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슈만(R. Schumann)의 <환상소곡집(Fantasiestu˝cke)>, Op.12의 분석 연구

        이성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R. Schumann is the leading composers from the Romantic period who was affected greatly in the literary themes. The character piece of suite form of his many piano works was influenced greatly by the literary effects. The thesis shows Schumann'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omposing techniques and analysis on Fantasiestu˝cke Op.12 Firstly, the widely used two or three part form in Romantic period are used as basic form of the song and most of his songs are pursuing the contrary mood and liberally repeated without any regulations. Secondly, the melodies are short as well as simple and usually 2-4 bars are developed and shown which are very distinct. Thirdly, syncopation, cross and dot rhythms are very effective rhythms that give unique and various forms of rhythms that also give liveliness to the songs. Fourthly, harmony is diminished seventh chords that uses variable chords so that harmonious color impressions are well shown and transitions and relatives are shown in each part of the songs mostly V degree and Ⅳ degree and more of Ⅲ degrees of transition rather than relatives of transitions. As mentioned above, Schumann's Fantasiestu˝cke shows his unique and creative musical forms and adds romantic and special technique to his music based on the literary themes. 슈만(R. Schumann, 1810~1856)은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로서 문학적인 소재에 많이 영향을 받았다. 그의 많은 피아노 작품 중에서도 모음곡 형식으로 된 성격소품(Character Piece)은 특히 문학적인 영향을 받은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슈만의 음악의 특징과 작곡기법이 잘 나타난 <환상소곡집(Fantasiestu˝cke)>, Op.12를 분석 연구하였다. 첫째, 형식은 낭만시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2부분 또는 3부분 형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곡들이 서로 대비되는 분위기 묘사를 하고, 일정한 규칙없이 자유스럽게 반복한다. 둘째, 선율은 짧고 간결하며 대개 2-4마디의 동기가 발전되어 나타나는 것이 뚜렷하다. 셋째, 리듬은 당김음과 교차리듬, 붓점리듬 등의 효과적인 사용으로 그의 독특하고 다양한 리듬형을 사용하여 생동감이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넷째, 화성은 감7화음으로 변화화음을 자주 사용하여 화성적인 색채감이 잘 나타나고 있고, 곡의 각 부분마다 전조가 나타나는데 주로 V도와 Ⅳ도 관계조로의 전조보다는 Ⅲ도로의 전조가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8곡의 소품으로 이루어진 <환상소곡집>에는 슈만 피아노 음악의 독특하고 낭만적인 음악성과 특징적인 기법이 문학을 토대로 하여 간결한 형식안에 들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신BIS 자기자본비율 규제와 금융기관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이성란 全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1980, the environment of management in financial institutes has been changed and the economic variables have also been diverse because of sudden change of financial environment by Internationalization, Liberalization and so on. With this circumstances, the competition has been severe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earning power has been worse. To overcome this difficulties, institutions pursued the High Risk High Return strategy in fund operation and then the safety of financial companies has been threatened severely. According to the above situation. The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of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adopted the BIS Regulations of Equity to guarantee the soundness and stability of Banking System in June 1988. But, despite of several revisions, it did not reflected the Credit Risk which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but also Operation Risk which become more important by the expanded size and side-business of banks. Furthermore, it failed to reflect debtors' credit risk sternly such as the ability of repayment, characteristics of contracts, and did not influence risks of banks because risk weights were determined by whether a country is a member of OECD or not, who a debtor is.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Basel Committee distributed a drift of New BIS Regulations Agreement of Equity in January 2001 and is going to enforce it to major banks in member nations from the end of 2006 after confirming the final version. Now, the system of domestic banks and the soundness of debt portfolio are inferior as compared with major banks in advanced countries. If the new agreement is conducted, the whole financial industry might be effected, so it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s finding countermeasures to solve this problems.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BIS Regulation of Equity, the major contents and problems of present BIS Equity ratio and New BIS Equity ratio. What are needed to minimize demerits and to improve the competition of domestic banking industry is to intensify the system of risk management and to consolidate an early warning system and a stress testing system quickly in conjunction with the performance of the new agreement Secondly, infrastructure of a bond market should be steadily set in good condition by enhancing the competition of risk evaluation companies with making a policy which is connected credit derivatives markets with investment disqualified bond market to loosen difficulties in delivering fund by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 next thing is to establish regulations and guidelines which are required to carry out new agreement by constituting an organization which are participated by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Korean Bank and domestic banks. Lastly, for the sake of dealing with New BIS Agreement successfully, i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interest of CEOs and the board of directors

      •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점수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성란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about stroke patients' cognitive score have effect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roke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 Tae-Bong hospital from November, 2002 to March, 2003. Subjects were administered a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MMSE-K) as cognitive assessment and Modified Barthel Index(MBI) as functional assessment upon referral for the rehabili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MMSE-K score for stroke patients increased, the MBI score increased. The MMSE-K score for stroke patients is related not only to cognitive function, but also to functional evaluation as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changes of MMSE-K scor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of MBI scores(p<.05). 2. The subjects compared the difference in MMSE-K scores between right hemispheric lesion and left hemispheric lesion. The subjects with left hemispheric lesion scored higher in MMSE-K than those with right hemispheric les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emispheric lesion and MMSE-K score(p<.05). 3. The subjects compared the difference in MBI scores between right hemispheric lesion and left hemispheric lesion.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emispheric le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p>.05).

