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role of nArgBP2 in regulating the morphology of dendritic spine and the formation of excitatory synapses

        이상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Dendritic spines are small postsynaptic protrusions on a dendrite that receive most of the excitatory synaptic input in the brain. The cytoskeleton of the dendritic spines is predominately composed of actin filaments which form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network associating specialized substructures like postsynaptic density (PSD). The morphology of spines is highly variable and dynamically regulated with neuronal activity by actin-regulating proteins in PSD. An increasing number of postsynaptic proteins such as SAPAPs and SHANKs are implicated in different forms of mood disorders such as bipolar disorders, autism spectrum disorders,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 although their underlying mechanisms have not been fully understood. Accumulating evidence from recent studies suggests that the structural remodeling of dendritic spines is critical for synaptic plasticity and the mechanisms regulating actin cytoskeleton may contribute to spine pathology in these neuropsychiatric disorders. nArgBP2 was originally identified as a protein that directly interacts with SAPAP3, and. the previous study found that ArgBP2/nArgBP2 controls the balance between adhesion and motility by coordinating multiple signaling pathways converging on the actin cytoskeleton. A recent study found that genetic deletion of ArgBP2/nArgBP2 (SORBS2) in mice is known to cause behavioral phenotypes resembling human intellectual disability (ID). It has been, however, mostly unknown that how nArgBP2 deficiency leads to phenotypes observed in ID and more importantly, how nArgBP2 functions at postsynapses and its relevance to the underlying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that might be related to ID. To investigate the roles of nArgBP2 at synapses, based on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I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in my dissertation. 1) nArgBP2 is one of the key protein that regulates actin cytoskeleton at postsynapses, 2) nArgBP2 regulates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ndritic spines, 3) given that dendritic spines are major sites that receive most of the excitatory synaptic inputs, nArgBP2 controls the formation of excitatory synapses, 4) since excitatory-inhibitory synaptic balance(E/I balance) is the key mechanism that maintains homeostatic functional properties of nervous system, E/I imbalance caused by nArgBP2 deficiency might be the underlying factor associated with synaptic dysfunction observed in ID. I found that the knockdown (KD) of nArgBP2 by specific shRNA resulted in a dramatic change in dendritic spine morphology. The nArgBP2 KD also impaired the formation of excitatory synapses which largely terminated at dendritic shafts instead of dendritic spine heads in spiny neurons. The aberrant formation of excitatory synapses resulted in a reduced mean frequency of miniature excitatory postsynaptic currents. I also found that the morphological change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WAVE1/PAK/cofilin phosphorylation, and this effect was rescued by either inhibiting PAK or activating cofilin combined to sequestration of WAVE. Using live-cell imaging technique, I confirmed that a marked increase of actin cytoskeleton dynamic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otility of dendritic spines in nArgBP2 KD neurons. Surprisingly, nArgBP2 KD did not cause any morphological defect in the mature stage when the dendritic spines were stabilized. I inferred that nArgBP2 may be needed when significant structural remodeling is needed, such as developing stage. To test this idea, I decided to induce chemically-induced Long Term Potentiation (cLTP) in mature neurons. It is known to mimic many features of developing stages, including dramatic remodeling of pre-and postsynaptic structures in mature neurons. The cLT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ize of the spine heads of control neurons while remained almost the same in nArgBP2 KD neurons. I also measured the 3D morphological features of dendritic spines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found that cLTP in nArgBP2 KD neurons could not induce normal head enlargement in dendritic spines. These results support my idea that nArgBP2 controls the actin cytoskeleton dynamics also in mature neurons. Together, my research suggests that nArgBP2 functions to regulate the actin cytoskeleton dynamics in dendritic spines. It plays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when active structural remodeling is needed, such as spine morphogenesis and subsequent spine-synapse formation in developing stages and during synaptic plasticity in mature stages. The results also raise the possibility that the aberrant regulation of synaptic actin dynamics caused by reduced nArgBP2 expression may contribute to the synaptic excitatory/inhibitory imbalance observed in ID. 수상돌기가시는 뇌에서 대부분의 흥분성 시냅스 신호를 받는 수상돌기 상의 시냅스후 특이구조이다. 수상돌기가시 구조는 주로 액틴 필라멘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액틴 골격구조는 PSD와 같은 특수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적 및 기능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수상돌기가시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PSD에 존재하는 수많은 액틴 조절 단백질들에 의해 역동적으로 조절된다. 