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격자(Grid)문양을 응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이병호 경일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63

        현대사회의 이미지를 단순명료하게 표현 할 수 있는 소재로서 본 연구자는 격자(Grid)문양을 선택하였다. 격자란 수평과 수직선의 교차에 의한 조형구조로 일률적이고 일관된 것처럼 보이지만 유기적이고 질서 있는 구조물로 완성시키는 형식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문양의 특징을 우리 주변에서 찾아 도시의 선, 건축구조, 전통창살문등을 응용하여 가구디자인에 접목시켰다. 건축에서는 골격을 형성하는 뼈대와 외곽을 꾸미는 외장재에서 볼 수 있었고, 창살문에서는 우리의 전통 기하학적 무늬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격자문양을 소재로 새롭고 입체적인 격자로 재구성하여 곡선보다 완전한 구(救)형태를 구현 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그 가능성을 주의 깊게 연구하였으며 동시에 현대인의 감성과 생활에 맞는 조형적인 가구로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시작품에서는 이것을 표현함에 있어서 기하학적인 선과 그에 따른 사각형, 육면체에 곡선화를 연구하였다. 보는 이의 시선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게 느껴지도록 격자의 짜임을 서로 다른 높이와 다른 방향으로 배열하였고, 공간감을 재미있게 표현하고자 격자의 곡선 형태를 디자인하였다. 이러한 격자를 더욱 현대적 감각에 맞는 디자인을 위해서 3차원의 또 다른 조형적 형태로 재구성함과 동시에 구로부터 출발된 격자의 형태는 자유곡선과 리듬감을 표현함에 있어 그 가능성을 제시해 주며 곡선의 정확한 치수 도입으로 조립이 가능하며 대량생산과 더불어 현대 주거 공간에 실용되는 제품 및 인테리어 영역까지 다양한 변화가 기대된다. 본 연구자는 격자문양을 통해 평면과 공간에 대해 조직적이며 입체적인 구조를 강조함으로써 창조적, 기능적, 미래 지향적인 가구디자인으로의 새로운 형상화를 모색하였다. 이러한 디자인의 시도를 토대로 앞으로도 새로운 기법의 적용과 조형적 형태의 다양한 변화를 연구하여 보다 새롭고 창의적인 형태의 가구디자인 개발에 힘쓸 것이다.

