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류분석을 통한 상담이 신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상란 칼빈대학교 신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개인, 중고등부, 주일학교 어머니, 권사들을 대상으로 상담을 한 결과를 교류분석에 이론에 근거하여 연구하였다. 교류분석이라 함은 성격이론이며 인간 행동에 대한 이해 연구이며 인간 행동에 관한 이론체계이다. 인간 사이의 의사교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인간의 성장과 변화를 위한 성격이론이며 체계적인 심리치료의 방법이다. 교류분석을 통하여 관계 개선에 도움을 주고 삶의 질을 향상 시킬 뿐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으로도 유익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신자에게는 믿음 생활을 더욱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긍정적인 사고로 순종하게 하는 것이다. 적극적인 믿음 생활로 감사하며 헌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예배만 드리던 자가 교사, 성가대, 식당 당번, 차량 봉사 등으로 헌신 봉사하게 되고 가정에서도 내면의 문제가 제거됨으로 말미암아 헌신하게 된다. 부정적인 스트로크로 인한 타인에 대한 불신이 (you're not OK) 신뢰(you're OK)로 전환된다. 타인에 대한 신뢰도는 교회를 건강하게 만든다. 성도간의 신뢰 있는 교제가 되고 이 신뢰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읽고 믿는 행위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부정적인 사람은 하나님 말씀을 대할 때 믿음의 확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긍정적인 신뢰도를 갖고 말씀을 대할 때 믿음에 대한 확신은 더욱더 커진다. 현대인들의 바쁜 생활과 경쟁 속에서의 스트레스는 결국 현대인들을 병들게 했다. 특히 교회에 다니는 신자들에게는 마음의 병들을 신앙이라는 이름 아래 묻어두어 버렸다. 이들 중에는 굳건한 믿음으로 승리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은 것 같다. 세상에서 많은 일과 어려움을 갖고 마지막으로 희망을 걸고 혹시나 하고 찾아온 이들이 있기에 그들이 상한 마음이 치료가 안 될 시에는 아주 극한 상황까지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말씀으로 어루만지며 상담을 통해서 무의식 속에 있는 아픔을 꺼내고 치유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다음 글 앞에서 상담 사례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아주 작은 일이지만 상담활동을 통해 자신도 알지 못하는 일들이 무의식 속에서 표면으로 나오게 되어 조금 더 자신으로부터 가깝게 된다는 것이다. 자신을 자각하고 좀 더 나아지려고 노력하게 되고 그 일을 통해서 상대를 인정하게 되고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동안의 마음속의 일들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는 인생을 사는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일이다. 혼자서 살아가는 세상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목회의 현장에서는 더욱 더 그러한 것 같다. 너무 많은 사람들이 포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두가 상담의 기초적인 이론과 실제를 안다면 서로를 이해하고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신앙생활에도 서로에 대한 이해도는 배려와 사랑을 표현함에 풍족하여 질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 안에서 믿음으로 봉사하며 헌신할 수 있는 것이다. 말씀을 듣고 생기는 거부감은 부정적인 인생각본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에 이것이 해결된다면 말씀을 듣고 행함에 거부하지 않고 순수한 믿음으로 듣고 행함에 많은 도움을 줄것이다. 앞으로 현대는 겉으로는 문제가 없는 사회, 신앙인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내면에 감추어진 것들을 치료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그러므로 말씀으로 바르게 알고 믿음으로 신앙을 지켜나갈 뿐 아니라 상담으로 내면의 치료함도 함께 하면 더 하나님 앞에 바로서고 정직한 신자가 될 것이라 믿는다.