그 발병 기작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SAPAP 및 SHANK와 같은 시냅스후 단백질들이 양극성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강박장애 및 정신 분열증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기분장애에 관련되어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 수상돌기가시의 구조적 리모델링이 시냅스 가소성에 중요하며 액틴 골격구조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이 신경정신질환에서 나타나는 수상돌기가시 병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nArgBP2는 흥분성 시냅스의 형성과 기능에 중요한 시냅스후 발판단백질인 SAPAP3와 직접 상호 작용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이전 연구에서 ArgBP2/nArgBP2가 액틴 골격구조를 조절하는 신호전달경로를 조정함으로써 세포의 부착과 운동성 사이의 균형을 제어함이 알려졌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쥐에서 ArgBP2/nArgBP2(SORBS2)의 유전적 결실은 인간의 지적 장애 (ID)와 유사한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nArgBP2의 결핍이 어떻게 지적장애의 증상을 나타내게 되는지, nArgBP2가 시냅스에서 어떻게 작용하여 지적장애를 유발하는 세포 및 분자적 메커니즘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이전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냅스에서 nArgBP2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1)nArgBP2는 시냅스후세포에서 액틴 골격구조를 조절하는 주요 단백질 중 하나이며, 2) nArgBP2는 수상돌기가시의 형태변화를 조절하고, 3) 수상돌기가시는 대부분의 흥분성 신호를 받는 특이구조이므로 nArgBP2가 흥분성 시냅스의 형성을 조절할 것이며, 4) 흥분-억제성 시냅스의 균형 (E/I 균형)이 신경계의 항상성 기능을 유지하는 중요기 때문에, nArgBP2 결핍으로 인한 E/I 불균형이 지적장애에서 관찰되는 시냅스 이상과 관련된 근본적인 요인일 수 있다. RNA 간섭에 의한 nArgBP2의 발현 저해는 수상돌기가시 형성에 영향을 주어 정상적인 형태가 아닌 필로포디아(filopodia)의 형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정상적인 수상돌기가시 형성의 결함은 억제성 시냅스 형성에 영향이 없었던 반면, 흥분성 시냅스가 수상돌기가시 말단이 아닌 수상돌기 축에 형성됨을 발견하였다. 흥분성 시냅스의 이상은 미니어처 흥분성 시냅스 후 전류의 평균 빈도를 감소시켰다. nArgBP2가 저해된 신경세포에서 수상돌기가시의 형태변화는 WAVE1/PAK/cofilin의 인산화와 관련이 있으며, WAVE와의 상호작용이 저해된 상태에서 PAK을 억제하거나 cofilin을 활성화시킴으로써 nArgBP2 저해 효과가 상쇄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실시간세포영상기법을 이용하여 nArgBP2의 기능이 저해된 발달 단계의 신경세포에서 액틴골격 역학의 현저한 증가가 수상돌기가시의 운동성을 크게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놀랍게도, 신경세포의 수상돌기가시가 형성되어 안정화된 후인 성숙단계에서는 nArgBP2의 발현 저해로 인한 수상돌기가시 형태의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다. 발달단계의 신경세포와 같이 구조적 리모델링이 일어날 때 nArgBP2가 필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론하였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성숙한 신경세포의 새로운 시냅스 형성을 일으키는 화학적 장기 강화 (cLTP: chemical long-term potentiation)를 유도해보았다. 화학적 장기 강화는 성숙단계의 뉴런에서 시냅스 전-후 구조의 리모델링을 포함하여 발달 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모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적 장기 강화를 일으켰을 때 컨트롤 세포의 수상돌기가시는 그 크기가 커지는 반면 nArgBP2의 발현이 저해된 신경세포에서는 크기가 변하지 않거나 작아지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는 같은 조건에서 초고해상도 이미징을 통한 3 차원 구조의 형태학적 측정값을 확인한 결과, nArgBP2의 결핍이 수상돌기가시의 머리크기 확대를 저해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nArgBP2가 성숙한 뉴런에서도 액틴 골격의 역학을 조절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이 연구는 nArgBP2가 수상돌기가시에서 액틴 골격구조의 활동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함을 밝혔다. 또한 nArgBP2가 신경세포의 발달단계에서 수상돌기가시 형성 및 스파인-시냅스 형성, 성숙단계에서 시냅스 가소성과 같은 동적인 액틴 구조 리모델링이 일어날 때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nArgBP2 발현 감소로 인한 시냅스 액틴 골격구조의 비정상적인 조절이 지적 장애에서 관찰되는 시냅스 E/I 불균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브랜드 자산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푸마코리아 사례를 통하여

        이상은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브랜드의 가치가 기업의 실제적인 가치를 능가하는 경우가 최근에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브랜드는 단순히 경쟁자와 차별화 하는 역할 뿐 아니라 재무적으로도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핵심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배경으로 매출 증대의 한계를 느끼던 많은 기업들이 브랜드에 집중함으로써 무형자산, 지적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치를 통해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여러 연구와 문헌을 통해서 브랜드의 구축과 전략적 운용이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증대에 기여하는 비중이 점차 증대될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나, 브랜드를 개발하고 유지하는 데는 적지않은 비용과 관리 인력이 요구되는 것은 기업에게 큰 부담인 것이 사실이다. 브랜드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이 있지만, 한정된 예산과 인력을 가지고 전개할 수 있는 노력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브랜드 가치를 올리는 전략에도 선택과 집중의 철학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투자되는 비용의 효율을 높이면서 최대한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는 주요 요인들을 기존 연구를 통해 도출하고, 실제 단기간 내에 매우 높은 재무적 성과와 브랜드 가치가 신장된 기업의 사례를 통해, 이러한 요인들이 브랜드 가치 향상에 중요한 원인이 되었음을 밝히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분석함으로써 기업 가치를 증대시키고자 하면서, 브랜드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이 실제로 자사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고자 진행하게 되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브랜드 자산 가치의 중요성을 알고, 둘째, 브랜드 자산 가치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실제로 이를 추진하는 세부 실행방안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푸마코리아에서 마케팅과 영업관리 업무를 진행했던 전직, 현직 직원 3명과 수 차례에 걸친 직접 대면 인터뷰 및 수시 전화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미흡한 내용은 메일을 통한 서면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확보하였다. 기타 인터뷰가 곤란하거나 누락된 내용은 언론 매체 및 관련 사이트를 통해 확보하여 진행하였다. 상기 목적과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케팅 활동은 브랜드 인지도 및 로열티 강화에 영향을 주며 이는 브랜드 가치 상승에 영향을 미치므로 마케팅활동은 궁극적으로 브랜드 가치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브랜드 성과 측정은 브랜드 가치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브랜드 성과 측정은 마케팅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마케팅 활동 및 브랜드 성과 측정은 기업의 일관된 브랜드 전략 아래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A Case Study on the Components of the Brand Equity in Puma Korea. The research motivation is described and this is followed by the study objective. After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tical method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and the empirical results are presented. Today, along with fast-changing competitive market environment, brand strategy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marketers. Numer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brand-making and strategic operation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n