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음악교육의 지역화 교육과정 운영방안 연구 : 동두천 옛소리를 중심으로
이성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국문초록 초등 음악교육의 지역화 교육과정 운영방안 연구 -동두천 옛소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localized curriculum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Centered on Yet-Sori in Dongducheon-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이 성 옥 지도교수 신 혜 영 각 나라는 자국민의 정서가 담긴 독특한 문화를 공유하고 있으며, 독특 한 문화는 지역의 문화적 정서에서 비롯되므로 지역의 문화는 곧 세계의 문화로 이어나갈 수 있는 자양분이면서 기초 토대가 된다. 따라서 지역의 문화를 제대로 이해․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지 역화 교육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7차 교육과정에서 이미 지역화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일부 교과에서는 지역화 교육에 대한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음악분야에서는 지역화 교육과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동두천 옛소리를 정리하였고,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동두천 옛소리를 학년 단계에 맞게 학습내용을 선정․제시하였 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체계적으로 지도가 용의하도록 단계별 지도 방안 을 개발하여 독특한 우리 고장의 음악 문화를 이해하고 애향심을 고취시 키고자 하였다. 동두천 옛소리 지도방안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각 학년별 전통 음악 제재곡 분 석을 통하여, 동두천 옛소리를 지역화 자료로 대체해서 지도할 수 있는 제재 선정이 가능했다. 둘째, 동두천 옛소리의 학년별 지도방안을 개발하여 학교에서 음악시간이 나 특별활동 시간에 지도가 가능하다. 셋째, 동두천 옛소리의 지도 내용은 학년별로 교과서 수준에 맞고 대체 할 수 있는 자료로 3학년에서 훠나기 타령, 4학년에서는 새 쫓는 소리, 5 학년에서 물까부리, 논매는 소리, 6학년에서 지경다지 소리를 지도한다. 넷째, 동두천 옛소리의 감상과 가창 지도를 통하여 우리 고장의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가 비록 동두천 지역에 한하여 지역화 방안을 모색하였으나, 타 지역에서도 음악교육의 지역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나아가 이러 한 토속음악의 교육적 체험이 학생들에게 지역 음악문화의 소중함과 애향 심을 갖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자긍심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내러티브 분석
이성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긍심을 느끼며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서 살아가고 있는 연구 참여자 다섯 명을 인터뷰함으로써, 그들의 인생에서 발견할 수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서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정체성 형성 경험을 통하여 직업훈련분야에 종사하거나 직업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에 게 자긍심 있게 자기의 직업을 어떻게 살아내는 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 하는 데에 있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자긍심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의 직업정체성 은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서 나는 누구인가?’와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로서 내가 되고 싶은 사람은 누구인가?’에 대답함으로써 정의내릴 수 있 다. 두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총 여섯 가지,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자신과 맞음)’, ‘직업훈련 활동을 하면서 자긍 심을 느낌’, ‘교과 수업의 전문가로서 지속적 자기계발’, ‘학생들의 변화와 성장을 위한 전문가로서의 몰입’, ‘직업훈련 기회 창출을 위한 주도적 활 동’, ‘삶의 목표에 대한 지속적 추구’의 직업정체성이 발견되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자긍심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의 직업정체성 형성 경험을 입사 전, 입직, 성장, 성숙의 단계를 거쳐 시간적, 공간적 흐 름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탐구 와 더불어 그들을 둘러싼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내가 되고 싶은 사람은 누구인가?’에 대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은 직업훈련 분야에 입직하기 전에 성찰하는 시간을 가졌다. 자신의 성향과 기질을 파악할 수 있는 개개인의 경험부터 직업적 경험과 교육적 경험이 더해져 직업능력개발훈 련교사로의 입직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은 다양한 루트로 입직을 경험하였다. 입 직하여 정착하기까지 다양한 몰입경험을 거쳐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서 전문성을 쌓게 되었다. 셋째, 성장기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은 여러 가지 사건과 경험을 통 하여 비로소 이 직업을 자신의 업으로 받아들이고 맡은 바 직무를 탁월하 게 수행하게 된다. 그들은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서 직업정체성이 형성 되기까지 성장기를 경험하며 비상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직업능력개발훈 련교사들은 자신의 직무에 있어서 자긍심을 느끼며 자기 식대로 교육을 하였다. 이러한 교육 경험은 반복과 강화를 거쳐 그들로 하여금 주도적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가 되도록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긍심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은 성장을 경험하며 성숙기 에 이르게 된다. 성숙기에 이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에게 비치는 양상 은 타인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모습이다. 이들은 연령과 상관없이 일을 지속하며 삶에 의미를 추구하였다. 성숙기에 이른 이들의 모습에서 쉼과 휴식이 아닌 끊임없는 직업적 성취에 대한 갈구와 열정이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자긍심 있는 직업능력개발훈 련교사의 직업정체성 인식 구조와 직업정체성 형성 경험을 탐구함에 의의 가 있다. 또한 질적 연구인 내러티브를 통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라는 직업을 사랑하며, 자신의 삶을 충실히 살아내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 의 내면세계와 그러한 영향을 끼치는 경험을 살펴보았다는 데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다섯 명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은 갈등과 어려움과 같은 위기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자기 성찰과 탐구를 통하여 더욱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만드는 계기로 위기상황을 탈바꿈 시켰다. 