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의 서비스 특성, 이용자 특성이 만족도, 충성도,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부영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OTT 산업이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만큼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유튜브는 광고기반 무료모델을 대표하는 플랫폼으로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라는 유료구독서비스를 출시하면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이어오고 있다. 광고 시청을 대가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사용자에게 유료구독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만족도, 충성도,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 프리미엄의 서비스 특성과 이용자특성이 만족도와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지속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요금제 수준, 상대적 이점을 서비스 특성의 독립변수로 설정했으며, 소득수준, 유튜브 이용시간을 이용자 특성의 독립변수로 설정했다. 유튜브 사용자 중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를 인지하고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각 설문 문항은 각각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상대적 이점, 요금제 수준, 인지된 용이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용자 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요금제 수준과 상대적 이점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금제 수준, 상대적 이점, 유튜브 이용시간, 소득수준은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 지속 사용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 이용자 충성도, 지속 사용 의도는 서로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속 사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요금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들과 다르게 인지된 유용성이 높은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는 상대적 이점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관계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주된 연령대가 젊은 층으로 형성되어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결과에 의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의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의 지속 사용 의도 극대화를 위해서는 충성 고객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등급제를 도입해 만족도를 높이거나, 젊은 층의 비율이 높은 것을 고려해 성취감을 높여야 한다. 둘째, 친구 초대 프로그램을 통해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 가입 시 신규 구독자와 추천인 아이디를 입력하면 가입자와 추천인의 요금을 일부 할인해주는 혜택을 제공한다. 혹은 통신사와의 제휴를 통한 가족 결합과 같은 마케팅으로 밴드 왜건 효과를 이용한 전략을 고려해야한다. 셋째,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유료구독서비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의 대안을 제한해야한다. 유튜브 프리미엄 사용자들은 가장 유용한 기능을 비용을 지불하고 유의미하게 이용하고, 유튜브 프리미엄을 구독하지 않는 사용자는 그에 비례하는 불편을 경험한다. 유료구독을 통한 기능의 만족감 극대화를 통해 결과적으로 충성고객으로 이끌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요금제 수준에 대한 다양성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요금제를 사용자의 소득수준 및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면 기존의 유튜브 이용자들이 빠르게 프리미엄 서비스 이용자로 전환 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사용자들의 만족도, 충성도, 지속 사용 의도를 높이는 요소가 되어 기업의 매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유튜브 프리미엄, 만족도, 충성도, 지속 사용 의도, 서비스 특성, 이용자 특성 In recent times, the OTT industry has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leading to active research. Among these platforms, YouTube stands out as a representative of the ad-supported free model, having introduced the 'YouTube Premium service,' a subscription-based service, while aggressively pursuing marketing strategies. To propose the subscription service to users who can currently use the service for free in exchange for watching ads, it is necessary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loyalty, and intention to continue us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service and user characteristics of YouTube Premium influence satisfaction, loyalty, and meaningful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 Drawing on prior research, independent variables for service characteristics includ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ricing level, and relative advantage. User characteristics include income level and YouTube usage tim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YouTube users who are aware of the YouTube Premium service, and each survey item was formulated based on relevant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include relative advantage, pricing level, and perceived ease of use, all of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ly, factors influencing user loyalty include pricing level and relative advantage, both of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Thirdly, pricing level, relative advantage, YouTube usage time, and income level are confirmed as variables that directly impact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YouTube Premium service. Fourthly, there is a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user satisfaction, user loyalty,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YouTube Premium service. Ultimately, the variable with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s the pricing level. Unlike previous studies,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show a high impact relationship, likely due to the prominence of the relative advantage and the predominant age group of respondents being younger.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clude: To maximize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YouTube Premium service, preventing loyal customer churn is crucial. Consider introducing a tier system to increase satisfaction or enhancing the sense of achievement, taking into account the high proportion of younger users. Implement a friend referral program for YouTube Premium service, offering benefits such as discounted fees for both the subscriber and the referrer. Alternatively, consider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family bundling through partnerships with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to leverage the bandwagon effect.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among YouTube Premium service users, restrict alternatives to features available through the subscription service. Users of YouTube Premium pay for the most useful features and experience corresponding convenience, while non-subscribers experience proportional inconvenience. Maximizing satisfaction with subscription features should ultimately lead to customer loyalty. Finally, there is a need to present diversity in pricing levels. If users can choose pricing plans based on their income level and situation, existing YouTube users are likely to transition quickly to Premium service users. Moreover, this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satisfaction, loyalty,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reby supporting the company's revenue growth. Key Words: YouTube Premium, Satisfaction, Loyalty, Intent to Continue

