다양한 응용을 지원하는 통신기술이다. 이러한 단말들은 그 크기와 비용으로 인해 연산 능력 및 저장 능력 등 하드웨어적으로 낮은 성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제약을 극복하면서도 응용의 Qo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프로토 콜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RPL, 플러딩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 및 CoAP 등은 IoT 를 위해 개발된 대표적인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네트워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경로 복구, 패킷 전송 억제 및 혼잡 감지/제어 등 다양한 기법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수신된 메시지들에 기록된 정보를 제한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오히려 신뢰성을 감소시키거나 네트워크 자원을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고성능 장비와 충분한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기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러한 기법들은 추가적인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복잡한 연산 수행을 요구하므로 저전력 손실 네트워크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저성능 단말들이 수집한 정보를 잘못 활용하여 네트워크 신뢰성이 감소하거나 불필요한 자원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들을 정의하였다. 또한 십수 비트 수준의 짧은 추가 헤더와 간단한 논리, 사칙 연산만을 활용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인 일치도와 이를 계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정의하였다. 이어 계산된 일치도 값을 활용하여 지적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 경로 일치도 기반 경로 복구, 패킷 전송 억제 및 혼잡 감지를 수행하는 프로토콜들을 제안하였다. NS2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종단간 전송률, 패킷 전송률 및 혼잡 감지율 등을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프로토콜들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수퍼바이지의 인지 복잡성 수준에 따라 선호하는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스타일

        이성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Counseling supervisions that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upervisor and supervisee are more effective(Bernard & Goodyear, 2004) and it is necessary for the supervisor to intervene according to the supervisee's developmental level(Ivey & Goncalves, 1987). In previous studies, supervisee's age, degree level, and experience were considered as the indexes of one's developmental level. However, Lovell(2002) reported that the supervisee's cognitive complexity index estimated one's developmental level more accurately than others. Thu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pervisees' preferences for supervisory styles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complexity levels.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the supervisee's cognitive complexity level is the more the supervisee would prefer task-oriented supervisory style. Second, the higher the supervisee's cognitive complexity level is the more the supervisee would prefer interpersonally-sensitive supervisory style. 101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practition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lassify the cognitive complexity levels of the supervisees and their preferences for supervisory style, a modified version of Learning Environment Preferences(Moore, 1998) and Supervision Style Questionnaire(Friedlander & Ward, 1974)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upervisees' preference for task-oriented supervisory style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complexity levels.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upervisees' preference for interpersonally-sensitive supervisory style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complexity level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upervisees' supervisory style preferences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complexity levels, there was a tendency to prefer interpersonally-sensitive supervisory style the most and task-oriented style the least.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supervisors to organize an interpersonally-sensitive supervision environment, which can provide more autonomy for the supervisee to apply one's own competency and integrate one's own skill and knowledge. 이 연구에서는 상담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인지 복잡성 수준에 따라 선호하는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스타일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능한 상담자를 양성하기 위한 상담 수퍼비전은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하고 훈련할 때 그 효과가 달라지며(Bernard & Goodyear, 2004), 특히 수퍼바이지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개입이 필요하다(Ivey & Goncalves, 1987). 수퍼바이지 발달 수준을 다루었던 기존 연구들은 수퍼바이지의 발달 수준이 수퍼바이지의 연령, 교육 그리고 경험으로부터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Lovell(2002)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퍼바이지의 인지 복잡성 수준이 이전에 중요시했던 변인들보다 수퍼바이지 발달 수준의 변화를 가장 잘 예측해주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Perry(1970) 모델에서 개인이 가지는 인식론상의 가정에 따라 나눈 인지 복잡성 수준을 수퍼바이지의 인지 복잡성 수준으로 정의하여 수퍼바이지의 인지 복잡성 수준에 따라 선호하는 수퍼바이저 수퍼비전 스타일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수퍼바이지의 인지 복잡성 수준이 낮을수록 과업 지향도가 높은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스타일을 선호할 것이다. (2) 수퍼바이지의 인지 복잡성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 민감도가 높은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스타일을 선호할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지역 상담심리 전공 대학원생과 상담 실무자 총 101 명 (남=7명, 여=94명)에게 ‘학습 환경 선호도 질문지’와 ‘수퍼비전 스타일 질문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다중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바이지의 인지 복잡성 수준에 따라 과업 지향도가 높은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스타일을 선호하는데 차이가 없었다. 둘째, 수퍼바이지의 인지 복잡성 수준에 따라 대인 민감도가 높은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스타일을 선호하는데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수퍼바이지의 인지 복잡성 수준과 선호하는 수퍼비전 스타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수퍼바이지들이 수퍼바이저의 대인 민감도가 높은 수퍼비전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고, 과업 지향도가 높은 스타일을 가장 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수퍼바이지들은 인지 복잡성 수준에 상관없이 구조적이고 교육적인 수퍼비전 스타일보다는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자신의 기술과 지식을 통합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나갈 수 있도록 자율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대인 민감도가 높은 수퍼비전 스타일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 申師任堂의 作品 硏究