자신만이 겪는 어려움이 아닌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서 누구라 도 경험할 수 있는 당혹스러운 사건, 교육적 어려움, 훈련생들과의 문제, 제도에서의 딜레마 등 다양한 이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선배 교사들이 어떻게 대처 하고 이겨냈는지에 대한 사례를 통하여 학습할 기회가 있다면, 교사 교육 의 준비 기간이 짧기 때문에 겪을 수 있는 어려움과 심리적 압박에 대하 여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섯 명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은 입직 전 후, 시점은 모두 다 르지만 교사로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직업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교육 경험 의 어떠한 면이 그들의 직업정체성을 보다 교사로 만드는 지에 대한 탐구 가 이루어져야겠다. 둘째, 후속 연구에서는 연령, 근무 기간, 소속 등에 따른 자긍심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을 대상으로 다양하고 개별화된 경험에 관해서 탐 구가 이루어져야겠다. 셋째, 직업훈련의 현장에서 검증을 거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방안과 정책 등에 대한 논의가 보완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 들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occupational identity and its formation experience by examining the narratives of the life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ith self-esteem. The first research question can be defined by answering ‘Who am I as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 and ‘Who do I want to be as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 In answer to the two questions, the following six types of occupational identity were found: ‘a positive image of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fits oneself)’, ‘I feel proud of myself while doing vocational training activities.’, ‘a teacher who continues to develop him/herself as an expert in the subject class’, ‘a teacher who immerses him/herself as an expert on student change and growth’, ‘a teacher engaged in leading activities to create opportunities for vocational training’, and ‘a teacher of continuous pursuit’.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experience of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ith self-esteem, was to be examined, taking into account the temporal and spatial flow, according to the stages of 4 – pre-entry, entry, growth and maturity. In summary, it is as follows. First,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had time to reflect on themselves before entering the field of vocational training. The fact that they reflected on themselves and their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experiences influenced their career choices as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Second,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entered this field through various routes. After a variety of immersion experiences, they gained expertise as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 Third, through various events and experiences,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finally accepted this job as their own business and performed their duties well. Fourth,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ith self-esteem experience growth and reach maturity. It is shown that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ho have reached maturity help others. They continue to work regardless of age and pursue meaning in life. In their maturity, they show their longing and passion for continuous professional achievement.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structure of occupational identity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its formation of self-esteemed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Second, when five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faced conflict and difficulty, they took the crisis as an opportunity to cement their identity as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If there is a chance to discover and learn examples of how senior teachers with solid occupation identity cope with these difficulties and overcome them, it will help vocational teachers under stress and pressures due to the short preparation of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is,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five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experience in teacher training has affected the formation of occupation identity. Further research should explore what aspects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have affected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Second, further study should explore various and individualized experiences for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ith self-esteem according to age, working period, affiliation, etc Third, discussions on practical and concrete plans and policies that have been verifi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training should be supplement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enhance the more positive image of them.