long-term benefits. The problems are, however, substantial costs on both capital and labor from a firm's perspective. To reduce cost and minimize risk, firms could reactivate brands on the decline and consider brand strategy. To understand the components of brand equity, this study selected the Puma Korea that showed positive outcomes through differentiated brand repositioning targeting loyal customers, in domestic sportswear market. Based on the case of the Puma Korea's brand renewa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the concept of brand equity and 2) to explore key factors of brand equity and their effect on value of a company For these objectives, three staffs in the Puma Korea were selected. Two consecutive in-person interviews and continuous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Additional information was collected through mail survey. Also, sensitive or omitted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mass media and related websit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1) marketing mix activity effects on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and they are key factors of the brand equity 2) brand management through brand evaluation system is key factor of brand equity 3) brand evaluation system effect on the marketing mix activity 4) brand management of brand evaluation system and marketing activity are based on the brand strategy.

      • 한·중국인의 문화차원에 따른 국내 헤어살롱 이용실태, 선택요인 및 고객만족도

        이상은 圓光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Statistics Korea data shows that the cumulative number of Chinese people residing in Korea keeps increasing each year, and together with Chinese newcomers, they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orean economy.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Korean wave, many conglomerates have already established Chinese-oriente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ir sales increases, and are also launching a variety of services and goods targeting Chinese people in all industrial fields(KOCHI, 2012). Therefore, the number of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To foreign people residing in Korea, Korean culture is the unfamiliar culture which comes as a new living environment(Hyunjoo Kim et al., 1997), so it is common for foreign people to undergo an adaptation period and to suffer from language barriers in the beginning (Soobeom Lee, 2009). Therefore, to find out proper solutions for a variety of problems caused by multiple culture and globalization-induced social chang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take an interest in the cultural differences of foreign people residing in Korea. Normally, customer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emographic variables and cultural factors in purchasing goods and services, and customers' cultural attributes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largest influential factors, which is also considered as a social attribute that has an extensive influence on customer behavior (Solomon, 2009). Therefore, to fully understand Chinese custome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sumption tendencies of Chinese customers through their consumption culture, their senses of value, and the lifestyles of Chinese markets. In China, economic advancement and change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lead to a unique consumption value and a consumption culture unique to Chinese society, which consist of a mixture of both a traditional and a new sense of value (Jooyang, 2011). As such, the cultural values of consumption are changing in China, and the infusion of change is very meaningful to Korea's economy. Recent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trends generate a variety of customers including Chinese people in the beauty industry, and a number of studies on the newly generated customers are being conducted. However, it is not easy to collect research data regarding customer behaviors in hair salon services which investigate cultural dimensions. This study analyzes the behaviors of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in hair salon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r beauty services in domestic hair salons which are required to prepare for the continuous increase of Chinese customers in domestic hair salons. To achieve these goals,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o extract factors affect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indexes of services in hair salons by Korean and Chinese people, thereby estimating the middle and long-term trend of hair salon customer behaviors. As a result, cultural access to the behaviors of Chinese customers in hair salons is essential to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people, which leads to a difficulty of a proper counteraction in beauty services in accordance with long-term prosp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ttributes of hair salon customers by applying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e.g. power distance, individualism, uncertainty avoidance and long-term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o Korean and Chinese people who visit Korean hair salons, and to estimate and verify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nd interrelation between usage status,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dex.