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자이너 이상철 연구

        강승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6

        지금까지 한국 디자인사 연구나, 연구자의 숫자는 매우 적다. 다각도에서 활발한 한국 디자인사 논의가 일고 있지 못할뿐더러, 디자인 정책이나 디자인을 둘러싼 환경 변화를 통해 한국 디자인을 거시적으로 다루는 연구가 일부 있을 뿐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디자이너에 대한 인물사적, 작가론적 접근은 매우 미미하고, 초기 한국 디자인을 이끌었던 디자이너에 대한 조명도 매우 부족하다. 연구자는 한 인물에 대한 세밀한 기록과 조명이 한국 디자인사를 써 내려가기 위한 중요한 기초를 만드는 일이라는 생각으로 디자이너로 60년 가까이 수많은 업적을 쌓아온 이상철 연구를 시작했다. 많은 문헌에서 이상철을 <뿌리깊은나무>의 ‘한국 최초의 잡지 아트디렉터’ 혹은 <샘이깊은물>을 창간하면서 탈네모틀 글자꼴 ‘샘이깊은물체’를 만들어 발표한 디자이너 정도로 그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1991년 1월 7일 자 중앙경제신문에 실린 ‘이렇게 산다’라는 인터뷰 기사는 이상철을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그라픽 디자이너, 에디토리얼 디자이너, 아트디렉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디자인 컨설턴트, 토탈 마케터인 ‘이가솜씨’ 대표. 다시 말해 이상철은 알려진 바와 같이 한국 디자인사에서 처음으로 아트디렉션 시스템을 도입하고 그리드 시스템 편집 기법을 적용한 편집 디자인을 시도하여 편집 디자인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을 뿐 아니라 공간 디자인까지 자신의 영역을 지속해서 확장해 온 디자이너이다. 이상철은 1973년 ‘이가솜씨 어소시에이츠’를 설립했다. 디자이너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설립한 디자인 전문회사로 1996년 법인회사로 전환하여 46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주)디자인 이가스퀘어’로 회사명을 변경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연구자는 그동안 문헌에서는 드러나지 않으나 1970년대 초, 활발한 활동을 하던 분야별 전문회사가 많았다는 것을 디자이너들의 증언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상철의 ‘이가스퀘어’는 설립자가 꾸준히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있는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디자인 전문회사 중 하나다. 이상철의 ‘이가솜씨’는 편집 디자인 영역뿐 아니라 광고 디자인, 브랜드 디자인, 공간 기획과 디자인, 그리고 한국 전통공예 정체성 연구와 현대화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방위적으로 활동해왔다. 이 연구는 지난 57년 동안 디자이너 이상철의 행적을 정리하여, 그의 디자인 활동이 당시 한국 디자인계에 미친 영향을 밝혔다. 디자이너 개인에 대한 기록과 그 인물을 둘러싼 사건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앞으로 한국 디자인사를 더 밀도 있게 다루기 위한 중요한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시작했고,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신념은 확신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이상철이 1970년대 잡지 디자인에서 보여준 새로운 편집 디자인 스타일과 아트디렉션 제도 도입이 이후 한국 출판계와 편집 디자인 스타일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당시 활동한 분들의 증언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최초의 아트디렉션 제도를 도입한 잡지라 알려진 <뿌리깊은나무>의 창간보다 6년 앞선 1970년 <배움나무>에서 이미 아트디렉션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정사각형 판형 도입은 당시로써는 파격적이고, 획기적인 레이아웃이 적용된 출판물의 등장이었음을 확인했다. 또한 대표적인 ‘이상철 스타일’이라고 알려져 있는 <뿌리깊은나무> 이전의 그의 편집 디자인 스타일과 <뿌리깊은나무>의 디자인이 나오기까지의 변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84년 <샘이깊은물>의 창간과 함께 발표된 탈네모틀 글자꼴 ‘샘이깊은물체’는 탈네모틀 글자로는 처음으로 상업적 용도로 사용된 사례다. ‘샘이깊은물체’가 잡지 <샘이깊은물>의 제호로 활용되고, 제목용 글자체로 쓰이면서 잡지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이전의 탈네모틀 글자꼴 연구들과는 차별된 간결한 구조였고, 이는 이후 탈네모틀 글자꼴 연구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 연구를 통해 ‘샘이깊은물체’가 만들어지기까지 한글 글자체 디자인의 연구 과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72년 <배움나무>의 제호 디자인은 한글 구조에 대한 실험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였다. 이상철의 다양한 디자인 활동은 특히 1970년대 <뿌리깊은나무>의 광고 디자인에서 돋보였다. 그동안 한국 디자인사를 다루는 문헌에서는 알려지지 않았던 내용이다. <뿌리깊은나무> 지면광고를 위한 광고 디자인을 시작으로 한때 이가솜씨는 광고 에이전시로 알려질 만큼 다양한 광고 대행 업무를 활발히 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는 남성복 브랜드 ‘캠브리지’다. 이상철의 광고 전략 제안으로 브랜드 런칭 초기에 <뿌리깊은나무>에 시리즈 광고를 전개했다. 이러한 전략의 성공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남성복 브랜드로 성장했다. ‘캠브리지’는 애드버토리얼 광고 기법과 문화마케팅을 도입한 브랜드로 ‘캠브리지’ 이전 한국 광고사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시도이자 사례다. 이상철의 광고 전략과 마케팅 전략으로 무명의 중소기업 브랜드가 업계 최고의 브랜드로 성장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가치는 인물사 연구를 통해 거시적인 방법으로는 찾아낼 수 없었던 디자인의 역사적인 사실과 기록을 발굴해냈다는 점이다. 