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할인매장에서 판매되는 즉석조리식품의 공정분석을 통한 HACCP 관리기준 설정

        이성애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부의 가사노동시간 경감 필요성과 편의식 요구도 증가로 인한 할인매장에서 판매되는 즉석조리식품 활성화에 따라 점차 저변화되는 즉석조리식품의 위생적인 생산 및 유통관리를 통해 소비자에게 보다 간편하고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생산과정에서 HACCP system 매뉴얼을 적용하여 조리공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품질관리기준을 설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A사의 할인매장 내 즉석조리식품의 조리공정을 FDA에 근거하여 5가지로 분류하였고, 각 조리공정별 생산단계에서 중요관리점을 예측하여 각 단계에서의 온도-소요시간을 측정하고, 미생물 분석으로는 표준평판균수, 대장균군수를 측정하고 대장균, 살모넬라균, 포도상구균의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조리종사자 위생습관은 메뉴선정, 검수, 냉장 및 냉동보관, 세척 및 소독, 해동, 조리, 후처리, 진열 및 포장 등 총 32문항으로 구성된 관찰 평가지로 조사되어 5점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즉석조리식품의 generic HACCP plan과 중요관리점 관리기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즉석조리식품의 조리공정은 공정Ⅰ: 비가열조리공정, 공정Ⅱ: 가열조리공정, 공정Ⅲ: 가열조리·냉장·후처리공정, 공정Ⅳ: 가열조리·냉장·재가열·후처리공정, 공정Ⅴ: 복합 공정의 5가지로 분류하였다. 2. 즉석조리식품의 공정별 소요시간-온도 측정 결과 원부재료 검수시 온도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아 품질 확인의 문제점이 제기되며, 공정Ⅱ,Ⅴ에서 냉장·냉동고 저장 온도의 표준편차를 볼 때 온도관리가 일률적으로 관리되지 않았으며, 각 공정별 포장 및 진열은 후처리와 연계되어 소요시간과 온도의 편차가 높게 나타나 중점 관리가 요구되었다. 3. 즉석조리식품의 각 생산단계별 미생물 분석 결과 세척한 채소류에서 대장균군 6.1×10^(3)(CFU/g), 절단·혼합한 채소류에서 표준평판균수 2.0×10^(5)(CFU/g), 대장균군수 6.7×10^(3)(CFU/g)로 관리기준치를 초과하였고, 족발의 후처리시 대장균군이 1.7×10^(3)(CFU/g)로 다량 검출되었다. 외부 공급업체에서 납품되어 추가 가열공정이 없는 김밥용 오이, 당근, 삶아으깬 감자에서 각각 2.4×10^(3)(CFU/g), 2.7×10^(4)(CFU/g), 9.2×10^(4)(CFU/g)의 대장균군이 검출되었으며, 삶아으깬감자에서는 일반세균도 2.0×10^(5)(CFU/g)검출되었다. 분석 대상 전 식품에서 대장균, 살모넬라균, 포도상구균은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4. 즉석조리식품 생산 과정시 조리종사자의 위생습관 관찰 결과 수세습관 불량, 1회용 장갑 사용시의 낮은 교체율 등의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비위생적인 행동들이 관찰되었다. 5. 즉석조리식품의 중요관리점(CCP)은 각 공정별로 결정되었다. 공정Ⅰ: 메뉴선정, 검수, 생채소·과일의 세척 및 소독, 조리, 포장 및 진열, 조리종사자의 개인위생 단계, 공정Ⅱ: 검수, 저장, 해동, 조리, 포장 및 진열, 조리종사자의 개인위생과 식품 접촉 표면의 세척 및 소독 단계, 공정Ⅲ: 메뉴선정, 검수, 후처리, 식품 접촉 표면의 세척 및 소독 단계, 공정Ⅳ: 저장, 재가열, 후처리, 포장 및 진열과 개인 위생과 취급습관 단계, 공정Ⅴ: 메뉴선정, 검수, 생채소·과일의 세척 및 소독, 조리, 후처리, 포장 및 진열, 조리종사자의 개인위생과 식품 접촉 표면의 세척 및 소독 단계로 규명되었다. 6. 규명된 중요관리점에 입각하여 개선한 generic HACCP plan의 중요관리점은 메뉴선정(CCP1), 검수(CCP2), 식재료의 냉장·냉동보관(CCP3), 생채소·과일의 세척 및 소독(CCP4), 해동(CCP5), 조리(CCP6), 후처리(CCP7), 포장 및 진열(CCP8), 개인위생(CCP9), 식품접촉 표면의 세척 및 소독(CCP10), 공급업체 선정 및 관리(CCP11)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CCP확인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즉석조리식품의 메뉴 선정 시 사용되는 원재료가 PHF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 후 공정분류에 입각하여 생산공정을 사전에 검토한 후 최종적으로 메뉴 도입 여부를 결정하는 사전 검토작업이 요구된다. 2. 원부재료 검수 시 육안검사 뿐만 아니라 식품의 내부 온도 확인, 최종 조리시의 식품 중심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용 온도계와 확인점검표를 구비하여 매일의 일상적인 위생관리체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3. 본 연구에서 설정한 즉석조리식품의 generic HACCP plan을 기본으로 하여 실제 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중앙 부서에서 HACCP system을 잘 알고 이를 철저히 수행 할 수 있는 책임자를 선정하여 관리기준에 근거한 각 CCP 지점에서의 확인표 점검과 조리 종사자의 위생적인 음식 취급 습관, 식품과 기구에 대한 철저한 세척과 올바른 소독에 대한 실천을 위한 지도가 요구된다. 4. 조리된 식품의 외부 공급업체 선정 시 즉석조리식품의 generic HACCP plan과 관리기준을 근거로 선정할 것이며, 업체 선정 후 식품을 공급받는 시점에서도 수시 방문이나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여 계속적인 위생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nd assure quality of Home Meal Replacement(HMR) foods sold in General Merchandise Stores(GMS) of A corporation through HACCP-based sanita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anagement.