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termination of CO2-Synthetic Oil Miscibility Condition Using Vanishing Interfacial Tension Method

        이병훈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Miscibility condition is an essential parameter for EOR (Enhanced Oil Recovery) process. In order to optimize the process of CO2 injection, estimating miscibility pressure (MMP and FCMP) should be performed. Slim tube method has been widely used by industry for measuring miscibility condition. But, it consumes more time, sample, and no standard specification and procedure.(Johns et al., 2000; Johns and Orr, 1996; Luo and Chen, 2001) On the other hand, VIT (Vanishing Interfacial tension) method is cost effective, quick (1-2 days) and accurate for determining of MMP using less crude oil sample. (Sequeira, 2008) And, previous many experiments for investigating miscibility condition have been implemented using dead oil. That is why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O2-Synthetic oil’s miscibility condition using VIT (Vanishing Interfacial Tension) and visual observation method at reservoir condition. Dead oil was mixed with methane gas to manufacture synthetic oil and simulate real reservoir condition. Constant Composition Expansion Test was also conducted to measure Pb (bubble point pressure). It is compared to the pre-tested data from authorized organization (LEMIGAS) and validate reliability of synthetic oil. Measured Pb is 1075 psi at 68.8 °C. This result is similar to LEMIGAS's pvt data (1,116 psi). It presents that the methane gas was totally soluble inside M-37 dead oil and the experimental method was reliable. Also, Pb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GOR (200, 270 SCF/STB) and temperature (40, 60, 68 °C) to find correlation between them. After that, miscibility condition which is - III MMP (Minimum Miscibility Pressure) and FCMP (First Contact Miscibility Pressure) are obtained through VIT method by extrapolating two linear slope line (first, second slope) to determine miscibility pressure (MMP, FCMP) respectively. VIT method was also conducted to show the effect of solution gas, temperature and oil composition on miscibility condition. The effect on FCMP of solution gas is minor. On the other hand, estimated FCMP is increased much more than determined MMP for both dead oil and synthetic oil due to temperature effect. As a result, temperature effect compared with solution gas effect is more pronounced parameter. When comparing heavier oil (25.2°) with light oil (41.38°), heavier oil has three distinct pressure intervals. It shows the presence of heavier oil components at the interface with CO2 and it affects to the appearance of second, third intervals and slope reduction. Also, by observing the oil drop color and shape, miscibility condition can be determined. Determining MMP and FCMP by Visual IFT observation has high reliability with low error (%) compared to VIT (Graphical extrapolation) method. Based on accurate evaluation of the miscibility condi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sign and performance of a CO2 injection EOR project in a field application by ensuring a miscible CO2 flooding process with high oil recovery. Keyword: Synthetic oil-CO2 miscible condition (MMP, FCMP), VIT (Vanishing Interfacial Tension) method, CCE test, Visual observatio 오일 회수증진 공법에서 혼화상태는 필수요소 중 하나이다. CO2 주입의 최적화 과정을 위해서는 혼화압력인 MMP와 FCMP 측정이 우선 되어야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혼화상태 측정을 위해 슬림튜브를 이용한 방법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간과 재료가 많이 소모가 되며 구체적인 과정의 기준이 다소 미약하다. 