      • 당뇨와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감각운동이 활동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이성란 대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researches that concerned with visual feedback training and somatosensory training were often used for treatment on symmetrical weight-bearing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lthough there were many researches for the effects of visual feedback training and somatosensory training in stroke. It was not identify that effects of balance training in stroke following diabetes and sensory defic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n balance of skills, activities performance and muscle activation in stroke with diabetes and sensory deficit. Subjects were assigned to sensory deficit with diabetes of balance training group, sensory deficit with diabetes group, sensory deficit without diabetes of balance training group and sensory deficit without diabetes group. In all groups, assessed for standing balance(Romberg test, limit of stability and training time of program), balance performance(Berg balance scale), activities performance(Fugl-Meyer) and measured the EMG on lower extremity muscle for lateral stability(gluteus medius, hip adductors, medial gastrocnemius, lateral gastrocnemius and peroneal muscles) before training. All the groups were conducted electricity therapy, exercise therapy 5 times per week during six weeks, and a group who have balance training 3 times per week during six weeks. After training, retested the standing balance, balance performance, activities performance and EM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balance training which have sensory deficit without diabetes in the stroke group, open eyes from the standing positions to the center area of the body significantly reduced the training period, while still slows down the static standing positio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balance of skills. 2. The balance training which have sensory deficit without diabetes in the stroke group, open eyes from the body center line stance distance significantly reduced the training period, while still slows down the static standing positio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balance of skills. 3. The balance training which have sensory deficit without diabetes in the stroke group, close eyes from the body center line stance distance significantly reduced the training period, while still slows down the static standing positio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balance of skills. 4. The balance training to instantly move the weight through maximum voluntary safety limits do sensory deficit without diabetes of balance training, conducted training sessions in the group continue to increase significantly slows down the stability and improving the ability to balance over the limit was effective. In addition, patients with diabetes, sensory nerve damage due to the sense of balance adjustment of power will be reduced. 5. The balance training between sensory deficit with diabetes and sensory deficit without diabetes in the stroke group, activities performance have significantly increasing and improving the activities performance was effective by training availability. 6. The balance training by maximum voluntary weight movement to the affected side gluteus medius, hip adductor, medial gastrocnemius, lateral gastrocnemius and peroneal muscle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muscle activation of unaffected side lower than before balance exercise, and the weight bearing to the affected side was effective in improving of mediolateral stability. 7. Before and after of the treatment for balance training between have sensory deficit without diabetes and sensory deficit with diabetes in the stroke group, the static stability and the activities performance in the group without diabetes had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diabetes will be affected for the recovery of stroke patients. 8. The group which is conducted for balance training showed the results better than the group which has not performed it for balance ability, static stability, activity performance and limit of stability in the stroke group with diabetes. Therefore, it was the balance training in patients with diabetes will be affected a patient's recovery. In conclusion, stroke patients with diabetes affects the recovery of the balance of skills and activities performance and stroke patients with sensory deficit affects the recovery of the balance of skills and activities performance. In addition, balance training was stroke patients with diabetes and sensory deficit affects the recovery of balance of skills, activities performance. 뇌졸중 환자의 손상된 균형능력의 향상을 위해 시각 되먹임과 체성감각훈련 등 많은 치료적인 중재들이 실시되었고, 많은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성이 뇌졸중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감각이상의 정도에 따라서도 유의하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당뇨와 감각이상이 균형능력과 활동수행력,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당뇨가 있고 감각이상이 있고 균형훈련을 실시한 그룹, 당뇨가 있고 감각이상이 있으나 균형훈련을 실시하지 않은 그룹, 당뇨가 없고 감각이상이 있으며 균형훈련을 실시한 그룹, 당뇨가 없고 감각이상이 있으나 균형훈련을 실시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모든 그룹에서 실험전 균형능력(버그 균형척도, 인롬버거 검사, 안정성 한계), 활동수행력(Fugl-Meyer 평가척도), 근전도 검사(중간볼기근, 모음근, 안쪽 장딴지근, 가쪽 장딴지근 및 종아리근)를 실시하였다. 모든 그룹에게 전기치료, 운동치료를 주 5회 6주간 실시하였고, 균형치료를 한 그룹은 주 3회 6주간 실시한 결과 균형능력, 활동수행력, 근 활성도 비교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균형감각운동치료는 당뇨병이 없고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그룹에 있어 눈 뜨고 선 자세에서 신체 중심 이동 면적이 유의하게 감소하면서 훈련 기간이 계속 될수록 정적 선 자세에서의 균형능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2. 