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distribut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718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of hair salons in Seoul, Gyeonggi-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from June 2 through July 28, 2013, and the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715 questionnaires (3 questionnaires were not properly replied)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Cronbach's Alpha value was computed, and factors were analyz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influence of each cultural dimension, the usage status, and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of hair salons o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and 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attribute-dependent differences in cultural dimensions, usage status,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dex. A Duncan test was carried out as a post-hoc test for meaningful distribution analyses. The revised and polished power distance, individualism, uncertainty avoidance and long-term orientation items of the cultural dimensions by Hofstede (1980, 1988 and 1991) were used as the cultural dimension items, and a customer orientation item was also used to measure the value of customer orientation from the viewpoint of customers.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of hair salons, internal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that may have a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customers' emotion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that may have an influence on economic aspect were extracted. All low-level dimensions of cross-nation cultural dimensions earned an average of three points or higher out of five, and Chinese people gave higher points in all meaningful dimensions. Particularly, Chinese people gave higher points, at an average of four points, in the customer orientation item. This is considered to show Chinese people's dis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beauty services offered in Korean hair salons. As such, even though Korean and Chinese people exhibit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cultural dimensions, those differences are not significant. This shows that Chinese people residing in Korean have similar cultural dimensions to Korean people, and it can be expected that many aspects of demographic analyses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usage status,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dex of hair salons. This is considered to result from the rapid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by Chinese people or the ambiguity of the cultural dimensions caused by the rapidly changing globalization of modern society. Regarding demographic attribute-dependent usage status,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dex, meaningful results were given by highly educated (graduate school or higher) unmarried women. This shows the following facts: women visit hair salons more often and put more effort into choosing hair salons, and highly educated people have a higher interest in hair management and consider a larger number of factors in choosing hair salons which makes them highly satisfied with the hair salons they select. Unmarried people gave higher scores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item and in the cultural dimension item. This is considered to be because unmarried people are more individualistic and highly resistant to uncertain information. Chinese people who can obtain advice from their friends and who have lived in Korea for one to less than three years produced meaningful results when the usage status,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dex are related with communication. This indicates that Chinese people who are not fluent in Korean and who have lived in Korea for a short period of time can easily obtain advice from their acquaintances, and thus continuous marketing advertising toward Korean people is also very helpful in marketing strategies toward Chinese people. The above-described results show that Chinese people residing in Korea have similar tendencies to Korean people in terms of cultural dimensions, and the fact that other demographic attribute-dependent variables produced many meaningful results, stresses the importance of demographic attribute-dependent marketing strategies. However, since higher points are given in the individualism item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item, more attention and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Chinese customers, which will lead to an improvement in th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In addition, since the usage status and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have an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as medium factor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endencies in terms of the usage status and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and to establish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In summar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provision of careful consideration and services to diversifying customers as well as advertising is required in hair salon marketing strategies, and distinctive marketing strategies need to be established.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on the cultural dimension-depende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people in the usage status, factors affecting customer cho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dex of Korean hair salons can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global studies on beauty services in hair salons. However,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a limited range of respondents in terms of age and area, and thus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lso, studies on foreign people with other nationalities are also considered as valuable subsequent studies.