노인의 여가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이성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이 연구에서는 가치관의 변화와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른 사회와 가정에서의 역할 축소 및 상실의 문제에 노출되어있는 노인들에게 욕구에 부응하는 여가활동을 통하여 성공적 노화를 성취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일상생활, 취미문화, 노인상호교류, 사회단체영역의 여가활동과 대인관계를 알아보고 학문적 의의와 실천적 의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직접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을 방문하여 유의표집을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기기입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300부로 이 중 답변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51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49부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표본 T 검정, ANOVA,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노인의 여가활동은 높으며 일상적 대인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는 신체적 노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력, 월 수입, 배우자 유무에, 자녀 동거 유무, 종교 유무, 주택소유 유무, 직업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여가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는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노인의 여가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으로 취미문화생활, 사회단체활동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 회귀계수를 볼 때, 취미문화생활이 만족도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는 노인의 여가활동과 성공적 노화 간에 있어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효과는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대인관계를 통해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ist the elderly, who are exposed to the problem of role reduction and loss in society and family due to the change of values and the increase of life expectancy, to achieve successful aging through leisure activities that respond to needs. In order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this study examined daily life, hobby culture, elderly interaction, the leisure activities in social organiz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suggest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For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the investigator collected the purposive sample by directly visiting senior citizens centers and senior welfare cent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31, 2019 by self-entry method. Out of a total of 300 data collected, final 249 shee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ept for 51 which answered unsatisfactorily. A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 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are high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good. successful aging showed the highest physical aging. The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parental status, religion, housing, and occupation. The leisure activity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correlationshi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y of the elderly on successful aging includes hobby and cultural life and social organiz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it was found that hobby and cultural life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satisfaction. In add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leisure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eisure participation effects of the elderly had not only a direct effect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but also an indirect effect on the successful aging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연봉제가 확산되면서 조직의 공정성이 주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연공서열형 임금제도하에서는 근속년수에 따라 임금도 자연히 증가하는 지급 형태였지만 연봉제는 임금을 개인의 능력과 성과에 따라 차별하여 지급하는 임금제도이므로 조직 구성원이 조직공정성(organizational justice)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가를 파악하고 이러한 태도형성이 조직 유효성측면에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분석 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조직 구성원의 지각을 통한 태도 변화와 태도 변화가 가져오는 성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많았으나 본 논문에서는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공정성의 인식과 공정성 인식으로 인한 태도가 조직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 목적으로는 첫째, 조직 구성원의 조직 공정성 인식으로 분배공정성(distributive justice)과 절차공정성 (procedural justice ) 의 인식을 확인하고 조직 구성원들이 지각한 조직공정성이 연봉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확인하였고 둘째, 연봉제 근로자가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중 