      • 放射型 物流體系에서 輸送裝備의 保有臺數 決定과 分配政策에 관한 硏究

        이병호 동아대학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47

        기업의 과중한 물류비 절감을 위해서는 수송네트워크상에서 빈 수송장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빈 수송장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보유 수송장비의 대수결정과 각 터미널에서의 품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빈 수송장비의 재분배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수송장비는 매우 큰 자본 투자들 중 하나이기 때문에 수송장비를 필요 이상으로 많이 보유하게 되면 투자에 대한 낭비가 발생하며 너무 적은 수송장비를 보유하다가 수송수요를 따르지 못해 품절이 발생하면 매우 큰 손실이 발생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수송장비 보유대수 결정모형과 분배정책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하나의 센터와 다수의 터미널로 구성된 방사형 물류체계에서 빈 수송장비 운행비, 재고유지비, 품절비, 투자비등의 관련 비용을 고려한 새로운 비용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전용프로그램인 ARENA(V2.2)로 시뮬레이션하여 제시된 근사 수리모형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이에 의한 해석적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근사모형의 방법에 따라 수치실험하여 제시된 모형의 제반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모형은 센터와 터미널 사이의 적재된 장비의 도착과정이 포아송과정을 따르며 센터와 터미널사이의 이동시간은 확정적일 경우에 터미널을 유입과 유출 도착률의 크기에 따라 과잉과 부족터미널로 구분하여 개별터미널별로 발생비용을 최소화하는 빈 수송장비의 재분배정책을 수립하고 센터에서 품절 확률이 적다는 조건하에서 각 터미널의 점유 장비의 기대치와 분산을 구하여 관련비용을 최소화하는 수송장비의 보유대수를 구하였다. 또한 실제 물류체계에서 자주 발생하는 형태로서, 적재되어 들어오는 수송 장비의 수요만 존재하는 터미널과 적재하여 나가는 수송장비 수요만 존재하는 터미널로 이루어진 순 방사형 시스템의 경우에 다양한 수치실험을 행하여 이런 물류체계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적재된 수송장비 수요가 정상 포아송과정을 따라서 발생된다는 가정에 수요의 발생수요가 1회에 하나 이상 발생할 수 있는 복합 포아송과정을 따를 경우로 확장하여 최적정책을 구하고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즉, 수요발생시 수송장비의 수가 기하분포와 이항 분포를 따를 경우에 해석적 접근이 가능한 순 방사형 물류체계에 관하여 수리모형을 수립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수송장비의 수요가 일정하지 않고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는 경우인 비정상 포아송과정중에서 와이블 확률과정일 경우에 해석적인 방법으로는 분석이 불가능하므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상 포아송과정인 경우와 비교 고찰하였다. 그리고 센터와 터미널간의 운송 시간이 확정적일 경우는 시스템의 해석이 용이하지만 실제의 수송시스템에서의 운송시간은 확률적으로 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운송시간이 여러가지 확률분포(지수분포, 일양분포, 정규분포)틀 따를 경우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확정적인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전술한 방사형 체계에서는 일정수준 이상의 빈 수송장비를 과잉터미널에서 센터로 보내고 센터는 부족터미널에서 요청이 있을 때마다 보내주는 정책을 적용하였다. 실제로 터미널 간에 빈 수송장비의 이동이 허용된다면 시스템 운용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센터와 모든 터미널 간의 거리가 동일한 방사형 체계의 경우에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터미널 간의 이동이 없는 경우와 비교 고찰하였다. 그리고 향후의 연구과제로서 방사형체계를 포함한 일반화된 물류체계에서 해석적 방법으로 해를 구하기 힘든 경우에 시뮬레이션 최적화 방법에 의해서 각 터미널에서의 빈 수송장비의 최적보유정책등을 설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Fleet sizing and empty equipment redistribution are two of the most critical problems in managing a fleet of equipment over a transportation network. The fleet sizing problem is to determine the number of transportation equipments that optimally balance service requirements against the cost of purchasing and maintaining the equipment. Empty equipment redistribution is the process of repositioning transportation equipment to serve future transportation demand. These two problems are highly related to each other. A poorly designed equipment redistribution policy can result in efficient fleet utilization and excessive fleet require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building an operating policy for the efficient redistribution of empty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estimating the size of transportation equipment in hub-and-spoke network. This research presents a cost model on fleet sizing decision and the distribution policy of the transportation equipment by building from multi-echelon inventory model and developing a decentralized redistribution policy of empty equipments in hub-and-spoke network system. An analytical approach to develop redistribution policies at each terminal and determine size of fleet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our step procedures. First, each terminal is classified by surplus and shortage terminals. Second, we determine the smallest return stock level S^(*)_(i) at surplus terminal or reorder inventory position R^(*)_(i) at shortage terminal such that the terminal stockout probability is not higher than the given desired stockout probability requirement and then can minimize the relevant cost. Third, we determine the smallest fleet size M^(*) in network such that center stockout probability is not higher than the given desired one and then can minimize the cost concerned with hub-and-spoke network. Fourth, then we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approximate mathematical model after comparing a numerical experiment result with corresponding one of simulation model programmed by simulation language, i.e., ARENA(V2.2). In this model, transportation demands are random (homogeneous Poisson process) and always come in the form of full equipment loads. Also, transportation demand and exchange of empty transportation equipments only occur between the center and the terminals, so there is no direct equipment flow between spoke terminals. Travel times between the center and the terminals are deterministic. However, flows are bidirectional, so that loads can be sent both from center to terminal and terminal to center. In case of the pure hub-and-spoke system, in which no loads are shipped out of at surplus terminal and to the terminal at shortage terminal, a popular form of a logistics system, computational results were discussed through various numerical experiments. Also, the optimum policy and fleet size were derived and validated by simulation when the demand pattern was followed by the compound Poisson process (CPP) which can be generated one or more at a time under homogeneous Poisson process. That is, when the number of equipments follows geometric and binomial distributions, respectively, cost models on the pure hub-and-spoke logistics system, which can be solved analytically, were be established and analyzed. Furthermore, simulation is conducted when transportation equipment request is irregular and changed periodically - that is, follows Weibull process in one of the nonhomogeneous Poisson process(NHPP). It is easy to analyze the system when travel time from the center to the terminal is deterministic, but it's not when travel time usually changes probabilistically. We compared the deterministic case with stochasitc one after performing the simulation when the transportation time follows a probability distribution(i.e., exponential, uniform, and normal distribution, respectively). Actually, if the movement of the empty transportation equipment is allowed between terminals, it may take an important effect on the logistics system. Therefore, we compared the case of permission to move between terminals with one of prohibition in the hub-and-spoke system, which consists of a center and all the terminals equispaced on a circle, by simulation. In the future, a study on fleet sizing and redistribution policy of the empty transportation equipment in each terminal by simulation optimization method may be a fruitiful one since, we have difficulties in finding a solution by the analytical method in the general transportation networks including hub-and-spoke system.