      • A사 사례중심으로 M&A 이후 합병조직의 기업문화 창출에 관한 연구

        이부영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기업들의 Global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성장과 생존을 위한 하나의 경영전략으로 기업 간의 인수 합병(Merger & Acquisition: M&A)를 실시하고 있다. 기존의 M&A 시장은 구조조정의 수단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외국인의 투자유치 정책 및 활성화를 위한 나라별로 각종 법규 규제 완화를 지원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기업도 내수시장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Global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기술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해외 M&A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들이 M&A 이후 통합관리(PMI : post merger & integration)에 실패함으로써 기대했던 시너지 효과를 얻지 못 하고 있다. 조직통합은 두 개의 회사를 하나로 만드는 법적, 재무적 과정뿐만 아니라, 상이한 경영철학과 기업문화, 조직구조, 경영시스템과 프로세스를 가지고 운용되던 두 회사를 하나로 만드는 어려운 일이다. 세계 최대의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인 독일의 다임러 벤츠와 미국 크라이슬러의 M&A는 '천상 의 결혼'에서 '지상의 이혼'으로 전락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두 회사의 합병 실패는 재무적 요건만 고려해서는 결코 성공적인 M&A가 될 수 없다는 교훈을 남긴 사례이다, 벤츠의 독일식 제조 기술과 크라이슬러의 미국식 대량 생산력 융합이란 꿈같은 시나리오를 기대했지만, 무엇보다 두 회사의 이질적인 기업문화 충돌로 합병 시너지의 큰 걸림돌이 되었으며, 통합 구성원간의 업무 커뮤니케이션 부재, 그리고 새로운 기업문화 창출에 대한 노력 부족으로 직원의 사기 저하와 더불어 합병 시너지의 걸림돌이 되었다.(파이넨셜 뉴스, M&A로 상장다리 올라타라 (5) 사례로 본 M&A 성공과 실패의 교훈, 2014) 이렇듯 우리주변에서는 숱한 M&A가 실패로 끝나는 것을 많이 접하고 있으며, 많은 경우 그러한 실패의 중대한 이유는 문화적 측면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많은 회사들이 기업문화와 관련된 문제를 사소하게 인식하거나, 무시하거나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않아, 그 대가를 톡톡히 치르곤 한다. 기업의 구성원들이 경영진이 추구하는 전략을 마음속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그들은 그것을 따르기는커녕 훼방 놓을 것이다. M&A 이후에 기업이 해야 중요한 원칙은 비전 제시와 리더십 그리고 성장, 초기의 가시적 성과, 기업문화 차이의 극복,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리스크 관리와 변화 관리가 필요하다.(장수용, 세종 사이버대학교, 글로벌 기업들의 기업통합 성공사례, 2015) 결론적으로 M&A에 있어서 가장 큰 성공요인은 구성원들이 조직변화를 수용하고 새로운 기업문화에 정착하여, 업무에 몰입 하였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은 합병이후 조직 변화에 소홀이 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고 있다. 물리적인 통합이 이루어졌다면 다음은 구성원이 새로운 기업문화 변화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조직적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던 합병기업 구성원의 지향 가치인 기업문화 정립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토대로 연구를 시작 하였다. 합병기업의 조직안정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국내외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으며, M&A 기업 구성원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기업문화 변화를 진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M&A 이후 합병기업의 비전 및 전략과 연계되는 새로운 기업문화를 정립하여 시너지를 극대화 하고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M&A 기업의 새로운 기업문화를 정착하여, 조직구성원의 Mind를 향상하여 직무성과를 향상을 실현함으로서 M&A 실패를 줄이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globalization of the companies being promoted around the world, companies have a mergers and acquisitions between companies with the business strategy (Merger & Acquisition: M&A) for the growth and survival in a highly competitive and conduct. While M&A is to utilize the existing restructuring measures, in recent years, a trend that supports the deregulation laws and regulations in each country and enabling the Government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policy. South Korea also established the Global Corporate business strate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omestic market, and to penetrate the technology based on active overseas M&A market. However, after many companies M&A Integration Management (PMI: Post Merger & Integration) has been unable to find synergies expected to fail. Organizational integration, as well as legal and financial process of making the two companies into one, a different management philosophy and corporate culture, organizational structure, management system and difficult to make the two companies that were operating together with the process. As such it may encounter a lot of M&A ends in failure. In many cases, significant reason for the failure is because you did not pay enough attention to cultural aspects. Many companies are aware of the corporate culture, or trivial, ignoring and do not address the issue properly, it pays a terrible price. If you do not accept the strategy of management with existing members of mind, they would rather not follow the strategy set slander. After M&A, an important principle is to have vision and leadership and growth, early in visual performance, overcoming cultural differences,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risk and change management. As a result, the biggest success factors of M&A are a member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a new corporate culture, the immediate task commitment. But many companies do not make decisions carefully change the organization after the merger. The next step in the physical integration, membership requires organizational efforts of the management team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 the new corporate culture change. The study relates to the member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meantime relatively value-oriented corporate culture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formulation. Comprehensive studies were based on a variet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ading research organizations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merged company, M&A survey of businesses throughout the member was diagnosed a corporate culture change. The findings of the foundation after the merger with M&A corporate vision, strategy and establish a new corporate culture that is linked to maximize synergies and wish to improve job performance.

