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Quinidine, hycrocinchonine 및 cinchonine의 다약제내성 억제 효과

        이상윤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 i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quinidine and its derivatives (hycrocinchonine and cinchonine) on multidrug resistance (MDR). The overexpression of P-glycoprotein (Pgp), a transmembrane drug efflux pump, is a major mechanism of MDR. Quinidine, hycrocinchonine and cinchonine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up to 30 uM in Pgp-negative MES-SA and Pgp-positive MES-SA/DX5 and HCT15 human cancer cells. These quinidine derivatives potentiated the cytotoxicity of paclitaxel or doxorubicin but not 5-fluorouracil in MES-SA/DX5 and HCT15 cancer cells but not in MES-SA cancer cells in vitro. In addition, these quinidine derivatives enhanced the accumulation and residue of rhodamine-123, a fluorescent substrate of Pgp, in the Pgp-positive cells but not in Pgp-negative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se quinoline derivatives can be MDR reversal drug candidates for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anticancer drugs such as paclitaxel or doxorubicin.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사회복지 활동에 관한 의식과 참여 연구

        이상윤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사회복지 활동에 관한 의식과 참여 연구 이상윤 신학과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가정연합 목회자와 식구를 대상으로 사회복지 참여 의식과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참여 의식 그리고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활동 실태와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가정연합이 사회복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초 자료 제공과 문제점을 개 선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정연합 충청지역에 속한 목회자와 식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빈도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이면서 20년 이상의 신앙을 한 40대에서 60대까지의 연령이 교회 활동에 주축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복지 활동의 필요성에 긍정하고 공감하며 교회의 사명과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해 충분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를 비롯한 타 종단 및 사회단체와의 강한 연대와 협 력에 매우 개방적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자원봉사자와 관련 인적자원 확보가 부족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사회복지 활동 수행에 가장 큰 장애는 사회복지 인식 부족, 교 회재정 부족과 전문인력 부재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회에서 시행하는 사회복지 활동은 다문화 분야가 가장 많았던 반면 목회자와 식구들이 앞으로는 청소년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역사회복지 활동은 지역사회와 주민들에게 교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 줄 것이며, 지역사회 관계 유지와 신뢰 강화에 도움을 주어 교회성장과 발전의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분석을 토대로 가정연합이 지역복귀를 위해 수행해야 할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복귀 활동을 위한 내부 환경 분석과 이를 통한 중장기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식구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와 주민이 필요로 하는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다.

      • Assessment of Correlation between Time Period and Risk of Fat Embolism after Liposuction : An Ex Vivo Study : 이상윤

        이상윤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지방 흡입 수술은 그 뛰어난 결과로 인하여 최근에 미용성형 분야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는 수술 중의 하나이다. 지방 색전 증후군은 지방 흡입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지만 그 증상이 특이하지 않아서 초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흔하지는 않지만 다량의 지방 입자와 조직 파편이 손상된 혈관을 통하여 폐, 뇌, 그리고 신장과 같은 장기에 유입되어 호흡 장애나 의식 소실이 발생하고 나아가 사망과 같은 치명적 상황에 이르게 하는 전격성 지방 색전 증후군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전격성 지방 색전증이 일어나는 지방 흡입 수술 후 2일 전후까지 시간대별 체내 지방 입자와 장기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방 흡입 수술 후 2일 간에 혈액, 폐, 그리고 뇌에서 유입된 지방 입자와 장기 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여 지방 색전 증후군의 경과와 전격성 지방 색전 증후군으로의 진행을 미리 예측하고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행 되었다. 