      •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평생교육정책 과정 추이(推移) 분석 : 새마을교육과 평생학습도시 정책을 중심으로

        이병호 崇實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평생교육정책 과정 추이(推移) 분석 - 새마을교육과 평생학습도시 정책을 중심으로 - 평생교육학과 이병호 지 도 교 수 최은수 본 연구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새마을교육과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개발․결정․집행 과정의 특징과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70년대 새마을교육의 정책 개발 요인ㆍ결정 배경과 집행 성과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2000년대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개발 요인ㆍ결정 배경과 집행 성과의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1970년대 새마을교육과 2000년대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개발ㆍ결정ㆍ집행 과정 특징상의 추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 새마을교육과 2000년대의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개발ㆍ결정ㆍ집행 과정의 특징과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Easton의 체제 분석 이론 모형을 응용하여 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다. 두 정책의 개발 요인과 정책 결정 및 집행 성과 과정은 Hogwood와 Gunn의 6단계 정책개발 모형과 Allison의 정책결정 모형, Elmore의 전ㆍ후 방향성 정책집행과정 접근방식과 Anderson의 순응ㆍ불순응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70년대 새마을교육은 전ㆍ후 방향성(Forward & backward mapping approach) 정책 개발과 정부 주도의 전 방향성(Forward mapping approach) 정책 결정 및 합리모형의 정책 결정, 후 방향성(Backward mapping approach) 정책 집행으로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마을교육은 평생학습적 시각에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해방 이후 한국 최초의 실질적인 지역사회교육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추후 정부의 지역사회발전 평생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관련법 개정의 기초가 되었다. 둘째, 2000년대 평생학습도시 정책은 후 방향성(Backward mapping approach) 정책 개발과 정부 주도의 전 방향성(Forward mapping approach) 정책 결정 및 조직모형의 정책 결정, 후 방향성(Backward mapping approach) 정책 집행으로, 지역중심의 학습공동체 형성을 목표로 하였다. 초기에는 해당 부처마다 분절된 예산편성과 정책추진으로 학습도시별 특성화에는 어려움도 많았지만, 한국 지역사회 발전의 새로운 모델을 창출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1970년대 새마을교육과 2000년대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개발․결정․집행 과정별로 그 추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1970년대 새마을교육은 당시 정부의 경제․사회․정치적 필요에 의한 계몽의 필요성과 국민들의 교육에 대한 욕구와 필요성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새마을교육은 이러한 배경과 필요성에 의해 정부 주도의 정책으로서 결정․집행되었으며, 전국적인 환경 및 생활개선과 생산증대 운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개발과 발전에 기여하였고, 지역사회 계몽교육으로 국가단위 평생교육 추진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특히, 새마을교육이 농촌․도시․직장․지역별․학교별로 전개됨으로써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실질적인 지역사회교육이 되었다. 새마을교육이 이후 정부의 지역사회발전 평생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관련법 개정 및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기틀이 되었다. 한편, 2000년대 평생학습도시 정책은 해당 지방자치단체, 지역교육청, 대학 등의 컨소시엄 형태로 자율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여기에 중앙정부의 강력한 정책 결정 의지와 지방자치단체의 구체적 집행과정이 결합되어 실현되었다. 구체적으로, 평생학습도시정책은 새마을교육과 달리 정부 주도로 전개되지 않고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전개됨에 따라 지역별․도시별․기관별로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노력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한편 평생학습도시정책이 각기 다른 중앙부처로부터 별도의 사업 추진 부서를 통해 예산을 지원받음으로써 관련기관 간 네트워크 형성의 어려움, 차별화된 사업추진 부재 등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그리고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발전 평생교육정책의 흐름은 1970년대의 새마을교육을 출발점으로 2000년 이후에는 평생학습도시 정책으로 이어지고 있다. 두 정책 모두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필요성의 영향을 받으며 개발․결정․집행되었다. 앞으로의 평생학습도시 정책은 정부 주도의 새마을교육의 한계를 극복함은 물론,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자율적인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정책 개발ㆍ결정 및 집행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협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An Analysis of the Trends of Policy Process of Lifelong Education for Community Development with Reference to Saemaeul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City Policy Lee, Byong-Ho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 analytical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lifelong educational policies for community development with reference to Saemaeul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city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related policie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discussed in this dissertation. First, what was the progress in the process of the Saemaeul education in the 1970s regarding th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the backgrounds for the decision-mak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com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Second, what were th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the backgrounds for the decision-mak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com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for establishing lifelong learning cities in the 2000s? Lastly, what was the trend of Saemaeul education in the 1970s and lifelong learning cities in the 2000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of policies? To achieve the objective, analyses have been made based on Easton's Systems Analysis Theory Model. The development,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are discussed in the study by policy theorists Hogwood and Gunn, who have proposed a model which describes six criteria. In addition, documentary research and interviews were mainly conducted to analyz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using Allison's Model on Policy-making, Elmore's Forward and Backward Mapping Approach, and Anderson's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Theory.