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ies on Metabolic Engineering Based on Global Metabolic Profil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FK506 (tacrolimus) Biosynthetic Genes in the FK506-producing Streptomyces sp.

        이성권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FK506, also known as tacrolimus or Fujimycin, is a 23-membered macrocyclic polyketide produced by several Streptomyces species. It shows immunosuppressive activity with inhibition of the production of IL-2 and lymphocyte proliferation. The immunosuppressive activity of FK506 is similar to that of Cyclosporin A (CsA) but 100 times as potent. FK520 is a structurally-related analog of FK506 that also blocks T cell proliferation. The cost of using FK506 for post-transplantation therapy is currently high due to the low productivity and complex purification process of FK506. To solve these problems, FK506 production has been improved via strain development, genetic engineering, and media formulation, and effective purification processes have also been invented, however, the price of final product is still high. The goal of this thesis work was to study biosynthesis of FK506 and FK520, and apply that knowledge to improve the FK506 yield and reduce impurity levels. The global metabolic profiling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tabolic changes that occur in Streptomyces strains with a high level FK506 or FK520 production in the Chapter 3. Biochemicals that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experimental groups were identified by statistical methods. In the Chapter 4, I identified the biosynthetic gene cluster of allylmalonyl-CoA through gene disruption and heterologous gene cluster expression in Streptomyces sp. KCCM 11116P. In addition, I observed that the allylmalonyl-CoA biosynthetic subcluster is expressed earlier and higher in the FK506 high-producing mutant strain, Streptomyces sp. RM7011, and then enhanced FK506 production via the overexpression of the allylmalonyl-CoA biosynthetic subcluster in KCCM 11116P. In the Chapter 5, I characterized the putative extracytoplasmic function (ECF) sigma (σ) factor located upstream of allylmalonyl-CoA biosynthetic subcluster, fujE, as a new member of the FK506 biosynthetic gene cluster and stimulates expression of the FK506 biosynthetic genes through gene deletion and overexpression, and semi-quantitative RT-PCR. Concurrently, FK506 production was increased by overexpression of fujE in the wild-type KCCM 11116P. In the Chapter 6, I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L-ornithine and L-arginine were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wild-type FK520-producer Streptomyces hygroscopicus var. ascomyceticus ATCC 14891 from the results of global metabolic profiling, and identified the reason for the low concentration of intracellular L-ornithine in FK520-producer through the exogenous treatment of L-ornithine in KCCM 11116P and ATCC 14891. Moreover, the effects of exogenous urea, which is one of the products of L-arginine metabolism, were also observed. Finally, I found that the exogenous urea effectively decreased FK520 production. Additionally, to inhibit the ethylmalonyl-CoA biosynthesis that gives a specific structural feature to FK520, genes for isobutyryl-CoA mutase (ICM) and crotonyl-CoA carboxylase/reductase (CCR) were screened from the genomic library of KCCM 11116P, and inactivated. The gene inactivation of ICM and CCR decreased FK520 production by 28% and 12.3%, respectively, and increased FK506 production by 2.6- and 3.6-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wild-type. Moreover, ICM and CCR double gene disruption increased FK506 production by 3.45-fold and FK520 production was decreased by 43% compared to the wild-type. Concurrently, the effect of exogenous urea was examined in the ICM and CCR double gene disruption mutant, and it increased FK506 production by 1.3-fold (35.76±1.485 mg/l) and decreased FK520 production by 45% (1.075±0.044 mg/l). This thesis study could help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FK506- and FK520-biosynthesis, and could be applied to improve FK506 productivity and reduce pric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Chapter 7. 