      • 統計的 綜型模型에 관한 考察

        이부영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1 국내석사

        RANK : 247631

        Let y be an n-th observable column vector of random variable, X be an n×p matrix(n>p) with rank p of known fixed numbers, β be a p-th column vector of unknown parameters, ε be an n-th unobservable conlumn random vector. when E(ε) =0, D(ε)=σ^(2)Σ. Under the above assumptions, the linear model that is to be used to determine y from a given X is usually written in the form y = Xβ + ε. In this note, we study the following topics in the linear model y = Xβ + ε: 1. Point estimation are treated for the following : 1) β, σ^(2) : 2) ℓ^(i)β, linear combination of the β_(i).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실태와 활성화방안 :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이부영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교육취약 아동・청소년의 교육기회, 과정, 결과에서 나타나는 주요 취약성을 최대한 보완하기 위한 교육, 문화, 복지 등의 통합지원시스템 구축사업으로, 학교가 중심이 되는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해 학습・문화・심리・정서・보건 등 삶 전반에 대하여 지원함으로써 교육취약 아동・청소년의 교육적 취약성을 해소해 나가고자 하는 데 그 주요 특징이 있다. 선진 외국에서도 교육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오고 있으며, 미국의 헤드 스타트사업과 프랑스와 영국의 취약지역에 대한 특별지원정책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주요 영역은 학습영역, 문화・체험영역, 심리・심성영역, 복지영역, 지원영역, 영・유아영역의 6개 영역으로 나뉘어져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2006년 5월부터 교육복지 지원사업을 수행중인 청주시 흥덕구 4개 학교(초등학교 2, 중학교 2개교)와 2007년 7월부터 교육복지 지원사업을 시작한 상당구 5개 학교(초등학교 3, 중학교 2개교)로 총 9개 학교를 대상으로 현재 수행되고 있는 교육복지 지원사업에 대한 평가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복지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가정에서 방치되기 쉬운 저소득층 학생들의 개인생활에 대해 교육복지 지원사업을 통한 개입이 건강하고 건전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지역의 사업성과로는 교육복지 마인드 확산, 자체 사업기반조성,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강화를 들 수 있다. 현재 청주시에서 수행되고 있는 교육복지 지원사업은 5년 예정의 프로젝트사업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에 달성해야 할 과제를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5년 동안 반드시 달성하지 않으면 안되는 목표는 결국 프로젝트 종료 후에도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안정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자립기반을 확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대상 집단에 대한 집중지원의 효과성이 가시화 되어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둘째, 예산지원의 대폭적인 감축이나 중단과 무관하게 자생적인 사업수행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예산지원이 집중되는 1,2년차 기간 동안 첫 번째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즉 대상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학습능력향상 등 몇 가지 지표영역에서 성과를 보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번째 목표인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자생적인 역량의 확충은 예산지원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것으로서 보다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찍부터 그 목표 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고, 적극적인 지원연계망을 구축하는 것이 그것이다. 특히 교내의 인적자원인 교직원을 최대한 동반자로 확보하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과 인적자원과의 연계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조사결과와 운영현황에 대한 분석, 그리고 기본방향 및 목표에 기초하여, 청주시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발전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기반 확충을 위한 지원연계망 구축을 위해 학교 내부 인적 자원의 적극적 활용과 연계강화를 위한 교사들의 역할 강화, 행정기관의 영향력 강화 교사전체의 협력과 실천 강화, 교사를 위한 전문교육 실시, 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와 탄력적 인사제도 도입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 자원발굴과 연계강화를 위해서는 공공성이 강한 기관과의 연계, 교육복지 자원 맵의 작성과 서비스 중복의 조정, 사업실행 중심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관을 발굴 추가가 필요하다. 셋째, 가정연계 강화를 위해 가정방문에 대한 학생들의 초기저항의 적절한 대처, 가정방문의 사전예고 및 다양성 활용, 초기 접촉 시 가능하면 담임교사를 매개로 접촉시도 및 사업대상 학교 간 연계 협력강화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전문가의 역할 및 입지 강화를 위해서는 지역전문가의 업무리스트를 작성하고 지역전문가의 참여와 개입을 강화하고, 지역전문가에 대한 대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복지의 취지에 맞는 효율적인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는 교육적 적절성, 대상자 형평성 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하며 대상 학생의 의존성과 낙인감 극복을 위한 배려가 필요하고 비 예산의 일상적인 활동 및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The support project for the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is to supplement weakness at education opportunities, courses and results, etc of children and youth being short of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o build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of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etc