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After reviewing production flow of HMR menu items sold in GMS operations of A corporation, cooking processes of HMR menu it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processes based on FDA's process approach. HACCP-based critical control points(CCPs) of each cooking process were identified by measuring time-temperature ; by analyzing microbiology of total plate count, coliform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E. coli, Salmonella and S. aures and by evaluating employee sanitary pract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ies, a generic HACCP plan and sanitary management guidelines of determined CCPs for HMR foods were develop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oking processes of HMR foods are classified into 5 types. Those are ProcessI : non-heating process, ProcessII : heating process, ProcessIII : heating → cold storage → after-heating treatment, ProcesslV: heating → cold storage → reheating → after-heating treatment and ProcessV : complex process. 2. The results of time-temperature measurement of HMR foods items by each production phase showed that proper temperature measurements were not conducted for inspection of raw ingredients at receiving, temperatures of refrigerator and freezer were not controlled regularly, and abused temperature management practices were observed in packaging and displaying phase. 3. According to microbiological analysis of HMR foods items by each production phase, the number of coliforms exceeded the microbial limits in washed vegetables(6.1×10^(3)CFU/g), cut and mixed vegetables(6.7×10^(3)CFU/g) and sliced Jokbal(1.7×10^(3)CFU/g) and the number of total plate counts also did in cut mixed vegetables(2.0×10^(5)CFU/g). In outsourcing food ingredients without further heating process, the number of coliforms exceeded the microbial limits in cucumber for Kimbap(2.4×10^(3)CFU/g), carrot (2.7×10^(4)CFU/g), mashed potato(9.2×10^(4)CFU/g) and the number of total plate counts also did in mashed potato(2.0×10^(5)CFU/g). E. coli, Sam onella and S. aureus were not detected in all production phases. 4. Poor sanitary practices of employees were observed in washing hands and using disposable gloves especially in all five processes. 5. CCPs of HMR according each 5 cooking process were determined as followings; Process I :selection of menu items, receiving, washing and sanitizing of fresh vegetables and fruits, cooking, packaging and display, and employee personal hygiene, Process II : receiving, storage, thawing, cooking, packaging and display, employee personal hygiene, and cleaning and sanitizing of food contact surfaces, Process III : selection of menu items, receiving, , after-heating treatment, and cleaning and sanitizing of food contact surfaces, Process IV : storage, reheating, after-heating treatment, packaging and display, and employee personal hygiene, Process V : selection of menu items, receiving, washing and sanitizing fresh vegetables and fruits, cooking, after-heating treatment, packaging and display, employee personal hygiene, and cleaning and sanitizing of food contact surfaces. 6. Based on identified critical control points, generic HACCP plan for HMR in GMS were developed as following 11 CCPs ; selection of menu items(CCP1), receiving(CCP2), refrigerator- freezer storage of food ingredients(CCP3), washing and sanitizing fresh vegetables and fruits(CCP4), thawing(CCP5), cooking(CCP6), after-heating treatment(CCP7), packaging and display(CCP8), employee personal hygiene(CCP9), cleaning and sanitizing food contact surfaces(CCP10), and vendor selection and control(CCP11).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ed generic HACCP plan, sanitary management guidelines and worksheets for monitoring CCP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suggestions would be recommended. 