        이성원 群山大學校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사임당(1504∼1551)은 알려져 있는 바 대로 율곡 이이(율곡 이이)(1536∼1584)의 생모이며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여류화가이다. 학문적 식견이 높고 예술적 감각이 뛰어난 재능있는 녀성으로서 뿐만 아니라, 지극한 효녀요 현모양처인 동시에 예술에 뛰어난 人物로, 特히 그의 초충화는 특유한 기법과 구도, 소재에서 새로운 면을 보여 주고 있으며, 조선 초충화의 일인자로 알려져 오고 있다. 사임당 신부인의 예술은 초충화 뿐만 아니라, 산수(山水), 화조(花鳥), 익모(翊毛), 시(詩), 화(畵), 자수(刺繡)에 이르기까지 다방면 천재적(多方面天才的)인 재능이 뛰어난 인물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적 의미로 신사임당은 조선시대가 요구하는 유교적 여성상에 만족하지 않고, 독립된 인간으로서의 생활을 스스로 개척한 교육관과 예술성에 관한 탁월하고 비범한 능력을 발휘했던 여성이라 할 수 있다. 신사임당은 교양과 학문을 갖춘 예술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그녀의 천부적인 재능과 더불어 그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북돋아 준 좋은 환경이 있었다. 그녀의 재능은 7세에 안견(安堅)의 그림을 스스로 사숙하였던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신사임당으로 하여금 절묘한 경지의 예술세계에 머물게 한 중요한 동기로 내세울 수 있는 것은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는 현철한 어머니의 훈조를 마음껏 받을 수 있는 환경을 가졌다는 점을 들 수 있고, 둘째는 완고하고 자기주장적인 유교사회의 전형적인 남성 우위의 허세를 부리는 그러한 남편을 만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녀의 남편은 자질을 인정해주고 아내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도량 넓은 사나이였다는 점이다. 먼저 그의 결혼 전 환경을 보면 그의 예술과 학문에 깊은 영향을 준 외조부의 학문은 현철한 어머니를 통해서 신사임당에게 전수(傳受)되었고 그녀의 어머니는 무남독녀(無男獨女)로 부모의 깊은 사랑을 받으면서 학문을 배웠고, 출가 뒤에도 부모와 함께 친정에서 살았기 때문에 일반 여성들이 겪는 시가에서의 정신적 고통이나 육체적 분주함이 없었다. 따라서, 비교적 자유롭게 소신껏 일상생활과 자녀교육(子女敎育)을 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어머니에게 훈도를 받은 명석한 그녀는 천부적 재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녀의 예술성을 보다 북돋아준 것은 남편이라 할 수 있다. 사임당이 친정에서 많은 생활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남편과 시어머니의 도량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남편은 신사임당의 그림을 사랑(舍廊)의 친구들에게 자랑할 정도로 아내를 이해하고 또 그 재능을 인정하고 있었다. 신사임당이 떠난 지 이미 5세기가 흘렀고, 그동안 수많은 역사의 기복과 사회의 변천을 거듭해 왔지만, 21세기 오늘의 시점에서 볼 때도 신사임당의 인품적 가치는 변함이 없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 신사임당의 업적은 심오한 교육철학(敎育哲學)이 바탕이 되고 정서적 예술성이 찬란하여 신사임당의 예술연구 결과로 그 업적을 오늘에 되살려 그 뜻을 기리고 재조명하며 앞으로 계속 계승, 발전하여 연구(硏究)되어야 하겠음을 미력(微力)하나마 감지하게 되었던 것이다. As well known to us, Shin, Sa-im-dang (1504-1551) was a mother of Yulgok, Yi Yi (1936-1584), and was the most outstanding woman artist in the early Chosun Dynasty. She was not only a woman who has high eyesight of scholastic understanding, artistic sense and talents but also a person who was a filial daughter, a good wife and a wise mother, and excellent artist as well. Especially, her paintings of plants and bugs show her own creativeness with characteristic techniques, composition, and themes, which made her a master of plants and bugs paintings of Chosun Dynasty. Sa-im-dang Shin's arts ascertain the truth that she was a highly gifted person in various subjects from the paintings of landscape, flowers and birds, wings and feather, as well as plants and bugs, to the poems, and the embroidery. In a modern sense, Sa-im-dang was a woman who accomplished her excellent and distinguished artistic talents and who achieved herself based on her thoughts of education, developing her life by herself as an independent human being over the strictly required confucian way of life to women by the society of Chosun periods. The fact that Sa-im-dang could be grown to a well-educated and intelligent artist owed to her gifted talents and also to her good surroundings that had enabled her to improve and demonstrate the talents. At the age of 7 she was influenced by Ahn Kyun and her talent was developed by herself by following Ahn Kyun in a footstep. The first, she was grown up under her bountiful home environment to get her wise mother's teaching principle. The second, she had a luck to meet a good husband who recognized her talents and listened to her wife with broad mind. Her husband was not a person who was stubborn and male centered as was usual in the Confucian society at that time. Looking into Sa-im-dang's environment before her marriage, her mother's father influenced Sa-im-dang deeply in art and scholarly attainments through her wise mother. Her mother was only child and learned scholarly a lot under the parents' warm hearted love. Sa-im-dang's mother lived with her parents even after her marriage. Accordingly, her mother did not have spiritual pain nor physical stress which most women burdened arisen by living their life at husband's home after marriage. Therefore, she could do her daily life freely and educate her child (Sa-im-dang) by her own way. Under the wise direction of her mother who had such a good family background Sa-im-dang could improve and demonstrate her gifted talents without limitation. And Sa-im-dang's artistic talents was improved more by her husband's encourage. Her husband showed his wife's paintings to his close friends proudly, and was cooperative to his wife and recognized her talents. Almost 5 centuries have passed since Sa-im-dang's leaving. So many historical turbulence and social changes have been repeatedly arisen until this time. Yet the value of high standard of Shin, Sa-im-dang's personal dignity has not been changed until this 21st century. As a result of this study, I could know that the artistic achievement of Shin, Sa-im-dang is based on profound educational philosophy, and is brilliant with full of artistic effects. And also, I could have strong interests to research further to recognize the achievement more thoroughly to make it succeed for the development of our Korean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