and to build school-oriented education community and to solve educational weakness problems of children and youth. The advanced countries made efforts continuously to solve educational inequality problems, for instance, the Head Start Programme in the United States, and special support policy in favor of vulnerable zones in France and the UK. The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has six areas such as learning, culture and experience, psychology and nature, welfare, support, and infants and children, etc to promote the project. The subjects were nine schools, that is to say, four schools, in other words, two elementary schools and two middle schools in Heungdeok-gu, Cheongju-si that promoted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since May 2006, and five schools, in other words,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two middle schools in Sangdang-gu, Cheongju-si that launched educational welfare project since July 2007: Most of those programs were rated to be affirmative, and educational welfare needs and values were thought to be important to help low income family students who were easy to be left at home without care to live healthy and sound lives by the programs. The project in Cheongju accomplished expansion of educational welfare mind, development of self-project base and good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etc. The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in Cheongju is under progress to complete them in five years so that objectives within corresponding period are needed to set up. Objectives that should be compulsorily accomplished during the five years shall expand self supporting bases to operate the project in stable way even after the project is over. Therefore, the project shall be done as follow: First, supports for group shall be effective to get social support on needs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Second, self-generating program capability is required regardless of drastic reduction and suspension of budget supports. From such a point of view, objectives can be accomplished relatively easily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when budget supports are concentrated. In other words, the project can elevate students' satisfactions and learning abilities to get good results at some of index areas. However, the second objective that is expansion of self-generating ability of the project cannot be realized by budget supports only to require more efforts and time, so that cognition on the objectives is needed from early stage. In this regard, active discovery and use of resources are needed to build up support networks. In particular, teachers and staffs at schools shall be used as many as possible to be partners and to link with various kinds of organizations as well as human resources. The findings suggest development subjects of the project as follow: First, support networks for expansion of educational welfare base shall be built up to make use of human resources in schools actively and to reinforce teachers' roles to link each other and to elevat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fluence, teachers' cooperation and practices and to train teachers and to give teachers incentives and introduce flexibl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Second, resource discovery and linkage in community require connections with public organizations, preparation for educational welfare resources and adjustment of service overlap, and discovery of program execution-oriented community networks, etc. Third, some actions shall be taken to develop linkage with home, for instance, taking proper actions against students' initial resistance to home visit, notice of home visit in advance and use of diversity, contact through a teacher in charge at initial contact, if possible, and more cooperation between schools of the project, etc. Fourth, roles and positions of local experts shall be developed by preparation of job lists of the experts,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of the experts, and better treatment of the experts, etc. Fifth, programs that can satisfy educational adequacy and subjects' equity shall be made to run effective programs being suitable to purposes of educational welfare, so that students shall overcome reliance and stigma and non-budget daily activities and programs shall be developed.