균형감각운동치료는 당뇨병이 없고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그룹에 있어 눈 뜨고 선 자세에서 신체 중심 이동 거리가 유의하게 감소하면서 훈련기간이 계속 될수록 정적 선 자세에서의 균형능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3. 균형감각운동치료는 당뇨병이 없고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그룹에 있어 눈 감고 선 자세에서 신체 중심 이동 거리가 유의하게 감소하면서 훈련기간이 계속 될수록 정적 선 자세에서의 균형능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4. 균형감각운동치료의 유무에 따라 최대 자발적 체중이동을 통한 안정성한계는 당뇨가 없고 균형훈련을 실시한 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면서 훈련기간이 계속 될수록 안정성한계를 통한 균형능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당뇨가 있는 환자의 경우 당뇨로 인한 감각신경 손상으로 균형조절력이 저하되는 것이라 사료된다. 5. 균형감각운동치료는 당뇨병이 있고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그룹과 당뇨병이 없고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그룹에 있어 활동수행력이 유의하게 증가하면서 훈련여부에 따라 활동수행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6. 균형훈련은 마비측으로 최대 자발적 체중 이동시 마비측 중간볼기근, 모음근, 가쪽 장딴지근과 종아리근, 안쪽 장딴지근의 근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비마비측의 근 활성도가 균형감각운동 전보다 낮아지면서, 마비측으로의 이동시 내외측 안정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7. 당뇨병이 없고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그룹과 당뇨병이 있고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그룹간 균형감각운동의 치료 전․후에서 당뇨가 없는 그룹에 있어 정적 안정성, 활동수행력의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뇌졸중 환자의 회복에 당뇨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8. 당뇨가 있는 뇌졸중 그룹에서 균형능력, 정적 안정성, 활동수행력, 안정성한계의 척도에 있어 균형감각운동을 시행한 그룹이 시행하지 않은 그룹보다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당뇨가 있는 환자의 경우 균형감각운동 치료가 환자의 회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당뇨가 뇌졸중 환자의 활동수행력 회복에 영향을 주며 감각이상이 뇌졸중 환자의 활동수행력 회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형감각운동이 당뇨와 감각이상이 있는 환자의 회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생의 긍정 정서가 코로나–19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성란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s and COVID-19 stress, and to verify the dual mediated effect.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03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the G city area consisting of a positive emotion scale, a COVID-19 stress scale, a cognitive flexibility scale, and an integr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PSS Statistics 25.0 program and the SPSS PROCESS macro 3.5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s and COVID-19 stress, and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sequential dual mediation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provide empirical data and effective direc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to relieve COVID-19 stress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regulation variables in the path of positive emotions affecting COVID-19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Key Words: Positive Emotion, COVID-19 Stress, Cognitive Flexibility, Self-Regulation 본 연구는 긍정 정서와 코로나-19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조절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 지역의 4년제 대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긍정 정서 척도,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 인지적 유연성 척도, 통합적 자기조절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긍정정서와 코로나-19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자기조절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그리고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 정서가 코로나-19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조절 변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코로나-19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상담 개입의 경험적 자료와 효과적인 방향 제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긍정 정서, 코로나-19 스트레스, 인지적 유연성, 자기조절

      •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증진활동이 만2세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정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성란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on the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of 2-year-old children. For this, 28 children aged 2 were recruited to explore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with picture books, an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e changes in this research: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Research problem 2. What is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on social emotional behavio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recruited 14 children aged 2 who had been going to Day Care K and R located in Sejong City and randomly divided them into the experimental group (7 male children and 7 female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7 male children and 7 female children). The both day care centers had followed the national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passed evaluation accreditation, and the selected children were from households that lived in the same region and had similar social and economic levels. For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 total of 16 sessions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were carried out for a period of 9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ity with picture books for improving social relations on the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the peer interaction scale called the Penn Interaction Peer Play Scake (PIPPS) that was developed by Fantuzzo and his co-researcher (1998), translated and revised by Jeong Dae-hyeon (2006) and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children by Lee Soon-sun (2015) was employed to test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assessment and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Sim Sook-young (2012) was used as a tool to test social emotional behavior.