반면에, VIT 방법은 최소혼화압력 측정을 위해 적은 양의 오일을 이용하면서 가격 효율적이고, 신속 정확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이전의 혼화상태측정 연구에서는 대부분 dead oil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실제 저류층 조건에서 VIT 및 관찰적 방법을 이용하여 CO2-synthetic oil의 혼화상태를 측정하고자 한다. Dead oil은 실제 저류층 조건모사를 위해 메탄과 혼화되었다. 또한, 버블포인트 압력측정을 위해 Constant Composition Expansion Test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직접 만든 synthetic oil과 공인된 기관인 LEMIGAS로부터 사전 검증된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오일의 신뢰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측정된 버블포인트 압력 값은 68.8 °C 조건에서 1,075 psi 였다. 이 결과는 LEMIGAS의 pvt 자료의 1,116 psi와 근접한 값을 갖는다. 이는 메탄이 M-37 dead oil에 - 116 완전히 용존 되어 있으며 실험적 방법이 신뢰할 만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버블포인트 압력에 GOR (200, 270 SCF/STB)과 온도 (40, 60, 68 °C)가 미치는 상관관계를 입증하였다. 그 후 혼화 상태인 MMP, FCMP는 VIT 방법에 의해 첫 번째, 두 번째 기울기에 보외법(extrapolation)을 적용하여 각각 MMP와 FCMP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VIT 방법은 용존 가스, 온도와 오일의 성분적 특성이 혼화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기 위해 이용되었다. 그 결과, FCMP에 미치는 용존 가스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그러나 온도 영향의 경우에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dead oil 및 synthetic oil 두 경우 모두 MMP보다 FCMP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혼화상태에 온도가 미치는 영향이 용존 가스의 영향보다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heavier oil (25.2°)과 light oil (41.38°)을 비교할 때 heavier oil은 세 개의 다른 압력 구간을 갖는다. 이는 오일 방울과 CO2의 경계면에서 heavier한 oil 성분의 존재를 보여주며 두 번째, 세 번째 구간 출현과 기울기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관찰적 방법의 경우 오일의 색과 모양을 관찰하여 혼화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관찰적 방법에 의한 MMP와 FCMP 측정은 VIT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오차율로써 높은 신뢰도를 가진다. 본 연구는 정확한 혼화상태의 측정에 기반 하여 실제 현장 CO2 주입 오일 회수증진 공법 설계 및 적용 시 높은 오일 회수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주요어 : 합성오일 혼화상태 (MMP, FCMP), VIT (Vanishing Interfacial Tension) 방법, CCE test, 관찰적 방법

      • 原州 法泉寺址 出土 粉靑沙器의 物性과 科學技術적 硏究

        李柄勳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Grayish-Blue-Powdered Celadon is pottrry style that reveals the aesthetic sense of Chosun Period(15th-16th century) by printing, inlay, paintbrush, splashing with nature materials. In this scientific study on grayish-blue-powdered celadon in Wonju Beopcheon-temple site, have been analysed. The objective of the study lies in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the chemical analysis. Mineralogical meaning of earthenware vessels in terms of mineral composition, structure and temper, which were excavated archeological sites and estimation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mineral composition and temperature. The study carries out chromaticity, Apparent specific gravity, Volume specific gravity, Water absorption rate, Apparent porosity measured, X-ray diffrectometer(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Dilatometer(DTA), X-ray fluorescence sequential spectrometer(XRF). As a result the average compositions of bodies were SiO₂ 66.89, Al2O3 20.84, Na₂O 1.11, K₂O 4.83 wt% in weight ratio, which were lower silica(RO₂) and higher flux(RO+R₂O). Owing to the high content(10~15 wt%) of calcium oxide the glaze is considered lime type between lime-alkali type. The body of celdon sheard was found quarts, mulite, miclocline, albite. Firing temperature range for the ceramic was presumed to about 1050~1100℃. The seger analysis were used to researched major compositions of bodies. Difference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grayish-blue-powdered celadons celdons between Bokwangri, Hhakbongri, Chunghyodong, Jukamri, Byonchonri, Dosuri, Udongri were cleared in comparison of the body.