그동안 한국 디자인은 1960년대와 1970년대 국가 주도의 디자인 진흥사업이나 국전에서의 수상작과 수상자, 그리고 대학에서의 활동에 치중하여 정리되어 왔다. 국가 주도의 디자인 진흥사업이 아닌 민간 기업의 디자인 성과물과 디자이너의 활동은 역사에서 외면되어 왔다. 그뿐만 아니라 서울대와 홍대 출신이 아닌 디자이너와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하지 않은 디자이너에 관한 활동도 외면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 연구가 그동안 한국 디자인사가 밝히지 못한 수많은 인물과 그들의 행적들을 디자이너 개인의 생애사 연구를 통해 밝혀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하리라 확신한다.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and researchers on Korean design history so far. There are not enough discussions being conducted on Korean design history from multiple angles and there are just few macroscopic studies on Korean design through change in design policy or environment change in design. Thus, there are very limited personal and authorial accesses to designers. Also the designers who led the early days of Korean design are rarely gaining attention.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believed that making detailed documents and spot-lighting on an individual designer will be an important base for recording Korean design history so a research on Rhee Sang-chol, who had achieved numerous accomplishments for 60 years as a designer, has started. In many literature, Rhee Sangchol has been introduced as ‘The first magazine art director of Korea’ or a designer who invented De-squared letterform ‘Saemikipunmul Font’ by publishing a magazine called < The Saemikipunmul >. But in an interview article called, ‘The way that they live’ written on January 7th, 1991 in Jungang Economic News, Rhee Sang-chol was introduced as the CEO of IGA Somssi Associates, a graphic designer, an editorial designer, an art director, a creative director, a design consultant, and a total marketer. In other words, as is well known Rhee Sang-chol introduced art-direction system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design history and tried editing technique by applying grid system editing technique so that he distinguished himself in the editorial design industry. Furthermore, he extended his territory even to the space design field. Rhee Sang-chol has founded ‘IGA Somssi Associates’ in 1973. Until now, he has been operating the design company named after him for 46 years and the company name has changed to Design IGA Square, Inc. From other designers’ testimonie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uld realize that there were not many specialized companies in each sector of design in early 1970s. The fact was not written in the literature so far. ‘IGA Square’ that the founder has been leading continually is one of the most specialized design companies with the oldest history. ‘IGA Somssi’ of Rhee Sang-chol has been working in various areas from editorial design to marketing design, brand design, spatial projection and spatial design, and has been studying on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and modernization. This study has reviewed a designer called Rhee Sang-chol with 57 years of design experience and has defined the influence that his design activities had affected on Korean design industry. This study was started by a belief that recording a designer and his historical events surrounding him should become an important base in order to deal with Korean design history more in detail in the future.