타크로리무스 또는 후지마이신 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 FK506은 몇몇 방선균에서 생성되는 23-membered macrocyclic polyketide 이다. FK506은 IL-2 생성과 림프구의 분화를 억제하는 면역억제 효과를 보인다. FK506은 또 다른 면역억제 물질인 사이클로스포린 A와 유사한 면역억제 활성을 보이나, 100배 이상의 효과를 갖는다. FK520은 FK506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유사체로써, FK506과 마찬가지로 T세포의 분화를 억제한다. FK506을 이용한 장기이식 후 치료법은 FK506의 낮은 생산성과 정제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현재에도 매우 고가인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산균주개량, 유전공학, 배지조성 최적화, 효율적인 정제법의 개발 등을 통하여 FK506의 생산성을 꾸준히 개선하여 왔지만, 아직도 그 가격은 상당히 높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FK506과 그의 유도체인 FK520의 생합성에 대한 지식을 축적, 이를 FK506의 생산성과 불순물 개선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 관련 일반적인 서론에 대해 기술 하였고,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에 사용된 시약 및 일반적인 실험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 3장에서는 FK506 또는 FK520을 생성하는 방선균의 대사체 분석을 통하여 각 균주간의 대사물질의 차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제 4장에서는 FK506 생산 방선균인 Streptomyces sp. KCCM 11116P에서 유전자 불활성화와 생합성 유전자군의 이종발현을 통한 allylmalonyl-CoA 생합성 유전자군의 기능규명을 하였다. 또한, allylmalonyl-CoA 생합성 유전자군의 발현이 FK506 고생산균주에서 더 일찍, 높게 발현되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allylmalonyl-CoA 생합성 유전자군의 과발현을 통하여 FK506의 생산성을 증가시켰다. 제 5장에서는 ECF sigma (σ) factor로 추정되는 유전자 fujE가 FK506 생합성에 연관이 되어있으며, FK506 생합성 유전자군의 발현을 자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ujE의 과발현을 통하여 FK506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 6장에서는 제 3장에서 수행한 대사체 분석의 결과에서 FK520 생산 방선균인 Streptomyces hygroscopicus var. ascomyceticus ATCC 14891 내의 L-오르니틴과 L-아르기닌의 양이 다른 FK506 생산 방선균에 비해 현저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유를 찾기 위하여 L-오르니틴을 KCCM 11116P와 ATCC 14891균주에 처리하여 배양,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또한 L-오르니틴의 전구물질인 L-아르기닌의 대사 생성물인 요산의 효과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인위적인 요산의 공급이 FK520의 생성을 현저히 저하 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FK520 생합성에 필수 요소인 ethylmalonyl-CoA의 생합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에 필수적인 isobutyryl-CoA mutase (ICM)과 crotonyl-CoA carboxylase/reductase (CCR)의 유전자를 KCCM 11116P의 게놈 라이브러리에서 스크리닝하였고, 이들의 불활성화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FK506 생산성을 야생균주 대비 약 3.45배 증가 시켰으며, FK520 생성량을 야생균주 대비 약 43% 감소시켰다. 또한, ICM과 CCR이 불활성화 된 균주에 요산을 처리 하였을 시, 약 1.3배의 FK506 생산성 증가와 약 45%의 FK520 생산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7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축적된 결과들이 FK506과 FK520 생합성 메커니즘의 이해를 도울 수 있으며, FK506의 생산성과 가격 개선에 적용이 될 수 있음을 기술하였다.

      • 60 GHz 위상배열 시스템 수신부 구현을 위한 CMOS 단위회로 블록 연구

        이성권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Unit block circuits for a Receiver of Phased-array System at 60 GHz have been designed with 0.13 ㎛ CMOS process. In this paper, low noise amplifier and phase shifter are designed. A designed 60 GHz CMOS low noise amplifier based on fabricated 40-50 GHz low noise amplifier. The simulated small-signal gain is 18.2 dB and noise figure is 7.5 dB. A designed 60 GHz 4-bit phase shifter consists of 22.5°-, 45°-, 90°-, and 180°-bit phase shifters which are connected in series. A simulated insertion loss of 10±0.5 dB was obtained for 16 states. A low noise amplifier is placed before the 4-bit phase shifter and the LNA/phase shifter results in 0-3.2 dB, >10 dB of input return loss and >5 dB of output return loss. These designs are building blocks for 60 GHz phased-array front-ends based on CMOS technology. 60 GHz 위상배열 시스템 수신부 구현을 위한 단위회로를 0.13 ㎛ CMOS 공정을 이용해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저잡음 증폭기와 위상천이기를 설계했다. 설계된 60 GHz CMOS 저잡음 증폭기는 제작된 40-50 GHz 저잡음 증폭기를 기초로 설계되었다. 18.2 dB의 시뮬레이션 소신호 이득값을 얻었고, 7.5 dB의 잡음 지수를 얻었다. 설계된 60 GHz 4-bit 위상천이기는 22.5°, 45°, 90°, 180° 위상천이기로 구성되있다. 16가지 bit에 따른 삽입 손실은 10±0.5 dB이다. 저잡음 증폭기 다음 단에 4-bit 위상천이기를 결합한 회로는 0-3.2 dB의 이득과 10 dB 이상의 입력 반사 손실, 5 dB 이상의 출력 반사 손실을 얻었다.