1. The menu item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considering whether food ingredients of each menu item are belong to potentially hazardous foods(PHF) or not. PHF must be excluded from the HMR menu items sold in GMS if they cannot be properly controlled in production phases. 2. Thermometers for measuring internal food temperature and monitoring worksheets were required to avoid temperature abuse in receiving and cooking phase. 3. Sanitary manager with competent HACCP system capabilities should be placed in central quality control department of GMS to implement developed generic HACCP plan effectively. Especially educating and training employees about monitoring method of critical control points, safe food handling practices and proper cleaning and sanitizing procedures for food and food contact surfaces are very important. 4. Suppliers of outsourcing food ingredients without further heating proces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based on generic HACCP plan and sanitary management guidelines and constant routine sanitary auditing on selected suppliers should be maintained through often visiting vendor companies and microbiological tests for outsourcing food ingredients.

      • 카본나노튜브와 금속 나노입자를 이용한 전기화학 (바이오)센서의 개발

        이성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단일막 탄소나노튜브는 뛰어난 전기적, 기계적, 열적, 광학적 성질을 바탕으로, 최근 전극 재료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탄소나노튜브의 우수한 광학투명도와 전기전도도를 기반으로 한 박막 형태의 전도성 투명재료로서의 적용은 전자공학, 촉매 및 센서 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전극으로 이용한 센서는 예전부터 사용해온 탄소 전극보다 더욱더 좋은 감도, 낮은 검출 한계와 빠른 전자전달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금속 나노입자와의 결합을 통해 낮은 전압에서 바이오/케미컬 분자의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전기화학적 감도를 향상시키는 전기화학센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탄소나노튜브와 금속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센서를 개발하였다. 우선, 전기화학 증착법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기판 위에 환원제와 보호제 없이 입체적인 꽃모양의 백금 입자를 제작하였다. 백금 입자의 형태와 크기는 가하는 전압과 감광성 고분자의 패턴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백금 입자가 패턴된 탄소나노튜브 필름은 전기화학적 센서로 적용하여 메탄올, 에탄올과 혈당을 측정하였다. 또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마크로플루이딕 시스템에 접목시켜 금속 입자를 합성하고 전기화학분석을 통해 실시간으로 타겟 물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금속 나노입자는 전기화학적 증착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안에서 원하는 위치에 합성할 수 있었고 전기화학적 촉매물질로 사용하여 혈당과 중금속 물질 (As)의 함량을 정확히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플루이딕 pH센싱 칩을 개발하였다. 탄소나노튜브 박막은 작업전극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pH 센싱 막으로도 사용되었다. 반도체 성질을 띄는 탄소나노튜브가 pH값이 변함에 따라 전자구조가 변하게 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탄노나노튜브 작업전극과 Ag/AgCl 기준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pH 전극으로서의 활용도 제시하였다.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have been the focus of significant research as promising electrode materials due to their remarkable electrical, mechanical, thermal, and optical properties. Due to these outstanding properties, SWCNT films have been employed as a new class of optically transparent and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s in electronics, catalysis, and sensing applications. CNT-based sensors generally have higher sensitivity, lower detection limits, faster electron transfer kinetics than traditional carbon electrodes. Moreover, the utility of novel metal nanoparticles to modify SWCNT electrode surfac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electrochemical sensors for bio/chemical molecules. The electrocatalytic properties of metal nanoparticles could decrease overpotential of some reductions or oxidations and further enhance the electrochemical responses greatly. In this dissertation, we developed electrochemical sensors based on SWCNT and metal nanoparticles. First, three-dimensional