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동프로그램이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기능적 체력, 보행, 균형에 미치는 영향

        이상봉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운동프로그램이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기능적 체력, 보행,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 5명을 대상으로 10주간 주 2회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도표화 하고, 개인별 점수와 dif의 차이 값을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평균차 검증을 하기 위하여 비모수 검정인 윌콕슨 T 검정 (Wilcoxon sign rank test)을 실시하였다. 이에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10주간 운동프로그램이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기능적 체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 았다. 2. 10주간 운동프로그램이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보행에 영향을 미쳤다. 3. 10주간 운동프로그램이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프로그램이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보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five Multiple System Atrophy Cerebellar(MSA-C) patients were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10 weeks to see the impact of exercise programs on the functional fitness, walking, and balance of them. Statistical processing char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using SPSS 18.0 program, came into effect Wilcoxon sign rank test(nonparametric statistical) to do verification of average difference of individual score and dif difference values by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is are as follows. 1. 10 week-the exercise program did not affect the functional health of MSA-C patients. 2. 10 week-the exercise program affected the walking of MSA-C patients. 3. 10 week-the exercise program did not affect the balance of MSA-C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ercis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walking in MSA-C patients.

      • 허리과다앞굽음증 환자에게 적용한 스프린터패턴 복부운동이 허리앞굽음과 배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봉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Effect of Sprinter Pattern Abdominal Exercise on Lumbar lordosis and Abdominal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Hyperlord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bdominal muscle exercise using sprinter and crunch movements of the hyperlordosis patients with lower back pain. The effect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was check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ercises was compar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patients with lumbar lordotic angle more than 50 ° and sacrohorizontal angle more than 40 °. After attaching the 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and external oblique EMG before exercise, both groups lifted their feet about 8 cm for 3 seconds while lying on their knees and calculated the average value based on specific movement muscle contractions. The standardized value (%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 was obtained. To measure the EMG of the abdominal muscles, the subjects measured muscle activity during total 3 sets of 10 sets in one set of exercise movements in each group and 1 times maintain 10 seconds exercises performed in each group, the EMG signal for the time except for the first and last 1 second of each set was used as the average value. Lumbar lordotic angle and sacrohorizontal angle were measured by performing radiography after performing a total of 3 sets of 10 times per movement and 1 set of 10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tus abdominis between the two groups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rnal oblique and internal oblique (p<0.05). The muscle activity of both muscl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printer exercise group than in the crunch exercise group (p<0.05). lumbar lordotactic angle and sacrohoriaontal angle both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sprinter pattern exercise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conclusion, abdominal muscle exercise using sprinter pattern and crunch can be an effective exercise for reducing lumbar hyperlordosis by strengthening abdominal muscle in patients with lumbar hyperlordosis. Of the two exercises, the sprinter pattern was more effective. 허리과다앞굽음증 환자에게 적용한 스프린터패턴 복부운동이 허리앞굽음과 배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허리통증 환자 중 배근육 약화로 인한 허리과다앞굽음증 환자를 대 상으로 스프린터패턴 동작과 크런치 동작을 적용한 복부운동이 허리앞굽음과 배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운동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 구 대상자는 허리통증 환자 중 허리앞굽음각이 50° 보다 크고 엉치수평각이 40° 보다 큰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스프린터패턴 운동군 20명, 크 런치 운동군 20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두 군은 운동 전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에 근전도를 부착한 후 무릎을 굽히고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측 발을 3 초 동안 약 8 cm 들어 올려 측정된 평균 실효값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화하는 값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을 구하였다. 배근육의 근전도 측정을 위해 대상자가 각 군에 배정된 대상자는 복부운동을 1회시 10초 유지, 10회를 1세 트로 총 3세트를 수행하였다. 휴식시간과 각 세트의 처음과 마지막 1초를 제외한 시간 동안에 근전도 신호를 평균값으로 사용하였다. 허리앞굽음각과 엉치수평각은 운동을 수행 후 방사선촬영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허리앞굽음각과 엉치수 평각은 두 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스프린터패턴 운동군이 크런 치 운동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두 군간 배근육의 근활 성도 비교에서는 배곧은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두 근육의 근활성도 모두 스프린터 패턴 운동군이 크런치 운동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따라서, 스프린터패턴과 크런치 동작을 적용한 복부운동은 허리과다앞굽음증 환자에게 배 근육의 강화를 통하여 허리앞굽음 감소에 효과적인 운동이 될 수 있으며, 두 운동 중 스프린터패턴을 적용한 복부운동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YBCO 초전도 선재의 미시적 자기 특성 및 전류 분포

        이상봉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low temperature scanning Hall probe microscope has been used to map the distribution of magnetic flux in YBCO strips carrying transport currents at 80 K. Both shielded and trapped field profile were studied as a function of transport current. We scanned YBCO coated conductor in 2D and 1D methods. The results of Hall probe magnetic measurements were used in the inversion calculation to obtain the current distribution across the filaments. We are analyzing our data by critical state model for calculate the current distribution.

      •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백제문화제를 중심으로

        이상봉 우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and conducted to understand environmental clues of visitors and local images, which is expected to aid in the design of an improved marketing strategy to attract more visitors at local festivals, even though there might be some un-expected limits of the study.