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거주하는 중국인의 누적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매년 국내에 유입되는 다수의 중국인들과 더불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대기업들은 한류 확산과 더불어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을 기업의 중요한 매출 증가로 이용하고 있으며 모든 산업분야에서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전략과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중국통상전략연구센터, 2012). 이로 인해 국내에서는 다른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鄧??, 2012). 한국문화는 한국인에게는 자국 문화이지만 국내 체류 외국인들에게는 새로운 생활환경으로 주어진 이질문화이기 때문에(김현주 외, 1997),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문화 적응과정이 있을 수밖에 없으며 초기에는 언어적 차이로 인해 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이수범 외, 2009). 그러므로 국내 거주 외국인들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관심을 기울여야 다문화와 글로벌화에 따른 사회 변화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 해결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소비자는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함에 있어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문화적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요인들 중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바로 소비자의 문화적 특성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 행동에 광범위하게 깊이 영향을 미치는 한 사회의 성격으로 볼 수 있다(Solomon, 2009). 그러므로 중국 소비자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중국시장의 소비문화,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을 통해서 중국소비자의 소비경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중국에서는 중국의 경제발전과 소비환경의 변화로 인해 전통적인 문화가치관과 새로운 가치관을 혼합하는 중국사회의 독특한 소비가치와 소비문화가 형성된다(주양, 2011). 이처럼 중국은 소비에 대한 문화적 가치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들의 한국 유입은 한국 경제에 큰 의미를 부여한다. 최근 미용 산업분야에서는 글로벌화와 다문화로 인해 중국인을 비롯한 다양한 고객층이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헤어살롱 서비스 분야에서 문화차원을 반영한 고객의 행동 연구의 수집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중국인의 국내 헤어살롱 이용이 자연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에 부응하여, 한국인과 중국인의 헤어살롱에 대한 행동양식을 분석하여 향후 글로벌화와 다문화의 변화에 따른 국내 헤어살롱 미용서비스 전략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간 문화적인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한국인과 중국인의 헤어살롱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여 고객의 헤어살롱 이용행동에 대해 중장기적 추세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중국고객의 헤어살롱 이용행동에 대한 문화적 접근이 없이는 한국고객과의 비교 연구가 어려우며 미용서비스의 장기적 전망에 따른 적절한 시장대응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헤어살롱을 이용하는 한국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 Hofstede의 문화적 가치범주(권력거리, 개인주의, 불확실성 회피, 장기지향성)와 고객지향성을 적용하여 헤어살롱 고객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헤어살롱 이용실태와 선택요인, 고객만족도간의 인과관계와 상호관련성을 추정?검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3년 6월 2일부터 7월 28일까지를 기준으로 서울, 경기, 충청지역에 소재하는 헤어살롱을 이용하는 한국과 중국고객으로 718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응답이 미흡한 설문지 3부를 제외한 총 715부를 SPSS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값을 산출하였으며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화차원, 헤어살롱 이용실태, 헤어살롱 선택요인 각각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문화차원, 헤어살롱 이용실태, 헤어살롱 선택요인 및 고객만족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고 분산분석 결과 유의한 경우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문화차원으로는 Hofstede(1980, 1988, 1991)의 문화차원 중 권력거리, 개인주의, 불확실성 회피, 장기지향성에 관한 항목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고객지향성의 항목을 추가로 사용하여 고객 입장에서의 고객지향성에 대한 가치차원을 측정하였다. 헤어살롱 선택요인으로는 고객의 내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적 선택요인과 경제적인 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적 선택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국가 간의 문화적 차원의 모든 하위차원들의 평균 점수는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하여 3점 이상이었으며, 유의미하게 나타난 경우는 모두 중국인이 한국인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고객지향성의 경우만 평균이 4점대로 중국인이 한국인의 경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에서 생활을 하면서 외국인을 대하는 한국 미용서비스에 대한 불만과 기대감이 표출된 결과라고 사료된다. 이처럼 한?중 간의 문화차원은 다소 차이 있는 부분이 있었지만 두드러지게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의 문화차원은 한국인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인구통계학적으로 살펴본 분석결과에서도 많은 부분이 헤어살롱 이용실태, 선택요인 및 고객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로도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중국인의 한국문화에 대한 빠른 이해와 흡수에서 비롯되었거나 급속하게 변화하는 현대의 글로벌화로 인한 문화차원 차이의 모호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사료된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헤어살롱 이용실태, 선택요인 및 만족도에 대한 차이는 성별에 있어서 여성인 경우, 학력에 있어서는 대학원 이상인 경우와 미혼인 경우에 유의미한 결과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는 여성인 경우는 남성에 비해 헤어살롱 이용이 많으며 그에 대한 선택 사항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고학력의 경우에 헤어관리에 대한 관심도 높고 헤어살롱 선택 시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하여 현재 이용하는 헤어살롱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미혼인 경우는 선택요인에 있어서 높게 나타났으며 문화차원에 있어서도 기혼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신이 생활의 주체가 되고 결정을 하며 자신을 우선으로 여기는 개인주의 성향과 불확실한 정보는 회피하고자 하는 성향이 나타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중국인들의 경우 의사소통에 따른 이용실태와 선택요인 및 만족도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는 주로 친구의 도움을 받는 경우와 1년에서 3년 미만 거주한 경우에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는 한국에 오래 거주하지 않았거나 한국어를 잘 하지 못하더라도 한국어를 잘하는 지인으로부터 쉽게 정보를 얻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으며, 미용서비스를 제공하는 헤어살롱 입장에서는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홍보도 결국은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상기의 내용을 통해 국내 거주 중국인의 문화차원은 한국인과 비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른 변인들의 유의미한 결과가 많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이 더욱 요구된다. 