flower-like platinum particles were fabricated directly on flexible, transparent SWCNT films using a simple electrochemical method without the addition of a reducing or protecting agent. The size, shape, and uniformity of the platinum structures were effective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pplied potential, the pattern size of the photoresist polymer, and the deposition time. The as-prepared platinum particles-patterned SWCNT film was successfully used as an electrochemical sensor to detect methanol, formic acid and glucose. Furthermore, we report a novel method for in situ synthesis and integration of nanostructures within the microfluidic device and then real-time target monitoring by electroanalytical methods. Gold nanoparticles were directly fabricated on SWCNT electrode by electrochemical deposition at accurate position of working electrode within sealed microfluidic channels, and used as electrocatalytic materials for non-enzymatic glucose detection and suitable sensing surfaces for ultratrace As(III) detection. Finally, microfluidic pH-sensing chip was fabricated by integration with SWCNT film. The SWCNT thin film acted both as an electrode and a pH sensitive membrane. A pair of miniature SWCNT working electrode and Ag/AgCl reference electrode generated electrical potentials in solutions by electronic structure change in semiconducting SWCNTs responding to their pH level.

      • 보건소이용자의 지역보건의료서비스 만족에 관한 연구 : 경북 칠곡군보건소를 중심으로

        이성애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보건소는 건강에 대한 국민의 의식 변화를 비롯하여 아동인구의 감소, 평균수명의 증가, 노인인구의 증가, 도시인구의 집중화, 질병양상의 변화, 보건의료자원의 증가 등의 보건환경변화와 지방자치제 실시 등 환경변화에 대응 할 수 있는 보건소 기능 활성화가 요구 된다. 이에 발맞추어 정부에서는 1995년도에 보건정책을 강화하였으며 지역주민들과 가장 밀접하고 접근성이 높은 공공보건기관인 보건소의 기능을 확대하기 위하여 보건소법을 지역보건법으로 전면 개정하면서 국민 모두가 건강하고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그동안 미흡했던 건강증진사업 등 기본적인 건강서비스를 개발 · 확대해 나감으로써 보건소가 지역주민에 대한 1차 건강관리 기능과 함께 새로운 보건의료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해 나가는 시점에 서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에 대한 군민들의 다양한 욕구와 시대 · 사회적인 요구를 바탕으로 보건소를 이용하시는 분들을 대상으로 보건소를 이용하게 된 이유, 1년간 이용횟수, 보건소업무 중 가장 많이 활용하는 부서, 비밀보장, 보건교육 만족도 등에 대해 보건소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통해 작성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근거로 보건의료서비스의 문제점 도출과 아울러 만족도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공공보건가관으로써 지역주민을 위해 보다 나은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한다. 그러나 연구의 대상자가 경상북도 칠곡군 주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 조사 결과를 기초자료 활용으로는 적절 하다라 고 생각하나 조사 대상자를 보건소를 이용하는 자들로 표본으로 삼았기 때문에 전체 칠곡군민의 만족도 제고 방안이라고는 어렵다는 게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하겠다. Modern public health center requires activation of its functions so as to respond to the changes of health and medical environment such as change of national awareness of health, reduction of children population, extension of average lifespan, increase of senior population, centralization of urban population, changes of disease patterns, increase of health and medical resources etc., and environment changes including execu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To keep up with such trend, in 1995 the government built up health policy, and totally revised the public health center law and converted it to the local health law to expand the functions of public health center, which used to be one of the public health institutions, to which local residents were the closest and had high access. Now public health center is re-establishing its new functions and roles to positively cope with new health and medical needs together with a function of the primary health management for local residents by developing and expanding