      • 學級風土가 高校生의 對人 價値觀에 미치는 影響

        이상란 淑明女子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의 한국사회는 급격한 인구의 증가, 산업구조의 변화, 과학의 발달 및 거대도시권의 형성으로 인한 사회구조적 다양성을 지닌다. 더우기, 가중되어가는 매스컴의 역할로 현대인의 가치관은 혼재되어 있으며, 그 갈등의 도가 심각하게 부각되어간다. 이같은 사회·문화적 격변속에서 불안정한 과도기적 특성을 지닌 청소년은 심리적 불안감에 빠질 우려가 높은 세대로서, 환경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자못 지대하다. 특히, 청년중기에 처한 고등학생들의 경우 그들이 장시간 생활하며 집단경험을 쌓는, 학급환경의 영향을 물리적 측면뿐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도 강조되어야 한다. 심리적환경 즉, 풍토(Climate)는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발달과 성장에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요소다. 그러므로, 전인교육의 기초적 장(field)이라 할 학급에서 심리적 풍토가 차지하는 비중은 간과될 수 없다. 그와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각 구성원이 지각하고 있는 학급의 풍토가 급우간 대인관계의 가치지향성(價値指向性)과 서로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는 고교생의 사회성 발달과 관련지어 보더라도 의미있는 연구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중기에 처한 고등학생들의 지각(知覺)을 통해 나타난 학급의 풍토와 대인가치지향이 성별·학교 유행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며, 또 궁극적으로 학급풍토가 대인가치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 관계를 파악하려는데 있다. 가설I 학급풍토를 지각하는 정도는 성별·학교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I-1 학급풍토를 지각하는 정도는 성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I-2 학급풍토를 지각하는 정도는 학교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II 대인가치관의 성향은 성별·학교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II-1 대인가치관의 성향은 성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II-2 대인가치관의 성향은 학교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III 학급풍도 지각변인들과 대인가치관 변인들과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가설들을 규명하기 위한 표집 대상은 서울시내 소재한 인문·실업고등학교 2학년생들로 남자 214명, 여자 230명 이었다. 그들이 소속한 학급의 풍토를 지각하는 정도와 대인가치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사용한 도구는 R·H Moos의 C·E·S(classroom environment scale, 1979)를 나혜숙(1985)이 번안한「학급환경 검사」, 그리고 L·V·Gordon의 S·I·V(survey of interpersonal values, 1970)를 황응연, 이경혜(1986)가 수 정·보완한「대인가치관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X 프로그램을 이용, 전산통계처리 하였고, t검증, F검증, Pearson r 그리고, 중다상관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풍토를 지각하는 정도는 성별로, 친밀변인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했고, 학교유형별로는 참여·교사지지·학업지향·질서조직 그리고 규율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학교유형별 상호작용은, 참여·친밀·교사지지·학업지향·혁신변인에서 나타났다. 둘째, 대인가치관의 양상은, 성별로 지지성·동조성·독립성변인에서 유의한 차를 보였고 학교유형별로는 독립성·지도성 변인에서 유의하였다. 성별에 따른 학교유형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세째, 전체집단에 있어서 학급풍토지각변인과 대인가치관 변인과의 단순상관은, 학급풍토지각 변인의 상호관계차원이 대인가치관 각변인들과 특히 다수의 상관을 나타냈고, 중다상관 산출결과는 학급변인들과 특히 다수의 상관을 나타냈고, 중다상관 산출결과는 학급풍토변인의 상호관계차원중 친밀변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성별·학교유형별로 분류·산출한 중다상관 결과 역시, 친밀변인의 설명력이 부각되었다. 그외, 교사지지, 참여, 교사통제 변인들의 설명량도 다소 높았다. 그러나, 목표 지향차원은 설명력을 보이지 않았다. 이같은 결과를 통해서, 고등학생들이 소속한 학급의 심리적 환경과 대인가치 지향성간의 상호관련성을 시사받을 수 있으며, 특히 그 요인이, 교사-학생간, 학생상호간의 우호(友好)와 친밀도를 설명하는 상호관계차원(相互關係次元)에서 부각된 점은, 집단내 상호 대인관계 혹은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예시적 결과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theis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school class climate revealed through the congition of highschool students and the value orient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 which is resulted from the differences of sexes and types of school. Also this study is to explain how the school class climate has influence up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The hypothese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 Hypothesis 1. There sha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students' cognition of the school class climate. I-1. There sha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students' capability to perceive the school class climate in sexes. I-2. There sha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tudents' capability to perceive the climate of school in types of school. Hypothesis II. There scha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 II-1. There sha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 II-2. There sha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udents'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 resulted from the types of school. Hypothesis III. There shall b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which change the school class climate and those which change the view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prove above hypothesi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44 high school student from 3 highschool which are located in seoul. : 214 male and 230 female highschool students.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C.E.S (classroom environ scale, 1979) by R.H. Moos and S.I.V (survey of interpersonal values, 1970) by L.V. Gordon. The collected-data were processed through SPSS-X program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verification, F-verification and multiple correl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regarding the distinction of sex, we can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egree of capability to perceive the school class climate, except the affiliation variable. Considering the different types of schools, we can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in involvement, teacher support, task orientation, other organization and rule clarity variables. Second, regarding the distinction of sex we can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spects of interpersonal values in support·conformity·independence variable; Considering the different types of school, we can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in leadership reliable. Third, There was a lot of variables appeared simpl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of the school class climate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 The affiliation variable among the school class climate explained the most the interpersonal relation in multiple correlation. In addition, some variables, teacher support, involvement, teacher control explaiend a bit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 But, task orientation dimensions have not explanation of it. The results sugg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school class to which student of highschool belongs and the value orientation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 Especially, the fact that it's factors are relationship dimensions which oxplains affiliation of teacher-student and students is illustrative result which indicate the importanc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 or human relationship in a group.