      • 한반도에 대한 미·중·일의 전략적 이익구조분석과 한국의 대응전략

        이성권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정학적 한반도 주변정세의 주요강대국들의 한반도에 대한 사활적 이익을 면밀히 분석하여 가장 한국적이고 세계적인 국가안보전략의 수립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세계변화의 국면에 걸맞은 국가대전략을 설계함에 있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탈냉전 이후 세계 최강의 군사력을 가진 유일의 초강대국인 미국과 동맹을 맺고 있는 이 시점에 중국이라는 동북아 신흥 강대국의 급부상으로 중국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의 확대로 인해 당분간은 미국의 강력한 군사력의 영향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부시행정부의 군사혁신, 선제공격이 오바마 행정부가 내세우고 있는 포괄적 관여를 통한 다자협력체제로 전환으로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이 일대 변화를 가져다준다. 미국의 세계안보전략은 9.11 테러를 통해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재래식 전면전뿐만 아니라 4세대전쟁이라고 일컫는 비대칭 전쟁들까지 그 분쟁의 범위가 확대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정권교체에 따른 국가안보전략의 변화가 세계정세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주변국 강국들의 사활적 이익이 무엇인지를 판단하는데 좋은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반도의 주요 강대국인 미국과 중국, 일본의 사활적 이익을 살펴봄으로서 국가안보전략의 목표인 국익에 초점을 두고 우리의 국가안보전략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함에 있다. 첫째, 국가안보전략은 현재와 미래를 향한 자국의 ‘사활적 이익’을 우선으로 하여 국가안보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따라 일관성이 있게 국가의 대전략과 외교안보전략들을 수립하고 이행해 가야 한다. 둘째, 수립된 국가안보대전략을 중심으로 정치, 경제, 군사안보를 위한 모든 국력의 수단들을 상호 긴밀히 연계하여 총체적이고도 일관성이 있는 정책. 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셋째, 지난 자국의 경제성장에만 치중하였던 민족주의적이고도 편협한 국가안보전략에서 탈피해 국제 기여도 확대 등을 통 - ⅱ - 하여 국제질서 속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뿐만 아니라, 외교안보 환경에서 다자간협력을 끌어올 수 있도록 국제적 신뢰도와 위상을 높이는 세계적 안보전략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국제 기여도를 확대시켜 나가는 문제가 각 국가의 영향력의 확대를 의미하고 있다. 본 논문의 접근 방식은 두 가지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는데, 하나는 미국의 세계안보전략의 변화가 직면한 한반도의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동북아 주변 강대국들의 사활적 이익을 통해 현재 한반도가 처한 외교안보환경을 살펴본다. 21세기 대한민국의 번영이라는 ‘국익’ 창출을 위한 필연적 과정으로서의 국가안보정책 수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장 한국의 현실에 맞는 국가안보전략을 세우기 위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본다. 마지막으로, 각 장의 주제들을 소개함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 방향과 접근 방법에 대한 마무리를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고, 제 2장에서는 국가안보전략과 사활적 이익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제 3장에서는 동맹국인 미국의 국가대전략의 하나인 ‘전략적 유용성’ 개념의 이해를 통해 주한미군의 성격의 변화, 즉 한미동맹 관계의 변화뿐만 아니라, 한반도에 가지는 미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사활적 이익’ 또는 ‘주요 이익’의 관점에서 한반도 주변 정세 및 처한 상황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 4장에서는 국가안보전략의 현실/현주소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앞서 말한 우리의 국익추구의 차원에서 21세기 번영하는 대한민국을 건설하고, 안정된 한반도 정세를 위해 어떠한 국가대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고, 21세기 한국이 지향해야 할 국가안보대전략 구상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김정일의 선군리더십과 '조선인민군'

        이성권 숭실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Military-First” Leadership of Kim Jung Il and “Korean People’s Army” LEE, SUNG-KWON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Ever since the national defense chairman, Kim Jung Il has emerged as a North Korean leader in 1998, one of the debates in regards to North Korean researches has become a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party and military force; to be specific, the weakening of the status of labor party and reinforced military status. In a sense that de jure political party previously constructed the federal system of a nation and the accentuation of consistent military strengthening prevailed while the parties weren’t operating at their normal functions, North Korea under the command of Kim Jung Il, could be regarded as a status in military predominance. The debate over party vs military force