basic health services such as health improvement projects which have not been sufficiently executed so that each of the nationals could enjoy healthy and human life. Consequ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public health center users through questionnaires on why they have come to use health center, how many times they use it per year, which division of the health center they use most frequently,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confidentiality and what they think of health education etc. to grasp the citizens' various desire and chronological, social demands for health services. Based on the result, the writer intends to find out problems i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present how to improve them depending on how much they are satisfied, and make use of them later as basic data to provide local residents with better health and medical services. It's regretful, however, that the result of satisfaction with health and medical services may be properly used as basic data in that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citizens of Chilgok-gun, Gyeongsangbuk-do but it's difficult to say that the writer has presented how to improve satisfaction of the whole Chilgok-gun citizens since the samples are limited to the users of public health center.

      •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CoP)의 사회적 네트워크ㆍ지식공유ㆍ학습전이 구조 연구

        이성애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가 학습요구에 대처하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무형식 학습과 지식의 공급처로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써 실천공동체의 의미와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에 참가하는 사람들의 학습전이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지식 공유와 학습전이에 미치는 관계에서 지식 공유의 매개효과를 구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했다. 선행연구는 실천공동체, 사회적 네트워크, 지식 공유, 학습전이 이론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에서 제시된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연구를 위해 공간적, 시간적, 내용적인 연구범위로 구분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지역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광역단위의 문화재단 15개 중 담당자의 협조를 받은 4개의 문화재단과 지역의 비영리 예술교육 단체이다. 시간적 범위로는 2016년 10월부터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실시하였고, 2017년 4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지역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기획자, 강사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지식 공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의 지식 공유는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지식 공유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지역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실천공동체의 의미와 효과에 대해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실천공동체로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그로 인해 네트워크가 확장되면, 유용한 정보를 얻음과 동시에 자신의 업무에 적용하면서 변화된 개인의 행동까지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습한 내용을 다른 상황에서도 적용 및 활용하면서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성장과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사려 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식 공유, 학습전이의 관계만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더불어 일부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단체와 대상자들에 한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폭넓은 대상을 조사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

      • 호미바바(Homi K. Bhabha)의 혼종성(hybridity)을 통한 종교성 재구성에 관한 연구