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independent samples t test was used to secure homogeneity of the pre-test scores of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between the two groups with SPSS 24.0 program, and post-test scores were also analyzed with the independent samples t test for the effect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showed effect on the 2-year-old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e activity revealed that the sub-factor of play interaction increased, while sub-factors such as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decreased. Therefore,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for social relations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children to form social relations among peers in daily life, as it helps improve helping, sharing, conflict mediation, considering, suggesting play, verbal interaction, positive emotions, and initiative. Second,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also showed effect on the social emotional behavior of the children aged 2. Conceptual factors of the sub-factor of social emotionality such a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self-perception, and emotional awareness were improved, and social-relational conceptual factors including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behavior were also enhanced. Decreases in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such as separation anxiety, depression and withdrawal, defiance, and peer aggression revealed the effect of activity with picture books for improving social relations. It is required to provide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with peers as well as teachers to pay more attention to children’s internal problem behavior such as self-perception, emotional awareness, depression and withdrawal, and separation anxiety. Third, the research results on sub-factors of social emotional behavior such as sleeping and eating problems revealed that they slightly decreased. Therefore, picture books showed no effect on social relations improvement. Eating and sleeping problems varied according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characteristics and did not show effect in a short period. It is required to provide a long-term guidance by connecting various activiti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arents at home. This research suggest the following for ap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to actu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children and for follow-up studies: Firs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children living in an apartment complex in Sejong City in 16 sessions for 9 week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and verify the effect with a long-term experiment. Second, this research used teacher rating scales as its test tool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qualitative research where teachers’ subjective assessment and long-term observation for children are performed so that more detailed evaluation can be performed for children’ emotional expression for internal expression and emotions and behavior for external express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n peer interaction an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n social emotional behavior.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2세 영아 28명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의 적용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에서 그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세종시에 위치한 K어린이집과 R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영아를 구성하여, 실험집단(남아 7명, 여아 7명), 통제집단(남아 7명, 여아 7명)을 각각 14명씩 임의로 선정하였다. 두 어린이집 모두 국가 수준의 표준보육과정 운영을 준수하고, 평가인증을 통과하였으며 같은 거주지 및 사회·경제적 생활 수준이 비슷한 가정의 자녀들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영아들에게 9주의 기간에 걸쳐 총 16회차의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 정서행동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또래 상호작용 검사 도구로 Fantuzzo(1998)와 그의 동료에 의해 개발된 또래 상호작용척도(The Penn Interaction Peer Play Scake : PIPPS)를 정대현(2006)이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를 이순선(2015)이 영아용으로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고 사회정서 행동 검사 도구로는 심숙영(2012)이 개발한 ‘사회정서 행동 진단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정서 행동의 사전검사 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집단 간 동질성을 확보한 후, 사후검사 또한 독립표본 t-검증으로 집단 간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은 만 2세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었으며 하위요소인 놀이 상호작용의 증가와 놀이붕괴, 놀이단절의 감소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은 돕기, 나누기, 갈등 중재, 배려, 놀이권유, 언어적 상호작용, 긍정적인 정서, 주도성의 향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또래 간 사회관계 형성에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은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에 효과가 있다. 하위요소인 사회 정서성의 개념요소인 주의집중, 자아인식, 정서인식이 향상되었고, 사회 관계적 개념요소인 친사회적행동과 사회적 행동이 향상되었다. 내면적. 외면적 문제행동인 격리불안, 우울·위축, 반항성, 또래 공격성의 감소 되어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의 효과가 있다. 사회관계 증진 활동으로 또래와의 사회관계 증진 활동과 더불어 교사와의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함께 진행되어 영아의 자아인식, 정서인식, 우울·위축, 격리불안의 내면적 문제행동에 관심이 더 필요하다. 