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Saemaeul education in the 1970s which targeted not for school-age children but for adults was ground-breaking in the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advocacy, for it was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although the Saemaeul education in the 1970s had the limitation in that it was related to the forward & backward mapping approach, the forward-policy and rational model of “new community making”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backward mapping approach. As the local community education, it played a crucial role for prompting and influencing futur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in Korea. Second, the project of establishing lifelong learning cities in the 2000s aimed to establish education community in local areas by comprehending backward mapping approach, forward mapping approach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policy making model as well as backward mapping approach. In the beginning, it was criticized for the turf wars and tensions among relevant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over budgeting and policy-making, which resulted in the failure for local communities to distinguish themselves as learning communities. Nevertheless, it should be noted for creating a new model for the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ies. Finally, the Saemaeul education in the 1970s and th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for lifelong learning cities in the 2000s were analyzed in the development,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Most of all, Saemaeul education in the 1970s was developed to satisfy the needs and desires of local residents to be enlightened and educated to adjust to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It was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with the necessity and backgrounds as mentioned above and also contributed to the community through the nationwide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increased in the production, and paved the way for the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government. Saemaeul education, in particular, played the essential role for educating adults in the communities in that it was developed systematically in the countryside, cities, companies, provinces, and schools. The study suggests that Saemaeul education worked as a base for the needs for the government to provide lifelong education for the communities and for the enactment of related laws as well as for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Lifelong education is significant in which it helped to develop not only the local community but also the individuals and the government, and to have broad perspectives. Policies regarding lifelong learning cities in the 2000s were carried out in a consortium of local governments, educational authorities, and universities in a community and developed as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t was realized by the strong determin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specific procedures of the local governments to carry out established policies. Lifelong education policies are said to have been successful in an effort to effectively implement policies customized to satisfy demands by education consumers in cities, local communities and institutions. On the other hand, lifelong education policies face difficulties to overcome in terms of establishing networks between affiliated governments to support the policies. In conclusion,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in Korea has developed from Saemaeul education in the 1970s toward the lifelong learning city in the 2000s. The policies in both decades have been developed, decided, and implemented under the influences of the backgrounds and necessities of the time periods. In the near future, th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which are needed to be developed, decided and implemented, should deal successfully with the limitations of Saemaeul movement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y the local governments so th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authorities can