        이성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구 중심 종교성(기독교)의 무비판적 수용으로 인해 자기 기만적이고 타자를 향해 폭력을 일삼는 종교성을 지닌 한국의 종교성을 탈식민적 관점을 통해 분석하고, 이로부터의 해방을 위하여 호미바바(Homi K. Bhabha)의 혼종성(hybridity)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종교적 인식론의 틀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동기는 “‘신에 대한 사랑과 이웃 사랑’을 강조하는 종교가 왜 배타적이고 폭력적인 태도를 취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보다 근본적인 질문은 “어떠한 인식을 통해 신의 이름으로 배타와 폭력이 자행되는가?”이다. 이 질문에 대해 필자는 호미바바의 혼종성에서 해답과 대안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종교의 배타성과 폭력성의 문제와 그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서구 종교의 물상화 과정과 주체성의 문제를 논의했다. 그 결과 한국의 종교성이 서구 종교성에 의해 식민화 현상에 놓여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식민화 상태에 놓인 종교성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해 호미바바의 혼종성 논의와의 접목을 시도했다. 배타성과 폭력성의 문제의 원인이 되는 인식의 근저에는 본질주의, 순수주의, 절대주의라는 의식이 자리하고 있었는데 이는 종교를 가진 주체로 하여금 배타와 폭력성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도록 만드는 요인이다. 그러나 호미바바의 혼종성은 배타성과 폭력성의 정당성이 더 이상 성립될 수 없음을 주장한다. 왜냐하면 바바의 혼종성에 의하면 본질주의, 순수주의, 절대주의의 토대가 양가적이고 혼종적인 주체의 ‘환상과 상상’을 통한 이항대립의 접합으로 탄생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종교의 핵심이자 터부시 되어온 ‘본질’이라는 장소를 해체시킨 결과 인식의 틀은 완전히 초토화 되었다. 그렇기에 대안적 인식의 틀이 필요한데, 이를 제3의 공간으로 찾아볼 수 있다. 제3의 공간은 혼종이 위치하는 장소로써 시공간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교섭과 전이가 이뤄지는 곳이다. 이 공간에서는 기존의 배타성과 폭력성을 가능케 했던 이분법적 사고가 불가능하다. 이 공간은 탈(脫)중심화, 연결성, 관계성, 개방성, 보편성, 혼종성, 양가성이 혼재하는 위치이기에 ‘보편’을 향하는 장소가 된다. 이 장소에서 종교적 인식이 이뤄질 때에 비로소 종교는 해방으로, 나아가 희망으로 자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igiosity of Korea with a violent religiosity toward the others and self-deception due to uncritical acceptance of Western central religious (Christian) through the postcolonial perspective and to present a framework for a new religious epistemology and looking at Homi Bhabha‘s the concept of hybridity to the liberation from it. Motivation of this study began in this question: "the Religion that emphasizes love your neighbor and love God, Why does it take exclusive and violent behavior?" The more fundamental question is "what cognition does exclusion and violence perpetrate in the name of God?". For this question, I find the answers and alternatives from the hybridity of Homi Bhabha. To analyze the issues and the process of exclusivity and violence of Korean religion, this study discussed the issue of subjectivity and reification process of Western religion. As a result, the religiosity of Korea lies in the colonization phenomenon by the Western religiosity was found. And I have tried to combine with Homi Bhabha's hybridity discuss for liberation from the religiosity in the colonization status. Underlying the recognition that is causing the problem of exclusion and violence, there are consciousness of essentialism and purism, absolutism, those are factors that make the subject with religion can never be free from exclusion and violence. However hybridity of Homi Bhabha argues that the justification of exclusivity and violence can not be valid any more. According to the Homi Bhabha's hybridity, because essentialism and purism, absolutism, those are born from a result of joining the binary opposition through 'fantasy and imagination' by the hybrid ambivalence of the subject. As a result the core of religion and taboo-ed 'essence' of religion which have been dismantled, recognition frame has been completely devastated. So it needs a frame of the alternative recognition, it can be seen in this third space. The third space is constantly negotiating and transition goes where in the flow of time and space as a place for hybrid location. Dichotomous thinking that enables the existing exclusion and violence is impossible in this space. This space is decentralized, connectivity and relationships, openness, universality, hybridity, ambivalence is a mixed position, so it becomes the place towards the 'universal'. when religious recognition achieved in this place, Finally religion will finally be able to go to the desired place and to liberate.