셋째, 사회정서 행동의 하위요소인 수면 및 식사,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는 미세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는 식사, 수면문제는 영아의 기질과 특성에 따라 변화하고 단기간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기관에서의 다양한 활동과 가정에서의 부모님과 함께 연계하여 장기간의 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영유아 교육기관 현장에서 적용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세종시 한 아파트 단지 영아들을 대상으로 9주 기간에 총 16회차 이루어진 실험결과로 참여하는 영아의 수를 확대하고 장기적인 실험으로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교사평정 척도를 사용한 검사도구로 교사의 주관적인 평정 결과로 장기적인 영아의 관찰로 영아의 내면적 표현에 대한 감정표현과 외면적 표현에 대한 감정과 행동에 대한 섬세한 평가로 질적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또래 상호작용의 효과검증과 사회 정서행동의 효과검증의 상관 관계의 연구가 필요하다.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이성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글은 인간복제 금지의 윤리적 근거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윤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인간복제의 영역이 존재할 수 있는지 검증해 내는 인간복제의 윤리적 정당화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인간복제가 인간의 존엄성의 원칙과 배치되지 않는다면 인간복제는 윤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을 원칙으로 삼되 인간의 존엄성이란 개념을 결과적으로 해석하고 있다는 측면과, 복제기술을 이용하고자 하는 인간의 요구가 인간복제의 윤리적 평가에서 중요한 고려점으로 되어야 한다는 본 글의 관점은 자유주의적이며 공리주의적인 것이다. 인간개체복제 기술은 기존의 보조적 생식기술로서도 임신 불능인 상태에 있는 불임부부들의 유전적 자녀에 대한 요구에 적절하게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생식기술로 이용될 수 있다는 생식의 자유와 관련되며 생식의 자유는 인간의 기본적 자유로서 외부로부터 간섭받지 않을 개인의 사적 영역이다. 만일 불임의 치료의한 방편으로서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겠다는 생식의 자유가 제한되어야만 한다면 이는 복제기술이 타인에게 해를 끼치게 된다는 확실한 논거를 제시할 때 가능하다. 그런데 양육을 목적으로 제한된 수에 한하여 행해지는 불임부부를 위한 인간개체복제의 경우는 복제의 해악으로 일컬어지는 주요 비판들에 해당되지 않을 수있다. 왜냐하면 불임부부의 생식적 복제는 대량생산으로 인한 인간의 도구화와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위협의 결과를 초래한다는 비판에 해당되지 않으며, 가족관계의 원형을 파괴하는 대혼란을 초래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인간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탄생되는 복합적인 산물이라는 점을 받아들인다면 인간개체복제로 인해 원본인간과 똑같은 복제인간은 출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유전적 동일성이 개체 동일성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복제인간은 단지 보통 인간과 동일한 사람이자 동일한 도덕적 지위를 가지게 된다는 점을 명백히 할 때 복제인간의 개체성과 자율성은 훼손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복제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했다고 평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인간개체복제가 정신적 피해를 낳을 가능성은 실제적인 문제점일수 있으나 아직 인간복제와 그 결과인 쌍둥이의 창조를 겪어보지 못했기 때문에 그것은 현재 추측으로만 존재할 뿐이며, 복제인간에게 있어서 정신적·심리적 중압감이 존재할 수 있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할지라도 이 이유만으로 인간이 태어나지 않는 것이 태어나는 것보다는 낫다고 간주되어질 만큼 복제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했다고 주장하기에는 설득력이 약하다. 결론적으로 인간개체복제는 가족을 이루는 부부 내에서 여타의 방법에 의해 자녀를 가질 수 없는 경우에 유전적 자녀를 가지길 원하는 경우에 생식의 자유의 측면에서 원칙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인간개체복제가 원칙적으로 정당하다고 하여 지금 당장 인간개체복제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동물복제의 성공률이 3%미만에 머무르고 있고 아직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인한 심각한 기형이나 각종 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계속되고 있다면 이 기술을 현재 인간에게 적용하는 것은 태어날 인간과 임신을 유지할 여성에게 커다란 해악의 결과를 낳게 될 것이 자명하므로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 인간개체복제를 시도하는 일은 태어날 아기와 산모에게 위험을 전가시키는 윤리적으로 허용될 수 없는 행위로서 복제기술을 인간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제기술이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한편 복제배아의 간세포 연구의 윤리적 정당성은 치료복제문제의 핵심 사항이다. 간세포 연구는 난치병 질환에 대한 세포치료(cell therapy) 및 장기·세포이식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인 대체장기·세포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로서 지목되며 복제배아의 간세포는 거부반응이 없는 세포·조직 공급원이 될 수 있다는 점과 고형장기를 생산할 수 있는 대체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든 조건을 갖춘 중요한 세포이다. 최근 배아에 대한 근본주의적인 관점을 취하는 입장에서는 성인 간세포 연구분야의 새로운 성과들에 근거하여 간세포 연구가 성인간세포에 국한되더라도 충분하다는 주장을 제시하고 있으나, 모든 성인의 각종 장기와 신체 부위에서 간세포가 발견되지 않는 한 성인간세포는 완전한 대안이 되지 못한다고 평가되며 장기적 관점에서 성인 간세포의 형질변이분화기술이 완성되어 성인간세포가 배아간 세포와 같은 세포로 전환될 때만이 성인간세포가 비로소 진정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 때문이라도 체세포 핵의 재분화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며 체세포핵이식기술은 과도기적 기술(transitional technology)로서 더욱 필요하게 된다는 점이 치료복제의 정당성 근거로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배아에 대한 연구가 인간의 생명권을 침해하고 인간을 도구화하는 과정이라면 윤리적 관점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이유로 허용할 수 없음은 도덕적 전제이다. 본 글은 생물학적인 생명을 가진 초기단계의 존재가 성인과 동등하게 무조건적으로 생명권을 보호받아야 할 존재로 보지 않는다는 입장에 서 있다. 이 입장은 근본주의적 관점과는 다르지만 인간을 인격으로서 존중하는 범위를 점차 넓혀 왔던 역사적 사실과 일치한다. 따라서 배아는 일정한 시점에 도달한 때부터 도덕적 고려의 대상으로 된다는 점진주의적인 입장을 취하며 그 인격적 준거점의 기준의 합당한 논거로서 신체기관으로의 분화 시점을 기준점으로 삼은 14일론을 배아의 도덕적 지위의 기준점으로 삼고자 한다. 점진주의적 관점은 초기단계의 배아가 연구에 이용되는 것에 대해 인간의 도구화라는 비판을 비켜갈 수 있으며 오히려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매우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는 경로를 열어준다. 그리고 배아 간세포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받아들인다면 복제배아, 잉여배아, IVF 용 배아를 도덕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다. 