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m, the belief became more confirmed. Through the study, many experts who were in the industry at that time testified how the Korean publishing industry and editorial design style have changed after Rhee Sang-chol had introduced new editorial design style and art-direction system shown in magazine design in 1970s. Especially, tho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rt direction system was already introduced by < The Learning Tree > in 1970 which was 6 years ahead of publishing the first issue of < The Deep-Rooted Tree > known as the first Korean magazine introduced art-direction system. And also the square-shape design for books was very extraordinary at that time and it introduced a unique publication with applying revolutional layout. Also it was possible to see his previous editorial design style before introducing < The Deep-Rooted Tree > known as ‘Rhee Sang-chol Style’ as well as the process of change until design of < The Deep-Rooted Tree > was introduced. The de-squared letterform called ‘Saemikipunmul Font’ which was introduced by publishing the first issue of < The Saemikipunmul > in 1984 is the first case that de-squared letterform was commercialized. ‘Saemikipunmul Font’ was applied in the title of < The Saemikipunmul > and was used for letter style for title so that it took an important role when making identity and image of magazines. It was a simple structure which wa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De-squared letterform and then it gave a lot of influence on studies on Desquared letterform. Especially through this study, it was able to check the process of researches on Korean letterform design until ‘Saemikipunmul Font’ was found. The title design of < The Learning Tree > in 1972 was a change to start testing on Korean letter structure. His various design activities stood out especially in the marketing design of < The Deep-Rooted Tree > in 1970s. It was not treated in other literature on Korean design history so far. At one point of time, IGA Somssi Associates which had started business from a marketing design was known as a marketing agency because it took various marketing jobs as an agency. Especially, ‘Cambridge’ known as a male fashion brand is a notable project. Based on marketing advice of Rhee Sang-chol, it had series marketing in < The Deep-Rooted Tree > in the beginning of the business. As a result of the successful strategy, it became a representative male fashion brand in Korea. Also ‘Cambridge’ was the first brand introducing advertorial marketing technique and cultural marketing which was a unique case that no one have ever tried before then in Korean marketing history. Rhee Sang-chol’s commercial strategy and marketing strategy had taken a key role so that a new small-medium sized company could have the best male brand name in Korea.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historical facts and records of design that macroscopic methods of previous studying on personal history could not find, were found through this study. So far Korean design was focusing only on design promotion business led by the government in 1960s and 1970s, prizewinning pieces and the winners of National Art Exhibition, and activities in universities. People have been paying attention only on design promotion business led by the government rather than design works by private enterprises and activities of designers. Furthermore, activities of those designers who were not graduated from Seoul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as well as designers whose major is not design are not gaining attention. Under the circumstance, it was meaningful to check the possibility that it is possible to find many designers and the activities through studying on individual’s personal history that Korean history could not pay attention.