하지만 문화차원에 있어서 개인주의와 고객지향성은 한국인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 중국고객들에 대한 보다 세심한 관심과 배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중국고객의 만족도와 연결될 수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문화차원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헤어살롱 이용실태와 선택요인이 각각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므로 고객의 이용실태와 선택요인에 대한 성향을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헤어살롱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 대외적인 광고만을 할 것이 아니라 다양해지는 고객에게 보다 세심한 배려와 서비스 제공이 요구되며 차별화 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본 연구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한국인과 중국인의 문화차원에 따른 헤어살롱 이용실태, 선택요인 및 만족도에 대한 본 연구는 헤어살롱 미용서비스에 대한 글로벌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함에 실용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연구대상의 편중된 연령과 지역에 있어서 한계점이 있으며, 추후의 연구에서 이를 극복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하며 다른 국적의 외국인들에 대한 연구도 후속 연구로서 가치가 충분히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R. Rauschenberg의 콤바인 아트에 대한 고찰

        이상은 淑明女子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late 19th century, political democracy expanded, whil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ed much to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despite the expectations of a utopia, however, international competitions and confrontations were leading to the tension of war. After all, the complicated international interests would result in the first world war. Later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abstract art would begin of pursue, an autonomy and experimental spirit, giving birth to a new art. As a result, the art circle would witness diversified works including the abstract pantings (informal, abstract expressionism, action painting, color variations, etc..)and thereafter Neo-realism (Neo-Dadaism, POP art, Junk art, etc,.) Rauschenburg was ane of the artists during the transitionnal period, who suggested a combined art identified with the main art current of the time or the abstract expressionism prevailing amid the historic and cultural chaos. Later, his combined art would add up to the driversities of art at during that period, wile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a fresh and formative objet by combining the plain sources around his living. Such a kind of realistic art would later be associated with Duchamp's and john cage's influences to be the combine art. In particular, Duchamp's ready-made art would affect the combine-art much. The readey-made art may well have been a genre of industrial art which had been promoted to an artistic art. All in all, the ready-made art helped Rauschenberg much to express his objets as formative ones. On the other hand, the vnaguard art John Cage helped Rauschenberg to express the coincidental inside thoughts out of a chaos as external ones and thereby freely depict a unigue relationship between abstract art and objets, departing from a limited framework. Such a close relation between art and reality wouid be a clue to the emergence of POP art communicating messages easily to the mass. However, the combine art represented a free b겨sh strokes, unlike the POP art, while being characterized by harmony among colors, formative and positive expression of objet, unique canvas composition and picture symbols. Combined art may be similar to POP art in that it served to narrow the gapbetween aer and life, but its expression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POP art. Mean while, the combine art seems to have show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nvironment simply, affectting the environmental art, because it introduced the living objects into its sphere. All in all, the combined art which connected art with life may well have been represented by Rauschburg, rhe important American artist and POP art leader after the abstract expressionism, who can be appreciated as an artist influencing the modem art much. 19세기말 사회 구조적 변화는 민주정치의 확대와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사회적 성장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유토피아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국가간의 경쟁과 대립은 전쟁이라는 긴장감으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국가 간의 잔재는 이해관계로 이어져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되었고 그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시대적 배경으로 추상미술에 있어서 자율성의 추구와 실험정신으로 미술의 새로운 태동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하여 미술계에서는 다양한 작업형태가 나타났으며 그것의 한 분파로 서정적 추상회화와(앵포르델· 추상표현주의·액션페인팅·색면회화등)) 그후 신사실주의(네오다다·팝아트·정크아트)가 나타나게 되었다. 라우센버그는 이런 과도기에 위치한 작가로 시대적·문화적 혼란과 그 당시 미술 주류였던 추상표현주의의 정체성(停滯成)으로 콤바인 아트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콤바인 아트는 미술계에 다양성을 심어 주었고 생활주변의 평범한 소재를 조합함으로써 조형적 오브제의 신선함을 보여 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현실 반영의 미술은 뒤샹과 존케이지 이론의 영향으로 콤바인 아트가 형성되었고 뒤샹의 레디메이드의 예술적 유입으로 콤바인 아트에게 많은 영향을 끼쳐주었다. 이러한 fp디메이드는 작가의 선택에 의해 산업적 오브제가 예술적 오브제로 승화한 것으로 라우센버그의 오브제를 조형적 오브제로 표현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고, 전위 예술가 존 케이지는 무형식무질서를 통해 우연성의 정신이 주는 내면의 사고를 외면으로 표출하게 도와 줌으로써 내면 세계의 한정된 틀에서 벗어나 추상미술과 오브제의 관계를 그만의 독특한 방법으로·구성의 틀이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미술과 현실의 밀접한 관계로 대중적이고 쉬운 메시지 전달방법을 추구하는 팝아트의 등장을 예고하게 되었다. 하지만 콤바인은 팝아트와는 달리 추상표현주의의 자유분방한 붓놀림을 나타내었고 색채의 조화·조형적인 오브제의 적극적 표현·화면의 구성·그림의 기호 등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미술과 생활과의 간격을 좁히는데 있어서 팝아트와 같은 입장이었지만 표현적 측면에서는 팝아트와 구별되어짐을 알수 있으며 생활의 오브제를 작품에 도입함으로서 미술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단적으로 보여주어 환경미술에까지 영향을 주었음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콤바인 아트는 미술의 촉매역할로 예술과 생활을 보여주어 추상표현주의 이후 미국의 중요한 예술가이자 팝아트의 선구자로서 라우센버그를 설명할수 있고 현대 미술에 폭넓은 영향을 준 예술가로 그를 평가할수 있겠다.