따라서 점진주의적 관점은 배아의 생명권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전체 인간의 복지를 향상시켜줄 수 있다는 점에서 치료복제를 윤리적으로 정당화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ethical justification on whether the area of human cloning which can be ethically permitted by considering the ethical basis of the human cloning prohibition critically. From the liberalist and utilitarian point of views, the principles of this study are that if the human cloning do not stand against the premise of human dignity, it can be ethically justified and that the demand for using cloning technology should be critically considered in the ethical evaluation of human cloning. The freedom of reproduction, as the fundamental freedom of the human, is the private area that should not be disturbed by other people since the human individual cloning can be used for the childless couple as the complementary reproductive technology to have their hereditary chid. If the freedom of reproduction to use the new technology as a therapeutic method for sterility should be limited, this can be criticized by the certain argument that the cloning may cause harm to another person. However, in case of the human individual cloning, it does not correspond to this major argument called "harm of cloning" since the reproductive cloning of this childless couple does not result in mass production that further cause harm, such as the instrum entalization of the human or the threat to genetic variance. Also, if we accept the fact that the human is the complex creation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environment, the clone produced by the human individual cloning to be exactly the same as the original person can not appear. Therefore, if the genetic identity does not correspond to the individual identity, the cloned person is the same individual who holds the same moral status and then as a result, it is hard to evaluate that it damaged the dignity of th cloned person. Of course, some may argue that the moral status of the cloned person is inevitable to be damaged and actually the human individual cloning may have the possibility to cause the moral damage. However, since we have never experienced the actual human cloning and the creation of the clones, it exists as all of presumptions. Even though we can not deny that it may be possible to cause the moral damage with human individual cloning and argue that the moral status of the cloned person will be violated, it can be hardly insisted that the dignity of the cloned person was violated as considered to be rather not born only with the above reasons. In conclusion, the human individual cloning can be ethically justified in terms of the freedom of reproduction when the childless couple who could not succeed with other available measures use it to have biological children. However, this does not indicate that the human individual cloning should be permitted right now since it is justified in principle. If the result of animal experiments show that the success rate of annual cloning still remains below 3% and the deaths due to severe abnormality and various kinds of diseases continue, the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to the human can not be morally permitted since it will induce the results of harm to the persons to be born and the women to be pregnant in the future. Therefore, at the present time, the trial of human individual cloning, harming the babies to be born and the women in the state of maternity, is the practice that once again should not be ethically permitted. Besides, the ethical justification of the stem cell research involving human embryos is the critical aspect of the therapeutical cloning. The fact that the stem cell research can be the method to solve the biggest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substitute organs or cells, in cell therapy or organ and cell transplant makes it to be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research area. The embryonic cloning stem cells become also the important cells with all good conditions to be cell or tissue supply Recently, from the fundamentalist point of view, they argue that the stem cell research should be limited only to the adult stem cells based on the new outcomes of the adult stem cell research area, but it can not be available as long as the adult stem cells are found through all over the body and their characteristics change to the same as the embryonic stem cells. Even with these reasons, the research on the somatic cell nuclear redifferent iation is essential and the somatic cell transfer technology is more required as the transitional technology. These are also suggested as the ethical ground for the justification of therapeutical cloning. However, the fact that if this embryonic research is the process of instrumentalization of the human and violation of the right to live, it can not be permitted for the dignity of the human from ethical aspects is the moral premise. This study holds the position that the existence of biological life at the initial stage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existence whose right to live should be protected unconditionally by treating it as the same as the adults. This point of view differ to the fundamentalist point of view, but it corresponds to the historical fact that it gradually extended the range of respecting the human for his personality. Thus, the moderatist position that the embryos are considered as the moral subject since they reached the certain time is taken in this study and 14-day theory - the theory that takes the time to differentiate into the body organs as the fiducial point - was take, to be the fiducial point for the embryonic moral status. The moderatist point of view can step aside from the criticism that using the embryos at the initial stage must be the istrume,talizatio, of the human and it will even further open the way to have significant contribution for the people who suffer the various kinds of diseases. Moreover, if we accept the necessity of embryonic stem cell, the classification of the cloned embryos, the remaining embryos, and the IVF embryos lacks the consistency or coherence. Thus, the moderatist point of view ethically justify the therapeutic cloning in term of the improvement of the whole human welfare without violating the embryo's right to live.