실험동물로는 생리적으로 인간과 유사한 점이 가장 많다고 여겨지는 Sprague Dawley rat(12weeks age, 500-628g, 562g on average)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대조군(3 rats)과 각각의 시간 경과에 따라 3 그룹의 실험군(15 rats)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복강 내 케타민 주사를 통해 전신마취를 하였고 내경 3mm medical-grade stainless steel liposuction cannula를 이용하여 지방을 흡입하였다. 실험동물의 요부와 복부에 체중의 10%에 해당하는 50-60 mL의 tumescent를 주입하고 30분 기다린 후에 -50 kPa의 음압으로 1시간 동안 지방흡입을 시행하였다. 각 군당 5마리로 나누어진 실험동물에서 지방흡입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 후에 혈액과 폐, 뇌 조직 내의 지방 입자의 양과 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혈액 내의 평균 지방 입자 수는 대조군은 정상이었으나, 1시간 군에서 25,960/dL, 24시간 군에서 111,100/dL 그리고 48시간 군에서 21,780/dL로서 24시간 군에서 타 군의 약 4배에 해당하였다. 각 군간 지방 입자 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1시간 군과 24시간 군 P<0.05, 24시간 군과 48시간 군 P<0.05) 조직 소견은 실험동물 15마리 전체의 폐의 혈관내외 모두 지방입자가 발견되었다. 폐렴의 염증 소견들 역시 전체에서 보였으며 특히 48시간 군에서 현저하였다. 뇌 조직 표본에서는 지방입자로 의심되는 소견이 24시간 군에서 2건 있었으나 명확하지 않은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색전증의 치료와 전격성 색전증으로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는 수술 후 첫 24시간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지방흡입술 후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지방입자의 이동과 지방색전증에 관한 첫 연구 사례로서 향후 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iposuc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frequent operations among the aesthetic surgical fields because of its excellent results. However, fat embolism syndrome can occur after liposuction, and it is not easy to make a diagnosis in early stage because of the unspecific nature of symptoms. Although it is not common for large amounts of fat emboli to flow into major organs(e.g. lung, brain and kidney) through injured vessels, fulminating fat embolism syndrome can develop respiratory distress, loss of consciousness and even death. Although the first 48 hours after liposuction are important because all fulminating fat embolism syndromes occur in this period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changes in fat emboli amount and histology with time during this period. In the present study, changes in fat emboli and histologic findings in blood, lung and brain sample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first 48 hours after liposuction to predict fat embolism syndrom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18 male Sprague Dawley rats aged 12 weeks and weighing 500-628 g (562 g on average). Fifteen rats were used as experimental group and three as a control group. Blood, lung and brain tissue specimens were obtained at 1 hour, 24 hours and 48 hours after liposuction procedure.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using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ketamine HCl. Total of 50-60 mL tumescent (10% of bodyweight) was injected into flank areas and abdomen of the rat. Liposuction was then conducted about 30 min after application of the tumescent. The average number of fat particles in the blood specimen was 25,960/dL for the 1 hour group, 111,100/dL for the 24 hour group and 21,780/dL for the 48 hours group. The differences between study groups were significant between 1 hour and 24 hours (p<0.05), 24 hours and 48 hours (p<0.05), 1 hour and 48 hours (p>0.05). Both intravascular and extravascular fat particles with inflammatory findings were seen in lung specimen of all 15 rats in the three study groups, a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hemorrhage and consolidation with shrinkage of the lung alveoli. Moreover, these conditions increased with time, and the most severe inflammation was observed in the 48 hours group. This results suggested that the first 24 hours after liposuction was the most important time point to make a diagnosis of fat embolism syndrome and prevent fulminating state.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ime and the fat embolism of major organs with systemic fat mobilization after liposuction. Further large scale studies with more subdivided study groups are needed to obt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is process.