was raised again in the process that Kim Jung Eun emerged as a successor of Kim Jung Il in 2010. This was because Kim Jung Eun was given a role as the vice chairman of the newly established Central Military Commission. “Military-predominance” in North Korea is yet again questioned by the claim that party’s regulation of military still exists and the “predominance of political party” is gaining credibility. However, considering unique “Great Leader” system sustaining North Korea backed by “Juche Socialism,” the aforementioned argument could all be meaningless. It is because focused on the Great leader who has absolute power, the concerned party, military and the cabinet could be considered as mere tools to materialize the will of the Leader. Only if Kim Il- Sung utilized a traditional party-led national system to govern military and cabinet sides through the party, he could think the party did not execute its proper role during the harsh times, so it was apparent that a transformed party-led system had been introduced with military involvement. In other words, Kim Jung Il used a method of direct regulation through his associates to corresponding institutes rather than issuing a countermeasure through the party as he used to in his successor days. Since the death of Kim Il Sung in July of 1994, North Korea encountered the most important opportunity of change on 17th of December, 2011 as the death of Kim Jung Il who governed North Korea since the 6th Party Congress of 1980, was broadcasted at noon of 19th of December by the North Korean press. Hence Kim Jung Eun, was nominated as the sole leader of North Korean government without much succession preparation. At this point, “on what base we predict the era of Kim Jung Eun?” should be a rather apparent and legitimate question. The answer lie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as it claims that they are following the injunction of the late Kim Jung Il. Although not specified, North Korea asserts that Kim Jung Il left a “10.8 testament” 2 months prior to Kim Jung Il’s demise. North Korea, following this testament, inducted Kim Jung Eun as the new leader as well as regulating in accordance with the script. Since the specific contents of this testament are not clarified as mentioned, we can only infer about Kim Jung Eun’s politics by investigating those of Kim Jung Il himself. H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specific system of regulating North Korean politics of Kim Jung Eun inherited from his predecessor, Kim Jung Il. Specified is the aforementioned, “Military Predominance” policy of Kim Jung Il and the distinction from the similar policy under Kim Il Sung such as the guaranteed safety of North Korean military. Especially, the investigation considered the clear distinction of North Korean military’s role in economic and foreign policy of Kim Jung Il. The result was that the primary role of North Korean military, as evident in other democratic nations, was to guarantee safety from foreign threat. To practice this, North Korean military is given a monopolistic exertion of force and authority that’s only justified when protecting and ensuring the safety of its country from foreign threats. Transformation to “Military Predominance” policy naturally lead to the status shift of North Korean army from “Military force of the public” to “Military force of political parties” and again from “Military force of the reigning authority” to “Military force of the successor.” Noteworthy is that the role and capacity of North Korean Military force hasn’t exceeded the natural and basic mission of protection before the death of Kim Il Sung. The role of North Korean Military underwent significant shift as the “Military-First” policy