      • 알콜 중독자의 초등학생 자녀들의 심리적 특성

        이상란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알콜 중독으로 인한 초등학생 자녀의 부적응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임상 집단이 아닌 일반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개의 가설이 설정되었다. 첫째, 알콜 중독자의 초등학생 자녀 집단은 비교 집단보다 더 심한 부적응을 경험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생의 우울, 불안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부모의 알콜 중독보다 지각된 부모와의 관계와 더 관련되어 있을 것이나, 초등학생의 비행은 부모와의 관계보다 부모의 알콜 중독과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알콜 중독자의 초등학생 자녀들 68명과 비교 집단 336명을, 지각된 부모와의 관계, 우울, 불안, 사회적 지지 및 비행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부모의 알콜 중독이 강한 위험 요인으로 밝혀졌다. 즉, 알콜 중독자의 초등학생 자녀 집단은 비교 집단보다 부모와의 관계를 좋지 않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우울과 불안을 더 느끼며,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더 낮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비행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알콜 중독이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이 남녀에게 비슷하게 영향이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초등학생에게 나타나는 우울, 불안, 사회적 지지 그리고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에 대한 다변량 분석을 보면, 우울은 지각된 어머니와의 관계, 부모의 알콜 중독 순으로 관련되었다. 불안은 지각된 아버지와의 관계, 부모의 알콜 중독, 지각된 어머니와의 관계 순으로 관련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와의 관계, 아버지와의 관계 순으로 관련되었다. 그리고 비행은 어머니와의 관계, 아버지와의 관계, 부모의 알콜 중독 순으로 관련되었다. 알콜 중독자의 초등학생 자녀 집단은 비교 집단보다 우울과 불안 수준이 높았으며, 비행에 더 많이 개입되어 있었다. 그러나 다변량 분석에 의하면, 내적 증상(우울과 불안)과 외적 증상(비행) 모두가 부모의 알콜 중독보다 지각된 부모와의 관계와 더 관련되어 있었다.