      • 도시개발에서의 기반시설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상윤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도시지역 외 지역의 난개발 방지와 "선계획·후개발"의 국토계획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하여 종전 『도시계획법』과 『국토이용관리법』 을 통폐합하고 2003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제2종 지구단위계획, 개발행위허가제, 기반시설연동제 등 종전의 국토정책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였다. 기반시설연동제는 개발행위를 기반시설의 용량과 연계시키고 그 용량범위 안에서 개발행위를 허용하여 "선계획·후개발"의 국토계획 패러다임을 이행할 수 있는 제도로서, 화성시, 용인시 등 수도권의 7개 지자체에서 시행하였다. 그러나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과 기반시설부담계획의 수립 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 등 기반시설연동제의 여러 가지 이유로 많은 지자체에서는 기반시설부담계획을 수립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2005년 8·31 부동산종합대책을 발표함과 동시에 토지의 합리적 이용 촉진이란 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의 기반시설부담금제 도입방안을 발표하였다. 2006년 7월 12일부터 시행된 기반시설부담금제는 기반시설연동제에 비하여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 및 기반시설부담계획의 수립의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기반시설의 설치에 필요한 비용을 징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기반시설의 용량확보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지역별, 규모별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부담금을 전국에 걸쳐 획일적으로 부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반시설부담금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새로운 유형의 기반시설연동제인 "기반시설부담구역제"가 종전의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이 폐지됨에 따라 2008년 9월 1일부터 실시될 예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기반시설 관련제도의 부담금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개발부담금에 대한 종합적인 이론적 고찰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기반시설부담계획을 기 수립하였던 화성시를 대상으로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를 동시에 적용하고 기반시설 비용부담 측면과 용량확보 측면에서 비교·검토하여,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실증분석을 통해 새롭게 거론되고 있는 기반시설부담구역제의 제도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제도개선방안으로는 도시관리계획 수립시 기반시설설치계획의 의무화방안, 기반시설부담금제의 용지환산계수, 기반시설유발계수 고도화에 의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는 방안,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방안, 지방자치단체에서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하는 방안, 기반시설연동제의 기반시설부담계획과 부담비용의 산정 관련 기법을 사용하여 기반시설부담금제에 알맞게 접목하는 방안이며, 계획과 운영을 위한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운영개선방안으로는 기반시설설치계획 수립시 최소한 7개 기반시설에 대해서는 필수 의무화하는 현행 제도의 유지와 그 외의 기반시설 대상 추가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재량권 부여의 필요성을 통한 장기적인 부담금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2008년 9월부터 시행될 기반시설부담구역제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단점인 부담금의 이중부과와 지역간 형평성의 문제를 보완하고 성공적인 제도로 시행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하였다. 첫째, 기반시설부담구역 결정시 보다 면밀한 사전검토가 요구된다. 둘째, 기반시설의 설치를 유발하는 개발행위의 범위 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기준과 절차요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기반시설설치계획의 내용 및 수립절차의 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용지환산계수가 제시되어야 한다. 여섯째, 기반시설설치비용 산정지표의 점검 및 조정이 필요하다. 일곱째, 각 지자체에서는 기반시설설치비용 관련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향후 추가연구에서 대표성이 있는 몇 개의 수도권 및 비수도권 도시를 대상으로 기반시설 용량에 따른 차등화 된 용지환산계수와 기반시설 표준시설설치비용을 사용하여 기반시설 용량과 설치비용을 확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In order to prevent unplanned development outside urban area, establish national planning paradigm, "plan followed by development", and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the government combined 『The Urban Planning Law』and 『The Land Use and Management Law』into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se Law』in 2003, introducing new planning systems such as the second unit planning, development permit system, and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and so on. The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which fulfills basic rule of national planning paradigm, "plan followed by development," linking development activities to its capacity and allowing development activities within the excess capacity of infrastructure, was applied to seven local governments such as Hwa-sung city, Yong-in city and ot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However, most local governments could not implement the system successfully due to various reasons of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requiring excessive fee and time in selecting infrastructure bearing zone and establishing infrastructure bearing plan. As a solution to these practical problems, the government announced introduction of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on August 31st 2005, submitting 『The Infrastructure Expense Law』for promoting reasonable land use of real estate. This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which was enacted on July 12th, 2006, had many advantages over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assigning infrastructure expense easily without selecting infrastructure bearing zone and establishing infrastructure bearing plan. Yet,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has weak points of deficiency in achieving adequate infrastructure capacity and uniform infrastructure expense around the country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and indigenou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a new types of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is scheduled to be implemented on September 1st, 2008 in the wake of the abolishment of 『The Infrastructure Expense Law』. In this context, after categorizing infrastructure-related expense system inside the country and abroad by the type, this study had comprehensive and theoretical review of tax system and other taxes. The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nd the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were applied to Hwa-sung city, and results were analyzed comparatively in the view point of bearing expense and capacity of infrastructure.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 of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newly mentioned from the view point of system and management. Suggested several system improvement alternatives are making obligatory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city management plan, improving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by the advancement of land conversion factor and infrastructure inducement coefficient, implementing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and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t the same time,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by local governments in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nd making use of infrastructure bearing plan and development impact fee method of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in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nd at last suggest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system for effective plan and management. As a management improvement alternative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for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this study suggested maintaining the curr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7 necessary infrastructure, and providing a discretionary power to act to local governments so as to properly reflect the diverse local conditions and adequately satisfy specific needs in a long run for other additional infrastructure. Accordingly, for the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that will be enacted from September, 2008, this study suggested policy suggestions in order to make up for shortcomings of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such as dual-impose and regional inequality and make a successful system. Firstly, more comprehensive pre-inspection is required in the selection of infrastructure zon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boundary of development activities of induc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Third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authorization standard and requirement procedures of infrastructure bearing zone. Fourthly,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contents and proceeding procedures of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Fifthly, it is to use land conversion factor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ixth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adjust indicators in count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costs. Seventhly,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build a system related with infrastructure installment costs. Further research i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securing infrastructure capacity and installment expenses by utilizing land conversion factor and infrastructure standard costs for representative capital area and rural area.