      • 인도네시아 태양광 발전 분석 및 모델링에 관한 연구

        이병호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태양광발전량 산출을 위한 절차와 분석기준을 논하였으며 인도네시아 Sukabumi 지역에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기에 타당한지 검토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정보 및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ukabumi 지역의 과거자료 분석을 통해 같은 환경 및 조건을 실재와 똑같이 모델링하여 태양광발전 건설시 최고의 효율이 적용되도록 분석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첫 번째로 현장 조사를 통하여 발전부지의 원거리음영 요소 등을 확인하고, 두 번째 Sukabumi의 일사량, 온도, 강수량 등 태양광발전에 영향을 주는 기후 요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세 번째 구조물 선정과 태양광발전소를 예상 3D모델링하여 어레이의 경사각도 결정과 인도네시아의 최적의 발전 조건을 적용할 수 있도록 어레이간 근거리음영을 분석하여 어레이 이격거리를 결정하였다. 네 번째로 이 3가지 모든 조건을 적용하고 임으로 태양광모듈, 인버터, 케이블 등 자재를 선택과 예상되는 손실률을 적용하여 태양광 산출 프로그램 PVsyst를 이용하여 태양광발전소의 시간별, 월별, 연별 발전량을 산출하였다. 태양광발전소의 예상발전량 분석은 부하 사용량 규모 및 사업성에 대한 경제성 검토에 중요한 요소이다. In this paper, Researcher describes the process and standard of analysis for PV power of Sukabumi in Indonesia and proposes feasibility study for constructing PV Power Plant. In this paper, Researcher analyzes the actual modeling of PV power plant using Environment and historical weather data of Sukabumi through several information and programs to acquire the maximum performance ratio. To analyze PV Power plant, The first proposed method is to check the far shading factor through site survey. Second, it perform analysis of irradianc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hird, in order to applying optimization PV Power plant condition for shading, array distance and 3D modeling in Indonesia, selecting structure and array tilt angle. The last, The hourly, monthly and yearly power generation of PV Power plant is simulated using PVsyst including inverter, module, cable and loss factor. The expected power generation of PV Plant is important factor for reviewing project scale and load usage.

      • WH1000형 원전 출력급감발계통

        이병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WH1000형 원전의 경우 전출력 운전 중 외부 송전망계통 과도상태 등으로 인한 전 부하 탈락 시, 주급수펌프 3대 운전 중 2대 정지 시, 터빈-발전기계통 고장 시 원자로 정지가 발생되며 원자로 재기동을 위한 많은 시간의 소요로 경제적 비용 증가와 원자력 발전소 이용률 저하가 생긴다. 반면, OPR1000형 원전의 경우는 전 부하 탈락과 같은 2차계통에 큰 과도현상이 발생하여도 원자로 출력 급감발계통(RPCS), 증기우회제어계통(SBCS), 터빈제어계통(TCS)의 유기적인 작동으로 열적 불 평형을 수용하여 원자로 정지 없이 계속운전이 가능하여, 과도 상태발생 원인을 찾아 정비하고 원자로가 정지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규제기관의 승인 절차 없이 짧은 시간 내에 발전 재개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OPR1000형 원전과 WH1000형 원전의 주증기덤프계통을 비교, 검토하고 WH1000형 원전에 원자로출력급감발을 적용한 시뮬레에션 시험을 통해 웨스팅하우스 원전에서도 전부하탈락 및 터빈정지 사건 발생 시 원자로 정지 없이 발전소를 안정화 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In the case of WH1000 type NPP(Hanbit #1,#2 / Kori #3.#4), Loss of external load due to a transient of external grid system, 2/3 main feedwater pump shutdown, Turbine-Generator system failure happen during full power operation, the reactor shutdown occurs. It requires lots of time, money and efforts to restart the nuclear power plant again. Increasing economic costs and decreasing of utilization rates are also inevitable. On the other hand, OPR1000 type NPP doesn't occur reactor shutdown when the same incidents or events happen. Because the Reactor Power Cutback System(RPCS) and properly designed steam dump system can control the equilibrium of reactor power and turbine power well. In this thesis, the RPCS designed for WH1000 type NPP is applied to prevent the reactor shutdown due to the 2nd system malfunctions such as Loss of external load. SLEP code based on ACSL is us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RPCS. From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Hanbit 1 NPP model with RPCS didn't happen the reactor shutdown when the Loss of external load happens. The designed RPCS is expected to play a role of improving national credibility, decreasing economic costs and improving NPP utilization.