      •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표현력 및 책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상란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언어능력의 하위 영역 중 어휘력과 언어표현력 및 가정에서 책읽기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어휘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 연구문제 2 :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가정에서 책 읽기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J어린이집의 만 4세 반 유아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20명)과 통제집단(20명)으로 구성한 총 40명이다. 사전검사, 도서대여 프로그램 실시, 사후검사의 순으로 연구가 진행 되었다. 사전 검사에 앞서 2008년 4월 25일부터 5월 1일까지 1주일간 예비검사 및 교사훈련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는 5월 2일부터 5월 9일까지 1주간, 도서대여 프로그램 실시는 5월 13일부터 7월 25일까지 10주간 (매주 1회씩 총 10회), 사후 검사는 7월 28일부터 8월 1일까지 1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매주 월요일 자유 선택활동시간을 활용하여 책을 대여하고 기록하게 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1995)이 개발한 그림어휘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언어 표현력 측정을 위하여 장영애(1982)가 개발하고 사용한 언어능력 검사 중 언어표현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가정에서 책읽기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곽아정(1994)이 개발한 부모용 질문지를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집단 유아들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사전·사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가정에서 책읽기 상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어휘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언어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가정에서 책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적용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해 주었다. 앞으로 본 연구를 토대로 유아교육 기관 내에서 도서의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 할 뿐 아니라 가정과 연계한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발하게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aged 4 in J nursery school located in Daejeon, which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20 children) and experimental group (20 children). Pre-test, intervention of the book lending program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in sequence. The pilot research and teacher training were carried out for 1 week from 25th April 2008 to 1st May 2008, pre-test was done for 1 week from 2nd May to 9th May, book lending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0 weeks from 13th May to 25th July (one session per week), and post-test was done for 1 week from 28th July to 1st August. Every Monday children wrote after reading in the afternoon free activity time. Three research instruments were used: first, Picture-Word Power Test developed by Youngtae Kim, Haysung Jang, Sunsook Im, and Hyunjung Baik (1993); second, for child's language expression, Language Expression Test, which is a part of Language Competence Test, by Youngae Jang (1982); third, for analyzing reading interaction fat home, the questionnaire revised and developed by Junga Kwak (1994).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Co-variance was analysed for identifying how the book lending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child's word power and the language expressi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for examining book reading interaction at home and T-test was used for group difference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nd concluded as followings: First, there was the effectiveness of book lending program on child's word power as the child's word power in experiment group was developed more than one in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the effectiveness of book lending program on child's language expression as the child's language expression in experiment group was developed more than one in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the effectiveness of book lending program on the book reading at home as the mother-child interaction was improved. The results shows that book lending program for over 4 years old children is effective on the child's word power and the child-mother interaction improvement. It is hoped that based on this research, the importance of book reading in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highlighted and book lending program linked with home will be implemented actively in the field of children education.