      • 日本國憲法上의 議院內閣制에 관한 硏究

        이상윤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硏究의 목적은 日本國憲法이 규정하고 었는 議院內閣制의 沿革과 特質을 파악하고, 그 現代的 課題를 제시함에 있다. 明治憲法의 制定過程에 있어서도 政黨政治를 기초로 한 議院內閣制의 채용이 주장되기도 하였으나 배척되고, 결국 明治憲法은 內閣이 天皇에 대해서만 個別的인 責任을 지고, 內閣과 議會의 信任關係가 존재하지 않는 超然內閣制를 채용하게 되었다. 明治憲法의 運用過程에서는 일시적으로 政憲內閣制가 확립됨으로써 議院內閣制의 慣行이 행해졌으나 全體主義의 대두와 政黨의 解散 등에 의하여 오래가지 못하였다. 또한 이것은 政黨의 腐敗에 의한 정당기피의 경향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건전한 政黨制度는 議院內閣制의 불가결한 요건이고, 이러한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한 議院內閣制의 慣行은 정착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에 대하여 日本國憲法은 國民主權을 수립하고, 政黨政治를 기초로 한 議院內閣制를 確立하게 되었다. 즉, 日本國憲法에 의하면 內閣의 국회에 대한 連帶責任(제66조 제3항), 國會의 議決에 의한 內閣總理大臣의 指名(제67조, 제68조 제1항), 衆議院의 內閣不信任權과 內閣의 衆議院解散權(제169조) 등을 규정하게 되었다. 그리고 日本國憲法에 있어서 內閣總理大臣은 與黨의 黨首로서 議會와 內閣을 통하여 강력한 指導力을 발휘하고 있고, 內閣은 天皇의 國事行爲에 대한 助言·承認에 의하여 衆議院을 자유로이 해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內閣은 議會에 대하여 사실상 支配力을 행사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日本의 議院內閣制는 內閣優位의 議院內閣制에 속하며 國會로부터 相對的으로 獨立性을 가지고, 내각의 議會解散決定에 있어서 별다른 제약이 없는 英國의 內閣統治制와 유사한 운용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讓院內閣制의 運用에 있어서는 選擧腐敗, 派閥政治 등의 弊害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대하여는 다양한 改革案이 제기되어 왔다. 예컨데 國民投票에 의하여 선출되는 강력한 內關總理大臣을 頂點으로 民意에 直結된 政治的 統合을 의도한 「首相公選論」이 그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讓院內閣制를 기초로 한 現代代表制의 直接民主制的 遲用, 즉 國民이 基本的인 政策體系와 그 담당자인 內閣總理大臣을 議員의 選擧를 통하여 사실상 직접적으로 선택함으로써 국민에 대한 내각의 책임을 강조는 「國民內閣訓論」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최근의 논의는 國民·議會·政府의 관계를 중시함으로써 政府의 政治責任의 擴張을 기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議院內閣制의 民主主義的 再構成論이라 할 수 있다. 특히 現代國家에 있어서 議院內閣制가 당면하고 있는 議會와 政府·官僚의 癩着, 黨約派閥 등의 弊害를 해소하기 위하여 議院內閣制의 直接民主制的 運用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여하튼 이러한 논의는 行政國家化·行政權의 强化를 특징으로 하는 現代議院內閣制에 있어서의 官僚에까지 이르는 內閣에 대한 民主的 統制, 즉 國民의 責佐있는 政治的 自治의 實現이라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움직임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20세기는 福祉國家 積極國家의 시대로서 行政機能과 官僚機構의 강화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內閣優位型·內閣主導型의 議院內閣制에 있어서는 議會와 政府의 責任과 均衛의 關係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즉 政府의 責任있는 指導力과 議會의 責任있는 批判의 調和에 있다고 할 것이다. 특히 정부의 국민에 대한 책임의 擴張이라는 관점에서 「國民內閣制論」의 의의를 발견하고, 앞으로의 執行權의 强化와 거대한 官僚制의 動向을 감안하면 官僚에까지 미치는 民主的 統制의 문제는 日本의 議院內閣制에 있어서 21세기 최대의 政治的 課題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trait of parliamentary government speculated in constitution of Japan and to suggest its' modern ques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Meiji constitution, adoption of party government is once insisted but it was rejected which forced Meiji constitution to adopt Bureaucratic Cabinet where the Cabinet takes individual responsibility soley for the Emperor and is no confidence relation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eit. During the operation of Meiji constitution, party Cabinet was temporarily established and the tradition of parliamentary government was practiced but It didn't lasts long due to the rise of totalitarianism and dissolution of party. This situation is based on refusal tendency towards political party concerned about its' corruption and sound party system is indispensable factor in parliamentary government and practice of parliamentary government was not able to firmly established unless these factors are fulfilled. Hence, the constitution of Japan firmly established parliamentary government based on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and party politics.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Japan, the Cabinet, in the exercise of executive power, shall be collectively to the Diet(article 66, paragraph) The prime Minister shall be designated from among the members of the Diet by a resolution of the Diet. A majority of the Minister of State number must be chosen form among the members of the Diet(article 67 and article 68, paragraph). I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passes a non-confidence resolution, or rejects a confidence resolution, the Cabinet shall resign en masse, unless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s dissolved within ten days. (article 69)The Prime Minister and other