연봉만족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분석하였으며 셋째, 연봉제 기업의 연봉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평가자로서의 상사를 연봉대상자가 신뢰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사의 신뢰(trust in supervisor)를 통하여 조직공정성이 연봉 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포함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공정성이 높게 인식 될수록 연봉만족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에 대하여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것은 조직공정성이 연봉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기존의 연구들을 다시 확인하는 결과로서 기업의 조직공정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직공정성이 상사의 신뢰를 통하여 연봉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신뢰는 매개변수가 연봉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기각되었다. 조직유효성 측면에서 조직공정성에 상상의 역할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연구들에서 상사의 역할을 중요하게 다루는 연구들의 결론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또한 연봉만족이 높을 수록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의미를 요약하면 연봉제하의 조직구성원은 조직의 공정성 확보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것의 의미는 공정성확보가 연봉제 실시에 성패를 좌우하는 관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조직의 공정성이 연봉만족을 가져오는데 영향을 미치지만 연봉결정에 참여한 상사의 신뢰도가 높다고 하여 연봉만족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유효성변수로서의 조직몰입은 상사의 역할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상사의 신뢰도가 조직의 유효성에 새로운 변수로 연구대상이 됨을 확인 할 수 있다. As the annual salary system is starting to spread organizational Justice is becoming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In 8 pay based on position system, pay is gradually increased based on the number of years worked. However, pay in the annual salary system is based on individual abilities and results. Thus it i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to understand how members of organizations perceive organization Justice and to explore how this evolution of behavior influences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Since there has been lots of past research on behavioral changes and the resulting effects based on organizational members' perceptions, this dissertation will focus on organizational member's perceptions of Justice and how these perceptions influence organizational efficiency. The research objectives are, first to understand how organizational members view Justice in distribution and procedural Justice and how this in turn influences the members' satisfaction with their income. Second, to see which Justice factor, Justice in distribution or procedural Justice, has a larger impact on laborers' satisfaction with their income. Third, to see if laborers have trust in their superiors, who can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annual pay of the laborers. I also want to see he w trust in superiors influenc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income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I have used the above-mentioned theories to formulate my hypothesis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I found that as organization fairness increased satisfaction with income increased accordingly. I also found similar results with Justice in income distribution and procedural Justice. This confirms earlier studies that shows organizational Justice is an important factor in workers' satisfaction with their incomes and thus demonstrates that businesses must make a concerted effort in the area of organization Justice. Although I believed that in terms of organizational Justice, trust in superiors would have an in fluence on employee satisfaction with their incomes,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is was not the case and This theory was reject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efficiency, organizational fair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workers. Like other recent studies, I found that the role of the superior played an important role. I also found that as satisfaction with income rose, the more of an impact it ha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ummary, the points presented in this dissertation show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members under the annual salary system and the Justice in the organization, thus meaning that fairness is the key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annual salary system. I also found that although Justice plays a large role in determining the level of income satisfaction; trust in the superior, who may have a direct deciding factor in annual pay, does not seem to influence organizational members' satisfaction with their income, I suggest that in order to clarify exactly what the impact the level of trust in a superior has on organizational efficiency, further research must be conducted.