      • 인지 발달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 디자인교육 방법 연구 : 혼합연령 종일반 중심으로

        이성애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지 인간의 삶의 지혜의 원천은 정신과 삶에 중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준의 가치관과 우리 주위의 물리적 세계, 그리고 인간의 탐구심으로 축적한 지혜라고 주장한 코메니우스(John. Amos Comenius)는 교육은 모든 사람을 형성하고 성장시킬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세계를 이롭게 한다고 주장 하며 특히, 유아기의 경험과 교육적인 부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 하고 있다. 현대의 디자인은 더 이상 특별한 영역이 아닌 우리 생활에서 모두가 누리는 하나의 문화로 인식되어 개인과 사회의 중요한 의사소통으로써의 가치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적 문화를 지향하면서도 현재의 디자인교육은 문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개인의 삶을 통한 내적 동기에 의한 디자인교육이 아닌 외적 동기에 의한 미술교육, 창의성교육, 영재교육 등의 일환으로 간주되거나 고등교육기관이나 전문기관에서의 미시적 차원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기술교육, 전문교육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모두가 누리는 문화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지는 의사소통의 도구인 디자인이란 영역을 발달적으로 가장 중요한 시기인 유아기에 개인의 삶을 반영하는 의미 있는 디자인 교육활동을 적용하여 사회적, 교육적 측면에서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방법적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발달과정이 이루어지는 시기는 유아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육환경 및 활동은 가정의 교육환경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등 사회구조의 변화로 교육적 기대와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 되고 있는 유치원 혼합연령 종일반의 교육과정에 디자인교육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먼저 디자인의 본질적 가치를 재인식하고, 디자인교육의 가치와 인지발달이론을 근거로 한 유아기의 발달적 특성을 파악하여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되는 디자인의 개념에 중요한 근거가 되는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유아디자인교육의 연계성과 중요성을 제시하고, 국내·외의 디자인교육의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의 발달과 교육환경에 적합한 구체적 디자인교육의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한다. 결국, 유아디자인 교육은 디자이너의 육성을 위한 편중된 교육의 일환이 아 닌 유아 주변세계에 대한 스스로의 발견과 관찰적 경험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사고를 만들어 가면서 인간을 이해하고, 자연의 질서를 깨닫고 사랑하며, 자아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과정 속에서 디자인의 가치를 배우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인지 발달적 상호작용에 근거한 유아의 디자인적 교육 경험이 유아 개인의 삶속에서 또한 함께 하는 사회구성원과의 관계 속에서 중요한 가치가 될 수 있음을 알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를 위한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디자인교육 방법의 실제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Edvard Grieg Violin Sonata No.3 Op.45에 대한 연구

        이성애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의 중요한 음악사조인 민족주의(Nationalism)는 오랫동안 독일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던 서양음악의 큰 흐름에 일대 전환기를 가져다 주었고, 각 나라의 민족적 자각을 불러 일으켜 러시아 5인조(알렉산더 보로딘(Alexander Borodin, 1833-1877), 세자르 큐이(Cesar Cui, 1835-1918), 밀리 발라키레프(Mily Balakirev, 1837-1910),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Modest Mussorgsky 1839-1881),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Nicolay Rimskykorsakov, 1844-1908)와 체코의 안톤 드보르작(Antonin Dvorak, 1841-1904), 베드리치 스메타나(Bedrich Smetana, 1824-1884)등의 작곡가들을 당대의 중요한 인물로 부각시켰으며, 또한 노르웨이의 에드바르드 그리그(Edvard Grieg, 1843-1907)는 민족주의 정신에 입각한 불멸의 작품들을 작곡했다. 북구의 쇼팽이라고도 불리우는 그리그는 민족적 낭만주의 시대의 중요한 작곡가 중의 한 사람으로써 낭만주의 음악을 바탕으로 노르웨이의 민속음악과 그 나라의 국민성을 음악적으로 잘 승화시켜 노르웨이를 비롯한 스칸디나비아반도를 대표하는 민족주의 작곡가이있다. 그의 작품들에는 서정 가곡이나 피아노 소품에서부터 협주곡이나 교향곡까지도 모국의 민족적 정서가 스며들어 독특한 매력을 풍긴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민족적 정서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Violin Sonata No.3 Op.45를 연구해 보았다. Violin Sonata No.3 은 그가 이미 작곡가로서 성공한 후에 작곡된 곡으로 실내악다운 요소와 협주곡의 효과를 느끼게 하는 요소가 교착되어 있으며, 노르웨이 민속적 선율과 북유럽적 선율이 빈번히 사용된다. 이 곡은 소나타 형식임에도 불구하고 3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악장은 주제가 3번 나타나고 발전부가 없는 응용된 소나타 형식이다. 낭만주의 시대 작곡가들이 자주 사용했던 장· 단조 혼용화음으로 장조와 단조의 조성을 자유롭게 사용하였다. 이명동음을 통한 전조가 빈번하게 사용되었고, c단조의 Ⅴ도 화성이 지배적으로 나타나 있다. 