      • Design and Synthesis of TiO2-based Nanomaterials for Lithium-ion Storage and Catalytic Application

        이병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산화티타늄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전이 금속 산화물 중 하나이다. 이산화티타늄은 20세기 초 산업화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이후 환경친화성, 저렴한 생산 가격, 뛰어난 물질 안정성과 같은 특징을 지닌 이산화티타늄은, 자외선 차단제, 색소, 치약, 식품착색제, 그리고 개인미용용품 등 많은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된 이산화티타늄은 마이크로미터 (um) 범위에 한정되어 왔다. 흥미롭게도,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크기가 나노미터 (nm) 범위에 접어들게 되면, 그 이상의 스케일에서 보이지 않던 새로운 특성들이 나타나게 된다. 새로운 특성들 중 가장 흥미로운 특징은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리튬저장 능력과 광촉매 성능이 입자크기가 나노미터에 접어들게 되면서 굉장히 향상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의 뛰어난 리튬저장능력과 광촉매 성능은 이산화티타늄을 친환경적 에너지 전환 및 저장 매체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큰 원동력이 된다. 그러나 이미 대형화가 이루어진 기존 마이크로미터 스케일에서의 이산화티타늄 산업과는 다르게, 나노미터 스케일로 발생하는 에너지 전환 및 저장 매체로서의 이산화티타늄 산업은 아직 초기상태에 머물고 있다. 그 이유는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에서 발생하는, 리튬 저장과 광촉매 현상의 메커니즘이 나노미터 스케일에서 어떻게 진행하는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정보들이 적절하게 제공된다면, 이산화티타늄 기반 물질들은 이미 대형화가 이루어진 이산화티타늄 산업에 힘입어, 에너지 전환 및 저장 매체로서 새로운 응용 분야에 완전히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나는 박사과정 동안 리튬저장과 광촉매 현상이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에서 어떻게 발생하는지 원자수준에서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로서 이번 논문에서는, 첫째로 이산화티타늄 나노구조를 엔지니어링 하는 것이 어떻게 이산화티타늄의 한계리튬저장 성능을 이끌어내고, 이를 장기성능으로 유지하는지 증명한다. Anatase 상을 지니는 이산화티타늄 내의 리튬 저장은 기존에 단일 상 변화 (TiO2→Li0.55TiO2) 에 의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산화티타늄의 낮은 리튬확산속도로 인해, 많은 리튬 저장은 활동적으로(kinetically) 제한되어 왔다. 이산화티타늄 나노구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며, 이러한 활동적 제한 한계까지 장기적으로 리튬을 저장할 수 있는 방안들이 제시되었지만, 이러한 활동적 제한을 넘어 실제 이산화티타늄의 이론적 리튬 저장 한계까지 리튬을 저장하는 방법은 보고되지 않았다. 나는 속이 빈 이산화티타늄 나노구조를 만들었고, 연이은 두개의 상 변화 과정(TiO2→Li0.55TiO2→Li1TiO2)을 통해 이론적 리튬 저장 한계까지 리튬을 가역적으로 그리고 장기간 이산화티타늄 격자 구조 내에 리튬 저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이산화티타늄 나노 구조의 입자 크기와, 속이 빈 나노 구조의 형태를 동시에 조절하며, 이산화티타늄 나노구조 내로 리튬이 저장되는 메커니즘을 관측한 결과, 미시적(원자 수준) 관점에서 이산화티타늄 격자 구조 내로 리튬이 어떻게 저장되는지 발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이론적 리튬 저장 한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보고하였다. 그 이후 나는 여러가지 특정한 원자구조를 지니는 단원자 촉매가 담지 된 이산화티타늄 나노 입자를 통해 가역적 이고 상호협동적인 광 활성화 과정이 불균일촉매 (heterogeneous catalyst) 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산화티타늄 위의 광촉매 수소 형성은 지난 30년간 굉장히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실제 수소 형성이 이산화티타늄 표면에서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 단원자촉매라는 개념이 새로 형성되며, 담지체 (support) 위에 담지 된 단원자 들이 촉매의 활성점으로 굉장히 활동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결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단원자촉매의 단일 원자구조로 이루어진 장점을 이용하여, 나는 여러 종류의 특정 원자 구조를 지니는 단원자/이산화티타늄 광촉매를 합성하였다. 이러한 촉매 디자인을 통해, 효소와 균일촉매(homogeneous catalyst)만이 지니었다고 알려져 있던 가역적이고 상호협력적인 광 활성화 과정이 실제로는 불균일 촉매에서도 원자수준에서 일어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 부분에서, 이 논문은 원자 촉매와 주변 이산화티타늄 격자 구조의 상호 작용은 물질 전체의 특성 자체를 바꿔버릴 수 있음을 증명한다. 이러한 특성은 가역적 그리고 상호협력적 상호작용이 효소나, 균일촉매에서와 같이 불균일 촉매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Titanium dioxide (TiO2) is one of the most studied and widely used metal oxide materials worldwide. Its popularity attributes to its many beneficial characteristics, such as environmental friendliness, cost-effectiveness, and excellent material stability. Since its commercial production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permeated the retail market through various products: sunscreens, white pigment, toothpastes, food coloring and personal care products. TiO2 materials developed for these applications are on the micro-meter scale. Interestingly, when the size of TiO2 particles becomes nanoscale, new properties appear that are absent on a larger scale.