was consolidated in the mid 1990’s after the death of Kim Il Sung. Military is given a task of guarding the system, enforcing economic normalcy, and even exemplifying as the standard model of economic ideas ever since this policy shif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fro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method), Kim Jung Il maximized the solidarity of the political system by physically visiting different institutes located all over North Korea and pressing for attainment of significant enterprises. The magnitude of military in North Korea is evident as Kim Jung Il spent 4 out of 17 years of his presidency visiting and encouraging military sites. North Korea advocates that “Military First” policy has contributed to successful development in the electricity, agriculture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Notably in areas where deploying of mass number of workers is required such as construction sites and civil engineering, are benefited from this policy. “Ahn-Byung-Chungnyun power plant,” “Tae-Chun power plant,” and “Ahn-Ju” coal mine construction are some of the most significant achievements. North Koreans claim that growing munitions and military industry directly leads to the development of economy of a whole. Civilian industry, however, can never be replaced by the milit 국문초록 김정일의 선군 리더십과 '조선 인민군' 이성권 정치 외교학과 지도교수 이정철 숭실대학교 대학원 1998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북한의 최고지도자로 공식 등장한 이후 북한 연구와 관련된 논쟁 가운데 하나는 바로 북한의 당-군관계, 즉 노동당의 위상 약화와 군대의 위상 강화에 대한 것이라고 할수있다. 당-국가체제를 기본으로 하는 북한에서 당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동시에 군을 지속적으로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김정일 시대 북한의 당-군관계 관련 논란은 이른바 ‘군의 우세’ 방향으로 정리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2010년 북한에서 김정일의 후계자로 김정은이 등장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당-군관계 관련 논란은 다시 발생 하였다. 김정은에게 최초로 부여된 직책이 다름 아닌 신설된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이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군의 우세’ 방향으로 정리되는 듯하던 북한의 당-군관계 논란은 다시 점화되어 군에 대한 당의 통제가 여전히 북한에서 작동한다는 주장, 즉 ‘당의 우세’가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고 할수있다. 그렇지만 북한이 유지하고 있는 독특한 정치체제, 즉 수령제를 감안 하면 당-군관계와 관련된 논란과 논쟁이 무의미 할수도 있다. 북한의 절대 권력자인 수령에 초점을 맞춘다면 당과 군, 내각이 모두 수령의 의지를 구현 시키는 수단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다만 김일성이 당을 통해 군과 내각을 지도․통제하는 전통적인 당-국가체제를 통치에 활용했다면 김정일은 고난의 행군을 겪으면서 당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자 군을 활용하는 변형된 당-국가체제를 통해 통치 했다는 차이를 보였다고 할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김정일은 자신이 후계자 시절에 그러했던 것처럼 모든 주요 사안에 대한 보고를 직접 받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당을 통해 하달 하는 것이 아니라 측근을 통해 해당 기관에 직접 지시하는 직할통치를 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2011년 12월 17일 북한은 1994년 7월 김일성 주석 사망 이후 가장 중요한 변화의 계기를 맞았다. 1980년 제6차 당 대회를 통해 후계자로 공식 등장한 이후 북한을 실질적으로 통치해 온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이날 사망했다고 북한 매체가 12월 19일 정오에 일제히 보도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김 위원장의 후계자로 내정됐던 그의 3남 김정은이 체계적인 후계수업을 마치지도 못한 상태에서 북한의 새로운 최고 지도자로 전면에 나서게 되었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무엇을 근거로 김정은 시대의 북한을 예상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질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자는 북한의 지난 역사를 살펴보는 것에서 해답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북한이 김정일 위원장의 유훈에 따르고 있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북한은 김정일 위원장이 사망하기 2개월여 전에 이른바 ‘10․8 유훈’을 남겼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은 이에 따라 새 지도자 김정은이 최고사령관에 추대 되었으며, 새 지도체제 역시 김정일 위원장의 유훈에 따라 북한을 통치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김정일 위원장이 남겼다는 유훈의 세부적인 내용을 정확 하게 파악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가 할수 있는 일은 