본고는 그간의 연구에서 다양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논의된 선어말 어미 ‘-겠-’에 대하여 그 핵심 의미, 곧 개념적 의미를 설정하고 이에서 파생되는 발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살핀 후 이를 바탕으로 실제 언어생활에서의 ‘-겠-’의 사용 양상을 텍스트별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고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텍스트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본고의 목적인 텍스트 유형에 따른 ‘-겠-’의 사용 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기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텍스트는 나름의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이에 따라 ‘-겠-’의 사용 양상이 달라질 것이므로 텍스트 이론을 먼저 살피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여 본고가 연구 대상으로 할 신문 기사, 신문 칼럼, 학술 논문과 일상 대화, 토론, 독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겠-’의 의미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설정된 ‘-겠-’의 개념적 의미가 발화에서 어떻게 해석되는지에 대해 기존 논문에서 사용된 예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겠-’의 개념적 의미는 ‘생각하다’이며 그동안 논의된 ‘-겠-’의 다양한 의미는 발화의 해석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논지이다. 발화에 대한 해석에서 다룬 내용은 그간의 연구에서 ‘-겠-’의 의미로 논의되었던 것들로서 ‘화자의 생각(정보)으로 인한 해석’과 ‘언어 맥락으로 인한 해석’ 그리고 ‘확대 해석’으로 구분됨을 살펴보았다. 이 중 ‘-겠-’에서 말미암는 해석은 ‘화자의 생각으로 인한 해석’인 ‘추측’, ‘의도’, ‘판단/의견’ 뿐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리고 ‘-겠-’의 특성으로 현재성을 들었고 관용적으로 쓰이는 ‘처음 뵙겠습니다’, ‘학교 다녀오겠습니다’ 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관용적 용법은 ‘화자의 생각’을 의미하는 ‘-겠-’이 화용 원리에 의해 ‘공손’의 의미를 드러내게 됨으로써 인사말로 관용화된 것으로 보았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실제의 언어생활 자료를 대상으로 텍스트 유형에 따른 ‘-겠-’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 자료로 사용된 것은 문어로 ‘신문 기사’, ‘신문 칼럼’, ‘학술 논문’이며 구어는 ‘일상 대화’, ‘토론’, ‘독백’이다. 실제의 언어 사용을 분석한 결과 문어에서의 ‘-겠-’의 사용이 극히 적었으며, 특히 신문 기사에서는 화자(필자)의 생각을 나타내는 문말의 ‘-겠-’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문어에서 ‘-겠-’이 가장 많이 사용된 텍스트는 ‘학술 논문’이며 모두 ‘판단/의견’으로 해석되는 문장들이었다. 이는 ‘학술 논문’의 텍스트성에 비추어 볼 때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구어에서는 ‘-겠-’이 활발하게 사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어의 분석 결과 기존 연구에서 핵심 의미로 논의되었던 ‘추측’이나 ‘의도’로 해석되는 발화는 그 수가 극히 적었으며 오히려 제대로 논의되지 않았던 ‘판단/의견’과 ‘화자의 현재 상태’로 해석되는 발화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겠-’의 핵심 의미를 ‘추측’과 ‘의도’로 파악했던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5장은 결론으로서 논문 작성의 진행 과정을 기술하고 논의 내용을 요약하였으며 논의를 통해 얻게 된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고는 ‘-겠-’이 포함된 발화의 다양한 양상을 체계화 하였고 실생활에서 사용된 언어 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라는 데 그 의의를 둔다.
컴퓨터 학습 방법과 문제해결능력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고용노동부를 비롯한 정부 각 부처는 상당한 예산으로 청년층을 포함한 다양한 스펙트럼의 실업자에게 컴퓨터 전문 IT 분야의 직업훈련을 지원, 인적자원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학습자들의 서로 다른 학습유형과 학습전략 등을 파악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개개인의 문제해결능력에 어떻게 작용하는 가를 분석하여, 컴퓨터분야 전문직 취업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대상에 있어서 어느 한 집단에 국한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다른 성별과 연령 등을 포함한 학습 유형에 대한 연구, 즉 학습 환경과 배경이 전적으로 다른 경우는 여러 가지 이유로 연구되지 않았다. 제한적인 연구대상으로 인한 연구결과가 전반적인 학습자에게 적용된다는 가정 또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이다. 학습전략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상관관계는 다뤄졌으나, 각각의 하위 요소간의 관계성을 다룬 사례를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직업훈련기관의 컴퓨터 학습자 117명의 표본으로 다양한 배경의 컴퓨터 학습자들의 학습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 총 23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비롯하여, 인지조절과 행동조절변인으로 구성된 학습전략 검사, 문제해결자신감, 접근-회피방식, 개인의 통제력을 포함하는 문제해결능력검사가 실시되었다. 분석결과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학습전략과 문제해결능력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획득이라는 도구적이고 외부적인 목적보다 우위에 있는 것은 내면적인 동기-지적호기심과 개인의 의지에 있었다. 또한 그룹스터디를 선호하는 학습자들의 경우, 양쪽 모두 우위에 있었다. 일만시간의 법칙의 실천의지와 학습코치와 롤모델의 유무에 따라 결과 값에 차이가 나타났다. 