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the photocatalytic effect and lithium ion storage capacity are particularly attractive properties of nanosized TiO2 particles. Despite the widely developed TiO2 industries, the application of TiO2 nanomaterials in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are in their infancy. This is mainly because the processes involved in lithium ion storage and photocatalytic fuel generation are largely unknown in the nanoscale region. Systematic research on the underlying principles will provide an essential understanding, allowing the applications of TiO2 nanomaterials to broaden. In addition, the previously developed, established infrastructures of the TiO2 industry will aid the growth of TiO2 nanomaterials. In this regard, my Ph.D. thesis focuses on identifying the atomic scale mechanism involved in lithium storage and photocatalytic reactions of TiO2 nanomaterials. In the 1st chapter, I investigate previous, important studies that developed TiO2 as lithium storage materials and photocatalyst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 identified several conventional limits which the designed synthesis of TiO¬2 nanomaterials alleviates. Through the design and synthesis, I demonstrate how engineering TiO¬2 nanomaterials in the nanoscale can also change the overall mechanism involved in lithium storage (2nd chapter) and phot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3rd chapter). Development of new industries, such as the electric vehicle and portable device, requires safe and high-performance battery materials. Thanks to its material stability, low cost, and non-toxicity, anatase TiO2 recently received great interest as a potential substitute for graphite as the anode material of lithium ion batteries. Although the theoretical storage limit of anatase TiO2 (330 mAh g¬-1) is similar to that of graphite (374 mAh g¬-1), lithium storage in anatase TiO2 triggers phase transition to lithium titanate (Li0.55TiO2 and Li1TiO2). This reaction imposes a kinetic limit on lithium storage performance (~ 180 mAh g¬-1). In the 2nd chapter, I demonstrate how anatase TiO2 designed at the nanoscale can alleviate this issue. I found that the constituent nanocrystals in TiO2 nanostructure can individually undergo sequential phase transition (anatase TiO2  Li0.55TiO2  Li1TiO2). This process can be stably maintained due to the stable interconnection inside the nanostructure. Through the design, I achieved a lithium storage capacity of 228 mAh g−1 over 100 cycles,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trinsic kinetic limit of anatase TiO2. In the 3rd chapter, I demonstrate that atomic-level cooperative interactions between supported single atoms and heterogeneous catalyst supports share fundamental similarities with their enzymes and homogeneous catalysts. The high activity and selectivity towards specific reactions on metalloenzymes originate in the precise atomic structure of their active site. Interactions between the metal cofactor and surrounding protein ligands in metalloenzymes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nd subsequently modulate overall enzyme-catalysis kinetics. In contrast, the structure of the active sites in a heterogeneous catalyst is often undefined, causing intrinsically low activity and selectivity. I designed a site-specific, single atom Cu/TiO2 catalyst and identified that the catalytic process on heterogeneous catalyst can resemble that of metalloenzymes. In analogy to the redox-activity of metal cofactors and reversible modulation of surrounding ligands in metalloenzymes, the heterogeneous photo-redox single Cu atom initiates reversible modulation of the adjacent TiO2 lattice; this reaction causes changes in the macroscopic material properties and subsequent enhancement of catalytic activity. By analyzing the site-specific, precise atomic structure on the heterogeneous catalyst at the single-atom level, I demonstrate that the intra-communications of atomic catalysts (Cu atom) and adjacent environments (TiO2) significantly influences overall material properties of heterogeneous catalysts.