      • 국내 중소기업 M&A의 성과 변화 : 재무적 투자자 vs 전략적 투자자

        이상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의 M&A 성과에 있어서 전략적 투자자와 재무적 투자자가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중소기업 175개의 M&A를 대상으로 M&A 전후 각 3년간의 ROE 변화를 종속변수로, 전략적 투자자와 재무적 투자자를 더미변수로 구분하고, 피인수기업의 M&A 전후 각 3년 간 M&A 성과 창출 요인들의 변화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M&A 성과 창출 요인은 M&A를 통한 가치창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직접 요인(수익성, 활동성, 안정성)과 기업의 경영 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서 직접요인의 긍정적인 효과를 증폭시키는 간접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투자자 유형에 상관없이 중소기업의 ROE는 M&A 이후 감소하였으며, 재무적 투자자가 투자한 기업의 ROE가 전략적 투자자 M&A 기업 대비 더 크게 하락하였다. 또한 직접 요인에 대한 투자자 유형별 더미변수 간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에서는 직접 요인 중 영업 수익성 요인만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략적 투자자의 간접 요인인 시너지가 M&A 성과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비상장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M&A 성과 여부를 확인하고 전략적 투자자와 재무적 투자자가 국내 중소기업의 M&A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중소기업 M&A 연구에 기여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경기지역 일부 고학년 초등학생의 아침결식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이상은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침결식과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른 식습관, 건강상태, 스트레스, 영양 및 식습관의 중요도를 분석하고 이들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영양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경기 고양지역 고학년 초등학생 4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침식사 섭취빈도를 분석한 결과 ‘매일 먹는다’가 268명(63.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4-6회’ 70명(16.5%), ‘2-3회’ 57명(13.5%), ‘0-1회’ 28명(6.6%)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와 아동의 아침식사 섭취빈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가 결식하지 않을수록 아동도 결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결식 이유에 대해 등교시간에 쫓겨서 결식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침식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서 아침식사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밥류를 선택했고, 식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식욕도 좋게 나타났다. 아침식사 메뉴에 따른 아침식사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로 밥류를 섭취하는 경우 기타류를 섭취하는 아동보다 식욕이 좋고 먹는양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경우 비교적 모든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고 있는 반면 섭취빈도가 낮을수록 혼자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제공되는 아침급식 섭취의향에 대해 아침식사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집에서 먹는게 더 좋다’라고 응답했다. 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라 감기나 소화불량, 어지러움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른 영양 및 식습관의 중요도 인식정도를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라 아침식사의 섭취유무, 올바른 식습관, 적절한 식품의 선택과 섭취, 질병 및 건강상의 문제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연구 결과 아침결식을 예방하기 위한 한식위주의 간편한 조리법의 개발과 학교 아침급식의 제공 등 여러 방면으로 결식을 줄이기 위한 대책 및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영양교육의 대상을 아동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부모로까지 확대해 학교와 가정에서의 연계된 교육을 통해 교육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with questionnaire for 423 hig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oyang, Gyeonggi-do to bring forward the basic information possibly utilized in the education of nutrition by analyzing the dietary practice, health state, stress, importance of nutrition and dietary practice,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status of skipping breakfast and the uptake frequency of breakfast for those hig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sequent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ptake frequency of breakfast, 'Having Everyday' showed the highest 268 students (63.4%), followed in order by '4-6 times' 70 students (16.5%), '2-3 times' 57 students (13.5%) and '0-1 time' 28 students (6.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in the uptake frequency, it showed that the fewer mothers skip breakfast, the fewer even children skip it. For the reasons of skipping breakfast, the skipping ratio to be in time for school showed the highest.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reakfast,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uptake frequency of breakfast, the more they selected the cooked rice, the higher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as and the better their appetite wa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breakfast according to the breakfast menu, it appeared that children having the cooked rice for their breakfast showed better appetite and more amount to have than those having others. The fewer the uptake frequency was, the more it was likely that they were having breakfast alone, while those having breakfast everyday were having breakfast together with all the family member comparatively. For the intentions of uptake of breakfast provided by schools, it showed that those with higher uptake frequency of breakfast responded to 'Having at Home Bett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ealth stat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a cold, indigestion and dizziness according to the uptake frequency of breakfa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of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nutrition and dietary practice according to the uptake frequency of breakfa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such issues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eakfast uptake, proper dietary practice, selection and uptake of proper food, disease and health according to the uptake frequency of breakfast. As a result of study, it is necessary to seek for measures and solutions to reduce any breakfast skipping in such various ways as the development of simply recipe around Korean food and provision of breakfast by schools in order to prevent children from skipping breakfast.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necessary that the education of nutri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children but expanded to par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rough the link between school and home.