학습전략과 문제해결능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학습전략의 하위요인인 점검, 시간과 공부조절, 조력추구전략의 세 요인이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발견된 유의미한 학습전략의 3가지 요인은 컴퓨터교육 학습현장에서 교사와 학생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내용이므로, 데이터 분석을 통한 결과를 종합적인 문제해결능력과 관련지어, 컴퓨터 학습자들의 최종 목표인 IT 계통 취업을 달성할 만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성장이 끝난 암컷 흰쥐에 합성 에스트로겐과 Isoflavone을 투여하여 고지방 식이에 의한 동맥경화 발병 위험 인자의 감소를 동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조군, 에스트로겐 투여군, Isoflavone 투여군으로 나누어 혈장 지질 및 에스트로겐 농도 변화와 체지방 축적 변화등을 관찰하고, 에스트로겐이 보유하고 있는 NOS유전자 발현능력을 Isoflavone 투여군에서도 관찰하였고, 혈관내에 손상을 입게 되면 발현이 증가되는 ICAM-1 발현량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에 비해 합성 에스트로겐, Isoflavone을 각각 투여한 군에서 식이 섭취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은 대조군에 비해 Isoflavone을 투여한 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 장기 무게는 심장의 무게가 Isoflavone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신장의 무게는 합성 에스트로겐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다른 장기들은 실험군들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혈장 지질 수준에서 TG는 세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TC, LDL-C는 합성 에스트로겐을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HDL-C도 합성 에스트로겐을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Isoflavone을 투여한 군이 합성 에스트로겐을 투여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4) 혈장 에스트로겐 수준은 각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5) 면역염색법에 의한 심장혈관 내에 eNOS의 발현은 각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6) Western blot 분석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뇌조직 내의 nNOS 발현량은 Isoflavone을 투여한 군에서 증가하였다. 7) Western blot 분석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심장과 자궁에서의 eNOS 발현량은 각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8) Western blot 분석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대동맥에서의 ICAM-1 발현량은 Isoflavone군에서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 Isoflavone은 총 콜레스테롤 저하 능력이 합성 에스트로겐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고, HDL-C은 증가하는 능력을 보여 합성 에스트로겐 못지 않는 혈장 지질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Isoflavone의 높은 nNOS의 발현 능력 및 대동맥에서의 ICAM-1 발현 억제 능력은 Isoflavone이 에스트로겐에 못지 않은 항동맥경화 물질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The anti-atherosclerotic effects of supplementing synthetic estrogen or Isoflavone a phytoestrogen on full grown female Sprague-Dawley rats fed a high fat diet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fed control diet or estrogen supplemented diet or Isoflavone supplemented diet. After feeding each diet to the rats for 28 days, body weight and fat accumulations, blood lipid profiles, blood estrogen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Also, the degree of expressions of NOS in Isoflavone fed rats comparable to the estrogen fed rats, and the expressions of ICAM-1, one of the indicator protein of artery damage in atheroscleros were determin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average daily food intakes of estrogen and Isoflavone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total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lowered in Isoflavone group. 2) Among various organ weights, the mean value of heart was decreased in Isoflavone fed group, and that of kidney was decreased in estrogen f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Among various plasma lipid concentrat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G concentrations. However,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in estrogen group. In Isoflavone fed group, HDL-cholesterol was increased without affecting other components. 4) The plasma estrogen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5) The expressions of eNOS in heart muscle measured by immunohistochemistry analysi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6) The expressions of nNOS in brain were lowered in estrogen fed rat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Isoflavone feeding enhanced nNOS expression in brain. 7) The expressions of eNOS in heart and uteru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8) The expressions of ICAM-1 in aorta were lowered in Isoflavone fed rat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estrogen. From these results, Isoflavone seemed to have desirable effects on blood lipid profiles against atherosclerosis mainly by enhancing HDL-cholesterol despite its lack in lowering the total cholesterol levels possessed by estrogen. Isoflavone seemed to exert anti-atherosclerotic capacities through the enhanced expression of nNOS in brain and decreased ICAM-1 expressions.