Minister of State may, at any time, appear in either House for the purpose of speaking on bill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members of the House or not. They must appear when their presence is required in oder to give answers or explanations (article 63). That is to say,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Japan, the Cabinet and the Diet takes joint responsibility each other(article 66, paragraph 3), designation of prime minister by the decision of the Diet(article 67, section 1 of article 68), House of representative's right to want of confidence in Cabinet and the Cabinet's right to he dissolution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 (article 69) is expressly provided within it.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Japan, Prime minister is demonstrating powerful leadership through the Cabinet and the Diet as a leafer of the ruling party. The Cabinet can dissolve the House of representative at its' will by the advice and approval of emperor's acts in matters of state. In this respect, the Cabinet can be said to has controlling power over the Diet. Thus,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in Japan belongs to parliamentary government where the Cabinet is predominant over the Diet and relatively separated from the Diet which has a strong resemblance to the Cabinet government in England which is fairly free from restraints of decision on dissolution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 Operation of parliamentary government is usually attended by evils such as election malpractice and factionalism and various remedy against these problem has been suggested. The theory of public election of the Prime Minister intended for political integrity by putting the prime minister elected by referendum at the zenith of power can be exampled. Recently, The theory of national government is being raised with keen interest which emphasize the Cabinet's responsibility for its' people by allowing people to select basic policy and prime minister who's in change of it by the election of representative. This can be defined as democratic operation of modern representative system based on parliamentary government. Recently, The theory of national government is being raised with keen interest which emphasize the Cabinet's responsibility for its' people by allowing people to select basic policy and prime minister who's in charge of it by the election of representative. This can be defined as democratic operation of modern representative system based on parliamentary government. This recent discussion intends to expand the range of governmental responsibility by stressing correlation between people, the Diet and the government and in this respect. It can be called as democratic recomposition of parliamentary government. Especially, In modern countries, democratic operation of parliamentary government has been claimed to solve the evils attended by parliamentary government such a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abinet, the government and bureaucrat and the factionalism. Anyway, In a modern parliamentary government featuring reinforcement of administrative power, all these discussion which is emphasizing democratic control on the Cabinet can be reviewed as a remarkable movement in this point. In short, 20th century's state lays great emphasis on the reinforcement of administrative function and bureaucratic organization. In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where the Cabinet is dominant over others, It is very important to adjust balance and responsibility form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government, that is to say. The harmony between the government's responsible leadership and the Cabinet's responsible criticism is indispensable factor. In terms of expansion of governmental responsibility for its' people. The significance of the national government theory can be found in here and when taking tendency towards bureaucratic system and reinforcement of executive power into consideration, the problem of democratic control over bureaucrat surely will be the biggest political question needs to be solved Japanese parliamentary government is currently faced with.