      • 아웃소싱의 서비스품질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시컨벤션 산업을 중심으로

        이병호 호서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시컨벤션산업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으로서 고용을 창출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며, 외화획득과 세수증대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개최지역의 국제적 인지도 향상과, 이미지를 개선시켜 해당 지역의 발전에 순기능 역할을 한다. 수출 진흥 및 연계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큰 전시컨벤션산업은 독일을 비롯한 전시컨벤션 선진국뿐만 아니라 가까운 싱가포르와 중국 등에서도 국가 전략산업으로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중앙정부에서 전시컨벤션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지정하여 전시컨벤션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책을 시행 중에 있으며,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지방정부 역시 지역의 시설인프라 확충 등의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의 전시컨벤션산업은 단순히 국제회의 개최를 넘어서 각종 전시회, 스포츠행사, 문화예술행사, 인센티브 관광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개최되고 있는 추세이기에 그 부가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은 물론 일본, 싱가포르, 홍콩 등 아시아 국가에서도 관련법을 정비하고 경비보조, 세금감면 등의 각종 지원책을 수립하여 성공적인 전시컨벤션 유치 및 개최 전략을 세우고 있으며, 전시컨벤션을 유치하기 위한 세계 각국 개최지들의 경쟁은 날로 심화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 속에서 전시컨벤션산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원청업체)이 전시컨벤션산업의 여러 분야에 활용하고 있는 아웃소싱 업체 및 조직원의 서비스품질이 이를 활용하는 기업들(원청업체)의 기업성과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전시컨벤션산업에 있는 여러 기업들이 주요 핵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직원들을 제외하고는 거의 아웃소싱업체에 의뢰하여 각종 전시회, 회의 및 meeting프로그램 등을 진행하고 있고 아웃소싱 인력이 전시컨벤션산업의 행사접점에 위치하여 있어 아웃소싱업체 및 종업원의 서비스 품질이 기업의 성과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서비스품질의 주요 결정요인 및 중요성을 알아보았고 원청업체와 아웃소싱 업체, 그리고 근무지회사가 아웃소싱의 서비스품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 테마파크이벤트 스폰서 기업이미지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병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테마파크란 어트랙션들과 일정한 주제의 쇼 및 이벤트로 한정된 공간전체를 연출하는 레저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테마파크는 늘어나는 여가의 증대와 문화적 욕구의 고급화, 다양화 등과 관련하여 그 중요성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또한 그에 따른 테마파크의 양적 증대와 함께 질적 수준의 문제와 컨텐츠의 다양성, 안전성 등 다양한 문제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테마파크에서의 이벤트 개최는 테마파크의 새로운 매력물 및 이미지 메이커로 등장할 뿐 아니라 현실여건상 대규모 투자에 미흡한 우리나라 테마파크 업체의 경영여건으로 볼 때 매우 중요한 발전전략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테마파크에서의 이벤트개최와 이벤트에 대한 스폰서쉽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테마파크의 이벤트 스폰서쉽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테마파크내 이벤트의 스폰서 기업이미지가 방문객의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며, 테마파크 이벤트 의 개념 및 이론, 스폰서쉽의 개념 및 이론, 기업이미지의 개념 및 이론, 구매행동의 개념 및 이론을 정리한 것을 토대로 테마파크이벤트 스폰서쉽이 테마파크의 고객유치와 기업의 이미지관리 측면에서 모두에게 경제, 사회·문화적으로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규명하고, 나아가 이벤트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테마파크내에서 개최되는 이벤트의 스폰서쉽전략이 방문객들에게 주는 기업이미지와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 그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방법으로 채택한 방법은 탐구적 연구로서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고, 자료의 분석기법으로는 SPSS 12.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차이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는 스폰서 기업에 관한 기업인지, 상품이미지, 기업이미지, 그리고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국내인을 대상으로 에버랜드의 스플래쉬 축제에 참가한 방문객에 한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에서 부분적인 무응답 설문지와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 21부를 제외한 총 27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라 스폰서 기업이미지의 차이 정도, 스폰서 기업이미지가 스폰서 기업의 상품구입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 한정한 성별, 연령, 결혼여부, 동반유형, 직업, 최종학력, 월평균소득의 7가지 구성요인에 따라 스폰서 기업인지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연령, 동반유형, 월평균소득의 3가지 구성요인에 따라 스폰서 상품이미지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연령, 동반유형에 따라 스폰서 기업이미지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스폰서 기업이미지는 방문객들의 상품구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스폰서 기업이미지의 3가지 구성요소인, 스폰서 기업인지, 스폰서 상품이미지, 스폰서 기업이미지 전부 스폰서 기업의 상품구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스폰서 기업들의 이미지 관리는 잠재고객의 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지만 국내 여건상 아직까지는 스폰서쉽이 크게 활성화되지는 않고 있다. 단지 일부 몇몇 대기업의 참여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또한 상품판매와 시설광고, 세일즈 프로모션 전략이 대부분이다. 테마파크의 이벤트 스폰서쉽은 기업체의 인식변화와 테마파크에서의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발전되어질 많은 부분을 가지고 있음을 전망해 볼 수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업의 이미지제고 및 신상품에 대한 마케팅 측면에서, 테마파크에서는 스폰서쉽을 통한 시설의 운영비 및 투자비 부담 측면에서 기업과 테마파크 양자간의 더 좋은 방향으로 스폰서쉽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Special events are helping the theme park to be a more attractive destination. Special events are great tools in building a new image of theme park. Meanwhile, special event sponsorship is often used as a relatively critical and efficient corporate marketing strategy. Sponsorship of a special event is considered to not only increase sales, but also to attract potential customers; moreover, it is an effective method to convey the corporate image to customers.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relations between special events of the theme park and sponsorship.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sponsoring special events for the theme park influences the corporate image.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ugust, 2005. The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urvey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total of 279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ut of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h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ith the data collected.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first, the theories on special events of the theme park, sponsorship for events, corporate image and purchasing behaviors were introduced. Secondly, the correlations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corporate image based on special event sponsoring for the theme park were studied. Finally, the correlations between corporate image based on sponsoring special event for the theme park and purchasing behavior were studied. Based on the case analysis in this study, several issues are brought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demographic factors of customers and acknowled gment which is one of the corporate images for sponsoring corporations were not identified.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hree demographic factors with the brand image, which is one of corporate images for sponsoring corporations were identified. Third, the correlation for the two factors from demographic factors of customers and corporate image which is one of the corporate images for sponsoring corporations were identified. Finally,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corporate image created by sponsoring special event for the theme park affects purchasing behavior of customers. Therefore, special event sponsorship in the theme park can help customers have favorable feelings toward the sponsoring corporations.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greater economic impacts will be generat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pecial events in the theme park for corporate growth in the future.