      • 3D-Printing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시편에 대한 초음파 피로시험

        이병훈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1983년에 처음 개발된 3D Printing 기술은 다양한 인쇄기술이 존재하지만, 현재 가장 대중적인 3D Printing 기술은 FDM(Fused Deposition Modeling)방식이다. 이러한 3D Printing은 시간과 비용절감 등의 이점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진출하게 되었고, Printing 기술의 발전으로 높은 기계적 특성을 요구하는 산업현장에 필요한 복합재료의 출력이 가능하게 되었다. 복합재료는 광범위한 분야에 쓰이는 반면, 특성을 얻기 위한 높은 수준의 압력과 계면결합 등의 특수한 조건이 요구되어 제작이 쉽지 않다. 이 중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는 경량 구조용 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CFRP 복합재료도 3D Printing 기술의 발달로 제작이 용이하게 되었다. CFRP 복합재료를 3D Printing으로 제작이 가능해지면서 2D/3D 설계, 적층, 가열, 경화, 탈형, 조립 등 매우 복잡하고 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산업현장에서 CFRP 복합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산업현장에서 종래의 기계재료들을 대체하여 3D Printing CFRP 복합재료를 바로 적용할만한 기계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피로수명의 경우 사용자의 안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피로수명의 평가에는 인장압축식, 회전 굽힘식 등 여러 가지 피로시험법이 존재하는데, 타 시험법 대비 단 시간에 고 주기의 피로시험이 가능한 초음파 피로시험법도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Printing을 이용하여 제작한 CFRP 복합재료의 고주기 피로수명을 평가하기 위해 초음파 피로시험법을 이용하였다. 초음파 피로시험법은 20 kHz의 초음파 공진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험을 위해서 재료의 공진주파수를 측정하고 동탄성계수를 도출하여 특정한 시편을 설계하였다. 3D Printing CFRP 시편은 Markforged社에서 제작한 X7 장비를 이용하였다. 공진주파수는 LDV(Laser Doppler Vibrometer), PZT, DSA(Dynamic Signal Analyzer) 등을 이용한 시스템을 통해 공진주파수를 측정하였다. 초음파 피로시험을 위한 시편의 설계변수를 설정하고 수식을 이용해 값을 선정하여 설계된 시편을 출력하였다. 3D Printing으로 제작한 CFRP를 초음파 피로시험한 선행연구가 없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변수들을 고려해야했다. 또한, 초음파 피로시험은 20 kHz의 고 주파수 진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험 시 열이 발생하는데, 기지재(Matrix phase)가 열에 취약하여 낮은 출력부터 서서히 진행하였다. 초음파 피로시험을 통해 3D-Printing CFRP의 피로수명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고 시편의 피로 파괴된 파단면을 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초음파 피로시험을 이용하여 3D-Printing CFRP 피로수명에 대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3D–Printing CFRP 복합재료가 기존 재료의 대체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초기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이 고객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이병훈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항공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유발요인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직무에 의해 발생되는 감정노동이 고객들에게 제공되어지는 서비스수준에 직․간접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이 연구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이 고객서비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0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K항공사 객실승무원 20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을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중 회수되지 못한 설문 34부와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설문 17부 총 51부를 제외한 149부만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응답결과를 기재한 자료를 회수한 다음 응답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이중기재 또는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와 극단치(outlier)를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킨 후 분석 가능한 유효 표본만을 대상으로 SPSSWIN 16.0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의 목적에 따라 자료 처리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신뢰도분석(reliability),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sample t-test), 일원량분석(analysis of variance) 및 사후비교분석(post-hoc: Duncan),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유발요인, 감정노동의 수준 및 고객서비스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감정노동 유발요인 중 표현규칙의 강요 요인과 직책에 따른 직무특성 요인만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수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별과 연령, 경력, 직책에 따른 감정노동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고객서비스 수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연령, 직책에 따른 대응서비스 수준만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에 따른 감정노동 유발요인은 감정노동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노동 유발요인에서는 직무특성, 표현규칙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감정노동수준에 따라 고객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감정노동 수준은 고객서비스 중 인적서비스와 적시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대응서비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that provocation factors of emotional labor of cabin crew of airlines on emotional labor and what effect emotional labor resulting from duties has on the level of service which is provided to customers directly and indirectly. In order for the effect emotional labor of cabin crew of airlines has on the level of customer service to be verified,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self-administration method after cabin crew of airlines were selected as population sample. A questionnaire survey arranged by making random sample for 200 cabin crew of K Airline from February 1, 2010 to March 31, 2010 was conducted. Out of total copies, 149 copies except for 51 copies that were incomplete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Questionnaires that contained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incomplete or unreliable questionnaires and outlier were excluded from analysis and only valid and reliable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by using SPSSWIN 16.0. Reliability, independent-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post-hoc: Dunca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statistics technique for data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provocation factors of emotional labor,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customer service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Out of provocation factors of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experience, only compulsion factors of expression rule and job factors according to duties have differences.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 in level of emotional labor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difference in level of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gender, age, experience and duties.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 in level of customer servic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difference in level of response service according to age and duties. Second, when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to discover the effect that provocation factors of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duties of cabin crew of airlines have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it was determined that job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expression rule influenced provocation factors of emotional labor. Third, when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to discover the effect that level of emotional labor had on quality of customer service, it was determined that level of emotional labor influenced personal service and timely service but did not influence response service out of customer service.