      • 핵자기공명법을 이용한 Apolipoprotein A-I 과 B-100의 모조 항원 결정기 펩타이드 구조에 대한 연구

        이성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Apolipoprotein A-I과 apolipoprotein B-100의 특이적 단클론 항체 A12, A34, B9의 항원 결정기가 인식하는 여러 가지 밝혀진 펩타이드에 대한 구조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으로 원래의 항원인 apo A-I 및 apo B-100과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서열을 가진 펩타이드를 찾아내었다. 그 결과 apo A-I에 대한 단클론 항체가 인식하는 펩타이드는 CPFARLPVEHHDVVGL(pA1), FVLVRDTFPSSVCCP(pA2)로, apo B-100에 대한 단클론 항체가 인식하는 펩타이드는 CRNVPPIFNDVYWIAF(pB1)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배열은 원래의 항원인 apo A-I 및 apo B-100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아미노산 1차 배열만을 BLAST search로 비교하였을 때 pA1과 pA2는 apo A-I과 40%, 45%의 상동성이, pB1은 apo B-100과 40%의 상동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H-NMR, 2D NMR(COSY, TOCSY, NOESY) 실험을 통하여 mimotope 펩타이드의 신호를 지정하였고, NOESY 스펙트럼에서 얻은 NOE 신호를 바탕으로 수소들간의 거리 정보를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distance geometry(DG)와 molecular dynamic(MD)을 수행하여 mimotope pA1, pA2, pB1의 3차원 구조를 결정하였다. 세 mimotope 펩타이드 모두 DG 구조의 최종 penalty값은 0.3~0.6Å2을 가지며, 전체 DG 구조를 겹쳐 놓은 것의 RMSD값은 0.5~1.5Å을 나타내었다. Mimotope pA1는 Pro[7]~His[11] 사이에서 β-turn에 가까운 구조를 가지며, pA2는 proline을 전후로 한 Val[2]~Phe[8] 사이의 β-turn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또한 pB1은 Ile[7]~Trp[13]에서 310-helix에 가까운 구조를 가졌다. Apolipoproteins which are protein components of lipoproteins have major roles in the transport of plasma lipids and used clinically for the of coronary artery disease. A number of mimetic peptides of apolipoproteins were screened from the phage-displayed random peptide library by using a biopanning method. Mimetic peptides of the apolipoproteins showing high affinities for the monoclonal antibodies A12, A34, B9 epitope against anti apo A-I and anti apo B-100 were picked up. The mimetic peptides were recognized by the monoclonal antibody against apo A-I were CPFARLPVEHHDVVGL(pA1) and FVLVRDTFPSSVCCP(pA2) and the mimetic peptide were recognized by apo B-100 specific monoclonal antibody was CRNVPPIFNDVYWIAF(pB1). Theses amino acid sequences of peptides didn't exist in original antigens apo A-I, apo B-100. Compared with primary arrangement of amino acid using of BLAST search, pA1, pA2 were confirmed 40%, 45% homology with apo A-I and pB1 were confirmed 40% homology with apo B-100. In this study, 1H-NMR and 2D NMR(COSY, TOCSY, NOESY) experiments were accomplished and signal assignments of mimotope peptides were made. Distance of numerous proton paris were obtained based on the NOE cross peak intensities of NOESY spectrum. On the basis of these distance data, distance geometry(DG) and molecular dynamic(MD)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tertiary structure of mimotope pA1, pA2 and pB1. DG structures of three mimotope pA1, pA2, pB1 were low penalty value 0.3~0.6Å2, and the total RMSD obtained upon superposition of all atoms were in the range 0.5~1.5Å. Mimotope pA1 has β-turn conformation from residue Pro7 to His11, and pA2 has β-turn conformation from residue Val2 to Phe8. pB1 has a similar 310-helix structure from Ile7 to Trp13.