      •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female immigrants to Korea in multi-cultural families

        이상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 여성 결혼 이민자의 스트레스와 영양소 섭취 관계를 알아보고자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 570명의 신체계측 및 혈액성분 조사를 실시하고,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Short Form (PWI-SF)를 통해 스트레스를 측정하였으며,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하여 1day 식이섭취 조사를 수행하였다. 에너지 섭취에 따른 스트레스와 건강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에너지 섭취를 4분위 (Q1~Q4)로 나누었고, 스트레스 수준을 low stress군 (0-8점, 145명), moderate stress군 (9-26점, 341명), high stress군 (≥27점, 84명)으로 나누어 스트레스에 따른 영양상태와 건강상태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평균나이는 23.7세의 젊은 여성으로, 한국에 거주한 기간이 평균 2.1년 이었다. 대부분의 신체계측과 혈액수준은 정상범위에 속하고 있었다. 전체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는 에너지를 비롯한 칼슘, 철,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₁, 비타민 C, 엽산의 섭취가 낮았다. 에너지를 4분위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에너지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의 섭취량이 증가하였고, 탄수화물로부터의 에너지섭취는 감소하면서 단백질과 지방으로부터의 에너지섭취는 증가하였다. 에너지 섭취량이 가장 낮은 군 (Q1)과 가장 높은 군 (Q4)에서 한국에 거주한 기간이 짧았고, high stress군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다. 스트레스 수준을 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영양소 섭취에서는 high stress군이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섬유소, 나트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¹, 비타민 B₂, 엽산의 섭취가 낮았다. 식행동에서는 high stress군이 우유 및 유제품과 고지방 식품을 적게 섭취하고 불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거주한 기간은 high stress군이 low stress군보다 길었으며, low stress 군에서 흡연하는 비율이 높았다. High stress군과 moderate stress군에서 가정에서 식사책임을 맡고 있는 비율과 한국으로 온 후 식습관이 바뀐 대상자의 비율이 높았다. High stress군에서 저체중이 많았고 고지혈증 유병률이 낮은 반면, low stress군에서 고 콜레스테롤혈증, 고 LDL-콜레스테롤혈증, 고 중성지방혈증의 비율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이주기간이 길어지면서 가족에 대한 책임이 커짐에 따라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결혼 이민자에게서 한국으로 이주 후 스트레스가 대체적으로 영양소 섭취상태, 식습관 및 건강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follow-up연구를 통해 이들이 한국에 적응하면서 영양소섭취, 스트레스, 건강상태의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관련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 recent years,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in Korea.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face various difficulties. These problems induce stress, which might affect nutrient intake.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nutrition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examined in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0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Korea. Dietary intake, anthropometric and hematological variables, and level of stress were assessed. To examine the stress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nutrient intake, subjects were divided into quartiles based on energy intake (Q1~Q4). Also,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nutrient intakes and stres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Short Form (PWI-SF) scores ; low stress (LSTR; 0-8 points, 145), moderate stress (MSTR; 9-26 points, 341), and high stress (HSTR; ≥27 points, 84)groups. The mean age and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of our subjects were 23.7 years (ranging from 18 years to 60 years) and 2.1 years (ranging from less than 1 year to 13 years), respectively. Most of anthropometric and hematological variables were in normal ranges. Subjects had low intakes of energy, calcium, iron, zinc,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C, and folate. Mean energy intakes of in Q1, Q2, and Q3 were lower than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of Korean females in 20s (EER, 2100㎉), and that of highest quartile Q4 met the EER. Intakes of carbohydrate, protein, fat, vitamins, and miner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increasing quartiles of energy intake. With increasing energy intake, the % energy gained from carbohydrate decreases, and the % energy from protein and fat increa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quartile groups in most of anthropometric and hematological variables among quartile groups. Q4 and Q1 had short periods of stay in Korea, and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HSTR group among stress groups. When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ress groups, subjects in the HSTR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consumptions of energy, carbohydrate, protein, fiber, sodium, zinc,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and folate compared to those in the LSTR group. In the dietary behaviors, subjects in the HSTR group had a lower intake of milk or dairy products and fatty foods than those in the LSTR group overall, and showed irregular eating patterns. Subjects in the HSTR group showed longer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than the LSTR group. The LSTR group showed higher rates of smoking than those in the HSTR group. Also, higher percentages of subjects in the MSTR and HSTR groups were in charge of meal preparation for their families, and had experienced grater changes in dietary habits than those in the LSTR group. Subjects of the HSTR group showed a higher propensity to being underweight and a low rate of hyperlipidemia. On the other hand, subjects in the LSTR group showed a tendency a high rate of hypercholesterolemia, hyperLDL-cholesterolemia, and hypertriglycerides. In conclusion,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dietary intake and dietary behavior, among subjects.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are needed to analyze how nutrient intake, level of stress, and health change as the immigrants gradually adapt to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