      • 韓國における靑年期 無氣力傾向に關する硏究 : 日本との比較を通して

        이상란 東京大學 大學院 2003 해외박사

        RANK : 247631

        1. 문제 및 목적 최근 부각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수업 장면을 중심으로 한 의욕저하는 중도퇴학자의 증가에 의해 반증되고 있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그 배경과 발생 경로를 밝혀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의 수업장면에 대한 의욕저하를 청년기 '무기력(apathy)'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고, 관련 요인을 규명할 뿐만 아니라 인과모델을 통해 그 발생경로를 명료화 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일반 청소년집단으로 그들 안에 잠재된 의욕저하 즉, '무기력 경향'에 주목한다. 이는 일반 청소년 중 수업장면에서 의욕저하를 겉으로 드러내지 않은 채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있으나, 그 성향이 내재된 청소년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또, 한국의 청소년이외에, 일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하여 비교학적 차원에서 한국의 청년기 무기력 경향의 실상을 구체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무기력 경향(apathy tendency)'은, '일반청소년 중 학습장면에 대한 부정적 증상을 행동적 차원으로 드러내고 있지 않으나, 그 증상을 잠재적으로 내포하고 있어 의욕저하를 보이는 상태'로 정의한다. 2. 논문의 구성 및 각 장의 내용 본 논문은 모두 5부8장으로, 연구결과를 단계적으로 발전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우선 제1장에서는, 중도퇴학자의 증가 등 한국 청소년들을 둘러싼 상황을 분석하였고, 한국에서의 무기력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제2장은, 지금까지 외국에서 연구되어 온 청년기 무기력 경향에 관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점을 정리하고 본 연구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설정된 연구방향에 따라, 제3장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기력 경향에 관한 질문지 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대학생의 무기력 경향은 일본 대학생의 그것과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는데, 한국대학생의 무기력 경향은 고교시절 진학동기의 불명확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점이 밝혀졌으며 이는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제3장의 시사점을 참조로, 제4장에서 한국 고교생을 대상으로 무기력 경향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전형적인 무기력 경향을 보이는 인포먼트를 추출하였다. 제5장은 선정된 인포먼트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접을 실시, 수집된 질적 데이터를 grounded theory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험경쟁이 심각한 한국의 사회적 상황과 부모로부터 받는 심리적 프레셔가 진학동기의 불명확성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무기력경향과 연관되고 있다는 발생 모델을 생성하였다. 특히, 남자 고교생의 무기력 경향은 여학생 보다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그들의 자아이미지 중에는 타의적 부모-자녀공생관계가 존재하였고, 부모의 자신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 및 지배적 양육태도 등에 의해, 남자 고교생들의 내면에 높은 심리적 부담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들이 보이는 성격상의 특성은 강박행동 및 강박관념, 현실회피경향 및 공허감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위축이 존재하는 것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제6장에서는 한국고교생은 무기력 경향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할 목적으로 한국고교생을 대상으로 '무기력 경향'이외에 '진학동기의 불명확성', '진로 미결정', '자아동일성'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양적 데이터는 공분산 구조분석을 거쳐 인과모델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특히 남자고교생의 경우, 경쟁적 수험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진학동기의 불명확성은, 진로미결정을 매개변수로 무기력경향의 하위변수 '자기부전감'을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아동일성 미확립 상태는 무기력경향의 하위변수 '소극·수동'을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7장은 제6장에서 획득된 결과를 참고로, 동일한 질문지를 일본고교생에게 실시하였고, 같은 방법으로 인과모델을 구성하여 양국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은 각각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한국남자고교생에 있어서 자아동일성의 미확립이 무기력 경향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끝으로, 제8장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고, 한국의 청소년에게 보이는 무기력경향에 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끌어냈다 한국의 대학생의 경우, 고교시절 대학진학에 관한 동기가 불명확한 측면이 대학생활에 대한 의욕저하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그것은, 한국의 청년기 무기력경향에 관해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 것이라 하겠다. 이에 고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질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 고교생의 무기력 경향은 특히 남자 고교생이 보다 심각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으며 그 이면에는 수험 경쟁에 의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가 존재하는 학교생활 패턴이 존재하고 있고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받는 성적에 관한 프레셔 및 지나친 기대감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양적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고교생의 무기력 경향은 진학동기의 불명확성 이외에 진로 미결정 상태, 자아동일성의 미확립 등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발생되는 무기력 경향을 보이는 청소년들의 성격상의 특성은, 강박경향, 회피·공허감 및 대인관계에서의 소극성 등, 성격상의 위축으로 나타났다. 3.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과제 본 논문은 '무기력(apathy)'이라는 테마로,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최초로 실시한 연구 결과다. 또, 무기력에 관한 질문지를 직접 작성하여 한국과 일본에 걸친 폭 넓은 비교조사 연구를 실시하였고, 방법면에서는 grounded theory 및 공분산 구조분석 등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법을 종합하여 한국 고교생의 무기력 경향(apathy tendency)의 구조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3부의 질적 연구결과로부터, 한국 청소년의 무기력 경향은, 단순히 본인의 내면적 요인에 의해서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가정, 학교 및 사회 환경이라는 생태학적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이 보이는 무기력 경향에 대응할 즈음에, 가정, 학교 및 사회가 구조화된 체계를 갖고 대응책을 모색하여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생태학적 시스템상의 대안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양적 연구 등을 통해 각 하위시스템 별 요인을 보다 명료화시키는 작업이 요청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얻어낸 양적·질적 결과들은, 앞으로 임상장면에서 무기력 경향을 보이는 보다 다수의 인포먼트를 대상으로 검토·보완해 나갈 것이 요구된다. 그러한 후속 작업을 통해, 한국사회의 문화적 배경에 따른 청년기 무기력 경향의 특징에 대한 보다 명료하고 깊이 있는 이해에 도달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