김정일이 어떠한 방식으로 북한을 통치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김정은 체제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지 가늠 해보는 정도일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 겸 국방위 제1위원장이 김정일 위원장으로부터 물려받은 북한의 정치 시스템이 어떤 것인지를 보다 세밀하게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김정일 시대 북한의 정치행태 라고 할수있는 ‘선군정치’와 김정일 위원장의 통치 스타일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김정일 시대 선군정치 하에서 김일성 시대와 구분되어 뚜렷하게 부각되기 시작한 북한군이 안전보장 이라는 본연의 역할 외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도 천착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김정일 시대에 북한군의 역할이 경제적 부문과 대외관계 부문에서 이전 시대와는 뚜렷하게 차별화될 정도로 두드러지는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감안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에서 군대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정치체제를 달리하는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의 위협에 대한 안전보장, 즉 안보의 확보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군대는 국가의 물리력을 유일하게 독점하고 있으며, 이렇게 확보한 물리력은 보통 대외적인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보위하고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될 때만 정당화된다. 북한의 정치체제가 당-국가체제에서 수령제로 변화함에 따라 북한군의 위상도 ‘인민의 군대’에서 ‘당의 군대’로, 다시 ‘수령의 군대’와 ‘후계자의 군대’로 변화 하였지만 김일성 주석이 사망하기 전까지는 북한에서 군대의 역할과 기능이 기본적 사명을 넘어서지 않았다. 그러나 김일성 주석 사후인 1990년대 중․후반 북한이 위기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선군정치’가 북한의 정치 시스템으로 대두되

      • 머신비전을 이용한 판타그래프 습판마모 측정에 있어서 우천으로 인한 영상노이즈 제거방법에 관한 연구

        이성권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철도 운영기관에서 도입하여 운영중인 전동차 자동검사 장치의 하나인 판타그래프 습판마모 자동측정 시스템은 최첨단 기술인 머신비전 기법을 이용한 장치로서, 습판체의 마모상태를 CCD [Charge Coupled Device : 전하결합소자] 카메라로 자동 측정한 영상자료를 각종 판정기법으로 마모상태 및 마모한도 초과 여부를 판단,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원격 통보함으로써 검수자에 의한 육안검사 없이 마모량 및 교체 시점을 판단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머신비전 기법은 측정시 발생되는 카메라를 포함한 전자기적 노이즈인 하드웨어적 요인과 영상에 입력되는 측정물을 방해하는 노이즈인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측정된 영상자료가 실제 측정상태로 복원하는 과정에서 노이즈 상태로 나타나 실제 상태와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노이즈는 영상측정 기법에 있어서 치명적인 에러를 발생하여 무한루프를 발생시키거나, 측정오차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측정치와 판독치의 불일치로 나타나게 됨으로써 측정데이터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측정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법이 적용되어야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일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적 노이즈에 국한하여 우천시 발생되는 빗물이 영상에 입력되어 마모된 판타그래프 습판의 에지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방해 여부를 확인하고,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필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실제 적용한 후 결과를 확인하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노이즈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우천시 촬영된 원본이미지를 VC++와 MIL7.5로 만든 필터링 테스트 프로그램으로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고 필터링한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Delphi7과 MIL7.5를 적용한 라인픽셀 추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필터링 결과에 대한 에지의 적합한 계조도를 분석하였다. 필터링 기법은 평활화(Smoothing) 처리의 평균마스크(Averaging mask), 중간값 필터(Median filter) 등을 사용하여 그 결과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점을 확인하고 가장 안정적이고 적합한 기법을 고안함으로써, 머신비전 기술에서 사용되는 영상측정에 있어 에지추출(Edge Detection) 기법이 빗물에 의한 환경적인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The automatic pantagraph sliding shoe abrasion measuring system, which is one of the automatic inspection devices for electrical motor car and currently introduced and operated by the operation agencie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s, is a device that uses the machine vision technique and a cutting-edge technology that determines the level of abrasion and timing of replacement without the help of visual inspection of an