      • 佛敎의 空과 그리스도敎의 無의미의 比較

        이상윤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論文은 東洋이라는 카테고리 안에서 중심적인 宗敎라 할 수 있는 불교와 서양이라는 카테고리 안에서의 중심 종교라 할 수 있는 그리스도교의 핵심사상을 고찰해봄으로써 각 종교가 가지는 소리들에 귀 기울여 대화할 수 있는 공동근거를 모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공동근거 모색의 방안으로서 본고는 대승불교의 사상적 토대를 세운 龍樹의 ‘空’ 思想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이러한 불교의 개념과 함께 그리스도교의 ‘十字架’라는 象徵을 통한 無 槪念을 살펴 불교의 空과 그리스도교의 복음과는 어떠한 유사성이 있는지 한번 살펴보고자 한다. 불교의 ‘空’이란, 一切 否定, 一切 肯定의 ‘二重性’을 지니고 있으며, 佛敎의 總體觀으로서, 世上의 存在 및 變化, 原理로서 한마디로 만물의 생성원리, 인간이 추구해야 하는 것들을 밝히고 있는 중심 교리이며. ‘十字架’는 가장 비참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십자가에서의 죽음을 통한 새로운 생명의 상징인 영광스런 부활의 이중성을 지니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가장 핵심이 되는 믿음이며, 삶의 지향점을 제시해주는 중심교리이다. 그러므로 이 두 주제는 絶對者라는 것은 존재하지만, 감각적 인식으로는 인지가 불가능하며, 엄연히 개별 존재자들의 궁극적 근거로서의 절대자로 존재한다는 점에서는 지극히 유사하다. 그렇지만, 이 두 주제는 확연히 드러나는 差異性이 존재한다. 불교는 구원의 근거를 자신의 안에서 찾는다. 그리스도교는 구원의 근거를 자신의 밖에서 찾는다. ‘空’이라는 것은 자신을 닦아서 궁극적 경지인 열반으로 이르고자하는 자력구원의 부분이 강하며, 그리스도교의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라는 구세주를 통해 자신을 구원하려는 타력구원이라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이 차이성은 불교와 그리스도교라는 교의 차이에서 주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이 두 주제가 각 종교의 중심교리이며, 중심사상이기 때문이다. 空이란, 일상적으로 “모든 것은 空이다”라고 할 때,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음 혹은 온갖 경험적인 사물이나 사건이 공허하여 덧없음을 뜻하거나, 존재론적으로나 가치론적으로는 모든 술어나 속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불교 입장에서 이 부정은 단순히 소극적인 허무가 아니라 오히려 모든 술어나 속성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절대적인 존재 방식을 적극적으로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龍樹는 존재의 본질이 緣起와 같은 相依相存의 ‘관계’에 있다고 주장했다. 어떠한 영혼· 사물· 개념도 그것이 존재하는 맥락과 분리시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모든 사물은 절대적인 실체를 결여하고 있으며, 오로지 조건에 연관되어서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有爲의 세계 밖에 無爲의 세계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절대적인 깨달음의 경지인 涅槃도 有爲의 세계와 별개로 있는 것이 아니다. 般若波羅密을 갖춘 사람은 諸行無常과 涅槃을 동시에 감지한다. 般若波羅密은 菩薩道를 이루는 다른 바라밀, 즉 忍辱· 持戒· 禪定등의 토대가 된다. 또한 般若波羅密은 수도자들이 다시 바라밀에 집착하여 모든 현상이 緣起에 의해 생겨난 것임을 깨닫지 못하는 일도 없게 한다. 그의 견해에 의하면 논쟁에 참여하는 것, 부처의 가르침을 설명하는 글을 쓰는 것, 苦와 미망에서 해탈하는 데 대한 게송을 읊는 것은 지혜와 자비행이 분리되지 않은 최고의 진리에 합치되는 것이라고 한다. 열반이 바로 空이며, 空은 세간(세속)이며, 세간이 바로 열반이며 이런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을 ‘無明’이라 했는데 『大般若經』 중 “色不異空, 空不是色, 色卽是空, 空卽是色”에서 空과 色, 열반과 세속의 구별은 無明(집착)에서 나온 것으로 般若(一切智), 곧 空의 체험으로서 얻어지는 것이며 이 般若는 一切法의 本性에 대한 直觀으로 이런 直觀을 통해야만 空과 色의 실상이 하나임을 알 수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般若經』의 空의 특색은 한마디로 ‘無’가 아니라 ‘不’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일체를 떠남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일체를 초월해야 함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만약 空으로서 ‘有’(존재)의 모순을 반대하는 것이라면 또 하나의 偏空의 입장을 고수하게 된다. 