      • 지방세무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이상철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지방세무직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방세무직공무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at increasing job satisfaction of local tax officer in the Gwangju metropolitan government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local tax officer's job satisfaction factors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 자기장 외란에 강건한 멀티콥터의 방위각 추정기 설계

        이상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멀티콥터 산업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많은 분야에서 멀티콥터가 활용 되고 있다. 연구 조사, 영상 촬영, 레이싱과 같은 스포츠에서 Toy 까지 적용 범위가 더욱더 넓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비행 중 추락 사고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안전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런 사고들에는 여러 원인들이 있지만 그중 대표적으로 자기장 외란에 의한 이상 비행 현상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자기장 외란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도록 연구를 수행 하였다. 멀티콥터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외부 센서 없이 탑재 되어 있는 관성센서 및 자력계 센서 만을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구성 하였다. 센서 모델을 통해 자기장 및 가속도 외란을 정의 하였고 이를 추정 할 수 있는 확장 칼만 필터 기반의 기법을 제안 하였다. 센서 모델과 자기장 외란 모델을 구성하여 멀티콥터 시뮬레이터를 설계 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 연구 사례와 제안 방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제로 가장 빈번하게 일어 날수 있는 외란의 유형을 정의 하고 그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제안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 하였다. 이후 실제 환경에서 시험을 위해 멀티콥터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는 Open Source 기반의 비행 제어 컴퓨터에 알고리즘을 탑재하여 비행 시험을 수행을 통해 자세 및 방위각 항법 성능을 검증 하였다. In recent years, multi-copter industry has exploded and multi-copter has been used in many fields. The application range from sports such as research, video shooting, and racing to Toy is getting wider. As a result, frequent crashes occur during the flight and safety problems are emerging. There are many causes for such accidents, but among them, abnormal flight phenomena caused by magnetic field disturbance are examples.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o minimize the error due to magnetic field disturbance. Algorithm was constructed using inertial sensor and magnetometer sensor without external sensor to be suitable for multi-copter environment. Magnetic field and acceleration disturbance are defined through the sensor model and an extended Kalman filter based method is proposed to estimate the disturbance. The sensor model and the magnetic disturbance model were constructed to design the multi - copter simulator. The type of disturbance was defined by reference to the actual environment, and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flight test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designed algorithm. Applicable subjects were verified attitude and azimuthal navigation performance using Open Source based commercial flight control computer.

      • 베트남 하수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 진출방안 연구

        이상철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Vietnam is the 8th largest trading nation in Korea (as of 2014), and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grown at an average annual rate of 23.6% over the last four years, and reached $ 303.4 billion in 2014. With the conclusion of an FTA between Korea and Vietnam in December 2014, Vietnam has emerged as the third largest export destination in Korea after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Vietnam will join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TPP) with 12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in October 2015, so foreign investment is expected to expand in the future. Thanks to such external environment, Vietnam is expected to be urbanized due to stable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at are urgently needed for rapid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are in short supply. Since only 10% of the city sewage discharged from Vietnam is disposed through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ere is a high demand for investment in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hich are essential for urban life. Public sector resources for supplying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re in short supply, so the provision of facilities through private investment is an altern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Korean companies entering into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PPP) in Vietnam and to find ways to revitalize the project. In this paper, the following researches were conducted. first. The current data on the possibility of the market size and policy direction of th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Vietnam, the possibility of Hanoi City's 2030 ~ 2050 master plan, and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PPP) were summarized and the size of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PPP) second. Review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such as the establishment procedure and licensing of the corporation when promoting the new legal system (Decree 15/2015 / ND-CP, Decree 30 / ND-CP) and PPP of the Public Investment Law revised in 2015 And suggested some consideration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a Korean company is to promote the sewage treatment plant in Vietnam as a private investment project (PPP). thir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xperts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Vietnam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construction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Vietnam and the possibility of propelling them into PPP. Based on the results, we supported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strategy and possibility of the PPP project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fourth. In order to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entering the private sector investment project (PPP) in Vietnam, the population and land area of Korea and Vietnam, the status of existing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the size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o be constructed in Vietnam in 2014 (PPP) in the future. 베트남은 우리나라의 8대 무역국(2014년 기준)으로 양국간 무역은 지난 4년간 연평균 23.6%의 빠른 증가세를 나타내며 2014년 303.4억 달러의 무역규모를 기록하였다. 2014년 12월 한국과 베트남의 FTA체결로 인해 베트남은 중국, 미국에 이어 우리나라의 제3위 수출대상국으로 도약하였다. 또한 베트남은 2015년 10월 미국 등 12개국과 함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 Trans Pacific Partnership)에 가입되어 있어 향후 외국기업들의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대외 환경에 힘입어 베트남은 안정적이고 빠른 경제발전에 따른 도시화가 예상된다. 그러나 빠른 경제성장 및 도시화에 절실하게 필요한 하수처리시설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베트남에서 배출되는 도시하수의 10%만을 하수처리시설을 통해 처리하고 있어 도시생활에 필수적인 하수처리시설에 대한 투자수요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하수처리시설 공급을 위한 공공부문의 재원은 부족한 상황이어서 민간투자를 통한 시설공급 방안이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베트남 하수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PPP)의 진출 가능성을 검토하고 사업추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베트남 하수처리시설의 시장규모와 정책방향, 하노이시의 2030~2050 마스터플랜, 민간투자사업(PPP)의 추진가능성을 기존자료들을 정리하여 민간투자사업(PPP) 추진가능 규모를 파악하였다. 둘째. 2015년 개정된 공공투자법의 새로운 법률체계 (Decree 15/2015/ ND-CP, Decree 30/ND-CP), 민간투자사업(PPP)으로 추진시 회사법인의 설립 절차 및 인허가등의 행정절차를 검토하여 한국기업이 베트남 하수처리시설을 민간투자사업(PPP)으로 추진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셋째. 베트남 현지에서 하수처리시설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베트남의 하수처리시설 건설의 필요성, 문제점, 민간투자사업(PPP)으로의 추진가능성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수처리시설 건설 및 유지관리 사업에 대하여 민간투자사업(PPP)으로의 추진 전략 및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뒷받침하였다. 넷째. 베트남 하수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PPP) 진출가능성을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2014년을 기준으로 한국과 베트남의 인구 및 국토, 기존의 하수처리시설의 현황과 향후 베트남에 건설해야할 하수처리시설의 규모를 추정하여 향후 민간투자사업(PPP)으로의 진출가능성을 판단하였다.