      • 산국 essential oil의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억제효능에 관한 연구

        이상봉 원광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which is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as natural substance, and also measured growth, acid production, adhesion capacity, and inhibitory effect of dental biofilm formation of S. mutans. Thus, the next results were drawn. 1. In S. mutans’s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degrees of the growth inhibition were 12%, 45%, 100%, 100%, 100%, and 100% at the concentration (density) of 0.05, 0.1, 0.25, 0.5, 0.75, and 1 mg/ml,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re were similar differences statistically compared with comparison group at the concentration over 0.1 mg/ml (p<0.05). 2. Inhibitory effect of S. mutans’s acid production of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appeared after being compared with pH of comparison group, after 24 hours cultivation. And, the effect’s concentration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was shown similarly at 7.33±0.05 after cultivation from adding more than 0.25 ml/mg. 3. The adhesion rates for S-HA of S. mutans were 18%, 40% ,46%, 66%, 72%, and 75% similarly compared with comparison group at the concentration of 0.05, 0.1, 0.25, 0.5, 0.75, and 1 mg/ml. 4. The biofilm formation of S. mutans was observed to be suppressed compared with comparison group as the concentrations of essential oil of Chrysanthemum boreale were higher. Especially, there were clear effects from over 0.1 mg/ml. 5. The formation of S. mutans was suppressed when it i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after the addition of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Also, S. mutans biofilm formed at the surface of artificial tooth was observed to be suppressed, at the concentration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over 0.1 mg/ml. 6. After sterilization effect was observed using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that effect of S. mutans was represented over 0.1 mg/ml of the concentration of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7. After conducting the componential analysis of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using GC/GC-MS analysis, it was composed of 87 compounds. Those components were camphor (20.89%), piperitone (5.27%), epi-sesquiphellandrene (5.16%), a-pinene (4.97%), β-pinene (4.45%), and camphene (4.19%). Through these kinds of results,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was observed to have inhibition effect of growth, acid production, adhesion on S-HA, and S. mutans formation and sterilization effect. Therefo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such as camphor, piperitone, epi-sesquiphellandrene, a-pinene, β-pinene, and camphene are presumed to have the effect against vitalizing dental caries. 본 연구는 천연물로서 산국(Chrysanthemum boreale)에서 분리한 essential oil을 Gas chromatograph (GC) / GC-mass spectrophotometry (GC-MS)를 이용하여 화학성분을 분석하고 S. mutans의 성장, 산생성, 부착능력 및 dental biofilm 형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산국 essential oil의 S. mutans 성장억제 효과에서는 0.05, 0.1, 0.25, 0.5, 0.75, 1 m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S. mutans 성장억제정도가 각각의12%, 45%, 100%, 100%, 100%, 100%로 0.1 mg/ml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2. 산국 essential oil의 S. mutans에 대한 산생성 억제효과는 24시간 배양 후 대조군과 pH를 비교한 결과 산국 essential oil의 농도가 0.25 ml/mg 이상을 첨가하였을 때부터 배양 후 7.33±0.05로 유의하게 산생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3. S. mutans의 S-HA에 대한 부착율은 산국 essential oil의 0.05, 0.1, 0.25, 0.5, 0.75, 1 m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18%, 40%, 46%, 66%, 72%, 75%의 부착 억제율을 보였다. 4. S. mutans biofilm 형성은 산국 essential oil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0.1 mg/ml 이상부터는 뚜렷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5. 주사현미경(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을 이용한 관찰에서 0.1 mg/ml 이상의 산국 essential oil 첨가에서 눈에 띄게 S. mutans 생성이 억제되는 모습이 관찰된다. 인공치 표면에 형성된 S. mutans biofilm도 0.1 mg/ml 이상의 산국 essential oil 농도에서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6. 공초점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을 이용하여 산국 essential oil의 살균효과를 관찰한 결과 산국 essential oil의 농도가 0.1 mg/ml 이상에서 S. mutans에 대한 살균효과가 나타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7. GC/GC-MS 분석을 이용하여 산국 essential oil의 성분분석을 한 결과 87가지의 화합물로 주로 이루어졌으며 그 구성 요소들은 camphor (20.89%), piperitone (5.27%), epi-Sesquiphellandrene (5.16%), a-Pinene (4.97%), β-Pinene (4.45%), camphene (4.19%)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산국에서 추출한 essential oil이 S. mutans의 성장 억제, 산생성 억제 및 S-HA에 대한 부착 억제, S. mutans biofilm 형성 억제 및 살균 효과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산국 essential oil의 주성분인 camphor, piperitone, epi-sesquiphellandrene, a-pinene, β-pinene, camphene이 치아우식 활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 분야에서 POE 수업모형 적용이 과학탐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봉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POE(Prediction-Observation-Explanation : 이하 POE)수업모형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POE 수업모형은 관찰한 현상의 결과를 예상하고 그 예상을 나름대로 정당화하는 ‘예상(Prediction)', 실제로 관찰한 사실이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서술하는 ‘관찰(Observation)’, 예상과 관찰 사이의 불일치를 해결하는 ‘설명(Explanation)’의 3단계로 구성된다. POE를 사용하면 학생들이 수업 전에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이해 정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음으로, 수업을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예상과 관찰 사이의 불일치를 해결하는 설명 단계에서 학생들의 활발한 토의를 적절히 활용하면 학생들에게 과학 개념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과의 POE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과학과의 POE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초등과학 교육에서 POE수업모형을 활용한 과학수업은 일반적인 과학수업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므로 교육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