inspector after deciding on the conditions and level of abrasion. The abrasion conditions of sliding shoe automatically are captured by a CCD(Charge Coupled Device) camera. The result of the image processing are monitored by networking system. The machine vision technique involves the risk of generating an error between the actual and measured conditions because the measured video data comes out as noise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video data to the actually measured conditions, which result from both the hardware factors such as camera and other electromagnetic noise that occurs at the time of measurement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noise that interferes with the data recorded into the video. This type of noise becomes the cause for reducing the credibility of the measured data by either causing infinite loop due to critical errors in the video measurement technique or making measurement errors bigger and thereby generating the discrepancy between the measured and interpreted data. Therefore, the credibility of the system can be enhanced only when the technique to remove the noise adversely affecting the measurement results is applied. This paper will study the impact of the rain that penetrates into the video and negatively affects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edge of the pantograph sliding shoe. In addition, this paper will determine the most effect method by using the filtering technique, which is most widely used. The gradient suitable for the edge of detecting the filtering results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noise filtering technique which is developed by converting the original image filmed at the time of rain with VC++ and MIL7.5, and by executing the line pixel sampling program used for verification of the filtering results. Filtering techniques include averaging mask(one of smoothing techniques) and median filter, with which problems and the causes are examined. The most proper technologies should be designed and applied to the problems and causes and the results should be analyzed. It is significant to select the most proper technology for edge detection to isolate raindrops from the subject.

      • 18F-FDG에서 방사능 농도에 따른 방사화학적 순도변화 연구

        이성권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18F-FDG에서 방사능 농도에 따른 방사화학적 순도변화 연구 방사선학과 이 성 권 지도교수 강 세 식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18F-FDG에서의 단위부피당 방사능 농도에 따른 방사화학적 순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방사성의약품 품질관리의 기준 설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사이클로트론(Eclipse HP, Siemens, TN, USA)에서 가속된 양성자를 표적물질 18O에 조사하여 생성되는 18F를 자동합성장치(Explora, Siemens, TN, USA)를 이용하여 18F-FDG를 제조하였다. 단위부피 1 cc당 방사능 농도가 10 mCi에서 200 mCi까지의 6개의 18F-FDG sample를 제조한 후 박층크로마토그래피법(Thin Layer Chromatography; TLC)으로 방사선분해에 의한 방사화학적 순도의 변화 정도를 매 1시간마다 8시간동안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 단위부피당 방사능 농도가 10, 25, 50, 100, 150, 200 mCi/cc의 18F-FDG 중 100 mCi/cc 이상에서 시간변화에 대한 방사화학적 순도가 현저하게 떨어졌다. 제조시 98.03%의 방사화학적 순도가 8시간이 지난 후 50 mCi/cc 이하의 농도에서는 95% 이상의 방사화학적 순도가 유지 되었지만 100 mCi/cc 이상의 농도에서는 93%대로 대략 2% 이상의 방사화학적 순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100, 150, 200 mCi/cc에서의 각각의 방사화학적 순도는 93%대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10, 25, 50 mCi/cc에서의 방사화학적 순도의 차이도 각각 1% 내외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결론: 18F-FDG 제조 후 단위부피당 방사능의 농도를 50 mCi/cc 이하로 유지시킴으로 18F-FDG의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조 시 방사화학적 순도에서 8시간 이후에는 최대 5%에 가까운 순도 감소를 확인하였기에 환자에게 정맥주사 시 방사화학적순도가 대한약전(Korea Pharmacopeia)에서 요구하는 90% 이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18F-FDG 제조 시 100 mCi/cc 이상의 방사능 농도일 경우 95% 이상의 방사화학적 순도가 필요할 것이다.