      • 호텔종사원의 사회적 지원이 직장과 가정갈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병호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에는 개인이 여가생활과 가정생활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생활하려하지만 직장에서의 너무 광범위하고 시간적인 측면에 있어서 역할과부하로 인해 직장과 가정 사이에 갈등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직장과 가정간의 갈등은 실질적으로 직무수행저하, 결근율 증가 등 직장에서의 부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가정생활의 불안정성과 파탄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삶의 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호텔기업의 고객접점에 종사하는 종사원들은 장시간의 노동, 불규칙한 근무시간, 제한된 휴일 등으로 인해 직장-가정 갈등이 다른 기업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성과가 떨어지거나 직무불만족이 발생하며 또한 이직의도가 높아진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과 가정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사회적 지원이라는 요인을 추출하여 이러한 사회적 지원이 직장과 가정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요인인지 실증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더불어 직장과 가정갈등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 되었다. 첫째, 사회적 지원이 직장과 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상사의 지원만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지원은 직장-가정갈등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상사의 지원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직장-가정갈등이 낮아진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둘째, 직장과 가정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직장과 가정갈등은 직무만족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곧 직장과 가정갈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감소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호텔기업에서는 종사원들의 직장과 가정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강구하여야 할 것이며 더불어 정부차원에서도 다양한 지원제도 등을 도입하여 기업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Although every worker try to put more importance on their leisure and family today,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has come to the surface, as the result of too broad and overloaded roles in terms of time. Not to mention negative impacts on work such as lower work performance and increasing absenteeism,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may cause instability and collapse to family and is highly likely to deteriorate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ssess how social support of hotel employees affect work-family conflict, how work-family conflict has affected on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mployees of special grade I and II hotels located in Seoul, and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ith 195 copies being returned among which 181 copie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ssessed to test hypothesis, using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12.0 statistical package.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as far a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work-family conflict was concerned, support from supervisor was onl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other types of social support, while such an interaction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colleague’s support. which implies that as the perception on supervisor support becomes higher, work-family conflict decreases. Second, in a test for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job satisfaction, work-family conflict had a (-)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ch shows that the higher work-family conflict, the lower job satisfaction. Third, as far a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was concerned, support from supervisor was onl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other types of social support, while such an interaction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colleague’s support. which implies that as the perception on supervisor support becomes higher, job satisfaction increases. Keeping these findings in mind, hotels should take the necessary steps to minimize the degree of work-family conflict of their employees, while a variety of support systems should be implemented at a government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