      • 타악기 중심 음악활동이 학령기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이병훈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 목적은 타악기 중심 음악활동이 학령기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S지역 아동센터를 이용하는 4-6학년 9명의 단일집단 대상으로 주 2회, 총 6주간 12회기 타악기 중심 음악활동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 통제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타악기 중심 음악활동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신감(1-2회기), 자기조절 효능감(3-4회기), 과제난이도 선호(5-6회기), 자기통제력의 하위영역인 만족지연(7회기), 충동억제(8-9회기), 유혹저항(10회기), 정서통제(11-12회기)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사전-사후점수 차이 검증을 위해 비모수에 의한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사 후 인터뷰를 통한 내용 분석이 시행되었다. 분석결과 타악기 중심 음악활동의 사전점수에 비하여 사후점수가 상승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인터뷰를 통한 내용분석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에 관한 긍정적인 내용어가 큰 비중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타악기 중심 음악활동이 학령기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 향상에 유용한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Ge doped Cu2ZnSn(S,Se)4(CZTSSe) thin film solar cells

        이병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Ge doping on the Cu2ZnSn(S,Se)4(CZTSSe) absorber for kesterite solar cells has been shown large improvement of efficiency in a recent. In this work, we demonstrate how stacking order of Ge nanolayer effects on kesterite solar cells properties. The Ge nanolayer (~10 nm) was deposited using RF sputtering with different stacking order on metal precursors Ge doped CZTSSe thin films were prepared on Mo coated glass using different locations of Ge nanolayer R) Mo/Cu/Sn/Zn (W/O Ge), 1) Mo/Ge/Cu/Sn/Zn, 2) Mo/Cu/Ge/Sn/Zn, 3) Mo/Cu/Sn/Ge/Zn, 4) Mo/Cu/Sn/Zn/Ge. The stacked precursors were sulfur-selenized using the rapid thermal annealing system in Ar atmosphere at 520 ℃ for 7.5 min. To fabricate the solar cell the CdS buffer layer was deposited by chemical bath deposition followed by intrinsic ZnO and Al doped ZnO layers were deposited by RF sputtering. Finally, 1 ㎛ thick Al grid was deposited via DC sputtering and the designated cell area was defined mechanical scribing to be ~0.3 cm2. The CZTSSe solar cell exhibited improvement of the device performance by applying Ge layer on top or bottom.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performance was deteriorating when the Ge layer was deposited between metal films. 최근, Ge이 도핑을 통한 CZTSSe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이 주목 받고 있다. 특히 Ge은 CZTSSe 흡수층 과정에서 금속 전구체 (Cu, Sn, Zn)의 확산과 합성 반응에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Ge 나노레이어 층의 위치가 흡수층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Ge 나노레이어 층의 위치가 kestertie 태양전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였다. Ge 나노레이어 (~10 nm)는 금속 전구체들과 같이 RF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증착 되었다. R) Cu/Sn/Zn (W/O Ge), 1) Ge/Cu/Sn/Zn, 2) Cu/Ge/Sn/Zn, 3) Cu/Sn/Ge/Zn 4) Cu/Sn/Zn/Ge. CZTSSe 흡수층 합성을 위해, 증착된 전구체는 아르곤 분위기의 300℃에서 1시간 30분 동안 열처리 후, S 와 Selenium 분말을 첨가하여 금속 열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520℃에서 7분 30초 동안 열처리 되었다. 이 후 태양전지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버퍼층으로 사용되는 CdS 층은 CBD 방법을 이용하였고, 스퍼터를 이용해 i-ZnO와 Al-doped ZnO 투명전극을 증착하였다. 마지막으로 DC 스퍼를 이용해 상부전극 으로 사용되는 Al 을 증착하였다. 소자 특성 측정 결과, Ge 나노레어 층을 가장 아래쪽 혹은 가장 위쪽에 적용하였을 때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었다. 반면, 금속 프리커서 사이사이에 적용할 경우 변환 효율이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