      •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플랫폼 6자유도운동-계류계 연성해석 솔버 개발

        이상철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해양플랜트의 작업 성능 및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의 거동과 계류계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상용 계류계 해석 소프트웨어들은 플랫폼의 거동을 해석하는데 있어 포텐셜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플랫폼 주위의 점성효과를 고려할 수 없다. 또한 해양플랜트가 설치되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계류라인의 동역학적 특성이 더욱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극심한 환경 조건하에서도 플랫폼의 거동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플랫폼 거동과 계류계간의 양방향 연성해석이 필수적이다. 이런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OpenFOAM 및 MoorDyn과 같은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들을 이용하여 양방향 연성해석 솔버를 개발하였다. OpenFOAM은 플랫폼의 6자유도운동을 점성 유동 이론에 근거하여 해석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전산유체역학 라이브러리이고, MoorDyn은 집중질량모델을 기반으로 계류계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 및 복원력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오픈 소스 계류계해석 라이브러리이다. 양방향 연성해석이 진행되는 매 시간간격마다 OpenFOAM에서 계산된 플랫폼의 거동은 MoorDyn으로 전달되어 경계조건으로 사용되고, MoorDyn에서 계산된 복원력은 OpenFOAM으로 전달되어 외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끝으로, 개발된 연성해석 솔버에 대해서 계류계의 정적 하중과 형상 해석, 계류계의 동적 하중 해석, 정수 중에서의 자유 감쇠 운동 및 계류계와 연동된 감쇠 운동 해석, 스톡스 5차 파랑 중에서의 플랫폼 계류 운동과 계류계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해석에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모든 계산 결과는 엄밀해, 수치해 및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predict the behavior of the platform and the tensile load of the mooring system to ensure the global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the offshore plant. However, most of commercial softwares for mooring system analysis are based on the potential flow theory for the platform behaviour, so they can not consider the viscous effects around it. Also, as the depth of the offshore plant is increase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ooring line are becoming more demanding. To estimate the platform responses more accurately even under the severe environments, the two-way (bidirectionally) coupled solver between the platform motion and mooring system is essential. For this reason, in this thesis, the two-way coupled solver was developed using open source libraries such as OpenFOAM and MoorDyn. OpenFOAM is the open sourc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library which can simulate the platform 6-DOF motion based on the viscous flow theory. MoorDyn is the open source mooring system analysis library which can simulate the tensile loads and restoring forces accurately based on the lumped mass model. In the two-way coupling procedure, the platform motion of OpenFOAM is transferred to MoorDyn as boundary condition and the restoring force and moment of MoorDyn is transferred to OpenFOAM as external forces in each time step. Finally, the validations of developed coupled solver were conducted for the static mooring tension and line profile, dynamic mooring tension, free and moored decay test in the still water, and the moored platform response and mooring tension in the Stokes 5th order wave. All results were confirmed by the comparison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numerical solu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 도로 비점오염처리시설의 설치연구