미술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성옥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이 연구는 미술치료를 통하여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로 이를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를 통해 정신지체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미술치료를 통해 주의집중 지속시간이 향상될 것이다. 연구에 앞서 정신지체인의 미술치료와 주의집중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후에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주의집중력 검사로 첫째, 매 회기마다 각 아동의 행동특성을 관찰 기록하여 변화과정을 정리하였고, 둘째, Conners가 개발한 교사용 평정척도(CTRS: Conners Teacher Rating Scales)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셋째, 주의집중 지속시간을 매 회기마다 기록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1회 20회기동안 친밀감 형성, 긴장감 해소, 자기인식 표현과 함께 주의집중력 향상에 목표를 두고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정신지체아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미술활동 단계별로 유아의 행동을 관찰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주의집중력과 과잉행동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 교사가 평가한 코너스 평정척도(Conner's rating scale)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점수가 낮아졌다. 즉 미술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주의력 결핍 행동변화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미술치료는 정신지체 아동의 주의집중 지속시간 향상에 효과가 있다. 연구대상 아동의 주의집중 지속시간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증대되었다. 결과를 살펴볼 때 정신지체 학생들도 그들의 장애특성을 고려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내용 및 지도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주의집중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effects on attention/concentration in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art therapy and the purpose is as following : First, art therapy will improve attention/concentration in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art therapy will prolong the duration of attention and concentration. A attention-concentration test based on previous studies was performed as measurement method. First, we arranged change process by observing and recording each child's behavioral characters on each session. Second, we perform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s as a pre-and post-test. Third, we recorded the duration time of attention-concentration on each sessions. Art therapy program sets its goal at improvement in attention/concentration as well as development of social familiarity, relaxation, and presentation of self-perception through art therapy one per week during twenty sessions. Study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processes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ing: First, to assess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improvement in attention/concentration in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a child's behavior was observed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each stage of art activities, showing improvement in attention/concentration and reduction in hyperactivity. Second, results of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before/after test of Conner's rating scale which was assessed by patients and teachers showed that post-test was higher in score compared with pre-test ; we can tell that art therapy influences changes in attention deficit behaviors in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Third, art therapy improved the duration time of attention/concentration in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The duration time of attention/concentration in a child involved in this research was prolonged with art therapy program. From the results, I think that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an also improved their attention/concentration by develop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art therapy program in consideration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by applying these to them.
남자 고등학생의 배구 오버핸드 서브 동작에 대한 숙련자와 비숙련자 간의 운동역학적 비교 분석
이성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이 연구는 남자 고등학교 숙련자 12명과 비숙련자 12명을 대상으로 영상분석 장비와 지면반력 장비를 이용하여 오버핸드 서브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운동역학적 요소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운동학적 변인에 대한 분석 첫째, 구간별 소요 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거리 변인에서 수직(Z)축 방향의 이동거리는 공을 토스하는 국면에서 숙련자 집단이 비숙련자 집단에 비해 약 5cm 정도 더 높으며 공이 정점에 닿는 순간 신체 중심의 이동거리 역시 마찬가지로 숙련자 집단이 약 6cm 정도 높게 나타났다. 손바닥과 공이 접촉하는 임팩트 국면에서 숙련자 집단이 약 6cm 높은 위치에서 임팩트를 하였으며 숙련자는 약 7cm 높은 위치에서 팔로스로우 국면을 마무리 하였다. 셋째, 속도 변인에서 신체중심의 전·후 방향 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각도 변인에서 손목관절각도는 서브를 하기 위해서 공을 토스하는 순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숙련자 집단이 약 7deg 정도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각속도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운동역학적 변인에 대한 분석 첫째, 왼발의 좌·우(Fx) 지면반력 성분 변화에서 서브한 공이 정점에 닿는 국면(E2)에서 숙련자 집단이 비숙련자 집단보다 약 10N 더 큰 힘이 나타났다. 둘째, 왼발의 전·후(Fy) 지면반력 성분 변화에서 손바닥과 볼이 접촉하는 임팩트 국면(E3)에서 숙련자와 비숙련자 모두 후방(-Fy)으로 힘이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숙련자 집단이 약 43N 더 큰 힘이 나타났다. 셋째, 왼발의 수직(Fz축) 지면반력 성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오버핸드 서브 동작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네트보다 높게 손목으로 가볍게 토스하고 백스윙 시 오른손의 팔꿈치가 귀 근처까지 오도록 손목을 젖히며 임팩트 시 팔꿈치를 위로 올려 완전히 뻗은 다음 타점을 높여 서브 실수를 줄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또한 임팩트 시 지면반력을 통해 얻어진 에너지를 신체 분절을 통해 상체에 효율적으로 전달 할 수 있도록 왼발의 중심에 체중을 집중하며 임팩트 이후 안정적인 팔로스로윙을 통해 신체에 남아있는 운동량이 안전하게 사라지도록 지도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