제 2악장은 3부분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부분은 지극히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선율이 나타나며, 리듬은 느리고 2마디 단위로 화성이 바뀌며 선율의 음폭이 좁고, 평온한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는 층거리 꾸밈음이 자주 사용되었다. 두 번째 부분은 빠른 템포로 바뀌며, 첫 부분과 대조되는 선율과 리듬이 나타난다. 각 부분마다 강박의 변화와 템포의 변화, 그리고 잦은 조성의 변화까지 대조되는 분위기로 다채로운 면을 끊임없이 보여주고 있다. 제 3악장은 다시 발전부가 없는 소나타 형식으로 1악장과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2개의 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짧은 코다로 마무리된다. 이 곡은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동등한 위치에서 상호간의 모방을 통한 대위법적 요소가 많이 나타나 있고 선율과 리듬, 화성을 통해서 민족적 색채감을 표현했다. 자유롭게 조성을 사용하였고, 민족주의적인 음악적 내용의 특성이 잘 드러난 곡이다. 이 작품을 연구· 분석해 봄으로써 본인에게 얻어지는 음악적 지식과 그리그의 예술적 정신을 깊이 이해하고, 이 곡을 접하게 될 연주자들에게 이 작품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이 작품을 연구· 분석하게 되었다. Nationalism which is one of leading trends of music in 19th Century changed the main stream of western music that German had played an important roles for a long time. This trend awoke people to recognize their racial spirit and gave a chance to the five Russian musicians to express their music style such as Alexander Borodin (1833-1877), Cesar Cui (1835-1918), Mily Balakirev (1837-1910), Modest Mussorgsky (1839-1881), Nicolay Rimskykorsakov (1844-1908). In addition, Antonin Dvorak (1841-1904) and Bedrich Smetana (1824-1884) from Czechoslovakia was said to be leading composers at that time and Edvard Grieg (1843-1907) made immortal works based on the spirit of nationalism. Grieg who is called "Chopin of Northern area" is well known as one of important composers in the period of nationalistic romanticism because he made a success to harmonize Norwegian folk musics with national spirits on the basis of musics of romanticism. Almost of all his works from arias and short pieces of piano music to concertos and symphonies are attractive because they contain national spirits of his n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Grieg's national spirits in his music by analyzing his representative music, Violin Sonata No.3 Op.45.Violin Sonata No.3, composed when he became a renowned composer, shows characteristics of chamber music and effects of concerto as well as employs Norwegian national melodies and Northern European melodies repeatedly. Though this music employs sonata style, it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movement is so called a 'applied sonata' in regard of repeating theme three times and excepting development part. Moreover it is mixed-chord repeating freely major and minor which composers frequently used in the Romantic period. A transition through homophony is used very often and shows mainly V chord with c - minor. The second movement is composed of three parts._The first part is strongly lyrical and beautiful melodies. Besides, the rhythm is slow and chords change at the every two phases. The depth of melodies is narrow and Arpeggio is frequently used. The second part change into a fast tempo and shows different melodies and rhythm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part. Each part shows continuously a colorfulness and freshness with a frequent changes into strength and weakness, in tempos, and in a composition of chord. The third movement consists of the same structure of sonata style without a development part as the first movement employs. This movement has two themes and completes with a short coda. In conclusion, this work shows characteristics of a counterpoint which violin and piano equally model on each other and expresses ethnic color by employing unique melodies, rhythms and chords. Additionally, this work shows a characteristic of a free chord-making and contains strong ethnic cont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this study may give a slight help to performers who try to interpret Grieg's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