        이상철 韓京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for our country, by the end of 90s, four-river water management comprehensive countermeasure(`98~`00),four-river non-point pollutant management comprehensive countermeasure(`98~`00),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master plan(`06.9)were pro-pelled and by monitoring under aforementioned managerial measures, it was expected that non-point pollutant will share part of 65~70% by the year 2015 , if proper measures are not ensured for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ant thereby exerting severely adverse effects to river environment. For the provision of institutional strategy to reflect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on road construction, by the clause 53 of law for the preservation of water qulality, it was enacted that all the non-point pollutant shall be reported and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shall be installed for any business or places of business liable to generate non-point pollutants.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plan for road construction shall be applied to any road surface after inauguration of mandatory liability of reporting installation of the facilities and it is urgently required to standardize the treatment of non-point pollutants generated on road surface. The non-point pollutants are said to be any pollutant generated on any urban area, road, farmland, mountainous region and industrail area ,etc. non-specifically. By literature, non-point pollutants are defined as any pollutant discharged by pollutants accumulated on soil surface, erosion of soil, clod of dirt, incsrease in run-off by precipitation, air pollutants, suspended matters, soluble pollutants and pollutants by human activities. Non-point pollutant is distinguished by point pollutant and yet not clearly seperated in their route of discharge and emission, therefore , collection is hardly easy and amount of their generation and emission are much depend on climate condition, thereby making systematic managent of non-point pollutants difficult. The purpose of this thesis lies in setting up the concept and case study of non-point pollutants and derived following results. First :for the setting up of concept of non-point pollutant, by close review on the detailed domestic standards and guidances available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also relevant literatures from the United States, the definition of non-point pollutants and methodological tools for deiciding magnitude of non-point pollutants are itemized systematically.

      • 조직몰입에 미치는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영향 분석 : 시설안전 분야 공·사조직을 중심으로

        이상철 인천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조직의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중요한 요소는 조직구성원이다. 조직구성원들이 협력 관계를 통해 산출하는 조직몰입이 조직 발전을 결정짓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력과 기술을 주요 자원으로 삼는 시설안전 기관의 경우 조직몰입이 성과와 직결되므로 그 중요성이 타 분야에 비해 큰 편이다. 시설안전 분야와 공공기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는 최근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공공-민간 시설안전 분야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며, 주요 독립변수로서 리더십과 팔로워십에 초점을 맞추었다. 조사 단위는 시설안전 분야의 공공 및 민간 조직구성원들이며, 공단 288명과 민간업체 243명 등 총 5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공공조직의 분석 모형이 민간조직에 비해 적합성이 높았다. 둘째, 세 가지 몰입도로 나누어 실시한 모든 분석 모형에서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비중이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셋째, 공공-민간 조직을 막론하고 거래적 리더십보다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력이 큰 편이었다. 넷째, 리더십과 팔로워십을 제외한 사회경제적 변수(통제 변수)의 영향력이 민간 조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 연구 결과 조직의 유형, 즉 공공기관이냐 민간 기업이냐에 따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무엇보다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영향력이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향후 효과적 조직관리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시설안전 분야 조직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나, 이를 토대로 민간 기업 종사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더 규명해야 하는 과제도 안게 되었다. It is organizational members that initiates changes and innovation in any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generated through cooperation and interactions among members, is a decisive factor affecting organizational develop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very important in safety management agencies because it is directly linked with their performance, and for their main resources are people and technology. Amid a growing interest in safety management as well as public enterprises,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nderlying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both public and private safety organizations. In so doing, I paid special attention to leadership and followership. The units of analysis are members of the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KISTEC) and of private companies in the field of safety management.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531 samples, 288 from KISTEC and 243 from its private counterparts. The below four are the most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looks better in the analyses of KISTEC than those of private firms. Second, both leadership and followership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most all regression models. Thir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in both organizational types. Fourth, few socio-economic factors, control variables, were found important in the analyses of private firms. These results show that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ISTEC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private companies. The most significant finding is the influence of leadership and follow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is finding can address implications toward an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Even though this research is the first such study in the field of safety organizations, it seems to have achieved only a half of its goal due to its many limitations in research design. Future research efforts are called for to find "the other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have not been identified in this study, in particular, in private fi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