따라서 『般若經』의 空은 ‘否定의 否定’으로서 초월적인 의미인 절대긍정임을 그 특색으로 한다. 『般若經』의 空은 바로 ‘一切智’, 즉 모든 것의 실상을 숨김없이 드러내는 원리이며 이것은 단순한 하나의 이론적인 것이 아니라 체험을 요구하는 실천적인 면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용수도 이런 『般若經』의 空의 영향을 받긴 했지만 『般若經』에서는 空이 否定的 의미와 긍정적 의미를 동시에 갖추고 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밝혀내지를 못했다. 그러나 용수의 『中論』은 바로 이 점을 밝힌 저서라 할 수 있는데, 否定이 肯定으로 전환되는 논리를 폈던 것이다. 中觀學派의 시조로서 대승불교의 사상적 토대를 세운 龍樹는 당시 성행하던 실재론적 견해를 타파하고, 『般若經』의 空觀에 입각한 중도를 주장하여 근본불교의 중도사상을 이론적으로 확립했다

      • 초임계 조건하의 gas anti-solvent(GAS)법을 이용한 재결정

        이상윤 水原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고에너지 물질로서 개발되어 주목 받고있는 3-Nitro-1,2,4-Triazol-5-One (NTO)를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GAS재결정법(Gas Anti-Solvent Recrystalliz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입자의 형성, 크기 변화 및 크기 분포 조절에 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결정 대상이 된 NTO를 용해시킬 유기용매를 추정하고 NTO의 용매들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용매를 DMFA로 할 경우 25∼70℃의 측정온도 범위에서 약 40 wt%, DMSO의 경우 25∼70℃의 범위에서 40∼48 wt%정도의 높은 용해도를 보여 NTO의 재결정 공정에 있어서 DMFA와 DMSO의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용매중 구형의 재결정 입자 형태를 보인 DMF를 주된 용매로 선정하였으며 여러 유기용매들에 대한 초임계 이산화 탄소내에서의 팽창도와 팽창속도를 온도 및 압력에 따라 측정한 결과 DMF, DMSO, Methyl alcohol 등의 용매는 이산화탄소상에서 모두 유사한 팽창 경향을 보였다. 즉 온도가 높을수록 완전 혼합되어 단일상을 이루기 위해 요구되는 압력이 증가하였으며 주어진 측정온도에서 저압의 범위에서는 서서히 팽창도가 증가함을 보이다 일정한 압력에 도달하면 팽창도는 급격히 증가를 하여 500v/v%이상의 팽창도를 보이며 단일상을 이루어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GAS 재결정법에의 적용이 우수하다 판단되었다. 또한 팽창속도의 측정에 있어서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주어진 온도에서 압력이 높을수록 팽창속도가 빠르며 동일한 이산화탄소의 밀도조건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빠른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GAS 재결정 실험으로 얻어진 재결정 입자의 형상은 주사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X-ray diffraction (XRD)를 이용하여 재결정 전과 재결정 후를 비교하여 결정 내부의 변형 여부를 평가하였다. 여러 가지 재결정 변수에 따른 재결정 입자의 형태 및 크기를 측정 한 결과 전반적으로 재결정 전의 형상인 가로 10∼30㎛, 길이 50∼100㎛의 막대형에 비하여 형상의 변화와 입자 크기의 감소를 보였으며 단위 미립자들이 중앙의 지점부터 성장과 결속을 이루어 구형 응집체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으며 Methyl alcohol을 용매로 사용한 경우에는 판상형태의 단위입자들이 모여 꽃모양의 응집을 구성하여 용매의 종류에 따른 재결정 입자의 형상 변화가 수반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DMF를 주된 용매로 사용하여 각 재결정 변수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살펴본 결과 동일한 이산화탄소의 밀도 조건하에서 온도가 낮을수록 작고 밀도 상태가 좋은 구형입자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에 적용되어진 온도중 50℃에서는 침상적인 단위입자들이 모인 응집형을 구성하였으며 형상, 크기 및 크기분포면에서 매우 불규칙한 분포를 보였다. 