      • 여성 골밀도와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 전라북도 거주 건강검진대상자를 중심으로

        이부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BMD) of female f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We measured the Bone Mineral Density(BMD) of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in 4802 femal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DEXA; DPX-alpha. Lunar, U.S.A.). and then we analysed the 9 factors - age group, bone mass index(BMI), amount of smoking, drinking, exercise, sleep, and fast blood sugar, gastric disease, thyroid disease - which are related to BMD of fema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age group according to 《Hwangjaenaekyong·Somun; 黃帝內經·素問》, T-score was the highest at 36∼42(六七) years group in lumbar spine(L2-L4) and at 15∼21(三七) years group in femoral neck. and then it was decreased rapidly after 43∼49(七七) years group in both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score of female in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change according to age group in 《Hwangjaenaekyong·Somun; 黃帝內經·素問》. 2. In BMI(body mass index), T-score of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were the highest in obese group than non-obese group. 3. In amount of drinking and smoking, T-score was highest in heavy groups(women who have drunk soju more than 4 bottles for a week) in both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But tha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according to age group. 4. In exercise, T-score was higher in exercising group than non exercising group. And it appeared that women who have taken proper exercise had higher T-score than women who have taken exercise daily. 5. T-score was higher in women who ordinarily sleep well in both lumbar spine(L2-L4) and femoral neck. And tha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43~56 years group. 6. T-score was lower in the group that exceed 110㎎/㎗ in fast blood sugar, but gastric disease and thyroid disease were related to T-score of female. Conclusion The age group in 《Hwangjaenaekyong· Somun; 黃帝內經·素問》 is related to BMD of women. And risk factors - BMI, exercise, sleep, fast blood sugar, thyroid disease - are related to BMD of women. Therefore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help f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of women, and further study will be achieved.

      • 이주민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대구·경북 지역 대학생의 인식

        이부영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towards immigran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bout immigran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Third, this study aims to classify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bout immigran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about immigran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time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747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verall percep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alysis were used to grasp the perception on immigran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erceptions on the immigran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llow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T-test and ANOVA. The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draw the types of recognition immigran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herea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ime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In terms of distance from and acceptability of immigrant, most college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about immigran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of distance from immigrant than male students, but male students had a higher acceptability of immigrant than female students. Second-year and three-year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of distance from immigrant than four-year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eptability of immigrant depending on the grades and the affiliations where they belonged. When measuri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veragely, they positively per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attitudes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depending on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of negative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attitudes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grades and affiliations. Cluster analysis of immigrant acceptabilit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types of acceptability into 'ideological immigrant acceptance type', 'immigrant acceptance rejection type' and 'practical immigrant acceptance type'. Also, the types of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necessary evil type', 'multicultural education acknowledgement type' and 'negative perception type'. Half the respondents belonged to the 'practical immigrant acceptance type' and positive perception typ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immigrant acceptability depending on he time of education experi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time of education experience.

      • 스트레스 감소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이부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tress reduction program on reduc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which the stress reduction program had been developed and tried, and then its effect had 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