      • 宋, 元, 明, 淸時期 "把/將" 字句硏究

        이성란 北京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47631

        把/將구문은 주어+동사+목적어순서인 중국어의 기본어순과 달리, 介詞 把/將字를 사용하여 목적어를 동사 앞으로 끌어내 주는 중국어만이 지닌 독특한 구문 형식이다. 그리하여 중국어의 문장어순을 통해 나타난 중국어의 성격을 이해함에 있어서, 이 구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이 구문형식은 줄곧 학계의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켜 왔으며 또한 논란거리가 되어왔다. 그러나 여지껏 이에 대한 의견이 일치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把/將구문의 기원, 초기(唐五代時期) 把/將구문과 현대중국어把/將구문 등에 국한되어 있어, 宋代에서 淸代에 이르기까지의 把/將구문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本稿는 이 시기들의 把/將구문을 분석하고, 각 시기把/將구문의 비교를 통하여 그 역사적 변천과정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중국어 속의 把/將구문의 성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먼저 상편의 각 4장에서는 주로 結構形式방면에서 把/將구문의 역사적 발전과 정과 발전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把/將구문은 隋唐五代시기를 거쳐 송대에 이르러서 현대 把/將구문에 보이는 주요 특징들을 기본적으로 구비하였으며, 그 결구 형식이 元代 이후로 점점 더 복잡해지는 경향을 띤다. 이러한 경향은 明代에 이르러 더욱 심화되어, 가장 복잡한 把/將구문들은 대체로 모두 이시기에 보인다. 淸代는 명대 把/將구문을 계승·발전시키는 한편, 그 결구형식은 오히려 좀 더 간단해진다. 이로써 근대한어시기 把/將구문은 宋元明 시기까지 지속적으로 복잡하게 발전해 오다가, 청대 이후로 점차로 다시 開化해지며 안정되는 경향을 보인다. 하편에서는 주로 의미방면에서의 몇 가지 중요한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제 5 장은 把/將 구문의 The bacteriophage λO protein localizes the initiation of replication to a unique sequence, ori λ through specific protein-DNA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s. Conformational changes at ori λ introduced by O protein binding have been reported and their rol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In our studies, we focused on detailed structural basis of the formation of the O protein-ori λ complex(O-some). This work wa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cluding a general introduction given in Chapter 1, a brief review of genetic, biochemical, and structur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As shown in Chapter 2, we found that the O protein exists as a dimer and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DNA binding species is also a dimer. Dimerization and sequence-specific DNA recognition are specifically mediated through the amino-terminal half of O(O1-162(아래첨자 1-162입력불가)). The binding affinity of O for a single copy of its 19 bp recognition sequence was 2-3 nM. We also found that the O-some is composed of 4 dimers of O and ori λ DNA, which contains four 19 bp direct repeat recognition sites, i, e., a dimer of O is bound to each repeat(iteron). Moreover, we found that only the amino-terminal DNA binding domain is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O-som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asis for the unique properties of O protein, we generated a number of carboxy-terminal and internal and internal deletion mutants of O. Experiments with purified mutant proteins, as shown in Chapter 3, indicated that (ⅰ) the deletion mutant retaining amino acid residues 19-110 is the smallest O protein species that can both bind to DNA and form a dimer, (ⅱ) the affinities of all mutant proteins for a single iteron are almost the same, ranging from 2 to 4 nM; (ⅲ) the portion of O that is responsible for dimerization is located between amino acid residues 19 and 85; (ⅳ) the carboxy-terminal domain (O 156-299(아래첨자 156-299입력불가)) is a monomeric species that does not recognize specific DNA sequences but instead, bind non-specifically to duplex DNA; (ⅴ) the linker joining the two structural domains is not required for O function, but its coding sequence of DNA contains several recognition sites for O protein (ori λ); and (ⅵ) a deletion! m! utant missing the amino-terminal portion of the carboxyl-terminal domain is still comparably active in the in vitro λdv replication assay. In Chapter 4, the structural basis of the O protein-DNA complex was studied in detail. Hydroxy radical footprinting was employed to obtain the high resolution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s between the protein and the sugar-phosphate backbone of DNA. The missing nucleoside experiment allowed us to identify energetically important base moieties that may be in contact with bound O protein. Quantitation of the extent of O-mediated DNA bending indicated that O induces a relatively sharp bend in an individual recognition sequence of 85。 ±5。 . Measurement of the O-induced topological change indicated that a region of DNA or specifically ori λis wrapped around the O protein core in a left-handed fashion with a linking number change of 0.7±0.1 turn. In Chapter 5, we present direct evidence that the O protein also has the capacity to interact with single-stranded DNA, the first such interaction discovered among prokaryotic origin-binding proteins. The implication of this dual DNA binding specificity of O for the formation of the unwound structure at the A/T-rich region of ori λ is dis cussed. The addition of the λP-DnaB comple x to the O-some produces a new nucleoprotein species with a super-shift in migration. The presence of P and DnaB reduces significantly the amount of O required for binding to single-stranded DNA.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detailed model for sequential structural changes in ori λ as a consequence of O binding to the origin of λre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