용액중의 용질의 농도 변화에 따른 재결정 입자의 변화는 주어진 온도 및 압력의 조건에서 일정한 투입비로 CO_2와 용액을 투입하였을 경우 일정 농도 이상의 조건에서는 재결정되는 NTO입자의 형상과 크기 분포가 불규칙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을 통해서 전반적으로 주어진 온도 및 압력하에서 어떤 한계 농도 이하의 조건에서는 농도 조건이 낮을수록 입자 밀도가 높아 보이는 구형적 형상이 많이 관찰되었으며 입찰의 평균크기 및 크기 분포 역시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역용매로 사용된 이산화탄소의 밀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의 밀도 범위를 0.73∼0.93g/㎤내에서 조절을 하여 조작을 하였을 때 재결정되어지는 입자의 전반적인 경향은 역용매의 압력의 증가 즉, 밀도가 증가할수록 전체적인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고 좁은 범위에서 분포도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임계 및 하임계 상태의 유체를 역용매로 사용한 GAS 재결정법에서 각 재결정 조건에 따른 입자형상 및 크기/크기분포를 조절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기존의 방법으로는 형성하기 힘든 입자의 크기 및 크기분포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NTO (3-Nitro-1,2,4-Triazol-5-One) is a new energetic material. It is difficult to recrystallize this material in the desired shape, morphology, size and size distribution by conventional methods due to its sensivity. In this study, we recrystallized NTO using Gas Anti-Solvent (GAS) method under supercritical conditions. To use GAS method for the recrystallization of NTO we have to find the solvents which have good solvent power for NTO and have high expansivity with the given supercritical fluid. The solubilities of NTO in DMFA, DMSO, methyl alcohol and other organic solvents were tested and it has been found that DMFA and DMSO had similar solubilities for NTO, and expansivitie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_2). In the range of temperature of 10∼70℃ the solubilities of NTO in DMFA and DMSO were about 40 wt% and 40∼48 wt%, respectively. The expansivity of DMFA has showed 500 v/v% at the pressures of 55∼200 bar and temperatures of 25∼55℃. Expansivities increase gradually at low pressures but increase dramatically at the specific pressure for the given temperature, and higher temperature levels require higher pressure to reach similar expansivity. The expansion rates of the solvents increase with the density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Using DMFA as the solvent, we have found that the size and shape of particles of recrystallized NTO could be controlled by varying temperature, pressure and concentration of NTO. The original NTO particles have rod-like shapes such as 50∼100㎛ length and 10∼30㎛ width. After resrystallization NTO particles of radial spherulitic shape were obtained. The sizes were in the range of 10∼30㎛ at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were 25∼50℃, 100∼230.4bar and 5∼20 wt%, and the size and size distribution were getting somaller and narrower as the temperature decreased and the pressure increased. In the case of low concentration of NTO in DMFA (5∼20 wt%) the recrystallized NTO particles showed radial spherulitic shape at 25∼35℃, and the particle size of NTO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NTO increased. IN case of high concentration (35 wt%) the recrystallized NTO particle did not show uniform size and sh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