      • 탄소복합재에서 단섬유의 종횡비와 공정분산성에 따른 물성치와의 관계

        이성권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high integration of electronic device elements has increased the heat gen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affecting the lifetime and performance of devices.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s are being researched. Since the characteristics and alignment of the reinforcement in the resin of the composite materia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material were studied by aligning carbon fiber of various aspect ratio through Vacuum filtration. Through cross-section observation and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of the specime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aspect ratio of carbon fiber, the better the alignment and the higher the thermal conductivity. The tensile strength also showed a high value in the carbon fiber with a low aspect ratio.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that the lower the aspect ratio, the lower the viscosity, the better the arreangement is occurred, and there are many physical connection points due to the large number of carbon fibers.

      • QR코드와 Indexing을 적용한 의료 영상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성권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스마트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증가와 스마트폰과 연계한 기술의 발전으로 의학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생체 정보를 의료정보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되는 생체신호를 비롯하여 라이프로그 정보 등을 위한 표준화된 통합 관리방법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보안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다양한 생체 신호와 의료 영상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임상에 신속하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료 영상정보인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Medicine)에서 추출한 이미지 정보와 환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에서 ROI (Region of Interesting)정보를 추출하여 의료정보 교환을 위한 통합된 이미지 스킴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EMR에서 추출한 ROI 정보를 QR(Quick Response)코드로 변환하여 의료 영상정보와 하나의 이미지로 통합하였다. 이러한 통합된 이미지의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은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의료 영상 기기와 생체정보 측정 디바이스, 생성된 의료정보를 관리 및 제공해주는 의료정보 서버, 그리고 사용자에 해당하는 의료진의 스마트폰과 데스크 탑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전체 물리적인 시스템 상에 통합 이미지 스킴을 처리하기 위한 핵심 모듈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특히, 제안한 시스템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 의료정보 서버는 의료 영상저장전송 시스템인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와 병원의 생체신호 측정기로부터 생체신호 수집을 위한 실시간 생체 정보관리 시스템 및 통합 이미지 정보를 생성, 관리, 제공을 위한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통합 이미지 정보가 다양한 응용 서비스들에게 제공되기 위해 응용 별로 제공될 수 있는 형태를 정의하였고 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델들에 대하여 설계 및 구현하였다. 다양한 서버에 저장되어있는 의료정보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해 제안한 통합 이미지 스킴에 정보교환뿐만 아니라 개인의 의료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검색 방법 및 의료정보 보호 기능을 추가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 이미지에 포함된 QR코드로 제공되는 ROI 정보에 검색 키가 포함되어 응급상황 발생 시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의료정보를 확인하도록 하였으며 이 ROI 정보를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체정보와 의료정보를 보호하도록 구현하였다. 끝으로 제안한 시스템 상에서 의료정보 교환에 대한 응용 서비스를 구현하여 각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수행결과를 보인다. 그리고 이에 대한 성능평가를 통해 수행성 검증 결과를 보인다. Recently, the innovation in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increasing of various wearable devices connected to smartphones has been led to develop the smart mobile health care system. Therefore, there are many researches which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on various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to be the practical use for healthcare information. For development the smart mobile healthcare system, a variety of sensors, a security technique with standardized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for protecting life log information and bio-signal are required.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d the method for management integrating of the various bio-signals and medical images which can provide information quickly to clinicians. Hence, we implemented the integrated image scheme design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y extracting the medical image information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Medicine), image information and the patient’s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from the ROI (Region of Interesting). In addition, the ROI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MR was converted into QRcode and bind with the medical image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integration of images and the generation of the medical information, the mobile X-ray device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health information server that provide the management and generation of health information was configured in the system and could correspond to the user through personal mobile phone and desktop. For the physical system, we implemented and designed software architecture based on the image scheme and the core module. In particular, the proposed system provided a real-time biometric management system and the integrated image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information server that stored the medical image transmission system 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Moreover, the interface model and module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providing the integrated image information to the various kind of application service. For storing data on the various servers quickly and security, the proposed system provided the search method and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access to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s well as information exchange scheme by the integrated image. The ROI information provided in a QRcode contained the integrated imag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ROI information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health information effectively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happened. Furthermore, we also implemented the Advance Encryption Standard (AES) algorithm for protecting the medical information. Finally, the proposed system showed a result of the executing services providing by each system and the application service for electronic health record exchange. And it also showed the verification result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